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8360B1 - 창호용 기밀유지구 - Google Patents

창호용 기밀유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8360B1
KR100698360B1 KR1020070002814A KR20070002814A KR100698360B1 KR 100698360 B1 KR100698360 B1 KR 100698360B1 KR 1020070002814 A KR1020070002814 A KR 1020070002814A KR 20070002814 A KR20070002814 A KR 20070002814A KR 100698360 B1 KR100698360 B1 KR 100698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fixing member
fixing
window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2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환
Original Assignee
김석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환 filed Critical 김석환
Priority to KR1020070002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83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8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8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06B7/20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 E06B7/205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with sealing strip mounted on sil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06B7/20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 E06B7/215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with sealing strip being moved to a retracted position by elastic means, e.g.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의 기밀성을 높이기 위한 기밀유지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호의 창문과 창틀 사이의 틈새에 배치되어 방음성 및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기밀유지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창호용 기밀유지구는 기판과, 사출성형에 의해 상기 기판과 일체를 이루고, 상기 기판 상부에 횡으로 돌설되고 다수의 절개부를 가지며, 종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는 다수의 밀폐판을 포함하는 연질성 합성수지재질의 밀폐부재; 이중사출에 의해 상기 밀폐부재 기판의 하부에 적층결합되고, 횡방향의 양단에는 톱니형상의 고정부가 돌출되어 있는 경질성 합성수지재질의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밀폐부재의 기판은 상기 고정부를 제외한 상기 고정부재의 테두리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부재와 적층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고정부재의 테두리를 감싸는 상기 기판의 하부 바닥면은 상기 고정부재 보다 하부로 더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창호, 창문, 창틀, 기밀유지구, 밀폐부재, 고정부재

Description

창호용 기밀유지구{AIRTIGHT APPARATUS FOR WINDOW}
도 1 은 종래 기밀유지구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기밀유지구의 사시도.
도 3 은 도2의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기밀유지구가 창호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밀폐부재 11 : 기판
12 : 밀폐판 13 : 절개부
14 : 결합홈 15 : 결합돌기
16a,b,c : 돌출부 18 : 배수홈
20 : 고정부재 21 : 고정부
24 : 홈 25 : 돌기
26a,b,c : 수용부 30 : 기밀유지구
40 : 창틀 50 : 창문
본 발명은 창호의 기밀성을 높이기 위한 기밀유지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호의 창문과 창틀 사이의 틈새에 배치되어 방음성 및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기밀유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합성수지 및 금속으로 형성되어 조립장착되고,
방음성, 기밀성, 방풍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 창틀과 창문 사이의 틈새에 가스켓이나, 모헤어 등을 사용하여 틈새를 밀폐하였는데, 가스켓이나 모헤어로는 효과적인 밀폐가 이루어지지 않아 도1에 도시된 것과 같은 기밀유지구를 사용하여 창틀과 창문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는 것이 최근 추세이다.
도1에 도시된 종래의 기밀유지구(1)는 기판(2)과, 상기 기판(2) 상면에 횡으로 돌설되어 있고 다수의 절개부(4,6)를 갖고 종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는 다수의 밀폐판(3,5)과, 상기 기판(2)의 양측면에서 돌출되어 있고 톱니형상을 갖는 금속재질의 고정부(7)로 이루어진다.
상기 종래의 기밀유지구는 창틀에 고정하기 위해 금속재질의 고정부(7)를 채용하고 있는바,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과, 창틀에 장착 또는 분리시 톱니형상 의 금속재질 고정부(7)가 창틀에 긁힘과 같은 상처를 내기 쉽고, 일단 창틀에 장착된 후에는 창틀에서 분리하기 쉽지 않은 문제를 갖는다.
