KR100453271B1 - 목초액 함유 젤리 - Google Patents

목초액 함유 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3271B1
KR100453271B1 KR10-2002-0044949A KR20020044949A KR100453271B1 KR 100453271 B1 KR100453271 B1 KR 100453271B1 KR 20020044949 A KR20020044949 A KR 20020044949A KR 100453271 B1 KR100453271 B1 KR 100453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jelly
wood vinegar
wood
remaining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4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1811A (ko
Inventor
조원기
최연희
최진영
강보성
Original Assignee
조아제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아제약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아제약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4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3271B1/ko
Publication of KR20040011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1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3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32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10Marmalades; Jams; Jellies; Other similar fruit or vegetable compositions; Simulated fruit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82Acid flavour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5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from seaweeds, e.g. alginates, agar or carrageen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75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animal origin, e.g. chitin
    • A23L29/281Proteins, e.g. gelatin or collagen
    • A23L29/284Gelatin; Collage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dental heal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Zo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초액의 효능을 그대로 살리면서도 목초액의 독특한 스모크향에 대한 거부감을 줄여 기호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목초액 1∼10중량%와, 겔화제 0.3∼10중량%와, 정제수 75∼89중량%와, 감미제 3∼17중량%와, 산미제 0.0005∼0.5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목초액 함유 젤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젤리는 충치균, 치주 질환균에 대한 항균력을 나타내어 구취 제거 및 구강염, 충치, 치주 질환을 예방함은 물론 기호성과 기능성이 향상되어 편이식 건강기능식품을 선호하는 현대인들의 욕구에 부응할 수 있다.

Description

목초액 함유 젤리{Jelly containing pyroligneous liquid}
본 발명은 목초액을 함유한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항균력이 우수한 목초액을 일정량 함유함으로써 구취 제거 및 구강염, 충치, 치주 질환 예방 효과가 우수한 젤리에 관한 것이다.
목초액은 참나무, 대나무, 소나무 등을 공기가 없거나 제한된 상태로 하여 숯으로 굽는 탄화 과정에서 나오는 연기를 포집하여 냉각 응축시킨 조목초액을 6개월 내지 1년간 정치 숙성시킨 후 여과 또는 증류하여 제조한 액체로 초산의 신맛과 특유의 냄새(스모크향)를 가지고 있다.
상기 목초액은 초산을 주성분으로 칼슘, 칼륨, 마그네슘, 나트륨, 철 등의 미네랄 성분과 비타민 B1, B2 등 각종 비타민 군을 포함한 200여 가지의 유기물로구성되어 있으며, 액상 원적외선 방사체 물질로서 침투, 흡수력이 빠르며 살균, 해독력이 강하여 농업, 축산, 식품, 의약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자연 물질이다.
유럽에서는 목초액이 17세기 무렵부터 초산, 메탄올, 아세톤 등의 제조에 이용되어 19세기말까지 목재건류공업은 화학산업의 주류였다. 스웨덴의 벨스톱시에는 세계에서 단 하나뿐인 대규모 목재건류공장이 남아있어 지금도 목초액으로부터 초산비닐을 제조하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메이지시대에 각 곳에 목재건류공장이 건설되고 목초액의 양산이 이루어 졌다.
목초액이 농업용으로 사용된 경우 토양 개량, 연작 피해 예방, 농약사용의 감소, 농약 및 중금속의 해독 등의 효과를 나타내며, 축산용으로 사용된 경우 세포의 활성으로 가축의 질병 예방, 소화 흡수율의 향상, 축사 내 살균 소독, 육질의 개선, 폐사율의 감소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최근에는 농·축산 분야 외에 메탄올 및 페놀류를 정제한 목초액을 건강 및 식용으로 개발하여 항암 작용, 간해독 및 알코올 해독 작용, 혈소판 증가에 의한 면역력 향상, 저혈당 유도, 살균 작용, 이뇨 작용 촉진에 의한 젖산의 체외 배출 등의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상기 목초액이 식용으로 사용될 경우 목초액 특유의 스모크향으로 거부감을 느낄 수 있으며, 목초액을 휴대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는 식품에 대한 개발은 미흡한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충치균, 치주질환균에 대한 우수한 항균력으로 구취를 제거하고 구강염, 충치, 치주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목초액 함유 젤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목초액의 효능을 그대로 살리면서도 목초액의 독특한 스모크향에 대한 거부감을 줄여 기호성을 증진시킨, 목초액 함유 젤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편이식 건강기능식품을 선호하는 현대인들의 욕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휴대가 간편하고, 섭취가 용이한, 목초액 함유 젤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젤리의 충치균에 대한 억제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젤리의 치주질환균에 대한 억제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목초액 1∼10중량%와, 겔화제 0.3∼10중량%와, 정제수 75∼89중량%와, 감미제 3∼17중량%와, 산미제 0.0005∼0.5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목초액은 원료 목초액을 상온에서 6개월 내지 1년간 정치해서 유효목초액을 추출하고, 유효목초액에 함유되어 있는 페놀, 타르, 메탄올, 디에틸에테르, 벤조피렌, 카르보닐, 중금속 등의 유해 성분을 제거한 특유의 향을 가지고 있는 식용 목초액으로 전체중량에 대해 1 내지 10중량%로 배합한다.
