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279Y1 - 환기 시스템용 창호 - Google Patents
환기 시스템용 창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53279Y1 KR200453279Y1 KR2020100007398U KR20100007398U KR200453279Y1 KR 200453279 Y1 KR200453279 Y1 KR 200453279Y1 KR 2020100007398 U KR2020100007398 U KR 2020100007398U KR 20100007398 U KR20100007398 U KR 20100007398U KR 200453279 Y1 KR200453279 Y1 KR 20045327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rtical
- vertical frame
- frame
- louver
- width dire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2—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igid or slidable lamellae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1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by special construction of the frame mem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6—Rain or draught deflectors, e.g. under sliding wings also protection against light for do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환기 시스템용 창호는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판상의 제1수직부를 포함하는 제1수직프레임;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판상의 제2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직프레임에서 이격 설치되는 제2수직프레임; 상기 제1수직부와 제2수직부 사이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설치되는 다수의 루버; 상기 제1수직부의 일측면과 상기 제2수직부의 일측면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루버의 길이 방향 단부가 삽탈되도록 하는 고정홈과, 상기 루버가 폭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고정홈에서 이탈되도록 상기 고정홈의 길이 방향 양측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개구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브라켓;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개구부에 끼움 결합되거나, 상기 제1수직부 또는 상기 제2수직부 중 적어도 하나의 폭 방향 단부에 결합되는 마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루버는 상기 개구부의 개폐여부에 따라 상기 제1수직부와 상기 제2수직부의 폭 방향 양측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루버의 파손 또는 오염에 따라 루버의 유지 보수 작업을 간소화하고,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환기 시스템용 창호가 제공된다. 또한, 완제품의 환기 시스템용 창호를 분리 또는 재설치가 필요 없으므로, 주변 경관 및 건축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환기 시스템용 창호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의하여 루버의 파손 또는 오염에 따라 루버의 유지 보수 작업을 간소화하고,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환기 시스템용 창호가 제공된다. 또한, 완제품의 환기 시스템용 창호를 분리 또는 재설치가 필요 없으므로, 주변 경관 및 건축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환기 시스템용 창호를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환기 시스템용 창호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하게는, 환기 시스템용 창호에 이격 배열되는 루버만 탈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루버의 파손 또는 오염에 따라 루버의 유지 보수 작업을 간소화하고,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환기 시스템용 창호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기 시스템용 창호는 온실이나 재래시장 또는 공공건물 등과 같은 건축물에 설치되어 환기, 차광, 차양, 방풍, 방수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시설물로써, 통상 사각형의 틀 내에 다수의 루버가 이격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환기 시스템용 창호는 규격에 따라 사각형의 틀과 루버가 결합된 완제품의 상태로 제작된 후 설치현장으로 운반된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환기 시스템용 창호는 완제품의 상태로 설치현장에 설치되는 바, 설치 후에 루버가 오염되거나 파손되는 경우에는 환기 시스템용 창호 전체를 분리하여 오염 또는 파손된 루버를 교체한 후 환기 시스템용 창호를 다시 설치해야 하므로, 환기 시스템용 창호의 분리 및 재설치 작업이 번거롭고, 이러한 유지 보수 비용이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분리 또는 재설치 작업 간에 환기 시스템용 창호의 정위치가 어렵고, 환기 시스템용 창호의 주변으로 분리 또는 재설치에 따른 흔적이 남게 되어 주변 경관을 해치고, 환기 시스템용 창호가 설치된 건축물의 외관상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완제품의 상태에서 루버만 탈부착되도록 함으로써, 루버의 파손 또는 오염에 따라 루버의 유지 보수 작업을 간소화하고,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환기 시스템용 창호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완제품의 환기 시스템용 창호를 분리 또는 재설치가 필요 없으므로, 주변 경관 및 건축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환기 시스템용 창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판상의 제1수직부를 포함하는 제1수직프레임;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판상의 제2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직프레임에서 이격 설치되는 제2수직프레임; 상기 제1수직부와 제2수직부 사이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설치되는 다수의 루버; 상기 제1수직부의 일측면과 상기 제2수직부의 일측면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루버의 길이 방향 단부가 삽탈되도록 하는 고정홈과, 상기 루버가 폭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고정홈에서 이탈되도록 상기 고정홈의 길이 방향 양측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개구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브라켓;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개구부에 끼움 결합되거나, 상기 제1수직부 또는 상기 제2수직부 중 적어도 하나의 폭 방향 단부에 결합되는 마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루버는 상기 개구부의 개폐여부에 따라 상기 제1수직부와 상기 제2수직부 중 적어도 하나의 폭 방향 양측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시스템용 창호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수직프레임은 상기 제1수직부의 폭 방향 일측 단부에서 마주하는 상기 제2수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1날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수직프레임은 상기 제2수직부의 폭 방향 일측 단부에서 상기 제1날개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1수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2날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루버는 상기 개구부의 개폐여부에 따라 상기 제1수직부와 상기 제2수직부의 폭방향 타측 단부로 이탈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수직프레임은 인접한 다른 환기 시스템용 창호의 제2수직프레임을 향해 상기 제1수직부의 폭 방향 양측 단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의 끝단부에 절곡 형성되는 제1단턱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수직프레임은 인접한 다른 환기 시스템용 창호의 제1수직프레임을 향해 상기 제2수직부의 폭 방향 양측 단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연장부와, 상기 제1단턱부에 근접 또는 접촉 지지되도록 상기 제2연장부의 끝단부에 절곡 형성되는 제2단턱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수직프레임은 상기 제1수직부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제1결합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수직프레임은 상기 제1결합부와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제2수직부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제2결합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루버의 폭 방향 일측 단부를 감싸 고정되는 제1엔드캡; 상기 루버의 폭 방향 타측 단부를 감싸 고정되는 제2엔드캡;을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수직프레임의 상단부와 상기 제2수직프레임의 상단부를 지지하도록 결합되는 제1수평프레임; 상기 제1수직프레임의 하단부와 상기 제2수직프레임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결합되는 제2수평프레임;을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수평프레임은 상기 제1수직프레임의 상단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의 상단을 지지하는 제1수평부와, 상기 제1수평부의 폭 방향 양측 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단부에서 마주하는 상기 제2수평프레임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1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수평프레임은 상기 제1수직프레임의 하단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의 하단을 지지하는 제2수평부와, 상기 제2수평부의 폭 방향 양측 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단부에서 마주하는 상기 제1수평프레임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수평프레임의 폭 방향 일측 단부에서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완제품의 상태에서 루버가 탈부착되도록 함으로써, 루버의 파손 또는 오염에 따라 루버의 유지 보수 작업을 간소화하고,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환기 시스템용 창호가 제공된다.
