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2776B1 - 비계조인트 - Google Patents

비계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2776B1
KR100432776B1 KR10-1998-0705772A KR19980705772A KR100432776B1 KR 100432776 B1 KR100432776 B1 KR 100432776B1 KR 19980705772 A KR19980705772 A KR 19980705772A KR 100432776 B1 KR100432776 B1 KR 100432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opening
hook
brace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5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2052A (ko
Inventor
아르투르 슈뵈러
Original Assignee
페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페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19990082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2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2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27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0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 E04G7/306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 E04G7/307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with tying means for connecting the bars or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 F16B7/048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for rods or for tubes without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2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hooks or like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0Laterally related members connected by latch means, e.g., scaffold connectors

Abstract

본 발명은 횡브레이스와 외표면에서 포스트축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갖는 포스트로 이루어지는 비계 조인트 형성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돌출부는 브레이스 끝단에 설치된 후크가 위에서부터 삽입될 때 통과하는 오프닝을 가지고, 브레이스의 끝단에 위치하는 상기 쐐기(47)는 후크(7)가 오프닝(4)을 통과한 후, 후크 외곽으로부터 분리되어 원 위치에서 자동적으로 오프닝(4) 밑으로 이동하여 브레이스 끝단이 위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으며, 상기 쐐기(47)의 하부 끝단은 후크(7)가 오프닝에 완전히 끼워지기 전에 후크(7)의 외곽을 넘어,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오프닝 에지에 안착하고, 후크가 좀 더 삽입되면 에지에 의하여 위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비계 조인트
본 발명은 횡브레이스와 포스트의 외표면에서 방사상으로 뻗어나가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갖는 포스트로 이루어지는 비계 조인트 형성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돌출부는 브레이스 끝단에 설치된 후크가 위에서부터 끼워질 때 통과하는 오프닝을 가지고, 위치변경 가능한 쐐기는 상기 포스트에 대하여 예각으로 브레이스의 끝단에 설치되며, 상기 쐐기는, 오프닝을 통해 후크가 끼워지고 난 뒤, 브레이스 끝단이 오프닝을 통해 위쪽으로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후크와 오프닝 바로 밑에서 분리된다. (펼쳐진 상태)
프랑스 특허 공고 제 2 438 994호인 도면 1에 도시된 비계 조인트에 대한 선행기술에는 후크가 오프닝을 통해 들어가는 동안 후크와 관련된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는 끝단을 복사한 쐐기의 프론트 끝단 통로에는 안착표면이 없다. 후크는 쐐기의 하부 끝단이 돌출부의 오프닝 밑으로 들어갈 때 도입 상태에서만 분리될 수 있을 뿐이다. 그러나, 상기 쐐기가 상기 위치에서 또는 이후에 후크가 오프닝을 통해 들어가는 동안 도입 상태와 분리되는 경우는 별로 없다. 왜냐하면, 쐐기에 오물이 묻게 되면, 후크내의 쐐기를 조정하는 가이딩 내에서의 저항력이 매우 커져서 쐐기가 더 이상 자동적으로 후크 외곽 위로 뻗어나올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 펼쳐진 상태에서 쐐기의 상부 끝단을 한 번 쳐주게 되면, 쐐기가 움직이거나 영향을 받게 된다. 포스트에 빗겨 오프닝을 통과하는 후크 표면과 포스트와 인접하는 후크의 표면사이의 분리 간격은 포스트와 마주보는 돌출부의 오프닝의 전면과 포스트사이의 분리 간격과 거의 비슷하여 후크가 오프닝으로 들어가는 동안 쐐기를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오프닝으로 후크를 끼워 넣을 때, 쐐기의 하부 끝단이 인접 표면 또는 대좌 표면과 접하는데 실패하게 된다. 덧붙여, 이러한 포스트 표면으로부터의 분리 간격은 후크 도입 상태에서의 쐐기를 포함한 후크의 넓이보다 약간 커서 후크가 오프닝으로 들어갈 때 포스트의 표면과 이미 접하게 된다. 그러나, 이것은 비계 조인트로부터 떨어져있는 브레이스 끝단으로부터 후크가 오프닝으로 들어가도록 하기 전에 후크가 오프닝 위에 정확히 위치해야 하는데 이는 매우 어려운 일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오프닝을 통해 들어가서 브레이스를 포스트에 부착시키는 것이 기존의 비계 조인트와 비교하여 간단해질 정도로 기존의 비계 조인트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후크가 완전히 오프닝으로 들어가기 전에 쐐기의 하부 끝단이 측면 방향으로 후크 외곽 위쪽으로 튀어나오게 하여, 후크가 오프닝으로 들어갔을 때, 상기 하부 끝단이 오프닝의 에지와 접하고 후크를 좀 더 끼우면 윗쪽으로 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한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오염에 크게 영향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쐐기는 브레이스 끝단이 오프닝으로 들어가기 전에 이미 펼쳐진 상태가 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이 위치에서 쐐기를 밀어넣어 쐐기의 미끄러운 특성이 확인되고, 필요하다면, 향상시킬 수도 있다. 후크를 오프닝으로 끼워넣을 때, 브레이스 끝단의 무게에 상응하는 힘에 의해 가장 높은 위치로 쐐기가 이동하게 된다. 후크가 끼워질 때 오프닝의 전면 옆으로 쐐기의 하부 끝단이 통과한 후, 쐐기는 펼쳐진 상태로 내려갈 수 있다.
