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1786B1 - 예초기 - Google Patents

예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1786B1
KR100441786B1 KR10-2002-0001753A KR20020001753A KR100441786B1 KR 100441786 B1 KR100441786 B1 KR 100441786B1 KR 20020001753 A KR20020001753 A KR 20020001753A KR 100441786 B1 KR100441786 B1 KR 100441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ottle
brake
wire
lever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1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0624A (ko
Inventor
코바야시타카오
코지마아츠시
히라츠나켄지로
코노아키토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04233A external-priority patent/JP451621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06352A external-priority patent/JP447834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06314A external-priority patent/JP4516219B2/ja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0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0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1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17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 A01D34/68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with motor driven cutters or wheel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835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A01D34/9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arrying by the op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3/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 F02B63/02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for hand-held tools

Abstract

본 발명은 트로틀 조절을 수행함과 커터 브레이드를 브레이킹함과 브레이크 해제에 있어 개서된 조작성을 갖는 레버를 갖는 예초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예초기는 커터 브레이드(22)를 회전가능하게 구동하는 엔진(21), 엔진의 트로틀을 조절하는 트로틀 레버(107, 226, 332, 427), 커터 브레이드의 회전을 정지하는 브레이크 유닛(65)를 포함한다. 트로틀 레버만의 조작으로 제동 상태로부터 브레이크 유닛의 해제와 트로틀의 개도 정도의 조절이 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예초기{Bush cutting machine}
본 발명은 트로틀 조절을 수행함과 커터 브레이드를 브레이킹함과 브레이크 해제에 있어 개서된 조작성을 갖는 레버를 갖는 예초기에 관한 것이다.
커터 브레이드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원동기에 장착된 트로틀 조절 유닛, 커터 브레이드에 브레이크를 적용하기 위해 커터 브레이드와 원동기 사이에 구동력 전달로가 제공된 브레이크 유닛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예초기가 공지되어 있다. 이런 예초기의 전형적인 예가 일본 실용신안 공개공보 소 51-53248호와 동 소 52-145135호에 개시되어 있다.
소 51-53248호에 개시된 예초기는 클러치와 종동샤프트를 통해 원동기에 연결된 회전커터 또는 브레이드, 및 브레이크 유닛의 브레이크 슈에 와이어를 통해연결된 브레이크 레버를 장착한 핸들을 포함한다. 브레이크 레버가 파지상태에서 해제될 때, 브레이크 슈는 종동샤프트의 외측 외주면에 대해 압압되어져 회전커터에 제동을 작용한다.
이렇게 배열된 예초기에서, 트로틀 레버를 사용하여 회전커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조작자는 수풀을 자르는 조작간에 적절한 형태로 트로틀 레버와 브레이크 레버 각각의 조작, 예를 들어 회전커너의 회전속도를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트로틀 레버를 조작하고 회전커터로부터 브레이크를 점진적으로 해제하도록 브레이크 레버를 파지함에 의한 조작을 수행할 필요가 있고, 따라서 조작자는 레버를 조작하는데 숙련되어질 필요가 있다. 더욱이, 조작자는 그 손으로 레버조작을 수행하여야 할 뿐아니라 작업간에 예초기의 상태를 유지하여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조작자의 수고를 최소화하고 작업성을 개선하기 위한 관점에서 레버는 가능한 한 가장 단순한 방법으로 조작되어질 수 있어야 한다.
소 52-145135에 개시된 예초기는 회전샤프트를 통해 원동기에 연결된 커터 브레이드, 회전샤프트가 통과하는 조작로드에 장착된 핸들로드, 핸들로드에 장착된 브레이크 레버와 트로틀 레버, 커터 브레이드를 브레이킹하기 위해 브레이크 섹션에 와이어를 통해 연결된 브레이크 레버, 와이어를 통해 트로틀 밸브기구에 연결된 트로틀 레버, 및 다른 것에 와이어를 연결하기 위해 와이어 중간에 제공된 컨트롤 박스를 포함한다. 컨트롤 박스는 선회축에 회전가능하게 유지된 컨트롤 본체를 포함한다. 와이어는 컨트롤 본체의 각 말단에 연결된다.
소 52-145135호의 예초기에서, 브레이크 섹션과 트로틀 밸브기구는 브레이크레버의 조작을 통해 상호 연관되어 있다. 그러나, 와이어의 중간에 제공된 컨트롤 박스의 존재는 컨트롤 박스와 와이어의 조립에 기인된 어려움으로 구조를 복잡하게 한다. 더욱이, 예초기에서 컨트롤 박스와 트로틀 레버간의 외측 튜브와 컨트롤 박스와 트로틀 밸브기구간의 외측 튜브는 크게 싸여지고 트로틀 레버의 조작으로 그 원위치로 복귀하기 때문에 외측 튜브는 조작자에게 거리적 거리로 작업을 방해한다. 더더욱이, 선회측에 제공된 컨트롤 박스는 와이어를 장착하기 위한 구성부분, 즉 컨트롤 본체와, 컨트롤 본체의 각 단부를 가지고 있고 이에 의해 구성부품의 수가 증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로틀 밸브의 개도정도를 조절하고 커터 브레이드의 제동과 비제동을 조절하여 조작성이 개선된 레버를 갖고, 구조가 단순하여 개선된 작업성과 조립효능이 제공되는 예초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실제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의 일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링크기구로 작용하는 릴레이부재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의 브레이크 유닛 커버 내면에 장착된 배열예시를 도시한 엔진 정면부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의 화살표 3방향에서 본 트로틀 와이어와 트로틀 암간의 관계를 도시한 부분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릴레이부를 갖는 클러치 케이스 부근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a 및 5b는 도 4에 도시된 릴레이부재의 조립방식과 메인 와이어, 트로틀 와이어 및 브레이크 와이어간의 관계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6은 브레이크 유닛을 도시하는 도 4의 6-6선 확대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조작레버 유닛의 상세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a 및 8b는 도 7에 도시된 조작레버 유닛의 조작을 도시한 도이고,
도 9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로틀 레버가 파지되어 중간정도 회전한 릴레이부재의 조작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슈가 브레이크 와이어를 당김에의해 드럼의 외주로부터 제거되어 브레이킹 되지 않은 조작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11은 도 8b의 상태로부터 트로틀 레버가 더욱더 깊이 파지된 조작레버 유닛의 조작을 도시한 도이고,
도 12는 도 9의 위치로부터 릴레이부재가 더욱더 이동되어 트로틀 와이어가 당겨지도록 된 릴레이부재의 조작을 도시한 도이고,
도 13은 트로틀 와이어가 당겨져 트로틀 암을 회전시켜 트로틀 밸브가 개도상태로 되도록 되는 조작을 도시한 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의 부분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화살표 15방향에서 본 트로틀 케이블과 캬뷰레타간의 관계를 도시한 도이고,
도 16은 도 14의 화살표 16방향에서 본 트로틀 케이블과 캬뷰레타간의 관계를 도시한 도이고,
도 17은 도 14의 부분단면도로 트로틀 와이어와 브레이크 유닛간의 관계를 도시한 도이고,
도 18a는 트로틀 와이어를 당기기 위해 중간까지 트로틀 레버의 파지이동을 한 트로틀 와이어와 트로틀 암간의 관계를 도시한 도이고, 도 18b는 이런 관계에서 브레이크 유닛의 이동을 도시한 도이고,
도 19는 트로틀 레버가 완전히 파지될 때 트로틀 와이어에 의해 트로틀 밸브가 개고된 상태를 도시한 도이고,
도 20은 제1 및 제2 실시에에 따른 예초기의 변형형태로, U형 핸들을 갖는 조작로드와 핸들의 그립에 장착된 조작레버 유닛을 갖고,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조작레버 유닛의 확대단면도이고,
도 22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가 채용된 조작레버 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23-23선 단면도이고,
도 24는 도 22의 24-24선 단면도이고,
도 25는 도 2의 릴레이부재가 제거된 브레이크 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26은 트로틀 와이어와 트로틀 암간의 관계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25의 화살표 26방향에서 본 도이고,
도 27은 브레이크 유닛을 도시하는 것으로, 도 25의 27-27선 단면도이고,
도 28a 및 28b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조작레버 유닛의 조작을 도시하는 도이고,
도 29는 도 28b에 도시된 트로틀 레버가 트로틀 와이어를 당기도록 중간정도까지 회전되어질 때 해제된 브레이크 유닛을 도시한 도이고,
도 30a는 트로틀 레버가 그 최대위치에 완전히 파지된 조작레버 유닛의 작동을 도시한 도이고, 도 30b는 트로틀 와이어가 당겨져 트로틀 밸브가 열린 작동을 도시한 도이고,
도 31은 트로틀 레버가 폐쇄된 조작레버 유닛의 작동을 도시한 도이고,
도 32는 도 1의 조작레버 유닛에 합체된 링크기구로서 릴레이부재를 갖는 제3 실시예의 변형형태를 도시한 도이다.
