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7961B1 - 낚시용양축받이형릴 - Google Patents

낚시용양축받이형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7961B1
KR100437961B1 KR1019960051648A KR19960051648A KR100437961B1 KR 100437961 B1 KR100437961 B1 KR 100437961B1 KR 1019960051648 A KR1019960051648 A KR 1019960051648A KR 19960051648 A KR19960051648 A KR 19960051648A KR 100437961 B1 KR100437961 B1 KR 100437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fishing
spool
thumb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1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2380A (ko
Inventor
도모히로 무라야마
도시로 오노
신이치 아사노
Original Assignee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32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2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7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79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실제 낚시할때에 있어서, 손에 쥐는 유지성의 향상을 꾀한 낚시용양축받이형릴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릴본체(1)를 손에 쥐고 유지하였을 때에, 스풀(3)윗쪽의 릴본체(1)의 측판(2a,2b)사이에, 엄지 손가락의 선단복부가 접촉가능한 전방 손가락걸이부(50)를 형성하고, 또한 스풀(3)의 후방의 릴본체(1)의 측판(2a,2b)사이에 엄지 손가락의 밑동아리부가 접촉 가능한 후방 손가락걸이부(55)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낚시용 양축받이형 릴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낚시용 양축받이형 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상기한 낚시용 양축받이형 릴은 릴본체의 측판사이에 스풀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 구성이고, 통상, 실제 낚시할때에 릴본체의 반핸들측의 측판을 손에 쥐고 유지하였을 때, 그 엄지 손가락을 얹을 수 있도록, 예컨대, 일본 실개평 4-21262호나 실개평 4-117576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 같은 손가락 닿음부재를 릴본체의 측판사이에 설치하고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져 하는 과제)
상기한 낚시용 양축받이형 릴은 실제 낚시할때에 있어서, 핸들과 반대측의 측판을 손에 쥐고 유지한다. 이 경우, 엄지 손가락을 상기 손가락 닿음 부재에 접촉시킨 상태로 핸들과 반대측의 측판을 손에 쥐고 유지하게 되지만, 상기한 것 같은 종래의 낚시용 양축받이형 릴은, 실제 낚시할때에 있어서 손에 쥐는 유지성을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고, 엄지손가락을 상기 손가락 닿음부재에 접촉시킨 상태로서는, 릴전체를 깊고 충분히 유지할 수가 없다. 이때문에, 릴본체는 주로, 스냅동작을 할 때의 손목의 회동위치로부터 떨어진 손끝측의 유지력으로 손에 쥐고 유지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물고기가 걸려들 때의 동작을 할 때, 손목의 스냅을 잘 맞춘 신속한 동작을 하기 어렵다. 또한, 실제 낚시할때에 있어서, 릴본체의 손에 쥐는 유지상태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낚시줄의 권취조작을 할 때 또는 방출동작(캐스팅동작)을 할 때의 조작성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은, 실제 낚시할때에 있어서, 그 손에 쥐는 유지성의 향상을 꾀한 낚시용 양축받이형 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위한 수단)
