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4906B1 - 창호의 리모델링 방법 - Google Patents

창호의 리모델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4906B1
KR101264906B1 KR1020110035116A KR20110035116A KR101264906B1 KR 101264906 B1 KR101264906 B1 KR 101264906B1 KR 1020110035116 A KR1020110035116 A KR 1020110035116A KR 20110035116 A KR20110035116 A KR 20110035116A KR 101264906 B1 KR101264906 B1 KR 101264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window
integrated
frame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5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7385A (ko
Inventor
우상진
Original Assignee
현대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728535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26490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플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5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4906B1/ko
Publication of KR20120117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7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4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4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0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06B3/1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창과 외부창이 일체로 이루어진 일체형 창틀을 이미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창틀 위에 덧대어 이들을 한번에 일체로 고정시켜 창호를 시공함으로써, 시공과정이 간단하여 시공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창호의 리모델링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일체형 창틀의 외부에 몰딩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마감 공정 없이도 창틀의 외부를 마감할 수 있게 한 창호의 리모델링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앵커를 이용하여 일체형 창틀과 기존의 창틀을 관통하여 콘크리트에 박히도록 일체형 창틀을 장착함으로써, 창틀의 장착력을 높여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한 창호의 리모델링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창호의 리모델링 방법{REMODELING METHOD FOR WINDOW AND DOOR}
본 발명은 창호의 리모델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측창과 외측창이 일체로 이루어진 일체형 창틀을 이미 설치되어 있던 내외창틀 위에 올려 놓고, 이 일체형 창틀을 기존의 창틀과 함께 일체로 장착함으로써, 리모델링시 공정을 줄여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는 창호의 리모델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의 리모델링 방법에는 기존의 창호를 철거한 다음 새로운 창호를 시공하는 방법과, 기존의 창호를 그대로 활용하여 그 위에 덧대는 방법이 있다.
특허문헌1에는 기존의 창호의 개보수 방법 중에서 덧대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개보수 방법은, 내부창틀(11) 및 외부창틀(12)의 2중구조를 이루고 있는 기존의 창틀(10)에서 창문 및 유리를 철거하는 예비단계; 상기 기존창틀(10)상에 소정높이를 이루도록 받침패드(23) 및 제1단열패드(24)를 각각 고정부재(23a,24a)를 이용하여 고정설치하는 패드설치단계; 상기 받침패드(23)에 의해 저면이 지지되어지는 외부프레임(22)을 설치하는 외부프레임 설치단계; 상기 설치되어진 외부프레임(22)의 일측 상부면에 제2단열패드(25)를 고정부재(25a)를 이용하여 고정설치하여 상기 제1단열패드(24)와 동일한 높이를 이룬 후, 제1단열패드(24) 및 제2단열패드(25)위에 안착되어지는 내부프레임(21)을 설치하여 복수의 고정부재(24b,25b)를 이용하여 관통 체결함으로서 상기 외부프레임(22)의 위치를 함께고정시키는 내부프레임 설치단계; 외부프레임(22)의 실외측에는 후레싱커버(27)를 설치하고, 내부프레임(21)의 실내측 제1단열패드(24) 단차부(24')에는 기존내부창틀(11)의 내측돌출폭에 따라 마감조절이 가능한 내부마감용 몰딩(28)이 설치되어지는 마감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개보수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1) 받침패드와 단열패드를 별도의 공정으로 하여 시공하기 때문에, 그만큼 시공공정이 많아진다. 이는 시공시간과 시공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2) 새로 설치되는 신규창틀의 내부창틀 부분이 기설치된 내부창틀에만 고정설치되기 때문에, 신규창틀의 장착력이 약화로 흔들림이나 심하면 기설치된 창틀로부터 빠질 우려가 있었다. 이에, 새로 설치된 신규창틀이 파손되거나 탈거된 신규창틀에 의하여 부상을 당하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3) 받침패드를 먼저 내측창틀에 장착한 다음 그 위에 신규창틀을 장착하기 때문에, 신규창틀의 장착시 이용되는 고정부재가 받침패드를 고정시킨 고정부재와 간섭이 생길 우려가 있었다. 즉, 먼저 박혀 있던 고정부재에 새로운 고정부재가 휘어지거나 제대로 박히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는 신규창틀의 파손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으며, 고정부재를 설치하는 자국이 남아 미관을 해치는 요인이 되었다.