또한, 기판과 밀폐판은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를 이루고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므로, 창문의 여닫음에 의해 기판에 휨과 같은 변형이 생기지 아니하여야 기밀유지구의 제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기밀유지구는 기판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반복되는 창문의 여닫음에 의해 기판에 휨과 같은 변형이 발생된다. 그리하여 방음, 방풍, 기밀 이라는 기밀유지구의 제 기능이 상실되고,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반복되는 창문의 여닫음에 의해 연질성의 기판에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기판의 하부에 경질성의 고정부재를 적층결합시키고, 제조원가를 낮추고 기판과 고정부재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이중사출을 적용하고, 창틀에 유입된 물의 배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창호용 기밀유지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창호용 기밀유지구는
기판과,
사출성형에 의해 상기 기판과 일체를 이루고, 상기 기판 상부에 횡으로 돌설되고 다수의 절개부를 가지며, 종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는 다수의 밀폐판을 포함하는 연질성 합성수지재질의 밀폐부재;
이중사출에 의해 상기 밀폐부재 기판의 하부에 적층결합되고, 횡방향의 양단에는 톱니형상의 고정부가 돌출되어 있는 경질성 합성수지재질의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밀폐부재의 기판은 상기 고정부를 제외한 상기 고정부재의 테두리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부재와 적층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밀폐부재 기판의 하부 종방향 양단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종방향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돌기 및 홈과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홈 및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밀폐부재 기판의 하부 종방향 양단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종방향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돌기 및 홈과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홈 및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고정부재의 테두리를 감싸는 상기 기판의 하부 바닥면은 상기 고정부재 보다 하부로 더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밀유지구의 사시도이고, 도3은 도2의 분해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기밀유지구가 창호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방향기준과 관련하여,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밀유지구(30)가 창틀(40)에 장착된 상태에서 창문(50)이 레일(41)을 따라 움직이는 방향을 종방향으로 하고, 이에 수직된 방향을 횡방향으로 한다. 그리고 지면을 기준으로 위쪽을 상부로 하고, 아래쪽을 하부로 한다.
도2 및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밀유지구(30)는 밀폐부재(10)와 고정부재(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밀폐부재(10)와 고정부재(20)는 이중사출로 성형되어 상호 결합된다. 일차로 상기 고정부재(20)가 1차금형에서 사출성형 되고, 고정부재(20)가 2차금형 내에 안치된 후 밀폐부재(10)가 2차금형에서 사출성형되어 고정부재(20)와 밀폐부재(10)가 적층결합된다.
상기 밀폐부재(10)는 기판(11)과, 상기 기판(11)과 일체를 이루고 상부로 돌설되어 있는 다수의 밀폐판(12)으로 구성되고, 연질성의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밀폐판(12)은 횡으로 돌설되고, 다수의 절개부(13)를 가지며, 종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층구조로 이루어져 창문(50)과 창틀(40) 사이의 틈을 효과적으로 밀폐한다.
그리고 각 횡을 구성하는 다수의 밀폐판(12)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절개 부(13)는 인접한 횡을 구성하는 또 다른 밀폐판(12)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절개부(13)와 엇갈리도록 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20)는 상기 밀폐부재(10)의 기판(11) 하부에 적층결합되고, 횡방향의 양단에는 각각 창틀(40)의 홈부(42)를 형성하는 측벽에 접촉가압되어 기밀유지구(30)를 창틀(40)에 고정하는 톱니형상의 고정부(2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20)는 경질성의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서 경질성이라 함은 창문(50)의 여닫음에 따른 기밀유지구(30)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기판(11)과 기판(11)에 적층결합된 고정부재(20)가 휘어지는 등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정도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중사출에 의해 적층결합된 기판(11)과 고정부재(20)가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즉, 기판(11)과 고정부재(20)의 결합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기판(11)의 하부는 고정부재(20)의 테두리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부재(20)와 적층결합된다. 물론, 고정부재(20)의 고정부(21)는 기판(11)에 의해 감싸지지 않고 기판(11)보다 횡방향으로 약간 더 돌출된다.
