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1787B1 - 예초기 - Google Patents

예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1787B1
KR100441787B1 KR10-2002-0002913A KR20020002913A KR100441787B1 KR 100441787 B1 KR100441787 B1 KR 100441787B1 KR 20020002913 A KR20020002913 A KR 20020002913A KR 100441787 B1 KR100441787 B1 KR 100441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brake
cutting blade
brake shoe
rot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2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2686A (ko
Inventor
와라시나마코토
코바야시타카오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2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2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1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17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 A01D34/68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with motor driven cutters or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835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A01D34/9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arrying by the opera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 A01D34/68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with motor driven cutters or wheels
    • A01D34/6806Driving mechanisms
    • A01D34/6812Braking or clutch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9/00Self-acting brakes, e.g. coming into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speed
    • F16D59/02Self-acting brakes, e.g. coming into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speed spring-loaded and adapted to be released by mechanical, fluid, or electromagne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101/00Lawn-m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4Mechan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4Mechanical
    • F16D2121/16Mechanical for releasing a normally applied bra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3/00Multiple operation fo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9/00Type of operation source for auxiliary mechanisms
    • F16D2129/04Mechanical
    • F16D2129/043Weigh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One-Way And Automatic Clutches, And Combinations Of Different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풀이나 관목을 벌채하는 장치(이하 "예초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절단날의 제동장치를 개선한 예초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구동원(21)의 회전수가 예정된 값에 미치지 못하는 정도로 회전하는 경우, 클러치 이동부재(45, 85)는 클러치 탄성부재(46)에 의해 클러치 드럼(31, 81)으로부터 이격되며, 이에 따라 클러치 드럼(31, 81)은 제동탄성부재(36)에 의해 예정된 제동위치로 탄성적으로 다시 미끄러져 브레이크 슈(33, 83)가 브레이크 패드(35)를 압압하여 제동력이 생긴다. 구동원(21)의 회전수가 예정된 값 이상으로 회전하는 경우, 클러치 이동부재(45, 85)는 원심력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클러치 이동부재(45, 85)가 클러치 드럼(31,81)을 밀어 축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이게 하여 제동탄성부재(36)의 힘을 이기고 비제동위치로 움직이게 하므로 브레이크 슈(33, 83)가 브레이크 패드(35)로부터 이격되어 제동작용이 해제된다.

Description

예초기{Bush cut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풀이나 관목을 벌채하는 장치(이하 "예초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절단날의 제동장치를 개선한 예초기에 관한 것이다.
예초기의 제동장치에 관해서는 이미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국 실용공개공보 소 51-53248과 51-99039에 나타나 있다. 일본국 실용공개공보 소 51-53248에는 브레이크 슈와 이 브레이크 슈가 종동축과 접촉하거나 떨어지도록 움직이게 하는 캠으로 구성된 예초기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조작자가 브레이크를 풀면 캠 플레이트가 브레이크 슈가 종동축을 압박하도록 회전하여 회전날의 회전을 멈추게 하는 제동력이 발생한다.
일본국 실용공개공보 소 51-99039에는 클러치 드럼의 외주를 따라 설비된 브레이크 라이닝을 포함한 예초기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조작자가 레버를 풀면 브레이크 라이닝이 클러치 드럼의 외주면에 접촉되고, 이 접촉으로 인해 원동기나 구동원을 비활성화시키는 신호가 발생하여 회전날의 회전을 멈추게 될 수 있다.
일본국 실용공개공보 소 51-53248에 개시된 예초기의 구성으로는 회전날을제어하는데 상당한 양의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조작자는 수동으로 브레이크 레버를 조작해야 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공보에 개시된 예초기의 구조상 브레이크 레버나 브레이크 와이어 등 많은 부품이 필요하기 때문에 생산단가가 증가하게 된다.
일본국 실용공개공보 소 51-99039에 개시된 예초기의 경우에도 그 구조상 구동원과 회전날을 제어하는데는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 조작자가 수동으로 레버를 조종해야 하기 때문인데, 이로 인해 조작성이 떨어지게 된다. 게다가, 개시된 예초기의 구조로 볼 때 조정막대는 클러치 하우징의 구멍을 통해 나온 연결 와이어와 연결되어 있는데, 이 구멍으로 인해 방진성 및 방수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설계해야 한다. 또한 조정레버와 연결된 연결 와이어의 장력을 점검하고 조절해야 하므로, 여분의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조작성, 방진성과 방수성을 향상시키고, 생산단가를 낮춘 예초기를 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를 사용하는 조작자의 예초작업상태를 도시한 도이고,
도 2는 도 1의 예초기의 몸체의 부분단면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3-3선 단면도이고,
도 4a와 도 4b는 도 2의 예초기의 작용설명도이고,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의 단면도이고,
도 6a와 도 6b는 도 5의 예초기의 작용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 예초기 13 : 회전날
21 : 구동원 22 : 크랭크축
23, 23B : 클러치장치 24 : 제동장치
25 : 절단날 구동축 31 : 클러치 드럼
32 : 개구부 33, 83 : 브레이크 슈
34 : 하우징 35 : 브레이크 패드
36 : 제동탄성부재 41, 84 : 회전부재
43 : 테이퍼부 44 : 테이퍼면(외측면)
45, 85 : 클러치 이동부재 46 : 클러치 탄성부재
81 : 클러치 드럼 82 : 개구단
83 : 브레이크 슈 C : 회전부재 중심선
D : 클러치드럼의 최대 직경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기능이 향상된 예초기를 들 수 있다. 이 예초기는 절단날이 장착된 절단날 구동축과 클러치장치와 제동장치를 통하여 절단날 구동축과 연결된 출력축을 가지는 구동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 예초기의 클러치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구동원의 출력축에 장착된 회전부재; 회전부재에 장착되어 회전부재의 반경방향을 따라 미끄러져 이동하는 클러치 이동부재,이 클러치 이동부재는 외측면이 테이퍼된 모양을 하고 있으며; 절단날 구동축에 장착되어 길이방향의 이동을 위한 클러치 드럼, 상기 클러치 드럼은 클러치 이동부재의 테이퍼된 외측면 형상에 상응하여 테이퍼된 내면을 가지며; 클러치 이동부재를 축의 중심방향으로 상시로 잡아당기고 있는 클러치 탄성부재; 로 구성되어 있다.
