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9728B1 - 현상 바이어스 전원의 단속방법 - Google Patents

현상 바이어스 전원의 단속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9728B1
KR100449728B1 KR10-2002-0032526A KR20020032526A KR100449728B1 KR 100449728 B1 KR100449728 B1 KR 100449728B1 KR 20020032526 A KR20020032526 A KR 20020032526A KR 100449728 B1 KR100449728 B1 KR 100449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ing
bias power
power supply
roller
develop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2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5024A (ko
Inventor
유용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2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9728B1/ko
Publication of KR20030095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5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9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97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using magnetic brush
    • G03G15/090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using magnetic brush with bias volt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80Details relating to power supplies, circuits boards, electrical connec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개시된 현상 바이어스 전원의 단속방법은, 다수의 현상기를 순차적으로 작동하여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소정의 색상으로 현상시키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 바이어스 전원의 단속방법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의 바이어스 전원 중 현상롤러의 바이어스 전원 만을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현상기의 현상롤러에 공급되는 바이어스 전압만 단속하므로 고압부에 의한 전선의 배치가 용이하며, 고압전선의 이동거리를 최소화하여 인쇄기의 경박단소화를 추구할 수 있으며, 그 구조가 단순화된다.

Description

현상 바이어스 전원의 단속방법{Connecting and disconnecting method for developing bias power supply}
본 발명은 현상 바이어스 전원의 단속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상유닛이 감광체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현상을 진행하는 화상형성시스템에 있어서의 현상 바이어스 전원의 단속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칼라 레이저 프린터와 같은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는, 감광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 후 토너로 현상하고, 이를 소정 전사매체를 경유하여 용지에 전사한 후 가열 압착하여 화상을 용지에 완전히 정착시키는 화상형성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도 1은 이러한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화상형성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화상형성시스템은, 감광체인 감광드럼(10)과, 감광드럼(10)을 대전시키는 대전기(11)와, 대전된 감광드럼(10)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노광유닛으로서 LSU(laser scanning unit;12)와, 그 정전잠상을 Y(yellow), M(magenta), C(cyan), K(black)의 4가지 색상의 토너로 현상하는 현상유닛(20)과,상기 감광드럼(10)에 현상된 4가지 색상의 화상을 순차적으로 중첩시킬 수 있는 전사벨트(14)와, 감광드럼(10)에 현상된 화상을 전사벨트(14)에 전사시키는 제1전사롤러(14a)와, 전사벨트(14) 위에 4가지 색상으로 중첩되어 있는 화상을 용지로 전시키는 제2전사롤러(14b)와, 용지를 가열 압착하여 전사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닛(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현상유닛(20)에 구비된 4개의 현상기(20-Y)(20-M)(20-C)(20-K)는 감광드럼(10)으로부터 일정한 갭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그 선단에 마련된 현상롤러(20a) 상의 토너로 감광드럼(10)을 현상하게 된다. 참조부호 16은 용지카세트를, 참조부호 17은 감광드럼 클리닝용 블레이드를, 참조부호 18은 제전기를, 참조부호 19는 용지가 배출되기 위한 이송경로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화상형성작업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먼저, 감광드럼(10)을 대전기(11)가 대전시키면, 상기 LSU(12)가 광을 주사하여 첫 번째 색상으로 현상할 화상의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예컨대 옐로우 색상을 첫 번째로 현상한다면, 옐로우 색상의 현상기(20-Y)에 현상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어서 감광드럼(10)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옐로우 색 토너로 현상하게 된다. 현상롤러(20a-Y)의 외주면에 묻은 토너(T)가 감광드럼(10)의 정전잠상 부위로 옮겨가게 된다. 이렇게 현상된 옐로우 화상은 일단 제1전사닙(N1)을 통해 전사벨트(14)에 전사된다. 이어서, 감광드럼(10)의 대전과 노광을 통해 두 번째 색상용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두 번째가 마젠타라면, 마젠타 색상의 현상기(20-M)로 정전잠상을 현상한다. 이렇게 현상된 마젠타 화상은 옐로우 화상이 전사되어 있는 전사벨트(14) 위에 중첩 전사된다. 같은 방법으로 세 번 째 시안과 네 번 째 블랙 색상의 화상을 현상 및 전사하여 최종적으로 원하는 칼라의 화상을 전사벨트(14) 위에 만든다. 이후, 이와 같이 완성된 칼라 화상은 전사벨트(14)와 제2전사롤러(14b) 사이의 제2전사닙(N2)으로 공급되는 용지에 전사되며, 정착유닛(15)을 통과하면서 가열 압착되어 용지에 완전히 정착된다.