*부호의 설명
11 : 예초기 14 : 제1 핸들그립
21 : 원동기(엔진) 22 : 커터 브레이드
24 : 조작로드 32 : 트로틀 레버
38 : 메인 와이어 43 : 트로틀 케이블
44 : 브레이크 케이블 45, 138 : 연결기구
47, 141 : 딜레이기구 65 : 브레이크 유닛
72 : 트로틀 샤프트 96 : 케이블 암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조작로드; 조작로드의 전단에 장착된 커터 브레이드; 커터 브레이드를 구동하는 조작로드의 후부에 장착된 원동기; 원동기의 트로틀을 조절하는 트로틀 레버; 원동기에 의해 종동되는 커터 브레이드의 회전을 정지하는 브레이크 유닛; 및 트로틀의 개도정도를 조절하고 제동상태로부터 브레이크를 해제하는 트로틀 레버의 조작에 의해 활성화된 연결기구를 포함하는 예초기가 제공된다.
이렇게 배열된 예초기에서, 트로틀 레버를 조작함에 의해 트로틀의 개도정도의 조절과 브레이크 유닛 및 브레이크 해제의 활성화는 예초기의 조작성과 작업성의 개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원동기 근처에 근접하여 위치하여 연결기구로 작용하는 릴레이부재의 존재, 즉 원동기 부근 브레이크 유닛의 커버에 장착된 연결기구의 존재는 트로틀 레버가 트로틀 레버상에 장착될 때 핸들과 연결기구간에 위치된 메인 케이블의 단일편이 원동기에 보다 근접하게 할 수 있어 핸들 부근의 구조를 단순화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연결기구는 트로틀 레버의 조작에 의해 작동되는 딜레이기구를 포함하여 트로틀 레버가 브레이크의 해제로부터 소정시간 연기되어 개도된다. 이 결과 트로틀 레버의 조작만으로 브레이크 유닛이 제동상태로부터 해제되어지고, 그리고나서 트로틀이 개도된다. 이 일련의 조작이 부드럽게 수행될 수 있다.
특정형태로는, 연결기구는 조작레버 유닛에 수용되어 조작로드에 장착된 핸들의 그립으로 작용한다. 이런 배열은 브레이크를 구조가 컴팩트하게 한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예초기는 트로틀 레버와 브레이크 유닛간에 신장하는 트로틀 케이블의 단편을 더 포함한다. 연결기구는 단일 트로틀 케이블의 중간에 제공되어질 수 있어 트로틀의 개도정도 조절과 제동상태로부터 브레이크 유닛의 해제 양자가 단일 트로틀 케이블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는 케이블의 수를 감소하게 하고 이에 의해 핸들 부근의 구조가 단순화되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을 참고로 보다 자세히 설명하지만, 이는 단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 그 적용 또는 용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될 때 본 발명의 제1 실시에에 따른 예초기(11)는 쇼율더 스트랩(12)을 통해 조작자(10)의 어깨에 걸려지고 예초기에 장착된 조작레버 유닛(14)을 조작자(10)의 우측 손(13)으로 유지되고 핸들(16)은 조작자(10)의 좌측 손(15)에 의해 유지되어 수풀을 자르는 작업을 수행한다.
예초기(11)는 원동기로 작용하는 엔진(21), 엔진(21)에 의해 종동되는 커터 브레이드(22), 엔진(21)으로부터 커터 브레이드(22)안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트랜스미션 샤프트(23), 트랜스미션 샤프트(23)를 그 안에 수용하기 위해 엔진(21)과 커터 브레이드(220사이에 개재된 조작로드(24), 엔진(21) 부근에서 조작로드(24)에 장착된 조작레버 유닛(14), 및 커터 브레이드(22)를 향하는 방향으로 조작레버 유닛(14)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조작로드(24)에 장착된 루프형 핸들(16)을 포함한다. 잡초(28)의 제거 조작간에 조작자(10)의 발을 보호하기 이해 커터 브레이드(22)는 커버(27)로 부분적으로 덮혀진다.
도 2에서, 센트리퓨갈 클러치(51)는 엔진(21)의 전부에 장착된다. 이 센트리퓨갈 클러치(51)는 엔진(21)으로부터 트랜스미션 샤프트(23)에 동격전달로를 연결 또는 비연결한다. 센트리퓨갈 클러치(51)는 엔진(21)의 전부에 장착된 클러치 케이스(52)에 합체된다. 조작로드(24)는 클러치 케이스(52)의 전부에 장착된다. 캬뷰레타(53)는 엔진(21)의 측부에 장착된다. 트로틀 케이블(54)의 일단은 캬뷰레타(53)에 연결되고 트로틀 케이블(54)의 타단은 릴레이부재(55)에 연결된다. 도 1에 도시된 조작레버(14)로부터 신장한 메인 케이블(56)의 일단은 릴레이부재(55)에 연결된다. 브레이크 유닛(65)의 일부를 형성하는 브레이크 슈(61)는 클러치 케이스(52)의 저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선회축(58)에 장착된다.
센트리퓨갈 클러치(51)는 엔진9210의 출력축(21a)에 끼워진 웨이트(21b; weight), 출력축(21a)이 소정 회전속도를 초과할 때 발생된 원심력에 기인하여 스윙하는 웨이트(21b)가 계합되어지는 컵형 드럼(63)을 포함한다. 드럼(63)의 바닥부에는 트랜스미션 샤프트(23)의 일단이 장착된다. 브레이크 유닛(65)은 브레이크 슈(61)가 드럼(63)의 외주(63a)에 대해 압압되도록 하여 드럼(63)의 회전에 제동을 적용하고 이에 의해 트랜스미션 샤프트(23) 및 도 1에 도시된 커터 브레이드(22)의 회전이 제동된다. 클러치 케이스(52)는 또한 브레이크 유닛(65)을 가리기 위한 커버로서도 작용한다. 트랜스미션 샤프트(23)의 일단은 베어링(67)을 통해 클러치 케이스(5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트랜스미션 샤프트(23)의 타단은 도 1에 도시된 기어 케이스(26)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3은 캬뷰레타(53)와 트로틀 케이블(54)간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3에서 캬뷰레타(53)는 케이스(71), 케이스(71)에 형성된 흡기통로를 개폐하는 트로틀 밸브(72a), 트로틀 밸브(72a)가 장착되는 트로틀 샤프트(72), 트로틀 샤프트(72)에 끼워진 트로틀 암(73), 트로틀 암(73)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버팀목 형태의 와이어 장착부(74), 트로틀 암(73)이 트로틀 샤프트(72)의 중심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트로틀 밸브(72a)가 완전 개도위치에 유지되도록 하는 스토퍼부(75), 트로틀 밸브(72a)의 완전 폐쇄위치를 조절하도록 그 기저단이 트로틀 암(73)의 일단과 접합 접촉되게 유지된 스크류(76)를 포함한다.
와이어 장착부(74)는 버팀목의 축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버팀목의측면으로부터 신장하는 횡공(78) 및 횡공(78)과 평형으로 와이어 장착부(74)의 상부면(81)에 형성된 횡홈(82)을 가진다. 횡공(78)과 횡홈(82) 상호 연결된다. 횡홈(82)의 폭은 횡공(78)의 내경보다 사이즈가 적지만 트로틀 와이어(54b)의 직경보다는 크다.
트로틀 케이블(54)은 트로틀 튜브(54a), 트로틀 튜브(54a)를 통해 가동자재하게 삽입된 트로틀 와이어(54b), 트로틀 와이어(54b)의 기저단에 장착된 실린더형 부재(54c), 및 트로틀 튜브(54a)의 일단이 도 2에 도시된 엔진(21)에 형성된 브라켓(84)에 장착되도록 하는 트로틀 튜브 말단부재(54d)를 포함한다.
트로틀 와이어(54b)를 캬뷰레타(53)의 와이어 장착부재(74)에 연결하기 위해 트로틀 와이어(54b)는 횡홈(82)을 통해 횡공(78)에 끼워지고나서 트로틀 와이어(54b)의 기저단에 장착된 실린더형 부재(54c)는 횡공(78)을 통해 끼워져 실린더형 부재(54c)가 와이어 장착부(74)에 계합된다.
트로틀 와이어(54b)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트로틀 튜브 말단부재(54d)상에 형성된 숫나선상에 스크류되는 너트(85, 85)는 회전되어 풀려지고, 트로틀 튜브 말단부재(54d)가 소정거리 수평으로 이동되고 이어서 너트(85, 85)가 단단히 되도록 죄어진다.
도 4는 메인 케이블(56), 트로틀 케이블(54) 및 브레이크 케이블(87)이 상호 연결된 연결기구로 작용하는 릴레이부재(55)를 도시한다. 릴레이부재(55)는 볼트(86, 86)에 의해 클러치 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된다. 메인 케이블(56)은 릴레이부재(53)의 일측에 조작로드(24)에 근접하여 연결된다. 트로틀 케이블(54)과 브레이크 해제 케이블로서 작용하는 브레이크 케이블(87)은 릴레이부재(55)의 타측에 엔진(21; 도 2 참고)에 근접하여 연결된다.
메인 케이블(56)은 메인 튜브(56a)에 가동자재하게 삽입된 메인 와이어(56b)를 가진다. 메인 와이어(56b)는 메인 와이어 말단부재(56c)가 형성된 기저단을 가진다. 메인 튜브(56a)는 메인 튜브 말단부재(56c)가 형성된 기저단을 가진다. 메인 와이어(56b)의 말단부는 메인 튜브 말단부재(56d)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한다.
트로틀 케이블(54)의 트로틀 와이어(54b)는 트로틀 와이어 말단부재(54e)가 형성된 기저단을 가진다. 트로틀 튜브(54a)는 트로틀 튜브 말단부재(56f)가 형성된 기저단을 가진다.
