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0419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0419B1
KR100440419B1 KR10-2002-0003155A KR20020003155A KR100440419B1 KR 100440419 B1 KR100440419 B1 KR 100440419B1 KR 20020003155 A KR20020003155 A KR 20020003155A KR 100440419 B1 KR100440419 B1 KR 100440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der
auxiliary door
door
opening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3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3115A (ko
Inventor
곤도오히데오
에비하라도오루
이시바시아쯔시
오오끼히로꼬
나까시마히로아끼
우루마신이찌
야게따유따까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20083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3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0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04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3Bott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4Refrigerators with a horizontal mull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2Geometry problems

Abstract

냉장고에 있어서, 냉장실문의 저장물의 출입이 용이하고, 냉장실 냉기의 유출 및 열누설을 저감할 수 있고, 개폐 방향을 좌우역의 공용화가 용이한 동시에, 포켓부의 수납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최상단을 냉장실(5)로 하는 다수단의 저장실을 가지는 냉장고에 있어서, 냉장실문(10)은, 냉장실(5) 전체를 개폐하는 주문(40)과, 주문(40)의 하부 중앙부에 좌우 대칭으로 설치한 보조 개구부(45)를 개폐하는 보조문(60)을 가지고 있고, 주문(40)은 보조 개구부(45)의 좌우 양측에 형성한 저장품을 얹어놓는 주문 포켓부를 가지고 있으며, 보조문(60)은 수평 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최상단의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문이 주문과 보조문으로 구성된 냉장고에 적합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냉장고로서는, 특개평10-9757호 공보(종래기술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최상단을 냉장실로 하는 다수단의 저장실을 가지는 냉장고 본체와, 저장실의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한 문을 구비한 냉장고로서, 냉장실문은, 냉장실의 전면 전체를 개폐하는 주문과, 주문에 설치한 보조 개구부를 개폐하는 보조문을 가지고 있고, 주문은, 좌우 수평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냉장실을 개폐하도록 측단부를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주문의 하반부 전체를 개구하는 개구부를 가지고 있고, 보조문은 주문의 개구부의 전면에 배치하여 주문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주문의 지지수단과 동일한 쪽의 측단부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또, 종래, 이러한 종류의 냉장고로서는, 의장등록 제612390호 공보(종래기술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최상단을 냉장실로 하는 다수단의 저장실을 가지는 냉장고 본체와, 저장실의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한 문을 구비한 냉장고로서, 냉장실문은, 냉장실의 전면 전체를 개폐하는 주문과, 주문에 설치한 보조 개구부를 개폐하는 보조문을 가지고, 주문은, 좌우 수평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냉장실을 개폐하도록 측단부를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주문의 중심에서 우측으로 상하전체에 걸쳐서 개구하는 가늘고 긴 세로형의 개구부와, 보조 개구부의 한 쪽에 형성한 저장품을 얹어놓는 주문 포켓부를 가지고 있고, 보조문은, 주문의 개구부내에 수납되어 주문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주문의 지지수단과 동일한 쪽의 측단부를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저장품을 얹어놓는 3단의 보조문 포켓부를 가지는 것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 1 및 2의 냉장고는, 보조문을 설치하지 않은 냉장고와 비교해서 문 개폐에 따른 냉장실 냉기의 유출을 저감하여 에너지 절약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보조문을 상하로 회전운동시키는 냉장고와 비교해서 저장물의 출입이 용이하고 사용 상황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 1에서는, 주문의 하반분 전체에 개구된 큰 보조 개구부를 개폐하는 보조문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보조문의 개폐시에 큰 보조 개구부로 유출되는 냉장실내의 냉기량에 대한 배려가 되어 있지 않았다. 또, 보조문의 크기에 따라, 주문과 보조문의 보조 개구 실부도 길어지고, 이 보조 개구 실부를 통한 열누설이나 에너지 손실에 대한 배려가 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주문의 하반분에는주문 포켓부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보조문 포켓부에만 냉장실문의 하반분의 포켓부를 형성함으로써, 그 포켓부의 수납성이 크게 제약되고, 냉장고문의 포켓부의 사용 상황이 양호하다고는 할 수 없었다.
그리고, 종래기술 2에서는, 주문의 우측에 상하전체에 개구된 가늘고 긴 세로형의 보조 개구부를 개폐하여 3단의 포켓부를 가지는 보조문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보조문의 상단의 포켓부에서의 저장물의 얹어놓음 또는 꺼냄이 높은 장소에서의 작업이 되어, 보조문의 사용 상황이 반드시 양호하다고는 할 수 없었다. 또, 냉장실문의 개폐방향을 좌우역으로 한 냉장고를 제작하는 경우에, 보조문의 위치 및 한쪽의 포켓부의 위치가 좌우역이 되는 동시에, 주문의 손잡이 부착에 보조문이 방해가 되는 등의 지장을 초래하고, 주문을 좌우역으로 하여 공용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서, 종래기술 1 및 2에서는, 주문 포켓부와 보조문 포켓부의 전후배치에 의한 수납용적의 증대, 보조문 포켓부의 유니버설화, 보조문의 개스킷에 있어서의 열누설의 더 한층의 저감, 보조문의 설치에 따른 의장의 향상, 및 보조문의 개폐에 따른 냉각방법 또는 경보방법 등에 관해서는, 충분하게 배려 또는 명시되어 있다고는 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조문을 수평 회전운동 및 적절한 높이로 하여 저장물의 출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보조문의 개폐시에 있어서의 냉장실 냉기의 유출 및 보조문과 주문의 보조 개구 실부에 있어서의 열누설을 저감할 수 있고,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보조문을 수평 회전운동 및 적절한 높이로 하여 저장물의 출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포켓부 전체의 수납 용적의 증대 또는 보조문 포켓부의 유니버설화에 의해 사용 상황이 더욱 양호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보조문을 수평 회전운동 및 적절한 높이로 하여 저장물의 출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보조문의 개폐시에 있어서의 냉장실내 냉기의 유출저감 및 보조문과 주문의 보조 개구 실부에 있어서의 열누설의 더 한층의 저감에 의해 더욱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제4 목적은, 보조문의 개폐시에 있어서의 냉장실내 냉기의 유출 및 보조문과 주문의 보조 개구 실부에 있어서의 열누설을 적게 하여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보조문의 설치에 의한 의장 또는 개폐 조작성이 양호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제5 목적은, 보조문의 개폐시에 있어서의 냉장실내 냉기의 유출 및 보조문과 주문의 보조 개구 실부에 있어서의 열누설을 적게 하여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꺼내기 쉬운 보조문의 높이 및 수평 회전운동에 의해 사용 상황이 양호하고, 냉장실의 냉각 성능을 양호하게 제어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최상단을 냉장실로 하는 다수단의 저장실을 가지는 냉장고 본체와, 저장실의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한 문을 구비한 냉장고로서, 냉장실의 전면에 설치된 문은, 냉장실의 전면 전체를 개폐하는 주문과, 주문의 일부에 설치된 보조 개구부를 개폐하는 보조문을 구비하고, 주문은, 수평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냉장실을 개폐하도록 측단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수단과, 주문의 전면부의 하방에 형성되고, 보조문을 수납하는 개구부와, 주문의 배면부에 설치된 다수단의 주문 포켓부를 구비하고, 보조문은, 수평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보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측단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수단과, 보조문의 배면부에 설치된 복수단의 보조문 포켓부를 구비하고, 주문의 배면부의 최하단에 설치된 주문 포켓부는, 보조문의 배면부의 최하단에 설치된 보조문 포켓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1 수납부와, 보조문의 배면부의 최하단에 설치된 보조문 포켓부의 측방에 위치하는 제2 수납부를 구비한 구성에 있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보조문 포켓부를, 보조문의 배면부의 최하단에 설치된 제1 보조문 포켓부와, 제1 보조문 포켓부의 상방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보조문 포켓부로 구성한 것에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특징은, 다수단의 주문 포켓부가, 주문의 배면부의 최하단에 설치된 제1 주문 포켓부를 가지고, 복수단의 보조문 포켓부가, 보조문의 배면부의 최하단에 설치되고, 제1 주문 포켓부와 전후열을 이루도록 설치된 제1 보조문 포켓부를 가지고, 제1 주문 포켓부와 제1 보조문 포켓부 사이에 소물 수납포켓을 설치한 구성에 있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4 특징은, 최상단을 냉장실로 하는 다수단의 저장실을 가지는 냉장고 본체와, 저장실의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한 문을 구비한 냉장고로서, 냉장실의 배면에 설치된 문은, 냉장실의 전면 전체를 개폐하는 동시에, 금속제 외판과 합성수지제 내판 사이에 단열재를 충전하여 형성된 주문과, 주문의 일부에 설치된 보조 개구부를 개폐하는 보조문을 구비하고, 주문은, 수평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냉장실을 개폐하도록 측단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수단과, 주문의 전면부의 하방에 형성되고, 보조문을 수납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개구부는, 금속제 외판과 합성수지제 내판 사이를 연결하는 