제동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클러치 드럼의 반경이 가장 큰 개구부의 선단에 형성된 브레이크 슈; 비회전 고정 하우징에 장착되어 브레이크 슈와 대립되는 브레이크 패드; 브레이크 슈를 브레이크 패드에 대해 압압하고 있는 제동탄성부재; 로 구성되어 있다. 구동원에 의해 회전부재가 미리 정해진 회전수에 미치지 못하는 정도로 회전하는 경우, 클러치 이동부재는 클러치 탄성부재의 인력에 의해 클러치 드럼으로부터 이격되어 브레이크 슈가 브레이크 패드를 압압하여 제동력이 생긴다. 그러나, 회전부재가 구동원에 의해 미리 정하여진 회전수 이상의 속도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클러치 이동부재는 원심력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클러치 드럼을 압압하게 된다. 또한, 이에 따라 클러치 드럼은 클러치 이동부재의 테이퍼된 외측면에 의해 미끄러져서 비제동위치로 움직이게 된다.
회전부재의 회전 즉 절단날의 회전이 미리 정해진 회전속도 이하로 떨어지면, 브레이크장치는 자동적으로 작동하여 회전날의 회전을 멈추게 한다. 즉, 구동원의 회전수에 따른 클러치장치의 회전수가 일정한 값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클러치 이동부재는 클러치 드럼으로부터 이격되고, 클러치 드럼은 탄성력에 의해 제동위치로 움직이게 되어 브레이크 슈가 브레이크 패드를 압압하여 제동력이 생긴다. 즉, 이 경우 제동장치는 제동탄성부재가 브레이크 슈를 브레이크 패드에 대해 압압하게 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절단날 구동축과 절단날 및 브레이크 슈를 가지고 있는 클러치 드럼이 회전을 멈추게 된다. 제동장치가 구동원의 회전수의 변화에 따라 자동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본 발명은 조작자가 수동으로 브레이크 레버 등을 조작하는 수고를 감해주며, 따라서 현저한 조작성의 향상을 가져온다.
반면에, 구동원이나 클러치장치의 회전수가 일정한 값을 초과하면, 클러치장치내의 클러치 이동부재가 반경방향의 바깥쪽으로 미끄러져, 클러치 드럼을 비제동위치로 이동시킨다. 즉, 테이퍼된 외측면에 의해 브레이크 슈가 장착된 클러치 드럼이 브레이크 패드와 이격되어 제동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장치에 의해, 본 발명은 조작자의 제동작용에 필요한 레버나 와이어를 필요없게 하였으며, 이에 따라 연결 와이어의 통과를 위한 구멍이 필요로 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보다 향상된 방진성과 방수성을 가진 예초기를 얻게 된다. 나아가, 브레이크 레버나 와이어 등의 부품이 불필요하게 되어 더 낮은 단가로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기능이 향상된 다른 예초기를 들 수 있다. 이 예초기는 절단날이 장착된 절단날 구동축과 클러치장치와 제동장치를 통하여 절단날 구동축과 연결된 출력축을 가지는 구동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 예초기의 클러치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구동원의 출력축에 장착된 회전부재; 회전부재에 장착되어 회전부재의 반경방향과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클러치 이동부재; 절단날 구동축에 장착되어 길이방향의 이동을 위한 클러치 드럼; 클러치이동부재를 축의 중심방향으로 상시로 잡아당기고 있는 클러치 탄성부재; 로 구성되어 있다. 제동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클러치 드럼의 개구부의 선단에 형성된 브레이크 슈; 비회전 고정 하우징에 장착되어 브레이크 슈와 대립되는 브레이크 패드; 브레이크 슈를 브레이크 패드에 대해 상시로 압압하고 있는 제동탄성부재; 로 구성되어 있다. 구동원에 의해 회전부재가 예정된 회전수에 미치지 못하는 정도로 회전하는 경우, 클러치 이동부재는 클러치 탄성부재의 인력에 의해 클러치 드럼으로부터 이격되어 브레이크 슈가 브레이크 패드를 압압하여 제동력이 생긴다. 그러나 회전부재가 구동원에 의해 예정된 회전수 이상의 속도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클러치 이동부재는 원심력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이동하고 또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클러치 드럼을 밀어 브레이크 슈가 브레이크 패드로부터 이격되게 한다.
