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5274A - 건물의 외벽면 샌드위치 판넬 시공구조 - Google Patents
건물의 외벽면 샌드위치 판넬 시공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05274A KR20090005274A KR1020080129157A KR20080129157A KR20090005274A KR 20090005274 A KR20090005274 A KR 20090005274A KR 1020080129157 A KR1020080129157 A KR 1020080129157A KR 20080129157 A KR20080129157 A KR 20080129157A KR 20090005274 A KR20090005274 A KR 2009000527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ilding
- sandwich panel
- plate
- wall
- construc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10440 gypsum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29910052602 gypsum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4035 construc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4566 build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449 bri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083 cement mort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282 Nail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60 Reticul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94 expanded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89 faste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9 marb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60 m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Abstract
본 발명은 철골조로 이루어지는 건물의 외벽면의 외장마감재의 내측에 시공되는 샌드위치판넬 시공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의 외벽면에 설치되는 마감외장판넬의 내측에 2장의 판넬 사이의 내부에 보온단열재가 함침된 샌드위치판넬을 건물의 외벽면 마감 단열재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 값싼 샌드위치판넬을 이용함으로써 건물의 시공단가를 크게 절감하고 보온 및 단열효과는 물론 소음차단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단열재나 기타 경량트러스, 집섬보드와 같은 건축자재를 설치함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건물이 내측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건물의 외벽면 샌드위치판넬 시공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H빔형강과 같은 철골조 건물의 외벽에 시공되는 외장마감재의 내측에 건물의 단열마감재로 샌드위치판넬을 시공하는 샌드위치판넬 시공구조에 있어서, 건물의 골조를 구성하는 H빔 골조(101)에 볼트(11)체결되는 양측의 지지브라켓(10)(10)과; 상기 양측의 지지브라켓(10)(10)의 내측에 하단이 장입되고 상기 양측의 지지브라켓(10)(10)을 관통하는 장볼트(21)에 의해 체결되는 고정브라켓(20)과; 상기 고정브라켓(20)의 외면에 내부판(31)이 밀착되고 내부판(31)과 외부판(32) 및 이 내/외부판(31)(32) 사이에 보온단열부재(33)가 내삽되는 샌드위치판넬(30)과; 상기 샌드위치판넬(30)의 외부판(32)에 밀착되어 건물의 외장마감재가 표면에 체결되는 지지앵글(40)과; 상기 지지앵글(40)의 외부측에서 삽입체결되어 상기 샌드위치판넬(30)의 외부판(32)과 내부판(31)을 지나 상기 고정브라켓(20)의 외면 내측으로 장입되어 고정되는 체결핀(50)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건물, 샌드위치판넬, 외벽면시공
Description
본 발명인 H빔 형강과 같은 철골조로 이루어지는 철골조 건물의 외벽면에 단열 마감재인 샌드위치 판넬을 설치하여 마감하는 건물이 외벽면 샌드위치 판넬 시공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보온단열재가 내삽된 샌드위치 판넬을 철골조의 마감재로 활용하여 간단하게 시공하도록 함으로써, 시공의 편의성 및 공사기간의 단축성을 도모하고 값싼 샌드위치 판넬을 이용하여 공사비용의 절감을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열재나 기타 경량트러스, 집섬보드와 같은 단열 마감재를 설치함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건물이 내측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건물의 외벽면 샌드위치 판넬 시공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외벽에 시공되는 판상 마감재는 시멘트 모르타르나 에폭시수지접착제 등의 건축용 접착재를 통하여 벽체에 직접 부착되거나, 마감재 자체를 관통하는 나사못, 또는 마감재와 벽체를 연결하는 절곡된 금속판 등의 기계적 결합수단을 통하여 벽면에 고정되게 된다.
특히, 근래에 들어 건축물의 고급화 추세에 따라 H빔과 같은 철골조로 건물 의 골조를 구성하고 벽면용 마감재로 자연석을 비롯한 각종 석재가공물이나 세라믹 재질의 판넬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중량 마감재의 부착수단으로서 기계적 고정수단을 이용한 건식부착공법이 선호되고 있다.
