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8422B1 - 다공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공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8422B1
KR100448422B1 KR10-2001-7010467A KR20017010467A KR100448422B1 KR 100448422 B1 KR100448422 B1 KR 100448422B1 KR 20017010467 A KR20017010467 A KR 20017010467A KR 100448422 B1 KR100448422 B1 KR 100448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orous film
film
density polyethylene
polyolefin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0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2226A (ko
Inventor
야노시게루
왕민디아우
이치카와타로
Original Assignee
미쯔이카가쿠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이카가쿠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미쯔이카가쿠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102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2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4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21/00Synthetic resins or natural rubbers -- part of the class 520 series
    • Y10S521/908Nucleating agent for cellular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78Voids specified as micro
    • Y10T428/249979Specified thickness of void-containing component [absolute or relative] or numerical cell dimen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86Void-containing component contains also a solid fiber or solid partic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우수한 투습도, 유연성 및 내삼출성을 지닌 다공성 필름 및 해당 특성을 지닌 다공성 필름을 고속으로 필름성형 및 연신할 수 있는 제조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폴리올레핀계 수지 25 내지 55중량% 및 무기충전재 75 내지 45중량%를 함유하는 조성물로부터 성형된 다공성 필름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98 내지 70중량% 및 분기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2 내지 30중량%를 함유하고, 또, 상기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서 액상의 에틸렌-α-올레핀올리고머 0.5 내지 5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공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POROUS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이제까지 폴리올레핀수지에 무기충전재와 각종 오일류 및 왁스류를 첨가한 필름을 적어도 1방향으로 연신해서, 무기충전재와 폴리올레핀사이의 계면박리에 의한 틈새를 형성시켜 다공성 필름을 제조하는 각종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 방법에 의해 얻어진 다공성 필름은 내부에 많은 미소한 틈새, 즉, 간극을 지니고 있으므로, 이들은, 높은 투습도를 지니면서 액체의 침투를 허용하지 않는다. 이들은, 상기 특성을 활용해서, 1회용 종이기저귀 등의 위생재료, 방수시트 등의 건축재료, 반사막, 전기셀분리기를 포함한 넓은 영역에 있어서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다량의 무기충전재를 함유하는 이러한 필름은, 고속에서의 필름성형 및 연신이 곤란하다는 점에서 제조 및 연신시의 결점을 내포하고 있다. 즉, 무기충전재가 편입되므로, 드로다운성(draw down)이 나빠져, 고속 필름성형 및 연신시필름의 파손이나 파괴, 핀홀의 발생을 일으켜 생산성의 향상을 저해한다. 이러한 경향은, 필름의 두께가 감소될 경우 현저해져, 고속에서의 필름성형 및 연신에 의해 균일한 필름을 제조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 상기 다공성 필름을 1회용 기저귀용 재료로서 사용할 경우, 소변 등을 침투시키지 않고 수분만을 침투시킬 수 있는 성능이 요구되어 왔다. 1회용 기저귀에 사용된 흡수성 폴리머에 따라, 흡수된 소변에 미량의 계면활성제가 용해될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 소변이 다공성 필름으로부터 스며나와 버리는 경향이 있다.
