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6300A - 개보수가 용이한 창틀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개보수가 용이한 창틀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6300A
KR20210126300A KR1020200043929A KR20200043929A KR20210126300A KR 20210126300 A KR20210126300 A KR 20210126300A KR 1020200043929 A KR1020200043929 A KR 1020200043929A KR 20200043929 A KR20200043929 A KR 20200043929A KR 20210126300 A KR20210126300 A KR 20210126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rtar
fast
hardening
window frame
insta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3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택
송길섭
노학만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200043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6300A/ko
Publication of KR20210126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63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58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filling up the joints, e.g. by cemen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77Repairing or restoring window or door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보수가 용이한 창틀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속경화 시멘트에 물을 혼합하여 속경화 몰탈로 만드는 속경화 몰탈 제작단계와, 기존 창틀 프레임이 제거된 개구부의 하측 설치면에 상기 속경화 몰탈을 시공하는 속경화 몰탈 시공단계와, 시공된 상기 속경화 몰탈의 상면에 수평 고임재를 안착시켜 가압하면서 높이를 설정하는 수평 고임재 높이 설정단계 및 시공된 상기 속경화 몰탈이 경화되면서 함께 고정되는 상기 수평 고임재의 상면에 창틀 프레임을 설치하는 창틀 프레임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개보수가 용이한 창틀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window frame that is easy to repair}
본 발명은 창틀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창틀의 개보수 작업을 정확하고 신속하면서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보수가 용이한 창틀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窓戶)란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하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開口部)에 설치되는 각종의 창 또는 문을 말하는 것으로, 실내의 환기를 위해 설치되며, 창호를 통해 건물의 내부에서 외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러한 창호는 시공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밀이나 수밀 및 단열성능이 점차 떨어지게 되므로 개보수가 필요하게 되는데, 종래 창호의 개보수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벽체에 장착된 기존 창틀 프레임을 벽체로부터 분리하고, 벽체의 개구부에 새로운 창틀 프레임을 설치한 다음, 창틀 프레임에 구멍을 뚫어 칼블럭을 이용하여 개구부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창틀 프레임에 창짝을 장착하면 창호의 개보수 과정이 완료된다.
한편, 벽체로부터 기존 창틀 프레임을 분리하게 되면 벽체의 개구부 내측둘레 중 하측 설치면의 경우, 균일한 상태가 아니므로 새로운 창틀 프레임의 수평 설치를 위하여 하측 설치면에 수평 고임재를 설치한 다음 그 위에 새로운 창틀 프레임을 올려 수평을 맞춘 후, 개구부의 내측둘레에 창틀 프레임을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시공방법은 개구부의 하측 설치면에 수평 고임재를 설치하고, 그 위에 창틀 프레임을 안착시킨 다음 창틀 프레임의 수평을 확인하여 수평이 아닌 경우 수평 고임재를 추가하거나 빼내는 작업을 반복하면서 작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작업성이 양호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평 고임재가 평평한 판형으로 구성됨에 따라 불규칙한 하측 설치면에 놓일 때 수평 고임재의 수평이 정확하게 유지되지 못하거나,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시공되더라도 시공후에 밀림이나 꺼짐 등이 발생되면서 창틀 프레임의 시공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49114호(2003.6.25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창틀의 개보수 과정에서 기존 창틀 프레임이 제거된 개구부의 불규칙한 하측 설치면에 수평 고임재가 수평을 유지하면서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성의 향상과 함께 창틀의 시공 품질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개보수가 용이한 창틀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위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개보수가 용이한 창틀 시공방법은,