본 발명은, 종래에는 없는 새로운 구성의 낚시용 양축받이형 릴이고, 릴전체를 깊고 충분히 손에 쥐고 유지할 수가 있도록, 엄지 손가락이 얹어지는 손가락 걸이부 및/또는 반핸들측의 측판의 형상에 특징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릴본체를 손에 쥐고 유지하였을 때에, 스풀 윗쪽의 릴본체의 측판사이에 엄지 손가락의 선단복부가 접촉가능한 전방 손가락걸이부를 형성하고, 또한 스풀후방의 릴본체의 측판사이에 엄지 손가락의 밑동아리부가 접촉가능한 후방 손가락걸이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릴본체의 측판사이에 전방 손가락걸이부를 형성하고, 또한 후방 손가락걸이부를 형성한 것에 의해, 릴본체를 엄지 손가락의 밑동아리부분내지 엄지손가락의 둥근영역을 충분히 활용하여 손바닥의 안에서 릴본체를 확실히 손에 쥐고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릴본체의 반핸들측의 측판의 형상을, 그 높이가 스풀장착부분으로 부터 후방으로 향하여 끝이 가는 모양이 되도록 구성하고, 및/또는 스풀장착영역에서 후방으로 향하여, 그 외벽면이 핸들측의 측판방향으로 경사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릴본체를 손에 쥐고 유지하는 측의 측판을 상기한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릴본체 전체를, 손바닥의 안에 감싸도록 하여 깊게 손에 쥐고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본 발명은 여러가지 형식의 낚시용 양축받이형 릴에 적용할 수가 있지만, 본실시의 형태로서는, 본 출원인이 전번의 출원(일본 특원평 7-75671호)에 있어서 제안하고 있는 레벨 와인드장치의 트래버스축을 스풀의 후방측에 설치한 형식의 낚시용 양축받이형 릴에 따라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는 낚시용 양축받이형 릴(이하, 양축릴이라고 칭하다)의 1구성예를 개시한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내는 양축릴의 측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나타내는 양축릴을 손에 쥐고 유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4도는 제1도에 나타내는 양축릴의 부분단면도, 그리고, 제5도는 제1도에 나타내는 양축릴의 외형부분을 분해한 평면도이다.
릴본체(1)의 플레임(1a)에 부착된 좌우측판(2a,2b)(핸들측의 측판(2a), 반핸들측의 측판(2b))사이에는, 스풀(3)을 부착한 스풀축(3a)이 축받이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축(3a)의 일단측에는 피니언(5)이 축방향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피니언(5)은, 핸들(7)을 구비하는 핸들축(7a)에 부착된 구동 톱니바퀴(9)와 맞물림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핸들(7)을 회전조작하면, 스풀(3)은 구동 톱니바퀴(9) 및 피니언(5)을 통해 회전구동된다.
상기 피니언(5)에는 원주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부분에 클러치판(10)이 걸어맞춤하고 있다. 이 클러치판(10)은 측판(2a)측의 플레임(1a)의 표면에서 돌출하는 클러치전환 레버(13)의 조작에 의해서 축방향으로 미끄럼이동되고, 이것에 의해 상기 피니언(5)은 축방향으로 미끄럼이동 한다. 피니언(5)이 축방향으로 미끄럼이동하는 것에 의해, 핸들(7)로부터의 회전구동력이 스풀(3)에 전달되고 (클러치 ON: 낚시줄감기상태), 또는 그 전달이 단락된다(클러치 OFF: 낚시줄방출상태). 이러한 클러치기구는 종래부터 공지이고, 그 클러치전환 레버의 부착위치, 조작방향등은 여러가지로 변형할 수가 있지만, 릴본체를 손에 쥐고 유지한 상태로 클러치전환조작을 할 수 있도록, 본실시의 형태로서는, 엄지 손가락의 선단측이 위치하는 근방으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조작할 수 있도록 배치, 구성되어 있다.
스풀(3)의 후방측, 즉 낚시줄 인출방향과 반대측의 좌우측판(2a,2b)사이에는, 외주면에 트래버스홈이 형성된 레벨 와인드장치의 구동축(15)(이하, 트래버스축)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트래버스축(15)의 핸들측의 단부에는 상기 핸들축(7a)에 부착된 구동 톱니바퀴(9)와 맞물림하는 기어(도시하지 않음)가 부착되어 있고, 트래버스축(15)은 핸들(7)의 회전조작에 의해서 회전구동된다. 이 트래버스축(15)은 좌우측판(2a,2b)사이에 부착되어 있고 하면측에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긴 구멍이 형성된 안내통(20)내에 수용되어 있고, 그 내부에서 회전구동한다.