동시에, 주문 단열재와 접착된 직사각형상의 합성수지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보조문은, 수평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보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측단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수단과, 보조문과 개구부 사이를 전주에 걸쳐서 밀봉하는 시일수단을 구비한 구성에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5 특징은, 최상단을 냉장실로 하는 다수단의 저장실을 가지는 냉장고 본체와, 저장실의 전면이 개폐가능하게 설치한 문을 구비한 냉장고로서, 냉장실의 전면에 설치된 문은, 냉장실의 전면 전체를 개폐하는 주문과, 주문의 일부에 설치된 보조 개구부를 개폐하는 보조문을 구비하고, 주문은, 그 전면부의 하방에 형성되고, 보조문을 수납하는 개구부와, 보조문에 근접하여 설치된 조작 패널부를 구비한 구성에 있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6 특징은, 최상단을 냉장실로 하는 다수단의 저장실을 가지는 냉장고 본체와, 저장실의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한 문을 구비한 냉장고로서, 저장실의 전면에 설치된 문은, 냉장실의 전면 전체를 개폐하는 주문과, 주문의 일부에 설치된 보조 개구부를 개폐하는 보조문을 구비하고, 주문은, 수평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냉장실을 개폐하도록 측단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수단과, 주문의 전면부의 하방에 위치하고, 또한 주문의 하단부까지 연장하여 형성된 개구부를 구비하고, 보조문은, 그 하단부가 주문의 하단부까지 연장하여 형성되고, 또한 수평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보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개구부내에서 측단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수단을 구비한 구성에 있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7 특징은, 냉장실의 하단에 배치된 저장실의 전면에 설치된 문의 전면 상단부에, 보조문의 가로폭에 대응한 가로폭을 가지는 손잡이를 설치한 구성에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8 특징은, 최상단을 냉장실로 하는 다수단의 저장실을 가지는 냉장고 본체와, 저장실의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한 문과, 냉장실을 냉각시키기 위한 증발기, 응축기, 감압장치 및 압축기를 가지는 냉동사이클과, 증발기로부터의 냉기를 냉장실에 공급하는 증발기팬과, 냉장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는 냉장실팬과, 냉장실팬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냉장고로서, 냉장실의 전면에 설치된 문은, 냉장실의 전면 전체를 개폐하는 주문과, 주문의 일부에 설치된 보조 개구부를 개폐하는 보조문과, 보조문의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보조문 개폐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제어장치는, 보조문 개폐 검출수단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냉장실팬을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한 구성에 있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9 특징은, 최상단을 냉장실로 하는 다수단의 저장실을 가지는 냉장고 본체와, 저장실의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한 문과, 경보장치를 구비한 냉장고로서, 냉장실의 전면에 설치된 문은, 냉장실의 전면 전체를 개폐하는 주문과, 주문의 일부에 설치한 보조 개구부를 개폐하는 보조문을 가지고 있고, 경보장치는, 주문의 장시간 개방을 경보하는 수단과, 보조문의 장시간 개방을 경보하는 수단을 구비한 구성에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종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냉장실문의 배면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냉장실문의 중앙부 종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냉장실문의 저장물 수납상태의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보조문의 배면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보조문 포켓부의 착탈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소물 수납포켓을 설명하는 도면.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냉장실문의 종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냉장실문의 조립 설명도.
도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냉장실문의 보조문 개방상태의 사시도.
도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패널부의 정면도.
도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패널부의 구체적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주문 포켓부의 외관도.
도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냉장실문의 보조문 개방상태의 사시도.
도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냉장실문의 횡단면도.
도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보조문의 배면도.
도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보조문(60)의 단면도.
도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보조문의 핸들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보조문의 핸들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보조문의 핸들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보조문의 핸들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냉장고 본체
2: 외하우징
3: 내하우징
4: 단열재
5: 냉장실
6: 야채실
7: 전환실
8: 냉동실
9: 제빙실
10: 개폐문
11 내지 14: 서랍문
15: 단열 칸막이벽
16, 18: 증발기
17, 19: 증발기팬
20: 압축기
23: 선반
25: 통풍 덕트
26: 냉장실팬
40: 주문
41: 주문 손잡이
42: 조작 패널부
43: 개구부
43a: 개구 오목단부
43b: 상부 핀받침부
44: 주문 포켓부
45: 보조 개구부
46: 주문 외판
47: 주문 내판
48: 주문 단열재
49: 보강재
51: 제1 주문 포켓부
52: 제2 주문 포켓부
53: 제3 주문 포켓부
54: 제4 주문 포켓부
55: 제1 보조문 포켓부
56: 제2 보조문 포켓부
57: 소물 수납포켓
60: 보조문
61: 가로가 긴 핸들부
62: 보조문 포켓부
63: 포켓 수납 오목부
64: 지지구
65: 상부 지지핀
66: 하부 핀받침부
67: 하부 힌지
68: 삽입 볼록단부
69: 보조문 개스킷
70: 보조문 개폐 검출장치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해서 도1 내지 도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전체구조를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냉장고의 종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도이고, 도3(a)가 정면도, 도3(b)가 일부 생략한 측면도이다.
도1에 있어서, 냉장고 본체(1)는, 외하우징(2)과 내하우징(3)과 이들 사이에 충전된 단열재(4)에 의해 형성된 하우징형의 형상을 구비하고, 물품을 수납하여 저장 가능한 저장실을 다수단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들 다수단의 저장실을 위에서부터, 냉장실(5), 야채실(6), 전환실(7), 냉동실(8)의 순으로 배치하고, 전환실(7)과 인접하여 제빙실(9)(도3 참조)을 배치하고 있다. 이들 다수단의 저장실은, 그 전면측에 각각의 저장실을 개폐하는 저장실문이 배치되어 있고, 냉장실(5)의 전면에는 냉장실문(10), 야채실(6)의 전면에는 야채실문(11), 전환실(7)의 전면에는 전환실문(12), 냉동실(8)의 전면에는 냉동실문(13), 제빙실(9)의 전면에는 제빙실문(14)(도3 참조)이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냉장실문(10)은 개폐문, 야채실문(11), 전환실문(12), 냉동실문(13), 제빙실문(14)은 각각 서랍문으로 되어 있다. 야채실문(11), 전환실문(12), 냉동실문(13), 제빙실문(14)은, 레일 등에 의해 꺼내기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각 서랍문(11 내지 14)에는,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면 상단부에 좌우로 연장되는 손잡이(11a, 12a, 13a, 14a)가 설치되어 있다.
냉장실문(10)은, 그 배면에 식품 등의 저장물을 수납(얹어놓음)하는 다수단의 포켓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냉장고의 좌우의 적어도 어느 측단부에 설치된 지지부(제1 지지부(1a))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개폐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부(1a)가 우측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냉장실(5)의 전면에는 우측 개방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개폐가능한 냉장실문(10)이 배치되어 있다. 또, 냉장실문(10)은, 냉장실(5)의 전면 전체를 개폐하는 주문(40)과, 이 주문(40)의 일부에 설치한 보조 개구부(45)를 개폐하는 보조문(60)을 구비하고, 보조 개구부(45)는, 보조문(60)의 배면부(60a)가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주문(40) 및 보조문(60)은, 각각의 배면부(40a, 60a)에 설치된 식품 등의 저장물을 수납(얹어놓음)하는 다수단의 주문 포켓부 및 복수단의 보조문 포켓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냉장실문(10)의 배면부에는, 주문 포켓부와 보조문 포켓부 사이의 틈에 설치된 소물 수납포켓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다수단의 주문 포켓부 및 복수단의 보조문 포켓부, 소물 수납포켓부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도2 및 도3에 있어서, 주문(40)은, 수평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냉장실(5)을 개폐하도록 측단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1a)와, 제1 지지부(1a)와 대향하는 쪽에 설치된 주문 손잡이(41)와, 냉장고의 운전상태 표시나 각종 운전모드의 설정 등을 하는 조작 패널부(42)와, 주문(40)의 하방에 위치하고, 주문(40)의 하단까지 연장하여 형성된 개구부(43)를 구비하고 있고, 이 개구부(43)에 보조문(60)과 조작 패널부(42)가 서로 인접하게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개구부(43)가 주문(40)의 정면 하방 중앙부에, 냉장고의 높이 방향의 중앙에 대해서 좌우대칭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그 크기를, 높이 및 폭이 주문(40)의 약 절반, 면적이 주문(40)의 약 1/4이 되도록 형성되고, 이 개구부(43)에 조작 패널부(42)가 보조문(60)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수납되어 있다.