브레이크 케이블(87)은 브레이크 튜브(87a)를 통해 가동자재하게 삽입된 브레이크 와이어(87b)를 가진다. 브레이크 와이어(87b)는 브레이크 와이어 말단부재(87c)가 형성된 기저단을 가진다. 브레이크 튜브(87a)는 브레이크 튜브 말단부재(87c)가 형성된 기저단을 가진다.
릴레이부재(55)는 케이스(91), 케이스(91)에 수용된 와이어 연결부재(92)를 포함한다. 메인 튜브 말단부재(56d)는 케이스(91)의 일측벽(91a)에서 조작로드(24)에 근접하여 장착된다. 메인 튜브 말단부재(54f)와 브레이크 튜브 말단부재(87d)는 케이스(91)의 일측벽(91b)에서 엔진(21)에 근접하여 장착된다. 와이어 연결부재(9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U형상이다. 메인 와이어 말단부재(56c)는 와이어 연결부재(92)의 제일 직립부(92a)를 조작로드(24)에 근접하여 계합한다. 트로틀 와이어 말단부재(54e)와 브레이크 와이어 말단부재(87c)는와이어 연결부재(92)의 제2 직립부(92b)에 엔진에 근접하여 계합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로틀 튜브(54)로부터 신장하는 트로틀 와이어(54b)의 돌출양은 브레이크 튜브(87a)로부터 신장하는 브레이크 와이어(87b)의 것보다 큰 값을 갖도록 설정된다. 부가하여 브레이크 와이어 말단부재는 와이어 연결부재(920의 제2 직립부와 접합계합하여 와이어 말단부재(54e)가 제2 직립부(92b)로부터 분리되게 한다. 여기서, 트로틀 와이어 말단부재(54e)와 제2 직립부(92b)간의 거리와 브레이크 와이어 말단부재(87c)와 제2 직립부(92b)간의 거리간의 차 D가 존재한다.
따라서, 실시예의 릴레이부재(55)의 존재는, 브레이크 와이어 말단부재(87c)에 대해서 보다 제2 직립부(92b)로부터 더 떨어지도록 유지된 트로틀 와이어 말단부재(54e)로 인해, 릴레이기구(93)는 메인 와이어(56b)가 와이어 연결부재(92)를 이동시키기 위해 당겨질 때 트로틀 와이어(54b)가 브레이크 와이어(87b) 보다 늦게 당겨지도록 한다.
도 5a 및 5b는 메인 케이블(56), 트로틀 케이블(54) 및 브레이크 케이블(87)이 상술한 릴레이부재에 어떻게 연결되는가를 도시한다.
먼저, 도 5a에서, 메인 튜브 말단부재(56d)가 일측벽(91a)과 접합접촉을 일으킬 때까지 메인 와이어 말단부재(56c)는 릴레이부재 케이스(91)의 일측벽(91a)에 형성된 관통공(91c)에 삽입된다. 다음으로, 트로틀 튜브 말단부재(54f)가 일측벽(91b)과 접합접촉을 일으킬 때까지 트로틀 와이어 말단부재(54e)는 릴레이부재 케이스(91)의 일측벽(91b)에 형성된 관통공(91d)에 삽입된다. 더욱이, 튜브 말단부재(87d)가 일측벽(91a)과 접합접촉을 일으킬 때까지 브레이크 와이어 말단부재(87e)는 릴레이부재 케이스(91)의 일측벽(91b)에 형성된 관통공(91e)에 삽입된다.
이어서 도 5b에서, 메인 와이어(56b)는 와이어 연결부재(92)의 제1 직립부(92a)에 형성된 요홈(92c)에 일측면에서 관통되어진다. 트로틀 와이어(54b)는 제2 직립부(92b)에 형성된 요홈(92d)에 관통되고, 브레이크 와이어(87b)는 타측면에서 제2 직립부(92b)에 형성된 요홈(92e)에 관통된다. 그리고 도 4에서 케이스(91) 위로 리드를 고정하여 릴레이부재(55)의 조립을 완성한다. 와이어 연결부재(9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91)에 상하방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수용됨으로 메인 와이어(56b), 트로틀 와이어(54b) 및 브레이크 와이어(87b)는 제초조작간에도 도 5b에 도시된 와이어 연결부재(92)에 형성된 요홈(92c, 92d 및 92e)에서 이탈되어짐이 방지된다.
도 6은 브레이크 유닛(65)을 도시한다. 브레이크 유닛(65)은 도 4에 도시된 브레이크 케이블(87), 클러치 케이스(52)에 브레이크 튜브(87a)의 기저단을 고정적으로 유지하는 케이블 고정부(95), 케이블 고정구(95)의 기저단으로부터 돌출하는 브레이크 와이어(87)의 기저단에 연결된 브레이크 암(96), 브레이크 암(96)에 장착된 선회축(58), 선회축(58)에 장착된 브레이크 슈(61), 트랜스미션 샤프트(23)에 제동을 적용하는 브레이크 슈(61)에 의해 압압되도록 개작된 드럼(63), 및 드럼(63)에 대해 브레이크 슈(61)를 압압하는 텐션 코일스프링(97)을 포함한다. 브레이크 와이어(87)는 와이어 말단부재(87e)를 통해 브레이크 암(96)에 연결된다.
도 6에 도시된 브레이크 슈(61)는 텐션 코일스프링(97)의 탄성력에 기인하여 드럼963)에 대해 압압된 상태로 유지되어 드럼(63)이 제동된 상태로 유지된다.
케이블 고정구(95)는 숫나선부(95a)가 형성된 기저부를 가진다. 클러치 케이스(52)에는 요홈부(101a)를 갖는 직립벽(101)이 형성된다. 숫나선부(95a)를 요홈부(101a)에 삽입하고 직립벽(101)의 양측면에 너트(102, 102)를 단단히 죄는 것은 케이블 고정부(95)가 클러치 케이스(52)에 고정되도록 한다.
텐션 코일스프링(97)의 일단은 스프링 고리부(103)에 걸려지고, 타단은 클러치 케이스(52)에 고정된 핀(104)에 걸려진다.
비록 케이블 고정구(95)와 브레이크 암(96a)이 클러치 케이스(52) 바깥쪽으로 위치되지만, 이들 구성부분은 바깥족으로 노출되어지는 것이 배제되도록 도 2에 도시된 케이스 커버(105)로 가려진다.
브레이크 와이어(87b)의 장력조절은 너트(102, 102)를 풀고 케이블 고정구(95)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어서 너트(102, 102)를 고정함에 의해 수행된다.
도 7은 조작레버 유닛(14)을 도시한다. 조작레버 유닛은 핸들 케이스(106), 도 2에 도시된 엔진(21)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핸들 케이스(106)에 스윙가능하게 장착된 트로틀 레버(107), 트로틀 레버(107)를 잠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핸들 케이스(106)에 스윙가능하게 장착된 록레버(108) 및 엔진(21)의 작동을 끄는 킬 스위치(kill switch; 111)를 포함한다.
핸들 케이스(106)는 조작로드(54)가 그의 양면으로부터 샌드위치되는 두 개의 케이스 반체로 구성된다.
핸들 케이스(106)의 일단은 두 개의 케이스 반체로부터 각각 돌출하고 볼트(112)로 죄어지는 돌출부(106a, 106a)를 가지고 핸들 케이스(106)의 타단은 고정볼트(도시생략)로 조작로드(24)에 고정적으로 유지된다.
트로틀 레버(107)는 조작을 위해 손가락이 닿는 조작부, 메인 케이블(56)의 메인 와이어(56b)에 연결된 와이어 암 연결암(107b), 및 핸들 케이스(106)에 장착된 선회축(106b)을 지지하는 베어링부(107c)로 구성된다.
록레버(108)는 도 1에 도시된 엔진(21)의 아이플링 상태에서 커터 브레이드(22)의 제동조작간에 트로틀 레버(107)의 조작을 제한하는 부재로서 기능한다. 록레버(108)는 손바닥 제한부(108a), 트로틀 레버(107)의 와이어 연결암(107b)의 기저단으로부터 비계합되어질 수 있는 암 계합부(108b), 및 핸들 케이스(106)에 장착된 선회축(106c)을 수용하는 베어링부(108c)로 구성된다.
참고번호 56e는 메인 와이어(56b)의 기단에 고정된 와이어 말단부재를 나타낸다. 참고번호 56f는 핸들 케이스(106)에 메인 케이블(56)의 기단 부근을 고정하기 위해 메인 튜브(56a)에 유지된 케이스 장착부재를 나타낸다. 참고번호 114는 선회축(106b)의 중심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트로틀 레버(107)을 압압하는 뒤틀린 코일스프링을 나타낸다. 참고번호 115는 선회축(106c)의 중심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록레버(108)를 압압하는 뒤틀린 코일스프링을 나타낸다.
메인 와이어(56b)의 장력 조절은 케이스 장착부재(54f)상에 형성된 숫나선상에 끼워진 너트(116, 116)를 풀고 케이스 장착부재(56f)를 축방향으로 주어진 거리만큼 이동시킨 후 너트(116, 116)를 고정함에 의해 수행된다.
다음에 제1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의 조작을 도 8a 내지 도 13을 참고로 하여 아래에 기술한다.
