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1666B1 - 사물가루가 첨가된 절편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사물가루가 첨가된 절편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1666B1
KR100441666B1 KR10-2002-0026508A KR20020026508A KR100441666B1 KR 100441666 B1 KR100441666 B1 KR 100441666B1 KR 20020026508 A KR20020026508 A KR 20020026508A KR 100441666 B1 KR100441666 B1 KR 100441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ercent
mixing
flour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6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8680A (ko
Inventor
김윤선
Original Assignee
김윤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선 filed Critical 김윤선
Priority to KR10-2002-0026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1666B1/ko
Publication of KR20030088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8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1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16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20Extrud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6Extrus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가루가 첨가된 절편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편 제조시 인체에 유익한 제분화된 네가지의 약재를 곡물 제분과 혼합하여 맛과 영양이 탁월하도록 제조함으로써, 소비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 사물가루가 첨가된 절편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숙지황과 백작약과 당귀 및 천궁을 각각 1 : 1 : 1 : 0.5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 사물가루 3 ~ 7중량%와 쌀 가루 75 ~ 85중량%와 물 7 ~ 8중량% 및 소금 7 ~ 8중량%를 혼합하여 찜틀에 넣고 찐 후, 압출기로 압출시켜 상부면에 문양을 찍어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숙지황, 백작약과 당귀 및 천궁을 각각 1 : 1 : 1 : 0.5의 비율로 혼합한 후, 분말화 하여 사물절편 가루를 제조하는 사물가루 제조단계와, 상기 제조된 사물가루 3 ~ 7중량%와 쌀가루 75 ~ 85중량%와 물 7 ~ 8중량% 및 소금 7 ~ 8중량%를 혼합하는 재료 혼합단계와, 상기 혼합된 재료를 베보자기를 깐 알루미늄 찜틀에 넣은 다음 윗 면을 편편하게 하고 베보자기를 덮어 증기압 3 ~ 4㎏/㎤의 증기압으로 15 ~ 25분간 쪄서 설기를 제조하는 설기 제조단계와, 상기 제조된 설기를 베보자기에서 떼어내고 기계로 잘 친후 압출기로 압출시켜 가래떡 모양으로 말은 후 손으로 밀어 상부면에 문양을 찍어내는 완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물가루가 첨가된 절편 및 제조방법{Process and preparation of the sliced rice cake containing the 4-raw material powder of samul-tang}
본 발명은 사물가루가 첨가된 절편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편 제조시 인체에 유익한 제분화된 네가지의 약재를 곡물 제분과 혼합하여 맛과 영양이 탁월하도록 제조함으로써, 소비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 사물가루가 첨가된 절편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편은 사전적 의미로 볼때 흰 떡을 꽃무늬 등이 있는 둥글거나 네모난 판에 박아 모양 있게 만든 떡을 의미한다. 이같은 절편은 예로부터 특정일에 여러가지 음식과 더불어 섭취하는 음식으로 인식되어 특정일이 아닌 날에는 좀처럼 먹기 힘든 음식이었다. 이는 절편과 같은 떡의 제조시 그 비용이 적지 않게 소요됨에 따라 특정일이 아니고는 떡을 섭취하기가 쉽지 않았던 것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일상생활에서도 떡을 제조하여 판매하고 있는 곳이 많은데, 그 중에서도 대형마트나 백화점 등에서는 떡을 구매하여 섭취하기가 용이하나 떡의 소비는 계속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이같은 이유는 식생활의 변화를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는데, 빵과 같이 입안에서 달고 제조가 쉬우며 값이 싼 음식들을 장기간 섭취하게 되면서 우리 고유의 맛을 점차 잃어가게 됨에 따라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식생활의 변화로 인해 최근 적재된 쌀의 양이 많아 정부에서는 쌀소비를 장려하고 있으며, 쌀을 이용한 여러가지 음식이 다수 출현하게 되면서 쌀소비는 점차 증대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쌀의 영양분을 함유한 음료수 등도 출현하여 소비자의 입맛에 부합되는 음식들도 출현하고 있지만 이는 쌀의 영양분만을 강조하여 제작함에 따라 소비자에게 충분한 영양분을 제공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었다.