구동원의 회전수에 따른 클러치장치의 회전수가 일정한 값 이하로 감소하면 클러치 이동부재는 클러치 드럼으로부터 이격되고 클러치 드럼은 탄성력에 의해 제동위치로 움직이게 되어 브레이크 슈가 브레이크 패드를 압압하여 제동력이 생긴다. 즉, 이 경우 제동장치는 제동탄성부재가 브레이크 슈를 브레이크 패드에 대해 압압하게 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절단날 구동축과 절단날, 브레이크 슈를 가지고 있는 클러치 드럼이 회전을 멈추게 된다. 제동장치가 구동원의 회전수의 변화에 따라 자동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본 발명은 조작자가 수동으로 브레이크 레버 등을 조작하는 수고를 감해주며, 따라서 현저한 조작성의 향상을 가져온다.
반면에, 구동원이나 클러치장치의 회전수가 일정한 값을 초과하면, 클러치장치내의 클러치 이동부재가 반경방향의 바깥쪽으로 움직일 뿐 아니라, 길이방향으로도 브레이크 패드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운동에 의해, 클러치 드럼은 브레이크 패드와 이격되어 제동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장치에 의해, 본 발명은 조작자의 제동작용에 필요한 레버나 와이어를 불필요하게 하였으며, 이에 따라 연결 와이어의 통과를 위한 구멍이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보다 향상된 방진성과 방수성을 가진 예초기를 얻게 된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복수의 클러치 이동부재가 축의 중심에 대해 대칭형태로 배치되는 것이다. 대칭적 구조는 이동부재의 무게를 분산시켜 회전시의 불균형을 방지해준다. 나아가, 대칭구조는 두개의 이동부재의 동기현상을 일으켜 클러치장치와 제동장치가 부드럽게 작동하도록 하여, 안정한 제동성능을 가지게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실시예로서 첨부 도면을 참고로 보다 자세히 기술한다.
도 1은 작업자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를 사용하여 예초작업을 하는 모습이다. 작업자는 예초기(10)를 벨트(11)를 이용하여 어깨에 메고 예초기(10)의 손잡이 부분(12)을 잡고 사용하고 있다. 예초기(10)는 회전날(13)과 아래에서 설명될 다양한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예초기(10)의 몸체의 원 표시부분(2)의 부분 상세도로서, 예초기는 원동기 또는 구동원(21), 구동원(21)과 연결된 클러치장치(23)와 제동장치(24), 클러치장치(23)와 연결된 절단날 구동축(25)으로 구성되어 있다.
클러치장치(23)는 구동원(21)의 출력축으로서 작용하는 크랭크축(22)에 장착된 회전부재(41)를 포함한다. 클러치장치(23)는 또한 두개의 이동부재(45)를 포함하는데, 이동부재는 외측면{즉, 크랭크축(22)으로부터 먼쪽}이 구동원(2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가늘어지는 모양을 하는 테이퍼면(44)을 갖는다. 그리고 이동부재(45)는 회전부재(41)에 장착되어 있는데, 회전부재(41)의 반경방향(즉, 도 2에 표시된 ②번 화살표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운동을 한다. 클러치장치(23)는 또한 절단날 구동축(25)에 장착된 클러치 드럼(31)을 포함하는데, 이는 축(25)의 길이방향(즉, 도 2의 ①번 화살표 방향)으로 운동을 하며, 이동부재(45)의 테이퍼된 외측면에 대응하여 테이퍼된 내면(43)을 가진다. 클러치장치(23)는 또한 탄성부재(46; 도 3)를 포함하는데, 이는 회전부재의 중심선 C쪽으로 이동부재를 잡아당기고 있다.
제동장치(24)는 클러치 드럼(31)의 개구부(32)의 선단 즉 구동원(21)에 가까운 쪽이며, 그 반경이 최대인 부분에 장착된 브레이크 슈(33)와 비회전 고정 하우징(34)에 고정되어 있으며, 브레이크 슈(33)와는 축의 길이방향으로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브레이크 패드(35), 그리고 브레이크 슈(33)를 브레이크 패드(35)에 대해 압압하고 있는 제동탄성부재(36)로 구성되어 있다.
원동기 또는 구동원(21)은 실린더(51)와 피스톤(52) 그리고 위에 언급된 크랭크축(22)과 점화플러그(53)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대로 연료탱크(54), 오일탱크(55), 시동장치(56)를 포함한다.
테이퍼된 클러치 드럼(31)은 최대 직경부 D이며 개구부의 선단(도 2의 오른쪽 끝부분)에 플랜지형태의 브레이크 슈와, 최소 반경부분이며 끝부분(도 2의 왼쪽 끝부분)인 원반모양의 접속부(61)로 되어 있다. 연결축(62)은 접속부(61)와 연결되어 있는데, 길이방향의 중간부분은 절단날 구동축(25)과의 연결을 위해 톱니모양(62a)을 하고 있다. 같은 이유로, 절단날 구동축(25)도 클러치 드럼(31)에 가까운 쪽 끝부분은 톱니모양(25a)을 하고 있어서 L1의 길이만큼 연결축과 맞물리게 된다.