안내통(20)의 외주부에는, 이것을 포위 축방향으로 미끄럼이동가능한 구동체(22)가 배치되고 있다. 이 구동체(22)는 상기 안내통(20)에 형성된 긴 구멍을 통해 트래버스축(15)의 트래버스홈과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자를 수용하고 있고, 트래버스축(15)이 회전구동되는 것에 따라 구동체(22)는 축방향에 따라서 좌우로 미끄럼이동한다.
스풀(3)의 아래 쪽의 좌우측판(2a,2b)사이에는, 릴본체(1)를 낚시대에 부착하는 대부착부(30)가 설치된다. 이 대부착부(30)에는, 스풀(3)의 아래 쪽에서, 제4도에 도시한 것처럼 스풀(3)의 전후로 걸치어 연장하여 굴곡하는 판상의 작동체(33)의 중심부가 칼라(35) 및 칼라(35)내에 배치된 지지축(37)에 의해서 피봇되어 있다. 작동체(33)의 후단측은 상기 구동체(22)와 걸어맞춤하고 있고, 또한, 전단측에는 스풀(3)에 두루 감아지고 있는 낚시줄(S)를 끼워 통과하는 낚시줄 안내구멍(41)을 가지는 낚시줄 안내체(40)가 설치된다. 이 낚시줄 안내체(40)는 안정된 상태로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좌우측판(2a,2b)사이에 부착된 안내축(45)에 지지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핸들(7)을 회전조작하면 스풀(3)은 회전구동되고, 또한 트래버스축(15)도 회전구동된다. 트래버스축(15)의 회전구동에 의해, 상기 구동체(22)는 트래버스축에 따라서 왕복운동되고, 이것에 부착된 작동체(33)는 중심의 지지축(37)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각도 회동된다. 이 작동체(33)의 회동동작에 따라서 낚시줄 안내체(40)는 안내축(45)에 따라서 왕복운동되기 때문에, 낚시줄(S)는 스풀(3)에 평행하게 두루 감아진다.
상기한 릴본체(1)의 좌우측판(2a,2b)사이의 스풀(3)의 윗쪽부분에는, 릴본체를 손에 쥐고 유지하였을때, 엄지 손가락의 선단복부가 접촉가능한 전방손가락 걸이부(50)가 설치된다. 또한, 릴본체(1)의 좌우측판(2a,2b)사이의 스풀(3)의 후방부분에는, 릴본체를 손에 쥐고 유지하여, 엄지 손가락의 선단복부를 상기 전방 손가락걸이부(50)에 접촉시키었을 때에, 엄지 손가락의 밑동아리부분이 접촉가능해지는 후방 손가락걸이부(55)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좌우측판(2a,2b)사이에, 상기한 위치로 엄지 손가락이 접촉가능해지는 손가락 걸이부(50,55)를 설치하는 것에 따라, 실제로 릴본체(1)를 손에 쥐고유지하였을 때, 엄지 손가락의 밑동아리 부분으로 부터 엄지둥근부분에 이르는 영역을 활용하여 릴본체(1)를 손에 쥐고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릴본체는 스냅동작이 이루어지는 손목의 회동위치로부터 가까운 위치로 확실히 유지된 상태가 되기때문에, 실제로 물고기가 걸릴때에 안정된 상태로, 신속히 스냅동작에 의해서 알맞은 동작을 할 수 있다. 또한, 릴본체는 안정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낚시줄방출 및 감기때에 있어서의 조작성이 용이하게 된다. 또, 도면에 나타낸 실시의 형태로서는, 전방 손가락걸이부(50)는 스풀(3)의 윗쪽부분으로, 또한 스풀축(3a)보다도 상당히 전방에 설치된다. 이것은 소형의 릴에 알맞은 구성이고, 릴본체 전체를 깊게 손에 쥐고 유지할 수가 있다.
전방 손가락걸이부(50)와 후방 손가락걸이부(55)와의 사이는 개구한 상태가 되고 있고, 이 개구부분을 통해 낚시줄이 두루 감아진 스풀(3)에 엄지 손가락을 닿아서 제동을 걸기도 하고, 또는 백래쉬가 생긴 경우의 낚시줄 조작이 가능해지고 있다.