또한, 완제품의 환기 시스템용 창호를 분리 또는 재설치가 필요 없으므로, 주변 경관 및 건축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환기 시스템용 창호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현장 여건에 맞게 환기 시스템용 창호의 배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 간편하고, 최초 설치시에도 환기 시스템용 창호의 정위치가 편리한 환기 시스템용 창호가 제공된다.
또한, 환기 시스템용 창호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고, 환기 시스템용 창호 사이에서 발생되는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환기 시스템용 창호가 제공된다.
또한, 루버 간의 배치 간격을 넓히고, 환기 효과를 증대시키면서 빗물이 실내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환기 시스템용 창호가 제공된다.
또한, 프레임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고, 프레임 사이의 틈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환기 시스템용 창호가 제공된다.
또한, 환기 시스템용 창호의 하단과 건출물 사이의 연결 부위의 빗물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환기 시스템용 창호가 제공된다.
또한, 환기를 조절할 수 있는 환기 시스템용 창호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용 창호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분해도,
도 3은 도 1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루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용 창호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분해도,
도 8은 도 6의 횡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루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6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도,
도 3은 도 1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루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용 창호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분해도,
도 8은 도 6의 횡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루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6의 종단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용 창호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용 창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용 창호는 제1수직프레임(10)과 제2수직프레임(20)과 루버(G)와 브라켓과 마감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1수평프레임(60)과 제2수평프레임(70)과 제1엔드캡(80)과 제2엔드캡(90)과 구동유닛(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수직프레임(10)과 제2수직프레임(20)은 상호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첨부 도면 도 3은 도 1의 횡단면도로써, 도 3을 참조하면, 제1수직프레임(10)의 일측면은 제2수직프레임(20)과 마주보는 면으로 정의한다. 제1수직프레임(10)은 제1수직부(11)와 제1날개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수직부(11)는 환기 시스템용 창호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판으로써, 일측면에 후술하는 제1브라켓(30)이 설치된다. 제1날개부(12)는 제1수직부(11)의 폭 방향 일측 단부에서 마주보는 제2수직프레임(20)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제1날개부(12)는 제1수직부(11)의 폭 방향 일측 단부 중 실외 측에 형성되어 후술하는 제1브라켓(30)의 제1개구부(32)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제1날개부(12)는 후술하는 제1수평프레임(60)과 제2수평프레임(70) 사이에서 제1수직프레임(10)이 안정되게 지지 고정되도록 하는 보강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1수직프레임(10)은 제1수직부(11)와 제1연장부(13)와 제1단턱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수직부(11)는 환기 시스템용 창호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판으로써, 일측면에 후술하는 제1브라켓(30)이 설치된다. 제1연장부(13)는 제1수직부(11)의 폭 방향 양측 단부에서 인접한 다른 환기 시스템용 창호의 제2수직프레임(20)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제1단턱부(14)는 제1연장부(13)의 끝단부에 절곡 형성된다. 제1수직부(11)에 제1연장부(13)와 제1단턱부(14)가 형성됨으로써, 제1단턱부(14)와 후술하는 제2단턱부(24)가 상호 근접 또는 접촉 지지됨에 따라 인접한 두 환기 시스템용 창호가 정위치되어 안정되게 연결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단턱부(14)와 후술하는 제2단턱부(24)가 상호 접촉 지지됨으로써, 인접한 두 환기 시스템용 창호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수직프레임(10)은 제1수직부(11)와 제1결합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수직부(11)는 환기 시스템용 창호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판으로써, 일측면에 후술하는 제1브라켓(30)이 설치된다. 제1결합부(15)는 제1수직부(11)의 타측면에 형성된다. 제1결합부(15)는 제1수직부(11)의 타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이거나 제1수직부(11)의 타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수직부(11)에 제1결합부(15)가 형성됨으로써, 제1결합부(15)와 후술하는 제2결합부(25)가 결함됨에 따라 인접한 두 환기 시스템용 창호가 정위치되어 안정되게 연결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1수직부(11)의 타측면에는 제1조립공(16)을 형성하여 후술하는 제1수평프레임(60)과 제2수평프레임(70)이 제1수직프레임(10)과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2수직프레임(20)의 일측면은 제1수직프레임(10)과 마주보는 면으로 정의한다. 