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2482B1 - 창호의 개보수 구조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창호의 개보수 구조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2482B1
KR100442482B1 KR10-2001-0079230A KR20010079230A KR100442482B1 KR 100442482 B1 KR100442482 B1 KR 100442482B1 KR 20010079230 A KR20010079230 A KR 20010079230A KR 100442482 B1 KR100442482 B1 KR 100442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ndow frame
window
pad
reno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9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9114A (ko
Inventor
우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러스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러스창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러스창호
Priority to KR10-2001-0079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2482B1/ko
Publication of KR20030049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9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2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24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4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 E06B1/345Renovation window frames covering the existing old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의 개보수 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 창틀을 제거하지 않고 기존 창틀위에 새로운 개보수 창틀을 설치하여 창틀을 개보수하는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시공법으로 인한 긴 공사 기간, 큰 비용부담 및 많은 쓰레기 발생 등의 문제점이 방지되어질 수 있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덧댐창틀(20)은 내부프레임(21)과 외부프레임(22)으로 이루어지되, 외부창틀(12)위에 설치되어지는 외부프레임(22)은 제1고정부재(23a)에 의해 외부창틀 상면에 고정되어진 제1받침패드(23)에 의해 저면이 지지되는 가운데 실내측 상부면에는 제2받침패드(24)가 설치됨으로서 제2고정부재(24a)의 관통체결에 의해 위치고정이 이루어지며; 내부창틀(11)위에 설치되어지는 내부프레임(21)은 제3고정부재(25a)에 의해 내부창틀(11) 상면에 고정되어진 제3받침패드(25) 및 상기 제2받침패드(24)에 의해 양측 저면이 지지되어지는 가운데 각각의 받침패드(24,25)를 포함하여 관통체결되어지는 복수의 프레임 고정부재(24b,25b)에 의해 위치고정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개보수 구조 및 그 개보수방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창호의 개보수 구조 및 방법{A REPAIR STRUCTURE AND METHOD OF WINDOWS}
본 발명은 창호의 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창호의 개보수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시공에 따른 작업공수 및 비용을 최소화 하는 가운데 교체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창호구조 및 그 개보수방법을 제공하기 위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窓戶)라 함은 건물을 축조함에 있어 외부의 시야확보 및 실내공기의 환기를 위한 것으로 창문과 창문틀로 이루어지고 개폐방식에 의해 미닫이식과 여닫이식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종래의 창틀, 특히 단독 주택의 창틀은 알루미늄으로 된 외부창틀과 목재로 된 내부창틀의 이중창용 창틀이 주종을 이룬다.
창틀은 오래될수록 초기에 가졌던 창틀로서의 기본 기능을 상실하게 되고 특히 동절기에는 외풍이 심해 개보수를 하여야한다.
창틀의 개보수 방법은 알루미늄 외부창틀 및 목재 내부창틀 중 알루미늄 창틀을 제거하고 새창틀을 시공하는 방법, 목재창틀을 제거하고 새창틀을 시공하는 방법, 알루미늄 창틀과 목재 창틀 둘다를 제거하고 새창틀을 시공하는 방법 등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모두 기존의 마감재 및 창틀을 제거하고 시공해야 하므로 공사 기간이 길고, 창틀을 개보수한 후 재차 마감 공사를 해야 하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큰 비용부담을 안겨 주며 또한 이러한 공사로 인해 생기는 많은 쓰레기도 문제가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기존 창틀을 제거하지 않고 기존 창틀위에 새로운 개보수 창틀을 설치하여 창틀을 개보수하는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시공법으로 인한 긴 공사 기간, 큰 비용부담 및 많은 쓰레기 발생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기존창호의 설치 단면도.
도 2는 기존창호에서 창문이 제거된 후의 창틀 설치 단면도.
