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4534A - 자동차의 등받이 탈부착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등받이 탈부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4534A
KR19980054534A KR1019960073699A KR19960073699A KR19980054534A KR 19980054534 A KR19980054534 A KR 19980054534A KR 1019960073699 A KR1019960073699 A KR 1019960073699A KR 19960073699 A KR19960073699 A KR 19960073699A KR 19980054534 A KR19980054534 A KR 19980054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housing
stroker
elastic support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3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199614B1 (ko
Inventor
허준열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73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9614B1/ko
Publication of KR19980054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4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9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96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4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provided with a lock mechanism on the upper part of the back-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rota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60N2/14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rota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등받이 탈부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 선반 트레이의 안쪽에 외주면에 탄성지지를 받아 힌지회전가능하도록 걸림고리가 구비된 하우징을 설치하고, 이 하우징의 내부에는 제한된 범위 내에서 탄성지지를 받아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유동가능하도록 작동부재를 설치하여, 이 작동부재를 윗쪽으로 잡아 당김에 따라 걸림고리가 스트로커와 걸림이 해제될 수 있게 함으로써, 탈부착 수단의 구조를 단순화 하면서 그 작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등받이 탈부착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등받이 탈부착 구조
본 발명은 자동차의 뒷좌석 등받이 탈부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반 트레이의 안쪽에 탄성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걸림고리가 구비된 하우징을 설치하고, 이 하우징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등받이에 고정된 스트로커의 걸림과 해제를 할 수 있게 함으로써, 탈부착수단을 단순화 시켜서 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자동차의 뒷좌석 등받이 탈부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합차 또는 트럭의 좌석의 저부에는 엔진 룸이 구비되고, 이 엔진 룸에는 엔진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엔진 룸이 구비된 차량에 있어서, 엔진의 정비나 점검을 하는 경우에는 등받이(100)를 접어 쿠션과 밀착되게 하고, 다시 이 쿠션을 세워서 엔진 룸의 상단을 개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등받이(100)의 후면에는 탈부착 수단이 선반 트레이(200)에는 스트로커(110)가 고정되어서, 상기 스트로커(110)가 탈부착 수단에 걸려져서 등받이(100)를 고정시켜 주게 된다.
상기 탈부착 수단은, 첨부도면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등받이(100)와 일체로 고정되면서 일단이 이 등받이(100)의 뒷쪽으로 개구된 하우징(10)과, 이 하우징(10)의 내부에서 탄성지지를 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선반 트레이(200)에 고정된 스트로커(110)와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걸림부재(30)와, 상기 걸림부재(30)의 최대 회전범위를 제한하도록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힌지고정되어 이것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가능하도록 설치된 작동부재(20)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탈부착수단은 상기 작동부재(20)를 잡아 당김에 따라 이것이 회전을 하게 되고, 이때 상기 걸림부재(30)는 걸림이 해제되면서 회전을 하게 되면서 상기 스트로커(110)의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등받이(100)는 걸림이 해제되어 접을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자동차의 등받이 탈부착 구조는 탈부착 수단 자체가 등받이의 내부에 내설되기 때문에 걸림을 해제시키기 위한 작동이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시트 커버를 설치에 따른 불편함이 있게 되고, 또한 구조가 복잡하여 고장 발생이 자주 일어나게 되는 문제가 자주 발생하게 되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선반 트레이의 안쪽에 외주면에 탄성지지를 받아 힌지회전가능하도록 걸림고리가 구비된 하우징을 설치하고, 이 하우징의 내부에는 제한된 범위 내에서 탄성지지를 받아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유동가능하도록 작동부재를 설치하여, 이 작동부재를 윗쪽으로 잡아 당김에 따라 걸림고리가 스트로커와 걸림이 해제될 수 있게 함으로써, 탈부착 수단의 구조를 단순화 하면서 그 작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등받이 탈부착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등받이 탈부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탈부착 구조의 걸림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탈부착 구조의 해제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하우징11-공간부