제2수직프레임(20)은 제2수직부(21)와 제2날개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수직부(21)는 환기 시스템용 창호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판으로써, 일측면에 후술하는 제2브라켓(40)이 설치된다. 제2날개부(22)는 제2수직부(21)의 폭 방향 일측 단부에서 마주보는 제1수직프레임(10)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제2날개부(22)는 제2수직부(21)의 폭 방향 일측 단부 중 실외 측에 형성되어 후술하는 제2브라켓(40)의 제2개구부(42)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제2날개부(22)는 후술하는 제1수평프레임(60)과 제2수평프레임(70) 사이에서 제2수직프레임(20)이 안정되게 지지 고정되도록 하는 보강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2수직프레임(20)은 제2수직부(21)와 제2연장부(23)와 제2단턱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수직부(21)는 환기 시스템용 창호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판으로써, 일측면에 후술하는 제2브라켓(40)이 설치된다. 제2연장부(23)는 제2수직부(21)의 폭 방향 양측 단부에서 인접한 다른 환기 시스템용 창호의 제1수직프레임(10)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제2단턱부(24)는 제2연장부(23)의 끝단부에 절곡 형성된다. 제2수직부(21)에 제2연장부(23)와 제2단턱부(24)가 형성됨으로써, 상술한 제1단턱부(14)와 제2단턱부(24)가 상호 근접 또는 접촉 지지됨에 따라 인접한 두 환기 시스템용 창호가 정위치되어 안정되게 연결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제1단턱부(14)와 제2단턱부(24)가 상호 접촉 지지됨으로써, 인접한 두 환기 시스템용 창호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2수직프레임(20)은 제2수직부(21)와 제2결합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수직부(21)는 환기 시스템용 창호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판으로써, 일측면에 후술하는 제2브라켓(40)이 설치된다. 제2결합부(25)는 제2수직부(21)의 타측면에 형성된다. 제2결합부(25)는 제2수직부(21)의 타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이거나 제2수직부(21)의 타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수직부(21)에 제2결합부(25)가 형성됨으로써, 상술한 제1결합부(15)와 제2결합부(25)가 결함됨에 따라 인접한 두 환기 시스템용 창호가 정위치되어 안정되게 연결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2수직부(21)의 타측면에는 제2조립공(26)을 형성하여 후술하는 제1수평프레임(60)과 제2수평프레임(70)이 제2수직프레임(20)과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루버(G)는 다수 개가 상술한 제1수직프레임(10)과 제2수직프레임(20) 사이에서 상호 이격 설치되는 판으로써, 통상 길이 방향 양측 단부가 각각 제1수직프레임(10)과 제2수직프레임(2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통상 루버(G)는 실내 측에서 실외 측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첨부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루버(G)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써, 도 4를 참조하면, 브라켓은 제1수직프레임(10)과 제2수직프레임(20)에 각각 설치되어 루버(G)의 길이 방향 단부가 제1수직프레임(10)과 제2수직프레임(20)에 각각 결합하도록 한다. 여기서 브라켓에는 고정홈과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고정홈은 루버(G)의 길이 방향 단부가 삽탈되도록 브라켓에서 함몰 형성된다. 개구부는 고정홈에 삽입된 루버(G)가 폭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고정홈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고정홈의 길이 방향(루버(G)의 폭 방향과 일치함) 양측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개구되어 형성된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 브라켓은 제1브라켓(30)과 제2브라켓(40)으로 구분되고, 제1브라켓(30)에는 제1고정홈(31)과 제1개구부(32)가 형성되며, 제2브라켓(40)에는 제2고정홈(41)과 제2개구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제1브라켓(30)은 루버(G)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를 제1수직프레임(10)에 결합하기 위해 제2수직프레임(20)과 마주보는 면인 제1수직프레임(10)의 일측면에 설치된다. 여기서 제1브라켓(30)에는 제1고정홈(31)과 제1개구부(32)가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제1고정홈(31)은 루버(G)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가 삽탈되도록 제1브라켓(30)에서 함몰 형성된다. 제1개구부(32)는 제1고정홈(31)에 삽입된 루버(G)가 폭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1고정홈(31)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제1고정홈(31)의 길이 방향(루버(G)의 폭 방향과 일치함) 양측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개구되어 형성된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는 제1고정홈(31)의 길이 방향 양측 단부에 모두 제1개구부(32)를 형성하고 있다.
제2브라켓(40)은 루버(G)의 길이 방향 타측 단부를 제2수직프레임(20)에 결합하기 위해 제1수직프레임(10)과 마주보는 면인 제2수직프레임(20)의 일측면에 설치된다. 여기서 제2브라켓(40)에는 제2고정홈(41)과 제2개구부(42)가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제2고정홈(41)은 루버(G)의 길이 방향 타측 단부가 삽탈되도록 제2브라켓(40)에서 함몰 형성된다. 제2개구부(42)는 제2고정홈(41)에 삽입된 루버(G)가 폭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2고정홈(41)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제2고정홈(41)의 길이 방향(루버(G)의 폭 방향과 일치함) 양측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개구되어 형성된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는 제2고정홈(41)의 길이 방향 양측 단부에 모두 제2개구부(42)를 형성하고 있다.