도 3은 기존창틀에 본 발명의 창틀 설치를 위한 패드 설치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덧댐창틀이 설치되어진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덧댐창틀에 피브이씨용 커버가 설치되어진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덧댐창틀의 설치 마감작업이 이루어진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덧댐창틀에 창문이 설치되어 개보수가 완료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존창틀 11 : 내부창틀
12 : 외부창틀 20 : 덧댐창틀
21 : 내부프레임 22 : 외부프레임
23,24,25 : 받침패드(단열패드) 26 : 피브이씨용 커버
27 : 후레싱 커버 28 : 내부마감용 몰딩
29 : 방충망 레일
상기 목적은, 내부창틀 및 외부창틀의 2중구조를 이루고 있는 통상의 창틀에 개보수를 위하여 덧댐창틀을 추가로 설치하여 구성되어지는 창틀구조에 있어서: 상기 덧댐창틀은 내부프레임과 외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되, 외부창틀위에 설치되어지는 외부프레임은 제1고정부재에 의해 외부창틀 상면에 고정되어진 제1받침패드에 의해 저면이 지지되는 가운데 실내측 상부면에는 제2받침패드가 설치됨으로서 제2고정부재의 관통체결에 의해 위치고정이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창틀위에 설치되어지는 내부프레임은 제3고정부재에 의해 내부창틀 상면에 고정되어진 제3받침패드 및 상기 제2받침패드에 의해 양측 저면이 지지되어지는 가운데 각각의 받침패드를 포함하여 관통체결되어지는 복수의 고정부재에 의해 위치고정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개보수구조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을 통해 이룰 수 있게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개보수가 필요한 기존 창호의 설치 단면도이고, 도 2는 그중 기존창틀의 설치 단면도이다. 기존 창틀(10)은 목재로 이루어진 내부창틀(11)과 알루미늄재질의 외부창틀(12)로 이루어진 이중창용 창틀로 이 내부창틀(11)과 외부창틀(12)은 상하좌우의 틀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미설명 부호 13은 조적벽돌, 14는 단열재를 나타낸다.
도 3 내지 도 6은 개보수를 위해 새로 설치되어질 본 발명의 알루미늄 창틀(20;이하 덧댐창틀이라 칭함)의 설치작업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상태도이다. 덧댐 창틀(20) 역시 내부프레임(21)과 외부프레임(22)로 이루어지는데 기존 창틀(10)위에 덧씌움 방식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개보수가 완료되어진 창호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개보수 작업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은 2중의 창호구조를 이루고 있던 기존창틀(10)에서 창문을 분리시켜 도 2와같이 내부창틀(11)과 외부창틀(12)만을 남겨놓게 된다.
이후,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기존창틀(11,12)상에 바(bar)형태로서 소정의 높이를 이루고 있는 받침패드(23) 및 제1단열패드(24)를 각각 고정부재(23a,24a)를 이용하여 고정설치한다. 상기에서 받침패드(23)는 원하는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다수개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같이 하여 기존창틀(11,12)의 실내측 및 실외측에 각각의 패드(23,24)가 설치되면, 그중 받침패드(23)측에 외부프레임(22)을 설치하여 저면이 지지되어질 수 있도록 하되, 그 실내측 상부면에는 제2단열패드(25)를 위치시킨 후 제3고정부재(25a)를 이용해 위치를 고정시키고, 상기 제1받침패드(24) 및 제2단열패드(25)위에 내부프레임(21)을 설치하여 복수의 내부프레임 고정부재(24b,25b)를 이용하여 관통 체결함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은 덧댐창틀(20)의 위치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내부프레임(21)과 외부프레임(22)간에는 소정의 간격조절이 가능함으로 내부프레임(21)을 제1단열패드(24) 및 제2단열패드(25)위에 올려놓고 위치를 잡은 후 내부프레임 고정부재(24b,15b)를 관통 체결시킴으로서 위치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덧댐창틀(20)은 알루미늄 재질로서 만일 수지재질의 PVC창문을 설치코자 하는 경우에는 선택적으로 도 5에 나타낸 바와같이 합성수지재질의 PVC용 커버(26)를 씌워서 설치함으로서 내부프레임(21) 및 외부프레임(22)을 함께 감싸줄 수 있게된다.