속경화 시멘트에 물을 혼합하여 속경화 몰탈로 만드는 속경화 몰탈 제작단계와,
기존 창틀 프레임이 제거된 개구부의 하측 설치면에 상기 속경화 몰탈을 시공하는 속경화 몰탈 시공단계와,
시공된 상기 속경화 몰탈의 상면에 수평 고임재를 안착시켜 가압하면서 높이를 설정하는 수평 고임재 높이 설정단계와,
시공된 상기 속경화 몰탈이 경화되면서 함께 고정되는 상기 수평 고임재의 상면에 창틀 프레임을 설치하는 창틀 프레임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속경화 몰탈 시공단계는,
상기 하측 설치면에 상하가 개방된 함체 형태의 몰탈 설치지그를 먼저 설치한 다음 상기 속경화 몰탈을 상기 몰탈 설치지그의 개방된 상측을 통해 충전하여 시공하고, 상기 몰탈 설치지그에 충전된 속경화 몰탈의 상면을 평평한 상태로 만든 후 상기 몰탈 설치지그를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몰탈 설치지그의 측면에는 상기 몰탈 설치지그의 내부에 충전된 상기 속경화 몰탈의 상면을 평평하게 만드는 수평판이 보관될 수 있도록 보관부가 구비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속경화 몰탈 시공단계는,
상기 하측 설치면에 상하가 개방된 함체 형태의 몰탈 설치조절지그를 먼저 설치한 다음 상기 속경화 몰탈을 상기 몰탈 설치조절지그의 개방된 상측을 통해 충전하여 시공하고,
상기 수평 고임재 높이 설정단계에서,
상기 몰탈 설치조절지그에 충전된 속경화 몰탈의 상면으로 수평 고임재를 압착시켜 평평하게 하면서 높이를 조절한 후, 상기 몰탈 설치조절지그를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몰탈 설치조절지그는 바깥면에 적어도 하나의 배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속경화 몰탈 제작단계에서,
비닐봉지의 내부에 격벽을 통해 두개의 공간이 구획되고, 상기 두개의 공간으로 상기 속경화 시멘트와 상기 물이 각각 저장되어 구성되며, 상기 두개의 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이 가압되어 상기 격벽이 찢어지면 상기 속경화 시멘트와 상기 물이 섞여 상기 속경화 몰탈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격벽은 상기 두개의 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이 가압에 의해 부피 변화를 일으킬 때 쉽게 찢어질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절취유도부가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속경화 몰탈 제작단계에서,
비닐봉지 내부에 상기 속경화 시멘트와 함께 상기 물이 수용되는 물주머니가 수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물주머니가 가압되어 터지면 상기 속경화 시멘트와 상기 물이 섞여 상기 속경화 몰탈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물주머니는 일부분이 상기 비닐봉지 내면에 접착 고정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개보수가 용이한 창틀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개구부의 하측 설치면에 몰탈지그를 사용하여 속경화 몰탈을 시공하고, 속경화 몰탈의 상면을 평평하게 한 다음, 그러한 속경화 몰탈의 상면에 수평 고임재를 안착시키고, 수평 고임재의 높이를 맞춘 후 창틀 프레임을 설치하는 방법을 통해 창틀의 시공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으며, 수평 고임재가 정확하게 수평을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설치됨에 따라 수평 고임재에 안착되어 개구부에 고정되는 창짝 프레임의 시공 품질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이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개보수가 용이한 창틀의 시공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속경화 시멘트와 물이 비닐봉지에 함께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속경화 시멘트와 물이 비닐봉지에 함께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의 (a)(b)(c)(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몰탈 설치지그를 이용하여 설치면에 속경화 몰탈과 수평 고임재가 시공되는 과정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에 따른 몰탈 설치지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의 (a)(b)(c)(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몰탈 설치조절지그를 이용하여 설치면에 속경화 몰탈과 수평 고임재가 시공되는 과정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6 에 따른 몰탈 설치조절지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하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판단되어야 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개보수가 용이한 창틀 시공방법은 크게 속경화 시멘트에 물을 혼합하여 속경화 몰탈을 만드는 속경화 몰탈 제작단계와, 개구부의 하측 설치면에 속경화 몰탈을 시공하는 속경화 몰탈 시공단계와, 개구부의 하측 설치면에 시공된 속경화 몰탈의 상면으로 수평 고임재를 안착시켜 고정시키면서 높이를 조절하는 수평 고임재 높이 설정단계와, 속경화 몰탈에 고정된 수평 고임재를 이용하여 창틀 프레임을 설치하는 창틀 프레임 설치단계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각 단계를 예시되는 도면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속경화 몰탈 제작단계(S100)는,
속경화 시멘트에 적정량의 물을 혼합하여 속경화 몰탈로 만드는 단계이다.