마감부재(50)는 상술한 제1개구부(32)와 제2개구부(42) 중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형성된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 마감부재(50)는 제1수직프레임(10)과 제2수직프레임(20)에 결합되어 각각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는 마감판(5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마감판(52)은 제1수직프레임(10)과 제2수직프레임(20) 중 적어도 하나의 수직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이때, 마감판(52)이 제1수직프레임(10)과 제2수직프레임(20)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1개구부(32)와 제2개구부(42)가 폐쇄되어 제1고정홈(31)과 제2고정홈(41)에서 루버(G)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고, 마감판(52)이 제1수직프레임(10)과 제2수직프레임(20)에서 분리되는 경우에는 제1개구부(32)와 제2개구부(42)가 개방되어 루버(G)가 제1브라켓(30)과 제2브라켓(40)에서 분리됨으로써, 루버(G)의 교체를 간편하게 하고 있다. 마감판(52)과 제1날개부(12)가 함께 형성되는 경우, 제1날개부(12)가 실외 측에서 제1개구부(32)와 제2개구부(42)를 폐쇄하고, 마감판(52)이 실내 측에서 제1개구부(32)와 제2개구부(42)를 개폐할 수 있으므로, 고소 작업에 따른 작업자의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마감판(52)에는 마감턱(52a)을 형성하여 제1개구부(32)와 제2개구부(42)를 안정되게 폐쇄할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용 창호는 제1엔드캡(80)과 제2엔드캡(9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엔드캡(80)은 루버(G)의 폭 방향 일측 단부를 감싸 고정되는 부재로써, 제1엔드캡(80)에는 제1삽입홈(81)과 제1방수턱(82)을 형성할 수 있다. 제1삽입홈(81)이 형성되어 루버(G)의 폭 방향 일측 단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하고, 제1방수턱(82)이 형성되어 실외 측의 빗물이 실내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엔드캡(90)은 루버(G)의 폭 방향 타측 단부를 감싸 고정되는 부재로써, 제2엔드캡(90)에는 제2삽입홈(91)과 제2방수턱(92)을 형성할 수 있다. 제2삽입홈(91)이 형성되어 루버(G)의 폭 방향 타측 단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하고, 제2방수턱(92)이 형성되어 실외 측의 빗물이 실내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면, 제1엔드캡(80)과 제2엔드캡(90)이 루버(G)에 결합됨으로써, 루버(G)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고, 빗물이 실내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첨부 도면 도 5는 도 1의 종단면도로써,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용 창호는 제1수평프레임(60)과 제2수평프레임(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수평프레임(60)은 제1수직프레임(10)의 상단부와 제2수직프레임(20)의 상단부를 지지하도록 결합되고, 제2수평프레임(70)은 제1수직프레임(10)의 하단부와 제2수직프레임(20)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제1수직프레임(10)과 제2수직프레임(20)에는 제1조립공(16)과 제2조립공(26)이 형성됨에 따라 제1수평프레임(60)과 제2수평프레임(70)은 제1수직프레임(10)과 제2수직프레임(20)에 각각 나사 결합이 안정되도록 할 수 있다.
제1수평프레임(60)은 제1수평부(61)와 제1지지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수평부(61)는 제1수직프레임(10)의 상단과 제2수직프레임(20)의 상단을 지지하고, 제1지지부(62)는 제1수평부(61)의 폭 방향 양측 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단부에서 마주하는 제2수평프레임(70)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제1수직프레임(10)과 제2수직프레임(20)을 감싸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제2수평프레임(70)은 제2수평부(71)와 제2지지부(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수평부(71)는 제1수직프레임(10)의 하단과 제2수직프레임(20)의 하단을 지지하고, 제2지지부(72)는 제2수평부(71)의 폭 방향 양측 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단부에서 마주하는 제1수평프레임(60)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제1수직프레임(10)과 제2수직프레임(20)을 감싸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제2지지부(72) 중 실외측에 형성되는 제2지지부(72)는 실내측에 형성되는 제2지지부(72)보다 돌출 높이가 낮으며, 실외측에 형성되는 제2지지부(72)에는 배수공(미도시)을 형성하여 환기 시스템용 창호 내로 침투되는 물의 배수를 원활하게 한다. 여기서 제2수평프레임(70)의 폭 방향 일측 단부(실외측)에는 차단부(73)가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차단부(73)의 형성에 따라 제2수평프레임(70)과 건축물 사이의 틈으로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는 루버(G)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제1브라켓(30)과 제2브라켓(40)은 각각 회전축(미도시)에 의해 제1수직프레임(10)과 제2수직프레임(20)에 결합되고, 회전축(미도시)을 중심으로 제1브라켓(30)과 제2브라켓(40)이 결합된 루버(G)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축(미도시)에 구동유닛(미도시)을 연결하여 구동유닛(미도시)의 동작에 따라 회전축(미도시)을 회전시킴으로써, 루버(G)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구동유닛(미도시)은 회전축(미도시)에 연결되는 레버로써, 레버의 조작에 의해 루버(G)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구동유닛(미도시)은 회전축(미도시)을 정역회전시키는 실린더 또는 모터로 구성되어 실린더 또는 모터를 구동시켜 루버(G)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용 창호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용 창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분해도이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용 창호는 제1수직프레임(10)과 제2수직프레임(20)과 루버(G)와 제1브라켓(30)과 제2브라켓(40)과 마감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1수평프레임(60)과 제2수평프레임(70)과 제1엔드캡(80)과 제2엔드캡(90)과 구동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수직프레임(10)과 제2수직프레임(20)은 상호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첨부 도면 도 8은 도 6의 횡단면도로써, 도 8을 참조하면, 제1수직프레임(10)의 일측면은 제2수직프레임(20)과 마주보는 면으로 정의한다. 