그리고 기판(11)과 고정부재(20)의 결합력을 더 증진시키기 위하여 고정부재(20)의 종방향 양단에는 다수의 돌기(25)와 홈(24)이 형성되고, 기판(11)의 하부 종방향 양단에는 상기 돌기(25)와 홈(24)에 각각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홈(14)과 결합돌기(15)가 형성된다.
그리고 창틀(40)의 홈부(42)로 유입된 물의 배수를 위하여, 즉 기밀유지구(30)가 창틀(40)에 유입된 물의 배수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부재(20)의 테두리를 감싸는 상기 기판(11)의 하부 바닥면은 상기 고정부재(20) 보다 하부로 약간 더 돌출되도록 하여, 기판(11)의 하부에 배수홈(18)이 형성되도록 형성하였다.
상기 배수홈(18)은 그 개구부가 상기 고정부재(20)의 고정부(21)가 있는 횡방향에 구비되므로, 배수홈(18)으로인해 기밀성이 약화되는 것을 최소화 하고,
고정부재(20)가 물과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하므로, 고정부재(20)와 기판(11)의 접촉면에 물이 유입되어 기판(11)과 고정부재(20)의 결합력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판(11)의 하부 중앙부에는 H형태의 돌출부(16b)와 상기 H형태의 돌출부(16b) 양측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있는 일자형태의 돌출부(16a,c)가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재(20)의 중앙부에는 상기 돌출부(16a,b,c)와 결합되는 H형태의 수용부(26b)와 일자형태의 수용부(26a,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26a,b,c)에 결합되는 돌출부(16a,b,c)는 고정부재(20)와 기판(11)의 결합력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며, 기밀유지구(30)가 창틀(40)에 보다 견고히 고정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창틀(40)의 바닥면과 기밀유지구(30)의 마찰력을 증진시켜, 창 문(50)을 여닫는 힘에 의해 기밀유지구(30)가 종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함으로서 고정부재(20)의 고정부(21)를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경질성의 고정부재(20) 보다는 연질성의 돌출부(16a,b,c)가 창틀(40)의 바닥면에 접촉하는 것이 마찰력 증진에 보다 유리하고, 고정부재(20)의 테두리를 감싸는 기판(11)의 하부 바닥면에 돌출부(16a,b,c)가 더해져 창틀(40)의 바닥면과 접촉하는 면적이 보다 넓어지므로 마찰력 증진에 유리하고, 창문(50)의 이동방향인 종방향으로 돌출부(16a,b,c)를 형성하는 것이 마찰력 증진에 더 유리하다.
그리고 상기 기판(11)에는 상하 방향으로 배수공(17)이 천공되어 기판(11) 상부에 유입된 물을 배수공(17)을 통해 배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면을 보면 상기 배수공(17)은 상기 H형태의 돌출부(16b) 중앙에 형성시켜 배수공(17)이 고정부재(20)를 관통하지 아니하도록 하였는데, 이는 배수공(17)을 통해 유출되는 물이 고정부재(20)와 기판(11)의 접촉면 사이로 유입되어 기판(11)과 고정부재(20)의 결합력을 약화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기밀유지구(30)는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창틀(40)의 홈부(42)에 장착되어 창문(50)의 바닥면과 창틀(40)의 바닥면 사이의 틈새을 밀폐하여 틈새를 통해 들어오는 공기, 먼지, 소음 등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밀폐판(12)은 이동하는 창문(50)의 바닥면에 눌려지는게 일반적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연질성의 밀폐부재의 기판 하부에 경질성의 고정부재를 적층결합시킴으로서 반복되는 창문의 여닫음에 의해 기밀유지구에 휘어짐과 같은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기밀유지구가 제 기능을 장기간 수행할 수 있고,
기판 하부에 배수홈을 형성함으로서 기밀유지구가 물의 배출을 방해하는 것을 최소화 하고, 홈과 돌기의 결합 그리고 돌출부와 수용부의 결합으로 기판과 고정부재의 결합력을 증진시켜 이들이 분리되는 것을 최소화 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창호용 기밀유지구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기판과,
    사출성형에 의해 상기 기판과 일체를 이루고, 상기 기판 상부에 횡으로 돌설되고 다수의 절개부를 가지며, 종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는 다수의 밀폐판을 포함하는 연질성 합성수지재질의 밀폐부재;
