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0016B1 - 연료탱크내의 연료 유동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연료탱크내의 연료 유동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0016B1
KR100440016B1 KR10-2001-0058162A KR20010058162A KR100440016B1 KR 100440016 B1 KR100440016 B1 KR 100440016B1 KR 20010058162 A KR20010058162 A KR 20010058162A KR 100440016 B1 KR100440016 B1 KR 100440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baffle plate
fuel tank
vehicle
movable baff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8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5335A (ko
Inventor
배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8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0016B1/ko
Publication of KR20030025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5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0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00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B60K2015/0775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for reducing movement or slash noise of fu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B60K2015/07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in-tank reservoirs or baffles integrally manufactured with the fuel T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출발 및 급제동시 발생하는 연료탱크내의 연료 유동을 효과적으로 감쇄시켜 소음 발생을 방지하므로써 안락한 운행을 할 수 있는 연료탱크내의 연료유동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의 급가감속시 관성력에 의해 관성력 작용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연료탱크내에 설치되는 관성체와;
상기 관성체의 이동에 연동하여 연료 유동이 일어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설치되는 가동배플플레이트기구와;
상기 관성체의 이동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가동배플플레이트기구에 전달하는 구동기어 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료탱크내의 연료 유동 방지장치{Fuel fluid preve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연료탱크내의 연료유동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료탱크는 엔진에 공급하는 연료를 저장하는 것으로 도 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탱크본체(30), 연료주입구파이프(31), 연료게이지의 센더유니트(도시생략) 및 연료펌프(32)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료탱크(30)의 내부에는 주행중 연료의 요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세퍼레이터나 배플플레이트(33)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배플플레이트(33)는 차량 정지후 출발시나 급정지시 연료탱크내의 연료가 관성력에 의해 유동하게 될 때 연료가 판에 부딪히고 구멍(34)을 통과하면서 유동을 감쇄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배플플레이트(33)에 의하면 어느정도의 연료유동방지효과는 있으나 연료의 출렁거림에 의한 소음이 심하게 발생하여 배플플레이트(33)에 패드나 스폰지를 붙이거나 설치 갯수를 증가시켜 소음 문제를 해결코자 시도하고 있으나 그리 큰 효과를 얻기가 어려워 소음 발생에 따른 소비자 불만을 야기하고 있으며, 특히 연료탱크가 운전석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더욱 연료 유동에 의한 소음 문제가 심각한 소비자 불만 사항중 하나가 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그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차량의 출발 및 급제동시 발생하는 연료탱크내의 연료 유동을 효과적으로 감쇄시켜 소음 발생을 방지하므로써 안락한 운행을 할 수 있는 연료탱크내의 연료유동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급가감속시 관성력에 의해 관성력 작용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연료탱크내에 설치되는 관성체와;
상기 관성체의 이동에 연동하여 연료 유동이 일어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설치되는 가동배플플레이트기구와;
상기 관성체의 이동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가동배플플레이트기구에 전달하는 구동기어 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연료탱크내의 연료유동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동상 연료유동 방지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관성체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가동배플플레이트기구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연료유동 방지 장치의 A-A 단면도
도 6은 종래기술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료탱크 5 : 관성체
6 : 구동기어수단 7 : 가동배플플레이트기구
8 : 연료유동방지장치 9 : 이동볼
10 : 작동로드 11 : 가이드홀더
12 : 볼트 13 : 래크기어
14 : 피니언 15 : 아이들기어
16 : 구동기어 17 : 작동로드
18 : 래크기어 19 : 구멍
20 : 플레이트 21 : 가이드로드
22 : 가이드홀더 23 : 액체
24 : 고정식배플플레이트 25 : 가이드홀더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연료탱크내의 연료유동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동상 연료유동방지장치의 평면도이다.
도면중 부호 1은 연료탱크이며, 부호 2는 연료파이프(3)를 통해 엔진으로 연료를 급송하는 연료펌프이고, 부호 4는 공급되고 남은 잉여 연료가 리턴하는 연료리턴라인이다.
연료탱크(1)내에는 관성체(5)와 구동기어수단(6) 및 가동배플플레이트기구(7)로 구성된 연료유동방지장치(8)가 설치되어 있다.
