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3861A - 개보수가 쉬운 창호 틀용 프로파일 - Google Patents

개보수가 쉬운 창호 틀용 프로파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3861A
KR20160033861A KR1020140124428A KR20140124428A KR20160033861A KR 20160033861 A KR20160033861 A KR 20160033861A KR 1020140124428 A KR1020140124428 A KR 1020140124428A KR 20140124428 A KR20140124428 A KR 20140124428A KR 20160033861 A KR20160033861 A KR 20160033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outer frame
present
pro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4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4257B1 (ko
Inventor
우상진
Original Assignee
현대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플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4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4257B1/ko
Publication of KR20160033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3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0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06B3/20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plastics
    • E06B3/22Hollow frames
    • E06B3/221Hollow frames with the frame member having local reinforcements in some parts of its cross-section or with a filled cavity
    • E06B3/222Hollow frames with the frame member having local reinforcements in some parts of its cross-section or with a filled cavity with internal prefabricated reinforcing section members inserted after manufacturing of the hollow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 E06B2003/262Frames made of plast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등에 창호를 시공하기 위한 개구부에 미리 외부 보디로 이루어진 외부 틀을 시공한 다음, 내부 보디로 이루어진 내부 틀을 끼워 고정하고, 이들을 건축물에 스크루 등으로 고정하여 시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구부에서 이 외부 틀을 철거하지 않고 내부 틀만 교체하는 방법으로 쉽게 창호를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쉽게 개보수할 수 있는 창호 틀용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 개구부에 미리 외부 틀을 시공하더라도 다른 공사 중에 이 외부 틀이 파손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내부 틀을 쉽게 끼워서 창호 틀을 조립하거나 때에 따라 이 외부 틀만 철거하여 쉽고 신속하게 개보수할 수 있게 한 창호 틀용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처럼 개구부에 시공한 외부 틀 위에 다양한 창호 형태에 맞게 제작한 내부 틀을 끼워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개보수할 때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다양한 창호를 선택하여 이에 맞게 개보수할 수 있게 한 창호 틀용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개보수가 쉬운 창호 틀용 프로파일{PROFILE FOR EASILY REMODELING}
본 발명은 개보수가 쉬운 창호 틀용 프로파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호 틀을 외부 보디와 내부 보디로 구분하고, 외부 보디로 제작한 외부 틀을 먼저 창호를 장착하기 위한 건축물 등의 개구부에 미리 장착한 상태에서 내부 보디로 제작한 내부 틀을 끼워서 창호 틀을 조립할 수 있게 함으로써, 창호 틀 시공이 쉬울 뿐만 아니라 개보수할 때도 이 내부 틀만 교체하는 것으로 쉽게 창호 틀을 시공할 수 있고, 또한 개보수할 때에 다양한 창호를 장착할 수 있는 내부 틀로 쉽고 신속하게 교체하여 개보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Windows & Doors)는 건축물 등에 드나들 수 있게 하는 문과 내기 등을 순환하기 위한 창문을 포함한다. 이런 창호는 크게 여닫이 방식과 미닫이 방식으로 나눌 수 있는데, 근래에 와서는 건축물을 개보수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이런 여닫이 방식의 경우,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와 같이, 쉽게 개보수를 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창호의 개보수 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 창틀을 제거하지 않고 기존 창틀 위에 새로운 개보수 창틀을 설치하여 창틀을 개보수하는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시공법으로 인한 긴 공사 기간, 큰 비용부담 및 많은 쓰레기 발생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특허문헌 2는, 창호의 가틀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 공사시 창호의 설치 공간에 간단한 구조의 가틀을 간편·용이하게 설치하여 다른 후속 공정을 용이하게 이룰수 있게 하고 마감 공사후 본틀을 설치하게 함으로서 본틀의 파손방지등 제품 보존성과 공기단축을 기하고, 벽면의 두께에 따라 가틀폭을 자유롭게 조절, 시공함으로써 적용 폭을 넓히면서 빗물 침투 등 누수방지 및 프레임의 결로방지와 내외 어떠한 마감작업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가틀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이런 기존의 구성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창호를 설치하기 위해 건축물에 형성한 개구부와 맞닿는 부분에 방수 합판을 설치하고, 특히 이 방수 합판에 하부 몸체를 별도로 구성해서 조립해야 한다. 이는 방수 합판이 습기나 빗물 등으로 파손될 우려가 있다.