브레이스는 비계 조인트와 떨어져 있는 브레이스 끝단부터 위에서 포스트의 오프닝으로 끼워지고, 이러한 위치(도입 상태)에서 후크가 오프닝으로 쉽게 들어가도록 하는 쐐기는 오프닝을 둘러싼 돌출부의 에지부와 접촉하면서 움직이게 된다. 오프닝을 통해 후크가 들어간 후, 쐐기는 혼자서 또는 압력에 의해 움직이거나, 상부 끝단을 쳐서 후크로부터 충분히 분리될 수 있는 위치로 움직인다. 이러한 펼쳐진 상태에서는 후크와 쐐기가 위로 움직이면서 오프닝을 통해 들어갈 수 없고, 쐐기는 아래에서부터 쐐기의 하부 끝단을 해머로 치는 등의 직접적인 힘을 가하여 펼쳐진 상태에서 빠져나와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브레이스 밑을 치게 되면 쐐기가 펼쳐진 상태로부터 빠져나와, 상향으로 오프닝을 통과하여 빠져나오는 움직임을 막기 위해 후크의 외곽에서 더 이상 분리되어 있지 않은 도입 상태으로 이동할 수 없다. 쐐기가 오프닝을 통과한 브레이스 끝단과 함께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 밑에서부터 쐐기에 힘을 가해야만, 쐐기가 후크와 연결되어 움직이고 펼쳐진 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후크 내의 가이딩의 마찰 저항력과 쐐기의 무게만이 쐐기가 위로 움직이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어셈블리가 배열된다. 자동 잠금 작용은, 위에 설명했듯이 쐐기에 상향 추진력을 가함으로써만 극복될 수 있는 펼쳐진 상태로 쐐기를 미끄러지게 할 때 두 개의 연합된 미끄럼 표면사이에서 발생한다.
포스트와 마주보는 후크의 표면에 대하여 펼쳐진 상태에서 확장된 쐐기가 통과하는 각, 즉, 상기 언급한 예각은 쐐기가 브레이스 끝단에 작용하는 상향력의 영향으로 위로 올라갈 때의 오프닝의 전면이나 오프닝 에지로부터 쐐기가 되밀리지 않도록 하는 방식으로 선택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자동 잠금 작용은 쐐기의 두 개의 상호 연관된 표면과 가이드 그리고/또는 오프닝의 전면 사이에서 영향을 받게 된다.
브레이스 끝단이 오프닝으로 들어갈 때 쐐기와 후크의 하부 끝단이 중력에 의해 오프닝을 통해 통과한 후 쐐기가 펼쳐진 상태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작동은 쐐기에 사용되는 스프링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오프닝의 방사형 길이는 오프닝에 끼워지는 후크의 최대 방사형 길이에 쐐기가 가장 높은 위치에 있을 때 쐐기의 끝단이 후크 외곽 위를 넘어 측면으로 돌출된 길이를 더한 길이보다 크다. 이런 방식을 통해, 후크가 오프닝으로 들어가는 동안 또는 그 직후에 포스트를 향해 브레이스 끝단을 방사 방향으로 미는 것이 가능하고, 브레이스가 밀리는 동안 또는 브레이스 후크가 접한 후, 쐐기가 오프닝을 통해 미끄러져 펼쳐진 상태가 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작동은 쐐기의 상단면을 한 번 때림으로써 시작되거나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셈블리에 있어서, 작업자는 제일 먼저 후크가 달린 브레이스를 오프닝에 걸고 이 상태에서 브레이스는 이미 일시적으로 부착된 것이고, 필요하다면, 브레이스의 끝단을 밀어서 비계에서의 상응 부분을 이미 운반하고 그 후, 쐐기를 아래 방향으로 떨어지게 하거나, 상단을 한 대 침으로써 이 위치에 브레이스를 위치시키기 위해 펼쳐진 상태로 가이드된다. 후크가 오프닝으로 들어가는 동안, 후크가 쉽게 들어가도록 충분한 공간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후크는 포스트축 방향으로 쉽게 이동하는 포스트와 마주보는 측면에서의 포스트와 접하는 표면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브레이스 끝단이 포스트의 오프닝으로 들어갈 때, 브레이스 끝단의 앞면은 이미 포스트의 외부 표면과 안착된다. 쐐기를 위에서부터 강하게 침으로써, 쐐기 표면이 포스트와 마주보는 오프닝의 내부 에지와 안착하고 쐐기가 포스트를 향해 브레이스 끝단을 누르게 되어, 적어도 이 순간에, 비계 조인트를 필요 인장강도와 압축 강도 및 강성을 갖게 된다.
그러나, 쐐기는 다른 방식으로, 즉 쐐기의 표면이 다른 형태 또는 비슷한 형태를 갖는 방식으로 또한 움직여질 수 있다.
오프닝의 에지가 쐐기를 뒤로 밀어 오프닝을 쉽게 통과하는 상태가 되지 못하도록 하는 자동 잠금 작동은 브레이스 끝단의 표면에 쐐기의 여러 표면을 접하게 함으로써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오프닝의 내부 에지 표면과 인접한 쐐기의 표면사이에서의 자동 잠금 작동이 발생한다. 또한, 자동 잠금 효과는 브레이스 끝단의 다른 표면에 쐐기의 다른 표면을 접하게 함으로써, 예를 들어, 브레이스 끝단의 상응 표면에 포스트와 마주보는 쐐기의 표면을 접하게 함으로써, 또한 동시에 가이딩 표면 역할을 하는 쐐기를 침으로써, 포스트에 단단히 연결된 오프닝의 에지와 브레이스 끝단사이에서 쐐기에 의해 발생되는 쐐기 힘을 받아들일 수 있는 두 개의 분리된 표면에 접하게 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펼쳐진 상태에서 쐐기가 달린 브레이스 끝단을 들어올리기 위한 시도를 하는 동안 확장된 분리된 쐐기의 오프닝의 에지에 의해 형성된 힘들은 자동 잠금 효과에 의해 생산된 연결력을 증가시켜서 브레이스 끝단이 위로 움직이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자동 잠금 특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쐐기는 포스트에 오프닝을 연결시켜 포스트에 브레이스 끝단을 단단히 고정시키는 문제 뿐 아니라, 쐐기가 단단히 고정되었든 안 되었든 상관없이 자동 잠금이 발생할 수 있을 정도의 위치에 쐐기를 옮기지 않을 때조차, 브레이스 끝단이 오프닝을 벗어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문제도 해결한다.