개구부(43)에 수납된 보조문(60)은, 수평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보조 개구부(45)(도1 참조)를 개폐하도록 그 측단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도시 생략)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지지부(1a)와 동일한 쪽의 측단부에서 지지되어 있으며, 보조문(60)이 우측 개방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개폐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문(40)의 정면 하방 중앙부에 좌우 대칭의 개구부(43)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냉장실문(10)의 개폐방향, 예를 들면, 냉장실문(10)의 개방 방법을 좌우역으로 한 냉장고를 제작하는 경우에, 좌우역의 주문의 공용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값싸게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예를 들면, 주문(40)의 우측 개방, 보조문(60)이 좌측 개방으로 한, 주문(40)과 보조문(60) 개폐 방향이 다른 냉장고를 제작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개구부(43)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냉장고 본체의 의장성을 손상하지 않고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 구조에 관해서,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냉장고는, 주문(40)과보조문(60)을 구비한 냉장실문(10)이 냉장고의 최상단에 배치되어 있다. 보조문(60)은, 주문(40)의 정면 하방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고, 조작 패널부(42)와 함께 개구부(43)에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보조문(60)의 하단부에는, 보조문(60)의 개폐를 하는 가로로 긴 핸들부(61)가 형성되고, 이 가로로 긴 핸들부(61)에 손을 걸쳐서 보조문(60)을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냉장고가 설치되는 바닥면에서 최상단에 배치된 냉장실문(10)의 상단부까지의 높이를 H1, 바닥면에서 조작 패널부(42)의 상단부까지의 높이를 H2, 바닥면에서 보조문(60)의 상단부까지의 높이를 H3, 냉장실문(10)의 높이를 H4, 냉장실문(10)의 하단부에서 조작 패널부(42)의 상단부까지의 높이를 H5, 냉장실문(10)의 하단부에서 보조문(60)의 상단부까지의 높이를 H6, 냉장고의 가로폭 치수를 W, 안 깊이를 D로 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H1을 1792mm, H2를 1443mm, H3을 1371mm, H4를 797mm, H5를 448mm, H6을 376mm, W를 600mm, D를 685mm로 설정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외관 구조로 함으로써, 주문(40)의 정면 하방 중앙부에 배치된 보조문(60)의 높이가, 주문(40)의 약 절반의 높이가 되기 때문에, 보조문(60)의 개폐 조작이 쉽고, 저장물의 출입이 쉬운 적절한 높이에 보조문(60)이 배치되게 되고, 보조문(60)의 개폐에 따른 저장물의 출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보조문(60)은, 주문(40)의 하부 중앙부에 설치되게 되기 때문에, 개구부(43)가 적절한 크기가 되고, 보조문(60)의 개폐시에 있어서의 냉장실 냉기의 유출 및 보조문(60)과 주문(40)의 보조 개구 실부에 있어서의 열누설을 저감시킬 수 있다.이에 따라, 사용 상황이 양호하고,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조작 패널부(42)가 보조문(60)에 인접하고, 또한 사용자의 시선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냉장고의 운전상태 등의 표시 내용이 보기 쉽고, 조작버튼을 조작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각 부의 치수는 일 실시 형태이고,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각 부의 치수는, H1을 1650mm ≤H1≤1800mm, H2를 1300mm ≤H2 ≤1650mm, H3을 1300mm ≤H3 ≤1550mm, H4를 650mm ≤H4 ≤800mm, H5를 300mm≤H5 ≤650mm, H6을 300mm ≤H6 ≤550mm, W를 530mm ≤W ≤800mm, D를 550mm ≤D ≤700mm의 범위에서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냉장고 본체의 수납용량 등의 변화에 대응하여, 냉장고 전체의 크기를 변경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보조문(60)이나 조작 패널부(42)가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야채실문(11)의 손잡이(11a)를 보조문(60)의 폭과 거의 동일한 폭으로 형성하고, 하방에서 손을 걸쳐서 야채실문(11)을 꺼내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보조문(60)을 주문(40)의 하단부까지 연장함으로써, 보조문(60)의 설치에 따른 의장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특히, 야채실문(11)의 상단부에 설치된 손잡이(11a)의 폭이 보조문(60)의 폭과 거의 동일하게 한 것과 어울려 의장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핸들부(61)는, 야채실문(11)의 손잡이(11a)와 동일한 방향에서 손을 걸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조작을 쉽게 알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로로 긴 핸들부(61)에 손을 걸쳐서 보조문(60)을 개폐하도록 하고 있으나, 가로로 긴 핸들부(61)에 래치기구를 설치하고, 래치기구에 손을 걸침으로써, 보조문(60)을 개폐하도록 해도 좋다.
다음에, 도1로 되돌아가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기구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1에 있어서, 야채실(6)의 후방에는, 증발기(16), 증발기팬(17)이 배치되어 있다. 또, 전환실(7) 및 냉동실(8)의 후방에는, 증발기(18), 증발기팬(19)가 배치되어 있다. 증발기(16, 18)는, 압축기(20)나 도시하지 않은 응축기, 감압 장치 등과 함께 냉동사이클을 구성한다. 또, 야채실(6)과 전환실(7), 제빙실(9) 사이는, 양 실 사이의 열의 전달을 저감시키기 위해서, 단열재를 가지는 단열 칸막이벽(15)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냉장고에 있어서의 냉동사이클은, 증발기(16)의 상방에 배치된 증발기팬(17)이 구동함으로써 증발기(16)에서 냉기가 냉장실(5)로 공급된다. 또, 증발기(18)의 상방에 배치된 증발기팬(19)이 구동함으로써 증발기(18)에서 냉기가 전환실(7), 냉동실(8) 및 제빙실(9)로 공급된다.
증발기(16)에서 냉기는, 냉장실(5)의 배면측을 내하우징(3)의 벽면을 따라서 상승하도록 냉기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냉기통로는, 냉장실(5)의 후방에서 복수의 통로로 분기되어 있다. 이 분기된 냉기통로는, 냉장실(5)의 배면 양측부에 상하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다.
냉장실(5)내에는, 고 내를 상하로 구획하는 복수의 선반(23)이 배치되고, 복수의 선반(23)은, 냉장실(5)내에서 상하로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 구획된 공간은, 다수단의 포켓부와 복수의 선반(23) 사이에 형성되는 틈에 의해 상하로 연이어 통하고 있다. 복수의 선반(23)에 의해 형성된 각 공간과 분기한 냉기통로를 연이어 통하여, 냉기가 냉장실(5)을 향해 유출되는 냉기 토출구(도시 생략)가 냉장실 배면의 상하에 복수 형성되어 있다.
냉기통로 사이에 위치하는 냉장실(5)의 배면 중앙부에는, 세로로 긴 원통형의 통풍 덕트(25)와, 이 통풍 덕트(25)에 냉장실(5)의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장실팬(26)이 배치되어 있다. 통풍 덕트(25)는 냉장실(5)의 배면 중앙부에 고정되어 배치되고, 냉장실팬(26)은 그 하방에 배치되고, 이들이 냉장실(5)의 배면 중앙부에 상하로 연재하여 설치되어 있다.
냉장실팬(26)은, 그 좌우 양측에 설치된 냉장실(5)의 배면 흡입구(도시 생략)로 냉장실(5)의 공기를 흡입하여, 통풍 덕트(25)에 공급한다. 이 통풍 덕트(25)는, 내측을 냉기가 흐르는 중공으로 되어 있고, 냉장실(5)의 각 선반(23)으로 구획된 공간의 상부에 대응한 위치에 복수열의 덕트 토출구(도시 생략)가 상하로 복수단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통풍 덕트(25)에 공급된 냉기가 이 덕트 토출구로 냉장실(5)내로 토출된다. 이 토출 속도는, 냉기 토출구로부터의 냉기의 토출 속도보다도 커지도록(본 실시예에서는 20배 정도 커지도록), 통풍 덕트(25), 냉장실팬(26) 및 그 밖의 구성이 설정되어 있다. 냉장실(5)내의 각 선반(23)으로 구획된 공간으로 보내진 냉기는, 냉장실(5)의 전방으로 흐르고, 각 선반(23)의 전단부를 지나면, 다수단의 포켓부를 냉각시키고, 각 선반(23)과 다수단의 포켓부의틈으로 하강한다. 하강한 냉기는, 배면 흡입구로 냉장실팬(26)에 흡입된다. 이와 같이, 냉장실팬(26) 및 통풍 덕트(25)는, 냉장실(5)내의 냉기를 순환시키는 수단이다. 이 냉장실팬(26) 및 통풍 덕트(25)에 의한 냉장실(5)의 냉기의 통풍로는, 상기 증발기(16)를 통하지 않고, 증발기(16)와는 독립되어 있다.