(2) 이처럼 방수 합판의 파손은 창호 틀의 파손으로 이어지므로 개보수할 때는 이 하부 부분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다른 하부 몸체를 설치해야 하므로 개보수 작업이 번거롭다.
(3) 기존의 창호 틀을 제거하지 않고 개보수를 위한 창호를 장착하는 경우 개보수한 창호의 크기가 작아진다.
(4) 특히, 기존의 창호 틀과 개보수하는 창호 틀 사이의 틈새가 생기거나 높이가 맞지 않으면 이를 맞추기 위해 보조 부재를 시공해야 하는 데 이 때문에 개보수에 따른 시공 공정이 늘어나서 시공에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0442482호 (등록일 : 2004.07.21) 한국등록특허 제0478433호 (등록일 : 2005.03.14)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발명한 것으로, 건축물 등에 창호를 시공하기 위한 개구부에 미리 외부 보디로 이루어진 외부 틀을 시공한 다음, 내부 보디로 이루어진 내부 틀을 끼워 고정하고, 이들을 건축물에 스크루 등으로 고정하여 시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구부에서 이 외부 틀을 철거하지 않고 내부 틀만 교체하는 방법으로 쉽게 창호를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쉽게 개보수할 수 있는 창호 틀용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 개구부에 미리 외부 틀을 시공하더라도 다른 공사 중에 이 외부 틀이 파손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내부 틀을 쉽게 끼워서 창호 틀을 조립하거나 때에 따라 이 외부 틀만 철거하여 쉽고 신속하게 개보수할 수 있게 한 창호 틀용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처럼 개구부에 시공한 외부 틀 위에 다양한 창호 형태에 맞게 제작한 내부 틀을 끼워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개보수할 때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다양한 창호를 선택하여 이에 맞게 개보수할 수 있게 한 창호 틀용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개보수가 쉬운 창호 틀용 프로파일은, 폭 단면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격실(110)을 가지도록 압출 또는 사출하고, 한 면에는 전체 폭의 일부에 대하여 서로 마주 보는 면과 나란한 평면 부분(120)과 이 평면 부분(120)보다 낮은 위치에서 테두리 부분으로 갈수록 낮게 경사진 사면 부분(130)을 가진 외부 보디(100); 및 폭 단면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격실(210)을 가지도록 압출 또는 사출하고, 한 면에는 상기 평면 부분(120)과 사면 부분(130)과 각각 맞닿을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의 평면 부분(220)과 사면 부분(230)을 형성하며, 이 면과 마주 보는 다른 한 면에는 창호(WD)를 장착할 수 있게 레일(240)을 형성한 내부 보디(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격실(110,210)에는 적어도 하나에 보강 부재(211)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평면 부분(120)과 사면 부분(130)이 만나는 격벽에는 전체 길이에 걸쳐 기밀 부재(141)를 장착할 수 있도록 장착 홈(14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 보디(200)는 사면 부분(230)의 테두리 부분이 외부에 노출하지 않게 감싸주는 차단부(250)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내부 보디(200)에는 상기 평면 부분(220)과 사면 부분(230)에 각각 전체 길이에 걸쳐 격실(210) 안쪽으로 적어도 하나의 변형 홈(260)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보수가 쉬운 창호 틀용 프로파일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건축물의 개구부에 프로파일 중에서 외부 보디로 제작한 외부 틀을 먼저 시공한 다음 마감재 시공과 같은 다른 작업을 한 뒤에 내부 보디로 제작한 내부 틀을 끼워 조립하여 창호 틀의 시공을 마감하므로 이처럼 다른 작업을 할 때에도 창호 틀이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2) 또한, 개보수하고자 할 때에도 이처럼 외부 틀에 장착한 내부 틀을 철거한 다음 다시 내부 보디로 제작한 새로운 내부 틀을 그냥 외부 틀에 끼워서 시공하면 되므로 개보수를 쉽고 신속하게 할 수 있다.