제1수직프레임(10)은 제1수직부(11)와 제1날개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수직부(11)는 환기 시스템용 창호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판으로써, 일측면에 후술하는 제1브라켓(30)이 설치된다. 제1날개부(12)는 제1수직부(11)의 폭 방향 일측 단부에서 마주보는 제2수직프레임(20)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제1날개부(12)는 제1수직부(11)의 폭 방향 일측 단부 중 실외 측에 형성되어 후술하는 제1브라켓(30)의 제1개구부(32)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제1날개부(12)는 후술하는 제1수평프레임(60)과 제2수평프레임(70) 사이에서 제1수직프레임(10)이 안정되게 지지 고정되도록 하는 보강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1수직프레임(10)은 제1수직부(11)와 제1연장부(13)와 제1단턱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수직부(11)는 환기 시스템용 창호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판으로써, 일측면에 후술하는 제1브라켓(30)이 설치된다. 제1연장부(13)는 제1수직부(11)의 폭 방향 양측 단부에서 인접한 다른 환기 시스템용 창호의 제2수직프레임(20)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제1단턱부(14)는 제1연장부(13)의 끝단부에 절곡 형성된다. 제1수직부(11)에 제1연장부(13)와 제1단턱부(14)가 형성됨으로써, 제1단턱부(14)와 후술하는 제2단턱부(24)가 상호 근접 또는 접촉 지지됨에 따라 인접한 두 환기 시스템용 창호가 정위치되어 안정되게 연결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단턱부(14)와 후술하는 제2단턱부(24)가 상호 접촉 지지됨으로써, 인접한 두 환기 시스템용 창호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수직프레임(10)은 제1수직부(11)와 제1결합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수직부(11)는 환기 시스템용 창호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판으로써, 일측면에 후술하는 제1브라켓(30)이 설치된다. 제1결합부(15)는 제1수직부(11)의 타측면에 형성된다. 제1결합부(15)는 제1수직부(11)의 타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이거나 제1수직부(11)의 타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수직부(11)에 제1결합부(15)가 형성됨으로써, 제1결합부(15)와 후술하는 제2결합부(25)가 결함됨에 따라 인접한 두 환기 시스템용 창호가 정위치되어 안정되게 연결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1수직부(11)의 타측면에는 제1조립공(16)을 형성하여 후술하는 제1수평프레임(60)과 제2수평프레임(70)이 제1수직프레임(10)과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2수직프레임(20)의 일측면은 제1수직프레임(10)과 마주보는 면으로 정의한다. 제2수직프레임(20)은 제2수직부(21)와 제2날개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수직부(21)는 환기 시스템용 창호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판으로써, 일측면에 후술하는 제2브라켓(40)이 설치된다. 제2날개부(22)는 제2수직부(21)의 폭 방향 일측 단부에서 마주보는 제1수직프레임(10)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제2날개부(22)는 제2수직부(21)의 폭 방향 일측 단부 중 실외 측에 형성되어 후술하는 제2브라켓(40)의 제2개구부(42)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제2날개부(22)는 후술하는 제1수평프레임(60)과 제2수평프레임(70) 사이에서 제2수직프레임(20)이 안정되게 지지 고정되도록 하는 보강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2수직프레임(20)은 제2수직부(21)와 제2연장부(23)와 제2단턱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수직부(21)는 환기 시스템용 창호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판으로써, 일측면에 후술하는 제2브라켓(40)이 설치된다. 제2연장부(23)는 제2수직부(21)의 폭 방향 양측 단부에서 인접한 다른 환기 시스템용 창호의 제1수직프레임(10)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제2단턱부(24)는 제2연장부(23)의 끝단부에 절곡 형성된다. 제2수직부(21)에 제2연장부(23)와 제2단턱부(24)가 형성됨으로써, 상술한 제1단턱부(14)와 제2단턱부(24)가 상호 근접 또는 접촉 지지됨에 따라 인접한 두 환기 시스템용 창호가 정위치되어 안정되게 연결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제1단턱부(14)와 제2단턱부(24)가 상호 접촉 지지됨으로써, 인접한 두 환기 시스템용 창호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2수직프레임(20)은 제2수직부(21)와 제2결합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수직부(21)는 환기 시스템용 창호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판으로써, 일측면에 후술하는 제2브라켓(40)이 설치된다. 제2결합부(25)는 제2수직부(21)의 타측면에 형성된다. 제2결합부(25)는 제2수직부(21)의 타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이거나 제2수직부(21)의 타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수직부(21)에 제2결합부(25)가 형성됨으로써, 상술한 제1결합부(15)와 제2결합부(25)가 결함됨에 따라 인접한 두 환기 시스템용 창호가 정위치되어 안정되게 연결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2수직부(21)의 타측면에는 제2조립공(26)을 형성하여 후술하는 제1수평프레임(60)과 제2수평프레임(70)이 제2수직프레임(20)과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루버(G)는 다수 개가 상술한 제1수직프레임(10)과 제2수직프레임(20) 사이에서 상호 이격 설치되는 판으로써, 통상 길이 방향 양측 단부가 각각 제1수직프레임(10)과 제2수직프레임(2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통상 루버(G)는 실내 측에서 실외 측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첨부 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루버(G)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써, 도 9를 참조하면, 브라켓은 제1수직프레임(10)과 제2수직프레임(20)에 각각 설치되어 루버(G)의 길이 방향 단부가 제1수직프레임(10)과 제2수직프레임(20)에 각각 결합하도록 한다. 