증발기(16)에서 공급되는 냉기는, 냉기 토출구에서 냉장실(5)내로 토출되고, 일부가 냉장실팬(26) 및 통풍 덕트(25)를 통해서 냉장실(5)내를 순환하는데, 남는 냉기의 일부가 냉장실(5)의 하방에 형성되어 야채실(6)로 유입된다. 야채실(6)에 유입된 냉기는, 야채실(6)내를 냉각시킨 후에, 증발기(16)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냉장고내의 냉기는, 증발기(16)에 의해 냉각된 냉기가 증발기팬(17)의 회전에 의해 냉장실(5) 혹은 야채실(6)을 통해 증발기실(18)로 되돌아가는 순환의 경로와, 냉장실내의 냉기가 냉장실팬(26)에 의해 흡입되어 통풍 덕트(25)를 통과하여 냉기 토출구(28)에서 냉장실(5)로 유출되어 재차 냉장실팬(26)에 유입되는 순환의 경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냉장실팬(26)의 유입통로에는, 이 통로를 흐르는 냉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수단인 냉장실 온도센서(도시 생략)가 배치되어 있다. 또, 도시하지 않은 제어장치는, 냉장실 온도센서가 검출한 온도에 기초하여 냉장실(5)내의 온도를 판정하고, 냉장실팬(26) 및 증발기팬(17)의 구동이나, 덤퍼플랩에 의한 냉기의 흐름의 조절이나, 냉동사이클의 운전 등의 제어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풍 덕트(25)가 냉장실(5)의 배면 중앙부에 고정되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통풍 덕트(25)에 도시하지 않은 모터 등의 구동수단을 설치하고, 이 구동수단에 의해 통풍 덕트(25)를 구동시키도록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통풍 덕트(25)의 상방에 모터를 배치하고, 상하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통풍 덕트(25)를 상하방향의 축을 따라 회전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통풍 덕트(25)에 형성된 덕트 토출구의 방향을 바꿔, 냉장실(5)에 토출되는 냉기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다음에, 도4 내지 도9를 참조하여 냉장실문(10)의 배면에 설치된 포켓부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냉장실문의 배면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냉장실문의 중앙부 종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냉장실문의 저장물 수납상태의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보조문의 배면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보조문 포켓부의 착탈 구조를 도시하는 도, 도9는 소물 수납포켓을 설명하는 도이고, (a)는 소물 수납포켓의 사시도, (b)는 소물 수납포켓의 개방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4에 있어서, 주문(40)과 보조문(60)을 구비한 냉장실문(10)의 배면부(10a)에는, 투명재료(투광성 소재)로 형성된 다수단의 포켓부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들 다수단의 포켓부는, 주문(40)의 배면부(40a)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다수단의 주문 포켓부와, 보조문(60)의 배면부(60a)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단의 보조문 포켓부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단의 포켓부로서, 주문(40)의 배면부(40a)의 최하단에 배치된 제1 주문 포켓부(51)와, 제1주문 포켓부(51)의 상방에 배치된 제2 주문 포켓부(52)와, 제2 주문 포켓부(52)의 상방에 배치된 제3 주문 포켓부(53)와, 제3 주문 포켓부(53)의 상방에 배치된 제4주문 포켓부(54)와, 보조문(60)의 배면부(60a)의 최하단에 배치된 제1 보조문 포켓부(55)와, 제1 보조문 포켓부(55)의 상방에 배치된 제2 보조문 포켓부(56)로 구성되고, 제1 주문 포켓부(51)와 제1 보조문 포켓부(55) 사이에 형성되는 틈에는 소물 수납포켓(57)이 설치되어 있다.
제1 주문 포켓부(51)는, 포켓부(51a)와 이 포켓부(51a)의 중앙부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은 수납부재로 구성되고, 이 수납부재에 소물 수납포켓(57)이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또, 제1 주문 포켓부(51)는, 다른 주문 포켓부(52, 53, 54)보다도 크게 형성되는 동시에, 보조 개구부(45)에 대향해서 설치되어 있다.
이 제1 주문 포켓부(51)는, 제1 보조문 포켓부(55)에 대해서, 전후열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동시에, 제1 주문 포켓부(51)의 일부가 제1 보조문 포켓부(55)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주문 포켓부(51)는, 칸막이벽(44c)과 소물 수납포켓(57)의 배면벽에 의해, 제1 저장품 수납부(44a)와, 제2 저장품 수납부(44b)로 이루어지는 전후 2열의 저장품 수납부가 형성되고, 제1 저장품 수납부(44a)가 제1 보조문 포켓부(55)에 대해서 후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제2 저장품 수납부(44b)가 제1 보조문 포켓부(55)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칸막이벽(44c, 44d)은, 제1 보조문 포켓부(55)의 경계측에 저면에서 소정 높이까지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고, 이 칸막이벽(44c, 44d)에 의해, 보조문(60)을 개방했을 때에 저장실 냉기의 누설 저감을 도모하고 있다. 또, 제1 주문 포켓부(51)는, 주문(40)의 배면부(40a)의 거의 전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고,그 저면을 포함하여 후방으로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주문 포켓부(51)는, 제1 보조문 포켓부(55)에 대해서 전후열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동시에, 좌우 양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주문 포켓부(51) 전체의 포켓 수납용적을 증대할 수 있고, 주문(40)의 사용 상황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제1 주문 포켓부(51)는, 그 저면을 포함하여 후방으로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식품용기를 수납하면, 그 식품용기는 후방으로 경사져서 수납되게 되고, 높이가 높은 병(81)(도5 참조) 등의 꺼냄이나 수납의 경우에는 상단에 배치된 주문 포켓부, 예를 들면, 제2 주문 포켓부(52)를 회피하여 꺼내거나 수납을 할 수 있다. 또한, 제1 저장품 수납부(44a)는, 주문(40)의 배면의 거의 전폭에 걸쳐서 형성되게 되기 때문에, 제1 저장품 수납부(44a)에 다량의 저장물을 수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저장품 수납부(44a)의 전방에 형성되고, 제1 보조문 포켓부(55)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제2 저장품 수납부(44b)의 하나의 크기를, 높이 치수 310mm, 폭 치수 105mm, 안 깊이 치수 105mm에 설정되어 있고, 또한, 제2 저장품 수납부(44b)는, 그 저면을 포함해서 후방으로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2 저장품 수납부(44b)를 형성함으로써, 예를 들면, 도6에서 도시하는 식품용기(82)와 같은 특별히 큰 식품용기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용적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문(60)을 설치하더라도, 큰 식품용기(82)을 수납 할 수 있는 저장품 수납부(44b)를 2개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냉장실(5)의 사용 상황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제2 저장품 수납부(44b)가, 그 저면을 포함해서 후방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수납이나 꺼낼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방에 배치된 주문 포켓부 등을 회피하여 꺼내거나 수납을 할 수 있다.
다음에, 도7을 참조하여, 보조문(60)의 배면에 형성된 복수단의 보조문 포켓부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7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복수단의 보조문 포켓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보조문(60)의 배면부(60a)의 최하단에 배치된 제1 보조문 포켓부(55)와, 제1 보조문 포켓부(55)의 상방에 배치된 제2 보조문 포켓부(56)로 구성되고, 제2 보조문 포켓부(56)는, 보조문(60)의 배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 보조문 포켓부(55)는, 제1 주문 포켓부(51)에 대해서 전후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도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주문 포켓부(51)의 전방 중앙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도7로 되돌아가서, 제1 보조문 포켓부(55)는, 보조문(60)의 배면의 거의 가로폭 가득 형성되고, 보조문(60)의 회전운동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지지부를 지점으로 하는 원호형 또는 경사진 벽면(62b)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이 제1 보조문 포켓부(55)가 높이 치수 265mm, 폭 치수 78mm의 간장병 등의 원통형의 용기(83)(도5 참조)나 1리터의 우유팩 등을, 합해서 3개까지 수납할 수 있는 수납 용적을 가지고 있다.