전방 손가락걸이부(50) 및 후방 손가락걸이부(55)의 형상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없지 만, 실제로 전방 손가락걸이부(50)와 후방 손가락걸이부(55)에 엄지 손가락을 얹어 놓아 릴본체를 깊게 손에 쥐고 유지하면 엄지 손가락은 제1도의 2점긴점선으로 도시한 것처럼, 그 앞단측이 핸들측에 경사한다. 따라서, 전방 손가락걸이부(50) 및 후방손가락걸이부(55)는, 도면의 선(P)에 따라서 엄지 손가락이 얹어 놓기 쉬운 것 같은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방 손가락걸이부(50) 및 후방 손가락걸이부(55)에 엄지 손가락을 얹어 놓으면, 그 앞단부에서 밑동아리부분에 이르는 복부는, 제3도의 2점긴점선으로 도시한 것처럼 원호상이 된다. 이것 때문에, 전방 손가락걸이부와 후방 손가락걸이부의 각각의 안쪽부에, 그와 같은 엄지손가락의 복부와 정합하도록, 제4도에 나타내는 것 같이 안쪽으로 향하여 경사하는 엄지손가락 유지부(50a,55a)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엄지손가락 유지부(50a,55a)를 형성함으로써, 엄지손가락의 위치가 안정되고, 릴본체 전체의 손에 쥐는 유지성이 보다 향상된다.
상기한 전방 손가락걸이부(50)(엄지 손가락유지부(50a)) 및 후방손가락 걸이부(55)(엄지손가락 유지부(55a))는, 제5도에 도시한 것처럼, 조립공정이 용이하게 되도록, 릴본체(1)의 플레임(1a)과 같이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전방손가락 걸이부(50) 및 후방 손가락걸이부(55)가 형성된 플레임(1a)에는, 도면에 도시한 것처럼, 핸들측의 측판(2a) 및 반핸들측의 측판(2b)이 부착된다.
또, 반핸들측의 측판(2b)은 백래쉬가 생긴 때에, 낚시줄의 조작을 할수 있도록, 플레임(1a)에서 용이하게 떼기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로서는, 플레임(1a)에 형성되는 후방 손가락걸이부(55)는 손가락 얹는 커버(55b)가 부착할 수 있도록, 다소 오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손가락 얹는 커버(55b)는 연질수지, 고무재등의 연질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손가락 얹는 커버(55b)를 부착하는 것에 의해, 엄지 손가락을 얹어 놓았을 때의 조화감각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더욱이 본실시의 형태로서는 이하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릴본체 전체를 손바닥의 안에서 깊게 감쌀 수 있도록, 반핸들측의 측판(2b)의 형상에 특징을 갖게 하여, 더욱 손에 쥐는 유지성의 향상을 꾀하고 있다.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것처럼, 반핸들측의 측판(2b)은 그 높이가 스풀장착영역에서 후방으로 향하여 끝이 가는 모양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반핸들측의 측판은 상술한 실개평4-21262호나 실개평4-117576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 같이, 거의 스풀축을 중심으로한 원호형상이기 때문, 그 외주부가 손바닥에 접촉하여 손바닥 깊이 손에 쥐고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지만, 본실시의 형태로서는, 도면에 도시한 것처럼, 스풀장착영역에서 후방으로 향하여 끝이 가는 모양으로 구성한 것에 의해, 손바닥의 속으로 깊게 손에 쥐고 유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손가락 걸이부재(50,55)에 엄지 손가락을 얹었을 때, 높이방향에서, 측판(2b)을 손바닥의 안에 깊게 손에 쥐고 유지 할 수가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끝이 가는 모양이 바람직한 범위를 제2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스풀축심(O)의 부분에서의 측판(2b)의 높이를 h1로 하여, 스풀축심(O)보다 후방으로 l만큼 변위한 부분의 높이를 h2로 한 경우, l=0.6xh1의 위치에서의 h2에 대하는 h1의 비율(h2/h1)은, 10%∼90%의 범위에 설정된다.
