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8129B1 - 음극선관용 유리 패널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용 유리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8129B1
KR100438129B1 KR10-2000-7009489A KR20007009489A KR100438129B1 KR 100438129 B1 KR100438129 B1 KR 100438129B1 KR 20007009489 A KR20007009489 A KR 20007009489A KR 100438129 B1 KR100438129 B1 KR 100438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anel
face
glass
cathode r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9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3774A (ko
Inventor
교오노마사야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83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3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8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81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1Vessels or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the stru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86Vessels and containers
    • H01J2229/8613Faceplates
    • H01J2229/8616Faceplates characterised by shape
    • H01J2229/862Parameterised shape, e.g. expression, relationship or equation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유리 패널의 대각축 방향의 유효 화면 직경(D)이 500 mm 이상이고, 게다가 페이스부(11) 외면의 평균 곡률 반경이 1O,OOO mm 이상인 음극선관용 유리 패널에 대하여, 유리 패널 내면의 유효 화면 단부와 블렌드 R부(12)와의 접점으로부터 밀봉 부착 단부면(14)까지의 관축 방향 거리(h)를 스커트부(13)의 길이라 하고, 스커트부의 밀봉 부착 단부면(14)의 유리 두께를 t라고 했을 때, 이 h와 t를 유효 화면 직경(D)에 대한 비율로 범위 규정하고, 또한 h와 t의 곱에 대해서도 유효 화면 직경(D)과 관련시켜 소정 범위가 되도록 규정함으로써, 스커트부의 넘어짐(傾倒)에 의한 변형을 억제하는 동시에 스커트부의 단축화에 따른 기계적 강도의 저하를 밀봉 부착 단부면의 유리 두께로 보상하여, 소정의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면서 유리 패널의 경량화를 달성한다.

Description

음극선관용 유리 패널{GLASS PANEL FOR CATHODE RAY TUBE}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음극선관에 사용되는 유리 벌브(1)는 전방면부가 되는 유리 패널(10)과 후방부 구조체가 되는 깔때기부(20) 및 내부에 전자총을 장착하는 네크(30)로 구성되어 있다. 유리 패널(10)은 화상을 표시하는 유효 화면을 구비한 대략 직사각형의 페이스부(11)와, 그 주위 모서리로부터 블렌드 R부(12)를 거쳐서 연결되고 깔때기부(20)와 접합하기 위한 밀봉 부착 단부면(14)을 갖는 스커트부(13)로 이루어진다. 칼라 음극선관의 경우, 상기 유리 패널(10)은 스커트부(13)의 밀봉 부착 단부면(14)과 깔때기부(20)의 밀봉 부착 단부면 사이에 땜납 유리 등을 거쳐서 밀봉 결합된다.
음극선관용의 유리 벌브(1)는 내부를 진공으로 배기한 진공 용기로서 사용되므로, 유리 벌브(1)의 외측 표면에는 내외기 압력차에 따른 응력이 부하되는데, 구면 외관과는 다른 유리 벌브(1)에서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벌브 외측으로의 화살표로 나타낸 인장 응력의 영역과 내측으로의 화살표로 나타낸 압축 응력의 영역이 함께 존재한 복잡한 응력 분포를 발생시킨다.
유리 벌브(1)에 발생하는 진공 인장 응력은 통상 유리 패널(10)의 짧은 축상의 페이스부의 단부로부터 스커트부에 걸치는 영역에 있어서 최대로 되며, 유리 벌브(1)에 외부로부터의 일정 이상의 기계적 또는 열적 충격이 가해지면, 유리 벌브(1)는 최대 진공 인장 응력의 발생 영역이 되는 부위 부근, 즉 페이스부(11)의 단부로부터 스커트부(13)에 걸치는 영역을 기점으로 하여 파괴되고, 폭축(爆縮)을 발생한다. 따라서, 음극선관에 사용되는 유리 벌브(1)는 통상 상기 진공 인장 응력을 소정치 이하로 억제할 수 있는 기계적 강도를 갖도록 설계된다.