펼쳐진 상태에서, 포스트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쐐기의 에지부와 포스트와 마주보는 후크의 에지 사이에서의 분리 간격은 포스트와 마주보는 오프닝의 내부 에지와 이러한 내부 에지에서부터 가로질러 오프닝을 결정하는 표면사이에서의 상응 크기보다 크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포스트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쐐기의 에지부는 그 하부 끝단 근처에 위치하는데, 하부 끝단은 오프닝을 통해 들어가는 것을 쉽게 하기 위해 쐐기와 비슷한 형태이고 다소 테이퍼되어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펼쳐진 상태에서 포스트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이 부분은 브레이스 끝단이 오프닝을 통해 들어갈 때 포스트와 마주 보며 떨어져 있는 쐐기의 에지에서부터 스톱 돌출부에 의해 또한 형성될 수 있고 쐐기의 에지는 오프닝을 통해 들어가기가 용이하도록 하는 도입 상태으로 쐐기를 밀어내기 위해, 오프닝의 에지와 인접하게 된다. 오프닝을 통해 후크를 낮춤에 따라, 쐐기의 하부 끝단이 오프닝의 에지와 인접할 때 뿐 아니라 상기 기술한 때까지도, 쐐기는 오프닝의 에지 구역에서 오프닝으로 오프닝의 에지에 대하여 적절한 각도로 부품이 이동하도록 움직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브레이스 끝단과 포스트 부분을 도시한다.
도 2는 브레이스 끝단의 일 실시예에 대한 종단면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선 III-III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브레이스 끝단의 일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포스트를 포함하는 제 2 실시예로 도 2의 종단면에 대응하는 횡단면을 도시한다.
도 6은 제 3 실시예 도 5의 해당 부분의 횡단면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포스트(1)는 용접물(3)에 의해 로제트(rosette)(2)가 부착된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파이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로제트(2)는 포스트(1)의 외주까지 연장되는 4개의 오프닝(4)을 갖는다. 추가 비계 부품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구멍(5)이 로제트(2)에 제공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스(6)는 원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속이 비어 있으며, 서로 떨어져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포스트(1)에 연결된다. 후크(7)는 단철 부품으로 만들질 수 있으며, 포스트(1)에 접하는 끝단 위의 공동 섹션에 부착된다. 후크(7)는 포스트(1)의 외주에 안착되도록 제공되는 포스트(1)와 마주보는 측부쪽에 안착표면(8)을 갖는다. 후크(7)는 위쪽에서부터 상기 오프닝(4)내로 후크(7)를 삽입하는 동안 브레이스의 끝단을 안내하는 포스트(1)에서 떨어져마주보는 측면에 대각선 또는 쐐기형의 표면(9)을 갖는다. 표면(9)은 후크(7)가 완전히 오프닝(4)에 끼워질 때, 포스트(1)에서 떨어져 마주보는 오프닝(4)의 끝단에 위치한 오프닝(4)의 내부 에지(10)에 안착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표면(9)은 브레이스의 끝단 또는 후크(7)의 끝단이 완전히 오프닝(4)에 끼워지면 내부 에지(10)로부터 조금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7)는 도 2의 브레이스(6) 높이의 약 두 배가 되므로, 안착표면(8)은 포스트(1)와 브레이스(6) 사이를 견고하게 연결하는데 충분한 길이이다.
후크(7)를 이루는 단철 부분은 브레이스(6)의 공동 섹션의 끝단에 다른 방식으로 용접되거나 부착되고, 상부에서 저면부까지 연결되는 홈(11)을 가지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도시된 홈(11)은 후크 길이의 약 4분의 1 정도인 후크 끝단에서 조금 떨어진 곳의 대각선 표면(9)에서 끝난다. 쐐기(12)는 이 홈(11)내에서 세로로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끼워진다. 도 2의 실시예에서, 홈의 저면부를 형성하는 내부 앞면(13)은 쐐기 표면(16)에 대한 가이딩 표면(14)과 홈의 상부 끝단에서의 가이딩 표면(15)을 제공한다.
쐐기(12)의 상하방향 움직임은 안착표면(8)의 평면을 따라 작은 예각을 형성하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상기 쐐기(12)는 포스트(1)와 접하는 하부 앞면(16)과 상부 표면(17)과 이어진 가이딩 표면(14),(15)상에 안착된다. 쐐기(12)는 표면(16),(17) 맞은편의 에지 표면(18),(19)에 의해 브레이스(6)의 하부 벽(21)의 오프닝(20)과 상부 벽(23)의 오프닝(22)의 틈새로 끼워진다.
쐐기(12)는 포스트(1)와 떨어져 마주하는 측부에 핀(26)이 제거가능하게 끼워져 있는 작은 오프닝(25)을 갖는 돌출부(24)를 갖는다. 브레이스(6)의 측벽에 구멍(27)이 위치하고, 이 오프닝을 통해 핀(26)이 작은 오프닝(25)안으로 끼워질 수 있다.
도 2의 상부 오프닝(22)은 핀(26)이 작은 오프닝(25)으로 빠질 때, 쐐기(12)가 홈(11) 밖으로 위쪽으로 당겨질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크다. 즉, 상기 오프닝의 길이는 돌출부(21)가 통과하기에 충분한 길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브레이스(6)를 세로 방향으로 본 것에 의하면, 브레이스(6)의 하부 벽(21)이 로제트(2)에 안착될 때 오프닝(4)은 오프닝(4)을 통해 후크가 끼워지는 위치에서 후크(7)의 넓이보다 다소 길다. 쐐기(12)가 로제트(2)에 안착하는 브레이스(6)를 따라 아래 방향으로, 예를 들면, 해머로 한 방 치는 방법을 통하여, 밀릴 때, 그 표면(19)은 오프닝(4)의 내부 에지(10)에 안착되고, 쐐기의 표면들(16),(19)이 쐐기 형태로 함께 테이퍼 되기 때문에, 가이딩 표면(14),(15)을 통해 포스트(1)의 외벽을 향하여 표면(8)에 압력을 가하여 브레이스(6)와 포스트(1)를 단단히 연결하게 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쐐기 표면(16)이 가이딩 표면(14) 상에 안착되는 부분은 로제트(2)의 오프닝(4)의 평면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쐐기(12)의 상부가 가이딩 표면(15) 위로 압력을 받는 부분(17)은 로제트(2) 위에 위치한다.