속경화 시멘트는 초속경 시멘트 또는 제트 시멘트가 될 수 있으며, 포틀랜드 시멘트와 다른 특수 시멘트로 물과의 혼합을 통해 빠른 시간에 경화되면서 필요한 압축강도를 가질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지연제로 경화시간을 조절할 수도 있다.
속경화 시멘트와 물을 혼합함에 있어서는 별도의 혼합통에 속경화 시멘트와 물을 비율에 맞게 함께 집어넣고 혼합하면 속경화 몰탈을 제작할 수 있다.
속경화 몰탈을 제작하기 위한 다른 실시 예로는 비닐봉지에 포장된 속경화 시멘트와 계량컵을 이용하여 정확한 양의 물이 준비된 상태에서 속경화 시멘트가 담긴 비닐봉지를 개봉한 다음 비닐봉지의 내부에 계량컵으로 계량된 물을 집어넣고 비닐봉지의 개봉된 입구를 막은 후, 흔들어 섞어주면 속경화 몰탈을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다.
속경화 몰탈을 제작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 예로는 도 2 에 예시한 바와 같이 비닐봉지(100)의 내부에 격벽(110)이 형성되면서 그러한 격벽(110)을 통해 내부 공간이 두개의 공간으로 구획되고, 구획된 한쪽 공간에는 일정량의 속경화 시멘트가 채워지며, 다른 한쪽 공간에는 한쪽 공간에 채워진 속경화 시멘트와의 배합비율이 맞는 일정량의 물이 채워지도록 하여 구성됨으로써, 속경화 몰탈의 제작시 어느 한쪽 공간이 가압되면 부피 변화에 의해 격벽(110)이 찢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비닐봉지(100) 내부에서 속경화 시멘트와 물이 만나게 되며, 그 상태에서 비닐봉지(100)를 그대로 흔들어 속경화 시멘트와 물을 섞어주면 속경화 몰탈을 더욱 간편하고 신속하게 제작할 수도 있다.
여기서, 어느 한쪽 공간이 가압될 때 격벽(110)이 아닌 비닐봉지(100)의 어느 한쪽 외측둘레가 찢어질 수도 있으므로, 격벽(110)에 적어도 하나의 절취유도부(111)를 형성하게 되면 비닐봉지(100)의 어느 한쪽 공간이 가압될 때 격벽(110)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찢어질 수 있는 것이다.
속경화 몰탈을 제작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 예로는 도 3 에 예시한 바와 같이 비닐봉지(100')의 내부에 일정량의 속경화 시멘트와 그러한 속경화 시멘트와 배합비율이 맞는 일정량의 물이 담긴 물주머니(110') 또는 캡슐이 함께 수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속경화 몰탈의 제작시 비닐봉지(100')의 외부에서 물주머니(110') 또는 캡슐을 가압하거나 충격을 가하면 물주머니(110') 또는 캡슐이 찢어지면서 속경화 시멘트와 물이 만나게 되며, 그 상태에서 비닐봉지(100')를 그대로 흔들어 속경화 시멘트와 물을 섞어주면 속경화 몰탈을 더욱 간편하고 신속하면서 안전하게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물주머니(110')나 캡슐은 표면 일부분을 비닐봉지(100') 내면에 접착 고정시킴으로써, 찢어진 물주머니(1100)나 캡슐의 일부분이 속경화 몰탈의 내부에 섞인 상태로 시공되면서 시공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속경화 몰탈 시공단계(S200)는,
전술한 속경화 몰탈 제작단계(S100)를 통해 만들어진 일정량의 속경화 몰탈(500)을 창틀 프레임이 제거된 개구부 하측 설치면(400)에 부어 시공하는 단계이며, 이후 이러한 속경화 몰탈(500)의 상면으로 수평 고임재(300)와 함께 창틀 프레임이 설치된다.