하우징(34)은 본체(64)의 중간부분의 베어링부분(65)과 구동원(21)의 가까운 쪽의 개구부에 있는 패드 설치부(67)로 되어 있다. 브레이크 패드(35)는 패드 설치부(67)에 러그(rug; 68)를 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베어링 유닛(71)은 베어링부(65)에 맞추어져 있으며, 칼라(collar; 72)는 베어링 유닛(71)과 연결축(62) 사이에 잘 맞추어져 있다. 제동탄성부재(36)는 한쪽 끝은 칼라(72)와 다른 한쪽 끝은 클러치 드럼의 접속부(61)와 접하고 있다. 칼라(72)는 백색 합금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베어링이 미끄러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제동탄성부재(36)는 접시모양의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회전부재(41)는 구동원(21)쪽으로 돌출되어 크랭크축(22)과 연결되어 있는 중앙장착부(73)와 중앙장착부(73)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클러치장치(23)의 이동부재(45) 각각을 유도하기 위한 안내부(74)로 이루어져 있다. 테이퍼된 외측면(44)을 가지고 있는 각각의 이동부재(45)는 내부의 돌출부분(75)이 있어안내부(74)와 맞게 되어 있다. 클러치 이동부재(45)의 각각도 돌출부(75) 부근에 클러치장치(23)의 탄성부재(46)의 끝부분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도 3; 76)를 가진다.
도 3은 도 2의 3-3선을 따라 자른 예초기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클러치 이동부재(45)는 회전부재(45)의 중심선 C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②번 화살표의 방향으로 안내부(74)를 따라 미끄러져 움직인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반대의 방향에서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두개의 클러치 이동부재(45)는 탄성부재와 결합되어 있으며, 테이퍼부를 가지고 있는 클러치 드럼(31)은 클러치 이동부재(45)에 의해 압력을 받거나 움직이게 된다. 또한, 도 3에 명확하게 나타나 있는 것처럼, 제동장치(24)의 브레이크 슈(33)는 클러치 드럼(31)의 개구부(32)에 형성되어 있으며, 브레이크 패드(35)는 브레이크 슈(33)의 반대방향에서 하우징(34)에 결합되어 있다. 도 3의 참조번호 77번은 회전부재(41)와 크랭크축(22)을 서로 연결해주는 키(key)를 나타낸다.
다음은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10)의 작용을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초기(10)의 제동장치(24)에 있어서 브레이크 슈(33)는 ③번 화살표 방향으로 브레이크 패드(35)를 압압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예초기를 시동시키면, 구동원(21)이 작동하게 되고, 구동원(21)의 회전수가 점차 증가하게 된다.
구동원(21)의 회전수가 증가하여 회전부재(41)가 일정한 회전수를 넘게 되면, 클러치 이동부재(45)가 원심력에 의해 ②번 화살표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서로 멀어지게 되어 클러치 드럼(31)의 테이퍼된 내면(43)을 밀게 되고, 결국 이동부재(45)의 테이퍼된 외측면(44)이 클러치 드럼(31)을 제동탄성부재(36)의 압력을 이기고 ④번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켜 비제동위치로 옮기게 된다. 따라서, 브레이크 슈(33)는 브레이크 패드(35)로부터 Y만큼 이격된다. 결과적으로, 회전수는 더욱 증가할 수 있어 절단날 구동축(25)을 ⑤번 화살표 방향으로 대응비율로 회전하게 한다.
반대로, 구동원(21)의 속도가 일정속도 이하로 감소하게 되면, 클러치장치(23)의 회전부재(41)의 회전속도가 감소하게 되고, 탄성부재(46)에 의한 인력 F1에 의하여 클러치 이동부재(45)가 도 4a에 표시된 바와 같이 ⑥번 화살표 방향으로 즉 반경의 내부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클러치 드럼(31)으로부터 이격된다. 그래서, 클러치 드럼(31)은 탄성부재(36)에 의한 탄성력 F2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브레이크 슈(33)가 다시 브레이크 패드(35)를 누르게 되므로 제동력이 작용하여 클러치 드럼(31)과 절단날 구동축(25)의 회전이 즉시 멈추게 된다.
즉, 클러치장치(23)의 회전부재(41)가 일정속도 이하로 회전하게 되면, 클러치 이동부재(45)는 탄성부재(46)에 의한 인력 F1에 의해 클러치 드럼(31)으로부터 이격되며, 이로 인해 클러치 드럼(31)의 브레이크 슈(33)가 브레이크 패드(35)에 접촉하게 됨으로써 자동적으로 제동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조작자는 절단날 구동축(25)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수동조작을 하지 않아도 되며, 따라서 예초기(10)의 조작성의 향상을 가져오게 된다.
게다가, 본 실시예에서 제동장치(24)는 클러치 드럼(31)에 형성된 브레이크 슈(33)와 하우징(34)에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35), 그리고 브레이크 슈(33)가 브레이크 패드(35)에 대해 압압하고 있는 제동탄성부재(36)로만 구성되어 있으므로, 하우징(34)에 연결 와이어나 막대가 통과하기 위한 구멍을 뚫을 필요가 없게 되어 향상된 방진성과 방수성을 얻을 수 있다. 더구나, 회전수가 일정 값 이하로 감소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제동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제동하기 위한 작동레버나 와이어 등의 구성부품을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됨으로 인해 예초기의 생산단가를 현저히 낮출 수 있다.