도 2는 도 1의 현상기의 확대도이며, 바이어스 전원의 연결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감광드럼(10)의 표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4개의 현상기(20-Y)(20-M)(20-C)(20-K)가 위치한다. 각 현상기에는 감광드럼(10)의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롤러(21)와, 상기 현상롤러(21)에 토너를 공급하는 공급롤러(22)와, 상기 현상롤러(21)에 부착되는 토너의 높이를 규제하는 닥터블레이드(23)와, 상기 현상롤러(21)의 현상 후의 토너의 회수시 비산을 방지하고 토너를 보조적으로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실 블레이드(24)와, 현상기(20) 내의 토너를 상기 공급롤러(22)로 혼합시키면서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에지테이터(agitator)(26)와, 상기 닥터 블레이드(23)로부터 규제되고 남은 토너를 회수하는 회수롤러(25)를 구비한다.
상기 현상롤러(21)에는 대략 -450 VDC의 직류전압 및 2 kV, 2 kHz의 교류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닥터 블레이드(23)에도 현상롤러(21)와 동일한 전압이 인가되어 상기 현상롤러(21)에 부착되는 토너를 대전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공급롤러(22) 및 실 블레이드(24)에는 각각 약 -650 VDC 및 약 -350 VDC의 직류전압과, 2 kV, 2 kHz의 교류전압이 인가된다. 이들 현상롤러(21), 공급롤러(22), 닥터 블레이드(23) 및 실 블레이드(24)에는 고전압공급전원(High voltage power supply)으로부터 소정의 전압이 공급된다.
현상유닛(20)의 현상기들은 순차적으로 사용되며, 사용되는 현상기에는 현상롤러 및 닥터 블레이드, 토너공급롤러, 실 블레이드 각각에 연결된 스위치들(SW1, SW2, SW3)가 연결되어서 통전되며, 다른 현상기를 사용하기 전에 이들 스위치들(SW1, SW2, SW3)이 오프되어서 고압전원의 공급이 끊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바이어스 전원 연결을 위해서는 다수의 스위치 또는 다수의 연결회로가 사용되며 그 구조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현상기들이 감광드럼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고정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현상기에 공급되는 고압전원을 단순하게 단속할 수 있는 현상 바이어스 전원의 단속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화상형성시스템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현상 바이어스 전원의 단속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제1실시예에 따른 현상 바이어스 전원의 단속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현상 바이어스 전원의 단속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원통드럼 및 단자부의 접속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감광드럼 11...대전기
12...LSU 14...전사벨트
15...정착유닛 16...용지카세트
20...현상유닛 21...현상롤러
22...토너 공급롤러 23...닥터 블레이드
24...실 블레이드 30...전자 클러치
32...클러치 디스크 34...중계 기어
36...감속기어 어셈블리 40...현상기 구동기어
50...원통드럼 52...도선
54...단자 56...리드선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현상기를 순차적으로 작동하여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소정의 색상으로 현상시키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 바이어스 전원의 단속방법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의 바이어스 전원 중 현상롤러의 바이어스 전원 만을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현상롤러 및 닥터 블레이드의 바이어스 전원 만을 함께 단속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속방법은, (a)현상유닛의 구동과 함께 각 현상기에 공급되는 바이어스 전원 중 현상롤러 바이어스 전원을 제외한 바이어스 전원을 온(ON)하는 단계;
(b)해당 현상기의 구동신호에 따라서 상기 현상기의 현상롤러 바이어스 전원을 온(ON)하는 단계;
(c)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현상기의 현상롤러 바이어스 전원을 오프(OFF)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 및 (c)단계는, 상기 현상롤러에 공급되는 현상 바이어스 전원의 온-오프(ON-OFF) 회로를 단속하는 단계이거나, 또는 기계적 수단을 사용하여 현상 바이어스 전원을 온-오프(ON-OFF)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현상기의 현상 바이어스 전원의 단속장치의 개략 도면이며, 도 2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2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드럼(10)의 표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4개의 현상기(20-Y)(20-M)(20-C)(20-K)가 위치한다. 각 현상기에는 현상롤러(21)와, 토너 공급롤러(22)와, 닥터블레이드(23)와, 실 블레이드(24)를 구비한다.