속경화 몰탈 시공단계(S200)에서 하측 설치면(400)에 속경화 몰탈(500)을 붓게 되면 속경화 몰탈(500)이 하측 설치면(400)의 불규칙한 공간속으로 채워지게 되면서 상부가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속경화 몰탈 시공단계(S200)에서 덩어리 형태인 속경화 몰탈(500)의 상면에는 이후 설치되는 창틀 프레임의 정확한 설치를 위하여 수평 고임재(300)가 올려져 고정된다.
그러나 덩어리 형상인 속경화 몰탈(500)의 상면이 곡면을 이룸에 따라 속경화 몰탈(500)의 상면에 놓이게 되는 평면 형태의 수평 고임재(300)의 경우, 저면 중심부는 속경화 몰탈(500)의 상면과 밀착되는 반면에 수평 고임재(300)의 저면 외측둘레쪽은 속경화 몰탈(500)의 상면과 이격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속경화 몰탈(500)의 상면에 수평 고임재(300)를 안착시켜 가압할 때, 수평 고임재(300)의 외측둘레쪽이 중심부보다 상대적으로 더 눌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수평 고임재가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고,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속경화 몰탈(500)에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수평 고임재(300)의 중심부는 속경화 몰탈(500)과 견고하게 결합되는 반면에 수평 고임재(300)의 외측둘레쪽은 속경화 몰탈(500)과 충분히 결합되지 못하여 수평 고임재(300)가 창틀 프레임의 하중을 균일하게 지지해주지 못하게 되면서 이후 창틀 프레임에 처짐이 발생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속경화 몰탈 시공단계(S200)에서 도 4 및 도 5 와 같이 상하가 개방되고,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직사각 함체 형태의 몰탈 설치지그(200)를 사용할 수 있다.
도 4 의 (a)(b)(c)(d) 는 이러한 몰탈 설치지그(200)를 이용하여 창틀을 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즉, 도 4 의 (a)와 같이 개구부의 하측 설치면(400)에 속경화 몰탈(500)을 시공하기 전에 개구부의 하측 설치면(400)에 몰탈 설치지그(200)를 안착시키고, 이러한 몰탈 설치지그(200)의 내부로 속경화 몰탈(500)을 붓는다.
그리고 도 4 의 (b)와 같이 수평판(220)을 이용하여 몰탈 설치지그(200) 내에 채워진 속경화 몰탈(500)의 상면을 평평하게 다듬은 다음 도 4 의 (c)와 같이 몰탈 설치지그(200)를 그대로 들어올려 하측 설치면(400)에서 제거하게 되면 상면이 평평한 상태의 속경화 몰탈(500)이 남게 되고, 도 4 의 (d)와 같이 이러한 속경화 몰탈(500)의 평평한 상면에 수평 고임재(300)가 올려지게 되면 속경화 몰탈(500)의 상면에 수평 고임재(300)가 균일하게 결합될 수 있고, 수평 고임재(300)의 가압 과정에서 수평 고임재(300)의 외측둘레쪽이 중심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울어지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몰탈 설치지그(200)는 일측에 손잡이를 구비하여 몰탈 설치지그(200)의 이동 및 작업의 편리함을 작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도 5 와 같이 몰탈 설치지그(200)와 함께 사용되는 수평판(220)은 분실을 방지하고, 보관성을 높이기 위해 몰탈 설치지그(200)의 한쪽 측면에 보관부(210)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수평 고임재 높이 설정단계(S30)는,
개구부의 하측 설치면(400)에 일정한 간격으로 속경화 몰탈(500)이 시공되고, 시공된 속경화 몰탈(500)의 상면에 수평 고임재(300)를 올려 놓을 때, 수평 고임재(300)에 놓이게 되는 창틀 프레임의 사양을 고려하여 수평 고임재(300)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수평 고임재(300)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은 속경화 몰탈(500) 각각의 상면에 놓인 수평 고임재(300)들을 수직 하방으로 가압시켜 속경화 몰탈(500)의 상면이 평평하게 눌려지도록 하면서 수평 고임재(300)들의 높이가 전체적으로 동일하고 수평이 유지되도록 조절하게 된다.