상기 문제점중에서, 일본국 특허공보 제 1993-35734호에는, 두께의 균일성 및 고속에서의 연신/성형성을 개량하기 위해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무기충전재로 이루어진 수지조성물에 제 3의 성분으로서 피마자유를 첨가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 의하면 균일한 두께 및 고속에서의 연신성/성형성을 어느 정도 향상시킬 수는 있지만, 필름으로부터의 삼출성의 점에서 여전히 문제점이 남아 있다. 또, 일본국 특허 공보 제 1994-99581호에는, 제 3성분으로서 탄화수소계 폴리머와 폴리에스테르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다공성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 제안된 다공성 필름은 바람직한 균일한 두께 및 유연성을 지니지만, 필름의 내삼출성에 있어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일본국 특허 공보 제 1987-15090호에는, 제 3성분으로서 액상 또는 왁스상의 탄화수소계 폴리머를 함유하는 다공성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 하지만, 이 다공성 필름은 내삼출성은 개선되나, 두께의 균일성 및 유연성에 있어서 여전히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다공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투습성, 유연성 및 내삼출성(exudation resistance)이 우수한 다공성 필름에 관한 것이며, 또한, 상기 특성을 지닌 다공성 필름을 고속으로 성형해서 연신할 수 있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에 비추어, 투습성, 유연성 및 내삼출성이 우수한 다공성 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으며, 또한, 상기 특성을 지닌 다공성 필름을 고속으로 필름성형해서 연신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한 결과, 폴리올레핀계 수지 25 내지 55중량% 및 무기충전재 75 내지 45중량%를 함유하는 조성물로부터 성형된 필름을 적어도 기계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다공성 필름을 제조할 때,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98 내지 70중량% 및 분기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2 내지 30중량%를 함유하는 수지를 이용하고, 또, 상기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서 액상의 에틸렌-α-올레핀올리고머 0.5 내지 5중량부를 첨가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25 내지 55중량% 및 무기충전재 75 내지 45중량%를 함유하는 조성물로부터 성형된 다공성 필름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98 내지 70중량% 및 분기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2 내지 30중량%를 함유하고, 또, 상기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서 액상의 에틸렌-α-올레핀올리고머 0.5 내지 5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α-올레핀올리고머의 40℃에서의 운동점도는 50 내지 100,000㎟/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의한 다공성 필름의 바람직한 특징으로서, 하기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1) 상기 다공성 필름의 투습도가 1500 내지 4000g/㎡·24시간인 것,
(2) 상기 다공성 필름의 두께의 균일성이 0.15이하인 것,
(3) 상기 다공성 필름의 두께(TH: ㎛)에 대한 강성(ST: ㎜)의 비(ST/TH)가 1.3 내지 2.2인 것,
(4) 상기 다공성 필름의 두께(TH: ㎛)에 대한 삼출개시시간(TS: 분)의 비(TS/TH)가 0.2이상이고, 상기 두께(TH: ㎛)에 대한 삼출종료시간(TE: 분)의 비(TE/TH)가 0.4이상인 것 및
(5) 상기 다공성 필름의 두께가 10 내지 300㎛인 것.
본원의 또다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다공성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25 내지 55중량% 및 무기충전재 75 내지 45중량%를 함유하는 조성물로부터 필름을 성형하고,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필름을 적어도 기계방향으로 연신해서 다공성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98 내지 70중량% 및 분기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2 내지 30중량%를 함유하는 수지를 이용하고, 상기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서 액상의 에틸렌-α-올레핀올리고머 0.5 내지 5중량부를 첨가하고, 상기 기계방향으로 연신할 때 해당 필름을 적어도 100m/분의 선속도로 연신하면서 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기계방향에서의 연신율은 1.2배이상인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다공성 필름은, 투습성, 유연성 및 내삼출성이 우수하다. 또, 본 발명의 다공성 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상기 특징을 지닌 다공성 필름을 적어도 100m/분의 고속에서 감아올림으로써 상기 특징을 지닌 다공성 필름을 양호한 생산성으로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공성 필름은, 1회용 종이기저귀용의 위생재료, 방수시트 등의 건축재료, 반사막재료, 전기셀분리기용 재료 등의 재료로서 매우 유용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삼출개시시간 및 삼출종료시간이란, 하기 특정 예에서 기재한 방법에 의해 측정된 값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예의 설명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공성 필름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무기충전재와 액상의 에틸렌-α-올레핀올리고머를 각각 특정량 첨가해서 얻어진 수지조성물을 필름으로 성형하고,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필름을 적어도 기계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제조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98 내지 70중량% 및 분기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2 내지 30중량%를 함유하는 수지이다.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서는, 밀도가 0.910 내지 0.940g/㎤, 멜트인덱스(melt index)가 0.1 내지 20.0g/㎤인 것을 사용한다. 분기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서는, 밀도가 0.910 내지 0.940g/㎤이고, 멜트인덱스가 0.1 내지 20.0g/㎤인 것을사용한다. 