이러한 범위에 설정하는 것은, h2/h1가 90%보다도 크면, 측판(2b)의 높이방향의 두께가 증가하고, 장시간 사용하면 손이 피로해지기도 하고, 손에 쥐기 어렵기 때문이고, 또한, h2/h1가 10%보다도 작으면, 릴후부의 손에 쥐는 범위가 좁게 되기 때문에 손바닥전체로 릴 본체를 쥐기 어렵게 되어, 서밍등의 조작성이 나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제1도에 도시한 것처럼, 반핸들측의 측판(2b)의 외벽면은, 스풀장착영역에서 후방으로 향하여 핸들측의 측판방향으로 경사하고 있고, 그 폭방향에서도 스풀장착부분으로부터 후방에 향하여 끝이 가는 모양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높이방향뿐만 아니라, 폭방향에서도 측판(2b)을 손바닥 속으로 깊게 손에 쥐고 유지할 수가 있다. 본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폭방향에서의 끝이 가는 모양의 바람직한 범위는 스풀축의 부분에서의 측판(2a,2b)사이의 폭을 W1로 하고, 스풀축보다 후방으로 하여 L만큼 변위한 부분의 폭을 W2로 한 경우, L=0.5xW1의 위치에서의 W2에 대하는 W1의 비율(W2/W1)은, 15%∼90%의 범위에서 설정된다.
이러한 범위에 설정하는 것은, W2/ W1이 15%보다도 작으면, 엄지 손가락 둥근부분으로 확실히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이고, W2/ W1가 90%보다도 크면, 릴전체를 손바닥으로 유지하기 조차 어렵고 스풀로의 엄지 손가락에 의한 서밍조작성이 저하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반핸들측의 측판(2b)의 외벽면의 형상을, 스풀장착영역을 중심으로 하고, 상하방향에서도 폭이 점차로 좁게되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측판(2b)을, 상하방향에 있어서도 폭이 점차로 좁게되도록 구성하면, 측판(2b)의 외벽면은 거의 계란형상이 되기 때문에, 제3도에 도시한 것처럼, 집게 손가락으로 측판(2b)의 하부를 유지하기 쉽게 되고, 릴본체 전체를, 집게 손가락및 엄지 손가락을 활용하여 손바닥의 안에 깊게 감싸도록 하여 손에 쥐고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상술한 반핸들측의 측판(2b)의 높이방향, 폭방향, 상하방향에 관한 형상은, 상술한 전방 손가락걸이부(50) 및 후방 손가락걸이부(55)을 형성하지 않고, 통상의 양축릴에 적용하더라도, 그 손에 쥐는 유지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어느 한 방향만을 상기한 바와같이 끝이 가는 모양(폭이 좁은 모양)으로 구성하고, 또는 어느 한 방향만을 상기한 바와같이 끝이 가는 모양(폭이 좁은 모양)으로 구성하고 또한 전방 손가락 걸이부(50) 및 후방 손가락걸이부(55)을 형성하더라도, 양축릴의 손에 쥐는 유지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 상술한 끝이 가는 모양(폭이 좁은 모양)이라는 것은, 스풀이 장착되는 영역을 중심으로 하여 단부영역으로 향하여 최종적으로 치수가 감소하면 좋은 것이고, 손에 쥐고 유지하기 쉬우면, 그 중간부분에 다소의 요철이 있더라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것 같은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가지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전방 손가락걸이부(50) 및 후방 손가락걸이부(55)의 형상은, 그것들에 의해서 형성되는 개구부가 제6도에 나타내는 것 같은 형상이 되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a)에 나타내는 변형예는, 개구부의 형상이, 얹어지는 엄지 손가락과 거의 일치하도록 전방 손가락걸이부(50) 및 후방 손가락걸이부(55)를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얹어지는 엄지 손가락의 위치가 안정되기 때문에, 릴본체를 확실히 유지한 상태로 캐스팅동작등을 안정되어 행할 수 있다. 