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1799B1 - TiN층으로 된 전하저장전극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TiN층으로 된 전하저장전극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1799B1
KR940011799B1 KR1019910023431A KR910023431A KR940011799B1 KR 940011799 B1 KR940011799 B1 KR 940011799B1 KR 1019910023431 A KR1019910023431 A KR 1019910023431A KR 910023431 A KR910023431 A KR 910023431A KR 940011799 B1 KR940011799 B1 KR 940011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electrode
charge storage
tin layer
electrode
polycrystalline sil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3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4974A (ko
Inventor
박영진
박헌섭
Original Assignee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filed Critical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23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11799B1/ko
Publication of KR930014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4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1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17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1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TiN층으로 된 전하저장전극 형성방법
제 1 도는 DRAM 셀의 단면도.
제 2 도는 Ti/N의 비율에 따른 비저항을 도시한 그래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리콘기판 2 : 게이트 전극
3 : 소오스 4 : 드레인
7 : 전하저장전극 8 : 유전체막
9 : 플레이트 전극 10 : MOSFET
본 발명은 고집적 반도체 소자의 DRAM 셀에서 전하저장전극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하저장전극을 다결정 실리콘층으로 형성하는 대신에 TiN층으로 전하저장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DRAM 셀은 하나의 트랜지스터에 하나의 캐패시터가 연결된 구조이다. 캐패시터의 전극으로는 전하저장전극과 플레이트 전극이 구성되는데 이러한 전극에 주로 불순물이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층을 사용한다.
다결정 실리콘층에 불순물을 적당한 농도로 도프해야 하는 이유는 불순물의 도프되지 않은 다결정 실리콘층은 저항값이 높기 때문에 적당한 농도로 불순물을 다결정 실리콘층에 도프하면 저항값이 낮은 도전체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결정 실리콘층에 불순물을 도핑하는 방법은 다결정 실리콘층을 증착한 다음 불순물을 도핑하는 방법과 다결정 실리콘층을 증착하는 단계에서 인-시투 도핑으로 불순물을 도핑시키는 방법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첫째로, 다결정 실리콘층을 증착한 후 POCl3등의 확산소스를 이용한 확산 도핑법(Diffusion Doping Method)이 있는데 이 방법은 도핑한 후에 고온공정(900-1000℃)이 수반된다.
둘째로, 증착된 다결정 실리콘층에 이온주입(Ion Implantation)법에 의해 불순물을 도핑시키는데 고집적화된 소자의 심한 단차(Topology)에서 균일하게 불순물이 도프되지 않는다.
셋째로, 다결정 실리콘층을 증착하는 동시에 인-시투 공정으로 불순물을 다결정 실리콘층에 도핑할 수 있는데 인-시투 도핑후에 고온(약 850-900℃)에서 열처리를 해야 한다.
따라서, 다결정 실리콘층을 전하저장전극 또는 플레이트 전극으로 사용하는 경우, 불순물을 도핑시키는 공정후에 고온공정을 실시할 때 고집적된 반도체 소자에서 나쁜 영향을 주며, 또한, 고집적화되어 단차가 큰 전극에서는 균일하게 불순물을 도핑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하저장전극 또는 플레이트 전극을 TiN층으로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TiN층으로 된 전극은 DRAM 셀의 캐패시터 전극뿐만아니라, MVM캐패시터 전극, DRAM, SRAM 및 MVM의 게이트 전극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다.
제 1 도는 일반적인 적층 캐패시터 구조를 갖는 DRAM 셀의 단면도로서, 실리콘 기판(1)에 게이트 전극(2), 소오스(3) 및 드레인(4)으로 구비되는 MOSFET(10)을 형성한 다음, 캐패시터를 형성하기 위해 드레인(4)에 접속되는 전하저장전극(7)을 형성하고, 그 상부면에 유전체막(8)과 플레이트 전극(9)을 형성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필드 산화막(5), 절연층(6)은 설명하지 않았음).
상기의 적층 캐패시터를 형성하는 종래의 방법은 먼저 MOSFET(10) 상부에 전하저장전극용 다결정 실리콘층을 증착하여 드레인(4)에 접속한 다음, 이 다결정 실리콘층에 상기한 방법으로 불순물을 도핑시키고, 전하저장전극 마스크 공정으로 상기 다결정 실리콘층의 예정된 부분을 제거하여 다결정 실리콘층으로 된 전하저장전극(7)을 형성하고, 그 상부면에 캐패시터 유전체막(9)을 형성한 후, 다시 플레이트 전극용 다결정 실리콘층을 증착하고, 불순물을 이 다결정 실리콘층에 도핑시켜서 플레이트 전극(9)을 형성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의 전하저장전극(7)을 플레이트 전극(9)으로 다결정 실리콘층 대신에 TiN층을 반응성 스퍼터링(Reactive Sputtering),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열적 CVD(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 등의 방법으로 증착하고 마스크 공정으로 전하저장전극 및 플레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TiN층은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낮은 비저항을 가질때의 Ti/N의 비가 1.0이므로 이러한 조성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TiN층은 화학적 안정성(Chemical Stability)이 우수하여 다른 물질, 예를 들어 Si, SiO2, AS, P, B등과 반응하지 않으므로 주변에 있는 물질로 인한 문제는 야기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불순물을 도핑하는 공정이 제거됨으로 공정을 단순하게 하며, 또한 도핑공정으로 인한 고온의 열처리 공정을 거치지 않으므로 소자의 신리성을 향상시키고, 전하저장전극 또는 플레이트 전극의 저항을 감소시켜서 동작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Claims (3)