상기 진공 인장 응력의 분포는 유리 벌브의 크기와 형상에 의존하는데,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 등의 안전 계수를 고려한 면에서의 유리 벌브에 필요해지는 기계적 강도의 하나의 기준으로서, 유리 패널과 깔때기부의 밀봉 부착부 영역에 발생하는 상기 진공 인장 응력치를 8.4 MPa보다 작게 억제하는 것을 목표로 형상, 및 두께 등의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로 인해, 종래의 음극선관용 유리 패널에 있어서는 유리 벌브로서 사용될 때의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고, 상기 진공 인장 응력을 소정치 이하로 억제하기 위해서, 유리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또는 스커트부 부근에 발생하는 진공 인장 응력을 완화 분산시키며, 그 피크값을 저감시키기 위해서 스커트부를 길게 하는 일 등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음극선관용 유리 패널에 있어서는 유리 두께를 두껍게 하고, 스커트부의 길이를 길게 함에 따라서 유리 중량이 증가하므로, 유리 패널의 취급성, 및 작업성이 좋지 못한 문제가 있다. 특히, 스커트부가 길어진 유리 패널에대해서는, 성형 직후의 유리 패널은 아직 충분히 고화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기 스커트부가 내측 또는 외측으로 넘어지기 쉽고, 유리 패널의 변형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대형 크기로 하고 또한 페이스부의 평탄성이 높은 음극선관용 유리 패널로서, 유리 벌브로서의 소정의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면서 스커트부의 단축화에 의해 경량화를 도모하고, 또한 성형 직후의 변형을 억제한 음극선관용 유리 패널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음극선관에 사용되는 유리 벌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전방면부를 구성하는 유리 패널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음극선관용 유리 패널의 대각축 단면 설명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음극선관용 유리 패널의 짧은 축 단면 설명도이고, 도3은 음극선관용 유리 벌브의 설명도이고, 도4는 음극선관용 유리 벌브에 발생하는 진공 응력 분포의 설명도이고, 도5 내지 도8은 다른 크기의 음극선관용 유리 패널에 대한 본 발명의 음극선관용 유리 패널 스커트부의 치수 범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각종 크기의 음극선관용 유리 패널을 사용하고, 그 스커트부의 길이 및 밀봉 부착 단부면의 유리 두께가 다른 복수의 샘플에 대하여, 패널의 중량 및 유리 벌브로 했을 때의 최대 진공 인장 응력을 측정함으로써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음극선관용 유리 패널은 대략 직사각형의 페이스부와, 상기 페이스부의 주위 모서리로부터 블렌드 R부를 거쳐서 연결되고 깔때기부와 접합하기 위한 밀봉 부착 단부면을 갖는 스커트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리 패널의 대각축 방향의 유효 화면 직경 D(mm)가 500≤D<650, 페이스부 외면의 평균 곡률 반경이 페이스부 중앙을 통과하는 어떠한 방사 방향에 있어서도 10,0OO mm 이상이며, 또한 상기 유리 패널의 적어도 짧은 축에 있어서의 유리 패널 내면의 유효 화면 단부와 블렌드 R부와의 접점으로부터 상기 밀봉 부착 단부면까지의 관축 방향 거리 h(mm)와, 밀봉 부착 단부면의 유리 두께 t(mm)가, 0.07D≤h≤0.11D, 0.015D≤t≤0.025D인 동시에 (D/25.4)2≤t×h≤(D/25.4+3)2이 되는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음극선관용 유리 패널은 상기 유리 패널의 대각축 방향의 유효 화면 직경 D(mm)가 650 이상, 페이스부 외면의 평균 곡률 반경이 페이스부 중앙을 통과하는 어떠한 방사 방향에 있어서도 1O,OOO mm 이상이며, 또한 상기 유리 패널의 적어도 짧은 축에 있어서의 유리 패널 내면의 유효 화면 단부와 블렌드 R부와의 접점으로부터 상기 밀봉 부착 단부면까지의 관축 방향 거리 h(mm)와, 밀봉 부착 단부면의 유리 두께 t(mm)가, 0.08D≤h≤0.11D, 0.015D≤t≤0.020D인 동시에 (D/25.4)2≤t×h≤(D/25.4+2.5)2이 되는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특히 유리 패널의 대각축 방향의 유효 화면 직경이 500 mm 이상이라는 대형 크기이고, 게다가 페이스부 외면의 평균 곡률 반경이 10,OOO mm 이상이라는 평탄성이 높은 음극선관용 유리 패널에 대하여, 기계적 강도와 경량화의 관점에서 유리 패널 내면의 유효 화면 단부와 블렌드 R부와의 접점으로부터 상기 밀봉 부착 단부면까지의 관축 방향 거리(h)를 스커트부의 길이로 하고, 스커트부의 밀봉 부착 단부면의 유리 두께를 t라고 했을 때, 이 h와 t를 유리 패널의 실질적 크기인 유효 화면 직경(D)에 대한 비율로 범위 규정하고, 또한 h와 t의 곱에 대해서도 유효 화면 직경(D)과 관련시켜 소정 범위가 되도록 규정함으로써, 스커트부의 넘어짐에 의한 변형을 억제하는 동시에, 스커트부의 단축화에 따른 기계적 강도의 저하를 밀봉 부착 단부면의 유리 두께로 보상하여, 소정의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면서 유리 패널의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었던 것이다.
