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5173B1 - 자동차의 에어 백 도어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에어 백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5173B1
KR100445173B1 KR10-2001-0080404A KR20010080404A KR100445173B1 KR 100445173 B1 KR100445173 B1 KR 100445173B1 KR 20010080404 A KR20010080404 A KR 20010080404A KR 100445173 B1 KR100445173 B1 KR 100445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crash pad
door
reinforcing plate
doo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0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0032A (ko
Inventor
공병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0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5173B1/ko
Publication of KR20030050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0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5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51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021/2153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45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instrument panel or dash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에어백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 본체가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될 때 충분하게 확장되도록 함으로써 도어 본체의 파손을 방지시킴으로써 파편에 따른 탑승자의 상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크래쉬 패드(10)의 내측에 위치되며, 에어백(30)이 설치되는 하우징(100)과; 크래쉬 패드(10)의 내측 상면에 마련되며, 결합홈(210)이 형성된 쉬트(200)와; 크래쉬 패드(10)와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크래쉬 패드(10)와의 경계 내측면에는 소정깊이로 절개홈(310)이 형성된 도어 본체(300)와; 도어 본체(300)의 내측면에 전면적으로 마련되며, 상단이 쉬트(200) 외측으로 연장되고, 쉬트(200)의 결합홈(210)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슬롯(410)이 형성된 보강 플레이트(400)와; 보강 플레이트(400)의 가이드 슬롯(410) 하단부로 부터 쉬트(200)의 결합홈(210)에 나사 체결되어 상호간을 위치 고정시키는 고정 스크류(500);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에어 백 도어{AN AIR BAG DOOR OF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에어백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에어 백은 추돌 사고시 운전자의 머리 부분이 핸들에 부딪쳐 심각한 피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핸들상에 마련하는 것이 통상적인 바, 근래에 들어와서는 탑승자까지 보호하기 위하여 도 1에 나타내 보인 바와같이 탑승자와 대응되는 크래쉬 패드의 전면에 에어 백을 내장하고 있다.
즉, 도 1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에어 백은 핸들(1)상에 마련하고, 탑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에어 백은 탑승자의 전면측 크래쉬 패드(10)상에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에어 백은 도어의 결합 방법에 따라 도 3 및 도 4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크게 컨벤셔널 타입(conventional type)과, 심리스 하드 패널 타입(seamless hard panel type)로 대별된다.
도 3에 나타내 컨벤셔널 타입은, 크래쉬 패드(10)상에 도어 본체(2)의 외곽라인이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며, 도 4에 나타내 보인 심리스 하드 패널 타입은 크래쉬 패드(10)와 도어 본체(20)가 서로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도어 본체(20)의 외곽라인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된 것이다.
전술한 컨벤셔널 타입에 있어서는, 크래쉬 패드(10)와 도어 본체(2)간의 갭이 발생되어 도어 본체(2)의 외곽라인이 노출됨으로써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으며, 어느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도어 본체(2)와 크래쉬 패드(10)간의 광택도 및 컬러 변형이 야기되어 이 또한 자동차 내부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 도 4에 나타내 보인 심리스 하드 패널 타입으로써 그 상세한 구조를 보면, 크래쉬 패드(10)의 내측에는 에어백(30)이 설치되는 하우징(housing;40)이 위치되며, 이 하우징(40)의 내부를 밀폐시키며, 크래쉬 패드(10)와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도어 본체(20)가 설치된다.
도어 본체(20)의 내측에는 강성 보강을 위한 것으로서, 금속으로 성형된 보강 플레이트(補强 plate;50)가 마련되며, 하우징(40)을 크래쉬 패드(10)에 결합시키기 위한 쉬트(chute;60) 마련된다.