이상과 같이, 제1 보조문 포켓부(55)의 수납 용적을 확보함으로써, 보조문(60)의 이용범위가 확대되고, 사용 상황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하단에 배치된 제1 보조문 포켓부(55)는, 그 내부에 수직인 수납부(62a)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간장병(83)(도5 참조) 등의 무거운 물건을 수납하더라도 안정되게 얹어놓을 수 있고, 보조문(60)의 개폐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보조문(60)의 배면부(60a)에서 제1 보조문 포켓부(55)를 떼어내고, 제1 보조문 포켓부(55)에 대신해서 주문 포켓부의 구성부품, 예를 들면, 계란 지지구를 보조문(60)의 배면부(60a)에 부착되도록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사용상태에 맞춰서 보조문(60)의 배면에 배치된 복수단의 보조문 포켓부의 레이아웃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보조문 포켓부의 유니버설화를 도모할 수 있고, 더욱 사용 상황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다음에, 도8을 참조하여, 제2 보조문 포켓부(55)의 착탈 구조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8에 있어서, 제1 보조문 포켓부(55)의 상방에 배치된 제2 보조문 포켓부(56)는, 조미료 등이 든 작은 병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용적을 가지고, 보조문(60)의 배면부(60a)에 형성된 부착 오목부(86) 및 부착 홈부(87)에 의해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보조문 포켓부(56)의 상단부 후방에 형성된 갈고리부(88)를, 부착 오목부(86)에 맞춰서 하방향(제1 보조문 포켓부(55)의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서, 갈고리부(88)를 부착 홈부(87)와 끼워맞춤시킴으로써, 제2 보조문 포켓부(56)를 보조문(60)의 배면벽에 부착하도록 되어 있다. 또, 보조문(60)의 배면벽으로 제2 보조문 포켓부(56)를 떼어낼 경우는, 제2 보조문 포켓부(56)를 손으로 잡고, 들어올리도록 하는 것으로, 갈고리부(88)와 부착 홈부(87)의 끼워맞춤을 벗기고, 제2 보조문 포켓부(56)를 부착 오목부(86)를 따라 보조문(60)의 상방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보조문(60)의 배면벽에서 떼어내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조문(60)의 사용상태에 맞춰서, 제2 보조문 포켓부(56)를 착탈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조문(60)의 사용 상황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도9를 참조하여, 소물 수납포켓(57)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9의 (a)에 있어서, 소물 수납포켓(57)은, 측면 형상이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고, 제1 주문 포켓부(51)과 제1 보조문 포켓부(55) 사이에 형성된 틈에서, 제1 보조문 포켓부(55)의 하방에 걸쳐서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도6 참조). 소물 수납포켓(57)은, 제1 주문 포켓부(51)와 제1 보조문 포켓부(55) 사이에 형성된 틈에 위치하고, 대략 직사각형으로 개구된 제1 소물 수납부(57a)와, 제1 보조문 포켓부(55)의 하방에 위치하는 제2 소물 수납부(57b)를 구비하고, 각각 소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 소물 수납부(57a) 및 제2 소물 수납부(57b)에 있어서의 식품의 수납은, 주문(40)이나 보조문(60)을 여는 것에 의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제1 소물 수납부(57a)는, 주문(40) 혹은 보조문(60)을 여는 것에 의해 개방되고, 소물의 꺼냄이나 수납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제2 소물 수납부(57b)는, 도9의 (b)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조문(60)을 여는 것에 의해 개방되고, 소물의 꺼냄이나 수납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제1 소물 수납부(57a)에는 튜브에 든 식품, 제2 소물 수납부(57b)에는 간장 등이 든 소팩 식품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소물 수납부(57)를 설치함으로써, 소물 식품을 정리하여 수납할 수있고, 냉장실(5)의 수납공간을 효율좋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소물 수납포켓(57)에 튜브에 든 식품이나 소팩 식품 등을 수납하는 것은 일 실시 형태이고,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소물 수납포켓(57)의 수납용량의 범위이면, 튜브에 든 식품이나 소팩 식품 이외의 식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도10 및 도11을 참조하여, 보조문(60)의 지지구조 및 조립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냉장실문의 횡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냉장실문의 조립 설명도이다. 또한, 도11에 있어서는 조작 패널부(42) 등을 생략하고 있다.
도10에 있어서, 주문(40)은 금속제의 주문 외판(46)과 합성수지제 주문 내판(47) 사이에 우레탄폼 단열재인 주문 단열재(48)를 충전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개구부(43)는, 주문 외판(46)과 주문 내판(47)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주문 단열재(48)에 접착된 ロ자형의 합성수지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43)의 하변부는, 주문(40)의 하단과 일치하도록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보강재(49)는, 금속제 부재로 제작되고, 개구부(43)의 하면 및 그 양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개구부(43) 및 주문(40)의 하면에 나사 등으로 고정되어 부착되어 있다. 이들과 같이 구성됨으로써, 개구부(43)는 강도가 강한 것으로 되어 있다.
도11에 있어서, 개구부(43)는, 전주에 걸쳐서 개구 오목단부(43a)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 오목단부(43a)내에서 보조문(60)이 제2 지지부를 통해, 수평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개폐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한, 보조문(60)은, 개구 오목단부(43a)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측단부 하면이 주문(40)의 하면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보조문(60)을 개구 오목단부(43a)내에서 지지하는 제2 지지부는, 보조문(60)의 측단부 상면에 형성된 상부 지지핀(65)과, 개구부(43)의 상변부에 형성되고, 상부 지지핀(65)을 지지하는 상부 핀받침부(43b)와, 보조문(60)의 측단부 하면에 형성된 하부 핀받침부(66)와, 보조문(60)의 측단부 하면을 지지하는 하부 힌지부(67)로 구성되고, 하부 힌지부(67)는 핀부(67a)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2 지지부는, 상부 지지핀(65)과 상부 핀받침부(43b)를 끼워맞춤시킨 상태에서, 보조문(60)을 개구 오목단부(43a)내에 수납하는 것으로, 보조문(60)의 측단부 상면을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제2 지지부는, 상부 지지핀(67)과 상부 핀받침부(43b)을 끼워맞춤시키고, 보조문(60)의 개구 오목단부(43a)내에 수납한 상태에서, 하부 핀받침부(66)와 핀부(67a)를 끼워맞춤시킴으로써, 보조문(60)의 측단부 하면을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하부 힌지부(67)가 보조문(60)의 측단부 하면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하부 힌지부(67)를, 나사(67b)에 의해 보강재(49)에 고정하는것으로, 보조문(60)이 수평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개폐하도록, 개구 오목단부(43a)내에서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하부 힌지부(67)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보조문(60)의 강도를 강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부핀받침부(43b)와 하부 핀받침부(66)의 축심은 일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도12를 참조하여, 주문(40)에 대한 보조문(60)의 시일 및 걸어붙임에 관해 설명한다. 도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냉장실문의 보조문 개방상태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12에 있어서는 손잡이 등을 생략하고 있다.
도12에 있어서, 보조문(60)은, 개구부(43)의 내측면의 개구 오목단부(43a)의 형상에 합치한 외측면 형상의 삽입 오목단부(68)를 가지고 있고, 개구부(43)의 내측면 안에 약간의 틈을 가지고 수납된다. 이와 같이, 주문(40)과 보조문(60)은, 개구 오목단부(43a)와 삽입 볼록단부(68)의 헐겁게 맞춤이 되기 때문에, 라비린스시일 효과에 의해 열누설이 적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보조문 개스킷(69)은, 무자석식 개스킷이고, 보조문 개스킷(69)의 각부에 전주에 걸쳐서 설치되고, 개구 오목단부(43a)의 각부에 맞닿는다. 그리고, 보조문(60)은, 도시하지 않은 래칫기구를 통해 개폐하도록 되어 있고, 폐쇄시에 주문(40)에 대해서 래칫기구에 의해 누름력이 가해진다. 따라서, 보조문 개스킷(69)에 무자석식 개스킷을 이용하더라도 확실한 시일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동시에, 자석을 통한 열누설을 없애서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보조문 개스킷(69)을 개구 오목단부(43a)의 각부에 맞닿게 하고 있기 때문에, 개구 오목단부(43a)의 2면에 걸치도록 접촉하게 되어, 그 시일효과를 더욱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다음에, 도13 및 도14를 참조하여, 조작 패널부(42)의 구조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패널부의 정면도, 도14는 조작패널부의 배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13에 있어서, 조작 패널부(42)는, 냉장고의 각종 운전모드 등을 설정하는 복수의 조작버튼과, 냉장고의 운전상태나 각종 운전모드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42a)와, 이들이 배치되는 베이스부재(42e)로 구성되어 있다. 