분기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함유량이 2중량%미만이면, 필름두께의 균일성이 악화되고, 또, 분기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함유량이 30중량%를 초과하면, 안정한 고속 필름성형이 곤란해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내의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분기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에 대해서,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밀도 및 멜트인덱스가 상기 범위밖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분기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다른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혼합해도 된다. 상기 다른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혼합비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분기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전체량에 의거해서 50중량%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지글러촉매 등의 다측면 촉매를 이용해서 제조된 수지어도 되고, 메탈로센촉매 등의 단일부위 촉매를 이용해서 제조된 수지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울트젝스 UZ2021L, 울트젝스 UZ2520F, 에볼류 SP1540, 에볼류 SP2040(미쯔이 카가쿠사 제품의 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분기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시판품으로서는, 미라손 F967, 미라손 102(미쯔이 카가쿠사 제품의 상품명), J-REX LD-L211(닛뽄 폴리올레핀사 제품의 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무기충전재로서는, 예를 들면, 탄산칼슘, 황산바륨, 황산칼슘, 탄산바륨,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산화티탄, 실리카, 탤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탄산칼슘, 황산바륨이 바람직하다. 무기충전재의 평균입자크기는 바람직하게는 20㎛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이다. 또, 폴리올레핀계 수지와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표면처리된 무기충전재가 바람직하다. 이 때의 표면처리제로서는, 무기충전재의 표면을 피복함으로써, 그 표면을 소수성화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스테아르산 또는 라우르산 등의 고급지방산 혹은 이들의 금속염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무기충전재간의 배합비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25 내지 55중량%, 무기충전재 75 내지 45중량%이다. 바람직한 범위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30 내지 50중량%, 무기충전재는 70 내지 50중량%이다. 무기충전재의 함유량이 45중량%미만이면,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무기충전재사이의 계면에서 박리에 의해 형성된 상호 인접한 틈새를 통해서 연통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또, 상기 충전재의 함유량이 75중량%를 초과하면, 연신시의 필름의 신장이 불충분해져서 연신이 곤란해진다.
본 발명에 의한 다공성 필름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25 내지 55중량% 및 무기충전재 75 내지 45중량%를 함유하는 조성물로부터 성형된 필름을 적어도 기계방향으로 연신함으로서 제조된다. 또, 상기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서 액상의 에틸렌-α-올레핀올리고머 0.5 내지 5중량부를 첨가하는 데 특징이 있다.
상기 액상의 에틸렌-α-올레핀올리고머는, 에틸렌과 α-올레핀과의 공중합에 의해 형성된다. 40℃에서의 운동점도(JIS K-2283)가 50 내지 100,000㎟/초인 액상의 에틸렌-α-올레핀올리고머가 바람직하다.
또, 말레산기 등의 극성기를 도입해서 산으로 변성한 에틸렌-α-올레핀공중합체도 사용가능하다. 시판품의 예로서는, 루칸트 HC150, HC600, A5515(미쯔이 카가쿠사 제품의 상품명)를 들 수 있다.
액상의 에틸렌-α-올레핀올리고머의 첨가량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무기충전재간의 분산성, 필름성형성, 연신성 및 유연성에 영향을 미친다. 에틸렌-α-올레핀올리고머의 첨가량이 불충분하면,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무기충전재간의 분산성이 불충분하여, 얻어진 필름의 유연성이 부족하여, 균일하게 연신된 필름을 얻는 것이 곤란하다. 이에 대해서, 과잉으로 첨가되면, 공기투과성이 악화된다. 상기의 점에 비추어, 액상의 에틸렌-α-올레핀올리고머의 첨가량에 대해서는, 상기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통상의 수지조성물에 사용되는 기타 첨가제를 배합해도 된다. 이러한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방지제, 열안정화제, 광안정화제, 자외선흡수제, 중화제, 윤활제, 흐림방지제, 블로킹방지제, 대전방지제, 미끄럼제, 착색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다공성 필름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제조한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무기충전제와 액상의 에틸렌-α-올레핀올리고머, 그리고, 필요에 따라, 기타 첨가제와 혼합한 후, 이들을 헨셸믹서, 수퍼믹서 또는 텀블러형 믹서 등의 믹서를 사용해서 혼합하고, 통상의 단축 또는 2축압출기에 의해 펠릿형상으로 반죽한다. 다음에, 이 펠릿을 용융시켜, 적어도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융점인 온도,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융점보다도 +20℃이지만 그 분해온도보다는 낮은 온도에서, T-다이가 장착된 압출성형기, 원형다이가 장착된 팽창성형기 등의 공지의 성형기를 이용해서, 필름으로 성형한다. 경우에 따라, 상기 조성물을 펠릿으로 하지 않고, 직접 성형기에서 필름으로 성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성형된 필름을, 실온 내지 수지의 연화점(JIS K-6760에 따른 방법에 의해 측정된 값)사이의 온도범위내에서, 적어도 기계방향으로 적어도 1.2배 연신한다. 연신은, 1단계로 해도 되고, 다단계로 나누어서 행해도 된다. 연신율이 1.2배 미만이면, 다공성 필름의 투습도가 낮아져 투습성이 악화된다. 또, 기계방향(길이방향)과 이에 수직인 방향(가로방향)의 양방향으로 2축연신해도 된다. 연신시의 필름의 파손의 점에서, 연신율의 상한치는 약 10배이다.
