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8140B1 - 차량의 리어 폴딩 시트용 러기지 바 - Google Patents

차량의 리어 폴딩 시트용 러기지 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8140B1
KR100448140B1 KR10-2001-0048267A KR20010048267A KR100448140B1 KR 100448140 B1 KR100448140 B1 KR 100448140B1 KR 20010048267 A KR20010048267 A KR 20010048267A KR 100448140 B1 KR100448140 B1 KR 100448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seat
bar
rear folding
luggag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8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3966A (ko
Inventor
최병용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8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8140B1/ko
Publication of KR20030013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3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1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26Rigid partitions inside vehicles, e.g. between passengers and load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which protect the occupants against personal attack from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6Luggage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의 리어 폴딩 시트용 러기지 바에 관한 것으로서, 리어 폴딩 시트의 후부에 러기지 바를 설치하여 리어 폴딩 시트를 폴딩하는 경우에는 패키지 트레이 패널의 저면에 폴딩시킬 수 있고, 리어 폴딩 시트를 정상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리어 폴딩 시트의 바로 뒷쪽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후방 충돌시에는 러기지 바가 발휘하는 강성에 의해 1차 충격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으며, 또한 트렁크와 리어 폴딩 시트와의 공간 연결성을 좋게 하여 트렁크 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리어 폴딩 시트용 러기지 바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리어 폴딩 시트용 러기지 바{Luggage bar of rear folding seat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차량의 리어 폴딩 시트용 러기지 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리어 폴딩 시트의 후부에 폴딩이 가능한 러기지 바를 설치하여 리어 폴딩 시트의 폴딩시에는 패키지 트레이 패널측으로 폴딩시킬 수 있고, 리어 폴딩 시트의 정상시에는 리어 폴딩 시트의 후면측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한 러기지 바를 제공함으로써, 차량 후방 충돌시를 대비하여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트렁크와 리어 폴딩 시트와의 공간 연결성을 좋게 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리어 폴딩 시트용 러기지 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저용 차량의 대부분은 리어 폴딩 시트를 채용하여 트렁크와 리어 시트와의 공간 연결성을 활용하고 있으며, 특히 리어 폴딩 시트의 폴딩구조를 채용하는 수출 차량의 경우에는 차량 후방 충돌에 대비한 러기지 로드 멤버 등과 같은 충격 완화수단의 설치가 필수적이다.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어 폴딩 시트(10)의 후면 플로어에 박스형의 러기지 로드 멤버(11)를 설치하여 차량 후방 충돌시 1차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러기지 로드 멤버를 적용한 구조에서는 트렁크 공간이 협소할 뿐만 아니라 외관상 좋지 않고, 리어 폴딩 시트의 폴딩시 트렁크 공간과 시트백이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것을 차단하여 물건의 적재시 불편한 점이 있으며, 또한 별도 멤버의 설치위치가 플로어의 A/S 홀 위쪽에 거의 위치됨에 따라 A/S시 불편한점이 있고, 별도의 멤버가 1차 충돌을 받기 때문에 볼트 체결부위의 수도 많아야 할 뿐만 아니라 적정한 볼트 체결위치를 확보하기도 어려우며, 볼트 체결위치가 취약부위로 작용하여 제역할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최근에는 스틸 프레임 시트백 구조를 대신하여 스틸에 비해 강성면에서 우수한 GMT 소재로 만든 GMT 시트백 구조를 적용한 리어 폴딩 시트가 제시되고 있으나, GMT라는 신소재에 대한 여러 측면에서의 데이터가 충분하게 확보되어 있지 않아 신뢰도 저하로 인해 실제 적용시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내열성 및 내구성이 취약할 뿐만 아니라 스틸 프레임 대비 가격이 비싸고 중량이 많이 나가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쉽게 적용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리어 폴딩 시트의 후부에 러기지 바를 설치하여 리어 폴딩 시트를 폴딩하는 경우에는 패키지 트레이 패널의 저면에 폴딩시킬 수 있고, 리어 폴딩 시트를 정상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리어 폴딩 시트의 바로 뒷쪽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후방 충돌시에는 러기지 바가 발휘하는 강성에 의해 1차 충격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으며, 또한 트렁크와 리어 폴딩 시트와의 공간 연결성을 좋게 하여 트렁크 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리어 폴딩 시트용 러기지 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리어 폴딩 시트용 러기지 로드 멤버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어 폴딩 시트용 러기지 바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a,3b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어 폴딩 시트용 러기지 바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리어 폴딩 시트 11 : 러기지 로드 멤버
12 : 힌지 샤프트 13a,13b : 스프링
14 : 스톱퍼 15 : 바
16 : 패키지 트레이 패널 17 : 노브
18 : 훅 19 : 스위치
20a,20b : 포밍부 21 : 훅 걸림부
22 : 시트백 프레임 23 : 스위치 설치부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힌지 샤프트(12)에 상단 지지되면서 회전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며 스프링(13a)에 의한 복원력과 스톱퍼(14)에 의한 지지력을 받아 리어 폴딩 시트(10)의 후면에서 수직자세를 유지하는 "ㄷ"자형의 바(15)와, 패키지 트레이 패널(16)상에 설치되는 노브(17) 및 훅(18)과 이것들을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13b)으로 구성되며 상기 바(15)를 패키지 트레이 패널(16)의 저면에서 수평자세로 유지시켜주는 좌우 한쌍의 스위치(1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바(15)는 자체 강성강화를 위한 하단 중간의 포밍부(20a)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15)는 스위치(19)의 훅(18)을 걸 수 있는 양쪽 2곳의 훅 걸림부(21)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19)의 노브(17)는 시트백 프레임(22)의 포밍부(20b)와 접촉 전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러기지 바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리어 폴딩 시트(10)의 후면 상단부에는 폭방향을 가로 질러가면서 차체 패널 등에 양단 고정되는 힌지 샤프트(12)가 배치되고, 그 아래쪽으로는 이와 나란한 봉형태의 스톱퍼(14)가 근접 배치된다.