또, 표시부(42a)는 액정 패널로 형성되어 있고, 그 주위가 트랙형으로 둘러싸여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조작버튼의 일례로서, 도13(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3개의 조작 버튼(42b, 42c, 42d)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조작 버튼(42b, 42c, 42d)을 조작함으로써, 냉장고의 각종 운전모드, 예를 들면, 급속 냉각 운전이나, 급속 해동 운전, 급속 냉동 운전 등이 설정되고, 소정시간, 설정된 운전모드로 운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설정된 운전모드나 운전상태 등이 표시부(42a)에 표시되고, 소정시간이 경과하여, 설정된 운전모드에서의 운전이 종료되면, 표시부(42a)는 통상의 운전상태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조작 패널부(42)는, 도2 및 도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개구부(43) 및 보조문(60)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이 실시 형태에서는, 개구부(43) 및 보조문(60)과 동일한 폭으로 상방에 연속해서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조작 패널부(42)가 보조문(60)에 연속한 일체적인 이미지가 되고, 의장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조작 패널부(42)는,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개구부(43)를 형성하는 합성수지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한 합성수지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조작 패널부(42)를 장착하기 위한 프레임은,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는 동시에, 보조 개구부(43)와 함께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패널부(42)를 개구부(43)의 내측에 배치하고 있으나, 도1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부(43)의 외측에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다음에, 도12로 되돌아가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보조문(60)의 개폐동작의 제어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12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냉장고는, 보조문 개폐 검출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보조문 개폐 검출장치는, 보조문(60)의 배면에 부착된 도시하지 않은 마그넷과, 개구 오목단부(43a)에 부착된 도시하지 않은 검출부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마그넷은 보조문(60)의 성형시, 검출부는 개구 오목단부(43a)의 성형시에 각각 채워 넣어지게 하여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또, 마그넷와 검출부는 서로 상대하는 위치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보조문 개폐 검출장치는, 검출부에 의해 보조문(60)의 개폐상태를 검출하고, 그 검출신호를 도시하지 않은 제어장치로 송신하도록 되어 있고, 제어장치는 그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냉장실팬(26)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보조문(60)을 열고, 제1 보조문 포켓부(55)에 새로운 저장물을 수납하고, 보조문(60)을 닫은 상태의 검출신호를 받은 경우, 제어장치는, 냉장실팬(26)의 운전을 개시하는 동시에, 새로 수납한 저장물의 저장량 및 온도상태에 대응하여 통풍 덕트(25)에서 냉장실(5)로 공급하는 냉기량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냉장실(5)에 수납된 저장물을 효율좋게 냉각시킬 수 있다. 또, 제어장치는, 보조문(60)을 개방한 검출신호를 받은 경우에는, 냉장실팬(26)의 운전을 정지한다. 이에 따라, 보조 개구부(45)에서 냉기의 누설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조문 개폐 검출장치로서 마그넷 방식의 검출장치를 이용하고 있으나, 푸시 스위치 등의 보조문 개폐 검출장치를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냉장고는, 보조문(60)의 개방시간이 긴 경우에 경보를 발하는 경보 발생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검출부에 의해 보조문(60)의 개방시간을 검출하고, 검출된 개방시간이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보다도 긴 경우에, 그 검출신호를 제어장치를 경유하여 경보 발생수단에 송신하고, 경보 발생수단은 알람음으로 보조문(60)이 장시간 개방된 상태인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상술한 소정시간이 30초로 설정되어 있고, 보조문(60)의 개방시간이 30초 이상이 되면, 알람음이 울리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보조문(60)이 장시간 개방된 상태, 예를 들면, 보조문(60)의 반개방 상태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술한 보조문(60)의 경보 발생수단에 덧붙여, 주문(40)의 개방상태, 예를 들면, 주문(40)의 개방시간을 주문(40)의 배면에 부착된 도시하지 않은 검출부에 의해 검출하고, 주문(40)의 개방시간이 미리 설정된 소정시간보다도 길게 개방된 경우에, 경보를 발하는 주문 경보 발생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주문 경보 발생수단은, 주문(40)이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보다도 길게 개방된 경우에 알람음을 발하도록 되어 있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소정시간이 1분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주문(40)이 장시간 개방된 상태, 예를 들면, 주문(40)의 반개방 상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검출신호의 송신에서 경보발생까지의 구성에 관해서는, 상술한 보조문(60)의 경보 발생수단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주문(40) 혹은 보조문(60)이 장시간 개방된 상태를 알람음으로 알리도록 하고 있으나, 음성이나 문자, 빛 등에 의해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문자로 알리는 경우, 표시부(42a)의 일부 또는 전체에, 주문(40) 혹은 보조문(60)이 장시간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문자나 아이콘 등을 표시하는 것, 또는 문자나 아이콘 등을 점멸시킴으로써, 보조문(60)이 장시간 개방된 상태인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빛으로 알리는 경우, 표시부(42a)의 일부 또는 전체를 점등 또는 점멸시킴으로써, 주문(40) 혹은 보조문(60)이 장시간 개방된 상태인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알람음이나 음성, 문자, 빛 등을 조합함으로써, 주문(40) 혹은 보조문(60)이 장시간 개방된 상태인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해도 좋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문(40)의 개방상태에 대한 경보와, 보조문(60)의 개방상태에 대한 경보를 각각 따로 따로의 경보 발생수단으로 발생시키고 있으나, 하나의 경보 발생수단에 의해, 주문(40)과 보조문(60)의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해도 좋다.
다음에, 도15 내지 도17을 참조하여, 제1 주문 포켓부(51)와 제1 보조문 포켓부(55)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주문 포켓부의 외관도이고, (a)가 평면도, (b)가 정면도, (c)가 우측면도, (d)가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16은, 냉장실문의 배면 사시도, 도17이 냉장실문의 횡단면도이다. 또, 도15에서 도시하는 제1 주문 포켓부(51)는, 투명재료(투광성 소재)에 의해 형성되고, 저면도와, 평면도, 배면도와 정면도, 좌측면도와 우측면도는, 각각 대칭인 형태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주문 포켓부(51)와, 포켓부재(51a)와 이 포켓부재(51a)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수납 공간(57c)을 형성하는 수납 공간 형성부재(57d)로 구성되어 있다. 이 수납 공간(57c)에는, 도1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조문(60)에 부착된 제1 보조문 포켓부(55)가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또, 제1 주문 포켓부(51)는, 양측면에 형성된 부착부(500)를 통해 주문(40)의 배면부(40a)에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수납 공간(57c)에 소물 수납포켓(57)이 배치되어 있으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1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물 수납포켓(57)이 보조문(60)의 배면 하방에 배치된 제1 보조문 포켓부(55)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1 보조문 포켓부(55)의 수납 용량을 늘릴 수 있고, 보조문(60)의 사용 상황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주문 포켓부(51)를 포켓부재(51a)와 수납 공간 형성부재(57d)로 구성하고 있으나, 포켓부재(51a)와 수납 공간 형성부재(57d)를 일체로 형성하여 제1 주문 포켓부(51)를 구성해도 좋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보조문 포켓부(55)가 제1 포켓부재(55a)와 소물 수납포켓(57)을 일체로 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으나, 제1 포켓부재(55a)와 소물 수납포켓(57)을 각각의 부재로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주문(40)의 배면부(40a)에 부착되는 제1 주문 포켓부(51) 이외의 각 주문 포켓부의 배치나 구성, 보조문(60)의 배면 상방에 부착된 제2 보조문 포켓부(56), 보조문(60)의 지지구조 등은, 상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도18 및 도19를 참조하여, 제2 보조문 포켓부(56)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보조문의 배면도, 도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보조문(60)의 단면도이다.
도18 및 도19에 있어서, 제2 보조문 포켓부(56)는, 보조문(60)의 배면 상부에 형성된 포켓 수납 오목부(63) 내에 수납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 보조문 포켓부(56)의 하단부(56a)가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포켓 수납 오목부(63)내에는, 막대형 부재를 대략 コ자형으로 구부려서 형성된 지지구(64)가 수납 가능하게 설치되고, 지지구(64)의 하단부(64a)가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제2 보조문 포켓부(56)에 높이가 낮은 저장물을 수납하는 경우에는, 제2 보조문 포켓부(56) 및 지지구(64)를 회전운동시켜 포켓 수납 오목부(63)에서 돌출시키고, 여기에 조미료 등이 든 작은 병 등의 작은 저장물을 수납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구(64)에 의해, 저장물이 보조문 포켓부 밖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보조문 포켓부(55)에 높이가 높은 저장물을 수납하는 경우에는, 제2 보조문 포켓부(56) 및 지지구(64)를 보조문(60)측으로 회전운동시켜서 포켓 수납 오목부(63)내에 수납한다. 이와 같이 제2 보조문 포켓부(56)를포켓 수납 오목부(63)내에 수납 가능하게 함으로써, 보조문(60)의 사용 상황을 더 한층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다음에, 도20을 참조하여, 보조문(60)에 설치된 핸들부에 관한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보조문의 핸들부를 도시하는 도이고, (a)는 가로가 긴 핸들부를 짧게 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 (b)는 가로가 긴 핸들부의 하단부와 개구부의 하단부를 일치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 (c)는 (b)의 측면도이다.
도20의 (a)에 있어서, 이 실시 형태에서는, 보조문(60)의 하단부에 형성된 가로가 긴 핸들부(91)의 길이를, 상술한 가로가 긴 핸들부(61)의 길이에 대해서 약 절반으로 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보조문(60)을 개폐할 때의 손을 걸치는 위치가 특정되기 때문에, 보조문(60)의 개폐동작을 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도20의 (b) 및 (c)에 있어서, 이 실시 형태에서는, 가로가 긴 핸들부의 하단부와 개구부의 하단부를 일치시키는 동시에, 야채실문(11)의 손잡이(11a)의 상면을 경사시킨 것이다. 이에 따라, 보조문(60)을 개폐할 때의 손을 걸치는 위치를 알기 쉽게 하는 동시에, 손을 쉽게 걸칠 수 있다.
또한, 이 형태에서는, 가로가 긴 핸들부(91)에 손을 걸쳐서 보조문(60)을 개폐하도록 하고 있으나, 가로가 긴 핸들부(91)에 래치기구를 설치하고, 래치기구에 손을 걸침으로써, 보조문(60)을 개폐하도록 해도 좋다.
