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6662B1 - 어스앵커 - Google Patents

어스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6662B1
KR100436662B1 KR1019960047136A KR19960047136A KR100436662B1 KR 100436662 B1 KR100436662 B1 KR 100436662B1 KR 1019960047136 A KR1019960047136 A KR 1019960047136A KR 19960047136 A KR19960047136 A KR 19960047136A KR 100436662 B1 KR100436662 B1 KR 100436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 anchor
fixing
tensile member
main body
tens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7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8139A (ko
Inventor
도시아키 쓰루미
히로시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주) 코리아에스이
가부시키가이샤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코리아에스이, 가부시키가이샤 에스이 filed Critical (주) 코리아에스이
Priority to KR1019960047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6662B1/ko
Publication of KR19980028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8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6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66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5Ground anchors with deformable anchor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스앵커 및 그 정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인장재(引張材)의 머리부에 방청구를 설치하는 동시에, 선단부에는 파일롯캡과, 둘레면이 테이퍼형의 돌기링을 구비한 정착체(定着體)를 배설하고, 상기 방청구가 상기 인장재의 단부에 접속되는 단부피복재와, 앞면을 압력지지판(支壓板)의 배면측에 밀접하는 신축부 및 압력지지판의 관통공에 삽입하는 랩체를 구비한 방수피복재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앵커, 및 머리부에, 단부피복재와, 앞면이 압력지지판의 배면측에 밀접하는 신축부 및 압력지지판의 관통공에 삽입하는 랩체(wrap)를 구비한 방수피복재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방청구를 설치한 인장재를, 상기 방수피복재가 지상에 돌출하도록 굴삭공에 삽입하는 동시에, 이 굴삭공에 그라우트재를 충전하고, 이 그라우트재가 경화된 후, 굴삭공에 압력지지판을 상기 랩체가 관통공에 삽입하도록 고정하여 상기 인장재를 인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앵커의 정착방법이다.

Description

어스앵커
본 발명은 어스앵커(earth anchor) 및 그 정착방법(定着方法)에 관한 것이다.
통상, 땅속에 정착되는 어스앵커의 머리부에는 녹이 발생하기 쉽고, 그 녹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종의 어스앵커 및 그 정착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일반적인 방청방법은, 인장재(引張材)의 머리부에 인너슬리브(inner sleeve)를 설치하고, 이 인너슬리브와 피복(sheath)재와의 사이에 코킹재를 충전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방청작업이 굴삭공(굴削孔)안에서 행해지고, 더욱이 인너슬리브의 중앙에 뚫린 구멍과, 인장재와의 좁은 공간으로부터 코킹재를 충전하지 않으면 안 되므로 매우 곤란한 작업으로 되어, 코킹재를 빈틈없이 확실하게 충전할 수 없었다. 그러므로 인너슬리브내에 빗물이나 지하수가 침입하는 경우, 여전히 어스앵커 머리부에 녹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어스앵커 머리부의 방청작업을 용이하게 행하는 동시에, 어스앵커 머리부에 빗물이나 지하수가 침입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어스앵커 및 그 정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어스앵커의 단면도.
도 2는 어스앵커의 선단부의 확대단면도.
도 3은 압력지지판(支壓板)을 부착하기 전의 어스앵커 머리부의 확대단면도.
도 4는 압력지지판을 부착한 후의 어스앵커 머리부의 확대단면도.
도 5는 방청구의 확대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어스앵커, B:인장재, C:그라우트재, 2:파일롯캡, 3:정착체(定着體), 3a:돌기링, 4:방청구, 7:압력지지판, 7a:관통공, 10:단부피복재, 11:방수피복재, 13:신축부, 14:랩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어스앵커는, 인장재의 머리부에 방청구를 설치하는 동시에, 선단부에는 파일롯캡과, 둘레면이 테이퍼형의 돌기링을 구비한 정착체를 설치하고, 상기 방청구가 상기 인장재의 단부에 접속되는 단부피복재와, 앞면을 압력지지판의 배면측에 밀접하는 신축부 및 압력지지판의 관통공에 삽입하는 랩체를 구비한 방수피복재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또한, 어스앵커의 정착방법은, 머리부에, 단부피복재와, 압면이 압력지지판의 배면측에 밀접하는 신축부 및 압력지지판의 관통공에 삽입하는 랩체를 구비한 방수피복재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방청구를 설치한 인장재를, 상기 방수피복재가 지상에 돌출하도록 굴삭공에 삽입하는 동시에, 이 굴삭공에 그라우트재를 충전하고, 이 그라우트재가 경화된 후, 굴삭공에 압력지지판을 상기 랩체가 관통공에 삽입되도록 고정하여 상기 인장재를 인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리하여, 상기 구성의 어스앵커는, 인장재의 머리부에 방청구를 설치함으로써, 굴삭공에 압력지지판을 부착하면, 방수피복재가 신축부에 의하여 축소되고, 그 탄성력으로 신축부의 앞면이 압력지지판의 배면에 항상 밀접되는 동시에, 랩체가 압력지지판의 관통공에 삽입되므로, 상기 압력지지판의 배면측으로부터의 침수를 막을 수 있다.
