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3013B1 - 비닐포대의 밀봉구조 - Google Patents

비닐포대의 밀봉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3013B1
KR100433013B1 KR10-2001-0053675A KR20010053675A KR100433013B1 KR 100433013 B1 KR100433013 B1 KR 100433013B1 KR 20010053675 A KR20010053675 A KR 20010053675A KR 100433013 B1 KR100433013 B1 KR 100433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joining
intermediate passage
compressed
p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3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0540A (ko
Inventor
용 택 김
Original Assignee
용 택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 택 김 filed Critical 용 택 김
Priority to KR10-2001-0053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3013B1/ko
Publication of KR20030020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0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3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30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65D33/2508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포대 내에 채워진 내용물은 확실하게 단속하여 주면서 압축 팽창된 내부공기는 자연스럽게 배출시켜 주도록 구성하여서, 입경 크기에 구애됨이 없이 다양한 종류의 내용물을 보다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비닐포대의 밀봉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 비닐포대의 밀봉구조는 2겹의 비닐지(10)의 상,하부에 상부 및 하부 접합단(20)(30)을 형성하되, 상기 상부 및 하부 접합단(20)(30) 중 어느 하나는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접합되는 제1 및 제2 접합띠(1)(2) 사이에 중간통로(3)가 확보되도록 형성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띠(1)는 제2 접합띠(2) 보다 그 폭을 좁게 설정하여서 압축 팽창된 내부공기에 의하여 내압을 작용받으면 터질수 있도록 형성하고, 제1 접합띠(1)와 제2 접합띠(2) 사이의 중간통로(3)와 연통되도록 어느 일측의 비닐지(10)를 뚫어서 배기공(4)을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닐포대의 밀봉구조{Vinyl bag with sealing structure}
본 발명은 쌀, 비료, 사료, 밀가루 등의 내용물을 보다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비닐포대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비닐포대는 2겹의 비닐지의 상, 하부에 각각 띠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부 및 하부 접합단으로 밀봉시켜서, 그 비닐포대 내에 채워진 내용물을 보관하여 줄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비닐포대에 있어 상부 및 하부 접합단은 단순히 띠 형상으로 접합시켜서 밀봉되어 있기 때문에, 유통과정에서 비닐포대 내에서 압축 팽창되는 내부공기에 의하여 상부 및 하부 접합단 중 접합력이 취약한 부위가 터져서 내용물이 유출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원래 비닐포대는 2겹의 비닐지의 하단부에 하부 접합단을 형성하여서 확보된 내부 공간에 비료나 사료 등의 내용물을 채워넣고, 내용물이 채워진 2겹의 비닐지의 상단부에 상부 접합단을 형성하여서 밀봉되도록 하였다. 