한편, 속경화 몰탈(500)의 상면에 수평 고임재(300)를 올려놓고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수평 고임재(300)의 상면을 손 또는 발 또는 도구를 이용하여 가압하게 되는데, 이때 수평 고임재(300)가 수평을 유지하면서 수직 하방으로 정확하게 가압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수평 고임재(300)가 기울어지는 상태로 가압되면서 속경화 몰탈(500)에 고정됨에 따라 수평 고임재(300)들의 수평상태가 불량해지면서 수평 고임재(300)에 올려져 설치되는 창틀 프레임의 시공 품질에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속경화 몰탈 시공단계(S200)와 수평 고임재 높이 설정단계(S300)에서 도 6 과 도 7 과 같이 상하가 개방되고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직사각 함체 형태의 몰탈 설치조절지그(200')를 사용할 수 있다.
도 6 의 (a)(b)(c)(d) 는 이러한 몰탈 설치조절지그(200')를 이용하여 창틀을 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즉, 도 6 의 (a)와 같이 속경화 몰탈 시공단계(S200)에서 개구부의 하측 설치면(400)에 상하가 개방된 함체 형태의 몰탈 설치조절지그(200')를 먼저 설치한 다음, 속경화 몰탈(500)을 몰탈 설치조절지그(200')의 개방된 상측을 통해 붓는다.
그리고 도 6 의 (b)와 같이 몰탈 설치조절지그(200')의 내부에 속경화 몰탈(500)이 채워지면 속경화 몰탈(500)의 상면은 곡면을 이루게 되며, 이때 수평판(220)을 사용하여 속경화 몰탈(500)의 상면을 평평하게 다듬을 필요 없이 수평 고임재(300)를 속경화 몰탈(500)의 상면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가압하여 하강시키면서 높이 설정하고, 이후 도 6 의 (c)와 같이 몰탈 설치조절지그(200')를 들어 올려 하측 설치면(400)으로부터 제거하면 도 6 의 (d)와 간이 속경화 몰탈(500)의 상면에 수평 고임재(300)가 정확하게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서 견고하게 결합되면서 수평 고임재 높이 설정단계(S300)가 완료됨에 따라 전체적인 공정의 단축과 작업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몰탈 설치조절지그(200')는 도 7 과 같이 외측둘레에 적어도 하나의 배출공(210')이 형성될 필요가 있으며, 이는 몰탈 설치지그(200)의 내부에 채워진 속경화 몰탈(500)이 수평 고임재(300)에 의해 가압되면서 눌려질 때, 눌려지는 만큼의 속경화 몰탈(500) 일부가 몰탈 설치조절지그(200')에 형성된 배출공(21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평 고임재(300)가 정확하게 압착되어 하강되면서 그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몰탈 설치조절지그(200')의 개방된 상측으로 끼워지는 수평 고임재(300)의 외측둘레와 마주하게 되는 몰탈 설치조절지그(200')의 개방된 내측둘레는 서로 밀착 접면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몰탈 설치조절지그(200')에 채워진 속경화 몰탈(500)이 수평 고임재(300)에 의해 가압되어 눌려질 때, 속경화 몰탈(500)의 일부가 수평 고임재(300)의 외측둘레와 이에 접면되는 몰탈 설치조절지그(200')의 개방된 내면 사이를 통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수평 고임재(300)의 외측둘레가 몰탈 설치조절지그(200')의 내측둘레에 접면된 상태로 하강되므로 수평 고임재(300)가 기울어짐 없이 수평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수평 고임재(300)의 수평 설치를 더욱 정확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창틀 프레임 설치단계(S400)는,
속경화 몰탈(500)의 상면에 수평을 유지하면서 가압 설치된 수평 고임재(300)가 속경화 몰탈(500)의 경화에 따라 함께 고정된 후, 그러한 수평 고임재(300)에 창틀 프레임을 올려 놓고 창틀 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수평 고임재(300)를 이용하여 수평을 유지하면서 개구부의 설치면에 창틀 프레임을 끼우고, 칼블럭을 이용하여 창틀 프레임과 수평 고임재(300)를 서로 연결시키며, 창틀 프레임과 개구부의 설치면 사이 빈 공간은 폴리우레탄을 발포함으로써 창틀 프레임의 설치 및 마감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창틀 시공방법을 도 1 을 참고하여 단계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는 속경화 시멘트에 물을 혼합하여 속경화 몰탈(500)을 만드는 속경화 몰탈 제작단계(S100)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비닐봉지에 포장된 대략 1kg의 중량의 속경화 시멘트와 대략 220cc 용량의 계량컵을 준비한 상태에서 비닐봉지를 개봉한 다음 계량된 220cc의 물을 개봉된 비닐봉지에 넣고 비닐봉지를 그대로 섞어주면 속경화 몰탈(500)이 만들어지게 된다.
