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8238B1 -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8238B1
KR100448238B1 KR1019970029064A KR19970029064A KR100448238B1 KR 100448238 B1 KR100448238 B1 KR 100448238B1 KR 1019970029064 A KR1019970029064 A KR 1019970029064A KR 19970029064 A KR19970029064 A KR 19970029064A KR 100448238 B1 KR100448238 B1 KR 100448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on film
forming
film
doped polycrystalline
polycrystalline sil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9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4904A (ko
Inventor
홍병섭
정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19970029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8238B1/ko
Publication of KR19990004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4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40Capacitors
    • H01L28/60Electrodes
    • H01L28/82Electrodes with an enlarged surface, e.g. formed by texturisation
    • H01L28/84Electrodes with an enlarged surface, e.g. formed by texturisation being a rough surface, e.g. using hemispherical gr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반도체 장치 제조 분야
2.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다결정 실리콘막 내의 불순물이 기판의 접합 영역으로 확산됨으로써 발생하는 접합 누설 전류 발생을 막고 정전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콘택홀을 통하여 기판 접합 영역에 접촉하는 실리콘막을 하부의 비도핑 실리콘막과 상부의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막으로 이루어지는 이중 구조로 형성하여 불순물이 접합 영역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열공정으로 하부 실리콘막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그 상부에 형성되는 도핑 다결정 실리콘막의 표면에도 요철이 형성되도록 하여 정전 용량을 향상시킨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반도체 제조 공정에 이용됨

Description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합 누설 전류를 감소시키고 정전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램 소자의 비트 라인(bit line), 캐패시터의 전하 저장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막은 콘택홀을 통하여 반도체 기판과 접촉되는데 후속 열처리 과정에서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막 내의 불순물이 접합으로 빠져나와 접합 누설 전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비트 라인 및 전하 저장 전극 형성 방법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 등을 포함한 소정의 하부층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1) 상에 절연막(12)을 형성하고 식각하여 비트 라인을 형성하기 위한 콘택홀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콘택홀 측벽에 절연막(13)을 형성하고 콘택홀 바닥의 자연 산화막을 제거한 후, 콘택홀 내에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막(14)과 텅스텐 실리사이드막(15)을 증착하고 패터닝하여 비트 라인을 완성한다.
다음으로, 비트 라인과 전하 저장 전극을 절연하기 위하여 전체 구조 상부에 절연막(16)을 형성하고 식각하여 전하 저장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콘택홀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비트 라인과 전하 저장 전극 사이의 충분한 절연을 위해 상기 콘택홀의 측벽에 절연막(17)을 형성하고, 콘택홀의 바닥 부분에 생성된 자연 산화막을 제거하기 위해 NH4OH와 HF가 혼합된 용액을 이용한 습식 식각을 한다.