특히, 이들 규정을 유리 패널의 짧은 축에 있어서 행한 이유는, 유리 벌브에 발생하는 최대 진공 인장 응력이 유리 패널의 짧은 축상의 페이스부의 단부로부터 스커트부에 걸치는 영역에 있어서 통상 발생하기 때문이다.
유리 패널의 대각축 방향의 유효 화면 직경 D(mm)가 500≤D<650인 음극선관용 유리 패널에서는 스커트부의 길이(h)와, 스커트부의 밀봉 부착 단부면의 유리 두께(t)가, 0.07D>h, 및/또는 0.015D>t인 경우, 또는 t×h<(D/25.4)2인 경우에는 스커트부의 단축화 또는 밀봉 부착부의 두께가 너무 얇아짐으로써, 유리 벌브의 배기에 의해 발생하는 밀봉 부착부 영역의 진공 인장 응력치가 상기의 8.4 MPa보다 커져서, 유리 벌브에 필요한 원하는 기계적 강도를 얻지 못하게 된다.
한편, h>0.11D인 경우, 스커트부의 길이의 단축화가 불가능하고, 유리 패널의 경량화를 도모하지 못하는 동시에, 유리 패널의 성형 직후에 있어서의 스커트부의 넘어짐 변형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t>0.025D인 경우, 또는 (D/25.4+3)2<t×h인 경우, 유리 패널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없다.
또한, 유리 패널의 대각축 방향의 유효 화면 직경 D(mm)가 650 이상인 음극선관용 유리 패널에서는 스커트부의 길이(h)와, 스커트부의 밀봉 부착 단부면의 유리 두께(t)가, 0.08D>h, 및/또는 0.015D>t인 경우, 또는 t×h<(D/25.4)2인 경우에는 스커트부의 단축화 또는 밀봉 부착부의 두께가 너무 얇아짐으로써, 유리 벌브의 배기에 의해 발생하는 밀봉 부착부 영역의 진공 인장 응력치가 상기의 8.4 MPa보다 커져서, 유리 벌브에 필요한 원하는 기계적 강도를 얻지 못하게 된다.
한편, h>0.11D인 경우, 스커트부의 길이의 단축화가 불가능하고, 유리 패널의 경량화를 도모하지 못하는 동시에, 유리 패널의 성형 직후에 있어서의 스커트부의 넘어짐 변형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t>0.020D인 경우, 또는 (D/25.4+2.5)2<t×h인 경우, 유리 패널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없다.
이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관한 음극선관용 유리 패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음극선관용 유리 패널의 대각축 단면의 설명도이고, 도2는 짧은 축 단면의 설명도이다. 앞서 설명한 구성 부재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중 h는 유리 패널(10)의 짧은 축에 있어서의 그 내면의 유효 화면 단부와 블렌드 R부(12)와의 접점으로부터 스커트부(13)의 밀봉 부착 단부면(14)까지의 관축 방향 거리를 나타내고, 이것을 스커트부의 길이로 한다. 또한, t는 스커트부(13)의 밀봉 부착 단부면(14)의 유리 두께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관한 음극선관용 유리 패널과 비교예의 유리 패널을 각각 제작하여, 이들의 중량을 측정하는 동시에, 각 유리 패널에 깔때기부와 네크를 접합함으로써 유리 벌브로 한 후 내부를 배기하고, 각 유리 벌브의 밀봉 부착부 영역의 진공 인장 응력치를 스트레인 게이지에 의해 측정했다. 유리 벌브의 기계적 강도에 대해서는 밀봉 부착부 영역에 발생하는 진공 인장 응력치를 측정하여 평가했다.