다음에, 도21을 참조하여, 보조문(60)에 설치된 핸들부에 관한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보조문의 핸들부를 도시하는 도이고, (a)는 좌측 아래쪽에 세로가 긴 핸들부를 배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 (b)는 (a)의 측면도, (c)는 좌측 중앙에 세로가 긴 핸들부를 배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 (d)는 좌측 전체에 세로가 긴 핸들부를 배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21의 (a) 및 (b)에 있어서, 이 실시 형태에서는, 보조문(60)의 정면 좌측 아래쪽에, 아치형으로 형성된 세로가 긴 핸들부(92)와, 이 세로가 긴 핸들부(92)의 측방에 손걸이 오목부(92a)를 배치한 것이다. 또, 도21의 (c)는, 보조문(60)의 정면 좌측 중앙에 세로가 긴 핸들부(92)를 배치한 것이다. 또한, 도21의 (d)는, 보조문(60)의 정면 좌측 전체에 세로가 긴 핸들부(92)를 배치한 것이다. 이에 따라, 세로가 긴 핸들부(92)가 잡기 쉬워지기 때문에, 보조문(60)의 개폐동작을 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도21의 (c) 및 (d)에서 도시하는 세로가 긴 핸들부(92)에 있어서도, 도21의 (a)와 마찬가지로,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22를 참조하여, 보조문(60)에 설치된 핸들부에 관한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보조문의 핸들부를 도시하는 도이고, (a)는 좌측 중앙에 핸들부를 배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 (b)는 좌측 하방에 핸들부를 배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 (c)는 좌측 전체에 핸들부를 배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22의 (a)에 있어서, 이 실시 형태에서는, 보조문(60)의 정면 좌측 중앙에 래치 타입의 핸들부(93)를 배치한 것이다. 또, 도22의 (b)는, 보조문(60)의 정면좌측 하방에 래치 타입의 핸들부(93)를 배치한 것이다. 또한, 도22의 (c)는, 보조문(60)의 정면 좌측 전체에 래치 타입의 핸들부(93)를 배치한 것이다. 이들 핸들부(93)는, 손걸이부(93a)를 구비하고 있고, 이 손걸이부(93a)에 손을 걸쳐서 래치기구를 조작하는 것으로, 보조문(60)을 개방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보조문(60)을 용이하게 열 수 있다.
다음에, 도23을 참조하여, 보조문(60)에 설치된 핸들부에 관한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보조문의 핸들부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23에 있어서, 이 실시 형태에서는, 보조문(60)의 정면 좌측 하방에, 터치식의 핸들부(94)를 배치한 것이다. 이에 따라, 핸들부(94)에 접촉하는 것만으로 보조문(60)이 자동적으로 열리기 때문에, 보조문(60)을 더욱 용이하게 열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조문을 수평 회전운동 및 적절한 높이로 하여 저장물의 출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보조문의 개폐시에 있어서의 냉장실 냉기의 유출 및 보조문과 주문의 보조 개구 실부에 있어서의 열누설을 저감할 수 있고, 포켓부의 수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으로써, 사용 상황이 양호하고,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고, 값싸게 제작할 수 있는 냉장고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조문을 수평 회전운동 및 적절한 높이로 하여 저장물의 출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포켓부 전체의 수납 용적의 증대 또는 보조문포켓부의 유니버설화에 의해 사용 상황이 더욱 양호한 냉장고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조문을 수평 회전운동 및 적절한 높이로 하여 저장물의 출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보조문의 개폐시에 있어서의 냉장실내 냉기의 유출 저감 및 보조문과 주문의 보조 개구 실부에 있어서의 열누설의 더 한층의 저감에 의해 더욱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는 냉장고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조문의 개폐시에 있어서의 냉장실내 냉기의 유출 및 보조문과 주문의 보조 개구 실부에 있어서의 열누설을 적게 하여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보조문의 설치에 따른 의장 또는 개폐 조작성이 양호한 냉장고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조문의 개폐시에 있어서의 냉장실내 냉기의 유출 및 보조문과 주문의 보조 개구 실부에 있어서의 열누설을 적게 하여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꺼내기 쉬운 보조문의 높이 및 수평 회전운동에 의해 사용 상황이 양호하고, 냉장실의 냉각 성능을 양호하게 제어할 수 있는 냉장고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5)

  1. 최상단을 냉장실로 하는 다수단의 저장실을 가지는 냉장고 본체와, 상기 저장실의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한 문을 구비한 냉장고로서,
    상기 냉장실의 전면에 설치된 문은, 상기 냉장실의 전면 전체를 개폐하는 주문과, 상기 주문의 일부에 설치된 보조 개구부를 개폐하는 보조문을 구비하고,
    상기 주문은, 수평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도록 측단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수단과, 상기 주문의 전면부의 하방에 형성되고, 상기 보조문을 수납하는 개구부와, 상기 주문의 배면부에 설치된 다수단의 주문 포켓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문은, 수평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상기 보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측단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수단과, 상기 보조문의 배면부에 설치된 복수단의 보조문 포켓부를 구비하고,
    상기 주문의 배면부의 최하단에 설치된 주문 포켓부는, 상기 보조문의 배면부의 최하단에 설치된 보조문 포켓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1 수납부와, 상기 보조문의 배면부의 최하단에 설치된 보조문 포켓부의 측방에 위치하는 제2 수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최상단을 냉장실로 하는 다수단의 저장실을 가지는 냉장고 본체와, 상기 저장실의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한 문을 구비한 냉장고로서,
    상기 냉장실의 전면에 설치된 문은, 상기 냉장실의 전면 전체를 개폐하는 주문과, 상기 주문의 일부에 설치된 보조 개구부를 개폐하는 보조문을 구비하고,
    상기 주문은, 수평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도록 측단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수단과, 상기 주문의 전면부의 하방에 형성되고, 상기 보조문을 수납하는 개구부와, 상기 주문의 배면부에 설치된 다수단의 주문 포켓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문은, 수평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상기 보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측단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수단과, 상기 보조문의 배면부에 설치된 보조문 포켓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문 포켓부는, 상기 보조문의 배면부의 최하단에 설치된 제1 보조문 포켓부와, 상기 제1 보조문 포켓부의 상방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보조문 포켓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최상단을 냉장실로 하는 다수단의 저장실을 가지는 냉장고 본체와, 상기 저장실의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문을 구비한 냉장고로서,
    상기 냉장실의 전면에 설치된 문은, 상기 냉장실의 전면 전체를 개폐하는 주문과, 상기 주문의 일부에 설치된 보조 개구부를 개폐하는 보조문을 구비하고,
    상기 주문은, 수평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도록 측단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수단과, 상기 주문의 전면부의 하방에 형성되고, 상기 보조문을 수납하는 개구부와, 상기 주문의 배면부에 설치된 다수단의 주문 포켓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문은, 수평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상기 보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측단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수단과, 상기 보조문의 배면부에 설치된 복수단의 보조문 포켓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단의 보조문 포켓부는, 상기 보조문의 배면부의 최하단에, 상기 주문의 배면부의 최하단에 설치된 주문 포켓부와 전후열을 이루도록 설치된 제1 보조문 포켓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최상단을 냉장실로 하는 다수단의 저장실을 가지는 냉장고 본체와, 상기 저장실의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한 문을 구비한 냉장고로서,
    상기 냉장실의 전면에 설치된 문은, 상기 냉장실의 전면 전체를 개폐하는 주문과, 상기 주문의 일부에 설치된 보조 개구부를 개폐하는 보조문을 구비하고,
    상기 주문은, 수평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도록 측단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수단과, 상기 주문의 전면부의 하방에 형성되고, 상기 보조문을 수납하는 개구부와, 상기 주문의 배면부에 설치된 다수단의 주문 포켓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문은, 수평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상기 보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측단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수단과, 상기 보조문의 배면부에 설치된 복수단의 보조문 포켓부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단의 주문 포켓부는, 상기 주문의 배면부의 최하단에 설치된 제1주문 포켓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단의 보조문 포켓부는, 상기 보조문의 배면부의 최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주문 포켓부와 전후열을 이루도록 설치된 제1 보조문 포켓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제1 주문 포켓부와 상기 제1 보조문 포켓부 사이에 설치된 소물 수납포켓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물 수납포켓은, 상기 제1 주문 포켓부와 상기 제1 보조문 포켓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소물 수납부와, 상기 제1 주문 포켓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제2 소물 수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소물 수납부는, 상기 보조문을 여는 것에 의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최상단을 냉장실로 하는 다수단의 저장실을 가지는 냉장고 본체와, 상기 저장실의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한 문을 구비한 냉장고로서,
    상기 냉장실의 전면에 설치된 문은, 상기 냉장실의 전면 전체를 개폐하는 동시에, 금속제 외판과 합성수지제 내판 사이에 단열재를 충전하여 형성된 주문과, 상기 주문의 일부에 설치된 보조 개구부를 개폐하는 보조문을 구비하고,
    상기 주문은, 수평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도록 측단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수단과, 상기 주문의 전면부의 하방에 형성되고, 상기 보조문을 수납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금속제 외판과 상기 합성수지제 내판 사이를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주문 단열재와 접착된 직사각형상의 합성수지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문은, 수평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상기 보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측단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수단과, 상기 보조문과 상기 개구부 사이를 전주에 걸쳐서 밀봉하는 시일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그 전주에 걸쳐서 형성되고, 상기 보조문을 수납하는 개구 오목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문은, 상기 개구 오목단부의 각부에 맞닿도록 설치된 상기 시일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수단은, 무자석식 개스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최상단을 냉장실로 하는 다수단의 저장실을 가지는 냉장고 본체와, 상기 저장실의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한 문을 구비한 냉장고로서,