뿐만 아니라, 현재 쌀을 이용한 떡 및 과자 등도 단순히 떡과 과자를 제조하기 위해 그 형상 및 모양을 변화시킨 것에 불과하여 상기한 음식을 통해서 충분한 영양분을 소비자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또한, 빵과 같은 음식을 주로 섭취하여 서구화된 식생활로 변화하게 됨에 따라 예전에는 발견되지 않았던 여러가지 질병도 발생하고 있는 것이어서 이에 대한 대비책이 시급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절편 제조시 인체에 유익한 제분화된 네가지의 약재를 곡물 제분과 혼합하여 맛과 영양이 탁월하도록 제조함으로써, 소비자가 쉽고 편리하게 구매하여 섭취하게 됨에 따라 소비자의 건강을 탁월하게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 사물가루가 첨가된 절편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정부에서 장려하는 쌀소비 정책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숙지황과 백작약과 당귀 및 천궁을 각각 1 : 1 : 1 : 0.5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 사물가루 3 ~ 7중량%와 쌀 가루 75 ~ 85중량%와 물 7 ~ 8중량% 및 소금 7 ~ 8중량%를 혼합하여 찜틀에 넣고 찐 후, 압출기로 압출시켜 상부면에 문양을 찍어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숙지황, 백작약과 당귀 및 천궁을 각각 1 : 1 : 1 : 0.5의 비율로 혼합한 후, 분말화 하여 사물절편 가루를 제조하는 사물가루 제조단계와, 상기 제조된 사물가루 3 ~ 7중량%와 쌀가루 75 ~ 85중량%와 물 7 ~ 8중량% 및 소금 7 ~ 8중량%를 혼합하는 재료 혼합단계와, 상기 혼합된 재료를 베보자기를 깐 알루미늄 찜틀에 넣은 다음 윗 면을 편편하게 하고 베보자기를 덮어 3 ~ 4㎏/㎤의 증기압으로 15 ~ 25분간 쪄서 설기를 제조하는 설기 제조단계와, 상기 제조된 설기를 베보자기에서 떼어내고 기계로 잘 친후 압출기로 압출시켜 가래떡 모양으로 말은 후 손으로 밀어 상부면에 문양을 찍어내는 완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절편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사물가루가 첨가된 절편은 사물가루와 쌀가루와 물 및 소금으로 구성된다.
상기 사물가루는 숙지황과 백작약과 당귀 및 천궁을 각각 1 : 1 : 1 : 0.5의 비율로 혼합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사물가루의 네가지 재료는 사물탕의 재료가 되는 것으로, 주지된 바와 같이 숙지황은 사물탕(四物湯)의 주요 약재이며 각종 만성병 중 몸이 허약하여 나타나는 내열(內熱), 인후건조(咽喉乾燥), 갈증 등의 증상에 쓰인다.
상기 사물탕은 여성의 출산 후나 월경 등으로 인한 과다출혈, 허약, 어지럼증 등에 널리 쓰인다. 예로부터 허담(虛痰)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어 차로 달여 마셨으며, 기침과 천식에 복령(茯笭)·반하(半夏) 등과 배합하여 사용하였다.
이밖에도 돼지고기를 삶은 국물과 함께 복용하면 습관성 변비에 효과가 있으며, 영양분이 많고 기름기가 있어 장기간 복용하면 소화장애를 일으켜 설사·복창(腹脹) 등 부작용이 생긴다. 그러므로 입맛이 없고 소화가 안되며 설사를 하는 환자에게는 신중하게 사용해야 한다.
또한, 백작약은 강작약이라고도 하며, 깊은 산에서 자라고 뿌리는 굵고 육질이며 밑부분이 비늘 같은 잎으로 싸여 있다.
잎은 3∼4개가 어긋나고 3개씩 2번 갈라지고, 작은잎은 긴 타원형이거나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털이 없다.
또한, 꽃은 6월에 흰색으로 피고 지름 4∼5cm이며 원줄기 끝에 1개씩 달리며, 꽃받침조각은 달걀 모양이며 3개, 꽃잎은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고 5∼7개이고, 수술은 여러 개이며 3∼4개의 씨방이 있으며, 열매는 골돌과로서 벌어지면 안쪽이 붉고 덜 자란 붉은 종자와 성숙한 검은 종자가 나타난다.
잎의 뒷면에 털이 난 것을 털백작약(var.pilosa), 잎의 뒷면에 털이 나고 암술대가 길게 자라서 뒤로 말리며 꽃이 붉은색인 것을 산작약(P.obovata), 산작약 중에서 잎의 뒷면에 털이 없는 것을 민산작약(p.o.var.glabra)이라고 하며, 뿌리를 진통·진경·부인병에 사용한다.