관성체(5)는 다시 이동볼(9)과 작동로드(10) 및 그 작동로드(10)를 지지 및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홀더(11)로 구성되며, 가이드홀더(11)는 볼트(12)로 연료탱크(1) 바닥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작동로드(10)에는 기어구동수단(6)의 일부를 구성하는 래크기어(13)가 형성되어 있으며, 래크기어(13)는 피니언(14)과 맞물려 있고, 피니언(14)은 아이들기어(15)와 구동기어(16)를 거쳐 작동로드(17)상에 형성된 래크기어(18)와 맞물려 있다.
상기 가동배플플레이트기구(7)는 복수개의 구멍(19)이 형성된 플레이트(20)와 그 플레이트(20)에 일단이 고정된 상기 작동로드(17)와 그 작동로드(17)의 이송을 안내 및 지지하는 가이드홀더(25)로 구성되며, 상기 작동로드(17)와 나란히 균형 유지를 위하여 가이드로드(21)의 일단이 상기 플레이트(20)에 고정되고 그 가이드 로드(21)는 연료탱트 바닥에 고정된 가이드홀더(22)에 의해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송을 허용토록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관성체(5)의 이동볼(9)은 속이 빈 구형의 플라스틱 몸체내에 연료보다 비중이 큰 액체(23)를 채워 넣어 형성되거나 또는 관성력을 크게 한 중량물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4는 고정식의 배플 플레이트이다.
이하 본 발명 장치에 의한 연료의 유동방지를 위한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이 급출발 및 급가속 상태가 되면, 관성체(5)의 이동볼(9)은 관성력에의해 멈춘 상태로 있으려 하는 반면, 작동로드(10)를 지지하는 가이드홀더(11)는 차체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차량과 더불어 전진하게 되므로, 가이드홀더(11)를 기준하여서 이동볼(9)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동볼(9)과 작동로드(10)가 후진하면 래크기어(13)와 맞물린 피니언(14)이 회전하게 되며, 피니언(14)의 회전은 아이들기어(15)와 구동기어(16)를 거쳐 래크기어(18)에 전달되며, 이를 통해 작동로드(17)는 관성체(5)의 작동로드(10)의 이동방향과는 반대로 움직이게 된다(화살표 도시 참조).
이에따라 작동로드(17)와 가이드로드(21) 선단에 고정된 플레이트(20)가 이동볼(9)의 움직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차량의 출발 및 급가속시엔 연료탱크(1)내의 연료가 후방으로 유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한 것과 같이 가동배플플레이트기구(7)의 플레이트(20)가 전방, 즉 연료의 유동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어 연료 유동에 저항하게 되므로써 연료의 요동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며, 또 일부 연료가 구멍(19)을 통하여 빠져나가면서 연료유동이 감쇄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 주행 상태에서 급제동시에는 이동볼(9)과 플레이트(20)가 앞선 급출발시와는 반대 방향으로 움직임이 일어나 역시 반대 방향, 즉 전방으로 쏠림이 일어나는 연료를 향해 플레이트(20)가 이동하여 연료의 쏠림에 대항하게 되므로써 연료의 유동을 감쇄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급가감속시 연료의 유동 방향과 반대로 움직여 연료의 유동을 방지하게 되는 가동배플플레이트 기구를 설치하고, 이 가동배플플레이트 기구를 움직이는 관성체를 연료탱크내에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연료의 급격한 쏠림 현상을 방지하여 연료 쏠림에 의한 소음 발생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써 안락한 운행이 보장된다.

Claims (8)

  1. 차량의 급가감속시 관성력에 의해 관성력 작용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연료탱크내에 설치되는 관성체와;
    상기 관성체의 이동에 연동하여 연료 유동이 일어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설치되는 가동배플플레이트기구와;
    상기 관성체의 이동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가동배플플레이트기구에 전달하는 구동기어 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내의 연료유동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체는 차량 움직임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이동볼과, 그 이동볼에 일단이 고정되어 차량 후방을 향해 연장된 작동로드 및 그 작동로드를 차량 전후 방향으로 움직임을 허용토록 지지 안내하는 가이드홀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내의 연료유동방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볼은 플라스틱재의 구형몸체내에 연료보다 비중이 큰 액체를 수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내의 연료유동방지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수단은 상기 작동로드에 형성된 래크기어와 피니언, 아이들기어, 구동기어 및 상기 가동배플플레이트기구의 래크기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내의 연료유동방지장치.