여기서, 속경화 시멘트에 혼합되는 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계량컵으로 계량하여 속경화 시멘트가 저장된 비닐봉지 내부에 부어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작업의 편의성을 위하여 속경화 시멘트가 담겨진 비닐봉지(100)(100') 내부에 속경화 시멘트와 분리된 상태로 물이 수용되도록 한 후, 비닐봉지(100)(100')에 가해지는 외력으로 속경화시멘트와 물이 혼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적정량의 속경화 시멘트와 물의 혼합으로 속경화 몰탈(500)이 만들어지면, 작업자는 기존 창틀 프레임이 제거된 개구부의 불규칙한 하측 설치면(400)에 일정량의 속경화 몰탈(500)을 하측 설치면(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두고 붓는 속경화 몰탈 시공단계(S200)를 수행한다.
여기서, 개구부의 하측 설치면(400)에 속경화 몰탈(500)을 붓는 과정에서 덩어리의 형태로 부어 시공할 수도 있지만, 이후 수평 고임재(300)와의 충분한 결합 및 수평 고임재(300)가 수평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속경화 몰탈 시공단계(S200)에서 몰탈 설치지그(200)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도 4 의 (a)(b)(c)(d)에 예시한 바와 같이 몰탈 설치지그(200)를 먼저 하측 설치면(400)에 거치시킨 상태에서 몰탈 설치지그(200)의 내부로 속경화 몰탈(500)을 붓고, 속경화 몰탈(500)의 상부 곡면을 수평판(220)으로 평평하게 다듬은 다음 몰탈 설치지그(200)를 그대로 들어 올려 제거한 후, 속경화 몰탈(500) 상면에 수평 고임재(300)를 안착시킨다.
이와 같이 속경화 몰탈(500) 상면에 수평 고임재(300)가 안착된 후에는 설치하려는 창틀 프레임의 사양을 고려하여 수평 고임재(300)의 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으므로 속경화 몰탈(500) 상면에 안착된 수평 고임재(300)를 수평이 유지되도록 가압시키면서 하강시켜 그 높이를 설정하는 수평 고임재 높이 설정단계(S300)를 수행한다.
여기서, 수평 고임재(300)가 가압되면서 하강될 때 수평을 정확하게 유지하면서 하강되도록 하고, 공정 또한 단축시킬 수 있도록 몰탈 설치조절지그(200')가 사용될 수 있다.