또한, 상기 당귀는 굵은 뿌리에서 원줄기가 나오고 높이 80∼90cm이며 잎자루와 더불어 검은 자줏빛이 돌고 털이 없고, 뿌리잎은 잎자루가 길고 잎집이 있으며 1∼2회 세 개의 작은 잎으로 이루어진 겹잎이며, 갈래조각은 바소 모양으로 다시 3개로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짙은 녹색이다.
꽃은 8∼9월에 피고 흰색이며 복산형 꽃차례를 이루며, 소산경(小傘梗)은 30∼40개이며 작은 총포는 실처럼 가늘다.
열매는 9~10월에 익으며 편평하고 긴 타원형으로 뒷면에 가는 능선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좁은 날개가 있다. 유관(油管)은 능선 사이에 3∼4개, 합생면에 4개가 있으며, 진통 ·배농(排膿) ·지혈 ·강장작용이 있으므로 복통 ·종기 ·타박상 및 부인병에 이용하고 있다.
또한, 천궁은 약용 식물로 재배하며, 높이 30∼60cm이며 속이 비어 있고 가지가 다소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2회 3줄 깃꼴겹잎이며 갈래조각은 달걀 모양의 바소꼴이고 다소 깊은 톱니가 있으며, 뿌리잎과 밑부분의 잎은 긴 잎자루가 있고밑부분이 잎집으로 되어 줄기를 감싼다.
꽃은 8월에 피고 흰색이며 복산형 꽃차례를 이루고, 꽃잎은 5개로 안쪽으로 말리며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이다. 총포와 소총포는 각각 5∼6개이며 줄 모양이고, 열매는 열리지만 성숙하지 않으며, 땅 속에 있는 마디 사이는 길이 5∼10cm, 지름 3∼5cm의 덩어리처럼 생기고 강한 향기가 있다.
한방에서는 뿌리줄기를 진정 ·진통 ·강장에 효능이 있어 두통 ·빈혈증 ·부인병 등에 사용한다.
상기된 사물가루 5 중량%와 쌀 가루 80 중량%와 물 7.5 중량% 및 소금 7.5 중량%로 구성되고, 상기 재료를 혼합하여 찜틀에 넣고 찐 후, 압출기로 압출시켜 상부면에 문양을 찍어 내어 완성된다.
여기서 첨가된 도 1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절편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절편제조 방법은 사물가루 제조단계(S10)와, 혼합단계(S20), 설기 제조단계(S30), 완성단계(S40)로 구성된다.
상기 사물가루 제조단계(S10)는 숙지황과 백작약과 당귀 및 천궁을 각각 1 : 1 : 1 : 0.5의 비율로 혼합한 후, 분말화 하여 사물가루를 제조한다.
상기 혼합단계(S20)는 사물가루 제조단계(S10)에서 제조된 사물가루 5 중량%와 쌀가루 80 중량%와 물 7.5 중량% 및 소금 7.5 중량%를 혼합한다.
상기 설기 제조단계(S30)는 혼합단계(S20)에서 혼합된 재료를 베보자기를 깐 알루미늄 찜틀에 넣은 다음 윗 면을 편편하게 하고 베보자기를 덮어 3.6㎏/㎤의 증기압으로 20분간 쪄 설기를 제조한다.
상기 완성단계(S40)는 설기 제조단계(S30)에서 제조된 설기를 베보자기에서 떼어내고 기계로 잘 친후, 압출기로 압출시켜 가래떡 모양으로 말은 후 손으로 밀어 수레바퀴 문양을 찍어낸 다음 절단하여 사물가루가 첨가된 절편이 제조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절편을 실온 (20 ±5℃)에서 3일간 저장하면서 호기성 전세균의 생육양상을 조사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제조직후 절편의 호기성 전세균의 오염정도는 흰절편이 2.0 ×10⁴CFU/g으로 초기에 높은 오염도를 보였다. 또한 사물가루가 첨가된 사물절편의 경우에는 약 6.2~7.5 ×10³CFU/g으로 흰절편에 비해 초기의 오염도는 낮게 나타났고, 특히 본 실험에서 제조된 흰절편과 사물절편은 쑥절편, 솔잎절편, 흰절편에 비해 초기 오염도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각 절편들을 실온 (20 ±5℃)저장시(표 2, 3) 효모의 생육양상을 보면 절편의 유통 가능한 기간을 3일로 정하여 실온에서 3일간 방치시 효모 수를 비교해 보았는데, 절편 제조직후 흰절편이 4.5 ×10⁴CFU/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사물절편의 경우 흰절편보다 낮게 나타났다.