또한, 두개의 클러치 이동부재(45)는 회전부재(41)의 중심선 C에 대해 대칭형태로 배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대칭적 구조는 이동부재의 무게를 회전중심축에 대해 균등하게 분산시켜 회전시의 불균형을 방지해준다. 게다가, 대칭구조는 두개의 이동부재의 동기현상을 일으켜, 클러치장치와 제동장치가 부드럽게 작동하도록 하여 안정한 제동성능을 가지게 한다.
나아가, 칼라(72)가 클러치 드럼(31)의 연결축(62)에 장착되어 있고 또한 베어링 유닛(71)과도 맞추어져 있으므로, 칼라(72)는 연결축(62)을 적은 마찰계수로 지지할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연결축(62)과 브레이크 슈(33)가 비제동위치(도 4b의 ④번 화살표 방향으로)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나, 절단날 구동축(25)의 톱니모양(25a)이 연결축(62)의 톱니모양(62a)과 L1의 길이만큼 맞물려 있으므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안에도 연결축(62)은 브레이크 슈(33)가 비제동위치(도 4B의 ④번 화살표 방향으로)로 이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두번째 실시예에 의한 예초기에 대한 설명이다. 도 5는 부분단면도로서, 도 2의 예초기의 구조와 같은 부분은 같은 번호를 사용한다.
클러치장치(23B)는 구동원(21)의 출력축으로서 작용하는 크랭크축(22)에 장착된 회전부재(84)와 회전부재(84)에 장착되어 있는 클러치 이동부재(85)로 구성되어있는데, 클러치 이동부재(85)는 회전부재(84)의 반경방향의 바깥쪽, 즉 ②번 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일 뿐 아니라 크랭크축(22)의 길이방향 즉 ①번 화살표 방향으로도 움직일 수 있다. 클러치장치(23)는 또한 절단날 구동축(25)에 장착되어 구동축(25)의 길이방향(①번 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이는 클러치드럼(81)과 클러치 이동부재(85)를 회전부재(84)의 중심선 C방향으로 서로 잡아당기고 있는 클러치 탄성부재(46, 도 6)를 포함한다.
제동장치(24B)는 클러치드럼(81)의 개구단(82)(도 5의 오른쪽 끝부분)에 형성된 플랜지 형태의 브레이크 슈(83)와 비회전 고정 하우징(34)에 고정되어 있으며, 브레이크 슈(83)와는 축의 길이방향으로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브레이크 패드(35), 그리고 브레이크 슈(83)를 브레이크 패드(35)에 대해 압력을 가하고 있는 제동탄성부재(36)로 구성되어 있다. 클러치 드럼(81)은 원통부(86)의 끝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브레이크 슈(83)와 그 기저단부(도 5의 왼쪽 끝부분)의 원반형 접속부(61)로 되어 있다. 연결축(62)은 클러치 드럼(81)의 접속부(61)와 연결되어 있다. 테이퍼된 외측면(87)을 가지고 있는 각각의 클러치 이동부재(45)에는 내부의 돌출부분(88)이 있는데 이는 직교부(88a)와 경사부(88b)로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클러치 이동부재(85)는 내부돌출부(88) 부근에 클러치장치(23B) 탄성부재(46)의 해당 끝부분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76; 도 3 참고)를 가진다.
다음은 위에서 본 발명의 두번째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10)의 작용을 도 6a와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초기(10)의 제동장치(24B)에 있어서 브레이크슈(83)는 ③번 화살표 방향으로 브레이크 패드(35)를 누르고 있다. 이 상태에서 예초기를 시동시키면, 구동원(21)이 먼저 작동하게 되고, 구동원(21)의 회전수가 점차 증가하게 된다.
구동원(21)의 회전수가 증가하여 클러치장치(23B)의 회전부재(84)가 일정한 회전수를 넘게 되면, 클러치 이동부재(85)가 원심력에 의해 ②번 화살표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회전부재(84)로부터 바깥쪽으로 멀어지게 된다. 일단 클러치 이동부재(85)의 외부모서리(89)가 클러치 드럼(81)의 내면에 접촉하게 되면, 클러치 이동부재(85)는 ⑦번 화살표 방향 즉 브레이크 패드(3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거의 구르듯이 이동하게 되는데, 이는 각각의 클러치 이동부재(85)의 무게중심(G)의 이동 혹은 테이퍼된 내면(87)에 따른 편심(offset) 때문이다. 동시에, 클러치 이동부재(85)는 클러치 드럼(81)을 제동탄성부재(36)의 압력을 이기고 ⑦번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켜, 브레이크 슈(83)가 브레이크 패드(35)로부터 Y만큼 멀어지게 한다. 결과적으로, 회전수는 일정한 속도 이상으로 증가하여 절단날 구동축(25)도 ⑤번 화살표 방향으로 대응비율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구동원(21)의 속도가 클러치장치(23B)의 회전부재(84)가 회전하는 일정속도 정도 이하로 감소하게 되면, 클러치 탄성부재(46)에 의한 인력 F1에 의하여 이동부재(85)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⑥번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클러치 드럼(81)으로부터 이격된다. 그래서, 클러치 드럼(81)은 제동탄성부재(36)에 의한 탄성력 F2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브레이크 슈(83)가 다시 브레이크 패드(35)를 압압하게 되므로 제동력이 작용하여 클러치 드럼(81)과 절단날 구동축(25)의 회전이 즉시 멈추게 된다.