전형적인 판상 마감재의 건식부착공법으로는 절곡된 금속판으로 고정편을 구성하고 이 고정편과 고정나사를 통하여 마감재와 건물의 외벽체를 연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는데, 고정편과의 연결을 위한 구멍이나 홈을 마감재에 천공하고 나사나 못을 이용하여 마감재와 고정편을 연결한 후, 고정나사로 고정편을 벽체에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건식부착공법을 통하여, 시멘트모르타르 등을 사용하는 습식공법에 비하여 작업속도나 부착품질 면에서 많은 개선이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으나, 마감재에 고정편과의 연결을 위한 구멍이나 홈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마감재가 파손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고정편을 벽체에 부착하는 공정 이전에 고정편과 마감재를 연결하는 공정이 선행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근자들어서는 20층 이상의 고층건물이 콘크리트 외벽면이 아닌 판넬이나 대리석 또는 유리와 같은 재질에 의해 시공되는 바, 종래 건식공법에 있어서의 시공구조는 고층건물의 외벽면을 마감함에 있어서, 판넬을 견고하게 시공하지 못함으로써, 판넬이 지상으로 떨어지거나 하는 것에 의해 보행자에게 치명적인 안전사고를 유발하거나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사용되는 건식공법의 건물의 외벽면 마감재는, 주로 세라믹과 같은 판넬을 사용하고 있는 바, 이러한 종래 건식공법의 외벽면 마감재의 경우 단열 효과가 크게 향상되지 못함으로써, 별도의 단열재나 기타 경량트러스, 집섬보드와 같은 건축자재를 건물의 내측에 시공하여야 함에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즉, 별도의 단열재나 기타 경량트러스, 집섬보드와 같은 건축자재를 시공함에 있어서, 일일이 단열재나 경량트러스 및 집섬보드와 같은 건축자재를 절단하여 맞추어 시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만큼 시공기간이 지연되고 또한 시공되는 단열용 건축자재들에 의해 건물의 내측공간이 많이 점령되어 건물 내측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단열 및 보온효과가 큰 샌드위치판넬의 경우, 이미 주지된 바와 같이 조립식 건물의 벽면체와 같은 건축자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판넬과 판넬 사이에 보온재가 격자형 또는 하니콤 방식으로 내삽되어 있음에 따라 단열 및 보온효과에서 큰 기대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샌드위치판넬은 값이 저렴하고 가격대비 단열과 보온 및 소음차단 효과가 크다는 장점이 있지만, 샌드위치판넬을 이용하여 건물의 외벽면 단열 마감재로 사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따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다시 말해, 샌드위치판넬을 높은 고층의 건물의 외벽면 단열 마감재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샌드위치판넬을 보다 견고하게 시공하여 체결하여야 하는 바, 종래 사용되고 있는 건물의 외벽면 시공구조에 있어서는 샌드위치판넬을 높은 위치에서 견고하게 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값싼 샌드위치판넬을 높은 고층 건물의 외벽면 단열 마감재로 사용할 수 있는 샌드위치판넬 시공구조가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311267호인 건물 외벽 치장용 샌드위치판넬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외측판과 내측판 사이에 발포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진 단열재가 설치된 샌드위치 판넬에 있어서, 상기 외측판의 판면에 매쉬 가공으로 요철부가 형성되어 장식용 벽돌 또는 타일의 부착을 위한 몰탈의 부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샌드위치 판넬을 마감이 가능한 시설 건축물의 자재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샌드위치 판넬의 기능이 다양화됨으로써 이를 이용한 외벽을 보다 효율적으로 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샌드위치 판넬에 장식용 벽돌이나 타일 등을 용이하게 부착함으로써 건물의 외벽을 보다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샌드위치판넬은, 철골조로 건설되는 철골조 건물이 아닌 시멘트와 같은 종래 습식방식의 건물의 외벽면을 마감하기 위한 