상기 현상롤러(21) 및 닥터 블레이드(23)에는 대략 -450 VDC의 직류전압 및 2 kV, 2 kHz의 교류전압이 인가된다. 상기 공급롤러(22) 및 실 블레이드(24)에는 각각 약 -650 VDC 및 약 -350 VDC의 직류전압과, 2 kV, 2 kHz의 교류전압이 인가된다. 이들 현상롤러(21), 공급롤러(22), 닥터 블레이드(23) 및 실 블레이드(24)에는 고전압공급전원(High voltage power supply: HVPS)으로부터 소정의 전압이 공급된다.
감광드럼(10)의 주위에 배치된 현상기(20) 중 현상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어서 인근의 다른 현상기(20)의 현상작용에 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은 현상롤러(21)의 현상 바이어스 전압이다. 따라서 하나의 현상기(20)의 작용시 현상롤러(21) 및 닥터 블레이드(23)의 현상 바이어스 전원만 단속하는 장치를 구비하며, 다른 공급롤러(22), 실 블레이드(24)는 화상유닛이 ON 될 때부터 OFF 될 때까지 바이어스 전원이 공급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하나의 현상기에서 다른 현상기로 옮겨갈 때 현상롤러(21) 및 닥터 블레이드(23)의 고압전원만 단속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고전압공급전원(HVPS)으로부터 각 현상기에는 3개의 도선으로 바이어스 전압이 공급된다. 실 블레이드(24) 및 공급롤러(22)에는 현상 유닛(20)의 온-오프에 따라서 바이어스 전압공급이 결정되게 회로연결되며, 상기 고전압공급전원(HVPS)으로부터 현상롤러(21) 및 닥터 블레이드(23) 사이에는 릴레이 스위치와 같은 단속 스위치(SW-4)가 배치되어서 해당 현상기의 구동시에만 스위치(SW-4)가 온(ON)된다.
상기 구조의 바이어스 전원 단속장치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현상유닛(20)을 구동하는 경우에는 메인 전원을 온 시키며, 이에 따라서 각 현상기의 고전압공급전원(HVPS)으로부터 토너 공급롤러(22) 및 실블레이드(24)에 바이어스 전압이 공급된다. 또한, 감광드럼(10)을 대전기(11)가 대전시키면, 상기 LSU(12)가 광을 주사하여 첫 번째 색상으로 현상할 화상의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예컨대 옐로우 색상을 첫 번째로 현상한다면, 옐로우 색상의 현상기(20-Y)의 스위치(SW-4)가 연결되어서 고전압공급전원(HVPS)으로부터 현상롤러(21) 및 닥터 블레이드(23)에 소정의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이어서 감광드럼(10)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옐로우 색 토너로 현상하게 된다. 현상롤러(20a-Y)의 외주면에 묻은 토너(T)가 감광드럼(10)의 정전잠상 부위로 옮겨가게 된다. 다음에, 옐로우 색상의 현상이 종료되면 스위치(SW-4)가 오프(OFF)되어서 현상롤러(21) 및 닥터 블레이드(23)에 인가되는 바이어스 전원만 오프되며, 이에 따라 인근의 다른 색상의 현상작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이렇게 현상된 옐로우 화상은 일단 제1전사닙(N1)을 통해 전사벨트(14)에 전사된다. 이어서, 감광드럼(10)의 대전과 노광을 통해 두 번째 색상용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두 번째가 마젠타라면, 마젠타 색상의 현상기(20-M)의 현상롤러(21) 및 닥터 블레이드(23)에 현상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어서 정전잠상을 현상한다. 이렇게 현상된 마젠타 화상은 옐로우 화상이 전사되어 있는 전사벨트(14) 위에 중첩 전사된다. 같은 방법으로 세 번 째 시안과 네 번 째 블랙 색상의 화상을 현상 및 전사하여 최종적으로 원하는 칼라의 화상을 전사벨트(14) 위에 만든다. 이후, 이와 같이 완성된 칼라 화상은 전사벨트(14)와 제2전사롤러(14b) 사이의 제2전사닙(N2)으로 공급되는 용지에 전사되며, 정착유닛(15)을 통과하면서 가열 압착되어 용지에 완전히 정착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현상롤러(21) 및 닥터 블레이드(23)에 동일한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되므로 함께 단속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상기 닥터 블레이드(23)를 다른 토너 공급롤러(22) 및 실 블레이드(24)와 함께 현상유닛(20)의 온-오프와 함께 온-오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현상 바이어스 전원을 단속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며,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현상롤러 구동기어(21a) 및 공급롤러 구동기어(22a)는 서로 맞물려 있으며, 현상롤러 구동기어(21a)는 중계기어(34)를 통해서 전자클러치(electro-magnetic clutch)(30) 및 클러치 디스크(32)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 디스크(32)의 일측에는 현상기 구동기어(40)에 연결된 연결기어(42)가 대응되게 마련되어 있다. 