4) 신규창틀이 내부프레임과 외부프레임으로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을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과정이 필요하고, 특히 이들 내부프레임과 외부프레임의 수평을 맞춰 시공해야 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어려움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42482호(2004년 07월 21일)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내부창과 외부창이 일체로 이루어진 일체형 창틀을 이미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창틀 위에 덧대어 이들을 한번에 일체로 고정시켜 창호를 시공함으로써, 시공과정이 간단하여 시공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창호의 리모델링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일체형 창틀의 외부에 몰딩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마감 공정 없이도 창틀의 외부를 마감할 수 있게 한 창호의 리모델링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앵커를 이용하여 일체형 창틀과 기존의 창틀을 관통하여 콘크리트에 박히도록 일체형 창틀을 장착함으로써, 창틀의 장착력을 높여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한 창호의 리모델링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창호의 리모델링 방법은, 기설치되었던 내측창틀과 외측창틀로부터 각각 내측창과 외측창을 탈거하는 제1단계; 내측창틀과 외측창틀의 상부에 각각 기밀유지 및 높이조절용 받침패드를 설치하는 제2단계; 받침패드 위에 내측창틀과 외측창틀이 일체로 이루어진 일체형 창틀을 상기 내측창틀과 외측창틀에 관통되게 하여 장착하는 제3단계; 일체형 창틀의 실내측과 실외측에 대하여 마감처리하는 제4단계; 및 일체형 창틀에 각각 새로운 내측창과 외측창을 장착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제3단계는, 앵커로 일체형 창틀의 실외측에 구비된 보강부재와 받침패드 그리고 기존의 외측창틀을 관통하여 콘크리트에 박히게 하고, 피스로 일체형 창틀의 실내측에 구비된 보강부재와 받침패드를 관통하여 기존의 내측창틀에 박히도록 장착하는 단계; 및 앵커와 피스를 박기 위하여 일체형 창틀의 윗면에 형성된 장착구멍을 기밀부재(231, Filling Piece)로 마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4단계는, 실내측에는 내측창틀과 동일한 재질 또는 동질감을 주는 마감부재로 마감하고;, 실외측에는, 일체형 창틀의 하단부와 콘크리트 사이의 간격이 20㎜ 미만인 경우, 일체형 창틀의 하단부와 콘크리트 사이에 씰링코킹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일체형 창틀의 하단부와 콘크리트 사이의 간격이 20㎜ 이상일 경우, 상기 제4단계는, 실내측에는 내측창틀과 동일한 재질 또는 동질감을 주는 마감부재로 마감하고; 실외측에는 일체형 창틀의 하단부와 콘크리트 사이에 외장부재를 덧대고 그 접촉부분에 씰링코킹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제5단계는, 전처리 공정으로서 일체형 창틀에 방충망을 먼저 장착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창호의 리모델링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시공공정이 간단하여 쉽게 창호의 개보수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2) 내측창과 외측창이 일체로 이루어진 일체형 창틀을 이용하기 때문에, 기존의 창틀 위에 수평이 맞춰진 상태에서 바로 일체형 창틀을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이 용이하다.
3) 일체형 창틀이 앵커를 이용하여 기설치된 기존창틀을 관통하여 콘크리트에 장착되기 때문에, 일체형 창틀의 장착력을 높일 수 있어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다.
4) 이처럼 견고하게 장착된 일체형 창문은 바람 등에 의한 흔들림이나 기존창틀로부터 빠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어, 이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5) 기설치된 창틀과 동일 유사한 재질로 이루어진 마감재로 마감함으로써, 동질성을 느끼게 하면서도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의 리모델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단계별로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창호의 리모델링 방법)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의 리모델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단계별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1000"은 기존의 내측창틀과 외측창틀이 장착된 콘크리트를, "IF"는 내측창틀을, "OF"은 외측창틀을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의 리모델링 방법은, 새로운 일체형 창틀(200)을 장착할 수 있게 준비하는 제1단계, 내측창틀(IF)과 외측창틀(OF)의 높이를 조절하여 수평을 맞추기 위한 제2단계, 일체형 창틀(200)을 장착하는 제3단계, 일체형 창틀(200)의 실내측과 실외측을 마감하는 제4단계, 그리고 일체형 창틀(200)에 각각 새로운 내측창(400a)과 외측창(400b)을 끼워서 설치하는 제5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이들을 각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단계는, 도 1a에서와 같이, 새로운 창틀(200)을 장착할 수 있게 준비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하여, 제1단계에서는 내측창틀(IF)과 외측창틀(OF)로부터 여기에 각각 설치되었던 내측창(IW)과 외측창(OW)을 탈거한다.