먼저, 엔진은 공회전 상태로 출발된다. 이렇게 될 때 엔진의 회전속도가 소정 값 이하로 되기 때문에 센트리퓨갈 클러치(51)는 도 2를 참고로 설명된 바와 같이 오프(off)상태로 유지되고 또한 브레이크 슈(61)는 드럼(63)과 압압접촉되어 유지되고 커터 브레이드가 비작동되게 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런 공회전 상태에서, 록레버(108)는 핸들 케이스(106)를 파지하면서 화살표 a로 도시된 바와 같은 방향으로 손바닥으로 압압된다. 이렇게 될 때 록레버(108)의 암 계합부(108b)는 트로틀 레버(107)의 와이어 연결암(107b)의 기저단과 계합하고 이에 의해 트로틀 레버(107)가 그 잠김상태에서 해제된다. 결과적으로 트로틀 레버(107)는 작동되어진다.
도 8b에서, 손가락으로 트로틀 레버(107)의 조작부(107a)를 조작함과 화살표 b로 도시된 바와 같이 트로틀 레버(107)를 절반 회전함은 메인 와이어(56b)가 화살표 c로 도시된 방향으로 당겨지게 한다.
상술한 방식으로 트로틀 레버(107)를 파지할 때 메인 와이어(56b)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c의 방향으로 당겨져 와이어 연결부재(92)가 브레이크 와이어(87b)를 메인 와이어(56b)의 운동과 함께 화살표 d의 방향으로 당기게 한다.
브레이크 와이어(87b)가 화살표 d의 방향으로 당겨지기 때문에 브레이크 드럼(96)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축(58)의 중심에 대해 화살표 e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렇게 될 때, 브레이크 드럼(96)과 일체를 이룬 브레이크 슈(61)는 텐션 코일스프링(97)의 탄성력에 대해 화살표 f의 방향으로 회전되어져 브레이크 슈(61)가 드럼(63)으로부터 비계합되게 되고 이에 의해 제동효과가 해제된다.
트로틀 레버(107)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g의 방향으로 더욱더 강하게 파지되어질 때, 메인 와이어(56b)는 화살표 h의 방향으로 더욱더 당겨진다.
도 12에서 메인 와이어(56b)가 화살표 h의 방향으로 더욱더 당겨질 때 브레이크 와이어(87b)는 와이어 연결부재(92)를 통해 화살표 j의 방향으로 더욱 당겨지고 이때 도 9에서 알 수 있듯이 아직 당겨지지 않은 트로틀 와이어(54b)도 화살표 k의 방형으로 당겨지기 시작한다.
도 13에서 트로틀 와이어(54b)가 화살표 k의 방향으로 당겨지기 때문에 캬뷰레타(53)의 트로틀 암(73)은 트로틀 샤프트(72)의 중심에 대해 화살표 m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어서, 트로틀 샤프트(72)에 장착된 트로틀 밸브(72a)가 개도상태로 되어 그 결과 엔진에 공급되는 공기와 연료의 양이 증가하여 엔진속도가 증가한다. 엔진속도가 주어진 값을 초과할 때 도 2에서 센트리퓨갈 클러치(51)가 엔진(21)의 구동력을 수차로 회전되는 커터 브레이드에 전달하도록 연결된다.
도 3 및 도 4, 도 5a 및 도 5b와 도 6을 참고로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엔진(21)의 트로틀 밸브(72a)의 개도정도를 조절하는 트로틀 레버(107)와 엔진(21)으로 구동된 커터 브레이드(22)의 화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유닛(65)을 포함하는 예초기의 제공에 제1 특징이 있으며 이것은 트로틀레버(107)가 그 일단에 연결된 메인 케이블(56), 메인 케이블(56)의 파단과 상호 연결된 연결기구로 작용하며 엔진(21) 가까이에 위치한 클러치 케이스(52)에 장착된 릴레이부재(55), 트로틀 밸브(72a)의 트로틀 샤프트(72)에 장착된 트로틀 암(73)과 릴레이부재(55)사이에 연결된 트로틀 케이블(54), 및 브레이크 유닛(65)의 작동을 해제하는 브레이크 암(96)과 릴레이부재(55)사이에 연결된 브레이크 케이블(87)을 포함한다.
트로틀 레버(107)의 조작은 트로틀 밸브(72a)의 개도정도를 조작할 수 있게 하고 브레이크 유닛이 작동 또는 해제될 수 있게 하여 예초기의 조작성과 작업성은 개선한다.
또한, 릴레이부재(55)는 엔진(21) 근처에 배치된 클러치 케이스(52)에 장착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핸들(16)에 트로틀 레버(107)를 조립할 때 메인 케이블(56)의 단일편은 단지 핸들(16)과 릴레이부재(55) 사이에서 엔진(21)에 근접하여 배치되어야 하며 핸들(16) 주위의 구조를 간단히 하게 할 수 있고 예초기(11)의 조작성이 고도로 개선되어질 수 있다.
도 4를 참고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두 번째로 릴레이기구(93)를 포함하는 릴레이부재(55)의 존재에 관한 것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와이어(56b)를 당기기 위해 트로틀 레버(107)가 조작될 때 트로틀 와이어(54b)가 브레이크 내부 와이어(87b)의 것으로부터 지연된 운동을 일으키도록 릴레이기구(93)가 배열된다. 이 결과 트로틀 레버(107) 조작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유닛(65)은 작동 또는 해제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로틀 밸브(72a)의 개도정도가 부드럽게 연속운동으로 조절되어진다. 더욱이, 릴레이부재(55)는 구조가 단순한 최소한의 수의 구성부분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조립효능이 크게 개선되어 비용을 낮춘다.
이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를 아래에 기술한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구성부분은 동일한 참고번호를 사용하고 그 부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예의 예초기는 도 2 내지 도 4를 참고로 제1 실시예에 도시된 연결기구로 작용하는 릴레이부재를 가지지 않는다.
도 14에 도시된 트로틀 케이블(254)은 도 1에 도시된 조작레버 유닛(14)과 후술하는 브레이크 유닛사이에 신장한다. 트로틀 케이블(25)은 그 중간이 엔진(21)의 측면에 장착된 캬뷰레타(53)에 연결된다.
트로틀 케이블(254)과 캬뷰레타(53)간의 연결은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다.
도 15를 참고로 트로틀 케이블(254)은 제1 트로틀 튜브(254a), 제2 트로틀 튜브(254b), 트로틀 와이어(254c) 및 트로틀 암 작동부재(277)를 갖는 것으로 도시된다. 제1 트로틀 튜브(254a)의 일단은 도 1에 도시된 조작레버 유닛(14)에 연결되고 타단은 도 14에 도시된 엔진(21)의 외벽으로부터 신장하는 제1 브라켓(84a)에 연결된다. 트로틀 튜브(254b)의 일단은 엔진(21)의 외벽으로부터 신장하는 제2 브라켓(64b)에 연결되고 타단은 엔진(21)의 상부 부근으로 신장하여 브레이크 유닛(65)에 연결된다. 트로틀 와이어(254c)는 제1 및 제2 트로틀 튜브(254a, 254b)를 통해 가동자재하게 삽입된다. 트로틀 와이어(254c)의 일단은 조작레버 유닛(14)에 연결되고 타단은 브레이크 유닛(65)에 연결된다. 트로틀 암작동부재(277)는 트로틀 와이어(254c)의 중간에 배치되고 트로틀 와이어(254c) 보다 직겨이 큰 확대부를 갖는다.
참고번호 254d는 제1 트로틀 튜브(254a)의 타단에 배치된 제1 튜브 말단부재를 나타내고, 참고번호 254e는 제2 트로틀 튜브(254b)의 일단에 배치된 제2 튜브 말단부재를 나타낸다.
도 16에서 와이어 장착부(74)는 횡홈(82)이 형성된 상부면(81)을 가진다. 횡홈(82)은 트로틀 와이어(254c)의 직경보다 사이즈가 약간 큰 폭을 가진다. 트로틀 와이어(254c)는 그의 수평방향으로 따라 횡홈(82)에 가동자재하게 배치된다.
트로틀 암 작동부재(277)는 제2 튜브 말단부재(254e)에 근접하여 거리 D만큼 와이어 장착부재(74)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참고번호 283은 트로틀 밸브의 완전 폐쇄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트로틀 암(73)을 조절 가능하게 회전하는 트로틀 암(73)과 접합 계합을 일으키는 조절너트를 나타낸다.
도 17은 제2 실시예의 예초기의 브레이크 유닛을 도시한다. 브레이크 유닛(65)은 그 일단에 브레이크 암(96)을 가진다. 트로틀 와이어(254)의 타단은 트로틀 와이어(254)의 기저단에 배치된 제1 와이어 말단부재(254g)를 통해 브레이크 암(96)의 타단에 연결된다. 브레이크 슈(61)는 선회축(58)에 장착된다. 드럼(63)에 대한 브레이크 슈(61)를 압압하는 것은 트랜스미션 샤프트(23)의 회전에 브레이크를 적용한다. 텐션 코일스프링(97)은 항시 드럼(63)에 대해 브레이크 슈(61)를 압압한다. 참고번호 254f는 클러치 케이스(52)에 트로틀 케이블(254)를 장착하기 위해 도 15에 도시된 제2 트로틀 튜브(254b)의 말단에 고정된 제3 튜브말단부재이다. 이 제3 튜브 말단부재는 숫나선부(254h)가 형성된 기저단을 갖는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의 조작레버 유닛(14)은 제1 실시예로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조를 갖고 트로틀 레버(107)와 록레버(108)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조작한다. 이런 이유로 제2 실시예의 조작레버 유닛(14)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a에서 트로틀 케이블(254)의 트로틀 와이어(254c)가 화살표 d의 방향으로 당겨질 때, 트로틀 와이어(254c)의 중간에 배치된 트로틀 암 작동부재(277)는 트로틀 암(73)의 와이어 장착부재(74)쪽으로 트로틀 와이어(254c)와 같이 이동한다. 이렇게 될 때, 트로틀 암 작동부재(277)와 와이어 장착부(74)는 각각으로부터 거리 D1만큼 이격되어 와이어 장착부(74)는 고정적으로 유지되고 트로틀 밸브(72a)는 실질적으로 폐쇄상태로 유지된다.