여기서 브라켓에는 고정홈과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고정홈은 루버(G)의 길이 방향 단부가 삽탈되도록 브라켓에서 함몰 형성된다. 개구부는 고정홈에 삽입된 루버(G)가 폭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고정홈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고정홈의 길이 방향(루버(G)의 폭 방향과 일치함) 양측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개구되어 형성된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 브라켓은 제1브라켓(30)과 제2브라켓(40)으로 구분되고, 제1브라켓(30)에는 제1고정홈(31)과 제1개구부(32)가 형성되며, 제2브라켓(40)에는 제2고정홈(41)과 제2개구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제1브라켓(30)은 루버(G)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를 제1수직프레임(10)에 결합하기 위해 제2수직프레임(20)과 마주보는 면인 제1수직프레임(10)의 일측면에 설치된다. 여기서 제1브라켓(30)에는 제1고정홈(31)과 제1개구부(32)가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제1고정홈(31)은 루버(G)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가 삽탈되도록 제1브라켓(30)에서 함몰 형성된다. 제1개구부(32)는 제1고정홈(31)에 삽입된 루버(G)가 폭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1고정홈(31)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제1고정홈(31)의 길이 방향(루버(G)의 폭 방향과 일치함) 양측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개구되어 형성된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는 제1고정홈(31)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실외측)에 제1개구부(32)를 형성하고 있다.
제2브라켓(40)은 루버(G)의 길이 방향 타측 단부를 제2수직프레임(20)에 결합하기 위해 제1수직프레임(10)과 마주보는 면인 제2수직프레임(20)의 일측면에 설치된다. 여기서 제2브라켓(40)에는 제2고정홈(41)과 제2개구부(42)가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제2고정홈(41)은 루버(G)의 길이 방향 타측 단부가 삽탈되도록 제2브라켓(40)에서 함몰 형성된다. 제2개구부(42)는 제2고정홈(41)에 삽입된 루버(G)가 폭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2고정홈(41)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제2고정홈(41)의 길이 방향(루버(G)의 폭 방향과 일치함) 양측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개구되어 형성된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는 제2고정홈(41)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실외측)에 제2개구부(42)를 형성하고 있다.
마감부재(50)는 상술한 제1개구부(32)와 제2개구부(42) 중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형성된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 마감부재(50)는 제1개구부(32)와 제2개구부(42)에 끼움 결합되어 각각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마감캡(51)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감캡(51)은 제1개구부(32)와 제2개구부(42) 중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에 끼움 결합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이때, 마감캡(51)이 제1브라켓(30)과 제2브라켓(40)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1개구부(32)와 제2개구부(42)가 폐쇄되어 제1고정홈(31)과 제2고정홈(41)에서 루버(G)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고, 마감캡(51)이 제1브라켓(30)과 제2브라켓(40)에서 분리되는 경우에는 제1개구부(32)와 제2개구부(42)가 개방되어 루버(G)가 제1브라켓(30)과 제2브라켓(40)에서 분리됨으로써, 루버(G)의 교체를 간편하게 하고 있다. 마감캡(51)과 제1날개부(12)가 함께 형성되는 경우, 제1날개부(12)가 실외 측에서 제1개구부(32)와 제2개구부(42)를 폐쇄하고, 마감캡(51)이 실내 측에서 제1개구부(32)와 제2개구부(42)를 개폐할 수 있으므로, 고소 작업에 따른 작업자의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용 창호는 제1엔드캡(80)과 제2엔드캡(9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엔드캡(80)은 루버(G)의 폭 방향 일측 단부를 감싸 고정되는 부재로써, 제1엔드캡(80)에는 제1삽입홈(81)과 제1방수턱(82)을 형성할 수 있다. 제1삽입홈(81)이 형성되어 루버(G)의 폭 방향 일측 단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하고, 제1방수턱(82)이 형성되어 실외 측의 빗물이 실내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엔드캡(90)은 루버(G)의 폭 방향 타측 단부를 감싸 고정되는 부재로써, 제2엔드캡(90)에는 제2삽입홈(91)과 제2방수턱(92)을 형성할 수 있다. 제2삽입홈(91)이 형성되어 루버(G)의 폭 방향 타측 단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하고, 제2방수턱(92)이 형성되어 실외 측의 빗물이 실내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면, 제1엔드캡(80)과 제2엔드캡(90)이 루버(G)에 결합됨으로써, 루버(G)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고, 빗물이 실내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첨부 도면 도 10 도 6의 종단면도로써, 도 10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용 창호는 제1수평프레임(60)과 제2수평프레임(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수평프레임(60)은 제1수직프레임(10)의 상단부와 제2수직프레임(20)의 상단부를 지지하도록 결합되고, 제2수평프레임(70)은 제1수직프레임(10)의 하단부와 제2수직프레임(20)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제1수직프레임(10)과 제2수직프레임(20)에는 제1조립공(16)과 제2조립공(26)이 형성됨에 따라 제1수평프레임(60)과 제2수평프레임(70)은 제1수직프레임(10)과 제2수직프레임(20)에 각각 나사 결합이 안정되도록 할 수 있다.
