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112B1 - 지하 이중벽체에 설치되는 조립식 점검구 - Google Patents

지하 이중벽체에 설치되는 조립식 점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112B1
KR100736112B1 KR1020060079745A KR20060079745A KR100736112B1 KR 100736112 B1 KR100736112 B1 KR 100736112B1 KR 1020060079745 A KR1020060079745 A KR 1020060079745A KR 20060079745 A KR20060079745 A KR 20060079745A KR 100736112 B1 KR100736112 B1 KR 100736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double wall
opening
front plate
insp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9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근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근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근정
Priority to KR1020060079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1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8Built-in cupboards; Masks of niches; Covers of holes enabling access to install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에 설치되는 벽체옹벽의 내측에 일정한 공간부를 두고 블록으로 이중벽체를 조적할 때 상기 공간부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유지관리용 또는 환기용 점검구의 설치를 위하여 블록조적시 점검구가 설치되는 적정한 위치에 지지프레임을 설치하고, 그 위에 블록을 계속조적하여 설계된 이중벽체의 설치를 완료한 후에 상기 지지프레임에 개폐문이 형성된 전면판을 조립부착하거나 또는 환기를 위한 그릴을 조립부착하여 조립식점검구를 설치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지하 이중벽체에 설치되는 조립식 점검구{Fabricated inspecting cap for an underground dual wall}
도 1은 종래에 설치된 점검구를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a)(b)는 종래에 점검구를 설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상기 도 2의 (b)의 단면 A-A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식점검구를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5(a)(b)는 본 발명의 조립식점검구를 설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6(a)(b)는 본 발명의 조립식점검구의 지지프레임에 형성된 확장돌기부를 전면판 및 그릴에 형성된 탄력홈부에 삽입하여 조립식점검구를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7(a)(b)는 본 발명의 조립식점검구의 지지프레임에 형성된 홈부내에 전면판 및 그릴에 형성된 돌기부를 삽입하여 조립식점검구를 설치한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8(a)(b)는 본 발명의 지지프레임에 전면판 및 그릴을 일체화시켜 이중벽체조적시 일체화된 지지프레임과 전면판 및 그릴을 동시에 설치한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벽체옹벽 11 ; 지반
12 ; 공간부 13 ; 블록
14 ; 내부공간 15 ; 이중벽체
16 ; 지지보강재 17 ; 측면지지대
20 ; 점검구 21 ; 직사각형프레임
22 ; 전면판 23 ; 개페문
30 ; 조립식점검구 31 ; 지지프레임
32 ; 확장돌기부 33 ; 탄력홈부
34 ; 돌기부 35 ; 홈부
36 ; 확장부 37 ; 입구부
38 ; 날개부
40 ; 일체형점검구