    이중사출에 의해 상기 밀폐부재 기판의 하부에 적층결합되고, 횡방향의 양단에는 톱니형상의 고정부가 돌출되어 있는 경질성 합성수지재질의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창호용 기밀유지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의 기판은 상기 고정부를 제외한 상기 고정부재의 테두리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부재와 적층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기밀유지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 기판의 하부 종방향 양단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종방향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돌기 및 홈과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홈 및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기밀유지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테두리를 감싸는 상기 기판의 하부 바닥면은 상기 고정부재 보다 하부로 더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기밀유지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하부 중앙부에는 H형태의 돌출부와 상기 H형태의 돌출부 양측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있는 일자형태의 돌출부가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중앙부에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H형태의 수용부와 일자형태의 수용부에 각각 수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기밀유지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는 상하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배수공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기밀유지구.
KR1020070002814A 2007-01-10 2007-01-10 창호용 기밀유지구 KR100698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814A KR100698360B1 (ko) 2007-01-10 2007-01-10 창호용 기밀유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814A KR100698360B1 (ko) 2007-01-10 2007-01-10 창호용 기밀유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8360B1 true KR100698360B1 (ko) 2007-03-23

Family

ID=41564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2814A KR100698360B1 (ko) 2007-01-10 2007-01-10 창호용 기밀유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83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906B1 (ko) 2011-04-15 2013-05-21 현대플러스 주식회사 창호의 리모델링 방법
KR101729766B1 (ko) 2015-12-18 2017-04-24 장만동 범용 풍지부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1993-31610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906B1 (ko) 2011-04-15 2013-05-21 현대플러스 주식회사 창호의 리모델링 방법
KR101729766B1 (ko) 2015-12-18 2017-04-24 장만동 범용 풍지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77376A1 (en) Double glazing
KR100698360B1 (ko) 창호용 기밀유지구
KR100644722B1 (ko) 여닫이문의 틈새커버용 테이프
KR102100231B1 (ko) 창호 충격방지용 스토퍼
KR20170076179A (ko) 웨이퍼 수납 용기
KR101853784B1 (ko) 기밀성 향상 스토퍼가 구비된 창호 시스템
US20010039763A1 (en) Window sash
KR200401750Y1 (ko) 창호용 필링피스
US20190170252A1 (en) Sealing gasket for railway vehicle
JPH11158850A (ja) 角落し
TWI544134B (zh) Facing retaining members and doors and windows
JP3995627B2 (ja) 板ガラス体の支持部材
ES2283686T3 (es)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on de elementos de obturacion asi como elemento de obturacion.
KR200345035Y1 (ko) 슬라이딩 창호의 기밀 유지용 피스
JP3759939B2 (ja) サッシ用グレイジングチャンネル
US20230313599A1 (en) Apparatus for aligning opposed frame assembly components and centering an insulated glass unit within the frame assembly
KR200345034Y1 (ko) 슬라이딩 창호의 기밀 유지용 피스
JPS6123189Y2 (ko)
RU210523U1 (ru) Заглушка для зажима стекла
KR200401741Y1 (ko) 분리형 필링피스
JP7431600B2 (ja) 振れ防止具
JP5639124B2 (ja) グレージングチャンネル
KR101792495B1 (ko) 바닥 설치용 방풍 조립체 및 그 설치구조
JP2024051601A (ja) 緩衝部材及び建具
KR101608441B1 (ko) 방음벽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