상기 중계기어(34)는 그 회전속도를 소정의 비율로 감속하는 감속기어 어셈블리(36)에 연결되어 있으며, 감속기어 어셈블리(36)는 원통드럼(50)의 축(51)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현상기 구동기어(40)에는 각 현상기에 대응하는 연결기어(42)가 마련되므로, 현상기의 구동기어(40) 회전시 각 현상기에 대응되는 연결기어(42)에 전자클러치(30)를 연결함으로써 현상기 내의 롤러들(21, 22)와, 감속기어 어셈블리(36) 및 원통드럼(50)이 종동되어 회전된다.
도 5는 도 4의 원통드럼 및 단자들의 설명도이며, 도 6은 단자들의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기 원통드럼(50)의 원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일부가 개방된 1개의 도선(5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선(52)은 띠모양의 도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선(52)에 대응되도록 상기 원통 드럼(5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고정된 두 개의 단자(54)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도선(52)과의 접촉으로 대응된 한 쌍의 단자(54)가 통전된다. 상기 단자들(54) 중 하나의 단자는 현상롤러(21) 및 닥터 블레이드(23)에 연결되어 있으며, 다른 단자(54)는 고압전원공급원(6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단자들(54)은 상기 원통드럼(50)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도선(52)과의 접촉이 용이하게 각 단자(54)로부터 도선(52) 방향으로 연장된 리드선(5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조의 화상형성장치의 현상 바이어스 전압 단속장치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현상유닛(20)을 구동하는 경우에는 메인 전원을 온 시키며, 이에 따라서 각 현상기의 고전압공급전원(60)으로부터 토너 공급롤러(22) 및 실 블레이드(24)에 바이어스 전압이 공급된다. 또한, 감광드럼(10)을 대전기(11)가 대전시키면, 상기 LSU(12)가 광을 주사하여 첫 번째 색상으로 현상할 화상의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예컨대 옐로우 색상을 첫 번째로 현상한다면, 옐로우 색상의 현상기(20-Y)의 구동을 위해서 현상기 구동기어(40)에 연결된 연결기어(42)에 전자클러치(30)의 클러치 디스크(32)를 맞물린다. 이어서 전자클러치(40)에 연결된 중계기어(34), 현상롤러 기어(21a) 및 공급롤러 기어(22a)가 회전하게 된다. 한편, 중계기어(34)의 회전에 따라서 감속기어 어셈블리(36)의 감속기어들이 회전되면서 감속기어에 연결된 원통 드럼(50)을 소정의 감속비로 회전한다. 상기 원통 드럼(50)의 회전시 도선(52)이 회전되면서 단자들(54)의 리드선들(56)고 접촉하여 도선(52)에 대응된 한 쌍의 단자들(54)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따라서현상롤러(21) 및 닥터 블레이드(23)와 고압공급원이 연결되어서 상기 현상롤러(21) 및 닥터 블레이드(23)에 소정의 현상 바이어스 전압이 공급된다. 이에 따라서, 공급롤러(22)로부터 현상롤러(21)에 공급된 토너는 닥터 블레이드(23)를 통과하면서 소정 높이 이하의 토너층으로 규제된 후 감광드럼(10)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옐로우 색 토너로 현상하게 된다. 현상되고 남은 토너는 현상롤러(21)의 회전에 따라서 실 블레이드(24)를 통해서 하우징내로 돌아 온다. 상기 회수롤러(25)는 닥터 블레이드(23)에 의해서 현상롤러(21)로부터 제거된 토너를 회수하여 공급롤러(22) 쪽으로 보낸다. 현상롤러(20a-Y)의 외주면에 묻은 토너(T)는 감광드럼(10)의 정전잠상 부위로 옮겨가게 된다. 이렇게 현상된 옐로우 화상은 일단 제1전사닙(N1)을 통해 전사벨트(14)에 전사된다.