상기와 같이 해서 제조된 본 발명에 의한 다공성 필름의 주특성을 이하에 표시한다.
투습도: 1500 내지 4000g/㎡·24시간. 두께: 10 내지 300㎛. 두께의 균일성: 0.15이하. 두께(TH: ㎛)에 대한 강성(ST: ㎜)의 비(ST/TH): 1.3 내지 2.2. 두께(TH: ㎛)에 대한 삼출개시시간(TS: 분)의 비(TS/TH): 0.2이상. 두께(TH: ㎛)에 대한 삼출종료시간(TE: 분)의 비(TE/TH): 0.4이상.
본 발명을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투습도, 계면활성제의 수용액의 삼출개시시간 및 삼출종료시간, 강성 및 필름두께의 균일성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한 값이다.
(1) 투습도(g/㎡·24시간)
40㎛두께의 다공성 필름으로부터 견본(10㎝×10㎝) 10매를 채취하여, 순수법을 이용해서, 온도 40℃, 상대습도 60%의 조건하에 ASTM E-96에 규정된 방법에 따라 측정된 값의 평균치를 산출한다. 측정시간은 24시간이다. 측정초기단계에서의 견본과 수면과의 거리는 8㎜이다.
(2) 계면활성제의 수용액의 삼출개시시간(분) 및 삼출종료시간(분)
두께 25㎛의 다공성 필름의 견본을 준비하고, 삼출촉진용액으로서 계면활성제용액(리케말 B-207(리켄 비타민사 제품의 상품명) 0.005중량%의 수용액)을 사용한다. 상기 견본 필름을 유리판위에 놓고, 그 위에 직경 5㎝, 높이 3㎝의 고리를 설치한다. 주사기를 이용해서 상기 링내의 견본에 대해 상기 용액 10㎖를 적하하여 유리판에 대한 삼출상태를 유리판아래쪽에서 관찰하였다. 직경 약 0.5㎜의 불투명한 핀포인트부가 직경 5㎝내에 나타나는 그 순간을 삼출개시시간으로 정의하고, 불투명한 부분이 직경 5㎝의 원의 전면에 걸쳐 퍼진 그 순간을 삼출종료시간으로 정의한다. 삼출개시시간과 삼출종료시간의 양자에 대해서, 삼출성이 개선된 견본은 보다 긴 값을 나타낸다. 시험은 25℃의 실온에서 행한다.
(3) 강성(㎜)
JIS L-1096에 규정된 방법(cantilever method)에 의해 강성을 측정한다.
<견본의 제작> 25㎜의 접자 둘레에, 폭 200㎜, 길이 300㎜ 및 두께 40㎛의 필름을 감은 후, 그 접자를 떨어뜨린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평판형의 감긴 제품(폭 25㎜, 길이 300㎜)을 1kg중량의 롤러에 의해 1왕복스트로크로 가압해서 견본을 제작하였다.
(4) 필름두께의 균일성
두께 40㎛[기계방향으로 101㎝, 기계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5㎝]의 다공성 필름으로부터 견본 3매를 채취하여, 두께측정계(피코크사 제품, 업라이트다이얼게이지 25호)를 이용해서, 길이방향 1㎝거리 또는 간격으로 각각 총 300개의 측정점에서 그 두께를 측정하여, 평균두께(X), 최대두께(MAX) 및 최소두께(MIN)를 산출하고, [(MAX)-(MIN)]/(X)를 계산해서, 필름두께의 균일성으로 정의하였다.
