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3397B1 - 악취제거용습기제거제조성물 - Google Patents

악취제거용습기제거제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3397B1
KR100443397B1 KR1019950051389A KR19950051389A KR100443397B1 KR 100443397 B1 KR100443397 B1 KR 100443397B1 KR 1019950051389 A KR1019950051389 A KR 1019950051389A KR 19950051389 A KR19950051389 A KR 19950051389A KR 100443397 B1 KR100443397 B1 KR 100443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tea
odor
moisture
flavonoi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1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3021A (ko
Inventor
이일휴
강윤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19950051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3397B1/ko
Publication of KR970033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3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3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33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8Selection of materials for use as dry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042Use of binding agents; addition of materials ameliorat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roduced sorb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Botan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차 추출믈을 함유하여 악취 제거 효과가 우수한 습기 제거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악취 제거용 습기 제거제 조성물
본 발명은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소취 기능을 가진 습기 제거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장마철과 같은 다습한 기간에 옷장속 의류, 책 또는 벽걸이 표구류 및 자동차내 등의 곰팡이 및 균의 성장 환경 조건을 제공하는 습기 및 불쾌감을 주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하여 공기중의 습기에 대한 흡습 효과가 좋은 염화칼슘과 더불어 악취 제거 효과가 있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를 함유하는 습기 제거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악취 제거 효과를 지닌 것으로는 향료를 이용한 마스킹(masking)법, 산화·중화·부가 기능을 이용한 화학적 소취 방법, 활성탄, 실리카겔 등 다공성 물질의 흡착을 이용한 물리적 소취 방법과 미생물 효소를 이용한 생물학적 소취 방법 등이 있다.
대부분의 제품은 악취 제거의 단독 기능을 목적으로 하며, 그외 습기 제거제에 의한 흡습 주기능에 악취 제거의 부가 기능을 부여한 것으로는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를 사용한 제품이 소개되고 있으나 그의 냄새 제거 효과는 미미하다.
일본섬유기계 학회지(Vol. 40, No. 3, 1987) 에는 3 차원 구조를 갖는 폴리페놀 유도체 등에 악취 성분의 분자나 원자가 도입되어 결정 구조를 이룸으로써 포접 작용에 의해 악취를 제거한다고 기술되어 있다.
플라보노이드는 하기 일반식 (I) 로 표시되며, 대표적인 플라보노이드의 구조는 하기 표 1 에 나타내었다.
(표1) 대표적인 플라보노이드의 구조
플라보노이드는 녹차등 동백과 식물에 주로 함유되어 있는 천연 복합물로서 주성분은 페놀기를 함유하는 폴리페놀 유도체이다.
일반적으로, 플라보노이드 성분은 식물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물질로 야채나 인삼을 비롯하여 생약재 등의 잎, 개화조직, 화분 등에 주로 존재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녹차에 주로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플라보노이드 성분의 함량은 동일한 녹차에서 추출한 것이라도 추출 과정, 즉 제조 과정, 추출 용액, 추출 유형, 농축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제습의 주기능에 부가 기능인 악취 제거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녹차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플라보노이드를 적용하게 되면 옷장 또는 주거 실내 및 자동차 트렁크내 등과 같은 밀폐 공간의 각종 악취 성분에 대해 습기 제거제 사용 기간동안 지속적이고 강력한 소취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는 것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악취 제거용 습기 제거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녹차 추출물을 직접 습기 제거제 성분에 첨가하거나 분말 또는 구슬 형태의 무기 다공성 재료로서 제올라이트, 활성탄, 실리카의 담체 또는 시트형 섬유 또는 종이 재질의 흡수체에 침적시켜 악취 제거용 습기 제거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녹차 추출물은 건조한 녹차잎을 150 내지 250 ℃, 20 내지 40 mmHg 에서 감압 건류법에 의해 추출한 담황색의 액체로 비중(d20 20) 이 0.89 내지 1.09, pH(20 v/v %) 가 4.0 내지 6.0, 강열 성분이 0.5 % 이하인 것이다. 이 녹차 추출물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거나, 에탄올 4 중량 % 및 정제수 30 중량 % 를 가해 희석 용액 상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글리세린과 프로필렌 글리콜 등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녹차 추출물의 사용량은 100 mg 내지 2000 mg 이다. 녹차 추출물이 100 mg 이하이면 효과가 미약하고, 2000 mg 를 초과하면 2000 mg 이하의 사용량과 비교하여 효과면에서 별 차이가 없고 또한 플라보노이드의 독특한 냄새로 인해 사용감이 좋지 않아 부적당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제거용 습기 제거 조성물은 용기형 또는 시트 적용형으로 제조된다.
