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8131B1 - 좌우 독립 프레임을 갖는 시트의 등받이 - Google Patents

좌우 독립 프레임을 갖는 시트의 등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8131B1
KR100448131B1 KR10-2002-0028398A KR20020028398A KR100448131B1 KR 100448131 B1 KR100448131 B1 KR 100448131B1 KR 20020028398 A KR20020028398 A KR 20020028398A KR 100448131 B1 KR100448131 B1 KR 100448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eat
frames
seat back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8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0815A (ko
Inventor
임규형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8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8131B1/ko
Publication of KR20030090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0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1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2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and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18Transversally moving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우 독립 프레임을 갖는 시트의 등받이에 관한 것으로서, 시트 등받이의 좌우측 프레임을 독립식으로 구성하는 동시에 각각을 개별적으로 젖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노후화나 운전자의 습관 등에 의한 시트 등받이의 처짐현상을 바로 잡아줄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액추에이터 및 컨트롤러 수단 등을 이용하여 시트 등받이의 좌우측 젖힘상태를 운전자가 임의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의 거동공간이나 승하차시의 공간을 필요에 따라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좌우 독립 프레임을 갖는 시트의 등받이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좌우 독립 프레임을 갖는 시트의 등받이{Driver seat back having independent right and left frame}
본 발명은 좌우 독립 프레임을 갖는 시트의 등받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등받이의 좌우측 프레임을 필요에 따라 개별적으로 젖혀질 수 있도록 하여 운전석의 좌우측 공간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 중 운전자의 자세유지에 따른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고, 차량 승하차시 및 실내 거동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외부작용에 의한 시트형상의 변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좌우 독립 프레임을 갖는 시트의 등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오랫동안 운행하다보면 운전자의 습관, 차량의 노후, 기타 여러가지 이유 등으로 시트(운전석 또는 조수석)의 등받이가 한쪽, 특히 차량 안쪽으로 기울진 상태가 되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이러한 등받이의 기울어짐은 운전자의 자세를 불안하게 만들어 차량 운행에 따른 피로를 증가시키고, 안전운행을 저해하는 하나의 요인이 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등받이의 한쪽 처짐현상은 기존의 일체식 등받이 프레임의 경우 바로 잡아줄 수 있는 수단이나 방법이 없기 때문에 이를 감수하면서 항상 불안정한 상태에서 운전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시트 등받이의 좌우측 프레임을 독립식으로 구성하는 동시에 각각을 개별적으로 젖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노후화나 운전자의 습관 등에 의한 시트 등받이의 처짐현상을 바로 잡아줄 수 있도록 한 시트의 등받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트 등받이의 좌우측 젖힘상태를 운전자가 임의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의 거동공간이나 승하차시의 공간을 필요에 따라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액추에이터 및 컨트롤러 수단 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 등받이의 좌우측에 수직 배치되는 동시에 적어도 2개의 가로축 프레임을 이용하여 서로 지지되면서 하단을 축으로 젖힘가능한 좌측 프레임 및 우측 프레임과, 상기 좌우측 프레임의 하단에 각각 연결되어 프레임의 젖힘동작을 수행하는 각각의 프레임 제어용 모터와, 상기 프레임 제어용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 제어용 컨트롤러 및 조작을 위한 모터 조작용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터 조작용 스위치 중에서 어느 1개의 스위치는 좌우측 프레임의 연동을 위한 스위치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우측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가로축 프레임의 연결부위는 다방향 회동가능한 볼을 이용한 결합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등받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등받이 구조에서 운전석의 우측공간을 활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등받이 구조에서 운전석의 좌측공간을 활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로축 프레임 11 : 좌측 프레임
12 : 우측 프레임 13a,13b : 프레임 제어용 모터
14 : 모터 제어용 컨트롤러 15a,15b : 모터 조작용 스위치
16 : 볼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 등받이(100)의 내부 양측면을 따라 수직으로 좌측 프레임(11)과 우측 프레임(12)을 나란하게 설치하고, 좌우측 프레임(11),(12) 사이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가로축 프레임(10)을 연결 설치하여 프레임 간의 구조적 강성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의 가로축 프레임(10)과 좌우측 프레임(11),(12) 간의 연결부위는 서로 간의 유동이 가능한 구조, 예를 들면 볼(16)을 이용한 결합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어느 한쪽의 프레임이 뒷쪽으로 젖혀진 경우에도 볼을 통한 구름접촉을 이용하여 다른 한쪽 프레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다.