즉, 도 6 의 (a)(b)(c)(d)에 예시한 바와 같이 속경화 몰탈 시공단계(S200)에서 몰탈 설치조절지그(200')를 먼저 하측 설치면(400)에 거치시킨 다음 몰탈 설치조절지그(200')의 내부로 속경화 몰탈(500)을 붓고 속경화 몰탈(500)의 상면에 수평 고임재(300)를 바로 안착시킨 후, 가압하여 높이를 조절한 다음 몰탈 설치조절지그(200')를 들어올려 제거하게 되면 속경화 몰탈 시공단계(S200)와 수평 고임재 높이 설정단계(S300)를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속경화 몰탈(500)의 경화를 통해 속경화 몰탈(500)과 수평 고임재(300)가 결합되면 작업자는 이러한 수평 고임재(300)를 이용하여 창틀을 설치하는 창틀 프레임 설치단계(S400)를 수행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창틀 프레임과 개구부 설치면 사이의 공간에 폴리우레탄폼을 채워넣을 수 있고, 창틀 프레임과 수평 고임재(300)를 칼블럭으로 서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속경화 몰탈(500)의 사용에 따라 경화시간을 단축시켜 창틀 프레임의 시공을 15분내에 완료할 수 있으며, 30분 내로 창틀의 시공까지 완료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속경화 몰탈(500)에 수평 고임재(300)가 수평을 정확하게 유지하면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 수평 고임재(300)의 간격을 종래와 같이 150mm ~ 200mm 로 유지할 필요 없이 350mm로 넓게 유지할 수도 있어 재료의 절감이나 시공의 안정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하측 설치면(400)의 불규칙한 상태와 관계없이 효과적인 시공이 가능해지며, 지속적인 강도를 유지할 수 있고, 칼블럭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어 창틀 프레임의 시공 품질을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을 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기재된 내용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질 필요는 없으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S100 : 속경화 몰탈 제작단계 S200 : 속경화 몰탈 시공단계
S300 : 수평 고임재 높이 설정단계 S400 : 창틀 프레임 설치단계
100,100' : 비닐봉지 110 : 격벽
110' : 물주머니 111 : 절취유도부
200 : 몰탈 설치지그 200' : 몰탈 설치조절지그
210 : 보관부 210' : 배출공
220 : 수평판 300 : 수평 고임재
400 : 개구부의 하측 설치면 500 : 속경화 몰탈

Claims (9)

  1. 속경화 시멘트에 물을 혼합하여 속경화 몰탈(500)로 만드는 속경화 몰탈 제작단계(S100);
    기존 창틀 프레임이 제거된 개구부의 하측 설치면(400)에 상기 속경화 몰탈(500)을 시공하는 속경화 몰탈 시공단계(S200);
    시공된 상기 속경화 몰탈(500)의 상면에 수평 고임재(300)를 안착시켜 가압하면서 높이를 설정하는 수평 고임재 높이 설정단계(S300); 및
    시공된 상기 속경화 몰탈(500)이 경화되면서 함께 고정되는 상기 수평 고임재(300)의 상면에 창틀 프레임을 설치하는 창틀 프레임 설치단계(S400);
    를 포함하는 개보수가 용이한 창틀 시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속경화 몰탈 시공단계(S200)는,
    상기 하측 설치면(400)에 상하가 개방된 함체 형태의 몰탈 설치지그(200)를 먼저 설치한 다음 상기 속경화 몰탈(500)을 상기 몰탈 설치지그(200)의 개방된 상측을 통해 충전하여 시공하고,
    상기 몰탈 설치지그(200)에 충전된 속경화 몰탈(500)의 상면을 평평한 상태로 만든 후 상기 몰탈 설치지그(200)를 제거하는 것인 개보수가 용이한 창틀 시공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몰탈 설치지그(200)의 측면에는 상기 몰탈 설치지그(200)의 내부에 충전된 상기 속경화 몰탈(500)의 상면을 평평하게 만드는 수평판(220)이 보관될 수 있도록 보관부(210)가 구비된 것인 개보수가 용이한 창틀 시공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속경화 몰탈 시공단계(S200)는,
    상기 하측 설치면(400)에 상하가 개방된 함체 형태의 몰탈 설치조절지그(200')를 먼저 설치한 다음 상기 속경화 몰탈(500)을 상기 몰탈 설치조절지그(200')의 개방된 상측을 통해 충전하여 시공하고,
    상기 수평 고임재 높이 설정단계(S300)에서,
    상기 몰탈 설치조절지그(200')에 충전된 속경화 몰탈(500)의 상면으로 수평 고임재(300)를 압착시켜 평평하게 하면서 높이를 설정한 후, 상기 몰탈 설치조절지그(200')를 제거하는 것인 개보수가 용이한 창틀 시공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몰탈 설치조절지그(200')는 바깥면에 적어도 하나의 배출공(210')이 형성된 것인 개보수가 용이한 창틀 시공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속경화 몰탈 제작단계(S100)에서,