용기형 또는 시트형 제습제에 악취 제거 성분을 처리하는 방법에는 플라보노이드를 단독으로 또는 글리세린 등의 용제에 녹인 용액을 직접 또는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벤토나이트와 같은 담체에 침적시켜 용기형 또는 시트형 제습제의 염화칼슘에 직접 투입하여 제조하거나, 플라보노이드 용액을 종이, 펄프 재질의 시트형 및 분말 또는 구슬 형태의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벤토나이트와 같은 담체에 함침 시킨 후 용기형 또는 시트형 제습제의 염화칼슘과 접촉되지 않도록 부착하여 제조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플라보노이드 100 mg 을 침적시킨 펄프 흡수체를 용기형 제습제 내의 염화칼슘과 분리하여 용기의 겉면에 부착 제조한다.
실시예 2
플라보노이드 200 mg 을 침적시킨 펄프 흡수체를 용기형 제습제 내의 염화칼슘과 분리하여 용기의 겉면에 부착 제조한다.
실시예 3
플라보노이드 500 mg 을 침적시킨 펄프 흡수체를 용기형 제습제 내의 염화칼슘과 분리하여 용기의 겉면에 부착 제조한다.
실시예 4
플라보노이드 1000 mg 을 침적시킨 펄프 흡수체를 용기형 제습제 내의 염화칼슘과 분리하여 용기의 겉면에 부착 제조한다.
실시예 5
플라보노이드 2000 mg 을 침적시킨 펄프 흡수체를 용기형 제습제 내의 염화칼슘과 분리하여 용기의 겉면에 부착 제조한다.
실시예 6
구슬형 제올라이트에 플라보노이드 100 mg 을 함침시킨후 용기형 제습제의 염화칼슘에 직접 투입한다.
실시예 7
구슬형 제올라이트에 플라보노이드 500 mg 을 함침시킨후 용기형 제습제의 염화칼슘에 직접 투입한다.
비교예 1
플라보노이드 50 mg 을 함침시킨 펄프 흡수체를 용기형 제습제 내의 염화칼슘과 분리하여 용기의 겉면에 부착 제조한다.
비교예 2
구슬형 제올라이트에 플라보노이드 50 mg 을 함침시킨후 용기형 제습제의 염화칼슘에 직접 투입한다.
실험예
실시예 1 - 7 및 비교예 1 - 2 의 악취 제거 효과 시험은 악취 성분중 암모니아에 대한 소취 효과로 알아본다.
# 소취력 시험
·악취 제거 성분인 플라보노이드를 함침시킨 흡수체와 용기형 제습제 내의 염화칼슘과 분리되어 있는 습기 제거제 조성물과 플라보노이드를 습기 제거제 성분인 염화칼슘에 투입한 습기 제거제 조성물을 각각 용기에 적용시켜 소취력을 평가한다.
·실험방법
밑면 지름 50 cm, 높이 50 cm 인 원통형의 밀폐 유리통에 습기 제거제 조성물을 투입한 용기를 넣고, 악취 성분인 암모니아 500 ppm 을 넣은 후, 10 분 간격으로 암모니아의 소취율을 측정하고, 가스 검지관(Kitagawa Co.) 측정기를 이용하여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한다.
실시예 1 - 7 및 비교예 1 - 2 각각을 3 회 반복 실험하여 평균을 구한다. 실험결과는 하기 표 2 와 같다.
표 2.