본 발명은 지중에 설치되는 벽체옹벽의 내측에 일정한 공간부를 두고 블록으로 이중벽체를 조적할 때 상기 공간부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유지관리용 점검구이거나 또는 공간부의 공기의 환기를 위한 환기 점검구의 설치를 위하여 블록조적시 점검구가 설치되는 적정한 위치에 지지프레임을 설치하고, 그 위에 블록을 계속조적하여 설계된 이중벽체의 설치를 완료한 후에 상기 지지프레임에 개폐문이 형 성된 전면판을 조립부착하여 유지관리용 점검구를 설치하거나 또는 지지프레임에 그릴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조립부착한 환기용 점검구를 조립식으로 설치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설치하기 위하여 지붕으로 일정깊이로 굴착한 후에 지중의 굴착한 면을 따라 벽체옹벽을 설치하면서 지하수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옹벽에 방수를 실시하도록 한 후에 일정간격 떨어진 공간부를 둔 다음 건물의 내부공간 쪽으로 블록을 조적하여 이중벽체를 설치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벽체옹벽과 일정간 공간부를 두고 이중벽체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은 벽체옹벽에 방수작업을 하여도 지하를 통하여 누수된 지하수가 상기 공간부를 흘러 집수정에 집수된 후에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이중벽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하부와 상부에 개방부를 형성하도록 하여, 하부에는 본 발명의 개폐문이 설치된 점검구를 설치하여 상기 공간부내에 모여있는 지하수가 원활히 배수될수 있도록 청소등의 유지관리를 하기 위하여 상기 전면판에 설치된 개폐문을 통하여 갈고리등과 같은 청소용장비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상부에 설치된 개구부를 통하여는 상기 공간부내의 공기가 환기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에는 그릴만을 설치하여 원활히 공간부내의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기 위하여 벽체옹벽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중벽체를 설치하면서 상기 이중벽체에 점검구를 설치할 때 보다 용이하게 점검구를 설치할수 있도록 조립식으로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설치되는 점검구는 블록을 조적할 때 점검구가 설치되는 부분에 직사각형의 지지프레임을 설치하고 그 주위로 블록을 조적하여 설계된 대로 이중벽체를 설치하도록 한 후에 상기 지지프레임에 개폐문이 설치된 전면판을 조립식으로 부착설치하도록 한 유지관리용 점검구와 공간부내의 공기를 환기할 수 있도록 그릴을 부착설치한 환기용 점검구를 설치한 조립식점검구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중벽체를 설치시 점검구가 설치되는 부분에 지지프레임을 설치하고, 계속 블록을 조적하여 이중벽체를 설치한 후에 상기 지지프레임에 개폐문이 설치된 전면판을 조립설치하도록 하면서, 환기를 위한 그릴을 조립설치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설치된 지지프레임에 전면판 및 그릴을 간단히 조립하여 점검구가 설치되도록 하므로서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점검구 주변의 마감이 미려하여 미관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에 있다.
종래에는 도 1내지 도 3과 같이 벽체옹벽(10)을 설치하고 공간부(12)를 설정하고 내부공간(14) 쪽으로 블록(13)을 이용하여 이중벽체(15)를 설치할 때 점검구(20)가 설치되는 부분에는 블록(13)을 조적시 일정한 개방부를 두고 조적하고 상기 개방부의 상부에는 도 2에서보는바와 같이 지지보강재(16)를, 그 양측에는 측면지지대(17)를 설치하고 난 후에 계속 블록(13)을 조적하여 이중벽체(15)를 설치한 다음, 점검구(20)의 설치를 위하여 상기 설치된 지지보강재(16)와 그 양측에 설치된 측면지지대(17)를 제거한 후에 직사각형 프레임(21)을 설치하고, 도 3과 같이 직사각형 프레임(21)이 설치된 내측부 즉, 공간부(12) 쪽에는 상기 직사각형 프레임(21)을 지지하면서 그 상하부에 설치된 블록(13)과 일체고정되도록 몰탈로 채우는 몰탈사춤(17)작업을 실시한 후에 상기 직사각형프레임(21)에 개폐문(23)이 설치 된 전면판(22)을 설치하여 점검구(20)를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점검구(20)의 설치를 위하여 블록(13) 조적시 지지보강재(16)와 측면지지대(17)를 설치하고, 이를 제거한 후에 블록(13)과 일체화시키기 위하여 몰탈로 채우는 작업을 한 다음, 비로소 직사각형 프레임(21)에 개폐문(23)이 설치된 전면판(22)을 부착하여 점검구(20)를 설치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점검구(20)를 설치하기 위한 사전작업인 지지보강재(16)와 측면지지대(17)의 설치작업이 사전에 수행되어야 하며, 또한 이를 철거하고, 철거하고 난 후에 점검구(20) 설치를 위한 