    비닐봉지(100)의 내부에 격벽(110)을 통해 두개의 공간이 구획되고, 상기 두개의 공간으로 상기 속경화 시멘트와 상기 물이 각각 저장되어 구성되며, 상기 두개의 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이 가압되어 상기 격벽(110)이 찢어지면 상기 속경화 시멘트와 상기 물이 섞여 상기 속경화 몰탈(500)로 구성되는 것인 개보수가 용이한 창틀 시공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격벽(110)은 상기 두개의 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이 가압에 의해 부피 변화를 일으킬 때 쉽게 찢어질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절취유도부(111)가 형성된 것인 개보수가 용이한 창틀 시공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속경화 몰탈 제작단계(S100)에서,
    비닐봉지(100') 내부에 상기 속경화 시멘트와 함께 상기 물이 수용되는 물주머니(110')가 수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물주머니(110')가 가압되어 터지면 상기 속경화 시멘트와 상기 물이 섞여 상기 속경화 몰탈(500)로 구성되는 것인 개보수가 용이한 창틀 시공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물주머니(110')는 일부분이 상기 비닐봉지(100') 내면에 접착 고정되는 것인 개보수가 용이한 창틀 시공방법.
KR1020200043929A 2020-04-10 2020-04-10 개보수가 용이한 창틀 시공방법 KR202101263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929A KR20210126300A (ko) 2020-04-10 2020-04-10 개보수가 용이한 창틀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929A KR20210126300A (ko) 2020-04-10 2020-04-10 개보수가 용이한 창틀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300A true KR20210126300A (ko) 2021-10-20

Family

ID=78268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3929A KR20210126300A (ko) 2020-04-10 2020-04-10 개보수가 용이한 창틀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630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9114A (ko) 2001-12-14 2003-06-25 주식회사 플러스창호 창호의 개보수 구조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9114A (ko) 2001-12-14 2003-06-25 주식회사 플러스창호 창호의 개보수 구조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9136B1 (ko) 하부 말뚝이 구비된 현장 타설 일체형 팽이말뚝 기초 및 이의 시공 방법
DK2488338T3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tower segment-concrete finished parts of a wind power installation tower and formwork unit for production of concrete finished parts
CN112196263B (zh) 一种不同强度等级梁板柱混凝土工程的浇筑装置和方法
CN113216466A (zh) 一种空心外墙施工方法
KR20210126300A (ko) 개보수가 용이한 창틀 시공방법
CN208533356U (zh) 套箱式支座垫石模板
US20060265977A1 (en) Window sill
CN112593809A (zh) 一种门窗安装方法
US20090255196A1 (en) Blind frame for a window or a door
CN208586938U (zh) 轻钢框架eps模块房屋
CN207228464U (zh) 一种装配式非承重墙用石膏空心块体
CN106121102A (zh) 预制混凝土外围护夹心墙板挂装连接施工方法
CN110528829A (zh) 一种铝合金门窗快速安装工艺方法
CN114165055B (zh) 一种现浇楼梯混凝土浇捣工艺
CN112922211B (zh) 一种空心双层楼板施工方法
CN115217278A (zh) 一种装配式预制楼梯及其安装方法
CN207905590U (zh) 一种装配式外窗台防渗水结构体系
KR101072091B1 (ko) 창호 시공 시 가틀의 수평 조절작업을 위한 조절부재
CN215291481U (zh) 一种铝木结合层压槽板免拆锁脚加固装置
CN113958080B (zh) 一种灌浆式块料铺贴方法
CN114961287B (zh) 一种构造柱免支模施工方法
US2702421A (en) Apparatus for use in the construction of walls
CN113503048B (zh) 一种墙面抹灰预留踢脚线可调节控制装置及其施工方法
US20220325518A1 (en) Method of forming vertical wall around window frame
JPH08318517A (ja) 型枠へのコンクリート投入量制御方法及びその投入量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