이때, 밀봉된 비닐포대 내에는 내용물과 함께 일정량의 공기가 채워지기 때문에, 유통과정에서 취급부주의로 비닐포대에 과도한 충격을 가하거나 온도가 상승되면, 그 비닐포대 내의 내부공기가 압축 팽창되면서 상부 및 하부 접합단중에 취약한 부위를 터트려서 손상시키게 되고, 이와 같이 손상된 부위를 통하여 비닐포대 내의 내용물의 무단으로 유출되어서 아깝게 손실되는 문제점을 수반하게 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8-26300호(1996.01.30)에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봉투를 밀봉하기 위한 시일 부분의 한 변에 있어서, 이 시일 부분을 내측 시일(4)과 외측 시일(6)의 이중시일 구조로 형성한 것, 내측 시일(4) 부분의 폭을 1.5∼3.0m/m로 설정함과 동시에 이 내측 시일(4) 부분에는 4∼6m/m 길이의 내측 공기배출공(5)을 1.5∼3.0m/m 간격으로 2∼3개 마련하고, 더욱이 이 내측 공기배출공(5)의 패턴을 20∼40m/m 길이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형성한 것, 외측 시일(6) 부분의 폭을 1.5∼3.0m/m로 설정함과 동시에 이 외측 시일(6) 부분에는 상기 내측 공기배출공(5)과 대향하는 위치에 12∼20m/m 길이의 외측 공기배출공(7)을 형성한 것, 내측 시일(4)과 외측 시일(6)간의 간격을 3∼8m/m로 설정하여서 된 공기배출공이 형성된 쌀봉투"가 출원공개되어 있다.이러한 종래발명은 봉투를 밀봉하기 위한 한 변에 내측 시일(4)와 외측 시일(6)로서 이중시일을 행하며, 내측 시일(4)에는 등간격마다 크기가 작은 2∼3개의 내측 공기배출공(5)들을 형성하고, 외측 시일(6)에는 상기 내측 공기배출공(5)에 대향하도록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외측 공개배출공(7)을 형성하여서, 쌀봉투 내의 공기 빠짐이 좋게 하면서도 쌀봉투 내에 물이나 벌레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발명은 내측 시일(4)과 외측 시일(6)을 직접 뚫어서 내측 및 외측 공기배출공(5)(7)을 형성하게 되고, 그 내측 및 외측 공기배출공(5)(7)은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로 쌀보다 입경이 작은 알갱이 또는 분말로 된 내용물의 경우에 내측 및 외측 공기배출공(5)(7)을 통하여 외부로 쉽게 유출되고, 외부로부터 벌레나 물이 내측 및 외측 공기배출공(5)(7)을 통하여 내부에 침입하게 될 염려가 상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비닐포대 내에 채워진 내용물은 확실하게 단속하여 주면서 압축 팽창한 내부공기는 자연스럽게 배출시켜 주도록 구성하여서, 입경 크기에 구애됨이 없이 다양한 종류의 내용물을 보다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비닐포대의 밀봉구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발명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비닐포대의 밀봉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비닐포대의 밀봉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도 4는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단면도도 5는 본 발명 다른실시예에 따른 비닐포대의 밀봉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제1 및 제2 접합띠 3: 중간통로
4: 배기공 5: 단일 접합띠
10: 비닐지 20, 30: 상부 및 하부 접합단
본 발명도 2겹의 비닐지(10)의 상,하부에 상부 및 하부 접합단(20)(30)을 형성하되, 상기 상부 및 하부 접합단(20)(30) 중 어느 하나는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접합되는 제1 및 제2 접합띠(1)(2) 사이에 중간통로(3)가 확보되도록 형성하여서 된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것과 기술개념을 같이 한다.
단, 본 발명의 비닐포대의 밀봉구조에 있어 상기 제1 접합띠(1)는 제2 접합띠(2) 보다 그 폭을 좁게 설정하여서 압축 팽창된 내부공기에 의하여 내압을 작용받으면 터질 수 있도록 형성하고, 제1 접합띠(1)와 제2 접합띠(2) 사이의 중간통로(3)와 연통되도록 어느 일측의 비닐지(10)를 뚫어서 배기공(4)을 형성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도 2 내지 도 4의 도시와 같이 2겹의 비닐지(10)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상부 및 하부 접합단(20)(30) 중의 하나는 중간통로(3)를 사이에 두고 폭이 좁은 제1 접합띠(1)와 폭이 넓은 제2 접합띠(2)를 가지며, 그 중간통로(3)와 연통되도록 일측의 비닐지(10)를 뚫어서 형성한 배기공(4)을 가져서, 평상시에 비닐포대(100)를 틈새없이 밀봉시켜 주었다가, 유사시에 비닐포대(100) 내에서 압축 팽창되는 내부공기가 제1 접합띠(1)를 뚫고 중간통로(3)와 배기공(4)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비닐포대의 