제2단계는, 도 1b와 같이, 일체형 창틀(200)를 장착하기 위하여 수평을 맞추는 단계이다. 이때의 수평은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내측창틀(IF)과 외측창틀(OF)의 윗면에 각각 받침패드(100)를 올려 놓음에 따라 수행된다.
이때, 각 받침패드(100)는 두께가 다른 것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이는 기설치된 내측창틀(IF)과 외측창틀(OF)의 높이차에 기인하며, 기존창호의 노후화된 변형훼손부위의 수평 높이 조절 및 구조보강 역할도 한다. 또한, 이러한 받침패드(100)는 수평유지 뿐만 아니라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기밀작용, 그리고 내측창틀(IF)과 외측창틀(OF)의 높이차에 따른 높이조절 기능을 함께 갖는다.
제3단계는, 도 1c와 같이, 일체형 창틀(200)을 기존의 내측창틀(IF)과 외측창틀(OF)에 장착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일체형 창틀(200)은 내측틀과 외측창틀이 일체로 형성되며, 이 내측창틀과 외측창틀에는 내부에 각각 자체 강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내측과 실외측에 각각 보강부재(210)가 구비된다. 또한, 이들 보강부재(210)의 상부에는 각각 앵커(220a)와 피스(220b)를 장착할 수 있도록 장착구멍(2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장착구멍(230)에는 이물질이나 빗물 등의 유입으로 보강부재(210)나 앵커의 녹 발생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밀부재(231, Filling Piece)가 끼움 설치된다.
또한, 일체형 창틀(200)의 실외측인 바깥쪽에는 방충망지지부(240)와, 이 방충망지지부(240)의 하부 테두리로부터 아래로 향하여 마감부(250)가 일체로 돌출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일체형 창틀(200)은 받침패드(100) 위에 위치하도록 끼운 다음 복수의 앵커(220a)와 피스(220b)를 장착구멍(200)에 끼워 고정시킨다.
앵커(220)는 통상적으로 콘크리트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창틀과 함께 관통되게 하여 장착한다. 이때, 앵커(220a)는 보강부재(210)와 받침패드(100) 그리고 외측창틀(OF)을 관통하여 콘크리트(1000)에 박히게 하고, 피스(220b)는 보강부재(210)와 받침패드(100)를 관통한 다음 내측창틀(IF)에 박히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피스(220b)는 기존의 설치된 내측창틀(IF)이 목재인 경우 이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만일 내측창틀(IF)도 외측창틀(OF)과 같이 알루미늄과 같은 프레임으로 제작된 경우에는 앵커(220a)를 이용한다.
마지막으로, 장착구멍(23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기밀부재(231, Filling Piece)로 마감한다. 이러한 기밀부재(231)는 제조나 시공시 창틀에 형성된 구멍을 마감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된 것을 이용한다.
제4단계는, 도 1d와 같이, 일체형 창틀(200)의 실내측과 실외측을 마감하는 단계이다.
이때, 실내측은 통상적으로 실내마감재로서 사용되는 내부마감부재를 마감부재(300a)로서 이용한다. 그리고, 이러한 마감부재(300a)는 가능한 한 내측창틀(IF)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거나, 동질감을 줄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기존의 내측창틀(IF)이 목재인 경우, 마감부재(300a)는 목재를 이용하거나, 표면이 목재와 같은 느낌을 주도록 가공된 몰딩을 이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실외측의 마감은 일체형 창틀(200)의 바깥쪽에 형성된 마감부(250)에 의해 일차로 이루어진다. 즉, 마감부(250)는 일체형 창틀(200)의 아래로 돌출되어 있어서, 일체형 창틀(200)의 바닥면과 콘크리트(1000)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는 경우 그 사이를 마감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실외측의 마감은 씰링코킹(S)만으로 마감하거나 외장부재(300b)를 이용하여 마감하는 단계를 더 거칠 수 있다. 이러한 마감단계는 이 마감부(250)의 단부와 콘크리트(1000) 사이의 간격에 따라 수행된다.
즉, 마감부(250)의 단부와 콘크리트(1000) 사이의 간격이 20㎜ 미만인 경우, 도 1c와 같이, 씰링코킹(S)만으로 이 간격을 마감한다.
하지만, 이 간격이 20㎜ 이상이면 미관을 해치거나 이물질의 유입 그리고 바람에 의하여 일체형 창틀(200)이 떨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1d와 같이, 마감부(250)와 콘크리트(1000) 사이에 외장부재(300b)를 덧댄 다음 이들이 접하는 부분에 대하여 씰링코킹(S) 처리하여 마감한다.
제5단계는, 도 1e와 같이, 일체형 창틀(200)에 각각 새로운 내측창(400a)과 외측창(400b)을 장착한다. 이러한 장착은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제5단계에서는, 전처리 공정으로서 방충망(500)을 더 장착할 수 있다. 이때의 방충망(500)은 상기 일체형 창틀(200)의 방충망지지부(240)에 장착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측창틀과 외측창틀이 일체로 이루어진 일체형 창틀을 받침패드로 수평을 조절한 다음 바로 기존에 장착된 창틀에 장착하여 시공함으로써, 시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쉽고 빠르게 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 받침패드 200 : 일체형 창틀
210 : 보강부재 220a : 앵커
220b : 피스 230 : 장착구멍
231 : 마감부재 240 : 방충망지지부
250 : 마감부 300a : 마감부재
300b : 외장부재 400a : 내측창
400b : 외측창 500 : 방충망