상기 좌측 프레임(11)과 우측 프레임(12)의 하단에는 각각 프레임 제어용 모터(13a),(13b)를 배치하고, 모터의 축에 각 하단을 직접 연결함으로써, 모터의 구동과 함께 각각의 프레임은 앞으로 세워지거나 뒤로 젖혀질 수 있다.
여기서, 시트 쿠션측과의 연결방식은 통상적인 시트의 쿠션 프레임과 등받이 프레임 간의 회전식 연결구조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의 회전식 연결부위에 위의 모터 축을 함께 조합시킬 수 있다.
이때의 좌우측 프레임(11),(12)은 각각 개별적으로 움직이거나 또는 동시에 움직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시트 쿠션(200)의 저부에는 모터 제어용 컨트롤러(14)를 설치하고, 양측면에는 각각의 프레임 제어용 모터(13a),(13b)를 제어하기 위한 모터 조작용 스위치(15a),(15b)를 설치한다.
상기 2개의 모터 조작용 스위치(15a),(15b)는 좌우측 프레임(11),(12)을 각각 젖히거나 세우기 위한 프레임 제어용 모터(13a),(13b)의 구동신호를 제공하며, 특히 2개의 스위치 중 어느 1개의 스위치는 좌우측 프레임(11),(12)을 동시에 젖히거나 세울 수 있는 수단을 갖추고 있다.
예를 들면, 시트 쿠션(200)의 우측에 있는 스위치를 조작하면 우측 프레임(12)을 세우거나 젖힐 수 있고, 좌측에 있는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작하면 좌측 프레임(11)을 세우거나 젖힐 수 있는 동시에 좌우측 프레임(11),(12)을 동시에 세우거나 젖힐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위치 수단의 조작을 통한 프레임 제어용 모터(13a),(13b)의 선별적인 구동을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모터 제어용 컨트롤러(14)를 제공한다.
이때의 모터 제어용 컨트롤러(14)는 각 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바탕으로 각각의 프레임 작동을 위한 모터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제어로직을 갖추고 있으며, 특히 좌우측 모터 및 프레임의 동시 제어를 위한 제어로직을 포함하고 있어서 좌우측 프레임의 위치를 동일선상에 맞출 수 있다.
이러한 제어로직은 차량의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등받이의 한쪽이 처지는 경우 좌우측 프레임을 동시에 제어하여 그 위치 동일선상에 놓여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항상 시트 등받이의 바른 모양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좌우 독립 프레임을 갖는 시트의 등받이에 대한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 등받이(100)의 우측 프레임을 뒷쪽으로 젖힌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위와 같은 상태는 시트 쿠션(200)의 우측에 있는 모터 조작용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가능하다.
이때에는 운전자의 우측 거동공간이 확보되므로, 콘솔박스 등을 사용할 때 편리함을 얻을 수 있고, 또한 뒷좌석쪽으로의 활동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 등받이(100)의 좌측 프레임을 뒷쪽으로 젖힌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위와 같은 상태는 시트 쿠션(100)의 좌측에 있는 모터 조작용 스위치의 선택적인 조작에 의해 가능하다.
이때에는 차량의 도어(300)와 연계하여 시트 등받이를 가능한 뒷쪽으로 젖혀서 간섭을 줄여 줌으로써, 운전자의 승하차 공간을 폭넓게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운전자의 습관, 체형, 차량 노후 등에 따라 시트 등받이의 한쪽이 처진 경우에는 시트 쿠션의 좌측에 있는 모터 조작용 스위치 중 동시 모드를 선택하여 좌우측 프레임을 같은 선상에 정렬함으로써, 운전 중 운전자의 자세를 바르게 만들어 차량 운행에 따른 피로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좌우측 프레임을 독립식으로 구성하는 동시에 각각을 개별적으로 젖혀질 수 있도록 한 시트의 등받이를 제공함으로써, 차량의 노후화나 운전자의 습관 등에 의한 시트 등받이의 처짐현상을 바로 잡아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실내의 거동공간이나 승하차시의 공간을 필요에 따라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시트 등받이(100)의 좌우측에 수직 배치되는 동시에 적어도 2개의 가로축 프레임(10)을 이용하여 서로 지지되면서 하단을 축으로 젖힘가능한 좌측 프레임(11) 및 우측 프레임(12)과, 상기 좌우측 프레임(11),(12)의 하단에 각각 연결되어 프레임의 젖힘동작을 수행하는 각각의 프레임 제어용 모터(13a),(13b)와, 상기 프레임 제어용 모터(13a),(13b)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 제어용 컨트롤러(14) 및 조작을 위한 모터 조작용 스위치(15a),(15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독립 프레임을 갖는 시트의 등받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조작용 스위치(15a),(15b) 중에서 어느 1개의 스위치는 좌우측 프레임(11),(12)의 연동을 위한 스위치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독립 프레임을 갖는 시트의 등받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프레임(11),(12) 사이에 설치되는 가로축 프레임(10)의 연결부위는 다방향 회동가능한 볼(16)을 이용한 결합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독립 프레임을 갖는 시트의 등받이.