12-걸림고리13-작동구멍
14-회전지지브라켓20-작동부재
21-작동로드21a-손잡이
22-탄성스프링100-등받이
110-스트로커200-선반 트레이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바닥면이 개구된 공간부(11)를 가지면서 외부에는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힌지회전가능하도록 걸림고리(12)가 구비된 하우징(10)과, 이 하우징(10)의 내부에서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제한된 작동 거리를 가지면서 항상 상기 걸림고리(12)와 밀착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유동가능하도록 설치된 작동부재(20)와, 등받이(100)의 후면에 설치되는 스트로커(11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2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탈부착 구조의 걸림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첨부도면 2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탈부착 구조의 해제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면부호 100은 등받이를, 110은 스트로커를, 200은 선반 트레이를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은 걸림고리(12)를 포함하면서 상기 선반 트레이(200)의 내부에 내설되는 하우징(10)과,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된 작동부재(20)와, 상기 등받이(100)의 후면에 고정설치되는 스트로커(110)로 이루어져서, 상기 작동부재(20)를 윗쪽으로 잡아 당김에 따라 상기 스트로커(110)에 걸려진 걸림고리(12)가 탄성력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이것(110)과의 걸림을 해제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도면부호 10은 하우징을 나타낸다.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일정한 크기의 공간부(11)를 가지면서 그 바닥면이 개구된 육각면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것(10)의 상단에는 작동구멍(13)이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일측 외주면에는 회전지지브라켓(1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회전지지브라켓(14)에는 걸림고리(12)가 항상 탄성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힌지고정되어 있다.
특히, 상기 걸림고리(12)는 상기 회전지지브라켓(14)의 힌지 중심으로부터 탄성지지를 받아 상기 하우징(10)의 안쪽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그 끝단이 형성하는 회전 궤적은 상기 하우징(10)의 하단보다 아랫쪽에 놓여지게 하여서 후술하는 스트로커(110)의 회전 궤적과 서로 간섭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부호 20은 작동부재를 나타낸다.
상기 작동부재(20)는 상기 공간부(11)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져서 그 내부에서 슬라이드 유동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20)의 상부에는 그 상부에 손잡이(21a)가 구비된 작동로드(21)가 탄성스프링(22)이 끼워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작동로드(21)는 일단이 상기 작동구멍(13)을 통하여 상기 공간부(11)의 내부에 끼워지면서 상기 탄성스프링(22)이 끼워진 상태에서 그 끝단이 상기 작동부재(20)의 선단에 고정된 구조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20)의 길이는 이것(20)이 탄성지지를 받아 최대 높이에서 상기 걸림고리(12)가 탄성지지를 받아 이것들(12), (20)이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작동부재(20)를 윗쪽으로 잡아 당김에 따라 상기 걸림고리(12)도 이것(20)과 밀착된 상태로 윗쪽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부호 110은 스트로커를 나타낸다.
상기 스트로커(110)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것을 이용하게 되며, 특히 상기 스트로커는 이것의 끝단인 걸림부가 상기 걸림고리(12)의 회전궤적 내에서 서로 간섭을 받을 수 있는 위치에 고정설치하게 된다.
즉, 상기 걸림고리(12)는 항상 상기 회전지지브라켓(14)을 중심으로 일정한 반경을 갖는 원호 형상의 회전 궤적을 가지게 되며, 상기 스트로커(110)는 이 회전 궤적 내의 어느 한 지점에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걸림고리(12)가 회전됨에 따라 걸림과 해제를 반복하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 2a와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 구조는 상기 등받이(100)가 선반 트레이(200)에 고정된 상태는 첨부도면 2a에서 보는 바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때 상기 손잡이(21a)를 잡아 당기게 되면 상기 작동로드(21)와 연결고정된 상기 작동부재(20)가 윗쪽으로 슬라이드 유동을 하게 된다.
동시에,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상기 작동부재(20)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상기 걸림고리(12)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걸림고리(12)는 상기 스트로커(110)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등받이(100)는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작동로드(21)를 놓게 되면, 상기 작동로드(21)는 탄성스프링(22)의 탄성력을 받아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가게 된다.