  1. DRAM 셀의 전하저장전극 제조방법에 있어서, TiN층을 MOSFET상부에 증착하고, 전하저장전극 마스크 공정으로 예정부분의 TiN층을 남겨서 전하저장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iN층으로 된 전하저장전극 형성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TiN층은 Ti : N의 비율이 1: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TiN층으로 된 전하저장전극 형성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TiN층은 반응성 스퍼터링, 열적 CVD , PECVD방법으로 증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iN층으로 된 전하저장전극 형성방법.
KR1019910023431A 1991-12-19 1991-12-19 TiN층으로 된 전하저장전극 형성방법 KR940011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3431A KR940011799B1 (ko) 1991-12-19 1991-12-19 TiN층으로 된 전하저장전극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3431A KR940011799B1 (ko) 1991-12-19 1991-12-19 TiN층으로 된 전하저장전극 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4974A KR930014974A (ko) 1993-07-23
KR940011799B1 true KR940011799B1 (ko) 1994-12-26

Family

ID=19325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3431A KR940011799B1 (ko) 1991-12-19 1991-12-19 TiN층으로 된 전하저장전극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1179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4974A (ko) 1993-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06706B1 (en) Process for producing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n insulating layer of silicon dioxide covered by a film of silicon oxynitride
US4373249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KR930001736B1 (ko)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KR960012298B1 (ko)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US4931897A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capacitive element
US5652156A (en) Layered polysilicon deposition method
KR100282413B1 (ko) 아산화질소 가스를 이용한 박막 형성 방법
JPH0673367B2 (ja) 半導体集積回路容量の製作方法
JPS6010773A (ja) 1素子型fet−記憶キヤパシタ回路の形成方法
EP0032030B1 (en) A semiconductor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KR100192017B1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KR0149528B1 (ko) 반도체 소자의 콘트롤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
US4349395A (en) Method for producing MOS semiconductor device
CA1232365A (en) Dual electron injection structure and process with self-limiting oxidation barrier
EP0154670B1 (en) Process for producing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insulating film
KR910006592B1 (ko)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940011799B1 (ko) TiN층으로 된 전하저장전극 형성방법
KR960005247B1 (ko) 싱글 트랜지스터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및 구조
KR100226505B1 (ko)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JP2635086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11176959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268101B1 (ko) 폴리사이드 게이트
JPS6129144B2 (ko)
JPH0217930B2 (ko)
KR20010057386A (ko)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26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