도 18b에서, 트로틀 와이어(254c)를 도 18a를 참고로 기술된 바와 같이 화살표 d방향으로 당길 때 브레이크 암(96)은 화살표 e방향으로 선회축(58)의 중심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브레이크 유닛(61)은 브레이크 암(96)과 일체로 되기 때문에, 브레이크 슈(61)는 텐션 코일스프링(97)의 힘에 대항하여 브레이크 암(96)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고 드럼(63)으로부터 이격되어 브레이크 해제상태로 된다.
도 1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트로틀 레버(107)를 완전히 파지하여 도 11에 화살표 h로 도시된 방향으로 트로틀 와이어(254c)를 당길 때 트로틀 암작동부재(277)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장착부(74)와 접합 접촉을 일으킨다. 이렇게 될 때 트로틀 암(73)은 화살표 j로 도시된 바와 같이 트로틀 샤프트(72)의 중심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의해 트로틀 샤프트(72)에 장착된 트로틀 밸브(72a)는 개도상태로 된다. 이는 연료와 공기의 흡입을 증가시켜 그 결과 엔진속도를 증가시킨다. 엔진속도가 주어진 값을 초과할 때 도 14에서 센트리퓨갈 클러치(51)는 연결되어 구동력이 엔진(21)으로부터 커터 브레이드에 전달되어 연속적으로 회전된다.
도 14, 도 16 및 도 17를 참고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는 엔진의 트로틀 밸브(72a)의 개도정도를 조절하는 트로틀 레버(107)와 엔진(21)으로 종동되는 도1에 도시된 커터 브레이드(22)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유닛(65)의 제공에 특징이 있고, 트로틀 케이블(254)의 일단은 트로틀 레버(107)에 연결되고 반면 트로틀 케이블(254)의 타단은 제동을 해제하거나 브레이크 유닛(65)으로 제동하기 위한 브레이크 암(96)에 연결도고, 트로틀 암 작동부재(277)는 트로틀 레버(107) 조작시 트로틀 밸브(72a)를 개폐하기 위해 트로틀 암(73)을 회전시키기 위한 연결기구로 작용하는 트로틀 케이블(254)의 중간에 배치되어진다.
그러므로 브레이크 유닛(65)과 트로틀 밸브(72a)의 조절기능을 하는 트로틀 케이블(254)의 존재는 케이블의 수를 감소시키고, 따라서 구성부품의 가격을 감소시킨다. 나아가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르면 트로틀 케이블(254)은 도 1의 엔진(21)과 핸들(16)사이에 위치될 것이며, 예초기(11)의 조작성은 향상되면서 핸들(16)의부근 구조는 단순화된다.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에서 트로틀 암 작동부재(277)는 브레이크 유닛 근처에 위치하며 트로틀 암(73)과는 D만큼 이격되어 있어, 브레이크 유닛(65)의 해제작용으로부터 트로틀 밸브(72a)의 개폐작용이 시간상 지연되는 지연기능(delay function)을 제공한다. 즉 트로틀 레버(107)의 조작에 의하여 트로틀 케이블(254)을 잡아당길 때 우선 브레이크 암(96)은 브레이크 유닛(65)을 풀도록 작용하고 트로틀 암 작동부재(277)는 트로틀 암(73)과 접합 접촉하게 되어 이들이 서로 결합되도록 강제한다. 이로 인해 브레이크의 해제작용으로부터 시간지연되어 트로틀 밸브(72a)의 개도작용을 일으키는 능력을 제공한다.
또한, 반대로 트로틀 케이블(254)이 원위치로 복귀할 때는 제동작용은 트로틀 밸브(72a)의 폐쇄작용 후에 이루어지는데, 이는 제동작용이나 브레이크 해제작용뿐 아니라 트로틀 레버(107)의 작용의 결과에 의한 트로틀 밸브(72a)의 개도정도의 조절이 부드럽게 이루어지게 된다.
도 20과 도 21은 첫 번째와 두 번째 실시예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바 변형된 형태인 예초기(120)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핸들 구성부분은 조작레버 유닛(222)과 장착되고, 좌측핸들 구성부분은 그립(223)과 장착된 U자 모양의 핸들과 장착된 조작로드(24)를 가진다. 사용시에 조작자(10)는 조작레버 유닛(222)을 오른손(13)으로, 그립(223)은 왼손(15)으로 파지하고 조정하게 된다. 다른 구성부분은 도 1에 도시된 부분과 유사하며,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대로 우측핸들 부분에 장착된 조작레버 유닛(222)을보여준다.
도 21에 도시된 변형된 형태에 따른 조작레버 유닛(222)은 핸들 케이스(225), 핸들 케이스(225)에 스윙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트로틀 레버(226)의 일시적인 고정을 위한 록레버(227), 엔진(21)의 제동을 위한 킬 스위치(228)를 포함한다.
핸들 케이스(225)는 두 개의 케이스 반체로 구성되는데 그것들은 드러나지 않는 나사로 U형상 핸들(221)에 고정되어 있다.
트로틀 레버(226)는 조작부(226a)와 메인 케이블(56)의 메인 와이어(56b)나 트로틀 케이블(254)의 트로틀 와이어(254c)에 연결된 와이어 암 연결암(226b), 핸들 케이스(225)에 장착된 선회축(225a)을 지지하는 베어링부(226c)로 이루어져있다.
록레버(227)는 손으로 압압되는 압압부(227a)와 트로틀 레버(226)의 와이어 암 연결암(226b)가 계합 또는 이격되는 암 계합부(227b), 핸들 케이스(225)에 장착된 선회축(225b)을 지지하는 베어링부(227c)로 이루어져있다.
트로틀 레버(226)와 록레버(227)는 도 7, 도 8a, 도 8b에 첫 번째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된 조작자(10)와 록레버(108)와 같은 방식으로 작동하며, 세부설명은 여기서는 생략하겠다.
참조번호 225c는 핸들 케이스(225)에 형성되어 메인 케이블(56)의 (56a)의 말단부 혹은 트로틀 케이블(254)의 (254a)의 말단부를 핸들 케이스(225)에 장착하기 위한 튜브 장착부에 대해 명시하고 있다. 참조번호 231은 트로틀 레버(226)를압압하여 트로틀 레버(226)가 핸들 케이스(225)의 중심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비틀린 코일스프링을 명시하고 있다. 참조번호 232는 록레버(227)를 압압하여 록레버(227)가 선회축(225b)의 중심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는 비틀린 코일스프링을 명시하고 있다.
이제 이하에서는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를 설명하겠다.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는 첫 번째 실시예에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며, 릴레이부재(relay member)로 구성된 링크 메카니즘(link mechanism) 설비를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그것은 도 20에 도시된 U형상 핸들(221)의 한 그립으로 기능하는 조작레버 유닛(222) 안에 위치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20의 U형상 핸들(221)의 한 그립으로 기능하는 조작레버 유닛(222)과 트로틀 작동 메카니즘(throttle actuating mechanism)과 브레이크 유닛을 도 22에서 도 31까지와 관련하여 설명하겠다. 또한 첫 번째 실시예에서 보여진 예초기의 구성부분과 같은 구성부분은 동일한 참조번호를 가지고, 동일한 세부설명은 여기에서는 생략하겠다.
도 22를 참조하면 조작레버 유닛(314)은 핸들 케이스(331), 핸들 케이스(331)에 스윙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도 20에 나타난 엔진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트로틀 레버(332), 핸들 케이스(331)에 스윙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트로틀 레버(332)의 회전운동을 잠그기 위한 록레버(333), 트로틀 레버(33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력을 주는 비틀린 코일스프링(334), 록레버(lock lever)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력을 주는 비틀린 코일스프링(335), 엔진(21)을 정지시키기 위한 킬 스위치(336)로 구성되어있다.
핸들 케이스(331)는 두 케이스 반체로 구성되는데, 도 20의 U형상 핸들(221)은 두 케이스 반체사이에 끼워져있으며, 두 케이스 반체는 드러나지 않는 나사에 의해 U형상 핸들(221)에 고정되어 있다. 나아가 핸들 케이스(331)는 트로틀 레버(332)의 시계방향의 회전운동(swinging movement)을 제한하는(331a), 록레버(333)의 반시계방향의 회전운동을 제한하는 록레버 정지부(331b), 비틀린 코일스프링(335)의 한끝을 계합하는 스프링 고리부(331c), 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331d)로 구성되어 있다.