또한, (b)에 나타내는 변형예는, (a)에 나타낸 개구부의 형상이 더욱 반핸들측으로 향하여 넓어지도록 전방손가락 걸이부(50)를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엄지 손가락의 위치의 안정화가 도모되고, 또한 개구부가 커지기 때문에, 서밍동작을 하기 쉽게 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낚시용 양축받이형 릴의 1구성예를 개시한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내는 낚시용 양축받이형 릴의 측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나타내는 낚시용 양축받이형 릴을 손에 쥐고 유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4도는 제1도에 나타내는 낚시용 양축받이형 릴의 부분단면도,
제5도는 제1도에 나타내는 낚시용 양축받이형 릴을 분해한 평면도,
제6도(a) 및 (b)는 각각 제1도에 나타내는 낚시용 양축받이형 릴의 변형예를 개시하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릴본체 1a: 플레임 2a: 핸들측의 측판
2b: 반핸들측의 측판 3: 스풀 7: 핸들
15: 트래버스축 40: 낚시줄안내체 50: 전방 손가락걸이부
50a: 엄지 손가락유지부 55: 후방 손가락걸이부
55a: 엄지 손가락유지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실제 낚시할때에 있어서, 낚시용 양축받이형 릴의 손에 쥐는 유지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기 때문에, 낚시줄의 방출동작 및 낚시줄의 감기조작을 안정되게 행할수 있고, 또한, 물고기가 걸린때에 알맞은 동작을 안정되게 신속히 행할 수 있다.

Claims (6)

  1. 릴본체의 측판사이에 스풀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여 이루어지는 낚시용 양축받이형 릴에 있어서,
    상기 릴본체를 손에 쥐고 유지하였을 때에, 엄지 손가락의 선단복부가 접촉가능한 전방 손가락걸이부를 상기 스풀 윗쪽의 릴본체의 측판사이에 형성하고, 또한 엄지 손가락의 밑동아리부가 접촉가능한 후방 손가락걸이부를 상기 스풀후방의 릴본체의 측판사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양축받이형 릴.
  2. 제1항에 있어서, 핸들이 설치된 측과 반대의 측판을, 그 높이가 스풀장착부분으로부터 후방으로 향하여 끝이 가는 모양이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양축받이형 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핸들이 설치된 측과 반대의 측판의 외벽면을, 스풀장착영역에서 후방으로 향하여 핸들측의 측판방향으로 경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양축받이형 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손가락걸이부와 후방 손가락걸이부의 각각의 안쪽부에, 반핸들측의 측판을 손에 쥐고 유지하였을 때, 엄지 손가락의 복부가 정합하도록, 안쪽으로 향하여 경사하는 엄지 손가락 유지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양축받이형 릴.
  5. 릴본체의 측판사이에 스풀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여 이루어지는 낚시용 양축받이형 릴에 있어서, 핸들이 설치된 측과 반대의 측판을, 그 높이가 스풀장착부분으로부터 후방으로 향하여 끝이 가는 모양이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양축받이형 릴.
  6. 릴본체의 측판사이에 스풀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여 이루어지는 낚시용 양축받이형 릴에 있어서, 핸들이 설치된 측과 반대의 측판의 외벽면을, 스풀장착영역에서 후방으로 향하여 핸들측의 측판방향으로 경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양축받이형 릴.