직사각형프레임(21)을 설치하고, 상기 직사각형프레임(21)에 전면판(22)을 부착하여 점검구(20)를 설치한 다음, 마감작업을 하는 일련의 점검구 설치작업이 매우 복잡하면서 불필요한 작업으로 인하여 공사기간이 길어지는등의 비효율적인 시공이 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발명으로서, 이중벽체를 조적할 때 점검구가 설치되는 부분에 바로 지지프레임을 설치하고, 블록으로 이중벽체를 완료한 다음, 상기 설치된 지지프레임에 개폐문이 설치된 전면판을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조립부착하며, 또한 공간부내의 공기의 환기를 위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에 그릴을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조립부착하기 위한 한 것으로서, 불필요한 사전작업을 생략하고, 점검구가 설치되는 개방부에 지지프레임을 설치하고 난 다음 벽체를 완료하고, 전면판 및 그릴을 상기 지지프레임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조립식으로 설치한 조립식점검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중벽체(15)를 조적할 때 점검구가 설치되는 부분을 개방부로 형성하고, 상기 개방부에 지지프레임(31)을 설치하고, 그 위로 블록(13)을 조적하여 이중벽체(15)를 완료한 다음, 상기 설치된 지지프레임(31)에 개폐문이 설치된 전면판(22)과 환기를 위한 그릴(미도시)을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조립부착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식점검구를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지중에 설치되는 벽체옹벽(10)의 내측에 일정한 공간부(12)를 두고 블록(13)으로 이중벽체(15)를 조적할 때 상기 공간부(12)내의 청소등의 유지관리가 가능하도록 갈고리와 같은 청소용장비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공간부(12)내의 공기를 환기할 수 있는 점검구의 설치를 위하여 블록(13)조적시 점검구가 설치되는 적정한 위치에 개방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방부에 지지프레임(31)을 설치하고, 그 위에 블록(13)을 계속조적하여 설계된 이중벽체(15)의 설치를 완료한 후에 상기 지지프레임(31)에 개폐문이 형성된 전면판(22) 및 환기를 위한 그릴(미도시)을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조립부착하여 조립식점검구(30)를 설치한 것이다.
이때, 이중벽체(15)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하부와 상부에 개방부를 형성하도록 하여, 하부에는 개폐문이 설치된 전면판(22)을 설치하여 상기 공간부(12)내에 모여있는 지하수가 원활히 배수될수 있도록 청소등의 유지관리를 할때 상기 개폐 문(23)을 통하여 갈고리와 같은 청소용장비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상부에 설치된 개방부를 통하여는 상기 공간부(12)내의 공기가 환기될 수 있도록 상기 개방부에는 그릴(미도시)만을 설치하여 원활히 공간부(12)내의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기 위하여 이중벽체(15)에 조립식점검구(30)를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설치된 조립식점검구(30)의 재료는 부식이 안되는 스테인레스강철을 사용하거나 또는 화재시 불연재로 이루어진 합성수지제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5(a)(b)는 본 발명의 조립식점검구를 설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지하에 구조물이 설치될때 지중에 벽체옹벽(10)을 설치하고, 상기 벽체옹벽(10)의 내측으로 일정한 공간부(12)를 두고 U형블록, 시멘트블록과 같은 블록(13)으로 이중벽체(15)를 조적할 때 상기 공간부(12)내를 유지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점검구의 설치를 위하여 블록조적시 점검구가 설치되는 적정한 위치에 개방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방부에 지지프레임(31)을 설치하고, 그 위에 블록(13)을 계속조적하여 설계된 이중벽체(15)의 설치를 완료한 후에,
상기 지지프레임(31)에 개폐문이 형성된 전면판(22) 및 환기를 위한 그릴(미도시)을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조립부착하여 조립식점검구(30)를 설치한 것이다.