브레이스(6)의 끝단이 위에서부터 오프닝(4) 내로 끼워질 때, 후크(7)의 꼭대기는 오프닝(4)으로 들어가고, 펼쳐진 상태를 가정할 때, 상기 쐐기(12)는 브레이스(6) 아래로 돌출되어 홈(11)과 표면(14),(15)에 의해 형성된 가이드에 느슨하게 안착한다. 돌출부(24)는 브레이스 하부벽(21)의 내표면에 안착될 수 있다. 그러나 오프닝(20)은 쐐기가 이 오프닝을 통하여 아래로 빠져나갈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크지는 않다.
이러한 펼쳐진 상태에서, 쐐기(12)의 하부 끝단(28)은 후크(7)로부터 떨어져서 펼쳐진다. 안착표면(8)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쐐기(12)의 측표면(30)의 섹션(41)과 (포스트(1)에 대하여 받침대 기능을 하는) 안착표면(8) 사이의 분리 간격(29)은 로제트(2)의 오프닝(4)의 상응 크기(40)(도 1)보다 크다.
브레이스의 끝단이 오프닝(4) 내로 내려오면, 후크(7)의 하부 끝단은 오프닝(4) 내로 들어가고, 그 안에서 대각선 표면(9)에 의해 적절한 위치로 가이드 된다. 쐐기(12)의 하부 끝단(28)은 오프닝(4)의 외부에서 로제트(2)의 상부에 안착되어, 가이딩 내에서 이동가능한 상기 쐐기(12)가 상향으로 다시 밀리게 된다. 이 때의 움직임은 상기 안착표면(8)에 대해 예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분리 간격(29)은 줄어들고 하부 끝단(28)은 오프닝(4)의 위쪽 영역으로 들어가게 되어 더 이상 로제트(2)에 안착되지 않는다. 이러한 위치에서부터, 쐐기(12)는 그 무게 때문에, 또는 스프링의 힘에 의해서, 쐐기표면(19)이 오프닝(4)의 내부 에지에 안착할 때까지 오프닝(4)을 통하여 아래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12)의 아래쪽 반 부분은 후크(7)에서 떨어져 펼쳐진 상태를 가정한 것으로, 하부 끝단(28) 또는 상기 쐐기의 섹션(41)의 분리간격(29)은 오프닝(4)의 내부 치수(40)보다 크다. 그러므로, 쐐기 표면(16)은 가이딩 표면(14) 위에 쐐기 표면(17)은 가이딩 표면(15)위에 안착하게 된다. 브레이스(6)이 들어올려진다면내부 에지(10)가 더 이상 후크(7)에 대하여 상향으로 쐐기(12)를 밀지 못하도록 할 만큼 충분히 쐐기(12)가 아래로 떨어지기 때문에 서로 마주 놓여있는 표면들 사이에서 자동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쐐기의 각이 선택되며, 상기 쐐기 각은 분리간격(29)이 오프닝(4)의 상응 치수(40)보다 크기 때문에 더 이상 브레이스 끝단이 오프닝(4)을 통과할 수 없는 도 2에 도시된 펼쳐진 상태로 남게 된다. 후크(7)에서부터 쐐기의 하부가 펼쳐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해머 또는 그 비슷한 것으로 쐐기(12)를 윗쪽 방향으로 가이드를 따라 친 후에만(이 위치로 도 2의 점선으로 표시됨), 브레이스의 끝단이 로제트(2)를 빠져나와 오프닝(4)을 통해 상향으로 다시 옮겨질 수 있다.
쐐기(12)는 후크(7)의 상부 에지(32) 위에 위치하여 필요하다면 상부 위치에 쐐기(12)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안착표면(8)과 마주하는 측부에 노우즈(31)를 갖는다.
또한, 대각선 브레이스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브레이스(6)는 또한 구멍(45)(도 2) 또는 용접 볼트를 갖는데, 여기에 한 개 또는 두 개의 대각선 브레이스의 끝단이 부착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하여 위치되는 이러한 종류의 두 개의 오프닝들 또는 볼트들을 가져서 대각선 브레이스의 끝단이 각각의 오프닝과 볼트에 부착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1-4까지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쐐기(34)가 홈(11)의 내부 끝단면(13)에서 떨어져 마주보는 측부에 작은 오프닝(25)을 갖지도 않고, 같은 위치에 노우즈(31)를 갖지도 않으며 안착표면(8)이 상부 끝단과 하부 끝단에서 다소 돌출되어, 비계 조인트가 상부섹션 및 하부섹션에서만 고정될 때, 안착표면(8)이 전체 길이를 따라 포스트(1)의 외표면에 안착되지도 않는 점에서 구별된다. 쐐기(34)가 도 2의 실시예에서의 돌출부(24)와 유사하게 하부 오프닝(20)의 에지를 덮기 때문에, 쐐기(34)는 오프닝(4)위에 하부 벽(21)의 내측에 안착할 수 있도록 안착표면(8)에서 좀 떨어져 마주보는 측부에 노우즈(32)를 갖는다. 그러므로 쐐기(34)는 오프닝(20)에서 빠져나와 아래 방향으로 떨어질 수 없다. 또한 쐐기는 핀(26)이 고정되어 쐐기가 상부 오프닝(22)을 통하여 떨어져 나가지 못하도록 하부 끝단에 작은 오프닝(33)을 갖는다.
안착표면(8)과 마주보는 쐐기(34)의 측면은, 홈(11)의 저면부에서 가이딩 표면(35),(36)이 약간 휜 것과 마찬가지로 휘어 있으며 이는 제작면에서나 통계적으로나 몇 가지 장점을 갖는다.
