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9603B1 - 리모델링 프레임 - Google Patents

리모델링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9603B1
KR100589603B1 KR1020030073790A KR20030073790A KR100589603B1 KR 100589603 B1 KR100589603 B1 KR 100589603B1 KR 1020030073790 A KR1020030073790 A KR 1020030073790A KR 20030073790 A KR20030073790 A KR 20030073790A KR 100589603 B1 KR100589603 B1 KR 100589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emodeling
building
wall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3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8444A (ko
Inventor
원명수
Original Assignee
원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명수 filed Critical 원명수
Priority to KR1020030073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9603B1/ko
Publication of KR20050038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8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9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9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 E06B1/6007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between similar contiguous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12Metal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모델링 공법 및 그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리모델링 대상자인 피 건물의 창문 또는 도어의 피 프레임의 대상을 선정하는 리모델링 건물 선정단계; 상기 피 건물에 매립된 상기 피 프레임의 바깥쪽에 씌워지며 마주보는 위치에 창문 또는 도어가 끼워지며 활주되는 적어도 한 쌍의 레일이 상응 형성되며 상기 피 프레임의 높이보다 높은 제2 프레임을 준비하는 준비단계; 상기 피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을 일체로 결합하는 결합단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일정 높이까지 위치되는 외벽을 설치하는 외벽 설치단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건물을 개축 및 증축하는 리모델링시 특히 창문이나 도어 프레임을 교체하지 않은 상태에서 리모델링이 가능토록 하여 공사비용 및 공사기간을 단축함은 물론 공사 기간 중에도 실내의 공간을 활용 가능토록 함으로써 경제적, 물질적, 또는 시간적 손실 등 다양하게 도출될 수 있는 손실을 줄인다.

Description

리모델링 프레임{Remodeling Frame}
도 1은 일반적인 벽체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공법 공정을 보인 플로우 챠트
도 3은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제2 프레임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제2 프레임을 피 프레임에 결합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외벽이 설치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본 발명은 리모델링 공법 및 그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을 개축 및 증축하는 리모델링시 특히 창문이나 도어 프레임을 교체하지 않은 상태에서 리모델링이 가능토록 하여 공사비용 및 공사기간을 단축함은 물론 공사 기간 중에도 실내의 공간을 활용 가능토록 함으로써 경제적, 물질적, 또는 시간적 손실 등 다양하게 도출될 수 있는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한 리모델링 공법 및 그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시공된 지 오래된 빌딩이나 일반 주택에서는 건물을 시공할 당시의 낙후된 기술력과 원자재 등의 사용으로 인하여 최근에 시공되는 신축 건물들에 비하여 방풍과 방음 및 단열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력 한계와 개량되지 않은 원자재를 이용하여 시공된 오래된 빌딩이나 일반 주택 등 건물에서는 최근에 시공된 신축 건물들에 비하여 난방에 필요한 전력 및 연료의 소비량이 증가하여 경제적으로 가시화되는 낭비에 대한 문제점이 심각하게 지적된다.
그러나 그와 같은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고 건물을 허물어트린 후 건물을 원자재 및 인건비의 상승에 의해 많은 비용이 소요되므로 최근에는 현존하는 건물의 골격은 유지한 채 실내, 외의 벽체에 방풍 및 소음차단의 기능을 하는 별도의 벽체를 부착하여 방풍 및 소음을 차단하는 리모델링 공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와 같은 리모델링 공법의 대표적인 예로는 건물 외벽에 방음 및 소음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는 스티로폼을 부착한 후 그 외측에 철사로 엮어져 제작된 망을 덧대고 다시 그 위에 외장재를 칠하는 드라이 비트라는 공법을 일 예로 들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은 리모델링 공법에 있어서도 방음과 방풍 및 단열의 기능을 만족할 정도로 수행하려면 기존의 창틀을 제거한 후 최근에 개발된 이중창 구조의 상품명 하이샤시라는 제품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방음 및 방풍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리모델링(창 교체)을 할 때에는 두 가지의 공정에 의해 완성되는데, 먼저 첫 번째 공정은 기존의 창틀을 제거한 후 새로운 창틀로 교체하는 공정이고, 두 번째 공정은 건물의 내, 외 벽체에 대해 내, 외장 공사를 하는 공정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상기한 공정 중 특히 창문이나 도어 프레임을 교체하는 공사를 할 경우에는 먼저, 도 1의 a와 같이 벽체(100)에 매설된 창문이나 도어 프레임(200)이 매입된 부분만큼 정과 망치나 프레카 등을 이용하여 벽체(100)를 쪼아낸 후 프레임(200)을 제거하고 다시 프레임(200)이 제거된 부분을 콘크리트 모르타르에 의해 평탄작업을 한 후 교체해야 할 프레임을 설치해야 했다.