이어서 옐로우 현상과정이 종료되면, 전자 클러치(30)의 클러치 디스크(32)는 연결기어(42)로부터 이격되며, 따라서 현상기(20-Y)내의 롤러들(21, 22)과, 감속기어 어셈블리(36)의 감속기어들 및 원통 드럼(50)은 정지된다. 이 때 원통드럼(50)의 정지시 단자들(54)의 리드선들(56)은 도선들(52)의 개방부(52a)에 위치하게 되어 단자들(54)의 접속이 해제되며 따라서 고압공급원으로부터 현상롤러(21) 및 닥터 블레이드(23)로의 고압전원공급은 끊긴다. 이때도 토너 공급롤러(22) 및 실 블레이드(24)로의 고전압전원공급은 유지되며, 현상유닛(20)을 OFF할 때 함께 OFF된다.
이어서, 감광드럼(10)의 대전과 노광을 통해 두 번째 색상용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두 번째가 마젠타라면, 마젠타 색상의 현상기(20-M)로 감광드럼(10)의 정전잠상을 현상한다. 이렇게 현상된 마젠타 화상은 옐로우 화상이 전사되어 있는 전사벨트(14) 위에 중첩 전사된다. 같은 방법으로 세 번 째 시안과 네 번 째 블랙 색상의 화상을 현상 및 전사하여 최종적으로 원하는 칼라의 화상을 전사벨트(14) 위에 만든다. 이후, 이와 같이 완성된 칼라 화상은 전사벨트(14)와 제2전사롤러(14b) 사이의 제2전사닙(N2)으로 공급되는 용지에 전사되며, 정착유닛(15)을 통과하면서 가열 압착되어 용지에 완전히 정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상 바이어스 전원의 단속방법은, 현상기의 현상롤러에 공급되는 바이어스 전압만 단속하므로 고압부에 의한 전선의 배치가 용이하며, 고압전선의 이동거리를 최소화하여 인쇄기의 경박단소화를 추구할 수 있으며, 그 구조가 단순화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13)

  1. 다수의 현상기를 순차적으로 작동하여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소정의 색상으로 현상시키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 바이어스 전원의 단속방법에 있어서,
    (a)현상유닛의 구동과 함께 각 현상기에 공급되는 바이어스 전원 중 현상롤러 바이어스 전원을 제외한 바이어스 전원을 온(ON)하는 단계;
    (b)해당 현상기의 구동신호에 따라서 상기 현상기의 현상롤러 바이어스 전원을 온(ON)하는 단계; 및
    (c)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현상기의 현상롤러 바이어스 전원을 오프(OFF)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현상기의 바이어스 전원 중 현상롤러의 바이어스 전원 만을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바이어스 전원의 단속방법.