(3) 특히, 내장재나 마감재의 경우 외부 틀과 맞닿게 시공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본 발명의 경우 이 외부 틀을 철거하지 않으므로 내장재나 마감재의 파손이나 철거하지 않고서도 외부 틀만 쉽고 신속하게 철거하여 새로운 외부 틀로 교체할 수 있다.
(4) 내부 틀을 구성하는 내부 보디의 단면 형상 중에서 창호를 시공하기 위한 부분을 다양한 형태로 제작함에 따라서, 단일 창호나 이중 창호 또는 PVC 창호 등 다양한 창호를 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보디와 내부 보디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하여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보디와 내부 보디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하여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보디에 내부 보디를 결합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로 외부 틀과 내부 틀을 조립하여 시공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 중에서 외부 보디로 조립한 외부 틀 위에 여러 가지 내부 틀을 장착하는 예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개보수가 쉬운 창호 틀용 프로파일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외부 보디(100)와 내부 보디(2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특히, 본 발명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외부 보디(100)를 이용하여 격자 형태로 제작한 외부 틀(10)을 개방 부분(O)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내부 보디(200)를 이용하여 격자 형태로 제작한 내부 틀(20)을 이 외부 틀(10)에 끼워서 시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때에 따라 이 내부 틀(20)만 쉽게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쉽게 교체하여 개보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여기서, 도면번호 "O"는 건축물(C)에서 창호(WD)를 설치하기 위한 개구부를 나타낸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 보디(10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폭 단면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격실(110)을 가지도록 압출이나 사출하여 제작한다. 도면에서는 6개의 격실(110)을 형성한 예를 보여주고 있으나, 이는 외부 보디(100)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 등을 고려하여 그 개수를 더 많게 제작하거나 반대로 적게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격실(110)에는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내부에 보강 부재를 더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창호 틀의 경우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합성수지의 강성 보완을 위하여 격실의 내벽과 맞닿는 형태로 강판 등을 접은 보강 부재를 더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외부 보디(100)는 한쪽 면이, 도 5와 같이, 개구부(O)의 내면과 밀착하게 설치하는 데, 이 면과 마주 보는 면에 평면 부분(120)과 사면 부분(130)을 형성한다. 여기서, 평면 부분(12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개구부(O)와 맞닿는 면과 나란하게 형성한 면으로, 이 외부 보디(100)의 전체 폭 중에서 일부 폭에 걸쳐 전체 길이에 형성한다. 그리고, 사면 부분(13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평면 부분(120)을 형성하고 남은 부분으로 형성하는 데, 이 평면 부분(120)보다 낮은 위치에서 시작하여 외부 보디(100)의 테두리 부분으로 갈수록 낮게 경사지게 형성한다. 이는 평면 부분(120)에 후술할 내부 보디(120) 부분이 위아래로 놓여 쉽게 빠지지 않게 하고, 도 9와 같이 이 사면 부분(130)을 통해 할 뿐만 아니라 외부 틀(10) 안으로 내부 틀(20)을 끼울 때 쉽게 끼워 조립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이 사면 부분(130)은 빗물이 고이더라도 빗물이 사면을 따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하는 기능과 더불어 외부 틀과 내부 틀의 접촉 면적을 넓혀 창호 틀의 장착력을 향상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외부 보디(100)에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평면 부분(120)과 사면 부분(130)을 나눠주는 벽면에 전체 길이에 걸쳐 장착 홈(140)을 외부 보디(100)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한다. 그리고, 이 장착 홈(140)에는 실리콘이나 고무와 같이 외부에서 힘을 받으면 탄성 변형을 일으키는 기밀 부재(141)를 갖춰, 도 9 및 도 10과 같이 외부 틀(10)에 내부 틀(20)을 끼움에 따라 이들 사이의 기밀 작용을 통해 실외에서 실내로 빗물이나 습기 등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외부 보디(100)에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평면 부분(120)과 마주 보는 면의 바깥 면에는 장착구(150)를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장착구(150)는, 도 7과 같이, 외부 보디(100)를 격자 형태로 조립하되, 이 장착구(150)가 바깥쪽으로 향하도록 한 외부 틀(10)을 개구부(O)에 시공할 때 이 개구부(O)에 미리 시공한 체결 볼트 등을 고정하는 지지판(P)을 고정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외부 보디(100)는 장착구(150)를 이용하지 않고 바로 개구부(O)에 시공할 수도 있다.