또, 선단부에 설치한 정착체에 의하여, 정착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 머리부에 방수피복재를 구비한 인장재를, 이 방수피복재가 지상에 돌출하도록 삽입하였으므로, 방청처리를 지상에서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압력지지판을 부착할 때에, 방수피복재가 신축부에 의하여 축소되므로, 그 길이를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스앵커는 인장재 본체, 상기 인장재 본체의 머리부에 설치한 방청구 및 상기 인장재 본체의 머리부 반대편의 선단부에 설치한 중공형 정착체 및 파일롯캡을 포함하며, 상기 인장재 본체는 상기 파일롯캡에 연결되어 상기 정착체의 내부를 관통하고, 상기 인장재 본체는 그 외주면이 상기 정착체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정착체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틈을 가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정착체는 그 둘레면에 테이퍼형의 돌기링을 구비한 어스앵커를 특징으로 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어스앵커 A의 단면도이다.
어스앵커 A는 땅속의 굴삭공 h에 충전된 그라우트재 C와, 그 그라우트재 C에 매설(埋設)된 인장재 B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이 인장재 B를 인장시켜 정착함으로써 지반을 지지하는 것이다.
인장재 B는 인장재 본체(1)와, 이 인장재 본체(1)의 선단부에 설치한 파일롯캡(2) 및 정착체(3)와, 인장재 본체(1)의 머리부에 설치한 방청구(4)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인장재 본체(1)는 PC강선 등의 긴장재(5)를 폴리에틸렌제의 피복재(6)로 피복하고, 이들의 사이에 방청오일을 충전하여 형성하고, 상기 긴장재(5)의 머리부에는 상부 맨션(5a)을, 또 선단부에는 하부 맨션(5b)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상부 맨션(5a)은 너트(5c)에 의하여 압력지지판(7)에 고정되는 동시에, 하부 맨션(5b)에는 압력지지링(5e)을 통하여 정착체(3)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또, 상기 상부 맨션(5a)의 후단에는, 긴장재(5)를 피복하는 폴리에틸렌재로 이루어진 랩피복재(9)가 피복재(6)의 내측으로 연장된 상태로 고착되고, 피복재(6) 단부와 방청구(4)와의 접합부 n를 내측으로부터 피복하고 있다.
그리고, 이 랩피복재(9)는 긴장재(5)의 인장에 수반하여, 피복재(6)로부터 방청구(4)에 걸쳐서 슬라이드하여 접합부를 덮음으로써, 긴장재(5)의 인장에 의하여 피복재(6) 단부와 방청구(4)와의 접합부에 간극이 생긴 경우에도, 이 간극을 내측으로부터 피복하여 지하수 등이 피복재(6)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파일롯캡(2)은 굴삭공 h에 인장재 본체(1)를 삽입할 때에, 인장재 본체(1)가 굴삭공 h의 측면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이고, 외면에 링형의 돌기부(2a)를 구비하여 그라우트재 C와의 정착강도를 높이고 있다.
정착체(3)는 압력지지링에 의하여 하부 맨션(5b)에 나사결합되고, 외면에 돌기링(3a)을 적절한 간격마다 구비하고, 이 돌기링(3a)의 둘레면이 테이퍼형으로 형성됨으로써, 그라우트재 C와의 정착강도를 높이는 것이다.
인장재용 방청구(4)는 단부피복재(10)와 방수피복재(11)에 의하여 구성되고, 모두 합성수지로 일체 형성되어 있다.