따라서 자동차의 추돌 및 충돌 사고시 에어 백(30)이 팽창되면, 도 4에 가상선으로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팽창력에 의해 도어 본체(20)가 크래쉬 패드(10)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에어 백(30)이 외부로 용이하게 팽창되어지며, 팽창시 인접한 크래쉬 패드(10)의 손상은 커버 플레이트(50)와 쉬트(60)를 통해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구조에 있어서는, 에어백(30)이 전개될 때 힌지부(a)에서 취성증가에 의해 파단되어 파편이 탑승자에게로 튐으로써 상해를 입을 우려가 야기된다.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은, 힌지부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충분히 확장되지 못함으로써 보강 플레이트(5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강성이 작은 재질로 성형된 도어 본체(20)의 외면이 파손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도어 본체가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될 때 충분하게 확장되도록 함으로써 도어 본체의 파손을 방지시킴으로써 파편에 따른 탑승자의 상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에어백 도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크래쉬 패드의 내측에 위치되며,에어백이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크래쉬 패드의 내측 상면에 마련되며, 결합홈이 형성된 쉬트와; 상기 크래쉬 패드와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크래쉬 패드와의 경계 내측면에는 소정깊이로 절개홈이 형성된 도어 본체와; 상기 도어 본체의 내측면에 전면적으로 마련되며, 상단이 쉬트 외측으로 연장되고, 쉬트의 결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슬롯이 형성된 보강 플레이트와;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가이드 슬롯 하단부로 부터 쉬트의 결합홈에 나사 체결되어 상호간을 위치 고정시키는 고정 스크류;로 이루어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에어백이 채용된 일반 자동차의 내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백 도어의 장착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종래 에어 도어의 장착 타입을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크래쉬 패드 30 : 에어백 100 : 하우징
200 : 쉬트 210 : 결합홈 220 : 가이드 면
300 : 도어 본체 310 : 절개홈 400 : 보강 플레이트
410 : 가이드 슬롯 500 : 고정 스크류 S : 스프링
a : 힌지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하우징(housing;100)과, 쉬트(chute;200) 그리고 도어 본체(300)와 보강 플레이트(400) 및 고정 스크류(500)으로 대별된다.
하우징(100)은 크래쉬 패드(10)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충돌시 팽창되는 에어백(30)이 내장된다.
쉬트(200)는 크래쉬 패드(10)의 내측 상면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일측면에는 결합홈(210)이 형성된다.
도어 본체(300)는, 크래쉬 패드(10)와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크래쉬 패드(10)와의 경계 내측면에는 소정깊이로 절개홈(310)이 형성된다.
이 절개홈(310)은 에어백(30)의 팽창시 도어 본체(300)가 회동할 수 있도록 절개되는 부분이다.
보강 플레이트(400)는, 금속으로 성형된 것으로서, 도어 본체(300)의 내측면에 마련되어 강성을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보강 플레이트(400)는, 도어 본체(300)의 내측면에 전면적으로 마련되며, 특히 상단부는 쉬트(200)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이 보강 플레이트(400)의 일측면에는 즉, 전술한 쉬트(200)의 결합홈(210)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슬롯(guide slot;410)이 형성된다.
고정 스크류(500)는, 보강 플레이트(400)의 가이드 슬롯(410) 하단부로 부터 쉬트(200)의 결합홈(210)에 체결되어 상호간을 위치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고정 스크류(500)가 체결된 보강 플레이트(400)의 내측면과 쉬트(200)의 외측면 사이에는 스프링(S)이 개재되는 바, 이 스프링(S)은, 보강 플레이트(400)가 도어 본체(300)와 함께 에어백(30)의 팽창에 따라 슬라이딩 이송될 때 고정 스크류(500)의 헤드부와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스프링(S)은 초기상태에서는 보강 플레이트(400)를 고정 스크류(500)의 헤드부로 탄성 지지함으로써 유동없이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지만, 보강 플레이트(400)가 슬라이딩 이송될때에는 스프링(S)의 탄성력을 극복한채 고정 스크류(500)의 외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즉, 고정 스크류(500)의 헤드부로 부터 이탈되면서 이동됨으로써 마찰없이 이동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때 보강 플레이트(400)가 고정 스크류(500)를 따라 이동되도록 함에 있어서는, 고정 스크류(500)의 상부측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즉, 쉬트(200)의 결합홈(210)에 나사 결합된 부위를 제외한 부분은 편평한 외주면을 이루고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전술한 보강 플레이트(400)가 도어 본체(300)와 함께 이동될 때 쉬트(200)의 하단부를 따라 이동되는 바, 좀더 원활한 이송을 위하여 쉬트(200)의 하단부에는 소정각도 경사진 가이드 면(220)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충돌사고시 에어백(30)이 팽창하게 되면, 도어 본체(300)는 보강 플레이트(400)와 함께 크래쉬 패드(10)의 상측 힌지부(a)를 중심으로 회동한다.
이때 보강 플레이트(400)가 도어 본체(300)와 함께 회동될 때 일측면에 가이드 슬롯(41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 스크류(500)를 중심으로 어느 일정길이 좀더 이송되면서 회동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힌지부(a)가 확장되는 효과를 얻게됨으로써 도어 본체(300)이 외측 부분이 접혀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따라서 취성에 의한 도어 본체(300)의 외측 부분의 파손 및 이에따른 파편 발생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보강 플레이트에 가이드 슬롯을 마련하고, 고정 스크류를 통해 쉬트에 위치 고정시킴으로써 보강 플레이트가 이송될 때 힌지부를 확장 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게된다.