도 5의 실시예에서, 쐐기(34)를 이동시킬 때, 쐐기 표면(37),(38)에 의해 발생하는 쐐기력은 굴곡력을 갖는 쐐기(34) 없이도 내부 에지(10)에서부터 쐐기(34)를 거쳐 표면(36)으로 직접 전달된다. 이것은 브레이스 끝단이 오프닝(4)으로 들어갈 때, 표면(36)이 오프닝(4)의 평면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내부 에지(10)의 전면은 쐐기 표면(38)에 대하여 대각선이 되어 내부 에지(10)에 대하여 가능한 한 넓은 면적으로 안착한다.
두 실시예에서, 이러한 대각선 각, 그 근처의 쐐기 표면(38)의 이동 및 펼침 각들은 쐐기가 오프닝(4)의 에지(10)를 통해 뒤로 밀리지 않도록, 그리고 펼쳐진 상태가 쐐기(12),(34)가 후크(7)에 대하여 쐐기에만 가해지는 힘에 의해 뒤로 밀릴경우에만 바뀔 수 있도록 선택된다.
도 5에 따른 실시예에서, 노우즈(32)위에 추가 홈(43)을 가지며, 이 홈(43)에 의해 쐐기(34)는 도 5의 대쉬 라인으로 표시된 위치에서 쐐기(34)가 오프닝(44)의 에지 또는 다른 에지 위 상부 위치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쐐기(34)가 가이딩 위치에 고정된다. 쐐기가 이러한 고정 위치에서 떨어지면, 쐐기는 포스트(1)를 향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충분히 피벗되어 오프닝(44)의 에지에서 벗어나고 부분적 또는 완전히 펼쳐진 상태로 아래로 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포스트(1) 위의 브레이스(6)에 의한 인장력은 후크(7)에 의해 쐐기(12),(34)를 거쳐 포스트(1)에 단단히 연결된 오프닝(4)의 내부 에지(10)에 전달된다. 포스트(1) 위의 브레이스(6)에 의한 압축력은 안착표면(8) 또는 그에 상응하는 부분을 거쳐 포스트에 전달된다. 브레이스(6)에 상향으로 가해지는 힘은, 펼쳐진 상태에서, 오프닝(4)의 내부 에지(10)위의 쐐기의 안착표면을 거쳐 로제트(2)에 전달되는데, 이것은 쐐기가, 대각선 상태로 인해 오프닝의 에지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이다. 브레이스(6)에 가해지는 하강력은 로제트(2)위의 브레이스 끝단 안착표면을 거쳐 포스트(1)에 전달된다. 로제트(2) 위의 안착 위치에 하나 혹은 두 측면에서 오프닝(4)의 사이드 에지를 덮는 각각의 두 측면 위로 단철 후크(7)가 증가되어 추가 접촉면을 형성한다면 이러한 힘의 전달은 더 향상될 수 있다. 위를 향한 포스트(1) 위에 브레이스(6)에 의한 토크는 후크(7)의 홈(11)의 전면 위의 쐐기(12),(34)의 안착표면 뿐 아니라 오프닝(4)의 내부 에지(10)의 쐐기의 안착표면을 통해 로제트(2)에 전달되고, 후크(7)의 상부 끝단 위의 안착면(8)의안착부를 통해 포스트의 안착표면(42)(도 1)에 전달된다. 아래 방향으로 브레이스(6)를 피벗 시키기 위한 토크는 포스트(1)의 안착표면(42)의 후크(7)의 하부 끝단과의 안착부를 통해 그리고 오프닝(4)의 내부 에지 위 쐐기(12),(34)와의 안착부에 의해 로제트(2)에 전달되는데, 여기서 쐐기는 홈(11)의 내부 전면을 거쳐 후크(7)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표면(8)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섹션(41)은 쐐기(12),(34)의 하부 끝단에 근접한다. 분리 간격(29)은 확장 및 확장각을 결정할 뿐 아니라 오프닝(4)을 통해 쐐기의 상향이동 차단을 결정한다. 그러나, 표면(8)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상기 섹션(41)은 또한 쐐기 표면(19),(38)위로 좀 더 나온다.
그리고 나면, 상기 섹션(41)은 하부 측부에 스톱부를 가지며, 상기 스톱부는 상기 쐐기를 삽입 상태로 되돌리기 위해 후크를 상기 오프닝(4) 내로 삽입할 때 상기 구멍의 에지 위에 안착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돌출부(41)는 상기 오프닝(4)을 통과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쐐기(12, 34)는 펼쳐진 상태로 이동한다. 상기 안착표면(8)으로부터 돌출부를 형성하고 섹션(41)의 분리간격은 상기 오프닝(4)의 길이 방향 치수(40)보다 더 크다.