KR10-2002-0028398A 2002-05-22 2002-05-22 좌우 독립 프레임을 갖는 시트의 등받이 KR100448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398A KR100448131B1 (ko) 2002-05-22 2002-05-22 좌우 독립 프레임을 갖는 시트의 등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398A KR100448131B1 (ko) 2002-05-22 2002-05-22 좌우 독립 프레임을 갖는 시트의 등받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0815A KR20030090815A (ko) 2003-12-01
KR100448131B1 true KR100448131B1 (ko) 2004-09-10

Family

ID=32383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8398A KR100448131B1 (ko) 2002-05-22 2002-05-22 좌우 독립 프레임을 갖는 시트의 등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813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91953U (ko) * 1987-05-30 1988-12-09
JPH01167928A (ja) * 1987-12-24 1989-07-03 Ckd Controls Ltd 磁気近接スイツチ
JPH0284549A (ja) * 1988-07-15 1990-03-26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生糸絹繊維のセリシン定着による改質法
JPH0425557A (ja) * 1990-05-21 1992-01-29 Toshiba Chem Corp 液状エポキシ樹脂組成物
JPH0635027U (ja) * 1992-10-16 1994-05-10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スライド機構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91953U (ko) * 1987-05-30 1988-12-09
JPH01167928A (ja) * 1987-12-24 1989-07-03 Ckd Controls Ltd 磁気近接スイツチ
JPH0284549A (ja) * 1988-07-15 1990-03-26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生糸絹繊維のセリシン定着による改質法
JPH0425557A (ja) * 1990-05-21 1992-01-29 Toshiba Chem Corp 液状エポキシ樹脂組成物
JPH0635027U (ja) * 1992-10-16 1994-05-10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スライド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0815A (ko) 2003-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5063B2 (en) Articulating seat bolsters
CN103124647B (zh) 在点式姿态与扩散姿态之间转换的用于机动车的通风和加热模块的空气排出器
CN111216606B (zh) 车辆座椅的高度调节装置
US20100253110A1 (en) Vehicle seat device
EP2221197B1 (en) Air vent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US10124704B2 (en) Vehicle seat for a motor vehicle
US10829008B2 (en) Vehicle seat
JPH08244505A (ja) 座席支持装置
JP2002144937A (ja) 自動車用パワーシートスイッチ装置
KR100448131B1 (ko) 좌우 독립 프레임을 갖는 시트의 등받이
WO2002068236A1 (en) Foldable vehicle seat from a use position to a stowed position and related layout of a seat assembly
US9315120B2 (en) Comfort recline seat for a vehicle
CN212047003U (zh) 座椅结构及工程机械
KR20100033584A (ko) 차량용 시트의 크로스 링크 타입 허리 지지 대 장치
KR20210016886A (ko) 단일 구동부로 풋레스트 작동이 가능한 리클라이너 시트
KR102141904B1 (ko) 차량용 시트의 각도 조절 장치
KR102540545B1 (ko) 자동차용 시트 회전 장치
JP5368936B2 (ja) 作業車
KR100461315B1 (ko) 자동차용 시트 조절 장치
KR20210126849A (ko) 자동차용 시트의 다방향 조절 장치
CN111376799A (zh) 座椅结构及工程机械
JP4394521B2 (ja) 車両用シート
JP4742739B2 (ja) 車両用シート
JPH0194017A (ja) スイングルーバーの制御装置
US11745626B2 (en) Dual gear type recliner device for a vehicle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