이 때, 상기 목초액이 1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충치균, 치주질환균에 대한 항균력이 약해져 기능성이 저하되며, 10중량%를 초과하면 특유의 스모크 향이 짙어져 기호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겔화제는 젤라틴, 카라기난을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로커스트빈검, 잔탄검, 글루코만난, 정제곤약, 알긴산나트륨,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구아검, 레오렉스 알에스(RHEOLEX RS)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과 카라기난을 혼합한 것을 사용하는데 겔화제의 함량이 0.3중량% 미만이거나 10중량%를 초과하면 젤리의 식감이 나빠져 기호성이 저하되며, 0.5∼1.2중량%의 함량으로 배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젤리의 맛과 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감미제는 D-솔비톨액, 이소말토올리고당, 물엿, 말티톨, 백당, 과당, 스테비오사이드,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슈크랄로오즈, 자일리톨, 프락토올리고당, 대두올리고당, 포도당, 만니톨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며, 상기 감미제가 3중량% 보다 적게 첨가되면 젤리의 기호성이 향상되지 않고, 17중량% 보다 많이 첨가되면 그 첨가 효과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아 비경제적이다.
구체적으로는 D-솔비톨액의 경우 1 ∼ 10중량%, 바람직하게는 2 ∼ 5중량%; 이소말토올리고당, 물엿, 말티톨, 백당, 과당의 경우 1 ∼ 25중량%, 바람직하게는 2 ∼ 15중량%; 스테비오사이드,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슈크랄로즈의 경우 0.01 내지 0.5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 0.35중량%; 자일리톨, 프락토올리고당, 대두올리고당, 포도당, 만니톨의 경우 0.5 ∼ 15중량%, 바람직하게는 1 ∼ 10중량%로 사용한다.
상기 산미제는 구연산, 사과산, 주석산, 호박산 및 그의 염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O.0005 내지 0.5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3중량%로 첨가된다.
또한, 기타미량 성분으로 딸기향, 사과향, 바나나향, 수박향, 오렌지향, 레몬향, 매실향, 포도향, 바닐라향 등의 각종 과일향, 유칼립투스오일, 멘톨, 스파이스, 민트 등의 각종 허브향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착향제가 0.1∼0.5중량%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초액 함유 젤리는 정제수에 겔화제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감미제를 투입하여 감미와 향미를 조절하고 목초액과 산미제를 첨가하여 산도를 조절한 다음 젤리로 성형하고, 용기에 충전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젤리 제조방법이 본 발명에 의하여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실시예 1∼36
1) 하기 표 1 내지 표 5의 첨가량으로 정제수에 겔화제를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2) 상기 제1단계에서 제조된 용액을 교반하면서 하기 표 1 내지 표 5의 감미제를 투입하여 용해하였다.
3) 상기 제2단계에서 제조된 용액을 교반하면서 약 30분간 85℃까지 서서히가온하여 겔화제를 완전히 용해하고, 70℃로 냉각하였다.
4) 상기 제3단계에서 제조된 용액에 하기 표 1 내지 표 5의 목초액과 산미제를 첨가하여 pH 3.5인 젤리로 성형하였다.
비교예 1∼3
하기 표 5의 원료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젤리를 제조하였다.