내부 보디(20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외부 보디(100)와 마찬가지로 폭 단면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격실(210)을 가지도록 압출 또는 사출하여 제작한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격실(210)에는 보강 부재(211)를 갖춘다. 도면에서는 두 개의 보강 부재(211)가 각 격실(210)의 내벽과 밀착하는 형태가 되게 구성한 예를 보여준다.
그리고, 상기 내부 보디(200)에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평면 부분(220)과 사면 부분(230)을 형성한다. 이때, 이들 평면 부분(220)과 사면 부분(230)은, 도 3·도 9 및 도 10과 같이, 상술한 외부 보디(100)의 평면 부분(120)과 사면 부분(130)과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하여, 외부 틀(10)에 내부 틀(20)을 끼움에 따라 서로 맞물리듯 끼워져서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부 보디(200)에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평면 부분(120)과 마주 보는 면에 창호(WD)를 끼워서 사용할 수 있도록 레일(240)을 형성한다. 이때, 레일(240)은, 도 10과 같이 이중 창 구조의 창호(WD)를 끼울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고, 도 13과 같이 단일 창 구조의 창호(WD)를 끼울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보디(20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사면 부분(230)의 테두리 부분을 바깥쪽으로 돌출하게 하여 차단부(250)를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3 및 도 10과 같이 외부 틀(10)에 내부 틀(20)을 끼웠을 때 차단부(250)가 외부 보디(100)의 사면 부분(130)을 감싸는 형태가 되게 하여 이들 사면 부분(130,230) 사이로 습기나 빗물 그리고 먼지 등이 유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보디(200)에는 평면 부분(220)과 사면 부분(230)에 각각 전체 길이에 걸쳐 격실(210) 안쪽으로 적어도 하나의 변형 홈(260)을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들 평면 부분(220)과 사면 부분(230)이 외부 보디(100)의 평면 부분(120)과 사면 부분(130) 사이에서 접하는 부분을 줄여 외부 틀(10)을 쉽게 내부 틀(20)에 끼울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보디(100)와 내부 보디(20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각각 격자 프레임 형태로 외부 틀(10)과 내부 틀(20)을 제작한 다음, 개구부(O)에 장착하여 창호(WD)를 장착할 수 있는 창호 틀을 형성한다.
즉, 외부 보디(100)로 도 4 및 도 5와 같이 건축물(C)에 창호를 장착하기 위해 형성한 개구부(O)에 끼울 수 있는 크기를 가진 외부 틀(10)을 격자 형태로 제작한다. 이때, 외부 틀(10)은 도 7과 같이, 격자 형상의 안쪽 면에서 평면 부분(120)이 서로 마주 보는 형태로 조립한다.
이처럼 조립한 외부 틀(10)은, 도 6 및 도 7과 같이, 개구부(O)에 끼워서 시공하며, 이때의 시공은 외부 틀(10)을 직접 개구부(O)에 고정하여 시공할 수도 있고, 상술한 장착 구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외부 틀(10)을 고정한 다음 실내 측에 도 8과 같이 마감재(I)로 마감할 수도 있다. 이러한 외부 틀(10)과 마감재(I)의 시공 방법은 창호를 시공하는 통상의 기술에 속하는 것으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내부 보디(200)로, 도 4·도 5 및 도 9와 같이, 격자 모양의 내부 틀(20)을 조립한다. 이때, 내부 틀(20)은 평면 부분(220)과 사면 부분(230)이 바깥쪽을 향하도록 조립한다.