유리 패널의 대각축 방향의 유효 화면 직경(D)이 다른 4종류의 음극선관용 유리 패널에 대하여, 각각의 음극선관용 유리 패널의 각부 치수, 유리 패널 중량, 유리 벌브로 한 경우의 밀봉 부착부 영역에 발생한 진공 인장 응력치를 표1 내지 표4에 나타낸다. 각 표에 있어서, 샘플 1은 종래예이다.
표1은 유리 패널의 대각축 방향의 유효 화면 직경(D)이 510 mm(21 인치)이고 종횡비가 4 : 3이며, 페이스부 중앙 두께가 15 mm이고 페이스부 외면의 최소 평균 곡률 반경이 33,000 mm인 음극선관용 패널에 관한 데이터이다.
표1에 있어서, 샘플 2 내지 9로서 나타낸 본 발명의 음극선관용 패널은 샘플 1의 종래의 음극선관용 패널보다도 최대 약 1 Kg의 중량 경감을 도모할 수 있고, 유리 벌브에 사용한 경우의 밀봉 부착부 영역의 진공 인장 응력은 모두 기준치의 8.4 MPa를 하회하는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또한, 본 발명의 음극선관용 패널은 샘플 1의 종래의 음극선관용 패널보다도 성형 직후의 스커트부의 넘어짐 변형량이 억제되었다.
샘플 10 내지 14는 비교예를 나타내고 있고, 샘플 10 내지 12에서는 종래예의 샘플 1보다 경량화되었지만, 진공 인장 응력은 8.4 MPa보다 작게 할 수 없었다. 또한, 비교예의 샘플 13 및 14에서는 진공 인장 응력은 8.4 MPa보다 작아졌지만,중량은 종래예의 샘플 1보다 경량화할 수 없었다.
도5는 표1의 데이터를, 횡축을 t, 종축을 h로 하여 그래프 상에 플롯한 것이다. △ 표시는 샘플 1의 종래예, ○ 표시는 유리 벌브에 필요한 원하는 기계적 강도와 경량화가 달성된 샘플 2 내지 9의 본 발명의 유리 패널을 나타내고 있고, × 표시는 유리 벌브에 필요한 원하는 기계적 강도와 경량화 중 적어도 한 쪽이 달성되지 않은 샘플 10 내지 14의 비교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5에 도시되어 있는 점선은 각각 h=0.07D, h=0.11D, t=0.015D, t=0.025D, t×h=(D/25.4)2, t×h=(D/25.4+3)2의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다.
표2는 유리 패널의 대각축 방향의 유효 화면 직경(D)이 600 mm(25 인치)이고 종횡비가 4 : 3이며, 페이스부 중앙 두께가 14.8 mm이고 페이스부 외면의 최소 평균 곡률 반경이 30,000 mm인 음극선관용 패널에 관한 데이터이다.
표2에 있어서, 샘플 2 내지 9로서 나타낸 본 발명의 음극선관용 패널은 샘플 1의 종래의 음극선관용 패널보다도 최대 약 1 Kg의 중량 경감을 도모할 수 있고, 유리 벌브에 사용한 경우의 밀봉 부착부 영역의 진공 인장 응력은 모두 기준치의 8.4 MPa를 하회하는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또한, 본 발명의 음극선관용 패널은 샘플 1의 종래의 음극선관용 패널보다도 성형 직후의 스커트부의 넘어짐 변형량이 억제되었다.
샘플 10 내지 14는 비교예를 나타내고 있고, 샘플 10 내지 12에서는 종래예의 샘플 1보다 경량화되어 있지만, 진공 인장 응력은 8.4 MPa보다 작게 할 수 없었다. 또한, 비교예의 샘플 13 및 14에서는 진공 인장 응력은 8.4 MPa보다 작아졌지만, 중량은 종래예의 샘플 1보다 경량화할 수 없었다.