트로틀 레버(332)는 검지나 중지등의 손가락이 걸리는 조작부(332a), 메인 와이어(338)에 연결된 와이어 연결암(332b), 베어링부(332c), 록레버(333)쪽으로 돌출한 돌출부(332d), 비틀린 코일스프링(334)의 한끝이 삽입되는 스프링 삽입부(332e)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참조번호 332f는 돌출부(332d)의 측벽을 명시하고있다.
록레버(333)는 트로틀 레버(332)의 돌출부(332d)쪽으로 움직이도록 강제함으로써 트로틀 레버(332)의 회전운동을 제한하는 스윙 스토퍼암(333b), 핸들 케이스(331)에 장착된 선회축(331f)을 지지하는 베어링부(333c), 비틀린 코일스프링(335)의 타단이 이를 통해 통과하는 스프링 삽입부(333d)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참조번호 333e는 스윙 스토퍼암(333b)의 일단으로부터 그것의 측방(도면의 전면)으로 돌출하는 측방 돌출을 명시하고 있다. 참조번호 333f는 측방향 돌출부(333e)의 원형 아크월(circular arc wall)을 명시하고 있다.
조작레버 유닛(314)은 그 안에서 릴레이부재(345)를 통합하는데,릴레이부재(345)는 메인 와이어(338)와 뒤에 설명될 캬부레타쪽으로 신장하는 트로틀 케이블(343)을 그리고 메인 와이어(338)와 브레이크 해제 케이블로 기능하며 뒤에 설명될 브레이크 유닛쪽으로 신장하는 브레이크 케이블(344)을 연결하는 링크 메카니즘(link mechanism)으로서 기능한다.
메인 와이어(338)의 일단은 메인 와이어(338)보다는 직경이 크고 릴레이부재(345)에 연결된 와이어 말단부재(338a)를 가진다. 메인와이어(338)의 타단은 와이어 말단부재(338b)를 통하여 트로틀 레버(332)의 와이어 연결암(332b)에 연결되어있다.
트로틀 케이블(343)은 트로틀 튜브(343a)와 트로틀 튜브(343a)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된 트로틀 와이어(343b), 트로틀 와이어(343b)의 일단에 고정된 와이어 말단부재(343c), 트로틀 와이어(343b)의 일단에 장착된 튜브 말단부재(343d)로 구성되어 있다.
브레이크 케이블(344)은 브레이크 튜브(344a)와 브레이크 튜브(344a)를 통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삽입된 브레이크 와이어(344b), 브레이크 와이어(344b)의 일단에 장착된 와이어 말단부재(344c), 브레이크 튜브(344a)의 일단에 장착된 와이어 말단부재(344d)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참조번호 331g는 핸들 케이스(331)에 형성되어 튜브 말단부재(343d, 344d)를 지지하기 위한 케이블 지지부를 명시하고 있다.
릴레이부재(345)는 단면이 C자 모양인 부분을 포함하는데, 그의 일단은 메인 와이어(338)의 와이어 말단부재(338a)가 계합할 수 있는 제1 직립부(345a)에 형성되어 있고 타단은 브레이크 케이블(344)의 와이어 말단부재(344c)와 트로틀케이블(343)의 와이어 말단부재(343c)가 계합할 수 있는 제2 직립부(345b)에 형성되어 있다.
통상의 사용시 트로틀 레버(332)는 파지되지 않는다. 트로틀 와이어(343b)의 트로틀 튜브(343a)로부터 돌출된 양은 트로틀 튜브(343a)로부터 돌출된 브레이크 와이어(344b)의 돌출정도보다 크게 선택된다. 그리고 브레이크 케이블(344)의 와이어 말단부재(344c)는 릴레이부재(345)의 제2 직립부(345b)와 접합 계합되어 고정된다. 트로틀 케이블(343)의 와이어 말단부재(343c)는 제2 직립부(345b)로부터 이격된다. 즉, 와이어 말단부재(343c)와 제2 직립부(345b)의 거리는 와이어 말단부재(344c)와 제2 직립부(345b)의 거리보다 더 크다. 그러므로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부재(345)는 딜레이기구(347)로서의 기능을 가지는데, 트로틀 와이어(343b)의 와이어 말단부재(343c)가 브레이크 케이블(344)의 와이어 말단부재(344c)로부터 이격되어 있다는 것은 록레버(333)가 릴레이부재(345)를 움직이게 하기 위해 잡아당겨지는 때에, 브레이크 와이어(344b)의 움직임으로부터 시간상으로 지연되어 트로틀 와이어(343b)가 당겨지게 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케이스(331)는 제1 및 제2 케이스 반체(331j, 331k)로 구성되어 있다. 선회축(331e)는 제1 케이스 반체(331j) 안에 형성되어 있고, 선회축(331m)은 제2 케이스 반체(331k) 안에 형성되어 있다. 선회축(331e, 331m)은 베어링부(332c) 안에서 수용되어진다. 와이어 연결암(332b)은 그것의 말단이 메인 와이어(338)의 와이어 말단부재(338b)를 계합하는 베어링부(332c)로부터 신장한다. (도 22) 참조번호 348은 제1 케이스 반체(331j)와 제2 케이스 반체(331k)를 서로 연결하는 나사를 명시하고 있다.
도 24에서 제1 케이스 반체(331j)는 선회축(331f)을 가지며, 제2 케이스 반체(331k)는 선회축(331n)을 가진다. 이러한 선회축(331f, 331n)은 베어링부(333c)에 의해 수용된다. 스윙 스토퍼암(333b)음 베어링부(333c)로부터 신장한다. 스윙 스토퍼암(333b)의 말단인 측면 돌출부(333e)는 트로틀 레버(332)의 돌출부(332d)에 가깝다.
도 25는 두 번째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 14에서 도시된 예초기의 엔진의 전면부의 단면도이다. 트로틀 케이블(343)과 트로틀 암(73)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구조나 작용이 유사하며, 그들의 상세설명은 생략한다. 도 26의 참조번호 343e는 도3의 실린더형 부재(54c)와 대응하는 원통형 부재에 대해 명시하고 있다. 참조번호 343f는 도 3의 튜브 말단부재(54d)에 대응하는 튜브 터미널 부재에 대해 명시하고 있다.
도 27은 세 번째 실시예에 의한 브레이크 유닛(65)을 보여준다. 참조번호 344e는 브레이크 와이어(344b)를 브레이크 암(96)에 연결하기 위해 브레이크 와이어(344b)에 위치한 와이어 말단부재를 명시하고 있다. 그러한 실시예에 의한 브레이크 유닛은 첫 번째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 6에 도시된 브레이크 유닛(65)과 구조가 유사하고, 동일한 방식으로 작용한다. 같은 부분은 도 6에서 사용된 참조번호를 가지며 동일부분의 설명은 생략하겠다.
이제 세 번째 실시예에 의한 조작레버 유닛(314)과 엔진의 작용에 대해 도 28a에서 31까지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일단 엔진이 가동되어 공회전 상태로 된다. 이때 도 25의 센트리퓨갈 클러치(51)는 아래에서 설명될 엔진의 회전속도 때문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uncoupled)로 유지된다. 또한 도 27의 드럼(63)이 브레이크 슈(61)에 의해 압압되므로, 도 20의 커터 브레이드(22)는 작동되지 않는다.
그러한 상황에서(도 8a) 록레버(333)의 손바닥 제한부(333a)는 손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즉 화살표 a방향으로 압압된다. 그리고 록레버(333)는 핸들 케이스(331)의 파지부(331d)가 파지되는 동안 회전된다. 이는 록레버(333)의 스윙 스토퍼암(333b)이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회전하게 강제하여 스윙 스토퍼암(333b)과 트로틀 레버(332)의 파지부(332d)가 서로 분리되게 하며 따라서 트로틀 레버(32)의 잠김상태가 풀려 트로틀 레버(32)의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도 28b에서 화살표 b의 방향으로 트로틀 레버(332)의 최대 이동범위의 중간쯤까지 손가락을 위로 함에 따라 메인 와이어(338)는 화살표 c의 방향으로 잡아당겨지며, 그에 따라 릴레이부재(345)는 화살표 c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한 이동 운동때문에 브레이크 케이블(344)의 브레이크 와이어(344b)는 메인 와이어(338)의 실질적인 동시이동(concurrent movement)에 따라 화살표 d의 방향으로 잡아당겨진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면 트로틀 케이블(343)의 와이어 말단부재(344c)와 릴레이부재(345)의 제2 직립부(345b)사이에 틈(clearance)이 있으므로 트로틀 와이어(343b)는 잡아당겨지지 않는다.
브레이크 와이어(344b)가 화살표 d방향으로 잡아당겨질 때, 브레이크 암(96)은 선회축(58)의 중심에 대해서 화살표 e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브레이크 암(96)과 결합(integral)되는 브레이크 슈(61)는 브레이크 슈(61)를 드럼(63)으로부터 이격시켜 브레이크를 해제하는 것을 강제하는 텐션 코일스프링(87)의 힘을 이기고 화살표 f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30a에 도시된 것처럼 트로틀 레버(332)를 화살표 g의 방향으로 더 깊게 파지하여 회전하게 하면 메인 와이어(338)은 화살표 h의 방향으로 더 많이 잡아당겨지게 되어 릴레이부재(345)는 더 위로 이동한다. 이러한 상황이 되면, 브레이크 와이어(344b)는 화살표 j의 방향으로 더 많이 움직이게 되며, 도 2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잡아당겨지지 않은 트로틀 와이어(343b)가 화살표 k방향으로 잡아당겨지게 된다.