이처럼 조립한 내부 틀(20)은, 도 9와 같이 외부 틀(10)에 끼워서 시공한다. 이때, 내부 틀(20)은, 도 9와 같이, 평면 부분(220)이 먼저 외부 틀(10) 안으로 끼워지게 함에 따라 도 10과 같이 외부 틀(10)과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렇게 시공한 뒤에는,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외부 틀(10)과 내부 틀(20)을 스크루와 같은 고정 수단으로 개구부(O)에 고정함으로써, 시공을 끝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처럼 시공한 다음 개보수가 필요한 경우, 상기 외부 틀(10)과 내부 틀(20)을 고정하였던 고정 수단을 제거한 다음, 내부 틀(20)을 시공할 때와 반대 방향으로 밀면 내부 틀(20)을 쉽게 철거할 수 있다. 그리고, 새로 제작한 내부 틀(20)을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시공함에 따라 쉽고 신속하게 개보수 창호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틀(20)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 보디(100)로 제작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개보수할 때는 이 내부 틀(20)을 본 발명에 따른 내부 보디(100)로 제작한 것 이외에도 다양한 내부 틀을 이용할 수 있다.
즉, 도 11 및 도 12와 같이, 외부 틀(10) 위에 결수로 물받이용 턱이 형성된 시스템 창호 공틀로 제작한 내부 틀(20')이나, 도 13과 같이 별도의 모헤어(22)로 기밀성을 향상한 단일 창 구조의 내부 틀(20")로 개보수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사면 부분을 이용하여 접촉 면적을 넓혀 서로 맞물림 효과를 높이면서도 쉽고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고, 특히 시공 후에 개보수가 필요한 경우 내부 틀만 교체하여 비용 절감 효과와 더불어 시공 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내부 틀로 개보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10 : 외부 틀
20 : 내부 틀
100 : 외부 보디
110, 210 : 격실
120, 220 : 평면 부분
130, 230 : 사면 부분
140 : 장착 홈
141 : 기밀 부재
150 : 장착구
200 : 내부 보디
211 : 보강 부재
240 : 레일
250 : 차단부
260 : 변형 홈

Claims (5)

  1. 폭 단면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격실(110)을 가지도록 압출 또는 사출하고, 한 면에는 전체 폭의 일부에 대하여 서로 마주 보는 면과 나란한 평면 부분(120)과 이 평면 부분(120)보다 낮은 위치에서 테두리 부분으로 갈수록 낮게 경사진 사면 부분(130)을 가진 외부 보디(100); 및
    폭 단면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격실(210)을 가지도록 압출 또는 사출하고, 한 면에는 상기 평면 부분(120)과 사면 부분(130)과 각각 맞닿을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의 평면 부분(220)과 사면 부분(230)을 형성하며, 이 면과 마주 보는 다른 한 면에는 창호(WD)를 장착할 수 있게 레일(240)을 형성한 내부 보디(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보수가 쉬운 창호 틀용 프로파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110,210)에는 적어도 하나에 보강 부재(211)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보수가 쉬운 창호 틀용 프로파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부분(120)과 사면 부분(130)이 만나는 격벽에는 전체 길이에 걸쳐 기밀 부재(141)를 장착할 수 있도록 장착 홈(14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보수가 쉬운 창호 틀용 프로파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보디(200)는 사면 부분(230)의 테두리 부분이 외부에 노출하지 않게 감싸주는 차단부(250)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보수가 쉬운 창호 틀용 프로파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보디(200)에는 상기 평면 부분(220)과 사면 부분(230)에 각각 전체 길이에 걸쳐 격실(210) 안쪽으로 적어도 하나의 변형 홈(260)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보수가 쉬운 창호 틀용 프로파일.