    상기 냉장실의 전면에 설치된 문은, 상기 냉장실의 전면 전체를 개폐하는 주문과, 상기 주문의 일부에 설치된 보조 개구부를 개폐하는 보조문을 구비하고,
    상기 주문은, 그 전면부의 하방에 형성되고, 상기 보조문을 수납하는 개구부와, 상기 보조문에 근접하여 설치된 조작 패널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패널은, 상기 보조문과 함께 상기 개구부에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최상단을 냉장실로 하는 다수단의 저장실을 가지는 냉장고 본체와, 상기 저장실의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한 문을 구비한 냉장고로서,
    상기 냉장실의 전면에 설치된 문은, 상기 냉장실의 전면 전체를 개폐하는 주문과, 상기 주문의 일부에 설치된 보조 개구부를 개폐하는 보조문을 구비하고,
    상기 주문은, 수평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도록 측단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수단과, 상기 주문의 전면부의 하방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주문의 하단부까지 연장하여 형성된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문은, 그 하단부가 상기 주문의 하단부까지 연장하여 형성되고, 또한 수평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상기 보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개구부내에서 측단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최상단을 냉장실로 하는 다수단의 저장실을 가지는 냉장고 본체와, 상기 저장실의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한 문을 구비한 냉장고로서,
    상기 냉장실의 전면에 설치된 문은, 상기 냉장실의 전면 전체를 개폐하는 주문과, 상기 주문의 일부에 설치된 보조 개구부를 개폐하는 보조문을 구비하고,
    상기 주문은, 수평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도록 측단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수단과, 상기 주문의 전면부의 하방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주문의 하단부까지 연장하여 형성된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문은, 그 하단부가 상기 주문의 하단부까지 연장하여 형성되고, 또한 수평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상기 보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개구부내에서 측단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냉장실의 하단에 배치된 저장실의 전면에 설치된 문은, 그 전면 상단부에 상기 보조문의 가로폭에 대응한 가로폭을 가지는 손잡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은, 그 하면에 상기 보조문에서 좌우 외방까지 연장되는 보강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지지수단은, 상기 보조문의 측단부 상면에 설치된 상부 지지핀과, 상기 개구부의 상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 지지핀을 지지하는 상부 핀받침부와, 상기 보조문의 측단부 하면을 지지하는 핀부를 가지는 하부 힌지부와, 상기 보조문의 측단부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핀부를 지지하는 하부 핀받침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최상단을 냉장실로 하는 다수단의 저장실을 가지는 냉장고 본체와, 상기 저장실의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한 문과, 상기 냉장실을 냉각시키기 위한 증발기, 응축기, 감압 장치 및 압축기를 가지는 냉동 사이클과, 상기 증발기로부터의 냉기를 상기 냉장실에 공급하는 증발기팬과, 상기 냉장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는 냉장실팬과, 상기 냉장실팬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냉장고로서,
    상기 냉장실의 전면에 설치된 문은, 상기 냉장실의 전면 전체를 개폐하는 주문과, 상기 주문의 일부에 설치된 보조 개구부를 개폐하는 보조문과, 상기 보조문의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보조문 개폐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보조문 개폐 검출수단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냉장실팬을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최상단을 냉장실로 하는 다수단의 저장실을 가지는 냉장고 본체와, 상기 저장실의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한 문과, 경보장치를 구비한 냉장고로서,
    상기 냉장실의 전면에 설치된 문은, 상기 냉장실의 전면 전체를 개폐하는 주문과, 상기 주문의 일부에 설치한 보조 개구부를 개폐하는 보조문을 가지고 있고,
    상기 경보장치는, 상기 보조문의 장시간 개방을 경보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2-0003155A 2001-04-25 2002-01-19 냉장고 KR1004404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27010A JP3336000B1 (ja) 2001-04-25 2001-04-25 冷蔵庫
JPJP-P-2001-00127010 2001-04-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3115A KR20020083115A (ko) 2002-11-01
KR100440419B1 true KR100440419B1 (ko) 2004-07-15

Family

ID=18975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3155A KR100440419B1 (ko) 2001-04-25 2002-01-19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336000B1 (ko)
KR (1) KR100440419B1 (ko)
CN (1) CN100394129C (ko)
TW (1) TW5464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676A (ko) * 2002-12-06 2004-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홈바 설치구조
JP3949049B2 (ja) * 2002-12-06 2007-07-25 照一 小田部 折り畳み式の輸送用断熱容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配送方法
TR200502341T1 (tr) * 2002-12-31 2005-09-21 Ar�El�K Anon�M ��Rket� Soğutucu
JP2004340390A (ja) * 2003-05-12 2004-12-02 Toshiba Corp 観音開き式の細型冷蔵庫
CN100397011C (zh) * 2003-12-15 2008-06-25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电冰箱的瓶框设置构造
KR101024464B1 (ko) * 2003-12-31 2011-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홈바
KR101248297B1 (ko) * 2006-02-10 2013-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바 도어의 개폐장치
DE102008055029C5 (de) 2008-12-19 2016-04-14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insbesondere Geschirrspülmaschine
KR20100122155A (ko) * 2009-05-12 2010-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00122152A (ko) * 2009-05-12 2010-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307735B1 (ko) 2009-06-03 2013-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11018345A1 (de) * 2009-08-10 2011-02-1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ühlgerät
CN102116554A (zh) * 2010-01-04 2011-07-06 Lg电子株式会社 电冰箱
EP3614081B1 (en) 2010-02-01 2022-12-2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RU2502926C2 (ru) 2010-02-01 2013-12-27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Холодильник
EP3916324A1 (en) 2010-06-22 2021-12-0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1704817B1 (ko) 2010-08-20 2017-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2455100A (zh) * 2010-10-21 2012-05-16 胡涯影 电冰箱冷藏室内腔尺寸控制方法
EP3508804B1 (en) 2011-08-05 2023-03-0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ith inner door
CN102538348B (zh) * 2012-03-09 2014-01-15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冰箱
JP6167327B2 (ja) * 2013-03-29 2017-07-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
JP6167329B2 (ja) * 2013-03-29 2017-07-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
CN104329887B (zh) * 2014-10-14 2017-02-15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
JP6270687B2 (ja) * 2014-10-16 2018-01-31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JP6757574B2 (ja) * 2016-02-29 2020-09-23 シャープ株式会社 扉構造
TWI637136B (zh) * 2016-02-29 2018-10-01 夏普股份有限公司 Door structure
JP7445466B2 (ja) 2020-03-09 2024-03-07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89297A (fr) * 1972-02-17 1973-01-15 I R E S P A Ind Riunite Eurodo Contre-porte a console inclinee pour refrigerateur
US5359795A (en) * 1993-03-02 1994-11-01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Refrigerator door construction
CN2244173Y (zh) * 1995-06-23 1997-01-01 李少年 子母门冰箱冰柜
CN2308061Y (zh) * 1997-07-05 1999-02-17 合肥美菱股份有限公司 冷冻冷藏电冰箱
KR19990013174A (ko) * 1997-07-31 1999-02-25 배순훈 좌우개폐형 도어가 구비된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46463B (en) 2003-08-11
CN100394129C (zh) 2008-06-11
JP3336000B1 (ja) 2002-10-21
JP2002323287A (ja) 2002-11-08
KR20020083115A (ko) 2002-11-01
CN1382950A (zh) 2002-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0419B1 (ko) 냉장고
EP3660429B1 (en) Refrigerator
KR20130045538A (ko) 냉장고
EP1170561B1 (en) Method for producing multi-compartment refrigerators
JP2003065659A (ja) 冷蔵庫
CN101358795A (zh) 冰箱
US20220074647A1 (en) Refrigerator
KR101677611B1 (ko)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냉장고
KR20200079754A (ko) 냉장고
KR101480458B1 (ko) 냉장고
JP2009019793A (ja) 冷蔵庫
KR101467271B1 (ko) 냉장고
JP2003004365A (ja) 冷蔵庫の液晶表示装置、冷蔵庫及び液晶表示装置の表示選択方法
JP2003185331A (ja) 冷蔵庫
KR101857655B1 (ko) 냉장고
KR101346488B1 (ko) 냉장고
JP2021096009A (ja) 冷蔵庫
KR20000034726A (ko) 홈바룸의 에어커튼 장치
JPH0972649A (ja) 低温ショーケース
JP2003050082A (ja) 冷蔵庫
JP2001082862A (ja) 冷蔵ショーケース
KR20150008763A (ko) 냉장고
JP2003065662A (ja) 冷蔵庫
JP2003050080A (ja) 冷蔵庫
JP2003065661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