것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철골조로 이루어지는 건물의 외벽면에 건식공법으로 샌드위치판넬을 시공하기에는 많은 무리가 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종래 철골조로 이루어지는 건물의 외벽면을 마감함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건물의 외벽면에 설치되는 마감외장판넬의 내측에 2장의 판넬 사이의 내부에 보온단열재가 함침된 샌드위치판넬을 건물의 외벽면 마감 단열재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 값싼 샌드위치판넬을 이용함으로써 건물의 시공단가를 크게 절감하고 보온 및 단열효과는 물론 소음차단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단열재나 기타 경량트러스, 집섬보드와 같은 건축자재를 설치함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건물이 내측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건물의 외벽면 샌드위치판넬 시공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건물의 외벽면 샌드위치판넬 시공구조는, 건물의 골조를 구성하는 H빔 골조에 볼트체결되는 양측의 지지브라켓과; 상기 양측의 지지브라켓의 내측에 하단이 장입되고 상기 양측의 지지브라켓을 관통하는 장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외면에 내부판이 밀착되고 내부판과 외부판 및 이 내/외부판 사이에 보온단열부재가 내삽되는 샌드위치판넬과; 상기 샌드위치판넬의 외판에 밀착되는 지지앵글과; 상기 지지앵글의 외부측에서 삽입체결되어 상기 샌드위치판넬의 외부판과 내부판을 지나 상기 고정브라켓의 외면 내측으로 장입되어 고정되는 체결핀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인 건물의 외벽면 샌드위치판넬 시공구조는, 내부판과 외부판의 2장의 판재 사이에 내삽되는 보온단열재로 이루어지는 샌드위치판넬을 철골조로 이루어지고 외장마감재가 시공되는 건물의 H빔과 외장마감재 사이에 건물의 단열 마감재로 시공함에 있어서, H빔에 체결되는 지지브라켓과, 이 고정브라켓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 및 지지앵글에 의해 샌드위치판넬이 건물의 골조를 구성하는 H빔 철골조의 외면에 견고하게 시공될 수 있음으로써 값싼 샌드위치판넬을 이용한 건물의 외벽면 단열 마감시공이 가능하여 공사기간의 단축 및 작업효율성을 향상하고, 공 사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샌드위치판넬의 보온단열 및 소음차단효과에 의해 단열재나 기타 경량트러스, 집섬보드와 같은 단열 건축자재를 시공함에 따라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며 건물의 내측공간의 활용성을 크게 넓힐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건물의 외벽면 샌드위치판넬 시공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건물의 외벽면 샌드위치판넬 시공구조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시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건물의 외벽면 샌드위치판넬 시공구조가 건물의 외장마감재의 내측에 시공되는 것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건물의 외벽면 샌드위치판넬 시공구조는, H빔과 같은 철골조로 건설되고 외장마감재가 외벽면에 시공되는 건물의 단열마감재를 샌드위치판넬로 시공하는 시공구조로서, 건물의 골조를 구성하는 H빔 골조(101)에 볼트(11)체결되는 양측의 지지브라켓(10)(10)과, 상기 양측의 지지브라켓(10)(10)의 내측에 하단이 장입되고 상기 양측의 지지브라켓(10)(10)을 관통하는 장볼트(21)에 의해 체결되는 고정브라켓(20)과, 상기 고정브라켓(20)의 외면에 내부판(31)이 밀 착되고 내부판(31)과 외부판(32) 및 이 내/외부판(31)(32) 사이에 보온단열부재(33)가 내삽되는 샌드위치판넬(30)과, 상기 샌드위치판넬(30)의 외부판(32)에 밀착되는 지지앵글(40)과, 상기 지지앵글(40)의 외부측에서 삽입체결되어 상기 샌드위치판넬(10)의 외부판(32)과 내부판(31)을 지나 상기 고정브라켓(20)의 외면 내측으로 장입되어 고정되는 체결핀(50)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샌드위치판넬(30)은 일정한 크기로 제작한 다음, 샌드위치판넬(30)과 또 다른 샌드위치판넬(30)이 서로 밀착되는 샌드위치판넬(30)의 측부에 연결홈부(30a)와 연결돌기부(30b)를 구성하여 이들의 연결홈부(30a)와 연결돌기부(30b)를 서로 맞대어 연결하는 것에 의해 여러 장의 샌드위치판넬(30)을 연결하여 건물의 외벽을 마감한다.