실시예 1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울트젝스 UZ2021L, 미쯔이 카가쿠사 제품의 상품명) 38중량부(폴리올레핀계 수지중 95중량%), 분기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미라손 F967, 미쯔이 카가쿠사 제품의 상품명) 2중량부(폴리올레핀계 수지중 5중량%), 탄산칼슘(SST-40, 도와칼파인사 제품의 상품명) 60중량부 및 에틸렌-α-올레핀올리고머로서의 루칸트 HC600(운동점도: 9850㎟/초, 미쯔이 카가쿠사 제품) 2중량부를 텀블러믹서에서 혼합한 후, 이들을 탠덤형 반죽압출기를 이용해서 230℃에서 균일하게 반죽하여 펠릿으로 제작하였다. 이 펠릿을 T-다이가 부착된 압출성형기를 이용해서 240℃에서 용융하여 필름으로 성형한 후, 이 필름을 70℃로 가열된 연신롤과 예열롤사이에서 연신율 2.0배, 선속도 200m/분으로 기계방향으로 단축연신하여 각각 두께 25㎛ 및 40㎛의 다공성 필름을 얻었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다공성 필름의 특성을 각각 상기한 바와 같이 측정하였다. 출발물질의 배합비는 표 1에, 얻어진 결과는 표 2에 각각 표시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사용한 루칸트 HC600 대신에, 루칸트 HC150(미쯔이 카가쿠사 제품, 운동점도: 2200㎟/초)을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다공성 필름을 얻었다. 출발물질의 배합비는 표 1에, 얻어진 결과는 표 2에 각각 표시하였다.
LL(중량부) 분기형상 LD(중량부) CaCO3(중량부) 올리고머(중량부)
실시예 1 A: 38 C: 2 60 E: 2
실시예 2 A: 38 C: 2 60 F: 2
실시예 3 B: 38 C: 2 60 E: 2
실시예 4 A: 38 C: 2 60 G: 2
실시예 5 A: 38 C: 2 60 E: 1
실시예 6 A: 38 C: 2 60 E: 4
실시예 7 A: 32 D: 8 60 E: 2
비교예 1 A: 38 C: 2 60 H: 2
비교예 2 A: 38 C: 2 60 E: 0.2
비교예 3 A: 38 C: 2 60 E: 8
비교예 4 A: 38 C: 2 60 -
비교예 5 A: 38 C: 2 60 I: 2
비교예 6 A: 38 C: 2 60 J: 2
비교예 7 A: 24 D: 16 60 E: 2
비교예 8 A: 40 - 60 E: 2
비교예 9 A: 40 - 60 E: 2H: 3
LL: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분기형상 LD: 분기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올리고머: 에틸렌-α-올레핀올리고머
A: 울트젝스 UZ2021L, 미쯔이 카가쿠사 제품의 상품명
B: 에볼류 SP1540, 미쯔이 카가쿠사 제품의 상품명
C: 미라손 F967, 미쯔이 카가쿠사 제품의 상품명
D: J-REX LD-L211, 닛뽄 폴리올레핀사 제품의 상품명
E: 루칸트 HC600, 미쯔이 카가쿠사 제품의 상품명
F: 루칸트 HC150, 미쯔이 카가쿠사 제품의 상품명
G: 루칸트 A5515, 미쯔이 카가쿠사 제품의 상품명
H: 정제 피마자유, 이토세이유사 제품의 상품명
I: 하이왁스 210P, 미쯔이 카가쿠사 제품의 상품명
J: 액상 파라핀, 카타야마 카가쿠사 제품의 상품명.