밀봉구조는 첫째 비닐포대를 틈새없이 밀봉시켜 주어서 쌀은 물론이고 입경이 작은 알갱이 또는 분말 등의 내용물을 보다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이나 벌레의 침입을 효율적으로 차단하여 주며, 둘째 비닐포대 내에서 외적인 충격이나 온도 상승에 의하여 압축 팽창된 내부공기는 자연스럽게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여서, 유통과정에서 밀봉부위가 터져서 내용물이 무단으로 유출됨을 방지하여 주는 등의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접합단(20)은 2겹의 비닐지(10)의 상단부에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접합되어서 중간통로(3)가 확보되도록 제1 및 제2 접합띠(2)를 형성하여서 되며, 상기 하부 접합단(30)은 2겹의 비닐지(10)의 하단부에 단일 접합띠(5)를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접합단(20)의 제1 접합띠(1)는 제2 접합띠(2) 보다 그 폭을 좁게 설정하여서 압축 팽창된 내부공기에 의하여 내압을 작용받으면 터질 수 있도록 형성하고, 제1 접합띠(1)와 제2 접합띠(2) 사이의 중간통로(3)와 연통되도록 어느 일측의 비닐지(10)를 뚫어서 배기공(4)을 형성함이 중요하다. 그 이유는, 평상시에 비닐포대(100)를 틈새없이 밀봉시켜 주었다가, 유사시에 비닐포대(100) 내에서 압축 팽창되는 내부공기가 제1 접합띠(1)를 뚫고 중간통로(3)와 배기공(4)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배출되도록 유도하여 주기 위함이다.
여기에서, 상기 배기공(4)은 도 3 및 도 4의 도시와 같이, 상기 중간통로(3)와 연통되도록 일측의 비닐지(10)를 뚫어서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배기공(4)은 상기 중간통로(3)를 경유한 내부공기가 신속하게 외부로 누출될 수 있는 정도의 직경크기로서 형성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상부 및 하부 접합단(20)(30)은 각각 2겹의 비닐지(10)의 상,하단에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접합되는 제1 및 제2 접합띠(1)(2) 사이에 중간통로(3)가 확보되도록 형성하되, 상기 제1 접합띠(1)는 제2 접합띠(2) 보다 그 폭을 좁게 설정하여서 압축 팽창된 내부공기에 의하여 내압을 작용받으면 터질 수 있도록 형성하고, 제1 접합띠(1)와 제2 접합띠(2) 사이의 중간통로(3)와 연통되도록 어느 일측의 비닐지(10)를 뚫어서 배기공(4)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르면, 비닐포대(100)를 틈새없이 밀봉시켜서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단속하고, 비닐포대(100) 내에서 압축 팽창된 내부공기는 효율적으로 배출되게 하여서, 비닐포대(100) 내에 담아진 내용물을 더욱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하여 주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닐포대의 밀봉구조는 비닐포대 내에 채워진 내용물은 확실하게 단속하여 주면서 압축 팽창된 내부공기는 자연스럽게 배출되도록 유도하여 줌으로써, 첫째 비닐포대를 틈새없이 밀봉시켜 주어서 쌀은 물론이고 입경이 작은 알갱이 또는 분말 등의 내용물을 보다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이나 벌레의 침입을 효율적으로 차단하여 주며, 둘째 비닐포대 내에서 외적인 충격이나 온도 상승에 의하여 압축 팽창된 내부공기는 자연스럽게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여서, 유통과정에서 밀봉부위가 터져서 내용물이 무단으로 유출됨을 방지하여 주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2겹의 비닐지(10)의 상,하부에 상부 및 하부 접합단(20)(30)을 형성하되, 상기 상부 및 하부 접합단(20)(30) 중 어느 하나는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접합되는 제1 및 제2 접합띠(1)(2) 사이에 중간통로(3)가 확보되도록 형성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띠(1)는 제2 접합띠(2) 보다 그 폭을 좁게 설정하여서 압축 팽창된 내부공기에 의하여 내압을 작용받으면 터질 수 있도록 형성하고, 제1 접합띠(1)와 제2 접합띠(2) 사이의 중간통로(3)와 연통되도록 어느 일측의 비닐지(10)를 뚫어서 배기공(4)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포대의 밀봉구조.