도6은 표2의 데이터를, 횡축을 t, 종축을 h로 하여 그래프 상에 플롯한 것이다. △ 표시는 샘플 1의 종래예, ○ 표시는 유리 벌브에 필요한 원하는 기계적 강도와 경량화가 달성된 샘플 2 내지 9의 본 발명의 유리 패널을 나타내고 있고, × 표시는 유리 벌브에 필요한 원하는 기계적 강도와 경량화 중 적어도 한 쪽이 달성되지 않은 샘플 10 내지 14의 비교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6에 도시되어 있는 점선은 각각 h=0.07D, h=0.11D, t=0.015D, t=0.025D, t×h=(D/25.4)2, t×h=(D/25.4+3)2의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다.
표3은 유리 패널의 대각축 방향의 유효 화면 직경(D)이 760 mm(32 인치)이고 종횡비가 16 : 9이며, 페이스부 중앙 두께가 19.O mm이고 페이스부 외면의 최소 평균 곡률 반경이 1OO,OOO mm인 음극선관용 패널에 관한 데이터이다.
표3에 있어서, 샘플 2 내지 8로서 나타낸 본 발명의 음극선관용 패널은 샘플 1의 종래의 음극선관용 패널보다도 최대 약 1.9 Kg의 중량 경감을 도모할 수 있고, 유리 벌브에 사용한 경우의 밀봉 부착부 영역의 진공 인장 응력은 모두 기준치의 8.4 MPa를 하회하는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또한, 본 발명의 음극선관용 패널은 샘플 1의 종래의 음극선관용 패널보다도 성형 직후의 스커트부의 넘어짐 변형량이 억제되었다.
샘플 9 내지 13은 비교예를 나타내고 있고, 샘플 9 내지 11에서는 종래예의샘플 1보다 경량화되어 있지만, 진공 인장 응력은 8.4 MPa보다 작게 할 수 없었다. 또한, 비교예의 샘플 12 및 13에서는 진공 인장 응력은 8.4 MPa보다 작아졌지만, 중량은 종래예의 샘플 1보다 경량화할 수 없었다.
도7은 표3의 데이터를, 횡축을 t, 종축을 h로 하여 그래프 상에 플롯한 것이다. △ 표시는 샘플 1의 종래예, ○ 표시는 유리 벌브에 필요한 원하는 기계적 강도와 경량화가 달성된 샘플 2 내지 8의 본 발명의 유리 패널을 나타내고 있고, × 표시는 유리 벌브에 필요한 원하는 기계적 강도와 경량화 중 적어도 한 쪽이 달성되지 않은 샘플 9 내지 13의 비교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7에 도시되어 있는 점선은 각각 h=0.08D, h=0.11D, t=0.015D, t=0.020D, t×h=(D/25.4)2, t×h=(D/25.4+2.5)2의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다.
표4는 유리 패널의 대각축 방향의 유효 화면 직경(D)이 860 mm(36 인치)이고 종횡비가 16 : 9이며, 페이스부 중앙 두께가 20 mm이고 페이스부 외면의 최소 평균 곡률 반경이 50,000 mm인 음극선관용 패널에 관한 데이터이다.
표4에 있어서, 샘플 2 내지 8로서 나타낸 본 발명의 음극선관용 패널은 샘플 1의 종래의 음극선관용 패널보다도 최대 약 2 Kg의 중량 경감을 도모할 수 있고, 유리 벌브에 사용한 경우의 밀봉 부착부 영역의 진공 인장 응력은 모두 기준치의 8.4 MPa를 하회하는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또한, 본 발명의 음극선관용 패널은 샘플 1의 종래의 음극선관용 패널보다도 성형 직후의 스커트부의 넘어짐 변형량이 억제되었다.
샘플 9 내지 13은 비교예를 나타내고 있고, 샘플 9 내지 11에서는 종래예의 샘플 1보다 경량화되어 있지만, 진공 인장 응력은 8.4 MPa보다 작게 할 수 없었다. 또한, 비교예의 샘플 12 및 13에서는 진공 인장 응력은 8.4 MPa보다 작아졌지만, 중량은 종래예의 샘플 1보다 경량화할 수 없었다.