클러치장치(23B)의 회전부재(84)가 일정속도 이하로 회전하게 되면, 브레이크장치(24B)가 자동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조작자는 절단날 구동축(25)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수동조작을 하지 않아도 되며, 따라서 예초기(10)의 조작성의 향상을 가져오게 된다. 또한, 두번째 실시예의 경우에도 제동장치(24B)는 첫번째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경우에 클러치 이동부재의 수는 반드시 2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수는 임의로 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클러치 이동부재가 원심력에 의해 클러치 드럼을 밀게 되고, 클러치 드럼이 테이퍼된 외측면을 가지므로 비제동위치로 이동하게 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클러치 드럼을 비제동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별개의 분리된 장치를 채용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두개의 브레이크 패드를 채용한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세개 또는 그 이상의 브레이크패드를 채용할 수도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에 의하면, 원동기에 의해 회전부재가 예정된 회전수에 미치지 못하는 정도로 회전하는 경우, 클러치 이동부재는 클러치 탄성부재의 인력에 의해 클러치 드럼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브레이크 슈가 브레이크 패드를 압압하게 되어 제동력이 생긴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본 발명 예초기의 조작자는 수동으로 브레이크 레버등을 조작할 필요가 없어 결과적으로 현저한 조작성의 향상을 가져온다. 반면, 회전부재가 원동기에 의해 예정된 회전수 이상의 속도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클러치 이동부재는 원심력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클러치 드럼을 밀게 된다. 이때 클러치 이동부재의 테이퍼된 외측면으로 인해 클러치 드럼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비제동위치로 옮겨지며, 이로 인해 절단날은 계속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동을 위해 조작자가 레버등을 조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하우징에 연결 와이어나 막대가 통과하기 위한 구멍을 뚫을 필요가 없게 되어 향상된 방진성과 방수성을 얻을 수 있다. 나아가, 회전수가 일정값 이하로 감소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제동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제동하기 위한 작동레버나 와이어 등의 구성부품을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됨으로 인해 예초기의 생산단가를 현저히 낮출 수 있다.
복수개의 클러치 이동부재가 회전부재의 중심선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경우, 대칭적 구조는 이동부재의 무게를 고르게 분산시켜 회전시의 불균형을 방지해준다. 게다가, 대칭구조는 두개의 이동부재의 동기현상을 일으켜 클러치장치와 제동장치가 부드럽게 작동하도록 하여 안정한 제동성능을 가지게 한다.

Claims (4)

  1.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서 회전되도록 설치된 출력축을 가지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출력축에 길이방향으로 떨어져 동력적으로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절단날 구동축과;
    상기 절단날 구동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절단날과;
    상기 구동원의 본체에 연결된 하우징과;
    상기 구동원의 출력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테이퍼된 외측면을 가지고 상기 회전부재상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반경방향을 따라 미끄러져 이동하는 클러치 이동부재와, 상기 절단날 구동축에 설치되어 상기 클러치 이동부재와 맞물리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클러치 이동부재에 테이퍼된 외측면에 상응하는 내면의 테이퍼부와 절단날 구동축에 연결된 연결축을 가지는 클러치 드럼과, 상기 연결축 주위를 활주할 수 있게 장착된 칼라와, 상기 칼라 주변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에 연결된 베어링과, 상기 클러치 이동부재가 상기 회전부재의 축중심선을 향해 치우칠 수 있도록 하는 클러치 탄성부재로 되어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클러치장치와;
    상기 클러치 드럼의 테이퍼부의 최대직경부를 이루는 개구부의 선단에 형성된 브레이크 슈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며 상기 절단날 구동축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브레이크 슈와 대응되어 위치하는 브레이크 패드와, 상기 브레이크 슈가 상기 브레이크 패드에 치우쳐져 압착되도록 상기 칼라의 선단과 상기 클러치 드럼 사이에 배치되는 제동탄성부재로 되어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제동장치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구동원에 의해서 미리 정해진 회전속도 이상의 속도로 회전되지 않을 때에 상기 클러치 이동부재가 상기 클러치 탄성부재의 치우치게 하는 힘 때문에 상기 클러치 드럼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브레이크 슈는 상기 브레이크 패드를 향해 눌러지게 되어 제동력이 생기고,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구동원에 의해서 미리 정해진 회전속도 이상의 속도로 회전될 때에 상기 클러치 이동부재가 원심력에 의해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클러치 드럼을 누르게 되어, 상기 클러치 드럼이 상기 클러치 이동부재의 테이퍼된 외측면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 슈를 상기 브레이크 패드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2.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이동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의 원심방향으로 미끄러져 이동하는 상기 회전부재상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축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클러치 이동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3. 절단날(13)이 장착된 절단날 구동축(25)과, 클러치장치(23B)와 제동장치(24)를 통하여 상기 절단날 구동축(25)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절단날 구동축(25)과 동력적으로 연결된 출력축(22)을 가지는 구동원(21)을 포함하며,