도 6(a)(b)는 본 발명의 조립식점검구의 지지프레임에 형성된 확장돌기부를 전면판 및 그릴에 형성된 탄력홈부에 삽입하여 조립식점검구를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지지프레임(31)에 개폐문이 설치된 전면판(22) 및 그릴(미도시)을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조립설치하는 것으로서, 탈부착이 가능하게 하는 구성 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지지프레임(31)의 전면으로서 전면판(22) 및 그릴(미도시)이 부착되는 부분에 끝이 확장된 확장돌기부(32)를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확장돌기부(3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전면판(22) 및 그릴(미도시)의 양측부에 “C”자형으로 탄력성이 있는 탄력홈부(33)를 설치하여 상기 지지프레임(31)에 설치된 확장돌기부(32)의 돌기가 상기 전면판(22) 및 그릴(미도시)에 설치된 탄력홈부(33)에 삽입될때 “C”자형으로 된 날개부(38)가 탄력성을 유지하도록 하여 확장돌기가 탄력홈부(33)내에 삽입될때 탄력홈부가 탄력에 의하여 약간벌어지면서 확장돌기부(32)가 삽입되고, 삽입된 후에 탄력홈부(33)의 날개부(38)가 가지고 있는 탄력에 의하여 탄력홈부(33)내에 삽입된 돌기를 감싸,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반대로 전면판(22) 및 그릴(미도시)을 분리할때에는 전면판(22) 및 그릴에 약간의 힘만을 주면 탄력홈부(33)의 날개부(38)가 갖고 있는 탄력에 의하여 “C”자형의 날개부(38)가 벌어지면서 돌기가 빠져 나오도록 하여 지지프레임(31)으로부터 전면판(22) 및 그릴이 분리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점검구의 지지프레임(31)으로부터 전면판(22) 및 그릴(미도시)이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점검구의 설치를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점검구가 훼손되어 교체가 필요할 때 손쉽게 교체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7(a)(b)는 본 발명의 조립식점검구의 지지프레임에 형성된 홈부내에 전면판 및 그릴에 형성된 돌기부를 삽입하여 조립식점검구를 설치한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지지프레임(31)에 개폐문(23)이 설치된 전면판(22) 및 그릴 (미도시)을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조립설치하는 것으로서, 탈부착이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지지프레임(31)의 전면으로서 전면판(22) 및 그릴(미도시)이 부착되는 홈부(35)의 입구부(37)에는 탄성을 갖되, 좁은 홈이 형성되고 입구부에서 내측으로는 일정한 크기의 확장부(36)가 형성되도록 한 것이며,
상기 지지프레임(31)의 홈부(35)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전면판(22) 및 그릴(미도시)의 양측부에 돌기부(34)를 설치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지지프레임(31)에 형성된 탄성을 갖되, 좁은 홈이 형성되고, 입구부(37)에서 내측으로는 일정한 크기의 확장부(36)가 형성된 홈부(35)내에 전면판(22) 및 그릴(미도시)의 돌기부(34)를 삽입할 때 탄성을 갖는 입구부(37)에서 돌기부(34)의 확장부(37)에 의하여 홈부(35)의 입구부(37)가 열려지면서 돌기부(34)가 홈부(35)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홈부(35)의 내측의 확장부(36)에 전면판(22) 및 그릴(미도시)의 돌기부(34)가 삽입되도록 하여 지지프레임(31)에 전면판(22) 및 그릴(미도시)이 결합되어 설치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점검구의 지지프레임(31)으로부터 전면판(22) 및 그릴이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점검구의 설치를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점검구가 훼손되어 교체가 필요할 때 손쉽게 교체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8(a)(b)는 본 발명의 지지프레임에 전면판 및 그릴을 일체화시켜 이중벽체조적시 일체화된 지지프레임과 전면판 및 그릴을 동시에 설치한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와 같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간단히 조립설치 하도록 하는 것 이외에 지지프레임(31)과 전면판(22) 및 그릴(미도시)을 일체로 제작하여 이중벽체(15)를 조적할 때 점검구가 설치되는 위치에 본 도의 일체형점검구(40)를 설치하고난 다음 그 위에 블록(13)을 조적하여 이중벽체(15)를 설치함과 동시에 점검구도 동시에 설치하도록 한 조립식점검구(30)의 설치의 또 다른 실시예인 것이다.