  2. 삭제
  3. 삭제
KR10-2001-0053675A 2001-09-01 2001-09-01 비닐포대의 밀봉구조 KR100433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3675A KR100433013B1 (ko) 2001-09-01 2001-09-01 비닐포대의 밀봉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3675A KR100433013B1 (ko) 2001-09-01 2001-09-01 비닐포대의 밀봉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0540A KR20030020540A (ko) 2003-03-10
KR100433013B1 true KR100433013B1 (ko) 2004-05-28

Family

ID=27722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3675A KR100433013B1 (ko) 2001-09-01 2001-09-01 비닐포대의 밀봉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30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2371B1 (ko) * 2018-01-30 2018-07-26 주식회사 케이피씨 트레이 실링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300A (ja) * 1994-07-18 1996-01-30 Nippon Tokkyo Kanri Kk 空気抜け穴付米袋
JPH10324350A (ja) * 1997-03-26 1998-12-08 Toyo Seimaiki Seisakusho:Kk 穀物包装袋及び包装穀物並びに融着シール方法
JPH11321818A (ja) * 1998-05-14 1999-11-24 Dainippon Meiji Seito Kk 砂糖又は塩の袋詰め包装体及びこの包装体のヒートシール装置
JP2000211042A (ja) * 1999-01-25 2000-08-02 Konishi Shigyo Kk シ―ト体の貼着方法及び該方法を用いて形成した袋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300A (ja) * 1994-07-18 1996-01-30 Nippon Tokkyo Kanri Kk 空気抜け穴付米袋
JPH10324350A (ja) * 1997-03-26 1998-12-08 Toyo Seimaiki Seisakusho:Kk 穀物包装袋及び包装穀物並びに融着シール方法
JPH11321818A (ja) * 1998-05-14 1999-11-24 Dainippon Meiji Seito Kk 砂糖又は塩の袋詰め包装体及びこの包装体のヒートシール装置
JP2000211042A (ja) * 1999-01-25 2000-08-02 Konishi Shigyo Kk シ―ト体の貼着方法及び該方法を用いて形成した袋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0540A (ko) 2003-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8892B2 (en) Air bag packaging arrangement and self-adhesive checking valve thereof
US7823729B2 (en) Inflatable packaging bag
US7694701B2 (en) Structure of check valve for air-packing device
KR100556718B1 (ko) 공기완충기능을 가진 플라스틱필름 포장대
KR100874074B1 (ko) 다단식 공기밀봉체 및 체크밸브 장치
EP0719714A1 (en) Packaging system having impact resistance
US7695786B2 (en) Inflatable pneumatic bag
US8088459B2 (en) Air enclosure with independent double layer air chambers
WO1998023492A1 (en) Self-closing valve structure
EP1419974A3 (en) Storage bag
WO2007047774A2 (en) Structure of air-packing device
JP2005509570A (ja) 低プロファイル膨張可能パッケージ保護システム
JP2008162266A (ja) 二層密封袋式空気密封体の製造装置及び方法
US10173822B2 (en) Air bag packaging arrangement and self-adhesive checking valve
US7228969B2 (en) Air-filled cushioning material
KR100433013B1 (ko) 비닐포대의 밀봉구조
KR20090006018U (ko) 사료비닐포대의 밀봉구조
JP4099348B2 (ja) 空気封入緩衝材
CN208470559U (zh) 充气缓冲垫
KR200247318Y1 (ko) 포장봉지의체크밸브구조
JPH11236075A (ja) 気体封入型緩衝材、および緩衝材を備えた輸送袋
JPH09309544A (ja) 粉、粒体の収容袋
CN101356100A (zh) 空气包装装置的结构
JP2000062804A (ja) 包装袋
JP2000025790A (ja) 包装用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