원료 (중량%)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1. 목초액 1 2 3 4 5 6 7 10
2. 카라기난 0.6 0.6 0.6 0.6 0.6 0.6 0.6 0.6
3. D-솔비톨액 2 2 2 2 2 2 2 2
4. 이소말토올리고당 10 10 10 10 10 10 10 10
5. 스테비오사이드 0.3 0.3 0.3 0.3 0.3 0.3 0.3 0.3
6. 구연산나트륨 0.002 0.007 0.018 0.020 0.027 0.031 0.044 0.066
7.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원료 (중량%) 실시예9 실시예10 실시예11 실시예12 실시예13 실시예14 실시예15 실시예16
1. 목초액 7 7 7 7 7 5 5 5
2. 카라기난 0.5 0.7 0.8 1 1.2 0.6 0.6 0.6
3.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 - - - - 0.2 0.4 -
4. D-솔비톨액 2 2 2 2 2 2 2 2
5. 이소말토올리고당 10 10 10 10 10 10 10 10
6. 스테비오사이드 0.3 0.3 0.3 0.3 0.3 0.3 0.3 -
7. 슈크랄로즈 - - - - - - - 0.06
8. 구연산나트륨 0.044 0.044 0.044 0.044 0.044 0.027 0.027 0.027
9.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원료 (중량%) 실시예17 실시예18 실시예19 실시예20 실시예21 실시예22 실시예23 실시예24
1.목초액 5 5 5 5 5 5 5 5
2.로커스트빈검 - - - - - 0.2 0.3 0.2
3.잔탄검 - - - - - - - 0.2
4.알긴산나트륨 - - - - - - 0.2 -
5.카라기난 0.6 0.6 0.6 0.6 0.6 0.6 0.5 0.6
6.D-솔비톨액 2 2 - - - 2 2 2
7.이소말토올리고당 10 10 10 - - 10 10 10
8.스테비오사이드 - - 0.3 - - 0.3 0.3 0.3
9.자일리톨 - - 3 - - - - -
10.아스파탐 - 0.2 - - - - - -
11.아세설팜칼륨 0.2 - - - - - - -
12.설탕 - - - 15 - - - -
13.과당 - - - - 15 - - -
14.구연산나트륨 0.027 0.027 0.027 0.027 0.027 0.0265 0.027 0.027
15.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원료 (중량%) 실시예25 실시예26 실시예27 실시예28 실시예29 실시예30 실시예31 실시예32
1. 목초액 5 5 5 5 5 5 5 5
2. 로커스트빈검 - - - - - - 0.2 0.2
3. 글루코만난 0.2 - - - - - - -
4. 정제곤약 - 0.2 - - - - - -
5. 알긴산나트륨 - - 0.3 - - - - -
6. 구아검 - - - 0.2 - - - -
7. 레오렉스 알에스 - - - - 0.2 - - -
8. 카라기난 0.6 0.6 0.6 0.6 0.6 - 0.6 0.6
9. 젤라틴 - 1.2 - -
10. D-솔비톨액 2 2 2 2 2 2 - -
11. 스테비오사이드 0.3 0.3 0.3 0.3 0.3 0.3 0.3 0.3
12. 프락토올리고당 - - - - - - 5 -
13. 대두올리고당 - - - - - - - 5
14. 이소말토올리고당 10 10 10 10 10 10 10 10
15. 구연산나트륨 0.027 0.027 0.027 0.027 0.027 0.027 0.027 0.027
16.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원료 (중량%) 실시예33 실시예34 실시예35 실시예36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1. 목초액(중량%) 5 5 5 5 - 0.1 15
2. 로커스트빈검 0.2 0.2 0.2 0.2 - - -
3. 카라기난 0.6 0.6 0.6 0.6 0.6 0.6 0.6
4. D-솔비톨액 - - - - 2 2 2
5. 스테비오사이드 0.3 0.3 0.3 0.3 0.3 0.3 0.3
6. 포도당 3 - - - - - -
7. 물엿 - 10 - - - - -
8. 만니톨 - - 3 - - - -
9. 말티톨 - - - 10 - - -
10. 이소말토올리고당 10 - - - 10 10 10
11. 구연산나트륨 0.027 0.027 0.027 0.027 - - 0.105
12. 구연산 - - - - 0.050 0.024 -
13.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목초액 함유 젤리와 목초액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의 젤리의 균에 대한 억제력 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이들의 충치균, 치주질환균에 대한 항균력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예 1
충치균에 대한 항균력 시험
충치균(Streptococcus mutansKCTC3289)을 BHI (53.05% Brain Heart Infusion, 20% Calf brain, 25% beef heart, 1% proteose peptone, 0.2% dextrose, 0.5% sodium chloride, 0.25% disodium phosphate)배지를 사용하여 37℃의 배양기에서 12∼24시간 배양한 후 이를 1×107cells/mL 균수를 조절하여 공시균액으로 사용하였다.