트로틀 와이어(343b)가 화살표 k의 방향으로 잡아당겨지게 될 때, 캬뷰레타(53)의 트로틀 암(73)은 트로틀 샤프트(72)의 중심에 대해 도 3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m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한 회전으로 인해, 트로틀 샤프트(72)에 장착된 트로틀 밸브(72a)가 결과적인 엔진의 속도증가에 따라 풀리게 된다. 엔진속도가 소정의 값을 초과하면 도 25에 도시된 센트리퓨갈 클러치(51)은 결합상태(coupled condition)가 되어 엔진(21)의 구동력을 커터 브레이드에 전달하여 회전시킨다.
핸들 케이스(331)는 파지한 상태에서 록레버(333)으로부터 손을 떼면, 록레버(333)는 도 31에 표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n의 방향으로 움직이게(swing)되는데 이는 비틀린 코일스프링(335)의 반사력에 기인한다. 결과적으로 록레버(333)의 측면 돌출부(333e)의 호형 아크벽(333f)과 돌출부(332d)의 측벽(332f)은 그렇게 계합 접촉된 상태로 되며 트로틀 레버(332)의 조작부(332a)로부터 손가락을 떼어도 트로틀 레버(332)는 호형 아크벽(333f)과 측벽(332f)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해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면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트로틀 레버(332)의 위치에 관계없이, 호형 아크벽(333f)과 측벽(332f)이 서로 계합 접촉되는 위치에 있게 되면, 트로틀 레버(332)로부터 손가락을 떼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레버의 조작에 대한 부담을 제거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는 트로틀 레버(332)의 조작만으로 트로틀 케이블(343)에 연결된 트로틀 샤프트(72)와 브레이크 케이블(44)에 연결된 브레이크 암(96)을 릴레이부재(345)를 통하여 조작할 수 있게 되므로, 트로틀 밸브의 개도정도의 조절과 브레이크 유닛의 제어가 쉽다.
이하에서는 세 번째 실시예의 변형형태, 즉 예를 들어 연결기구로 제공되는 릴레이부재가 조작레버(14)(변형된 형태에서 421 구성부품에 대응)안에 위치하는 경우를 도 32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하겠다. 또한 도 22의 세 번째 실시예의 조작레버 유닛(314)와 구성부품이 동일한 것은 동일한 참조번호를 가지며, 여기에서는 그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하겠다.
도 32에서 조작레버 유닛(421)은 핸들 케이스(426), 핸들 케이스(426)에 스윙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도 1에 도시된 엔진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트로틀 레버(427), 핸들 케이스(426)에 스윙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트로틀 레버(427)의 회전운동을 잠그기 위한 록레버(428), 엔진(21)을 정지시키기 위한 킬 스위치(431)를 포함한다. 참조번호 424는 트로틀 레버(427)를 항상 시계방향으로압압하기 위한 비틀린 코일스프링을 명시하고 있으며 참조번호 435는 록레버(428)를 항상 반시계방향으로 압압하기 위한 비틀린 코일스프링을 명시하고 있다.
핸들 케이스(426)은 조작로드(24)를 사이에 끼우고 있는 두 개의 케이스 반체로 구성되어 있다. 핸들 케이스(426)의 길이방향의 일단은 돌출부(426a)로 형성되어 있는데, 두 케이스 반체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돌출부(426a)는 각각(426a의 하나는 보이지 않음) 볼트(437)로 조여져 있으며, 타단은 트로틀 레버(427)를 조작로드(24)에 고정하기 위해 볼트(보이지 않음)로 조여져 있다.
트로틀 레버(427)는 그곳에 손가락이 걸리는 조작부(427a), 메인 와이어(338)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 연결암(427b), 핸들 케이스(426)에 장착된 선회축(426b)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부(427c)로 이루어져 있다.
록레버(428)는 도 1에 도시된 엔진(21)의 공회전 상태하에서 (22)를 제동할 때 트로틀레버(427)의 작동을 제한하는 부재로 제공된다. 록레버(428)은 트로틀 레버(427)의 와이어 연결암(427b)을 계합하는 암 계합부(428b)와 핸들 케이스(426)에 장착된 선회축(426c)를 지지하는 베어링부(428c)로 구성되어 있다.
조작레버 유닛(421)은 그 안에서 메인 와이어(338)와 트로틀 케이블(343), 메인 와이어(338)와 브레이크 케이블(344)의 움직임을 연결하는 연결기구와 합체한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조작레버 유닛(421)은 그 안에서 메인 와이어(338)와 도 25에 도시된 캬부레타쪽으로 신장하는 트로틀 케이블(343)을 연결하며 또한 메인 와이어(338)과 브레이크 유닛(65)쪽으로 신장하는 브레이크 케이블(344)을 연결하여 연결기구로 제공되는 릴레이부재(438)에 합체한다.
메인 와이어(338)의 일단에 형성된 와이어 말단부재(338)는 릴레이부재(438)에 연결되어 있으며, 메인 와이어(338)의 타단에 형성된 와이어 말단부재(338b)는 트로틀 레버(427)의 연결암(427b)에 연결되어 있다.
핸들 케이스(438)는 트로틀 케이블(343)의 트로틀 튜브(343a)를 지지하기 위한 케이블 지지부(426d)와 브레이크 케이블(344)의 브레이크 튜브(344a)를 지지하기 위한 케이블 지지부(426e)을 포함한다.
릴레이부재(438)는 조작로드(24)의 축방향의 단면이 C자 모양이며, 조작로드(24)의 축에 대해서 수직방향의 단면은 조작로드(24)의 외주면과 맞서고 있는 원형 아크부재를 포함한다. 메인 와이어(338)의 와이어 말단부재(338a)는 릴레이부재(438)의 일단에 형성된 제1 직립부(438a)를 계합하는데, 그것의 타단은 트로틀 케이블(343)의 와이어 말단부재(343c)와 브레이크 케이블(344)의 와이어 말단부재(344c)가 거기에 걸리게 되는 제2 직립부(438b)에 형성된다.
도 32에서 트로틀 튜브(343a)로부터의 트로틀 와이어(343b)의 돌출된 정도는 브레이크 튜브(344a)로부터의 브레이크 와이어(344b)의 그것보다 크게 선택된다. 또한 브레이크 케이블(344)의 와이어 말단부재(344c)는 릴레이부재(438)의 제2 직립부재(438b)와 실질적으로 접합 계합되며, 트로틀 케이블(343)의 와이어 말단부재(343c)는 제2 직립부재(438b)로부터 이격된다. 즉 와이어 말단부재(343c)와 제2 직립부재(438b)사이의 거리는 와이어 말단부재(344c)와 제2 직립부재(438b)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결정된다.
이러므로 본 변형에 의한 릴레이부재(438)은 딜레이기구로서의 기능을 가지는데, 트로틀 와이어(343b)의 와이어 말단부재(343c)가 브레이크 케이블(344)의 와이어 말단부재(344c)로부터 이격되어 있다는 것은 메인 와이어(338)이 릴레이부재(345)를 움직이게 하기 위해 잡아당겨지는 때에, 브레이크 와이어(344b)의 움직임으로부터 시간상으로 지연되어 트로틀 와이어(343b)가 당겨지게 한다.
위에서 설명된 변형에 따른 릴레이부재(438)는 도 22에 도시된 릴레이부재(345)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며, 동일한 설명은 여기에서는 생략하겠다.
트로틀 와이어(343b)의 장력의 정도는 트로틀 튜브(343a)의 단부에 형성된 케이스 장착부재(343g)상에 형성된 숫나선에 대해 조여진 너트(443)를 느슨하게 하거나, 축의 길이방향으로 맞추어진 케이스 장착부재(443g)에 인접한 너트(443)를 조임으로써 조절된다.
브레이크 와이어(344b)의 장력의 정도는 위에 설명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조절되는데, 브레이크 튜브(344a)의 단부에 형성된 케이스 장착부재(344g)상에 형성된 숫나선에 대해 조여진 너트(443)을 느슨하게 하거나, 축의 길이방향으로 맞추어진 케이스 장착부재(344g)에 인접한 너트(443)을 조임으로써 조절된다.
상기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트로틀 레버를 조작함에 의해 트로틀의 개도정도의 조절과 브레이크 유닛 및 브레이크 해제의 활성화는 예초기의 조작성과 작업성의 개선하며 또한, 원동기 근처에 근접하여 위치하여 연결기구로 작용하는 릴레이부재의 존재, 즉 원동기 부근 브레이크 유닛의 커버에 장착된 연결기구의 존재는 트로틀 레버가 트로틀 레버상에 장착될 때 핸들과 연결기구간에 위치된 메인 케이블의 단일편이 원동기에 보다 근접하게 할 수 있어 핸들 부근의 구조를 단순화한다.