상기 샌드위치판넬(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판(31)과 외부판(32) 그리고, 내부판(31)과 외부판(3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내삽된 보온단열부재(33)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샌드위치판넬(30)은 보온 및 단열은 물론 소음차단효과가 뛰어나고 가격이 저가인 건축자재로 이미 조립식 주택의 외벽이나 내벽체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샌드위치판넬(30)을 지지브라켓(10)과 고정브라켓(20) 및 지지앵글(40)과 체결핀(50)으로 간단하고 용이하게 철골조로 구성되는 건물의 H빔 골조(101)의 외면에 시공되는 외장마감재(102)의 내측에 시공함으로써, 공사기간의 단축은 샌드위치판넬(30) 자체가 갖고 있는 보온단열은 물론 소음차단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 건물의 단열마감재로서 시공되던 단열재나 기타 경량트러 스, 집섬보드와 같은 건축자재를 건물의 내측에 시공함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값싼 저가의 샌드위치판넬을 이용하여 건물의 외벽면 단열마감재로 활용함으로써 공사비용의 절감효과를 크게 얻을 수 있다.
더욱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샌드위치판넬(30)의 외부측에 설치되는 외장마감재(102)가 샌드위치판넬(30)에 구성되는 지지앵글(40)에 의해 설치되면, 상기 외장마감재(102)와 외장마감재(102)의 사이에 줄눈이 형성되지 않아 통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기유입에 의해 상승기류가 형성되어 결로방지 및 시각적인 입체감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외장마감재(102)와 외장마감재(102) 사이에 형성되는 줄눈(공간부)에 도포되는 실리콘에 의해 주변 오염이 방지된다.
뿐만 아니라, 매벽구조를 저렴하고 단열성 높은 샌드위치판넬을 이용함으로써 끊김이 없이 연속적으로 옆으로 연결하여 끼우는 방식으로 설치가 가능하고 이에 따라 시공원가의 절감효과 및 공사기간의 단축은 물론,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인 건물의 외벽면 샌드위치판넬 시공구조는,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건물의 외벽면 샌드위치판넬 시공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건물의 외벽면 샌드위치판넬 시공구조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시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건물의 외벽면 샌드위치판넬 시공구조가 건물의 외장마감재의 내측에 시공되는 것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지브라켓 11 : 볼트
20 : 고정브라켓 21 : 장볼트
30 : 샌드위치판넬 31 : 내부판
32 : 외부판 33 : 보온단열부재
34 : 내삽홈부 40 : 지지앵글
50 : 체결핀 101 : H빔 골조
102 : 외장마감재
Claims (1)
- H빔형강과 같은 철골조 건물의 외벽에 시공되는 외장마감재의 내측에 건물의 단열마감재로 샌드위치판넬을 시공하는 샌드위치판넬 시공구조에 있어서,건물의 골조를 구성하는 H빔 골조(101)에 볼트(11)체결되는 양측의 지지브라켓(10)(10)과;상기 양측의 지지브라켓(10)(10)의 내측에 하단이 장입되고 상기 양측의 지지브라켓(10)(10)을 관통하는 장볼트(21)에 의해 체결되는 고정브라켓(20)과;상기 고정브라켓(20)의 외면에 내부판(31)이 밀착되고 내부판(31)과 외부판(32) 및 이 내/외부판(31)(32) 사이에 보온단열부재(33)가 내삽되는 샌드위치판넬(30)과;상기 샌드위치판넬(30)의 외부판(32)에 밀착되어 건물의 외장마감재가 표면에 체결되는 지지앵글(40)과;상기 지지앵글(40)의 외부측에서 삽입체결되어 상기 샌드위치판넬(30)의 외부판(32)과 내부판(31)을 지나 상기 고정브라켓(20)의 외면 내측으로 장입되어 고정되는 체결핀(50)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외벽면 샌드위치판넬 시공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29157A KR20090005274A (ko) | 2008-12-18 | 2008-12-18 | 건물의 외벽면 샌드위치 판넬 시공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29157A KR20090005274A (ko) | 2008-12-18 | 2008-12-18 | 건물의 외벽면 샌드위치 판넬 시공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5274A true KR20090005274A (ko) | 2009-01-13 |