한편 곰팡이는 흰절편과 사물절편 모두 앞의 호기성 전세균과 효모에 비해 다소 낮았으나 떡은 곰팡이 생육을 위한 좋은 영양원으로 실온 저장시 쉽게 변패가 일어날 수 있어 주의하여야 한다.
절편의 실온 (20 ±5℃)저장 중 대장균군의 생육양상을 조사한 결과는 표 4과 같다.
상기 대장균군은 식품위생지표 세균으로서 절편 제조직후 모든 시험군에서 10²~10³CFU/g범위의 오염도를 나타냈다.
저장기간 경과에 따른 대장균군의 생육양상은 앞의 호기성 전세균과 효모 및 곰팡이의 생육양상과 동일한 경향으로 모든 시험군에서 저장기간의 경과와 더불어 증식되어 저장 3일째는 10³~10⁴CFU/g범위를 나타내었다.
또한, 절편재료의 일반성분 함량은 표 5와 같다.
쌀가루의 일반성분은 수분 39.71%, 전당 53.75%, 조단백질 6.14%, 조지방 0.38%, 회분 0.73%로 나타났고, 사물절편은 한약재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수분함량은 감소하고, 전당과 조지방 및 회분의 증가 현상이 뚜렷하였으나, 조단백 함량은 큰 차이가 없었다.
상기 절편재료의 지방산 분석 결과는 표 6과 같이, 총포화지방산 함량(Total saturated fatty acid)과 총 불포화지방산(Total unsaturated fatty acid)함량은 한약재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또한, 상기 절편재료의 총 아미노산은 표 7과 같은데 각 재료의 총 아미노산 함량을 보면 4.1 ~ 4.3%범위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는데, 이는 앞의 일반성분에서 조단백질 함량의 변화가 없었던 것과 동일하였다. 각 원료의 아미노산 조성을 보면 총 16종의 아미노산이 분석되었고, 그 중 glutamic acid의 함량이 약 0.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외 arginine, aspartic acid, leucine등의 순으로 일반 쌀의 아미노산과 비슷한 조성을 나타내었다.
상기 절편재료는 약리적, 생화학적, 영양학적인 면에서 무기질을 다양하게 함유하고 있어 신체 구성 및 각 조직의 기능을 촉진시키는 활성물질로서 이용되어 있다.
표 7은 흰절편 및 사물절편 재료의 무기질 함량을 나타낸 것으로, 모든 시료의 주요 무기질 성분 중 그 함량은 Na>K>P>Ca>Zn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쌀가루 단독 시험군과 한약재 첨가군을 비교해 보면, Na은 쌀가루보다 한약재 첨가군에서 감소되었고, 무기질 중 K, P, Zn, Mn, Fe, Mg, Ca은 한약재의첨가량이 많을수록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Cu는 한약재를 첨가한 군에서 모두 0.1mg/100g을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이, 절편 제조시 인체에 유익하고, 제분화된 네가지의 약재를 곡물 제분과 혼합하여 맛과 영양이 탁월하도록 제조함으로써, 소비자가 쉽고 편리하게 구매하여 섭취하게 됨에 따라 소비자의 건강을 탁월하게 증진시켜, 전통적인 절편을 섭취하면서 자연스럽게 건강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여 세계적으로 절편을 수출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정부에서 장려하는 쌀소비 정책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숙지황과 백작약과 당귀 및 천궁을 각각 1 : 1 : 1 : 0.5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 사물가루 3 ~ 7중량%와 쌀 가루 75 ~ 85중량%와 물 7 ~ 8중량% 및 소금 7 ~ 8중량%를 혼합하여 찜틀에 넣고 찐 후, 압출기로 압출시켜 상부면에 문양을 찍어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가루가 첨가된 절편.
  2. 숙지황, 백작약과 당귀 및 천궁을 각각 1 : 1 : 1 : 0.5의 비율로 혼합한 후, 분말화 하여 사물절편 가루를 제조하는 사물가루 제조단계와;
    상기 제조된 사물가루 3 ~ 7중량%와 쌀가루 75 ~ 85중량%와 물 7 ~ 8중량% 및 소금 7 ~ 8중량%를 혼합하는 재료 혼합단계와;
    상기 혼합된 재료를 베보자기를 깐 알루미늄 찜틀에 넣은 다음 윗 면을 편편하게 하고 베보자기를 덮어 3 ~ 4㎏/㎤의 증기압으로 15 ~ 25분간 쪄서 설기를 제조하는 설기 제조단계와;
    상기 제조된 설기를 베보자기에서 떼어내고 기계로 잘 친후 압출기로 압출시켜 가래떡 모양으로 말은 후 손으로 밀어 상부면에 문양을 찍어내는 완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가루가 첨가된 절편 제조방법.