본 실시예에서, 후크(7)와 쐐기(12),(34) 사이는 포스트축에 대하여 방사형으로 펼쳐진다. 그러나 이러한 펼쳐짐은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른 방향, 예를 들어, 포스트의 반지름을 가로지르는 방향이 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위에서부터 후크를 오프닝에 끼울 때, 쐐기의 하부 끝단 또는 쐐기에서 나온 돌출부의 하부 끝단이 오프닝의 에지에 인접하거나 로제트의 표면에 인접하여, 쐐기가 후크와 함께오프닝(4)을 통과할 수 있는 도입 상태로 옮겨진다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오프닝(4)은 포스트의 외주 위에 위치한 안착표면(42)에 의해 포스트에 인접하게 되는 하부 끝단에서 제한된다. 이것은 통계적으로나 제작면에서 확실한 장점을 갖는다. 오프닝(4)은 또한 포스트(1) 주위의 측면에 로제트(2)에 위치한 벽에 의해서도 결정된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노우즈(32)와 쐐기(34)의 상부 끝단 사이의 거리는 노우즈(32)가 브레이스(6)의 벽(21)의 내부 표면(즉, 도 5에서 쐐기(34)의 상부 끝단이 있는 펼쳐진 상태에서, 또 오프닝(44)내에서나 그 위로 다소 확장된 상태에서)에 안착하는 지점에서 도 5의 시계 방향으로 쐐기가 피벗되는 것을 막을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크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2와 도 3의 홈(11)에 상응하는 홈(46)은 쐐기의 하부 끝단(48)이 쐐기가 완전히 상향으로 위치를 옮길 때, 다소 홈(46)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다. (그러나 이것은 도2와 5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쐐기의 하부 끝단은 포스트(1)를 향해 에지를 밀게 된다. 오프닝(4)의 에지에 안착하는 후크의 경사면(9)을 따라 홈 내에서 위쪽으로 (도입 상태) 완전히 사라지게 된다. 그러나, 이 도입 상태에서, 상당한 틈이 후크(7)와 오프닝(4)의 에지 사이에 놓이게 되고 그리고/또는 포스트(1)의 안착표면(42)과 후크(7)의 안착표면(8) 사이에 틈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틈들은 쐐기(12, 34)가 펼쳐진 상태에 단단히 망치질되어 부착되면 사라지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쐐기(47)는 후크(7)가 오프닝(4)에 끼워질 때 상향으로 후크(7)의 홈(46) 안으로 밀리게 되는데, 그러나 이 경우, 쐐기(47)가 홈(46) 내 돌려진 상태에서 완전히 사라지게 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후크(7)의 경사면(51)이 여전히 오프닝(4)의 내부 끝단 표면(52) 위에 접할 때 홈(46)밖으로 쐐기가 다소 옮겨지기 때문에, 그 하부 끝단이 오프닝(4)의 에지(50)의 상부 표면(49)에 남아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사면(51)은 더 이상 상부 섹션(53)에서는 쐐기 모양을 갖지 않으며, 오히려 후크(7)의 안착표면(8)에 넓게 평행하게 놓인다. 경사면(51)의 섹션(53)이 오프닝(4)의 내부 전면(52)에 접하는 상태에서, 갭(54)은 쐐기(47)의 하부 끝단(48)이 이 상태에서 홈(46)을 빠져나와 돌출되는 치수에 비해서 크게 남게 된다. 브레이스(6)는 포스트(1)을 향해 밀리게 되고 그 결과 쐐기(47)의 하부 끝단(48)은 에지(50)의 표면(49)로부터 멀어지게 되고 오프닝(4) 위로 움직이게 되며 쐐기(47)는 펼쳐진 상태를 감안하여 오프닝(4)을 통해 이 상태에서 빠져나오게된다.
상기 치수는 쐐기(47)의 하부 끝단(48)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감안하기 전에 포스트(1)의 외부 표면에 안착표면(8)이 이미 안착하도록 선택되며, 쐐기는 단단히 고정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치수는 상기 브레이스가 포스트(1) 쪽으로 밀릴 때 상기 간격(5a)이 완전히 사라지기 전에 펼쳐진 상태에서 미리 상기 쐐기(48)의 끝단이 상기 오프닝(4)을 통과하여 떨어질 수 있도록 선택될 수도 있다. 후크를 망치로 한 방 치게 되면, 도 2와 도 5의 실시예에서 브레이스의 끝단이 단단히 부착된다. 쐐기(47)의 모양은 도면을 비교해보면 알 수 있겠지만, 도 2의쐐기(12), 도 5의 (34)의 모양과 다르다. 그러나 도 6의 실시예는 또는 펼쳐진 상태에서 쐐기(47)위의 오프닝(4)의 내부 표면(52)에 의해 작용된 힘이 직접적으로 홈(46)의 내부 전 표면에 전달된다.
포스트(1)와 마주하는 표면(56)은 넓고 평평하며 평면(57)이 인접한 상부 반쪽은 구부러져 있다. 쐐기(47)는 포스트(1)에서 떨어져 마주보는 측부에 노우즈(58)를 갖는데, 브레이스와 후크(7)가 오프닝(4)에 끼워지지 않을 때, 상기 노우즈(58)는 펼쳐지지 않은 상태에서 오프닝(20)의 에지(59)에 안착하여 쐐기(47)가 펼쳐진 상태에서 오프닝(20)을 통과하여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그 치수는 이 펼쳐진 상태에서 쐐기(47)의 상부 끝단(60)이 상부 오프닝(22)을 통해 상향으로 끼워질 수 있는 식으로 선택된다.