다음으로, 약 550℃ 온도, N2 분위기의 저압화학기상증착(LPCVD, 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챔버(chamber)로 기판을 이동하고 약 580 ℃ 온도, 0.5 Torr의 압력 조건에서 SiH4 가스를 2000cc, PH3가스를 135cc 흘려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막(18)을 1000Å 증착한다. 이어서, 산화막(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한 후 산화막과 상기 다결정 실리콘막(18)을 패터닝하여 전하 저장 전극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실린더형 캐패시터 측벽의 접착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NH4OH과 HF 혼합 용액으로 습식 식각을 하고, 약 550℃ 온도, N2 분위기에서 저압화학기상증착 챔버로 기판을 이동하고 약 580 ℃ 온도에서 SiH4 가스를 2000cc, PH3 가스를 135cc 흘려 0.5 Torr의 압력 조건으로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막(19)을 1200Å 증착한다. 이어서, 상기 다결정 실리콘막(19)을 전면 식각하여 실리더 측벽을 형성하고 산화막을 제거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비트라인 및 전하 저장전극을 다결정 실리콘막을 증착하였을 경우 후속 열공정시 다결정 실리콘막 내의 불순물이 반도체 기판의 접합으로 이동하여 접합의 농도를 변화시킨다. 불순물이 하부층에 형성된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영역에 확산되어 드레인 영역의 농도를 변화시킴으로서 드레인과 게이트가 중첩되는 지역의 전기장을 상승시켜 게이트 유도 드레인 누설(gate induced drain leakage) 전류를 유발하여 디램 소자 등의 리프레쉬(Refresh) 특성을 열화시킨다. 또한, 전하 저장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다결정 실리콘의 경우 표면이 평탄하여 정전 용량의 증가에 한계가 있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접합 누설 전류를 억제하고 정전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하부층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 상에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막을 식각하여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콘택홀 내에 비정질 비도핑 실리콘막을 증착하는 단계; 상기 비정질 비도핑 실리콘막을 열처리하여 표면에 요철을 갖는 실리콘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막을 상기 실리콘막의 요철이 나타나는 두께로 상기 표면에 요철을 갖는 실리콘막 상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실리콘막을 같은 챔버에서 이중으로 형성하여 실리콘 기판과 접촉하는 실리콘막의 불순물 농도를 감소시켜 접합 특성 향상 및 게이트 유도 드레인 누설 전류를 감소시키며, 요철이 있는 실리콘막을 형성하여 정전 용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트 라인 및 전하 저장 전극 형성 방법을 설명한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 등을 포함한 소정의 하부층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21) 상에 절연막(22)을 형성하고 선택 식각하여 비트 라인을 형성하기 위한 콘택홀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콘택홀 측벽에 절연막(23)을 형성하고, 콘택홀 바닥의 자연산화막을 제거한다.
다음으로, 약 550℃ 온도, N2 분위기의 저압화학기상증착 챔버로 기판을 이동하고 SiH4, SiH2Cl2, Si2H2Cl2, Si2H6, SiHCl3, SiCl4, SiH3Cl 등의 가스를 600cc 흘려 550 ± 30 ℃ 온도, 0.01 내지 10 Torr의 압력에서 비정질의 비도핑 실리콘막(24)을 100 내지 500 Å 두께로 증착한다. 이어서, 미반응 가스를 펌프(pump)를 이용하여 강제로 빼내거나 N2 또는 Ar 등의 비활성 기체로 불어내어 비활성 기체를 0.01 내지 100 ℓ 정도 흘리면서 0.01 Torr 내지 10 Torr 정도의 진공 상태에서 분당 5 ± 5℃ 비율로 온도를 증가시켜 챔버내 온도가 약 580 ℃가 되도록한다. 상기 550 ± 30 ℃ 온도에서 비정질로 증착되었던 상기 실리콘막(24)은 다결정으로 변하면서 표면이 평탄하지 않고 요철이 발생한다. 이어서, 580 ± 30℃ 온도에서 SiH4, SiH2Cl2, Si2H2Cl2, Si2H6, SiHCl3, SiCl4, SiH3Cl 등의 가스를 2000cc, PH3 가스를 135cc 흘려 0.01 내지 10 Torr 압력에서 500 내지 1500 Å 두께의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막(25)을 상기 실리콘막(24) 상에 증착한다. 이때, 상기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막(25)의 두께는 하부의 실리콘막(24) 표면 요철이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막(25)의 표면에 나타나도록 결정된다. 이어서, 상기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막(25) 상에 텅스텐 실리사이드막(26)을 형성하고, 텅스텐 실리사이드막(26),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막(25), 비도핑 실리콘(24)을 패터닝하여 비트 라인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비트 라인과 전하 저장 전극을 절연하기 위하여 전체 구조 상부에 절연막(27)을 형성하고 식각하여 전하 저장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콘택홀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비트 라인과 전하 저장 전극 사이의 충분한 절연을 위해 상기 콘택홀의 측벽에 절연막(28)을 형성하고, 콘택홀의 바닥 부분에 생성된 자연산화막을 제거하기 위해 NH4OH와 HF가 혼합된 용액을 이용한 습식 식각을 한다.