KR10-2002-0026508A 2002-05-14 2002-05-14 사물가루가 첨가된 절편 및 제조방법 KR100441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6508A KR100441666B1 (ko) 2002-05-14 2002-05-14 사물가루가 첨가된 절편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6508A KR100441666B1 (ko) 2002-05-14 2002-05-14 사물가루가 첨가된 절편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8680A KR20030088680A (ko) 2003-11-20
KR100441666B1 true KR100441666B1 (ko) 2004-07-27

Family

ID=32382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6508A KR100441666B1 (ko) 2002-05-14 2002-05-14 사물가루가 첨가된 절편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166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5590A (ko) * 1989-08-18 1991-03-30 더블유. 와이언 일반화된 비터비 디코우딩 방법
KR19980087887A (ko) * 1998-09-26 1998-12-05 이승업 건강 호떡
KR20010035323A (ko) * 2001-02-03 2001-05-07 김재경 홍삼액과 홍삼분말이 가미된 인삼정과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67704A (ko) * 2001-03-09 2001-07-13 지수옥 영양성분들의 그 기능성
KR20020030456A (ko) * 2000-10-17 2002-04-25 이숙미 한방영양떡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88480A (ko) * 2001-05-17 2002-11-29 임봉학 한방 호떡 및 그 제조 방법
KR20030025967A (ko) * 2001-09-24 2003-03-31 김상국 도토리,자연식물체(야생초)를 원료로 한 다색 무지개 떡뽁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5590A (ko) * 1989-08-18 1991-03-30 더블유. 와이언 일반화된 비터비 디코우딩 방법
KR19980087887A (ko) * 1998-09-26 1998-12-05 이승업 건강 호떡
KR20020030456A (ko) * 2000-10-17 2002-04-25 이숙미 한방영양떡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35323A (ko) * 2001-02-03 2001-05-07 김재경 홍삼액과 홍삼분말이 가미된 인삼정과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67704A (ko) * 2001-03-09 2001-07-13 지수옥 영양성분들의 그 기능성
KR20020088480A (ko) * 2001-05-17 2002-11-29 임봉학 한방 호떡 및 그 제조 방법
KR20030025967A (ko) * 2001-09-24 2003-03-31 김상국 도토리,자연식물체(야생초)를 원료로 한 다색 무지개 떡뽁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8680A (ko) 200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2075A (ko) 생약추출물을 첨가한 능이버섯 세갈비 양념소스를 이용한 양념갈비 및 그 제조방법
KR101658618B1 (ko) 연잎을 이용한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497382B1 (ko) 황태강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59228B1 (ko) 쑥부쟁이분말을 함유하는 쑥부쟁이 머핀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쑥부쟁이 머핀
KR101332567B1 (ko) 모싯잎 분말을 함유하는 호두과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99066B1 (ko) 황태탕수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823635A (zh) 黄花菜月饼及其制备方法
CN103689169B (zh) 一种鼓槌石斛花茶的制作方法
KR100441666B1 (ko) 사물가루가 첨가된 절편 및 제조방법
KR101877229B1 (ko) 아스파라거스 및 차조기잎 성분을 포함하는 떡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469932B1 (ko) 황태 곤드레나물 밥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06352A (ko) 기능성 국수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기능성 국수
KR20210008704A (ko) 애완동물용 다이어트 간식 및 그 제조방법
KR100391801B1 (ko) 홍화씨 분말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성 스낵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12762A (ko) 허브 발효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545561B1 (ko) 채소를 함유하는 기능성 미곡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050023891A (ko) 마늘 버터 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05520B1 (ko) 토복령, 감태나무 및 한련초를 함유하는 고추장
KR101277061B1 (ko) 발효 흑달래환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20460A (ko) 산채 만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01170B1 (ko) 오징어먹물국수
CN106490274A (zh) 一种苦麻菜文丁果叶混合保健茶
KR20170095706A (ko) 녹차가루, 더덕 및 더덕가루를 사용한 배추 백김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38944A (ko)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김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51684A (ko) 방풍을 이용한 돌산 갓 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갓 김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