그러나 상기한 공정을 진행하는 동안에 내, 외 벽체(100)의 일부가 도 1의 ⓐ로 표현된 바와 같이 프레임(200)을 제거한 부분과 벽체(100)의 일부가 파손될 수밖에 없는데 상기와 같은 요인에 의해 파손된 부분을 최초의 상태와 마찬가지로 다시 평탄하게 복원하기 위한 모르타르 공정을 진행해야 하고, 모르타르 공정이 완료되면 새로운 프레임으로 교체하기 위하여 모르타르가 완전히 건조될 때까지 대기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기존의 프레임을 제거한 후 새로운 프레임으로 교체하는 동안에는 공사기간이 많이 길어지고 많은 소음과 먼지 등이 발생하여 그에 따라 공사 중에도 내부공간은 제대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따라서, 작업공수가 많이 소요됨에 따라 발생하는 경제적인 손실은 예견된 것이고,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실내 사용이 어렵고 그에 따라 파생되는 경제적, 시간적 그리고 물질적 손실은 이루 헤아릴 수 없는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프레임(200)을 제거하는 공정 중 벽체의 두께가 부분적으로 파손되면 통상적으로 벽체(100)의 내부에는 단열재(110)가 존재하고, 벽체(100)의 내, 외 벽면에는 마감재인 벽지(120) 또는 타일(130)이나 기타 마감재가 구비된 구조에 의해 단열재(110)나 벽지(120) 또는 타일(130)이 리모델링 공사 중 파손될 경우에는 다시 파손된 부분을 복원해야 하므로 작업공수는 더더욱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지적된다.
뿐만 아니라 실내 측을 향한 프레임의 상측에 도면 표현을 생략한 커튼 박스가 설치될 경우에는 프레임(200)을 제거하는 공사 중에 커튼 박스는 물론 천장재까지 손상되는 문제점 또한 지적된다.
상기한 제반 문제점은 방음과 방풍 및 단열을 고려하여 창틀의 프레임만을 교체하거나 또는 외벽공사 중 어느 한 공사를 진행하는 동안에는 반드시 벽체에 콘크리트로써 매입된 프레임을 제거해야만 공사를 진행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에 기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했던 바와 같은 건물의 리모델링시 발생하였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물을 개축 및 증축하는 리모델링시 특히 창문이나 도어 프레임을 교체하는 공사기간을 단축함으로써 경제적인 손실을 줄일 수 있는 리모델링 공법 및 그 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창문이나 도어 기존프레임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리모델링 공사를 진행토록 함으로써 공사기간을 단축함은 물론 공사 기간 중에도 실내의 공간을 활용 가능토록 함으로써 경제적, 물질적, 또는 시간적 손실 등 다양하게 도출될 수 있는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한 리모델링 공법 및 그 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물을 리모델링하는 공정 중 특히, 프레임을 교체하는 공정 중 벽체나 천정이 부분적으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결국 연쇄적으로 파손될 수 있는 단열재와 벽지 또는 외장재인 타일 등이 파손되지 않도록 하여 공사기간을 줄일 수 있는 리모델링 공법 및 그 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리모델링 대상자인 피 건물의 창문 또는 도어의 피 프레임의 대상을 선정하는 리모델링 건물 선정단계; 상기 피 건물에 매립된 상기 피 프레임의 바깥쪽에 씌워지며 마주보는 위치에 창문 또는 도어가 끼워지며 활주 되는 적어도 한 쌍의 레일이 상응 형성되며 상기 피 프레임의 높이보다 높은 제2 프레임을 준비하는 준비단계; 상기 피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을 일체로 결합하는 결합단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일정 높이까지 위치되는 외벽을 설치하는 외벽 설치단계로 이루어지는 리모델링 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리모델링 대상자인 피 건물에 매입되며 창문 또는 도어가 끼워지는 피 프레임에 있어서, 하방 양측에 상기 피 프레임의 상방 외측에 장착되는 양측판과 양측판을 연결하는 수평판이 구비되고 상기 수평판의 상측 마주보는 위치에는 창문 또는 도어가 장착되는 적어도 한 쌍의 레일과 가이드 돌기가 배열된 제2 프레임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델링 프레임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프레임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의 재질로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종래와 동일한 부분,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재번호를 부여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리모델링 공법의 순서를 단계적으로 보인 플로우 차트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제2 프레임의 저면을 보인 실시 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서의 공사 순서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부연하면, 본 발명의 리모델링 공정 순서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그 과정 중에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함께 설명한다.