다음으로, 약 550 ℃ 온도, N2 분위기의 저압화학기상증착 챔버로 기판을 이동하고 SiH4, SiH2Cl2, Si2H2Cl2, Si2H6, SiHCl3, SiCl4, SiH3Cl 등의 가스를 600 cc 흘려 550 ± 30 ℃ 온도, 0.5 Torr의 압력에서 비정질의 비도핑 실리콘막(29) 200 Å을 증착한다. 이어서, 미반응 가스를 펌프(pump)를 이용하여 강제로 빼내거나 N2 또는 Ar 등의 비활성 기체로 불어내어 비활성 기체를 0.01 내지 100 ℓ 정도 흘리면서 0.01 Torr 내지 10 Torr 정도의 진공 상태에서 분당 5 ± 5℃ 비율로 온도를 증가시켜 챔버내 온도가 약 580 ℃가 되도록한다. 상기 550 ± 30 ℃ 온도에서 증착된 비정질로 증착되었던 상기 실리콘막(29)은 다결정으로 변하면서 표면이 평탄하지 않고 요철이 발생한다. 이어서, 580 ± 30℃ 온도에서 SiH4, SiH2Cl2, Si2H2Cl2, Si2H6, SiHCl3, SiCl4, SiH3Cl 등의 가스를 2000 cc, PH3 가스를 135 cc 흘려 0.01내지 10 Torr 압력에서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막(30)을 상기 실리콘막(29) 상에 증착한다. 이때, 상기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막(30)의 두께는 하부의 실리콘막(29) 표면 요철이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막(30)의 표면에 나타나도록 결정된다.
다음으로, 실린더형 캐패시터 측벽의 접착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NH4OH과 HF 혼합 용액으로 습식 식각을 하고, 상기 실리콘막(24, 29) 증착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리콘막(31)을 200 Å 형성하고, 상기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막(25, 30) 증착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막(32)을 1000 Å 형성한 후 전면 식각하여 실린더 측벽을 형성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이중 구조의 실리콘막에서 하부 실리콘막의 불순물 농도가 상부 실리콘막보다 적고, 하부의 실리콘막의 결정립이 크기 때문에 후속 열공정시 상부층의 불순물이 실리콘 기판으로 확산되는 정도를 감소할수 있다. 따라서 접합 누설 전류를 감소할 수 있으며 소자 분리를 위한 필드 산화막 하부에 주입된 불순물과의 반응이 감소하여 필드 산화막 하부로 빠지는 누설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하 저장 전극과 게이트 사이의 중첩 마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실리콘막의 요철로 인한 표면적이 증대됨으로 캐패시터의 정전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서 소자의 리프레쉬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중 구조의 실리콘막을 인시튜(in-situ)로 진행할 수 있어 공정이 단순하다. 또한, 초기에 SiH4 가스만으로 실리콘막을 형성하기 때문에 종래 실리콘 기판과 PH3 가스의 반응에 의한 오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비트 라인 및 전하 저장 전극 형성 방법.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트 라인 및 전하 저장 전극 형성 방법.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1, 21: 반도체 기판
12, 13, 16, 17, 22, 23, 27, 28: 절연막
14, 18, 19, 25, 29, 31: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막
15, 26: 텅스텐 실리사이드막
24, 30: 실리콘막

Claims (16)

  1. 소정의 하부층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 상에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막을 식각하여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콘택홀 내에 비정질 비도핑 실리콘막을 증착하는 단계;
    상기 비정질 비도핑 실리콘막을 열처리하여 표면에 요철을 갖는 실리콘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막을 상기 실리콘막의 요철이 나타나는 두께로 상기 표면에 요철을 갖는 실리콘막 상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막을 형성한 후,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산화막,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막, 표면에 요철을 갖는 실리콘막을 패터닝하는 단계;
    상기 전체 구조 상에 비정질 실리콘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비정질 실리콘막을 열처리하여 표면에 요철을 갖는 실리콘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비정질 실리콘막 및 표면에 요철을 갖는 실리콘막을 전면 식각하여 측벽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산화막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 후,