투습도(g/㎡·24시간) TS(분) TE(분) TS/TH(분/㎛) TE/TH(분/㎛) 강성(㎜) ST/TH(㎜/㎛) 두께의 균일성 전체평가
실시예 1 2400 22 41 0.88 1.64 71 1.8 0.07
실시예 2 2600 20 35 0.80 1.40 69 1.7 0.08
실시예 3 2200 18 37 0.72 1.48 70 1.8 0.10
실시예 4 2500 17 32 0.68 1.28 73 1.8 0.09
실시예 5 2500 24 45 0.96 1.80 75 1.9 0.10
실시예 6 2200 23 44 0.92 1.76 66 1.7 0.07
실시예 7 2000 13 20 0.52 0.80 64 1.6 0.06
TS: 삼출개시시간
TE: 삼출종료시간
TH: 필름두께
ST: 강성
실시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대신에,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에볼류 SP1540, 미쯔이 카가쿠사 제품의 상품명) 38중량부(폴리올레핀계 수지중 95중량%) 및 분기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미라손 F967, 미쯔이 카가쿠사 제품의 상품명) 2중량부(폴리올레핀계 수지중 5중량%)를 이용한 이외에는, 실시에 1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다공성 필름을 얻었다. 출발물질의 배합비는 표 1에, 얻어진 결과는 표 2에 각각 표시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사용한 루칸트 HC600 대신에, 루칸트 A5515(미쯔이 카가쿠사 제품, 운동점도: 14600㎟/초)를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다공성 필름을 얻었다. 출발물질의 배합비는 표 1에, 얻어진 결과는 표 2에 각각 표시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루칸트 HC600의 첨가량을 1중량부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다공성 필름을 얻었다. 출발물질의 배합비는 표 1에, 얻어진 결과는 표 2에 각각 표시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루칸트 HC600의 첨가량을 4중량부로 변경한 이외에는,실시예 1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다공성 필름을 얻었다. 출발물질의 배합비는 표 1에, 얻어진 결과는 표 2에 각각 표시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대신에,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울트젝스 UZ2021L, 미쯔이 카가쿠사 제품의 상품명) 32중량부(폴리올레핀계 수지중 80중량%) 및 분기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J-REX LD L211, 닛뽄폴리올레핀사 제품의 상품명) 8중량부(폴리올레핀계 수지중 20중량%)를 이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다공성 필름을 얻었다. 출발물질의 배합비는 표 1에, 얻어진 결과는 표 2에 각각 표시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사용한 루칸트 HC600 대신에, 피마자유(정제 피마자유, 이토세이유사 제품의 상품명)를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다공성 필름을 얻었다. 출발물질의 배합비는 표 1에, 얻어진 결과는 표 3에 각각 표시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루칸트 HC600의 첨가량을 0.2중량부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다공성 필름을 얻었다. 출발물질의 배합비는 표 1에, 얻어진 결과는 표 3에 각각 표시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루칸트 HC600의 첨가량을 8중량부로 변경한 이외에는,실시예 1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다공성 필름을 얻었다. 출발물질의 배합비는 표 1에, 얻어진 결과는 표 3에 각각 표시하였다.
비교예 4
루칸트 HC600을 첨가하지 않은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다공성 필름을 얻었다. 출발물질의 배합비는 표 1에, 얻어진 결과는 표 3에 각각 표시하였다.
비교예 5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루칸트 HC600대신에, PE왁스(하이왁스 210P, 미쯔이카가쿠사 제품의 상품명)를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다공성 필름을 얻었다. 출발물질의 배합비는 표 1에, 얻어진 결과는 표 3에 각각 표시하였다.
투습도(g/㎡·24시간) TS(분) TE(분) TS/TH(분/㎛) TE/TH(분/㎛) 강성(㎜) ST/TH(㎜/㎛) 두께의 균일성 전체평가
비교예 1 2400 4 8 0.16 0.32 72 1.8 0.09 ×
비교예 2 2600 25 47 1.0 1.9 90 2.3 0.16 ×
비교예 3 1400 15 30 0.60 1.2 60 1.5 0.08 ×
비교예 4 2600 27 53 1.1 2.1 99 2.5 0.18 ×
비교예 5 2500 23 43 0.92 1.7 93 2.3 0.17 ×
비교예 6 2300 19 40 0.76 1.6 71 1.8 0.16 ×
비교예 7 ×
비교예 8 2200 19 39 0.76 1.6 70 1.8 0.20 ×
비교예 9 2000 3 7 0.12 0.28 64 1.6 0.10 ×
TS: 삼출개시시간
TE: 삼출종료시간
TH: 필름두께
ST: 강성
비교예 6
실시예 1에서 사용한 루칸트 HC600 대신에, 액상 파라핀(카타야마카가쿠사 제품)을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다공성 필름을 얻었다. 출발물질의 배합비는 표 1에, 얻어진 결과는 표 3에 각각 표시하였다.