따라서 충분한 확장 거리를 확보할 수 있게됨으로써 상대적으로 취약한 도어 본체의 외측면 파손이 방지되고, 이에따라 파편이 발생되지 않게되어 파편에 따른 탑승자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크래쉬 패드의 내측에 위치되며, 에어백이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크래쉬 패드의 내측 상면에 마련되며, 결합홈이 형성된 쉬트와;
    상기 크래쉬 패드와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크래쉬 패드와의 경계 내측면에는 소정깊이로 절개홈이 형성된 도어 본체와;
    상기 도어 본체의 내측면에 전면적으로 마련되며, 상단이 쉬트 외측으로 연장되고, 쉬트의 결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슬롯이 형성된 보강 플레이트와;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가이드 슬롯 하단부로 부터 쉬트의 결합홈에 나사 체결되어 상호간을 위치 고정시키는 고정 스크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도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스크류가 체결된 보강 플레이트의 내측면과 쉬트의 외측면 사이에는 고정 스크류의 헤드부와 보강 플레이트의 외면간의 마찰력 감소를 위한 스프링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도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이 체결된 고정 스크류의 외주면에는 편평한 외주면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도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쉬트의 하단부에는, 보강 플레이트가 가이딩 될 수 있도록 소정각도 경사진 가이드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도어.
KR10-2001-0080404A 2001-12-18 2001-12-18 자동차의 에어 백 도어 KR100445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0404A KR100445173B1 (ko) 2001-12-18 2001-12-18 자동차의 에어 백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0404A KR100445173B1 (ko) 2001-12-18 2001-12-18 자동차의 에어 백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0032A KR20030050032A (ko) 2003-06-25
KR100445173B1 true KR100445173B1 (ko) 2004-08-21

Family

ID=29575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0404A KR100445173B1 (ko) 2001-12-18 2001-12-18 자동차의 에어 백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517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5648A (ko) * 1993-08-03 1995-03-20 제럴드 켄트 화이트 팽창식 에어백 하우징용 커버
JPH07186863A (ja) * 1993-12-27 1995-07-25 Nissan Motor Co Ltd エアバッグの開口リッド構造
KR960004784U (ko) * 1994-07-26 1996-02-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 백 커버 고정구조
KR0183181B1 (ko) * 1994-11-03 1999-05-01 제임스 엠. 루즈벨트 팽창가능한 차량 탑승자 구속기구가 전개되는 구멍을 덮는 안전장치
JPH11198752A (ja) * 1998-01-19 1999-07-27 Sanko Gosei Ltd 助手席用エアーバッグ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5648A (ko) * 1993-08-03 1995-03-20 제럴드 켄트 화이트 팽창식 에어백 하우징용 커버
JPH07186863A (ja) * 1993-12-27 1995-07-25 Nissan Motor Co Ltd エアバッグの開口リッド構造
KR960004784U (ko) * 1994-07-26 1996-02-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 백 커버 고정구조
KR0183181B1 (ko) * 1994-11-03 1999-05-01 제임스 엠. 루즈벨트 팽창가능한 차량 탑승자 구속기구가 전개되는 구멍을 덮는 안전장치
JPH11198752A (ja) * 1998-01-19 1999-07-27 Sanko Gosei Ltd 助手席用エアーバッ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0032A (ko) 200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2506A (en) Energy absorbing vehicle trim with airbag
KR100402780B1 (ko) 차량의 루프레일 사이드부 구조
JP2000159048A (ja) 車両のエアバッグ装置
US20070080524A1 (en) Front pillar trim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s
KR100717453B1 (ko) 차량용 조수석의 에어백 도어 구조
US5503427A (en) Energy absorption cover for passenger-side airbag module
EP1961626B1 (en) Occupant protective apparatus for vehicle
KR100445173B1 (ko) 자동차의 에어 백 도어
US11498507B2 (en) Airbag module to protect display device of vehicle
JP3173271B2 (ja) 自動車の車室における乗員の保護構造
KR100445175B1 (ko) 자동차의 에어 백 도어
KR100368998B1 (ko) 자동차의 에어 백 커버 힌지구조
JP2004058965A (ja) エアバッグドアの開放構造
KR100787644B1 (ko)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KR20020031939A (ko) 자동차의 에어백 도어 개방구조
KR0138820Y1 (ko) 승객보호용 에어백
KR100424368B1 (ko) 자동차의 에어 백 커버
US7100942B2 (en) Air bag door structure for an automobile
KR100398204B1 (ko)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20020015593A (ko) 자동차의 에어 백 커버 결합구조
KR100521034B1 (ko) 조수석 에어백용 인스트루먼트 패널
KR100490370B1 (ko) 자동차의 동승자용 에어 백 모듈
KR200141882Y1 (ko) 자동차용 시트 에어백 장착구조
KR20050020444A (ko) 커튼 에어백 작동 구조
KR20040044307A (ko) 자동차용 에어백의 충격 흡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