    상기 클러치장치는(23B):
    상기 구동원(21)의 출력축(22)에 장착된 회전부재(84);
    상기 회전부재(84)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부재(84)의 반경방향과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클러치 이동부재(85);
    상기 절단날 구동축(25)에 장착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을 하는 클러치 드럼(81); 및
    클러치 이동부재(85)를 상기 회전부재(84)의 축 중심선 쪽으로 상시로 잡아당기고 있는 클러치 탄성부재(46);
    를 포함하며,
    상기 제동장치(24)는:
    상기 클러치 드럼(81)의 개구부(32)의 선단에 형성된 브레이크 슈(83);
    비회전 고정 하우징(34)에 고정되어 상기 브레이크 슈(83)와 대응되는 브레이크 패드(35); 및
    상기 브레이크 슈(83)를 상기 브레이크 패드(35)에 대해 상시로 밀고 있는 제동탄성부재(36);
    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회전부재(84)가 상기 구동원(21)에 의해 미리 정해진 회전수 이상으로 회전하지 않으면, 상기 클러치 이동부재(85)는 상기 클러치 탄성부재(46)의 인력에 의해 상기 클러치 드럼(81)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브레이크 슈(83)가 상기 브레이크 패드(35)를 누르게 되어 제동력이 생기며, 상기 회전부재(84)가 상기 구동원(21)에 의해 미리 정하여진 회전수 이상의 속도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클러치 이동부재(85)는 원심력에 의해 반경방향 바깥쪽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클러치 드럼(81)을 누르게 되어 상기 브레이크 슈(83)가 상기 브레이크 패드(35)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4. 제 3항에 있어서, 복수의 클러치 이동부재(85)가 상기 회전부재(84)의 축 중심선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KR10-2002-0002913A 2001-01-23 2002-01-18 예초기 KR1004417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14069 2001-01-23
JP2001014069A JP4341804B2 (ja) 2001-01-23 2001-01-23 刈払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2686A KR20020062686A (ko) 2002-07-29
KR100441787B1 true KR100441787B1 (ko) 2004-07-27

Family

ID=18880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2913A KR100441787B1 (ko) 2001-01-23 2002-01-18 예초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754962B2 (ko)
EP (1) EP1224853B1 (ko)
JP (1) JP4341804B2 (ko)
KR (1) KR100441787B1 (ko)
CN (1) CN1219423C (ko)
CA (1) CA2365946C (ko)
DE (1) DE60218364T2 (ko)
TW (1) TWI2280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6822A (ja) * 2000-12-15 2002-06-25 Honda Motor Co Ltd 刈払機
SE524198C2 (sv) * 2002-11-19 2004-07-06 Electrolux Ab Motordrivet arbetsredskap tex. stånghäcksaxs med en låsmekansim för vinkelinställningen mellan en skärande enhet och en stång
US8186066B2 (en) 2002-11-19 2012-05-29 Husqvarna Ab Motor driven tool such as a pole hedge trimmer with a locking mechanism for the turnable cutting unit
SE0301503D0 (sv) * 2003-05-22 2003-05-22 Electrolux Ab Device for a portable tool such as a bush cutter
WO2008103079A1 (en) * 2007-02-22 2008-08-28 Husqvarna Aktiebolag Retarding device for a rotational cutting machine
US7849987B2 (en) * 2007-04-26 2010-12-14 Honda Motor Co., Ltd. Centrifugal blade brake clutch apparatuses and methods
US20110194952A1 (en) * 2007-12-19 2011-08-11 Kiviahde Mark M Effort reducing start mechanism for hydraulically propelled vehicles
JP5130147B2 (ja) * 2008-08-11 2013-01-30 株式会社マキタ 操作棹が汎用性を有する刈払機
JP5138501B2 (ja) * 2008-08-11 2013-02-06 株式会社マキタ 電池パックが着脱可能な刈払機
JP5304199B2 (ja) * 2008-11-25 2013-10-02 日立工機株式会社 エンジン作業機
DE102009043247A1 (de) 2009-09-28 2011-03-31 Andreas Stihl Ag & Co. Kg Fliehkraftkupplung
JP5368929B2 (ja) * 2009-10-15 2013-12-18 株式会社小俣製作所 遠心クラッチ装置
CN101699950B (zh) * 2009-11-04 2011-07-27 苏州金莱克精密机械有限公司 园林工具刹车装置
US8727090B2 (en) * 2010-07-22 2014-05-20 Tai-Her Yang Centrifugal force combined with sliding damping type torque actuated clutch
JP5872775B2 (ja) * 2011-02-28 2016-03-01 ハスクバーナ・ゼノア株式会社 刈払機
JP5764363B2 (ja) 2011-03-31 2015-08-19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捩りダンパ付クラッチ
EP2606710B1 (de) * 2011-12-22 2014-10-08 Viking GmbH Arbeitsgerät