비교예 7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대신에,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울트젝스 UZ2021L, 미쯔이 카가쿠사 제품의 상품명) 24중량부(폴리올레핀계 수지중 60중량%) 및 분기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J-REX LD L211, 닛뽄폴리올레핀사 제품의 상품명) 16중량부(폴리올레핀계 수지중 40중량%)를 이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다공성 필름을 얻었다. 출발물질의 배합비는 표 1에, 얻어진 결과는 표 3에 각각 표시하였다.
비교예 8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대신에,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울트젝스 UZ2021L, 미쯔이 카가쿠사 제품의 상품명) 40중량부(폴리올레핀계 수지중 100중량%)를 이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다공성 필름을 얻었다. 출발물질의 배합비는 표 1에, 얻어진 결과는 표 3에 각각 표시하였다.
비교예 9
실시예 1의 조성물에 피마자유 3중량부를 첨가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다공성 필름을 얻었다. 출발물질의 배합비는 표 1에, 얻어진 결과는 표 3에 각각 표시하였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다공성 필름은, 투습성, 유연성 및 내삼출성이 우수하다. 또, 본 발명의 다공성 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상기 특징을 지닌 다공성 필름을 적어도 100m/분의 고속에서 감아올림으로써 상기 특징을 지닌 다공성 필름을 양호한 생산성으로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공성 필름은, 1회용 종이기저귀용의 위생재료, 방수시트 등의 건축재료, 반사막재료, 전기셀분리기용 재료 등의 재료로서 매우 유용하다.

Claims (9)

  1. 폴리올레핀계 수지 25 내지 55중량% 및 무기충전재 75 내지 45중량%를 함유하는 조성물로부터 성형된 다공성 필름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98 내지 70중량% 및 분기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2 내지 30중량%를 함유하고, 또, 상기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서 액상의 에틸렌-α-올레핀올리고머 0.5 내지 5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필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α-올레핀올리고머의 40℃에서의 운동점도가 50 내지 100,000㎟/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필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필름의 투습도가 1500 내지 4000g/㎡·24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필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필름의 두께의 균일성이 0.06 내지 0.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필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필름의 두께(TH: ㎛)에 대한 강성(ST: ㎜)의비(ST/TH)가 1.3 내지 2.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필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필름의 두께(TH: ㎛)에 대한 삼출개시시간(TS: 분)의 비(TS/TH)가 0.2이상이고, 상기 두께(TH: ㎛)에 대한 삼출종료시간(TE: 분)의 비(TE/TH)가 0.4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필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필름의 두께가 10 내지 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필름.
  8. 폴리올레핀계 수지 25 내지 55중량% 및 무기충전재 75 내지 45중량%를 함유하는 조성물로부터 필름을 성형하고,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필름을 적어도 기계방향으로 연신해서 제 1항 내지 제 7항 기재의 다공성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98 내지 70중량% 및 분기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2 내지 30중량%를 함유하는 수지를 이용하고, 상기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서 액상의 에틸렌-α-올레핀올리고머 0.5 내지 5중량부를 첨가하고, 상기 기계방향으로 연신할 때 해당 필름을 적어도 100m/분의 선속도로 연신하면서 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필름.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기계방향에서의 연신율이 1.2배 내지 10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필름의 제조방법.