한편, 상기 등받이(100)를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기 위해서는 먼저, 접혀진 상태의 상기 등받이(100)를 펼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트로커(110)는 그 끝단이 상기 걸림고리(12)의 끝단을 가압하면서 이것(12)을 회전시키게 되며, 이때 상기 걸림고리(12)는 반시계 방향으로 어느 정도 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스트로커(110)의 회전 궤적을 벗어 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고리(12)는 탄성력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상기 스트로커(110)에 걸리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탄성지지를 받아 회전가능하도록 하우징의 외부에 걸림고리를 설치하고, 하우징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그 끝단이 걸림고리와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드 유동가능하도록 작동부재를 설치하여서, 상기 작동부재를 윗쪽으로 잡아 당김에 따라 걸림고리가 스트로커의 회전 궤적으로부터 벗어 나면서 걸림을 해제할 수 있게 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여 정비성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각 구성품들의 파손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바닥면이 개구된 공간부(11)를 가지면서 외부에는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힌지회전가능하도록 걸림고리(12)가 구비된 하우징(10)과,
    이 하우징(10)의 내부에서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제한된 작동 거리를 가지면서 항상 상기 걸림고리(12)와 밀착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유동가능하도록 설치된 작동부재(20)와,
    등받이(100)의 후면에 설치되는 스트로커(11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등받이 탈부착 구조.
KR1019960073699A 1996-12-27 1996-12-27 자동차의 등받이 탈부착 구조 KR100199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3699A KR100199614B1 (ko) 1996-12-27 1996-12-27 자동차의 등받이 탈부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3699A KR100199614B1 (ko) 1996-12-27 1996-12-27 자동차의 등받이 탈부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534A true KR19980054534A (ko) 1998-09-25
KR100199614B1 KR100199614B1 (ko) 1999-06-15

Family

ID=19491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3699A KR100199614B1 (ko) 1996-12-27 1996-12-27 자동차의 등받이 탈부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96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140B1 (ko) * 2001-08-10 2004-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리어 폴딩 시트용 러기지 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140B1 (ko) * 2001-08-10 2004-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리어 폴딩 시트용 러기지 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99614B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9749B2 (en) Roof rack for a vehicle and a vehicle having the same
KR100798845B1 (ko) 차량용 트레이의 잠금장치
KR101315793B1 (ko) 시트의 회전장치
CN205256084U (zh) 一种扶手锁止及解锁机构和扶手、座椅组件以及车辆
KR101583912B1 (ko) 자동차의 회전형 선바이저 미러 장치
KR100199634B1 (ko) 작동레버를 접을 수 있는 핸드 브레이크
KR100199614B1 (ko) 자동차의 등받이 탈부착 구조
JP5162267B2 (ja) 収納装置
US11913263B2 (en) Lock device for opening/closing body
US20200199926A1 (en) Closing device for a storage compartment, storage compartment for a motor vehicle
JP2005104173A (ja) アームレスト装置
KR100705129B1 (ko) 자동차의 도어 측면충돌방지장치
CN112196379A (zh) 手套箱盖、车辆仪表板总成和车辆
KR100230205B1 (ko) 접철 가능한 파킹 브레이크 레버
JP3656422B2 (ja) 巻取式間仕切り装置
KR100526896B1 (ko) 자동차용 프론트 컵홀더
JPH0524589Y2 (ko)
KR100448117B1 (ko) 자동차용 리어시트 폴딩 구조
KR100968539B1 (ko) 차량용 도어
KR100494551B1 (ko) 자동차용 컵홀더
FR2735433A1 (fr) Dispositif de support mobile pour un radiotelephone d'automobile
JP3251982B2 (ja) 容器支持装置
CN210118039U (zh) 用于车辆的机舱开启装置及车辆
KR19980052220A (ko)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 잠금장치
JP2006281879A (ja) 車両用開閉体の位置保持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