상기 결과로 부터, 본 발명의 제품이 소취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Claims (2)

  1. 공기중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염화칼슘을 이용하는 통상의 습기 제거제 조성물에 100 내지 2000mg의 플라보노이드 함유 녹차추출물을 첨가시키며, 여기서 녹차추출물이 녹차잎을 150 내지 250℃, 20 내지 40mmHg에서 감압 건류법에 의해 추출하여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제거용 용기형 또는 시트형 습기제거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녹차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에탄올 및 정제수와의 희석용액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글리세린과의 혼합물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제거용 습기 제거제 조성물.
KR1019950051389A 1995-12-18 1995-12-18 악취제거용습기제거제조성물 KR100443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1389A KR100443397B1 (ko) 1995-12-18 1995-12-18 악취제거용습기제거제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1389A KR100443397B1 (ko) 1995-12-18 1995-12-18 악취제거용습기제거제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3021A KR970033021A (ko) 1997-07-22
KR100443397B1 true KR100443397B1 (ko) 2004-09-30

Family

ID=37357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1389A KR100443397B1 (ko) 1995-12-18 1995-12-18 악취제거용습기제거제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339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5059A (ja) * 1988-08-05 1990-02-15 Kubo Gijutsu Jimusho:Kk 消臭液と消臭方法
JPH02249553A (ja) * 1989-03-22 1990-10-05 Yoshito Hasegawa 茶葉エキスおよび茶葉粉末からなる燻蒸用消臭剤
JPH06142168A (ja) * 1992-11-09 1994-05-24 Sunstar Inc 殺菌消臭剤組成物
JPH07194683A (ja) * 1993-12-28 1995-08-01 Okuaki Kogyo Kk 消臭剤
KR960021134A (ko) * 1994-12-06 1996-07-18 이용배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탈취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5059A (ja) * 1988-08-05 1990-02-15 Kubo Gijutsu Jimusho:Kk 消臭液と消臭方法
JPH02249553A (ja) * 1989-03-22 1990-10-05 Yoshito Hasegawa 茶葉エキスおよび茶葉粉末からなる燻蒸用消臭剤
JPH06142168A (ja) * 1992-11-09 1994-05-24 Sunstar Inc 殺菌消臭剤組成物
JPH07194683A (ja) * 1993-12-28 1995-08-01 Okuaki Kogyo Kk 消臭剤
KR960021134A (ko) * 1994-12-06 1996-07-18 이용배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탈취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3021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73631A (en) Use of polyethyleneimine for absorbing odorous substances
KR100330599B1 (ko) 다공성 탈취 필터 및 그 제조방법
JPS6290167A (ja) 消臭剤
KR102076265B1 (ko) 고도 분지된 사이클릭 덱스트린 및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취제 조성물
KR100443397B1 (ko) 악취제거용습기제거제조성물
JP3561829B2 (ja) 消臭剤組成物
JPH0222668B2 (ko)
KR20100074712A (ko) 천연 항균성분을 이용한 냉장고용 탈취제
JPH0222672B2 (ko)
JP4868323B2 (ja) 消臭性組成物、消臭性組成物を含有する消臭剤および消臭性組成物を担持した繊維構造物を備えた消臭具
JPS58112542A (ja) 芳香又は消臭剤用担体
JPH07313580A (ja) ルイボスティー水性抽出物を含有する消臭剤
JPH09299465A (ja) 植物抽出物を有効成分とする消臭剤
JPS61135667A (ja) 消臭剤および当該消臭剤を包含してなる消臭材
JPH03251253A (ja) 脱臭材
KR20060019354A (ko) 공기정화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H0999045A (ja) アロエ成分を含有する消臭・脱臭剤
JPS60174153A (ja) 消臭剤
JPS618054A (ja) 消臭剤
JPS6321060A (ja) 消臭剤の製法
JPS61247461A (ja) 消臭剤の製法
JPH03261479A (ja) 消臭剤の製造方法
JPS62179463A (ja) 脱臭材
JPH02239865A (ja) 消臭剤
JPS61119268A (ja) 消臭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