    상기 콘택홀 측벽에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비도핑 실리콘막 및 상기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막을 저압화학기상증착법으로 형성하는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비도핑 실리콘막을 100 내지 500 Å 두께로 형성하는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비도핑 실리콘막을 SiH4, SiH2Cl2, Si2H2Cl2, Si2H6, SiHCl3, SiCl4, SiH3Cl 가스 중의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비도핑 실리콘막을 520 내지 580 ℃ 온도 및 0.01 내지 10 torr의 압력에서 형성하는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비도핑 실리콘막의 열처리 단계는 0.01 내지 10 torr 정도의 진공 상태에서 분당 10 ℃가 넘지 않는 비율로 온도를 증가시키는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9.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막을 500 내지 1500 Å 두께로 형성하는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막을 SiH4, SiH2Cl2, Si2H2Cl2, Si2H6, SiHCl3, SiCl4, SiH3Cl 가스 중의 어느 하나와 PH3 가스를 혼합한 가스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막을 550 내지 610 ℃ 온도, 0.01 내지 10 Torr 압력에서 형성하는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홀 측벽에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후,
    상기 콘택홀 바닥의 자연산화막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홀 바닥의 자연산화막을 제거하는 단계는 NH4OH와 HF가 혼합된 용액을 이용한 습식 식각으로 이루어지는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의 양은 600 cc 인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PH3 가스의 양은 135 cc이고 PH3 가스와 혼합되는 가스의 양은 2000 cc인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비도핑 실리콘막 및 상기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막을 동일 챔버에서 형성하는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KR1019970029064A 1997-06-30 1997-06-30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KR100448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9064A KR100448238B1 (ko) 1997-06-30 1997-06-30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9064A KR100448238B1 (ko) 1997-06-30 1997-06-30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904A KR19990004904A (ko) 1999-01-25
KR100448238B1 true KR100448238B1 (ko) 2005-06-07

Family

ID=37302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9064A KR100448238B1 (ko) 1997-06-30 1997-06-30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82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3378B1 (ko) * 1999-07-02 2005-12-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러그폴리를 이용한 반도체소자의 수직 배선 형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904A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3608A (en) Method of forming a DRAM stacked capacitor using an etch blocking film of silicon oxide
KR100363083B1 (ko) 반구형 그레인 커패시터 및 그 형성방법
US5888855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ctive matrix display
KR100567299B1 (ko)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게이트 구조 제조 방법
KR0131743B1 (ko) 디램셀의 저장전극 형성방법
JPH05315543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448238B1 (ko)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CN1237784A (zh) 用半球形晶粒制造电容的方法
US6455329B1 (en) Method for fabricating a capacitor in a semiconductor device
KR100361864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US9391133B2 (en) Capacito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0161394B1 (ko) 반도체장치의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100522420B1 (ko) 도핑효율을 증대시킨 엠피에스 구조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KR100256302B1 (ko) 반도체 기억소자의 제조 방법
JPH04209570A (ja) 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KR100494127B1 (ko) 반도체소자의 플러그 형성방법
KR960016220B1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970011670B1 (ko) 디램셀의 저장전극 형성방법
KR940011799B1 (ko) TiN층으로 된 전하저장전극 형성방법
KR100499406B1 (ko) 캐패시터 형성 방법
KR20030086835A (ko) 시스템 온 칩 소자의 제조방법
JPH04162628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000025917A (ko) 반도체소자의 콘택플러그 형성방법
KR19990059065A (ko) 반도체 소자의 박막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JPH07326759A (ja) 薄膜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