선정단계
본 발명이 적용될 리모델링 할 건물 대상을 선정한다.
물론, 상기와 같은 리모델링 할 건물은 시공된 지 오래되어 방음과 방풍 및 단열 상태가 열악한 건물일 것이다.
또 상기한 리모델링 할 건물은 그 벽체(100)에 창문 또는 도어를 장착하기 위한 피 프레임(200)이 일부 매입된 상태에서 그 상측 또는 하측이 노출된 상태라 할 수 있다.
준비단계
상기와 같이 리모델링할 건물이 선정되면 리모델링할 준비를 진행한다.
즉, 피 프레임(200)에 장착될 제2 프레임(300)을 준비한다.
상기 제2 프레임(300)은 하방 양측에 상기 피 프레임(200)의 상방 외측에 장착되는 양측판(310)이 수평판(320)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수평판(320)의 상측(또는 하측)의 마주보는 위치에는 창문 또는 도어가 장착되는 적어도 한 쌍의 레일(330)과 가이드 돌기(340)가 배열된다.
물론, 상기한 제2 프레임(300)은 도 3에 표현된 바와 같이 길이가 길게 제작된 상태에서 설정된 길이 만큼 절단되어 사용된다.
또 상기 제2 프레임(300)은 금속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합성수지로 제작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결합단계
상기와 같이 준비단계를 완료 후 설정된 길이로 절단된 제2 프레임(300)을 피 프레임(200)의 양측에 끼워 장착한다.
상기와 같이 제2 프레임(300)을 피 프레임(200)에 끼워 장착한 상태에서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피 프레임(200)과 제2 프레임(300)을 결합한다. (도 4 참조)
물론, 체결 부재는 피 프레임(200)과 제2 프레임(300)을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인 볼트에 한정되지 않고 나사못이나 리벳 등도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요구 조건을 원활하게 달성하기 위해서는 제2 프레임(300)의 양측판(310), 특히 수평판(320)을 기준으로 레일(330)과 돌기(340)가 형성되지 않은 측 부분의 길이 방향에는 다수의 결합공(35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벽 설치단계
상기와 같이 피 프레임(200)과 제2 프레임(300)의 결합이 완료되면 벽체(100)의 실 외측 표면에서 일정한 높이까지 덧씌워지도록 외벽(400)을 설치한다.
상기한 외벽(400)은 다수의 연결구(500)에 의해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며 설치될 수 있고 벽체(100)의 외측 면과 외벽(400)의 사이에는 도면 표현을 생략한 스티로폼 등이 매입될 수도 있고, 단열의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종류의 단열재가 매입되거나 또는 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
물론, 공간을 형성하거나 단열재가 매입되거나 관계없이 벽체(100)와 외벽(400)의 사이에는 외벽(400)을 벽체(100)에 대해 고정하기 위한 각목 등이 게재될 것이다.
따라서, 시공된 지 오래된 낡은 건물에 대해 리모델링을 하더라도 기존의 건물에 매입되어 있는 프레임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개축이나 증축 등 리모델링을 짧은 기간 내에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부연하면, 본 발명에서는 피 프레임(200)을 제거하지 않고 그 외측에 제2 프레임(300)을 결합한 상태에서 리모델링 공사가 진행되므로 제2 프레임(300)의 수평판(320)에서 그 상단부(또는 하단부)까지의 높이만 높아지므로 그 제2 프레임(300)에 장착되는 창문의 높이만 다소 낮아진다는 점은 감수해야 한다.