Claims (5)

  1. 삭제
  2. 기설치되었던 내측창틀(IF)과 외측창틀(OF)로부터 각각 내측창과 외측창을 탈거하는 제1단계;
    상기 내측창틀(IF)과 외측창틀(OF)의 상부에 각각 기밀유지 및 높이조절용 받침패드(100)를 설치하는 제2단계;
    상기 받침패드(100) 위에 내측창틀과 외측창틀이 일체로 이루어진 일체형 창틀(200)을 상기 내측창틀(IF)과 외측창틀(OF)에 관통되게 하여 장착하는 제3단계;
    상기 일체형 창틀(200)의 실내측과 실외측에 대하여 마감처리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일체형 창틀(200)에 각각 새로운 내측창(400a)과 외측창(400b)을 장착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리모델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앵커(220a)로 상기 일체형 창틀(200)의 실외측에 구비된 보강부재(210)와 받침패드(100) 그리고 기존의 외측창틀(OF)을 관통하여 콘크리트(1000)에 박히게 하고, 피스(220b)로 상기 일체형 창틀(200)의 실내측에 구비된 보강부재(210)와 받침패드(100)를 관통하여 기존의 내측창틀(IF)에 박히도록 장착하는 단계; 및
    상기 앵커(220a)와 상기 피스(220b)를 박기 위하여 상기 일체형 창틀(200)의 윗면에 형성된 장착구멍(230)을 기밀부재(231, Filling Piece)로 마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리모델링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실내측에는 내측창틀(IF)과 동일한 재질 또는 동질감을 주는 마감부재(300a)로 마감하고,
    실외측에는, 상기 일체형 창틀(200)의 하단부와 콘크리트(1000) 사이의 간격이 20㎜ 미만인 경우, 상기 일체형 창틀(200)의 하단부와 콘크리트(1000) 사이에 씰링코킹(S)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리모델링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실내측에는 내측창틀(IF)과 동일한 재질 또는 동질감을 주는 마감부재(300a)로 마감하고,
    실외측에는, 상기 일체형 창틀(200)의 하단부와 콘크리트(1000) 사이의 간격이 20㎜ 이상일 경우, 상기 일체형 창틀(200)의 하단부와 콘크리트(1000) 사이에 외장부재(300b)를 덧대고 그 접촉부분에 씰링코킹(S)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리모델링 방법.
  5. 삭제
KR1020110035116A 2011-04-15 2011-04-15 창호의 리모델링 방법 KR101264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116A KR101264906B1 (ko) 2011-04-15 2011-04-15 창호의 리모델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116A KR101264906B1 (ko) 2011-04-15 2011-04-15 창호의 리모델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385A KR20120117385A (ko) 2012-10-24
KR101264906B1 true KR101264906B1 (ko) 2013-05-21