이때의 힌지 샤프트(12)는 후술하는 바(15)의 회전 중심점이 되고, 스톱퍼(14)는 바(15)의 회전을 제한하여 수직자세를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바(15)와 스톱퍼(14) 간의 접촉부위에는 패드 등의 마찰 방지부재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 후방 충돌시 1차 충격을 받는 바(15)는 대략 "ㄷ"자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단이 상기 힌지 샤프트(12)에 의해 지지되면서 회전가능하게 되고, 양단 결합부위에는 스프링(13a)이 함께 장착되어서 바(15)는 항상 일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게 된다.
상기 바(15)를 구성하는 양쪽 세로대의 일정 위치에는 "ㄴ"자형의 홈으로 되어 있는 훅 걸림부(21)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곳으로 후술하는 스위치(19)의 훅(18)이 걸려짐에 따라 바(15)는 필요에 따라 패키지 트레이 패널(16)의 저면과 나란한 수평자세로 고정될 수 있게 되며, 또한 가로대의 길이 중간은 일정구간이 후방쪽으로 돌출되는 포밍부(20a)로 되어 있어서, 후방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바(15)는 적당한 강성을 구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바(15)의 수평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스위치(19)가 구비된다.
상기 스위치(19)는 패키지 트레이 패널(16)상에 마련되어 있는 스위치 설치부(23) 내에 장착되는 노브(17)와 훅(18)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노브(17)는 스위치 설치부(23)의 앞쪽 개방부위를 통해 시트백쪽으로 노출되고, 상기 훅(18)은 스위치 설치부(23)의 뒷쪽을 관통하면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바(15)의 수평상태에서 그 하단에 위치되는 훅 걸림부(21)를 걸어줄 수 있게 된다.
상기 노브(17)와 훅(18)은 스위치 설치부(23)의 내부에 장착되는 스프링(13b)에 의해 항상 시트백쪽으로 밀려나는 힘을 받게 되고, 이러한 힘을 이용하여 바(15)를 잡아줄 수 있게 된다.
특히, 리어 폴딩 시트(10)의 시트백 프레임(22)에는 뒷쪽으로 돌출되는 포밍부(20b)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포밍부(20b)는 스위치(19)의 노브(17)와 같은 높이에 위치되어 시트백을 정상적으로 세웠을 때, 포밍부(20b)에 의해 스위치(19)의 노브(17)가 자동적으로 눌려질 수 있게 된다.즉, 리어 폴딩 시트(10)를 정상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세웠을 때 그 뒷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포밍부(20b)가 스위치(19)의 노브(17)를 눌러주게 되고, 이 노브(17)의 뒷쪽에 있는 훅(18)도 뒤로 밀려나면서 잡아주고 있던 바(15)를 놓아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어 폴딩 시트의 시트백을 정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때의 러기지 바는 스프링(13a)의 복원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려고 하고, 스톱퍼(14)에 의해 저지되어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차량 후방 충돌시에는 1차 충격을 리어 폴딩 시트의 후면부를 가로막고 있는 러기지 바가 받아내므로, 탑승자에게 전해지는 충격을 최대한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어 폴딩 시트의 시트백을 폴딩시킨 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때에는 러기지 바를 수평상태로 고정시켜 트렁크 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즉, 수직으로 세워져 있던 러기지 바를 들어올려 그 훅 걸림부에 스위치의훅을 걸면 러기지 바를 패키지 트레이 패널의 저면과 나란한 수평상태로 고정시켜 놓을 수 있게 되므로, 물건 등을 적재할 때, 트렁크 공간과 리어 폴딩 시트 사이에 간섭을 주는 요인없이 폭넓은 공간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리어 폴딩 시트의 시트백을 원상태로 놓으면 자동으로 러기지 바가 작동되므로, 별도의 조작없이도 러기지 바를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리어 폴딩 시트의 폴딩시 패키지 트레이 패널의 저면에 폴딩시킬 수 있고, 리어 폴딩 시트의 정상적인 사용시 리어 폴딩 시트의 바로 뒷쪽에 위치시킬 수 있는 러기지 바를 제공함으로써, 차량 후방 충돌시에는 러기지 바가 발휘하는 강성에 의해 1차 충격을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트렁크와 리어 폴딩 시트와의 공간 연결성을 좋게 하여 트렁크 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스위치(19)의 훅(18)을 걸 수 있는 양쪽 2곳의 훅 걸림부(21)를 갖추고 있고 힌지 샤프트(12)에 상단 지지되면서 회전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며 스프링(13a)에 의한 복원력과 스톱퍼(14)에 의한 지지력을 받아 리어 폴딩 시트(10)의 후면에서 수직자세를 유지하는 "ㄷ"자형의 바(15)와,