이와같이 하여 PVC용 커버(26)의 선택적인 설치가 완료되면, 이후 내부프레임(21)의 실내측에는 내부마감용 몰딩(28)을 설치하고, 외부프레임(22)의 실외측에는 후레싱커버(27)를 설치함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존의 외부창틀(12)과 내부창틀(11)의 외부노출을 방지토록 하는 마감단계를 수행함으로서 시공작업이 완료되어지게 되며, 따라서 종래의 사춤, 미장, 방수 등의 후속공정이 필요없이 덧댐창틀(20)의 설치가 간단하게 마무리되어질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내게 된다.
특히, 상기 내부마감용 몰딩(28)은 제1단열패드(24)의 단차부(24')에 설치되어짐에 있어서 기존창문의 내측면에 따라 약 3∼10mm 범위에서 마감조절이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와같이 하여 개보수가 완료되어진 창틀은 기존창틀(10)위에 덧씌운 구조를 이룸으로 인해 기존에 비해 설치높이가 조금 높아지게 되며, 이에따라 본 발명의 덧댐창틀(20)에 끼워지는 창문은 종래보다 높이가 다소 낮은 높이로 제작되어진 창문이 설치되어지게 된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해 개보수가 이루어진 창틀(20)에 창문이 끼워진 상태를 단면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구조에 따른 특징을 다시한번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즉, 기존창틀(10)과 덧댐창틀(20)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진 받침패드(23,24,25)는 단열재로 제작되어짐으로서 단열바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고, 또한, A로 표시된 부위에서 설치작업시 내부프레임(21)과 외부프레임(22)간의 간격유동이 가능함으로서 덧댐창틀(20)의 전체적인 폭가변이 용이한 이점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피브이씨용 커버(26)를 구비시킴으로서 창문의 종류에 따른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된다.
이외에도, 외부프레임(22)의 실외측에는 방충망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방충망레일(29) 및 물끊기 돌기(30)가 각각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개보수 구조 및 그 공정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하부창틀에 대해서만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구조 및 시공방법은 측면창틀 및 상부창틀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어질 수 있으며 그 시공구조 및 방법 역시 설치시설물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게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발명은, 기존 창틀을 제거하지 않고 창틀을 개보수함으로써 기존 창틀 및 마감재의 제거, 새로운 창틀 시공 및 마감처리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창틀 시공법으로 인한 긴 공사 기간이 단축되고, 이에따른 소비자의 비용부담이 줄며 많은 쓰레기 발생 등의 문제 해결이 가능하다.
또한, 개보수되어지는 창틀의 폭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가변성을 갖는 폭길이로의 창호 리모델링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하부창문틀로 흘러내린 빗물을 하부창문틀 외측 하방으로 유도·분산시켜 창호내로의 빗물 유입에 의한 누수를 방지함과 동시에, 빗물에 혼재된 불순물의 적층에 의한 창틀의 부식 및 오염을 예방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항시 미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창호의 보수 및 관리가 보다 용이해 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내부창틀(11) 및 외부창틀(12)의 2중구조를 이루고 있는 통상의 창틀(10)에 개보수를 위하여 덧댐창틀(20)을 추가로 설치함으로 구성되어지는 창틀구조에 있어서:
    상기 덧댐창틀(20)은 내부프레임(21)과 외부프레임(22)으로 이루어지되, 외부창틀(12)위에 설치되어지는 외부프레임(22)은 제1고정부재(23a)에 의해 외부창틀 상면에 고정되어진 받침패드(23)에 의해 저면이 지지되는 가운데 실내측 상부면에는 제1단열패드(24)가 설치됨으로서 제2고정부재(24a)의 관통체결에 의해 위치고정이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창틀(11)위에 설치되어지는 내부프레임(21)은 제3고정부재(25a)에 의해 내부창틀(11) 상면에 고정되어진 제2단열패드(25) 및 상기 제1단열패드(24)에 의해 양측 저면이 지지되어지는 가운데 각각의 단열패드(24,25)를 포함하여 관통체결되어지는 복수의 프레임 고정부재(24b,25b)에 의해 위치고정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개보수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프레임(22)의 실외측에는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물끊기 돌기(30) 및 후레싱커버(27)가 구비되어지며;
    상기 내부프레임(21)의 실내측에는 기존 내부창틀(11)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내부마감용몰딩(28)이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개보수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덧댐창틀(20)의 상면에는 내부프레임(21)과 외부프레임(22)에 함께 씌워지는 합성수지재질의 피브이씨용 커버(26)가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개보수 구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부마감용몰딩(28)이 기존 내부창틀(11)의 크기에 따라 마감조절이 가능하도록 제1단열패드(24)는 단차부(24')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개보수 구조.