도8은 표4의 데이터를, 횡축을 t, 종축을 h로 하여 그래프 상에 플롯한 것이다. △ 표시는 샘플 1의 종래예, ○ 표시는 유리 벌브에 필요한 원하는 기계적 강도와 경량화가 달성된 샘플 2 내지 8의 본 발명의 유리 패널을 나타내고 있고, × 표시는 유리 벌브에 필요한 원하는 기계적 강도와 경량화 중 적어도 한 쪽이 달성되지 않은 샘플 9 내지 13의 비교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8에 도시되어 있는 점선은 각각 h=0.08D, h=0.11D, t=0.015D, t=0.020D, t×h=(D/25.4)2, t×h=(D/25.4+2.5)2의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다.
도5 내지 도8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리 패널의 대각축 방향의 유효 화면 직경 D(mm)가 510 및 600인 것, 즉 D가 대략 500≤D<650인 것에서는 t와 h를, 0.07D≤h≤0.11D, 0.015D≤t≤0.025D인 동시에 (D/25.4)2≤t×h≤(D/25.4+3)2의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유리 벌브에 필요한 원하는 기계적 강도와 경량화가 달성되고, 또한 유리 패널의 대각축 방향의 유효 화면 직경 D(mm)가 760 및 860인 것, 즉 D가 650 이상인 것에서는 t와 h를, 0.08D≤h≤0.11D, 0.015D≤t≤0.020D인 동시에 (D/25.4)2≤t×h≤(D/25.4+2.5)2의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유리 벌브에 필요한 원하는 기계적 강도와 경량화가 달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스커트부의 밀봉 부착 단부면의 유리 두께(t)와 페이스부 중앙 두께를 비교하면, 스커트부의 밀봉 부착 단부면의 유리 두께(t) 쪽이 얇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커트부의 밀봉 부착 단부면의 유리 두께(t)는 음극선관용 패널의 페이스부 중앙 두께보다 얇아도 원하는 기계적 강도가 얻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음극선관용 유리 패널에 따르면, 유리 패널의 적어도 짧은 축에 있어서의 유리 패널 내면의 유효 화면 단부와 블렌드 R부와의 접점으로부터 상기 밀봉 부착 단부면까지의 관축 방향 거리(h)와 밀봉 부착 단부면의 유리 두께(t), 및 이들의 곱을 소정의 범위내로 함으로써, 유리 벌브로서의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면서, 스커트부의 단축화에 의해 경량화가 도모되고, 게다가 성형 직후의 스커트부의 변형량을 억제할 수 있다.
샘플 No. 스커트 길이 h(mm) 밀봉 부착 단부면 두께 t(mm) 최대 진공 인장 응력(MPa) 패널 중량(kg)
1 69.0 9.0 4.3 10.8
2 55.0 9.0 5.9 10.3
3 55.0 8.0 7.8 10.0
4 49.0 9.0 7.2 9.9
5 48.0 10.8 6.8 10.5
6 43.0 12.0 6.9 10.6
7 43.0 10.0 8.3 9.8
8 40.0 11.0 8.3 10.0
9 37.0 12.0 8.3 10.3
10 55.0 7.0 8.6 9.7
11 40.0 8.5 8.8 9.6
12 35.0 12.5 8.5 10.4
13 51.0 11.5 6.4 10.8
14 40.0 13.5 6.5 10.9
대각축상 유효 화면 직경 : D = 510 mm
외면 평균 곡률 반경 최소값 : 33,000 mm
페이스부 중앙 두께 : 15 mm
샘플 No. 스커트 길이 h(mm) 밀봉 부착 단부면 두께 t(mm) 최대 진공 인장 응력(MPa) 패널 중량(kg)
1 76.1 9.5 7.0 14.8
2 66.0 9.5 7.5 14.3
3 59.0 9.5 7.9 14.0
4 55.0 12.0 7.8 14.5
5 55.0 10.0 8.2 13.8
6 52.0 11.0 8.3 13.9
7 51.0 13.0 8.3 14.2
8 47.0 14.5 8.0 14.7