    패키지 트레이 패널(16)상에 설치되는 노브(17) 및 훅(18)과 이것들을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13b)으로 구성되며 상기 바(15)를 패키지 트레이 패널(16)의 저면에서 수평자세로 유지시켜주는 좌우 한쌍의 스위치(1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 폴딩 시트용 러기지 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15)는 자체 강성강화를 위한 하단 중간의 포밍부(20a)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 폴딩 시트용 러기지 바.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19)의 노브(17)는 시트백 프레임(22)의 뒷쪽에 노브(17)와 같은 높이로 돌출되어 있는 포밍부(20b)에 의해 눌려질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 폴딩 시트용 러기지 바.
KR10-2001-0048267A 2001-08-10 2001-08-10 차량의 리어 폴딩 시트용 러기지 바 KR100448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267A KR100448140B1 (ko) 2001-08-10 2001-08-10 차량의 리어 폴딩 시트용 러기지 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267A KR100448140B1 (ko) 2001-08-10 2001-08-10 차량의 리어 폴딩 시트용 러기지 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966A KR20030013966A (ko) 2003-02-15
KR100448140B1 true KR100448140B1 (ko) 2004-09-10

Family

ID=27718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8267A KR100448140B1 (ko) 2001-08-10 2001-08-10 차량의 리어 폴딩 시트용 러기지 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81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309B1 (ko) * 2002-11-15 2004-12-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어시트의 러기지 멤버 구조
US11338755B2 (en) * 2020-09-29 2022-05-24 Lear Corporation Energy absorbing feature for seatback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266A (ko) * 1994-08-31 1996-03-22 김태구 손잡이겸 자동차의 리어시트백 걸림해제장치
KR970017019U (ko) * 1995-10-09 1997-05-23 자동차용 시트 등받이 잠금장치
KR970017018U (ko) * 1995-10-05 1997-05-23 승용차의 전동식 후석시트 고정구조
JPH09295530A (ja) * 1996-04-30 1997-11-18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シート
KR19980054534A (ko) * 1996-12-27 1998-09-25 박병재 자동차의 등받이 탈부착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266A (ko) * 1994-08-31 1996-03-22 김태구 손잡이겸 자동차의 리어시트백 걸림해제장치
KR970017018U (ko) * 1995-10-05 1997-05-23 승용차의 전동식 후석시트 고정구조
KR970017019U (ko) * 1995-10-09 1997-05-23 자동차용 시트 등받이 잠금장치
JPH09295530A (ja) * 1996-04-30 1997-11-18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シート
KR19980054534A (ko) * 1996-12-27 1998-09-25 박병재 자동차의 등받이 탈부착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966A (ko) 2003-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4434A (en) Vehicle seat with suspension device
US4639037A (en) Auxiliary seat assembly for use in vehicles
US7246857B2 (en) Seat folding device of vehicle
JPH08230724A (ja) トラック
KR100448140B1 (ko) 차량의 리어 폴딩 시트용 러기지 바
EP1097857B1 (en) Rear floor structure for vehicles
JP4101617B2 (ja) シートのフレーム構造体
JP4104441B2 (ja) キャブティルト装置
JP3738102B2 (ja) 自動車の後部座席
US5779308A (en) Locking apparatus of a folding seat for vehicles
JP3620288B2 (ja)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JP4448395B2 (ja) 車両用シートのフレーム構造
JP4269401B2 (ja) キャブオーバ型車両の衝突安全装置
JP3726464B2 (ja) キャブオーバ車両の衝突安全車体構造
JP3537676B2 (ja) 車両用シート
JP2730288B2 (ja) リヤ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取付構造
JP2001063430A (ja) シートのマウント構造
JPH0638759Y2 (ja) トラック用サイドステップ
GB2347621A (en) A vehicle seat
JP5921281B2 (ja) 車両のヘッドレスト取付け構造
JP4083314B2 (ja) 自動車用シート
JP2606730Y2 (ja) 車両用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の支持機構
JPH1095253A (ja) 車両用シート
JP4037783B2 (ja) チップアップシートの保持構造
JP3745098B2 (ja) シートの衝撃吸収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