제1수평프레임(60)은 제1수평부(61)와 제1지지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수평부(61)는 제1수직프레임(10)의 상단과 제2수직프레임(20)의 상단을 지지하고, 제1지지부(62)는 제1수평부(61)의 폭 방향 양측 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단부에서 마주하는 제2수평프레임(70)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제1수직프레임(10)과 제2수직프레임(20)을 감싸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제2수평프레임(70)은 제2수평부(71)와 제2지지부(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수평부(71)는 제1수직프레임(10)의 하단과 제2수직프레임(20)의 하단을 지지하고, 제2지지부(72)는 제2수평부(71)의 폭 방향 양측 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단부에서 마주하는 제1수평프레임(60)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제1수직프레임(10)과 제2수직프레임(20)을 감싸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제2지지부(72) 중 실외측에 형성되는 제2지지부(72)는 실내측에 형성되는 제2지지부(72)보다 돌출 높이가 낮으며, 실외측에 형성되는 제2지지부(72)에는 배수공(미도시)을 형성하여 환기 시스템용 창호 내로 침투되는 물의 배수를 원활하게 한다. 여기서 제2수평프레임(70)의 폭 방향 일측 단부(실외측)에는 차단부(73)가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차단부(73)의 형성에 따라 제2수평프레임(70)과 건축물 사이의 틈으로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는 루버(G)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제1브라켓(30)과 제2브라켓(40)은 각각 회전축(미도시)에 의해 제1수직프레임(10)과 제2수직프레임(20)에 결합되고, 회전축(미도시)을 중심으로 제1브라켓(30)과 제2브라켓(40)이 결합된 루버(G)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축(미도시)에 구동유닛(미도시)을 연결하여 구동유닛(미도시)의 동작에 따라 회전축(미도시)을 회전시킴으로써, 루버(G)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구동유닛(미도시)은 회전축(미도시)에 연결되는 레버로써, 레버의 조작에 의해 루버(G)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구동유닛(미도시)은 회전축(미도시)을 정역회전시키는 실린더 또는 모터로 구성되어 실린더 또는 모터를 구동시켜 루버(G)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제1수직프레임 11: 제1수직부 12: 제1날개부
13: 제1연장부 14: 제1단턱부 15: 제1결합부
20: 제2수직프레임 21: 제2수직부 22: 제2날개부
23: 제2연장부 24: 제2단턱부 25: 제2결합부
30: 제1브라켓 31: 제1고정홈 32: 제1개구부
40: 제2브라켓 41: 제2고정홈 42: 제2개구부
50: 마감부재 51: 마감캡 52: 마감판
60: 제1수평프레임 61: 제1수평부 62: 제1지지부
70: 제2수평프레임 71: 제2수평부 72: 제2지지부
73: 차단부 80: 제1엔드캡 90: 제2엔드캡
G: 루버
13: 제1연장부 14: 제1단턱부 15: 제1결합부
20: 제2수직프레임 21: 제2수직부 22: 제2날개부
23: 제2연장부 24: 제2단턱부 25: 제2결합부
30: 제1브라켓 31: 제1고정홈 32: 제1개구부
40: 제2브라켓 41: 제2고정홈 42: 제2개구부
50: 마감부재 51: 마감캡 52: 마감판
60: 제1수평프레임 61: 제1수평부 62: 제1지지부
70: 제2수평프레임 71: 제2수평부 72: 제2지지부
73: 차단부 80: 제1엔드캡 90: 제2엔드캡
G: 루버
Claims (8)
-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판상의 제1수직부를 포함하는 제1수직프레임;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판상의 제2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직프레임에서 이격 설치되는 제2수직프레임;
상기 제1수직부와 제2수직부 사이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설치되는 다수의 루버;
상기 제1수직부의 일측면과 상기 제2수직부의 일측면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루버의 길이 방향 단부가 삽탈되도록 하는 고정홈과, 상기 루버가 폭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고정홈에서 이탈되도록 상기 고정홈의 길이 방향 양측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개구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브라켓;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개구부에 끼움 결합되거나, 상기 제1수직부 또는 상기 제2수직부 중 적어도 하나의 폭 방향 단부에 결합되는 마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루버는 상기 개구부의 개폐여부에 따라 상기 제1수직부와 상기 제2수직부의 폭 방향 양측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시스템용 창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프레임은 상기 제1수직부의 폭 방향 일측 단부에서 마주하는 상기 제2수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1날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수직프레임은 상기 제2수직부의 폭 방향 일측 단부에서 상기 제1날개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1수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2날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루버는 상기 개구부의 개폐여부에 따라 상기 제1수직부와 상기 제2수직부의 폭방향 타측 단부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시스템용 창호.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프레임은 인접한 다른 환기 시스템용 창호의 제2수직프레임을 향해 상기 제1수직부의 폭 방향 양측 단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의 끝단부에 절곡 형성되는 제1단턱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수직프레임은 인접한 다른 환기 시스템용 창호의 제1수직프레임을 향해 상기 제2수직부의 폭 방향 양측 단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연장부와, 상기 제1단턱부에 근접 또는 접촉 지지되도록 상기 제2연장부의 끝단부에 절곡 형성되는 제2단턱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시스템용 창호.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프레임은 상기 제1수직부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제1결합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수직프레임은 상기 제1결합부와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제2수직부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제2결합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시스템용 창호.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의 폭 방향 일측 단부를 감싸 고정되는 제1엔드캡;