한편, 지금까지는 피 프레임에 제2 프레임을 장착한 후 외벽을 설치하는 공정에 대해서만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외벽을 설치 후 제2 프레임을 장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때에는 외벽에 의해 제2 프레임의 일부가 매입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제2 프레임의 양 측판 중 외벽을 향한 일 측은 다소 짧게 구성하거나, 또는 "ㄷ"자 형상을 갖는 별도의 보조 프레임을 피 프레임에 장착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물을 개축 및 증축하는 리모델링시 특히 창문이나 도어 프레임을 제거 및 교체하는 공사기간을 단축함으로써 경제적인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창문이나 도어 프레임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리모델링 공사를 진행토록 함으로써 공사기간을 단축함은 물론 공사 기간 중에도 실내의 공간을 활용 가능토록 함으로써 경제적, 물질적, 또는 시간적 손실 등 다양하게 도출될 수 있는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물을 리모델링하는 공정 중 특히, 프레임을 제거하는 공정 중 벽체 및 천정이 부분적으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결국 연쇄적으로 파손될 수 있는 단열재와 벽지 또는 외장재인 석재타일 등이 파손되지 않도록 하여 공사기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삭제
  2. 리모델링 대상자인 피 건물에 매입되며 창문 또는 도어가 끼워지는 피 프레임에 있어서,
    하방 양측에 상기 피 프레임의 상방 외측에 장착되는 양측 판,
    상기 양측 판이 연결되는 수평판,
    상기 수평판의 상측 마주보는 위치에는 창문 또는 도어가 장착되는 적어도 한 쌍의 레일과 가이드 돌기가 배열되고, 금속 또는 합성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의 재질로 구비되며, 상기 피 프레임과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제2 프레임; 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델링 프레임.
  3. 삭제
  4. 삭제
KR1020030073790A 2003-10-22 2003-10-22 리모델링 프레임 KR100589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790A KR100589603B1 (ko) 2003-10-22 2003-10-22 리모델링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790A KR100589603B1 (ko) 2003-10-22 2003-10-22 리모델링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444A KR20050038444A (ko) 2005-04-27
KR100589603B1 true KR100589603B1 (ko) 2006-06-15

Family

ID=37240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3790A KR100589603B1 (ko) 2003-10-22 2003-10-22 리모델링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96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759B1 (ko) 2011-04-15 2011-09-28 주식회사 플러스창호 신속하게 설치가능한 리모델링용 시스템 도어 및 그 시공방법
KR101522541B1 (ko) * 2014-07-21 2015-06-25 정하음 에너지 절감구조를 갖는 방화문 설치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759B1 (ko) 2011-04-15 2011-09-28 주식회사 플러스창호 신속하게 설치가능한 리모델링용 시스템 도어 및 그 시공방법
KR101522541B1 (ko) * 2014-07-21 2015-06-25 정하음 에너지 절감구조를 갖는 방화문 설치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444A (ko) 2005-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52330A (en) Curtain wall assembly
US5452552A (en) Leakproof framed panel curtain wall system
US9920521B2 (en) Construction panel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CN104251089B (zh) 一种门窗型材及其安装方法
US20070204535A1 (en) Method of installing windows into a concrete structure
US2313839A (en) Building construction
KR20190099604A (ko) 기존 커튼월의 단열 성능 향상용 덧댐 창호가 구비되는 커튼월 시스템
JPH0748936A (ja) 建物の外壁改装構造
KR100589603B1 (ko) 리모델링 프레임
CN112252525A (zh) 一种预制装配式隔断墙结构
JPS5817869B2 (ja) タテモノノ ガイヘキカイソウホウホウ
KR100442482B1 (ko) 창호의 개보수 구조 및 방법
JP3207797B2 (ja) 改装サッシ
KR20090005274A (ko) 건물의 외벽면 샌드위치 판넬 시공구조
JPH08302871A (ja) 間仕切壁一体パネル及び間仕切壁の施工方法
CN112854543A (zh) 一种卡卧式墙体的门窗结构和门窗施工方法
CN104631858A (zh) 一种预制装配式住宅的安装方法
RU2733353C1 (ru) Паропроницаемая фасадная система
CN110761446A (zh) 一种t型装配式墙体的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
CN218028313U (zh) 一种稳定性好的装配式建筑用的连接装置
JPH0347358A (ja) パネルの目地構造
CN217379390U (zh) 标准截面杆件的集成墙构造
JP3232267B2 (ja) 改装サッシ
KR20110032685A (ko) 신축 및 리모델링 용이성을 고려한 창호형 표준 마무리재 및 그를 이용한 창호 개구부 구조
CN219344453U (zh) 一种钢结构凸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