Claims (18)

  1. 포스트 축에 대하여 그것의 외표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뻗쳐있는 하나 이상의 로제트(2)를 갖는 포스트(1) 및 횡브레이스(6)를 가지며, 상기 로제트(2)는 상기 브레이스(6)의 끝단에 배치된 후크(7)가 상향방향으로부터 도입될 수 있는 오프닝(4)을 갖고, 상기 브레이스(6)의 끝단에서 상기 포스트 축에 대하여 예각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후크(7)가 상기 오프닝(4)으로 도입된 후에 상기 오프닝(4) 아래에서 상기 후크(7)의 외곽으로부터 충분히 분리되어, 브레이스(6)의 끝단이 상기 오프닝(4)을 통해 위쪽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펼쳐진 위치) 쐐기(12, 34, 47)를 갖는 비계 조인트 형성용 어셈블리로서, 상기 후크(7)가 상기 오프닝(4)으로 완전히 들어가기 전에 상기 쐐기(12, 34, 47)의 하부 끝단(28, 38, 48)이 측면 방향으로 상기 후크(7)의 외곽을 넘어 돌출하여, 상기 후크(7)가 상기 오프닝(4) 내로 도입될 때, 상기 끝단(28, 38, 48)이 상기 오프닝(4)의 에지에 안착하고 상기 후크(7)를 좀 더 도입하면 상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조인트 형성용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닝(4) 길이의 방사상 치수(40)는 상기 오프닝(4)으로 도입될 수 있는 상기 후크(7)의 일부분의 최대 방사상 치수에, 상기 쐐기(12, 34, 47)의 가장 높은 위치에서 상기 쐐기(12, 34, 47)의 끝단이 상기 후크(7)의 외곽을 넘어 측면으로 돌출된 치수를 더한 것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비계 조인트 형성용 어셈블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12, 34, 47)는 도입 위치에서, 하향 이동에 반대하여 상기 브레이스(6)의 끝단에 보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조인트 형성용 어셈블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7)는 상기 후크(7)가 상기 오프닝(4)을 통해 도입될 때, 상기 브레이스(6)의 끝단을 상기 포스트(1)를 향하여 이동시키도록 상기 오프닝(4)의 에지(52)와 협동하는 경사면(5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조인트 형성용 어셈블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7)의 상기 경사면(51)의 상부 섹션(53)은 상기 포스트(1)에 안착하기 위한 상기 후크(7)의 안착 표면(8)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조인트 형성용 어셈블리.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12, 34)는 중력에 의해서만 그것의 펼쳐진 상태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조인트 형성용 어셈블리.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스프링이 상기 쐐기(12, 34, 47)를 그것의펼쳐진 상태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쐐기(12, 34, 47)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조인트 형성용 어셈블리.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12, 34, 47)는 두 개의 상호 협동하는 미끄럼 표면 사이에서 자동 잠금 효과에 의해 그것의 펼쳐진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조인트 형성용 어셈블리.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펼쳐진 위치에서, 상기 쐐기(47)의 측면은 상향 이동에 대해 자동 잠금하는 방식으로 상기 오프닝(4)의 내부 끝단면(52)에 안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조인트 형성용 어셈블리.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47)는 적어도 펼쳐진 위치에서, 피벗 운동에 반대하여 고정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조인트 형성용 어셈블리.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47)는 상기 후크(7)를 구성하는 부품의 홈(46) 내에서 가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조인트 형성용 어셈블리.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47)는 상기 브레이스(6)의 끝단의 홈(11) 내에서 가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조인트 형성용 어셈블리.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47)는 상기 브레이스(6)의 끝단내에서 영구적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조인트 형성용 어셈블리.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스(6)는 속이 빈 중공부를 갖고, 상기 쐐기(12, 34, 47)는 상기 쐐기가 상기 중공부의 하나 이상의 벽에 있는 오프닝에 대하여 이동할 때, 상기 중공부의 한쪽 벽의 내부 표면에 안착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조인트 형성용 어셈블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는 상기 쐐기가 상기 중공부의 내부에 있을 때, 횡볼트가 제거될 수 있는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는 아이(eye)를 가지며, 상기 중공부의 적어도 한 쪽 벽은 상기 횡볼트를 상기 쐐기의 아이로 삽입하기 위한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조인트 형성용 어셈블리.
  1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는 착탈 가능한 방식으로 그것의 도입 위치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조인트 형성용 어셈블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47)는 상기 쐐기(47)를 상승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상기 브레이스(6)의 에지 위로 이동될 수 있는 홈(4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조인트 형성용 어셈블리.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47)는 상기 브레이스(6)의 상기 중공부의 내부로 그것이 피벗되는 것을 막기 위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조인트 형성용 어셈블리.
KR10-1998-0705772A 1996-01-26 1997-01-22 비계조인트 KR1004327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02737.3 1996-01-26
DE19602737A DE19602737A1 (de) 1996-01-26 1996-01-26 Gerüstknot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2052A KR19990082052A (ko) 1999-11-15
KR100432776B1 true KR100432776B1 (ko) 2004-08-25

Family

ID=7783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5772A KR100432776B1 (ko) 1996-01-26 1997-01-22 비계조인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027276A (ko)
EP (1) EP0876541B1 (ko)
JP (1) JP3957318B2 (ko)
KR (1) KR100432776B1 (ko)
AT (1) ATE182949T1 (ko)
BR (1) BR9707302A (ko)
DE (2) DE19602737A1 (ko)
ES (1) ES2137054T3 (ko)
WO (1) WO19970273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26950C2 (de) * 1997-06-25 1999-12-23 Plettac Ag Rosettenförmige Haltevorrichtung für Gerüstelemente
DE19844613A1 (de) 1998-09-29 2000-03-30 Plettac Ag Vertikales Gerüstrohr mit verbesserter Lastaufnahmefähigkeit
DE19850004A1 (de) 1998-10-29 2000-05-04 Plettac Ag Rückengeländer
DE19859365A1 (de) 1998-12-22 2000-06-29 Plettac Ag Geschaeftsbereich G Gerüstrohr mit Eindrückungen zur Erhöhung der Lastaufnahmefähigkeit
DE19859859A1 (de) 1998-12-23 2000-06-29 Plettac Ag Geschaeftsbereich G Modulgerüstrohr
SE517645E5 (sv) * 1999-11-01 2016-06-07 Pluseight Technology Ab Anordning för sammankoppling av ställningselement
SE519230C2 (sv) * 2000-09-06 2003-02-04 Pluseight Technology Ab Anordning för sammankoppling av ställningselement