상기 일체형 점검구(40)는 상하부 지지프레임(31)의 양측단부에서 직각으로 지지프레임을 양측에서 결합하여, 상하와 양측면은 상기 지지프레임(31)에 의하여 막혀있고, 전면부와 후방부는 개방되도록 하고, 양측에 설치된 지지프레임(31)과 전면판(22) 및 그릴(미도시)을 상호 조립결합하도록 조립식점검구(30)를 설치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일체형점검구(40)를 제작하여 블록 조적시 점검구가 설치되어야 하는 부분의 개방부에 설치하고 난 다음, 그 위로 계속블록을 조적하여 이중벽체(15)의 설치를 완료함과 동시에 점검구의 설치도 함께 완료되도록 하여 점검구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공정이 생략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립식점검구의 또 다른 설치목적인 환기를 위한 설치는 이중벽체(15)의 상부에 설치되는 점검구로서 벽체옹벽(10)과 이중벽체(15)의 사이의 공간부(12)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조립식점검구(30)를 설치할때와 같이 이중벽체(12)의 설치를 위하여 블록(13)을 조적할 때 개방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방부에 지지프레임(31)을 설치하고, 그 위에 블록(13)을 조적하여 이중벽체(15)를 완료한 후에, 지지프레임(31)에 통풍을 위한 그릴(미도시)을 상기 도 6과 도 7의 방법에 의하여 조립하여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도 8의 방법으로 지지프레임(31)과 공기 순환을 위한 그릴(미도시)이 일체로 결합되도록 한 것을 블록(13) 조적시 개방부에 설치하고, 그 위에 블록(13)을 조립하여 이중벽체(15)를 완성함과 동시에 환기를 위한 조립식점검구(30)의 설치도 완료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중벽체를 조적할 때 유지관리용 및 환기용 점검구가 설치되는 부분에 바로 지지프레임을 설치하고, 블록으로 이중벽체를 완료한 다음, 상기 설치된 지지프레임에 개폐문이 설치된 전면판을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조립부착한 것이거나 또는 그릴을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점검구를 설치할 때 지지보강재 및 측면지지대를 설치하고, 이를 철거한 다음, 직사각형 프레임을 설치하는 등의 불필요한 사전작업을 생략하고, 바로 블록조적시 점검구가 설치되는 개방부에 지지프레임을 설치하고 난 다음, 그 위로 블록을 조적하여 이중벽체를 완료하고 난 다음, 전면판 및 그릴을 상기 지지프레임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조립식으로 설치한 것으로서, 시공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하면서 공사비의 절감도 동시에 달성되도록 한 조립식점검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Claims (7)

  1. 이중벽체를 조적할 때 점검구가 설치되는 부분에 형성된 개방부와, 상기 개방부에 설치된 지지프레임과, 그 위로 블록을 조적하여 이중벽체를 완료한 다음, 상기 설치된 지지프레임에 개폐문이 설치된 전면판 및 그릴을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조립부착한 것에 특징이 있는 지하 이중벽체에 설치되는 조립식 점검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과 전면판 및 그릴을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조립한 것은 지지프레임 전면에 끝부분이 확장된 확장돌기부를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확장돌기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전면판 및 그릴의 탄력홈부를 설치한 것에 특징이 있는 지하 이중벽체에 설치되는 조립식 점검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홈부는 “C”자형으로 된 날개부가 탄력성을 유지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지하 이중벽체에 설치되는 조립식점검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과 전면판을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조립한 것은 지지프레임의 전면에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홈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전면판의 양 측부에 돌기부를 설치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지하 이중벽체에 설치되는 조립식 점검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면에 설치된 홈부는 입구부에는 탄성을 갖되 좁은 홈이 형성되고, 입구부분에서 내측으로는 일정한 크기의 확장부가 형성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지하 이중벽체에 설치되는 조립식 점검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벽체의 개방부에 설치되는 점검구는 상하부 지지프레임의 양측단부에서 직각으로 지지프레임을 양측에서 결합하여, 상하와 양측면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의하여 막혀있고, 전면부와 후방부는 개방되도록 하고, 양측에 설치된 지지프레임과 전면판을 상호 조립결합하도록 일체형 점검구인 것에 특징이 있는 지하 이중벽체에 설치되는 조립식 점검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된 점검구의 재료는 부식이 안되는 스테인레스강철을 사용하거나 또는 화재시 불연재로 이루어진 합성수지제품인 것에 특징이 있는 지하 이중벽체에 설치되는 조립식 점검구.