Claims (8)

  1. 삭제
  2. 조작로드와;
    상기 조작로드의 전단에 장착된 커터 브레이드와;
    상기 커터 브레이드를 구동하는 상기 조작로드의 후부에 장착된 원동기와;
    상기 원동기 트로틀을 조절하는 트로틀 레버와;
    상기 원동기에 의해 종동되는 상기 커터 브레이드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브레이크 유닛; 및
    트로틀의 개도정도를 조절하고 제동상태로부터 브레이크를 해제하는 트로틀 레버의 조작에 의해 활성화되는 연결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기구는 상기 원동기 부근에 근접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구는 상기 브레이크 유닛의 커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구는 상기 트로틀 레버의 조작에 의해 작동되는 딜레이기구를 포함하여 상기 트로틀이 제동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크 유닛의 해제로부터 소정시간 지연되어 개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5. 삭제
  6. 조작로드와;
    상기 조작로드의 전단에 장착된 커터 브레이드와;
    상기 커터 브레이드를 구동하는 상기 조작로드의 후부에 장착된 원동기와;
    상기 원동기 트로틀을 조절하는 트로틀 레버와;
    상기 원동기에 의해 종동되는 상기 커터 브레이드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브레이크 유닛; 및
    트로틀의 개도정도를 조절하고 제동상태로부터 브레이크를 해제하는 상기 트로틀 레버의 조작에 의해 활성화되는 연결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기구는 제동상태로부터 상기 브레이크 유닛의 해제로부터 소정시간 지연되어 개도되도록 상기 트로틀 레버의 조작에 의해 작동되는 딜레이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7. 조작로드와;
    상기 조작로드의 전단에 장착된 커터 브레이드와;
    상기 커터 브레이드를 구동하는 상기 조작로드의 후부에 장착된 원동기와;
    상기 원동기 트로틀을 조절하는 트로틀 레버와;
    상기 원동기에 의해 종동되는 상기 커터 브레이드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브레이크 유닛과;
    상기 트로틀 레버와 상기 브레이크 유닛 사이에 연장되는 하나의 단편 트로틀 케이블; 및
    트로틀의 개도정도를 조절하고 제동상태로부터 브레이크를 해제하는 상기 트로틀 레버의 조작에 의해 활성화되는 연결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기구는 상기 트로틀 케이블의 중간에 제공되어 트로틀의 개도 조절과 제동상태로부터 브레이크 유닛의 해제 양자가 상기 하나의 트로틀 케이블에 의해 달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8. 제 7항에 있어서, 트로틀이 제동상태에서 브레이크 유닛의 해제로부터 소정시간 지연되어 개도하도록 상기 연결기구는 상기 트로틀 레버의 조작에 의해 작동되는 딜레이기구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KR10-2002-0001753A 2001-01-11 2002-01-11 예초기 KR1004417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04233A JP4516218B2 (ja) 2001-01-11 2001-01-11 刈払機
JPJP-P-2001-00004233 2001-01-11
JP2001006352A JP4478341B2 (ja) 2001-01-15 2001-01-15 刈払機
JPJP-P-2001-00006314 2001-01-15
JPJP-P-2001-00006352 2001-01-15
JP2001006314A JP4516219B2 (ja) 2001-01-15 2001-01-15 刈払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0624A KR20020060624A (ko) 2002-07-18
KR100441786B1 true KR100441786B1 (ko) 2004-07-27

Family

ID=27345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1753A KR100441786B1 (ko) 2001-01-11 2002-01-11 예초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6823591B2 (ko)
EP (1) EP1222848B1 (ko)
KR (1) KR100441786B1 (ko)
CN (1) CN1251573C (ko)
CA (1) CA2367243C (ko)
DE (1) DE60203743T2 (ko)
TW (1) TW5330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52206B2 (ja) * 2005-04-05 2010-04-21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携帯型作業機におけるエンジンの操作装置
DE202006009817U1 (de) * 2006-06-21 2007-10-25 Dolmar Gmbh Bremsgriff
JP5256151B2 (ja) * 2009-09-02 2013-08-07 株式会社マキタ 刈払機
JP5767955B2 (ja) * 2011-12-01 2015-08-26 株式会社マキタ 携帯型作業機
CN102972140B (zh) * 2012-11-16 2015-06-10 浙江亚特电器有限公司 一种便携式割灌机用切刀
US9533571B1 (en) * 2014-01-20 2017-01-03 Robert Istvan Urmosi Finger-operated lever device to be installed on a vehicle handlebar for actuating a cable of a vehicle
CN104145617B (zh) * 2014-08-12 2015-12-16 陈斌 割草机用可调式刹车
JP6767836B2 (ja) * 2016-10-05 2020-10-14 株式会社マキタ 作業機
EP3760025A1 (de) * 2019-07-01 2021-01-06 Andreas Stihl AG & Co. KG Bedienvorrichtung mit handgriff und motorgetriebenes arbeitsgerät
TWI691261B (zh) * 2019-09-25 2020-04-21 何炳梓 園藝機
EP3892083A1 (de) * 2020-04-09 2021-10-13 Andreas Stihl AG & Co. KG Freischneider
EP3892082A1 (de) 2020-04-09 2021-10-13 Andreas Stihl AG & Co. KG Handgriff für ein handgeführtes arbeitsgerät und freischneider
CN112868361A (zh) * 2020-12-28 2021-06-01 青海和众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手持式农业除草器及其使用方法
CA3127409C (en) * 2021-08-11 2022-06-07 Norwood Industries Inc. Planer / moulder drum brak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52412C (de) 1954-10-17 1956-11-15 Max Friz Handbetaetigte Kuppel- und Schalteinrichtung fuer Wechselgetriebe, insbesondere von Kraftraedern
US3290871A (en) * 1964-07-20 1966-12-13 Clinton Engines Corp Emergency brak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5153248A (ja) 1974-11-05 1976-05-11 Mitsubishi Electric Corp Ijodenatsuboshikairo
US4006528A (en) 1974-11-22 1977-02-08 Kaaz Machinery Co. Ltd. Portable grass and brush cutter with brake and clutch
JPS5857131B2 (ja) 1976-05-25 1983-12-19 富士ロビン株式会社 刈取作業機における刈刃の制動安全装置
US4309862A (en) * 1980-06-09 1982-01-12 Capro, Inc. Lawn mower and controls therefor
JPH01116340A (ja) * 1987-10-29 1989-05-09 Mazda Motor Corp オートマチック車の制御装置
DE4314427C2 (de) * 1993-05-03 2002-02-21 Stihl Maschf Andreas Freischneidegerät
US5431256A (en) * 1994-05-03 1995-07-11 Wen; Chun T. Adjusting device for a brake cable of a bicycle
JP3305157B2 (ja) * 1995-05-02 2002-07-22 株式会社共立 ハンドレバー装置
JP3673360B2 (ja) 1997-03-04 2005-07-20 株式会社共立 携帯用刈払機
US5768786A (en) * 1997-03-10 1998-06-23 Kane; Steven F. Hand-held motor or engine powered rigid blade brush cutting device having fail-safe design
JP3601934B2 (ja) * 1997-05-16 2004-12-15 株式会社共立 動力作業機用制動装置
JP3731994B2 (ja) * 1997-11-12 2006-01-05 株式会社共立 携帯式動力作業機
JP3993925B2 (ja) * 1997-11-13 2007-10-17 株式会社共立 刈取作業機用ハンドレバー装置
JP3432406B2 (ja) * 1997-12-12 2003-08-04 株式会社共立 携帯用刈払機
JP3567072B2 (ja) * 1998-01-16 2004-09-15 株式会社共立 可動刃用制動装置を備えた携帯式刈取機
US6021630A (en) * 1998-07-02 2000-02-08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Hand-held, engine-powered bush cutting machine
US6176016B1 (en) * 1998-07-02 2001-01-23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Operation control lever unit for engine-powered working machine
JP3732351B2 (ja) * 1999-02-09 2006-01-05 株式会社共立 ハンドレバー装置
JP4027043B2 (ja) * 2001-01-15 2007-12-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刈払機の操作レバ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22848A1 (en) 2002-07-17
EP1222848B1 (en) 2005-04-20
CA2367243A1 (en) 2002-07-11
CA2367243C (en) 2005-12-20
DE60203743D1 (de) 2005-05-25
DE60203743T2 (de) 2005-09-22
CN1381163A (zh) 2002-11-27
US6931732B2 (en) 2005-08-23
TW533054B (en) 2003-05-21
US20040194321A1 (en) 2004-10-07
US6823591B2 (en) 2004-11-30
CN1251573C (zh) 2006-04-19
US20020088125A1 (en) 2002-07-11
KR20020060624A (ko) 200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1786B1 (ko) 예초기
KR100441785B1 (ko) 예초기용 조작레버
US6108867A (en) Handling device for power working machine
JP3567072B2 (ja) 可動刃用制動装置を備えた携帯式刈取機
CA2280538C (en) Ground speed control system
JP3201931B2 (ja) ハンドレバー装置
US5718052A (en) Hand lever device
JP3522385B2 (ja) ハンドレバー装置
US5355662A (en) Single bail self-propel and zone brake control
US5664543A (en) Hand lever device
JPH094477A (ja) ハンドレバー装置
JP3529199B2 (ja) ハンドレバー装置
JPH0914004A (ja) ハンドレバー装置
US5865155A (en) Hand lever device
US6125547A (en) Hand-lever device for trimmer
US6773375B2 (en) Portable trimmer
JP3432053B2 (ja) ハンドレバー装置
CA2485362C (en) Bush cutting machine
JPH0949444A (ja) ハンドレバー装置
JP4478341B2 (ja) 刈払機
JP4516218B2 (ja) 刈払機
JPH11155337A (ja) 動力作業機
JPH1084737A (ja) ハンドレバー装置
JP2002209419A (ja) 刈払機
JP2003310028A (ja) 刈払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