  5. 내부창틀(11) 및 외부창틀(12)의 2중구조를 이루고 있는 기존의 창틀(10)에서 창문 및 유리를 철거하는 예비단계;
    상기 기존창틀(10)상에 소정높이를 이루도록 받침패드(23) 및 제1단열패드(24)를 각각 고정부재(23a,24a)를 이용하여 고정설치하는 패드설치단계;
    상기 받침패드(23)에 의해 저면이 지지되어지는 외부프레임(22)을 설치하는 외부프레임 설치단계;
    상기 설치되어진 외부프레임(22)의 일측 상부면에 제2단열패드(25)를 고정부재(25a)를 이용하여 고정설치하여 상기 제1단열패드(24)와 동일한 높이를 이룬 후, 제1단열패드(24) 및 제2단열패드(25)위에 안착되어지는 내부프레임(21)을 설치하여 복수의 고정부재(24b,25b)를 이용하여 관통 체결함으로서 상기 외부프레임(22)의 위치를 함께고정시키는 내부프레임 설치단계;
    외부프레임(22)의 실외측에는 후레싱커버(27)를 설치하고, 내부프레임(21)의 실내측 제1단열패드(24) 단차부(24')에는 기존내부창틀(11)의 내측돌출폭에 따라 마감조절이 가능한 내부마감용 몰딩(28)이 설치되어지는 마감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개보수 방법.
KR10-2001-0079230A 2001-12-14 2001-12-14 창호의 개보수 구조 및 방법 KR100442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230A KR100442482B1 (ko) 2001-12-14 2001-12-14 창호의 개보수 구조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230A KR100442482B1 (ko) 2001-12-14 2001-12-14 창호의 개보수 구조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8626U Division KR200269612Y1 (ko) 2001-12-14 2001-12-14 창호의 개보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114A KR20030049114A (ko) 2003-06-25
KR100442482B1 true KR100442482B1 (ko) 2004-08-04

Family

ID=29574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9230A KR100442482B1 (ko) 2001-12-14 2001-12-14 창호의 개보수 구조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248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584B1 (ko) 2007-08-23 2009-04-29 대림산업 주식회사 단열 및 차음성능을 보완한 리모델링 창호
KR101264906B1 (ko) * 2011-04-15 2013-05-21 현대플러스 주식회사 창호의 리모델링 방법
KR101270572B1 (ko) * 2011-07-06 2013-06-03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개보수용 창호
KR101448578B1 (ko) * 2013-12-12 2014-10-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자재 및 공사비 저감을 실현하는 덧댐 창호시스템 구조
KR20160033861A (ko) 2014-09-18 2016-03-29 현대플러스 주식회사 개보수가 쉬운 창호 틀용 프로파일
KR101845849B1 (ko) 2017-02-07 2018-04-09 (주)명가 개보수용 창호 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개보수 시공 방법
KR20200117117A (ko) 2019-04-03 2020-10-14 주식회사 제이켐 비철거식 개보수용 창호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2446667B1 (ko) 2021-05-03 2022-09-26 삼원시스템 주식회사 개보수용 미서기 창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140B1 (ko) * 2007-08-31 2007-11-21 주식회사 산주건설 고기밀성 단열창호
KR20210126300A (ko) 2020-04-10 2021-10-20 (주)엘엑스하우시스 개보수가 용이한 창틀 시공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5166A (en) * 1978-09-04 1981-08-25 Yoshida Kogyo K. K. Dual window assembly
US4324071A (en) * 1978-09-12 1982-04-13 Yosnida Kogyo K.K. Dual window assembly