CN103168568B (zh) * 2011-12-22 2015-10-07 浙江三锋实业股份有限公司 自动刹车装置
CN103168567B (zh) * 2011-12-22 2016-03-02 浙江三锋实业股份有限公司 园林工具的自动刹车装置
CN202496213U (zh) * 2012-01-11 2012-10-24 杨健 一种带有自动离合器的割草机
DE102015010579A1 (de) 2015-08-12 2017-02-16 Andreas Stihl Ag & Co. Kg Mähkopf für einen Freischneider
DE102017223798A1 (de) * 2017-12-27 2019-06-27 Robert Bosch Gmbh Bremsvorrichtung
CN111356853B (zh) * 2018-01-15 2022-03-29 株式会社F.C.C. 离心离合器
CN111726980B (zh) * 2018-11-20 2023-04-21 南京泉峰科技有限公司 手推式自驱行进机器
JP2021083361A (ja) * 2019-11-27 2021-06-03 株式会社マキタ 作業機
CN112930845B (zh) * 2021-01-22 2022-12-16 宁波创跃园林工具有限公司 一种市政园林用防尘式除草机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67245A (en) * 1946-02-05 1949-04-12 Du Pont Polymerization of ethylene
US3871159A (en) * 1973-08-17 1975-03-18 Charles R Shriver Safety device for lawnmowers
JPS5153248A (ja) 1974-11-05 1976-05-11 Mitsubishi Electric Corp Ijodenatsuboshikairo
US4006528A (en) * 1974-11-22 1977-02-08 Kaaz Machinery Co. Ltd. Portable grass and brush cutter with brake and clutch
JPS571809B2 (ko) 1974-12-09 1982-01-13
US4048787A (en) * 1976-07-01 1977-09-20 Briggs & Stratton Corporation Combination clutch and brake for rotary power mower
US4205737A (en) * 1977-09-02 1980-06-03 Briggs & Stratton Corporation Clutch-brake mechanism for rotary mower engines
US4286701A (en) * 1978-09-27 1981-09-01 Warner Electric Brake & Clutch Company Amplifying clutch
CA1177002A (en) * 1980-06-12 1984-10-30 Stephen J. Hoff Clutch and brake for rotary lawn mower
US4369616A (en) * 1980-10-27 1983-01-25 Cody John M Centrifugal clutch and brake for lawnmower
US4667786A (en) * 1984-08-24 1987-05-26 Kioritz Corporation Blade-brake clutch device for lawn mower
US4738089A (en) * 1987-01-27 1988-04-19 Textron Inc. Crankshaft stiffener assembly
US4841929A (en) * 1987-12-17 1989-06-27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Portable rotary power tool
US4976093A (en) * 1989-08-25 1990-12-11 Inertia Dynamics Corporation Brake system for rotary cutters and trimmers
US5570765A (en) * 1995-06-02 1996-11-05 North American Clutch Corp. Clutch/brake assembly
JPH09303354A (ja) * 1996-05-21 1997-11-25 Kioritz Corp 抜け止め構造体、及び、該抜け止め構造体を備えた刈払機
US6021630A (en) * 1998-07-02 2000-02-08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Hand-held, engine-powered bush cutt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218814A (ja) 2002-08-06
CA2365946A1 (en) 2002-07-23
US20020095797A1 (en) 2002-07-25
CN1219423C (zh) 2005-09-21
DE60218364T2 (de) 2007-06-21
TWI228029B (en) 2005-02-21
JP4341804B2 (ja) 2009-10-14
DE60218364D1 (de) 2007-04-12
KR20020062686A (ko) 2002-07-29
CN1366803A (zh) 2002-09-04
CA2365946C (en) 2005-09-20
EP1224853B1 (en) 2007-02-28
US6754962B2 (en) 2004-06-29
EP1224853A1 (en) 200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1787B1 (ko) 예초기
US3994376A (en) Self actuating mechanism for braking a driven member upon discontinuating of drive thereto
US5570765A (en) Clutch/brake assembly
KR100416183B1 (ko) 예초기
US4418808A (en) Centrifugal clutch brake arrangement for farm work machinery or other apparatus
US4889215A (en) Anti-overload centrifugal clutch
US20040011601A1 (en) Implement for driving a tool and including a brake for braking the tool
US4949826A (en) Spring clutch
US4667786A (en) Blade-brake clutch device for lawn mower
JPH0317078Y2 (ko)
JP3992590B2 (ja) ブレーキ付きクラッチ装置
US4186545A (en) Clutch-brake mechanism
US2727162A (en) Multiple drive clutch-brake motors
JPH056422Y2 (ko)
JPH0643549Y2 (ja) 作業機械用伝動装置
US4380962A (en) Needle positioning device for sewing machines
JP3576620B2 (ja) 非常用ブレーキ装置
JPH0317077Y2 (ko)
CN111218735B (zh) 纺纱机的锭子装置
JPS6116429Y2 (ko)
JPS5937345A (ja) 作業機等のクラツチ・ブレ−キ装置
JPH02286006A (ja) 動力刈払機の過回転防止装置
EP0327550A1 (en) HYDRAULIC ACTUATOR FOR A CLUTCH.
JPS6121625Y2 (ko)
KR810000280B1 (ko) 캠 장치가 개량된 내부 슈 드럼 브레이크(internal shoedrum brum bra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