상기 루버의 폭 방향 타측 단부를 감싸 고정되는 제2엔드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시스템용 창호.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프레임의 상단부와 상기 제2수직프레임의 상단부를 지지하도록 결합되는 제1수평프레임;
상기 제1수직프레임의 하단부와 상기 제2수직프레임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결합되는 제2수평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시스템용 창호.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프레임은 상기 제1수직프레임의 상단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의 상단을 지지하는 제1수평부와, 상기 제1수평부의 폭 방향 양측 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단부에서 마주하는 상기 제2수평프레임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1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수평프레임은 상기 제1수직프레임의 하단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의 하단을 지지하는 제2수평부와, 상기 제2수평부의 폭 방향 양측 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단부에서 마주하는 상기 제1수평프레임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시스템용 창호.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평프레임의 폭 방향 일측 단부에서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시스템용 창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7398U KR200453279Y1 (ko) | 2010-07-14 | 2010-07-14 | 환기 시스템용 창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7398U KR200453279Y1 (ko) | 2010-07-14 | 2010-07-14 | 환기 시스템용 창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53279Y1 true KR200453279Y1 (ko) | 2011-04-20 |
Family
ID=44245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07398U KR200453279Y1 (ko) | 2010-07-14 | 2010-07-14 | 환기 시스템용 창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3279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A029689B1 (ru) * | 2016-01-20 | 2018-04-30 | Совместное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люминтехно" | Вентиляционная решётка |
KR102471988B1 (ko) * | 2022-01-13 | 2022-11-30 | 양승현 | 갤러리 창호 |
KR102686366B1 (ko) * | 2024-02-23 | 2024-07-19 | 주식회사 보스톤코리아 | 빗물유도날개와 이것이 구비된 빗물유도창틀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9059Y1 (ko) * | 2007-04-25 | 2008-03-18 | 정순학 | 갤러리 창호 |
KR100846145B1 (ko) * | 2007-08-28 | 2008-07-14 | (주)씨에스아이디산업 | 갤러리 창호 |
-
2010
- 2010-07-14 KR KR2020100007398U patent/KR20045327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9059Y1 (ko) * | 2007-04-25 | 2008-03-18 | 정순학 | 갤러리 창호 |
KR100846145B1 (ko) * | 2007-08-28 | 2008-07-14 | (주)씨에스아이디산업 | 갤러리 창호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A029689B1 (ru) * | 2016-01-20 | 2018-04-30 | Совместное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люминтехно" | Вентиляционная решётка |
KR102471988B1 (ko) * | 2022-01-13 | 2022-11-30 | 양승현 | 갤러리 창호 |
KR102686366B1 (ko) * | 2024-02-23 | 2024-07-19 | 주식회사 보스톤코리아 | 빗물유도날개와 이것이 구비된 빗물유도창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091119B2 (en) | Windows and doors assembly structure having a joint portion of 45 degrees | |
JP4472908B2 (ja) | レール詰込み形スライディング窓戸装置 | |
CN103210167A (zh) | 轨道隐蔽型门窗装置 | |
KR101188812B1 (ko) | 오픈조인트 타입 마감패널용 고정장치 | |
KR101948011B1 (ko) | 미세먼지 필터와 방충망이 구비된 가변형 창틀 | |
KR101256039B1 (ko) | 일체형 스크린 루버 구조체 | |
CN105507783A (zh) | 一种模块化门底密封装置 | |
CN104196427A (zh) | 一种门窗的无槛门结构 | |
KR200453279Y1 (ko) | 환기 시스템용 창호 | |
KR20130104552A (ko) | 창호용 환기장치 | |
KR101354665B1 (ko) | 방충 및 방범 기능이 동시에 부여되고, 물성성능이 강화된 창호 시스템 | |
CN204531106U (zh) | 一种可独立更换的坐式幕墙系统 | |
CN203514569U (zh) | 一种模块化隔墙 | |
KR200444932Y1 (ko) | 슬랫 이탈 방지 구조를 갖는 루버 | |
KR102215879B1 (ko) | 연결브라켓 교체형 창호프레임 | |
KR200452374Y1 (ko) | 조명장치가 구비된 환기 시스템용 창호 | |
KR102186400B1 (ko) | 창문 개폐 정도에 따라 기밀성이 조절되는 창호 구조체 | |
KR101586427B1 (ko) | 단열 효과를 극대화한 친환경 커튼월 | |
CN211078071U (zh) | 一种别墅梯型材结构 | |
KR20100096476A (ko) | 실외 장착형 글레이징 비드를 구비한 창호 및 그 조립 방법 | |
KR200418516Y1 (ko) | 건축물용 환기장치 | |
KR100493897B1 (ko) | 무레일형 창호장치 | |
CN203783365U (zh) | 用于活动房屋的推拉窗 | |
CN201786228U (zh) | 通用型纱窗框 | |
KR101311727B1 (ko) | 창호용 유리 마감테 결합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