1) 상기 실시예 1, 3, 5, 7, 8과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젤리 약 100g(젤리 1개에 해당하는 분량)을 취하여 멸균식염수 60mL를 넣고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하였다.
2) 상기 용해액 10mL을 취하여 배양한 1×107cells/mL의 충치균(Streptococcus mutansKCTC3289)액 1mL를 접종하였다.
3) 상기 접종 후, 0분, 30분 및 1, 2, 4 시간 간격으로 샘플을 취하여 BHI agar (33.7% Brain heart digest, 19.2% proteose peptone, 3.7% dextrose, 9.6% sodium chloride, 4.8% disodium phosphate, 28.8% Agar) 배지에 1mL 접종하여 24∼48시간 배양한 후 충치균의 억제 정도에 대해 알아보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과 도 1에 나타내었다.
0시간 10분 30분 1시간 2시간 4시간
측정균수 측정균수 측정균수 측정균수 측정균수 측정균수
비교예 1 19,000,000 19,000,000 20,800,000 18,700,000 17,900,000 18,800,000
실시예 1 19,000,000 8,700,000 10,500,000 8,000,000 5,700,000 3,300,000
실시예 3 19,000,000 3,400,000 930,000 710,000 680,000 195,000
실시예 5 19,000,000 6,700,000 1,870,000 61,000 5,900 27
실시예 7 19,000,000 2,100,000 1,350,000 75,000 134 28
실시예 8 19,000,000 1,000,000 51,000 850 0 0
본 발명의 목초액이 함유된 젤리와 목초액이 함유되지 않은 비교예 1의 젤리의 충치균에 대한 향균력을 비교한 시험 결과, 상기 표 6에서와 같이 충치균의 수가 목초액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본 발명의 목초액 함유 젤리가 충치균에 대한 향균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치주질환균에 대한 항균력 시험
치주질환균(Fusobacterium nucleatumsubsp.nucleatumKCTC 2640)의 전배양은 Reinforced Clostridial Medium(26.7% Tryptose, 26.7% Beef extract, 8.0% Yeast extract, 13.3% Dextrose, 13.3% Sodium chloride, 2.7% Soluble Starch, 1.3% Cysteine hydrochloride, 8.0% Sodium acetate)배지를 사용하여 37℃의 배양기에서 12∼24시간 배양한 후 이를 3×106cells/mL 균수를 조절하여 공시균액으로 사용하였다.
1) 상기 실시예 1, 3, 5, 7, 8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젤리 약 100g(젤리 1개에 해당하는 분량)을 취하여 멸균식염수 60mL를 넣고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하였다.
2) 상기 용해액 10mL을 취하여 배양한 3×106cells/mL 의 치주질환균(Fusobacterium nucleatumsubsp.nucleatumKCTC 2640)액 1mL를 접종하였다.
3) 상기 접종 후, 0분, 30분 및 1, 2, 4 시간 간격으로 샘플을 취하여 Reinforced Clostridial Medium(19.0% Tryptose, 19.0% Beef extract, 5.7% Yeast extract, 9.5% Dextrose, 9.5% Sodium chloride, 1.7% Soluble Starch, 1.0%Cysteine hydrochloride, 5.7% Sodium acetate, 28.8% Agar)배지에 1mL 접종하여 24∼48시간 배양한 후 치주질환균의 억제 정도에 대해 알아보고, 그 결과를 하기 표 7과 도 2에 나타내었다.