JPS5910686A (ja) * 1982-07-08 1984-01-20 豊和工業株式会社 改装窓
JPH0748936A (ja) * 1993-08-10 1995-02-21 Ykk Architect Prod Kk 建物の外壁改装構造
KR950019185U (ko) * 1993-12-28 1995-07-24 창틀용 개보수장치
JP2001227244A (ja) * 2000-09-19 2001-08-24 Yamauchi Techno:Kk 改装サッシ下枠及び改装工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5166A (en) * 1978-09-04 1981-08-25 Yoshida Kogyo K. K. Dual window assembly
US4324071A (en) * 1978-09-12 1982-04-13 Yosnida Kogyo K.K. Dual window assembly
JPS5910686A (ja) * 1982-07-08 1984-01-20 豊和工業株式会社 改装窓
JPH0748936A (ja) * 1993-08-10 1995-02-21 Ykk Architect Prod Kk 建物の外壁改装構造
KR950019185U (ko) * 1993-12-28 1995-07-24 창틀용 개보수장치
JP2001227244A (ja) * 2000-09-19 2001-08-24 Yamauchi Techno:Kk 改装サッシ下枠及び改装工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584B1 (ko) 2007-08-23 2009-04-29 대림산업 주식회사 단열 및 차음성능을 보완한 리모델링 창호
KR101264906B1 (ko) * 2011-04-15 2013-05-21 현대플러스 주식회사 창호의 리모델링 방법
KR101270572B1 (ko) * 2011-07-06 2013-06-03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개보수용 창호
KR101448578B1 (ko) * 2013-12-12 2014-10-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자재 및 공사비 저감을 실현하는 덧댐 창호시스템 구조
KR20160033861A (ko) 2014-09-18 2016-03-29 현대플러스 주식회사 개보수가 쉬운 창호 틀용 프로파일
KR101845849B1 (ko) 2017-02-07 2018-04-09 (주)명가 개보수용 창호 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개보수 시공 방법
KR20200117117A (ko) 2019-04-03 2020-10-14 주식회사 제이켐 비철거식 개보수용 창호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2446667B1 (ko) 2021-05-03 2022-09-26 삼원시스템 주식회사 개보수용 미서기 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114A (ko) 200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2482B1 (ko) 창호의 개보수 구조 및 방법
KR101270572B1 (ko) 개보수용 창호
KR101473150B1 (ko) 비철거식 개보수용 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JPH0748936A (ja) 建物の外壁改装構造
KR20140044450A (ko) 커튼월의 단열 방음 성능 향상을 위한 개보수 덧댐 창호
KR200269612Y1 (ko) 창호의 개보수 구조
JP3629673B2 (ja) 建物のガラス壁面の構造
KR102032838B1 (ko) 블라인드 일체형 창호
KR101586427B1 (ko) 단열 효과를 극대화한 친환경 커튼월
KR20150123568A (ko) 개보수 창호용 창틀 지지장치
KR20210130668A (ko) 창호 개구부의 누수방지용 마감재
JPH0913797A (ja) 改装窓
JP3202448B2 (ja) 建物及び建物の改装方法
JP3232267B2 (ja) 改装サッシ
WO1989008767A1 (en) Improvements in the installation of roller shutters
KR101818291B1 (ko) 개보수 창호 마감용 조립체
KR101850575B1 (ko) 개보수 창호용 창틀
KR100589603B1 (ko) 리모델링 프레임
JPH0711226Y2 (ja)
JP4969190B2 (ja) シャッターの固定構造
KR100572570B1 (ko) 건축용 확장형 거실 창틀
JPS5811915Y2 (ja) 遮音窓
JPS6237910Y2 (ko)
KR20160133582A (ko) 발코니 개보수용 창호
JP2024056354A (ja) 改装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