9 45.0 13.0 8.3 14.0
10 66.0 8.5 8.8 14.0
11 50.0 10.0 8.6 13.6
12 41.0 14.5 8.6 14.4
13 58.0 12.5 7.6 14.8
14 51.0 15.5 6.4 15.2
대각축상 유효 화면 직경 : D = 600 mm
외면 평균 곡률 반경 최소값 : 30,000 mm
페이스부 중앙 두께 : 14.8 mm
샘플 No. 스커트 길이 h(mm) 밀봉 부착 단부면 두께 t(mm) 최대 진공 인장 응력(MPa) 패널 중량(kg)
1 85.5 11.5 7.2 26.0
2 81.5 11.5 7.5 25.6
3 75.0 12.0 7.7 25.1
4 74.0 13.5 7.3 25.7
5 70.0 13.0 7.9 25.2
6 68.0 14.7 7.5 25.9
7 65.0 14.0 8.3 25.2
8 62.0 14.5 8.3 25.2
9 81.5 10.5 8.6 25.4
10 67.0 12.5 8.4 24.7
11 57.0 15.0 8.6 25.0
12 77.0 14.5 6.9 27.0
13 68.0 16.0 6.9 26.5
대각축상 유효 화면 직경 : D = 760 mm
외면 평균 곡률 반경 최소값 : 100,000 mm
페이스부 중앙 두께 : 19.0 mm
샘플 No. 스커트 길이 h(mm) 밀봉 부착 단부면 두께 t(mm) 최대 진공 인장 응력(MPa) 패널 중량(kg)
1 97.2 13.5 7.4 37.0
2 93.3 13.5 7.7 36.5
3 85.1 13.5 8.0 35.6
4 84.0 15.0 7.9 36.5
5 79.8 14.5 8.2 35.0
6 78.0 16.5 7.3 36.8
7 76.9 15.5 8.3 36.0
8 73.0 16.0 8.3 35.5
9 93.3 12.0 9.2 35.4
10 74.0 14.5 8.5 34.7
11 65.0 17.0 8.6 35.0
12 85.0 16.0 7.0 37.2
13 78.0 18.0 7.0 37.2
대각축상 유효 화면 직경 : D = 860 mm
외면 평균 곡률 반경 최소값 : 50,000 mm
페이스부 중앙 두께 : 20 mm

Claims (3)

  1. 직사각형의 페이스부와, 상기 페이스부의 주위 모서리로부터 블렌드 R부를 거쳐서 연결되고 깔때기부와 접합하기 위한 밀봉 부착 단부면을 갖는 스커트부로 이루어지는 음극선관용 유리 패널에 있어서, 상기 유리 패널의 대각축 방향의 유효 화면 직경 D(mm)가 500≤D<650, 페이스부 외면의 평균 곡률 반경이 페이스부 중앙을 통과하는 어떠한 방사 방향에 있어서도 1O,OOO mm 이상이며, 또한 상기 유리 패널의 적어도 짧은 축에 있어서의 유리 패널 내면의 유효 화면 단부와 블렌드 R부와의 접점으로부터 상기 밀봉 부착 단부면까지의 관축 방향 거리 h(mm)와, 밀봉 부착 단부면의 유리 두께 t(mm)가, 0.07D≤h≤0.11D, 0.015D≤t≤0.025D인 동시에 (D/25.4)2≤t×h≤(D/25.4+3)2이 되는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유리 패널.
  2. 직사각형의 페이스부와, 상기 페이스부의 주위 모서리로부터 블렌드 R부를 거쳐서 연결되고 깔때기부와 접합하기 위한 밀봉 부착 단부면을 갖는 스커트부로 이루어지는 음극선관용 유리 패널에 있어서, 상기 유리 패널의 대각축 방향의 유효 화면 직경 D(mm)가 650 이상, 페이스부 외면의 평균 곡률 반경이 페이스부 중앙을 통과하는 어떠한 방사 방향에 있어서도 1O,OOO mm 이상이며, 또한 상기 유리 패널의 적어도 짧은 축에 있어서의 유리 패널 내면의 유효 화면 단부와 블렌드 R부와의 접점으로부터 상기 밀봉 부착 단부면까지의 관축 방향 거리 h(mm)와, 밀봉 부착 단부면의 유리 두께 t(mm)가, 0.08D≤h≤0.11D, 0.015D≤t≤0.020D인 동시에 (D/25.4)2≤t×h≤(D/25.4+2.5)2이 되는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유리 패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착 단부면의 유리 두께는 상기 음극선관용 유리 패널의 페이스 중앙부의 두께보다도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유리 패널.