0시간 10분 30분 1시간 2시간 4시간
측정균수 측정균수 측정균수 측정균수 측정균수 측정균수
비교예 1 2,610,000 2,350,000 2,890,000 3,590,000 6,730,000 11,800,000
실시예 1 2,610,000 2,620,000 900,000 260,000 13,900 2,900
실시예 3 2,610,000 1,870,000 0 0 0 0
실시예 5 2,610,000 220,000 0 0 0 0
실시예 7 2,610,000 75,000 0 0 0 0
실시예 8 2,610,000 5,700 0 0 0 0
본 발명의 실시예인 목초액이 함유된 젤리와 목초액이 함유되지 않은 비교예 1의 젤리의 치주질환균에 대한 항균력 시험 결과, 상기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젤리의 경우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치주질환균 수의 감소가 미미한 반면, 본 발명의 목초액이 함유된 젤리의 경우 치주질환균 수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목초액 농도가 높을수록 치주질환균에 대한 항균력이 더욱 우수하였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초액 함유 젤리는 목초액의 독특한 스모크향에 대한 거부감을 줄여 기호성을 향상시키며, 충치균, 치주 질환균에 대해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내어 구강 내부의 세균 증식을 억제하여 구취를 제거함은 물론 구강염, 충치, 치주 질환 예방에도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섭취가 간편하여 편이식 건강기능식품을 선호하는 현대인들의 욕구에 부응할 수 있다.

Claims (6)

  1. 목초액 1∼10중량%와, 겔화제 0.3∼10중량%와, 정제수 75∼89중량%와, 감미제 3∼17중량%와, 산미제 0.0005∼0.5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목초액 함유 젤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겔화제는 젤라틴 또는 카라기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초액 함유 젤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겔화제는 로커스트빈검, 잔탄검, 글루코만난, 정제곤약, 알긴산나트륨,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구아검, 레오렉스 알에스(RHEOLEX RS)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과 카라기난을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초액 함유 젤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미제는 D-솔비톨액, 이소말토올리고당, 물엿, 말티톨, 백당, 과당, 스테비오사이드,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슈크랄로오즈, 자일리톨, 프락토올리고당, 대두올리고당, 포도당, 만니톨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초액 함유 젤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미제는 구연산, 사과산, 주석산, 호박산 및 그의 염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초액 함유 젤리.
  6. 제1항에 있어서, 딸기향, 사과향, 바나나향, 수박향, 오렌지향, 레몬향, 매실향, 포도향, 바닐라향, 유칼립투스오일, 멘톨, 스파이스, 민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착향제 0.1∼0.5중량%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초액 함유 젤리.
KR10-2002-0044949A 2002-07-30 2002-07-30 목초액 함유 젤리 KR100453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4949A KR100453271B1 (ko) 2002-07-30 2002-07-30 목초액 함유 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4949A KR100453271B1 (ko) 2002-07-30 2002-07-30 목초액 함유 젤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1811A KR20040011811A (ko) 2004-02-11
KR100453271B1 true KR100453271B1 (ko) 2004-10-15

Family

ID=37319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4949A KR100453271B1 (ko) 2002-07-30 2002-07-30 목초액 함유 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32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4824A (ko) * 2016-06-30 2016-07-1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젤라틴을 이용한 복숭아 과즙 첨가 젤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749234B1 (ko) 2015-06-10 2017-06-2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다래의 삽미를 제거한 다래 잼 및 다래 양갱의 제조방법
KR20200001825A (ko) * 2018-06-28 2020-01-07 충청북도 (관리부서:충청북도 농업기술원) 떫은 맛이 감소된 아로니아 곤약젤리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196B1 (ko) * 2004-12-17 2006-11-23 학교법인 계명기독학원 백년초 젖산 발효액을 첨가한 젤리 및 그 제조방법
KR100801601B1 (ko) * 2006-06-13 2008-02-11 씨제이제일제당 (주) 저칼로리 디저트 젤리 조성물 및 그 제품
KR101281371B1 (ko) * 2010-12-24 2013-07-02 주식회사 삼양제넥스 전통주용 감미료 조성물
KR102425300B1 (ko) * 2020-06-18 2022-07-28 대한민국 도라지식초를 이용한 젤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도라지식초 젤리
KR102314879B1 (ko) * 2020-12-31 2021-10-19 주식회사 삼양사 차전자피를 포함하는 음용 젤리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07216A (ja) * 1988-02-10 1989-08-21 Dai Ichi Kogyo Seiyaku Co Ltd 木酢ゲル化物