  2. 삭제
  3. 다수의 현상기를 순차적으로 작동하여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소정의 색상으로 현상시키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 바이어스 전원의 단속방법에 있어서,
    (a)현상유닛의 구동과 함께 각 현상기에 공급되는 바이어스 전원 중 현상롤러 및 닥터 블레이드의 바이어스 전원을 제외한 바이어스 전원을 온(ON)하는 단계;
    (b)해당 현상기의 구동신호에 따라서 상기 현상기의 현상롤러 및 닥터 블레이드의 바이어스 전원을 온(ON)하는 단계; 및
    (c)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현상기의 현상롤러 및 닥터 블레이드의 바이어스 전원을 오프(OFF)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현상롤러 및 닥터 블레이드의 바이어스 전원 만을 함께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바이어스 전원의 단속방법.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b) 및 (c)단계는,
    상기 현상롤러에 공급되는 현상 바이어스 전원의 온-오프(ON-OFF) 회로를 단속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바이어스 전원의 단속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회로는,
    스위치를 사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바이어스 전원의 단속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b) 및 (c)단계는,
    기계적 수단을 사용하여 현상 바이어스 전원을 온-오프(ON-OFF)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바이어스 전원의 단속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수단은,
    상기 각 현상기에 대응되게 마련되어 상기 현상기의 회전을 단속하는 전자클러치;
    상기 전자클러치에 연결된 상기 현상기 내의 회전기어들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감속기어 어셈블리; 및
    상기 감속기에 연결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현상기의 현상롤러의 현상 바이어스 전원을 단속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바이어스 전원의 단속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바이어스 단속수단은,
    원통 드럼;
    상기 원통 드럼의 원주방향에서 그 일부가 개방된 도선; 및
    상기 도선에 대응되도록 하나의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도선과의 접촉으로 통전되는 단자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바이어스 전원의 단속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어 어셈블리는,
    기어비가 다른 기어들의 어셈블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바이어스 전원의 단속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어 어셈블리는, 전달된 회전을 소정 비율로 감속하여 상기 원통드럼을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바이어스 전원의 단속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들은,
    그 하나는 상기 현상롤러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고압전원공급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바이어스 전원의 단속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로부터 상기 도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도선과 회전접촉되는 리드선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바이어스 전원의 단속방법.
KR10-2002-0032526A 2002-06-11 2002-06-11 현상 바이어스 전원의 단속방법 KR100449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2526A KR100449728B1 (ko) 2002-06-11 2002-06-11 현상 바이어스 전원의 단속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2526A KR100449728B1 (ko) 2002-06-11 2002-06-11 현상 바이어스 전원의 단속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5024A KR20030095024A (ko) 2003-12-18
KR100449728B1 true KR100449728B1 (ko) 2004-09-22

Family

ID=32386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2526A KR100449728B1 (ko) 2002-06-11 2002-06-11 현상 바이어스 전원의 단속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97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86213B (zh) * 2010-12-09 2012-07-25 珠海艾派克微电子有限公司 一种用于成像装置的显影剂容量检测单元及成像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1619A (ja) * 1992-07-29 1994-02-25 Mita Ind Co Ltd 現像装置
JPH06274018A (ja) * 1993-03-18 1994-09-30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H0756433A (ja) * 1993-08-16 1995-03-03 Sanyo Electric Co Ltd 現像装置
JPH0954496A (ja) * 1995-08-11 1997-02-25 Canon Inc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1184834A (ja) * 1997-09-04 1999-03-30 Sharp Corp 一成分トナーの現像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1619A (ja) * 1992-07-29 1994-02-25 Mita Ind Co Ltd 現像装置
JPH06274018A (ja) * 1993-03-18 1994-09-30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H0756433A (ja) * 1993-08-16 1995-03-03 Sanyo Electric Co Ltd 現像装置
JPH0954496A (ja) * 1995-08-11 1997-02-25 Canon Inc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1184834A (ja) * 1997-09-04 1999-03-30 Sharp Corp 一成分トナーの現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5024A (ko) 200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4247A (ja) 感光体の表面電位制御装置
JPH02144565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KR20060082612A (ko) 현상기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0449728B1 (ko) 현상 바이어스 전원의 단속방법
KR100449727B1 (ko) 현상 바이어스 전원의 단속장치
JP3601514B2 (ja) 画像形成装置
US7266321B2 (en) Apparatus for supplying voltage to developing device
US4764790A (en) Method for cleaning photoreceptor of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9265322A (ja) 画像形成装置
JPH08248862A (ja) 画像形成装置
US5548377A (en) Method of controlling an image forming apparatus when an emergency stop signal is generated
JPH1024003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1305871A (ja) 画像形成装置
JPH0854768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H05289426A (ja) 電子写真装置の感光体ユニット
US2020009691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0098758A (ja) 画像形成装置
US20040005172A1 (en)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2091130A (ja) 画像形成装置
KR100580220B1 (ko) 화상형성장치의 회전력 단속 장치
JPH03192284A (ja) 画像形成装置
KR20040000514A (ko)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화상형성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화상형성방법
JPH04355471A (ja) 多色画像形成装置
JPH03214182A (ja) 画像形成装置
JPH11237780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