단부피복재(10)는 관형(管形)으로 형성되고, 앞부 외면에 나사부(10a)를 구비하는 동시에, 후부 외면에는 거친 요철부(10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단부피복재(10)의 후부가 방수튜브(12)를 통하여 긴장재(5)를 피복한 피복재(6)에 연결되고, 앞부의 나사부(10a)에는 방수피복재(11)가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있다.
방수피복재(11)는 나사부(11a)가 상기 단부피복재(10)의 나사부(10a)에 나사결합되어, 압력지지판(7)의 배면에 맞닿도록 설치되고, 상기 나사부(11a)의 단부에지에는 외측으로 확장된 확장부(11b)가 형성되어, 그 나사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또, 방수피복재(11)에는 탄성을 가지는 신축부(13)와, 랩체(14)가 배설되고,이 신축부(13)는 상기 압력지지판(7)의 관통공(7a)보다 직경이 크고, 항상 압력지지판(7)측으로 눌러줌으로써, 방수피복재(11)의 앞면을 압력지지판(7)의 배면에 밀접시켜서 밀봉(seal)하고 있다.
또, 신축부(13)의 앞면에 그 밀봉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밀봉제(13a)가 도포되어 있다.
랩체(14)는 신축부(13)의 앞면에 돌출하여 상기 압력지지판(7)의 관통공(7a)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이 관통공(7a)에 삽입함으로써 상부 맨션(5a)의 나사부(5d)가 압력지지판(7)의 관통공(7a)에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어스앵커 A의 정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처음에 먼저, 땅속에 적절한 깊이의 굴삭공 h을 굴삭한다.
그리고, 인장재 본체(1)의 머리부에 방청구(4)를, 또 선단부에 파일롯캡(2) 및 정착체(3)를 구비한 인장재 A를, 상기 굴삭공 h에 삽입한다.
이 경우, 방수피복재(11)의 상부가 굴삭공 h으로부터 지상으로 돌출하고, 이 상태에서 굴삭공 h내에 그라우트재 C를 주입한다.
다음에, 상기 그라우트재 C가 경화된 후, 굴삭공 h의 상단에 압력지지판(7)을 부착한다.
이 때, 압력지지판(7)의 관통공(7a)에는 신축부(13)에 있는 랩체(14)가 삽입되는 동시에, 신축부(13)의 앞면이 압력지지판(7)의 배면에 항상 밀착되므로, 압력지지판(7)의 배면측이 방수된다.
또, 랩체(14)가 관통공(7a)의 둘레면을 덮으므로, 상부 맨션(5a)의나사부(5d)가 보호된다.
그리고, 인장재 본체(1)의 머리부를 인장잭(jack)(도시하지 않음)으로 인장한 후, 상부 맨션(5a)에 너트(5c)를 나사결합하고, 이 머리부에 앵커캡(15)을 피복하여 어스앵커 A를 정착한다.
인장재의 머리부에 방청구를 설치하는 동시에, 선단부에는 파일롯캡과, 둘레면이 테이프형의 돌기링을 구비한 정착체를 설치함으로써, 어스앵커의 정착강도를 높일 수 있다.
방청구를 인장재의 머리부에 부착하여, 방수피복재를 압력지지판의 배면측에 밀접함으로써, 종래의 압력지지판의 앞면측으로부터의 침수를 막는 것에 더하여 압력지지판의 배면측으로부터의 침수를 막을 수 있다.
방수피복재에 신축부를 설치함으로써, 인장시에 단부피복재가 동시에 들뜨는 것을 흡수할 수 있고, 또한 앵커된 구조물에 큰 변형이 있어도, 인장재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랩체가 압력지지판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관통공의 둘레면을 피복함으로써, 인장시에 있어서의 상부 맨션의 나사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머리부에 방청구를 설치한 인장재를, 상기 방청구에 있어서의 방수피복재가 지상에 돌출하도록 굴삭공에 삽입함으로써, 이 머리부의 방청처리를 지상에서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압력지지판을 부착할 때에, 방수피복재가 신축부에서 축소되므로, 방청구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Claims (1)

  1. 인장재 본체;
    상기 인장재 본체의 머리부에 설치한 방청구; 및
    상기 인장재 본체의 머리부 반대편의 선단부에 설치한 중공형 정착체 및 파일롯캡;
    을 포함하는 어스앵커로서,
    상기 인장재 본체는 상기 파일롯캡에 연결되어 상기 정착체의 내부를 관통하며, 상기 인장재 본체는 그 외주면이 상기 정착체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정착체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틈을 가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정착체는 그 둘레면에 테이퍼형의 돌기링을 구비한 어스앵커.