KR10-2000-7009489A 1998-12-28 1999-12-21 음극선관용 유리 패널 KR1004381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373361 1998-12-28
JP37336198 1998-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3774A KR20010083774A (ko) 2001-09-01
KR100438129B1 true KR100438129B1 (ko) 2004-07-02

Family

ID=18502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9489A KR100438129B1 (ko) 1998-12-28 1999-12-21 음극선관용 유리 패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417613B1 (ko)
JP (1) JP3339680B2 (ko)
KR (1) KR100438129B1 (ko)
WO (1) WO20000412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8760A (ja) 2001-01-25 2002-10-11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陰極線管用ガラスパネル
US6680567B2 (en) 2001-03-12 2004-01-20 Asahi Glass Company, Limited Glass bulb for a cathode ray tube and cathode ray tube
KR100864637B1 (ko) * 2002-08-07 2008-10-23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음극선관용 평면패널
CN100343940C (zh) * 2002-10-02 2007-10-17 Lg.菲利浦显示器公司 具有减少深度的阴极射线管
KR100869793B1 (ko) * 2003-02-10 2008-11-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면 음극선관
US20050052112A1 (en) * 2003-09-05 2005-03-10 Kim Sung Hun Color cathode ray tube
US7291964B2 (en) * 2003-09-05 2007-11-06 Lg. Philips Displays Korea Co., Ltd. Color cathode ray tube
KR100755312B1 (ko) * 2005-03-14 2007-09-05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각 평면 음극선관의 패널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4856U (ko) * 1976-06-29 1978-01-17
US5536995A (en) * 1993-11-16 1996-07-16 Asahi Glass Company Ltd. Glass bulb for a cathode ray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3442975B2 (ja) * 1996-09-18 2003-09-02 株式会社東芝 陰極線管装置
JP3520695B2 (ja) * 1996-10-30 2004-04-19 旭硝子株式会社 陰極線管用ガラスバルブ
JPH10223159A (ja) * 1997-02-06 1998-08-21 Hitachi Ltd カラー陰極線管
JP3557828B2 (ja) * 1997-02-06 2004-08-25 旭硝子株式会社 陰極線管用パネルガラス
JPH10241604A (ja) * 1997-02-27 1998-09-11 Asahi Glass Co Ltd 陰極線管用ガラスパネル
JP3376260B2 (ja) * 1997-11-14 2003-02-10 株式会社東芝 陰極線管装置
US6236151B1 (en) * 1998-03-26 2001-05-22 Asahi Glass Company Ltd. Glass panel for an implosion-protected type cathode ray tu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3774A (ko) 2001-09-01
US6417613B1 (en) 2002-07-09
JP3339680B2 (ja) 2002-10-28
WO2000041204A1 (fr) 2000-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17455B1 (en) Color picture tube
US6121723A (en) Glass panel for a CRT having a strengthened flat face portion
KR100353185B1 (ko) 음극선관용유리벌브
KR100438129B1 (ko) 음극선관용 유리 패널
US5547409A (en) Manufacturing method of picture tube
KR100416355B1 (ko) 음극선관용 유리 벌브
KR100389542B1 (ko)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KR100289434B1 (ko) 음극선관용 보강밴드
KR20030072934A (ko) 음극선관용 펀넬구조
KR20030026902A (ko) 음극선관용 유리 벌브 및 음극선관
KR100382855B1 (ko) 음극선관
KR0177121B1 (ko) 브라운관의 패널
KR100510622B1 (ko) 음극선관의 글라스 구조
KR960001830Y1 (ko) 브라운관의 방폭밴드
CN100370575C (zh) 彩色阴极射线管
KR100470339B1 (ko) 칼라 음극선관
JPH0364981B2 (ko)
KR100447649B1 (ko) 칼라 음극선관
CN1236469C (zh) 彩色阴极射线管
KR0113523Y1 (ko) 음극선관의 보강밴드
KR20020086499A (ko) 음극선관용 유리퍼넬 및 음극선관용 유리벌브
JPH04242054A (ja) ハイビジョン陰極線管用ガラスパネル
JPS63292550A (ja) 受像管の製造方法
KR20000039263A (ko) 평면 브라운관용 밴드
JPH01149343A (ja) 受像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