KR10-2001-7010467A 1999-12-22 2000-12-18 다공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4484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363790 1999-12-22
JP36379099 1999-12-22
PCT/JP2000/008954 WO2001046302A1 (fr) 1999-12-22 2000-12-18 Film poreux et son procede de produ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2226A KR20010102226A (ko) 2001-11-15
KR100448422B1 true KR100448422B1 (ko) 2004-09-13

Family

ID=18480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0467A KR100448422B1 (ko) 1999-12-22 2000-12-18 다공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53566B2 (ko)
EP (1) EP1156076B1 (ko)
KR (1) KR100448422B1 (ko)
CN (1) CN1149252C (ko)
DE (1) DE60035027T2 (ko)
WO (1) WO20010463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37158B1 (en) * 2002-10-30 2004-05-18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Porous polymeric membrane toughened composites
CN100436528C (zh) * 2003-10-02 2008-11-26 株式会社德山 高速延伸制膜用乙烯系聚合物组成物以及多孔质薄膜的制造方法
KR100800284B1 (ko) * 2006-07-06 2008-02-04 (주)대명화학 핀홀감소 및 향기가 오래도록 지속되는 통기성 필름
WO2008146758A1 (ja) * 2007-05-24 2008-12-04 Nitto Denko Corporation 多孔質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多孔質フィルム、並びに非水電解質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これを用いた非水電解質電池
CA2862245C (en) * 2011-12-28 2016-10-25 Prime Polymer Co., Ltd. Ethylene polymer composition and shaped article of the same
CN105008439B (zh) * 2013-02-20 2018-01-09 普瑞曼聚合物株式会社 双轴拉伸膜和乙烯系聚合物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5090A (ja) 1985-07-12 1987-01-23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ロボツトによる洗浄等の方法
JPS62151429A (ja) * 1985-12-26 1987-07-06 Nippon Petrochem Co Ltd 多孔質フイルムまたはシ−トの製法
JPH0768393B2 (ja) * 1986-05-28 1995-07-26 花王株式会社 多孔性フィルム
JPH0662795B2 (ja) 1986-05-28 1994-08-17 花王株式会社 多孔性フイルム
KR0147284B1 (ko) * 1989-01-27 1998-08-17 스즈끼 세이지 다공성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JPH0535734A (ja) 1991-07-29 1993-02-12 Sharp Corp 情報処理装置
JPH0699581A (ja) 1992-09-21 1994-04-12 Seiko Epson Corp ノズルプレートの製造方法
GB2283758A (en) * 1993-11-11 1995-05-17 Nsk Ltd Rust preventive lubricating oil
JPH11500171A (ja) * 1995-02-16 1999-01-06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可塑化ポリ塩化ビニルに対する改良された接着性を有する感圧接着剤を含んでなる製品
US5945210A (en) * 1995-12-13 1999-08-31 Mitsui Chemicals, Inc. Porous film and preparation process thereof
JP3285501B2 (ja) * 1996-10-25 2002-05-27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
JP4054120B2 (ja) 1997-09-29 2008-02-27 三井化学株式会社 多孔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153566B2 (en) 2006-12-26
EP1156076A4 (en) 2005-03-02
EP1156076A1 (en) 2001-11-21
US20020192455A1 (en) 2002-12-19
WO2001046302A1 (fr) 2001-06-28
DE60035027D1 (de) 2007-07-12
KR20010102226A (ko) 2001-11-15
CN1149252C (zh) 2004-05-12
EP1156076B1 (en) 2007-05-30
CN1341138A (zh) 2002-03-20
DE60035027T2 (de) 2008-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15521A (en) Porous film
US6596814B2 (en) Polypropylene film having good drawability in a wide temperature range and film properties
DE69832866T2 (de) Hochdichte polyethylenfilme mit verbesserter sperrfähigkeit
EP0168923B1 (en) Process for producing stretched article of ultrahigh-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DE602004001197T2 (de) Umverpackungsschrumpffolie
US6703439B2 (en)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and polyolefin film prepared from the same
EP0283200A2 (en) Breathable films prepared from melt embossed polyolefin/filler precursor films
JPH0416330B2 (ko)
JPH0362738B2 (ko)
DE112004001741B4 (de) Gestreckte Folie
KR100448422B1 (ko) 다공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US5853638A (en) Process for producing stretched porous film
JPS648083B2 (ko)
JPH10292059A (ja) 通気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0435942B1 (ko) 폴리프로필렌계 미연신 성형체
JP4540858B2 (ja) 多孔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ITMI952331A1 (it) Film multistrato estensibili
JPS60189420A (ja) 超高分子量ポリエチレンの延伸物の製造方法
JP2003012842A (ja) 微多孔フィルム
KR100220892B1 (ko) 캘린더가 가능한 폴리프로필렌계 필름 및 시이트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1240690A (ja) 多孔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294717A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及び該組成物から得られるポリオレフィンフィルム
KR100197902B1 (ko) 통기성 필름용 컴파운드 조성물
JPH036246B2 (ko)
JP2859356B2 (ja) 多孔性フイ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