KR1019960047136A 1996-10-21 1996-10-21 어스앵커 KR100436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7136A KR100436662B1 (ko) 1996-10-21 1996-10-21 어스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7136A KR100436662B1 (ko) 1996-10-21 1996-10-21 어스앵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139A KR19980028139A (ko) 1998-07-15
KR100436662B1 true KR100436662B1 (ko) 2004-08-25

Family

ID=37348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7136A KR100436662B1 (ko) 1996-10-21 1996-10-21 어스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666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629B1 (ko) * 2006-08-11 2007-03-20 광성지엠(주) 그라우팅 주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네일링 장치
KR100844842B1 (ko) 2005-07-29 2008-07-08 신종덕 인장재 제거타입 앵커의 실링구조
KR101366818B1 (ko) 2013-04-25 2014-02-26 주식회사 서하 조립형 영구앵커 및 그 정착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1697B1 (ko) * 2023-04-04 2023-06-13 류근호 앵커두부 밀폐 및 패널캡을 갖는 음각패널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88890A1 (en) * 1984-12-15 1986-07-30 West's Piling and Construction Company Limited Ground anchors
JPH06287947A (ja) * 1992-07-21 1994-10-11 Aasu Tec Kk 耐久性に優れたグランドアンカー
JPH06299552A (ja) * 1993-04-14 1994-10-25 Guraundo Eng Kk グラウンドアンカー頭部の施工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88890A1 (en) * 1984-12-15 1986-07-30 West's Piling and Construction Company Limited Ground anchors
JPH06287947A (ja) * 1992-07-21 1994-10-11 Aasu Tec Kk 耐久性に優れたグランドアンカー
JPH06299552A (ja) * 1993-04-14 1994-10-25 Guraundo Eng Kk グラウンドアンカー頭部の施工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842B1 (ko) 2005-07-29 2008-07-08 신종덕 인장재 제거타입 앵커의 실링구조
KR100697629B1 (ko) * 2006-08-11 2007-03-20 광성지엠(주) 그라우팅 주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네일링 장치
KR101366818B1 (ko) 2013-04-25 2014-02-26 주식회사 서하 조립형 영구앵커 및 그 정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139A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6662B1 (ko) 어스앵커
KR101074293B1 (ko) 압착형 방식구 및 이를 이용한 정착장치, 정착장치 설치방법, 앵커체 및 앵커체 시공방법
JPH10266200A (ja) グラウンドアンカーの造成方法、ロックボルトの造成方法およびそれらの受圧構造物
JP2876056B2 (ja) 新素材地盤永久アンカー
JPH0726388B2 (ja) アースアンカー及びその定着方法
US5622454A (en) Anchor bolt for stabilizing rock strata and method of installing
JPH11350477A (ja) グラウンドアンカ―の地表側定着装置
JPH0741770Y2 (ja) 引張材
JPS61142223A (ja) 永久アンカ−の頭部の防蝕方法
KR100413550B1 (ko) 제거형 앵커정착장치
JPH084498Y2 (ja) 引張材用防錆具
KR980002473A (ko) 신규의 어스앵커공법
JP2987404B2 (ja) 地盤埋設用アンカーの頭部の止水構造
JP3139370U (ja) 亀裂が多い定着地盤設置用アンカー構造
KR200183408Y1 (ko) 앵커
KR200255711Y1 (ko) 어스앵커
JPH0647967Y2 (ja) 止水シース付き支圧板
KR101277730B1 (ko) 앵커용 일체형 정착체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KR20110007765A (ko) 그라운드 앵커체를 위한 인장재 호스의 방수재 고정용 지그 어셈블리
JP2865508B2 (ja) 被圧水下におけるアンカー定着部の止水方法
KR101816643B1 (ko) 영구앵커조립체의 시공방법
JPS62112814A (ja) アンカ−の定着方法
JP2002180464A (ja) 永久アンカーのアンカーテンドン構造およびそのパッカー部材
JP4341746B2 (ja) 芯抜き閉塞ガイドパイプ付きパッカー
JPS61250225A (ja) ア−スアンカ−の防錆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