KR1020060079745A 2006-08-23 2006-08-23 지하 이중벽체에 설치되는 조립식 점검구 KR100736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9745A KR100736112B1 (ko) 2006-08-23 2006-08-23 지하 이중벽체에 설치되는 조립식 점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9745A KR100736112B1 (ko) 2006-08-23 2006-08-23 지하 이중벽체에 설치되는 조립식 점검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4173U Division KR200432096Y1 (ko) 2006-09-08 2006-09-08 지하 이중벽체에 설치되는 조립식 점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6112B1 true KR100736112B1 (ko) 2007-07-06

Family

ID=38503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9745A KR100736112B1 (ko) 2006-08-23 2006-08-23 지하 이중벽체에 설치되는 조립식 점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61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453B1 (ko) 2018-01-08 2018-02-28 주식회사 휴다임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점검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9319A (ja) * 1994-03-16 1995-10-09 Fukuvi Chem Ind Co Ltd 壁用の点検口器材
JPH08144497A (ja) * 1994-11-25 1996-06-04 Showa Denko Kenzai Kk 二重壁点検用ブロック
KR200378618Y1 (ko) 2004-12-30 2005-03-18 안병철 점검구 설치구조
JP2005200825A (ja) 2004-01-13 2005-07-28 Daiken Co Ltd 壁点検口
KR20190000930A (ko) * 2014-05-28 2019-01-03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9319A (ja) * 1994-03-16 1995-10-09 Fukuvi Chem Ind Co Ltd 壁用の点検口器材
JPH08144497A (ja) * 1994-11-25 1996-06-04 Showa Denko Kenzai Kk 二重壁点検用ブロック
JP2005200825A (ja) 2004-01-13 2005-07-28 Daiken Co Ltd 壁点検口
KR200378618Y1 (ko) 2004-12-30 2005-03-18 안병철 점검구 설치구조
KR20190000930A (ko) * 2014-05-28 2019-01-03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453B1 (ko) 2018-01-08 2018-02-28 주식회사 휴다임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점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04535A1 (en) Method of installing windows into a concrete structure
AU6448294A (en) Leakproof framed panel curtain wall system
KR101047308B1 (ko) 오픈조인트 공법을 이용한 건물외벽의 외장구조
KR101592152B1 (ko) 구조보강과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발코니 개보수 창호와 그 시공 방법
KR20090007577U (ko) 다중 기밀 방식의 창틀
KR20130005332A (ko) 개보수용 창호의 구조 및 그것을 이용한 개보수 방법
KR100736112B1 (ko) 지하 이중벽체에 설치되는 조립식 점검구
KR200432096Y1 (ko) 지하 이중벽체에 설치되는 조립식 점검구
KR101279140B1 (ko) 창틀용 누수방지프레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5588193B2 (ja) リフォームサッシ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674257B1 (ko) 개보수가 쉬운 창호 틀용 프로파일
KR100945212B1 (ko) 교체 가능한 목재 문틀 또는 창틀
JP2009019366A (ja) 建具周囲の排水構造
JP2007120245A (ja) 改装サッシ
JP4588254B2 (ja) 開口部改装用額縁
KR200453279Y1 (ko) 환기 시스템용 창호
KR101763928B1 (ko) 기밀단열성능이 개선되는 커버 프레임형 창호 리모델링 구조
KR101345281B1 (ko) 커튼월
JP4056000B2 (ja) 改装サッシ
KR20100040419A (ko) 건축물용 내,외장재 설치구조
JP2011179244A (ja) 先付けサッシ構造及び先付けサッシ工法
KR200430324Y1 (ko) 지하이중벽의 내벽패널 설치구조
JP2010174595A (ja) 建物の水切構造
JP5075694B2 (ja) 建物の構造
JP6074303B2 (ja) 折板屋根の補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