Family
ID=40487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29157A KR20090005274A (ko) | 2008-12-18 | 2008-12-18 | 건물의 외벽면 샌드위치 판넬 시공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05274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822034A (zh) * | 2016-05-17 | 2016-08-03 | 安徽宝翔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 保温外墙板组合 |
CN109469220A (zh) * | 2018-10-15 | 2019-03-15 | 筑梦高科建筑有限公司 | 一种保温外墙及其建筑施工工艺 |
KR102313681B1 (ko) * | 2021-03-17 | 2021-10-18 | 백인향 | 엘리베이터 공사용 가설 구조물 |
-
2008
- 2008-12-18 KR KR1020080129157A patent/KR20090005274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822034A (zh) * | 2016-05-17 | 2016-08-03 | 安徽宝翔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 保温外墙板组合 |
CN109469220A (zh) * | 2018-10-15 | 2019-03-15 | 筑梦高科建筑有限公司 | 一种保温外墙及其建筑施工工艺 |
CN109469220B (zh) * | 2018-10-15 | 2021-02-19 |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 一种保温外墙及其建筑施工工艺 |
KR102313681B1 (ko) * | 2021-03-17 | 2021-10-18 | 백인향 | 엘리베이터 공사용 가설 구조물 |
KR20220129991A (ko) * | 2021-03-17 | 2022-09-26 | 백인향 | 접이식으로 보관이 용이한 엘리베이터 공사용 가설 구조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56741B1 (ko) | 구조용 복합 경량 패널을 이용한 건축물 및 그 시공 방법 | |
JP2009035998A (ja) | 外断熱・隣地空き無しrc建築工法 | |
CN101131002A (zh) | 模卡式拼装防水保温板及施工方法 | |
KR101254430B1 (ko) | 건물의 외벽면 마감 유니트 | |
KR100512119B1 (ko) | 단열보드를 이용한 외단열 시공 방법 | |
KR20050073708A (ko) | 건물 벽체용 일체형 적층 복합패널과 이를 이용한 건물의벽체 시공 방법 | |
CN212453778U (zh) | 便于快速拆装的多层建筑 | |
KR20090005274A (ko) | 건물의 외벽면 샌드위치 판넬 시공구조 | |
KR101061030B1 (ko) | 건물의 벽체 구조물 | |
KR101336667B1 (ko) | 벽면에 내/외장재로 시공되는 조립식 패널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
RU2282697C1 (ru) |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многослойной стены здания | |
JP2002339473A (ja) | 外側断熱ブラケット付パネル | |
JP4295640B2 (ja) | 既存外装壁の耐震改修構造 | |
CN201614670U (zh) | 建筑用隔热基板 | |
RU2544181C2 (ru) | Система дополнительной изоляции и способ изоляции фасада | |
CN112127659A (zh) | 便于快速拆装的多层建筑 | |
KR101569242B1 (ko) | 단열재 부착용 보조패널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방법 | |
KR101776783B1 (ko) | 건축 시공용 일체형 모듈블록 | |
KR101303473B1 (ko) | 건물의 외벽면 마감 유니트 | |
EP3015620B1 (en) | Panel for the enclosure and external thermal insulation of façades and roofs, and the installation procedure | |
CN217420220U (zh) | 填充固体废弃物的复合墙板 | |
JP6043072B2 (ja) | 耐震断熱改修構造 | |
KR20120140284A (ko) | 욕실용 덕트마감재의 시공방법 | |
CN201620466U (zh) | 工业化建造板式全装饰全装配钢混节能抗震建筑 | |
KR200438491Y1 (ko) | 천정마감용 등박스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B601 |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726 Effective date: 2011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