KR1020140124428A 2014-09-18 2014-09-18 개보수가 쉬운 창호 틀용 프로파일 KR101674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428A KR101674257B1 (ko) 2014-09-18 2014-09-18 개보수가 쉬운 창호 틀용 프로파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428A KR101674257B1 (ko) 2014-09-18 2014-09-18 개보수가 쉬운 창호 틀용 프로파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861A true KR20160033861A (ko) 2016-03-29
KR101674257B1 KR101674257B1 (ko) 2016-11-09

Family

ID=55661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4428A KR101674257B1 (ko) 2014-09-18 2014-09-18 개보수가 쉬운 창호 틀용 프로파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42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50528A (zh) * 2022-11-11 2022-12-09 湖南长房数创科技有限公司 一种制动式防止撞击开启的智能门
WO2023193066A1 (en) * 2022-04-08 2023-10-12 CapLock Pty Ltd A framework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482B1 (ko) 2001-12-14 2004-08-04 주식회사 플러스창호 창호의 개보수 구조 및 방법
KR200375065Y1 (ko) * 2004-11-04 2005-02-07 남창드림윈도스 주식회사 시스템 창호의 조립식 창틀구조
KR100478433B1 (ko) 2001-12-14 2005-03-24 주식회사 플러스창호 창호의 가틀 조립구조
KR101417255B1 (ko) * 2012-03-29 2014-07-08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의 덧붙임 보조 창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482B1 (ko) 2001-12-14 2004-08-04 주식회사 플러스창호 창호의 개보수 구조 및 방법
KR100478433B1 (ko) 2001-12-14 2005-03-24 주식회사 플러스창호 창호의 가틀 조립구조
KR200375065Y1 (ko) * 2004-11-04 2005-02-07 남창드림윈도스 주식회사 시스템 창호의 조립식 창틀구조
KR101417255B1 (ko) * 2012-03-29 2014-07-08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의 덧붙임 보조 창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3066A1 (en) * 2022-04-08 2023-10-12 CapLock Pty Ltd A framework system
CN115450528A (zh) * 2022-11-11 2022-12-09 湖南长房数创科技有限公司 一种制动式防止撞击开启的智能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4257B1 (ko) 201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4257B1 (ko) 개보수가 쉬운 창호 틀용 프로파일
SI1918500T1 (sl) Slepi okvir
KR101975700B1 (ko) 가변형 마감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개보수창
KR101489255B1 (ko) 설치가 용이한 문틀
KR101211696B1 (ko) 문틀 결합구조
KR101401591B1 (ko) 멀티 창호프레임의 조립구조
KR101591896B1 (ko)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는 발코니 리모델링 창호와 그 시공 방법
KR100945212B1 (ko) 교체 가능한 목재 문틀 또는 창틀
JP2016164325A (ja) ドア枠改装構造及び改装ドア
US10895101B1 (en) Adaptable fenestration frame members and methods
KR20070082480A (ko) 고층용 창호
KR101502100B1 (ko) 신속 설치 및 공간 확보가 가능한 창호
KR101763928B1 (ko) 기밀단열성능이 개선되는 커버 프레임형 창호 리모델링 구조
KR101792059B1 (ko) 복층 창호 및 그의 유리 추가 시공방법
RU142648U1 (ru) Алюминиевый короб invisible
KR100964345B1 (ko)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
KR101583536B1 (ko) 커튼월과 미서기 문의 연결구조
KR200432096Y1 (ko) 지하 이중벽체에 설치되는 조립식 점검구
KR102291568B1 (ko) 건축물의 외벽 보호패널
KR101818290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개보수 창호 마감용 조립체
JP6116460B2 (ja) 改装サッシ枠及び既設サッシ枠の改装工法
KR200382777Y1 (ko) 레일 보수용 보강문틀 구조
JP7067964B2 (ja) 建具及び改装サッシの施工方法
KR100736112B1 (ko) 지하 이중벽체에 설치되는 조립식 점검구
KR102446667B1 (ko) 개보수용 미서기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