Family

ID=47285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5116A KR101264906B1 (ko) 2011-04-15 2011-04-15 창호의 리모델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49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896B1 (ko) * 2015-10-21 2016-02-05 현대플러스 주식회사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는 발코니 리모델링 창호와 그 시공 방법
KR101674343B1 (ko) 2016-02-23 2016-11-09 현대플러스 주식회사 가변성과 장착성을 개선한 리모델링 창호
KR101719457B1 (ko) 2016-08-02 2017-03-23 현대플러스 주식회사 신속 설치 및 미려한 마감이 가능한 창호 리모델링용 마감 부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989B1 (ko) * 2014-07-09 2018-07-06 (주)엘지하우시스 비철거식 개보수 창호용 실외측 마감재
KR101960116B1 (ko) * 2014-07-09 2019-03-19 (주)엘지하우시스 비철거식 개보수 창호용 창틀
KR102195285B1 (ko) * 2019-10-21 2020-12-24 (주)엘지하우시스 창호 시공 견적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482B1 (ko) * 2001-12-14 2004-08-04 주식회사 플러스창호 창호의 개보수 구조 및 방법
KR100698360B1 (ko) 2007-01-10 2007-03-23 김석환 창호용 기밀유지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482B1 (ko) * 2001-12-14 2004-08-04 주식회사 플러스창호 창호의 개보수 구조 및 방법
KR100698360B1 (ko) 2007-01-10 2007-03-23 김석환 창호용 기밀유지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896B1 (ko) * 2015-10-21 2016-02-05 현대플러스 주식회사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는 발코니 리모델링 창호와 그 시공 방법
KR101674343B1 (ko) 2016-02-23 2016-11-09 현대플러스 주식회사 가변성과 장착성을 개선한 리모델링 창호
KR101719457B1 (ko) 2016-08-02 2017-03-23 현대플러스 주식회사 신속 설치 및 미려한 마감이 가능한 창호 리모델링용 마감 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385A (ko) 201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4906B1 (ko) 창호의 리모델링 방법
KR101208967B1 (ko)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리모델링용 발코니창호 및 그 시공방법
KR100324496B1 (ko) 레일채움형 창호장치
KR101353491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발코니의 시공방법 및 건축물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발코니
KR101359182B1 (ko) 레일 패널
KR101759322B1 (ko) 마감과 추가 시공을 겸하는 폴딩 도어용 일체형 하부 레일
JP5073437B2 (ja) ソーラーパネル取付装置
KR101591896B1 (ko)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는 발코니 리모델링 창호와 그 시공 방법
CN111683890B (zh) 电梯层站门组件及其安装方法
JP5005056B2 (ja) 先付けサッシ
WO2011039652A3 (en) Method and device for installing a counter frame for door or window frames
KR101211696B1 (ko) 문틀 결합구조
KR20140002874U (ko) 외벽 창틀의 상변부재
JP2009243122A (ja) サッシの設置構造
KR101067754B1 (ko) 커튼월의 유리 설치방법 및 설치장치
KR20180028283A (ko) 리모델링용 외부 몰딩과 기존 창호 틀을 이용한 리모델링 방법
KR101207212B1 (ko) 건축물의 외장 패널 시공방법
JP6127110B2 (ja) レール部材の改修方法
KR100579447B1 (ko) 건축물 창문틀 보강구조
CN217897005U (zh) 一种设置于楼板下的l形窗
JP2004107887A (ja) 持ち出し手摺
KR101818291B1 (ko) 개보수 창호 마감용 조립체
JP6070457B2 (ja) エレベーターの乗場装置
JP5270079B2 (ja) 改装サッシの下枠装置及びその改装方法
KR20230000697U (ko) 분합창틀용 하부 마감 캡의 단부 지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4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5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3561;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1110

Effective date: 20170925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5000127;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71103

Effective date: 2018022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6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200007678;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71110

Effective date: 20180713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300011322;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80820

Effective date: 20181129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