  5. 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배플플레이트기구는 연료의 쏠림시 유동하는 연료가 부딪혀 흐름을 차단당하게 만드는 플레이트와, 그 플레이트에 일단이 고정되어 차량의 후방으로 연장된 작동로드와, 그 작동로드에 형성된 래크기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내의 연료유동방지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는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내의 연료유동방지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배플플레이트의 작동로드와 나란한 가이드로드가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가이드홀더에 의해 지지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내의 연료유동방지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배플플레이트기구의 후방으로 고정식의 배플플레이트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내의 연료유동방지장치.
KR10-2001-0058162A 2001-09-20 2001-09-20 연료탱크내의 연료 유동 방지장치 KR100440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8162A KR100440016B1 (ko) 2001-09-20 2001-09-20 연료탱크내의 연료 유동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8162A KR100440016B1 (ko) 2001-09-20 2001-09-20 연료탱크내의 연료 유동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5335A KR20030025335A (ko) 2003-03-29
KR100440016B1 true KR100440016B1 (ko) 2004-07-14

Family

ID=27724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8162A KR100440016B1 (ko) 2001-09-20 2001-09-20 연료탱크내의 연료 유동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00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1795B1 (ko) * 2004-08-13 2006-05-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탱크의 일체형 배플 플레이트의 장착구조
CN103449069B (zh) * 2013-09-06 2016-02-24 安徽理工大学 一种防油罐车侧翻的罐体机构
CN105966233B (zh) * 2016-05-16 2018-06-26 湖南理工学院 一种防撞耐颠簸越野汽车用油箱及其控制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8121A (ja) * 1989-08-07 1991-03-25 Hitachi Aic Inc 電解コンデンサ用電解液
JPH04123820U (ja) * 1991-04-23 1992-11-10 愛知機械工業株式会社 燃料タンクのバツフルプレート
KR970010250A (ko) * 1995-08-29 1997-03-27 김태구 자동차의 연료탱크
JP2000127772A (ja) * 1998-10-19 2000-05-09 Nifco Inc 旋回槽の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8121A (ja) * 1989-08-07 1991-03-25 Hitachi Aic Inc 電解コンデンサ用電解液
JPH04123820U (ja) * 1991-04-23 1992-11-10 愛知機械工業株式会社 燃料タンクのバツフルプレート
KR970010250A (ko) * 1995-08-29 1997-03-27 김태구 자동차의 연료탱크
JP2000127772A (ja) * 1998-10-19 2000-05-09 Nifco Inc 旋回槽の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5335A (ko) 2003-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0660B2 (en) Motor vehicle pedal having a safety device
US5617761A (en) Shifting apparatus for a bicycle
KR100440016B1 (ko) 연료탱크내의 연료 유동 방지장치
KR101590434B1 (ko) 승용형 이앙기
KR100401836B1 (ko) 차량의 가속페달장치
US6350163B1 (en) Jet propulsion boat
JP2007290466A (ja) 車両用シート
JP2006097547A (ja) 農作業機のエンジン制御構造
KR102370495B1 (ko) 차량용 파킹장치
JPH05286387A (ja) 車両用シート
JP4014929B2 (ja) ペダル後退量抑制装置
JP2009166735A (ja) ブレーキ装置
JP4640312B2 (ja) オイルパンおよび自動車
JP2010137710A (ja) 水ジェット推進艇
WO2019244706A1 (ja) 走行車両
JP2008114846A (ja) 乗用田植機の無段変速操作装置
JP6633380B2 (ja) オイル貯留機構
KR200156261Y1 (ko) 자동차의앤티다이브장치
KR101047735B1 (ko) 클러치 조작기구의 진동저감구조
JP6987704B2 (ja) 走行車両
JP4797382B2 (ja) 作業車両の変速調節装置
KR200374880Y1 (ko) 자동차 가속페달용 급조작 방지 장치
JPH10159594A (ja) 自動二輪車のスロットル制御装置
JP4510321B2 (ja) 振動締固め機の前後進切換ハンドポンプ
JPH10138778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