KR930003919A (ko) * 1991-08-16 1993-03-22 김복남 한약의 약리 성분과 종합아미노산의 영양을 복합적으로 겸비한 한방 젤라틴 생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H0859421A (ja) * 1994-08-26 1996-03-05 Taagen Tex:Kk 木酢液の固形化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0003166A (ko) * 2001-11-24 2002-01-10 장명수 목초액(스모크향)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KR20030030419A (ko) * 2001-10-11 2003-04-18 강명화 생약추출물 함유 기능성 젤리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제조된 기능성 젤리
KR20030084666A (ko) * 2002-04-22 2003-11-01 조아제약주식회사 목초액을 함유하는 음료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07216A (ja) * 1988-02-10 1989-08-21 Dai Ichi Kogyo Seiyaku Co Ltd 木酢ゲル化物
KR930003919A (ko) * 1991-08-16 1993-03-22 김복남 한약의 약리 성분과 종합아미노산의 영양을 복합적으로 겸비한 한방 젤라틴 생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H0859421A (ja) * 1994-08-26 1996-03-05 Taagen Tex:Kk 木酢液の固形化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30030419A (ko) * 2001-10-11 2003-04-18 강명화 생약추출물 함유 기능성 젤리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제조된 기능성 젤리
KR20020003166A (ko) * 2001-11-24 2002-01-10 장명수 목초액(스모크향)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KR20030084666A (ko) * 2002-04-22 2003-11-01 조아제약주식회사 목초액을 함유하는 음료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9234B1 (ko) 2015-06-10 2017-06-2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다래의 삽미를 제거한 다래 잼 및 다래 양갱의 제조방법
KR20160084824A (ko) * 2016-06-30 2016-07-1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젤라틴을 이용한 복숭아 과즙 첨가 젤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671146B1 (ko) * 2016-06-30 2016-11-0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젤라틴을 이용한 복숭아 과즙 첨가 젤리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01825A (ko) * 2018-06-28 2020-01-07 충청북도 (관리부서:충청북도 농업기술원) 떫은 맛이 감소된 아로니아 곤약젤리의 제조방법
KR102071140B1 (ko) * 2018-06-28 2020-03-02 충청북도 (관리부서:충청북도 농업기술원) 떫은 맛이 감소된 아로니아 곤약젤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1811A (ko) 200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5560B1 (ko) 도라지추출물 함유 기관지 질환 치료용 식품조성물
KR100920334B1 (ko) 오디식초와 그 제조방법 및 오디식초를 함유한 기능성 음료
US5466453A (en) Method for improving the taste of pine extract, and orally administrable product obtained thereby
US20030203054A1 (en) Cranberry based dietary supplement and dental hygiene product
KR101059938B1 (ko) 연 식초의 제조방법
KR102062716B1 (ko) 숙성노니원액이 함유된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111724A (ko) 소취능 및 항산화능을 가지는 반려동물용 음료 조성물
KR100453271B1 (ko) 목초액 함유 젤리
CN109431901A (zh) 一种有效抑菌的漱口盐溶液
KR101432584B1 (ko) 생리활성물질 함량이 증가된 증숙 및 발효된 더덕의 제조방법
KR100745654B1 (ko) 락토바실러스속 균의 배양 배지 및 이를 이용한 균의생산방법
CN102823706A (zh) 一种以黑大蒜为糖基的软糖的制作方法
KR20040011810A (ko) 목초액 함유 캔디
KR101694617B1 (ko) 오미자 추출 원액의 제조 방법 또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오미자 추출 원액
KR20180122780A (ko) Gaba를 함유한 다래나무 수액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EP0184121A2 (de) Nahrungsmittel, Getränke, Genussmittel oder pharmazeutisches zum oralen Verabreichen bestimmtes Präparat, das Saccharose enthält
KR102569420B1 (ko) 병풀의 마데카소사이드와 아시아티코사이드를 증가시키는 배양액 조성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41020B1 (ko) 부패곰팡이에 항균 활성을 갖는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0468653B1 (ko) 생약재로부터 추출한 당알코올을 함유한 기능성 식품 및그 제조방법
KR101693485B1 (ko) 오이식초를 함유한 피로회복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37014A (ko) 숙성새싹삼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CN108721176B (zh) 一种漱口水及其制备方法
US20230270131A1 (en) Functional Candy with Special Effect on Gastrointestinal Regulation and Industrialized Production Method Thereof
CN111184215A (zh) 一种风味酱菊芋的加工方法
KR101911628B1 (ko) 식물약재를 이용한 해독제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