KR1019960051648A 1995-12-13 1996-11-02 낚시용양축받이형릴 KR1004379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462995A JP3325174B2 (ja) 1995-12-13 1995-12-13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JP95-324629 1995-1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2380A KR970032380A (ko) 1997-07-22
KR100437961B1 true KR100437961B1 (ko) 2004-09-01

Family

ID=18167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1648A KR100437961B1 (ko) 1995-12-13 1996-11-02 낚시용양축받이형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829701A (ko)
EP (1) EP0779029B1 (ko)
JP (1) JP3325174B2 (ko)
KR (1) KR100437961B1 (ko)
DE (1) DE6960324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3461A (ja) * 1997-10-09 1999-04-27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
US5988548A (en) * 1998-05-14 1999-11-23 Johnson Worldwide Associates Easy hold fishing reel body
US7806355B2 (en) * 2008-02-01 2010-10-05 Ardent Outdoors, Inc. Fishing reel
US8097926B2 (en) 2008-10-07 2012-01-17 Mc10,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having stretchable integrated circuitry for sensing and delivering therapy
JP5427166B2 (ja) * 2010-12-28 2014-02-26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6517466B2 (ja) * 2012-12-28 2019-05-2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295047B2 (ja) * 2013-09-20 2018-03-1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2017176111A (ja) * 2016-03-31 2017-10-05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CN106561590B (zh) * 2016-09-22 2022-07-05 宁波中源欧佳渔具股份有限公司 缓速手刹的渔线轮
JP6846156B2 (ja) * 2016-10-19 2021-03-2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979789B2 (ja) * 2017-05-18 2021-12-1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7039376B2 (ja) * 2018-04-17 2022-03-2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7186633B2 (ja) * 2019-02-13 2022-12-0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TWI813778B (zh) 2019-01-10 2023-09-01 日商島野股份有限公司 雙軸承捲線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1978A (en) * 1986-01-31 1989-04-18 Daiwa Seiko, Inc. Twin-bearing type fishing reel
JP2529109Y2 (ja) * 1989-12-13 1997-03-1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2536093Y2 (ja) * 1990-04-18 1997-05-21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H0771187B2 (ja) * 1990-05-15 1995-07-3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JPH0421262U (ko) 1990-06-14 1992-02-21
JPH04117576A (ja) * 1990-09-07 1992-04-17 Fujitsu Ltd 地図情報処理装置
JPH04117576U (ja) 1991-04-05 1992-10-21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US5308019A (en) * 1993-04-06 1994-05-03 Abu Garcia Produktion Ab Level-wind mechanism in a fishing reel
JP3025172B2 (ja) * 1994-10-03 2000-03-27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糸平行巻き装置
EP0698343A3 (en) * 1994-08-23 1996-06-05 Daiwa Seiko Inc Double bearing fishing re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603245T2 (de) 1999-11-11
US5829701A (en) 1998-11-03
KR970032380A (ko) 1997-07-22
JPH09154450A (ja) 1997-06-17
JP3325174B2 (ja) 2002-09-17
EP0779029A1 (en) 1997-06-18
EP0779029B1 (en) 1999-07-14
DE69603245D1 (de) 199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7961B1 (ko) 낚시용양축받이형릴
KR101188291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릴 본체
KR100471571B1 (ko) 양베어링릴의릴본체
KR19990007293A (ko) 스피닝 릴용 로우터 제동 기구 및 스피닝 릴
EP1500330A1 (en) Dual-bearing reel
JP6026870B2 (ja) 魚釣用リール
CN108013002B (zh) 双轴承型卷线器
US5833155A (en) Double-bearing fishing reel with a level winding device
KR19990010082A (ko) 베이트 케스팅 릴
JP2005323586A (ja)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11177154A (ja) 魚釣用リール
JPH0621338Y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におけるスプール位置調節装置
JP4425077B2 (ja) カップホルダ
JPH09252687A (ja) 魚釣用リール
JP3009999U (ja) 魚釣用リール
JPH1118639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ライダ取付構造
KR200263651Y1 (ko) 양베어링 릴의 백래쉬 방지장치
JP3025172B2 (ja) 釣糸平行巻き装置
TW202410799A (zh) 雙軸承型捲線器
JPH0640612Y2 (ja) 編機における糸案内装置
JP3256127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12161300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H09121730A (ja) 魚釣用リールのクラッチ機構
JP5931831B2 (ja) 魚釣用リール
JPH11123038A (ja) 釣 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