US6722471B2 (en) 2000-12-22 2004-04-20 Albert A. Wolfe Scaffolding system having improved safety structures and connecting members
DE10108784A1 (de) 2001-02-23 2002-09-05 Peri Gmbh Gerüst mit Vertikalstützen und Horizontalträgern
SE521500C2 (sv) * 2001-03-27 2003-11-04 Pluseight Safety Ab Anordning för personskydd vid byggnadsställningar och förfarande för att skydda personer medelst sådan anordning
DE10128955A1 (de) * 2001-06-15 2002-12-19 Peri Gmbh Zerlegbares Gerüst
GB2376998A (en) * 2001-06-27 2002-12-31 Marden Engineering & Fabricati Scaffolding system
SE525339C2 (sv) * 2002-09-27 2005-02-01 Pluseight Safety Ab Anordning för personskydd vid byggnadsställningar
US7845134B2 (en) * 2005-09-16 2010-12-07 Lacey Jr Harvey W Structure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tructure
US7703401B2 (en) * 2005-12-07 2010-04-27 Tait Towers Portable locking support structure
US20070274771A1 (en) * 2006-05-04 2007-11-29 Chien-Chung Chang Supporting apparatus
DE202006015586U1 (de) * 2006-10-11 2008-02-21 Wilhelm Layher Verwaltungs-Gmbh Vertikalrahmenelement aus Metall
DE102007018314A1 (de) * 2007-04-18 2008-11-06 Wilhelm Layher Verwaltungs-Gmbh Stütze für ein Raumtragwerk sowie Verbindungsanordnung für eine Geländer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Befestigen einer Geländereinrichtung an einer Stütze
JP4543095B2 (ja) * 2008-02-14 2010-09-15 アルインコ株式会社 安全手摺り
US20120228060A1 (en) * 2008-06-10 2012-09-13 Rogers Peter J High capacity vertical member for use with modular scaffolding
CA2634573C (en) * 2008-06-10 2011-05-24 Peter J. Rogers Modular scaffold system
US8393439B2 (en) * 2010-01-26 2013-03-12 Steve Howard Thacker Scaffold system and method
US20120186911A1 (en) * 2011-01-25 2012-07-26 Next Generation Scaffold Services Inc. Scaffold apparatus, method and system
US9303417B2 (en) 2011-01-25 2016-04-05 Next Generation Scaffold Services, Inc. Dual latching horizontal scaffold member
DE102011001796A1 (de) 2011-04-05 2012-10-11 Wilhelm Layher Verwaltungs-Gmbh Gerüststiel
DE102011001908A1 (de) * 2011-04-08 2012-10-11 G.M.B. Trade And Service Company Ltd. Anschlusselement für ein Keiltaschenmodulgerüstsystem
WO2012163340A1 (de) 2011-06-01 2012-12-06 Wilhelm Layher Verwaltungs-Gmbh Anordnung eines gerüstbauteils und eines vertikalen gerüstelements
MX360841B (es) 2011-11-02 2018-11-20 Saferite Platforms Inc Miembros de andamio horizontales y verticales pivotantes y metodo para erigir una plataforma de andamio desplazado.
JP5016736B1 (ja) * 2012-04-12 2012-09-05 ホリー株式会社 仮設足場用継手
US9133633B2 (en) 2012-06-05 2015-09-15 Tbfl, Inc. Modular insulated scaffold wall system
CN103032658B (zh) * 2012-12-24 2014-10-29 广东威创视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背投屏幕框架的锁定机构
JP5264008B1 (ja) * 2013-01-31 2013-08-14 日建リース工業株式会社 仮設足場用の連結装置
US9260873B1 (en) 2013-03-22 2016-02-16 Deltak Manufacturing, Inc. Truss member and truss connector
US9574357B2 (en) 2013-05-20 2017-02-21 Apache Industrial Services, Inc. Scaffold bracket
CN105370029A (zh) * 2014-08-16 2016-03-02 湖南金峰建达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钢管脚手架用圆盘扣
JP6388390B2 (ja) * 2014-09-03 2018-09-12 信和株式会社 梁・筋交い部材、梁・筋交い部材の支柱側の緊結部への連結構造及び連結方法
DE102016204694A1 (de) * 2016-03-22 2017-09-28 Peri Gmbh Gerüstelement mit einem Trägerkopf und Baugerüst mit einem solchen Gerüstelement
DE102016223824A1 (de) * 2016-11-30 2018-05-30 Peri Gmbh Gerüstelement, Gerüst mit einem solchen Gerüstelement und Verfahren zur Montage des Gerüsts
CN106545154A (zh) * 2017-01-10 2017-03-29 河北省第四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轮扣式支撑架轮盘插头
CN110226014B (zh) * 2017-01-27 2020-06-16 日商日建租赁工业株式会社 临时脚手架用的连结件
US11332947B2 (en) * 2017-03-23 2022-05-17 Deltak Manufacturing, Inc. Intermediate scaffold joint
US11859397B1 (en) * 2017-04-17 2024-01-02 Direct Scaffold Supply, Llc Locking mechanisms and wedge system for adjustable toe board
DE102017208127A1 (de) * 2017-05-15 2018-11-15 Peri Gmbh Gerüstrosette, Gerüststiel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der Gerüstrosette
DE102017218472A1 (de) * 2017-10-16 2019-04-18 Peri Gmbh Horizontalriegel
DE102018203663A1 (de) * 2018-03-12 2019-09-12 Peri Gmbh Gerüstrosette sowie Gerüstanordnung
CA3039877A1 (en) * 2018-04-10 2019-10-10 Deltak Manufacturing, Inc. Triple latching horizontal scaffold member with three triggers
KR102302882B1 (ko) * 2019-12-11 2021-09-16 반도스틸 주식회사 건설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재 클램프
DE102021115715A1 (de) 2021-06-17 2022-12-22 Peri S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dditiven Fertigung eines Bauteils und Verfahren zur Bereitstellung einer Vorrichtung zur additiven Fertigung
DE202021104665U1 (de) 2021-08-30 2022-12-01 Peri Se Verbindungsscheibe für ein Gerüst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74020A (en) * 1974-05-09 1977-05-18 Kwikform Ltd Builders scaffolding
US4273463A (en) * 1979-10-03 1981-06-16 Gerhard Dobersch Steel tube scaffold
FR2483994A3 (fr) * 1980-06-05 1981-12-11 Utema Travhydro Sa Echafaudage tubulaire
ZA806590B (en) * 1980-10-27 1981-10-28 Acrow Ltd Scaffolding
DE3236648A1 (de) * 1982-10-04 1984-04-05 Plettac Gmbh Stahlbau Und Gesenkschmiede, 5970 Plettenberg Geruest, insbesondere baugeruest
GB2133106A (en) * 1982-12-24 1984-07-18 Wah Wong Scaffold joint
DE8535982U1 (de) * 1985-12-19 1986-02-06 Bera Berliner Rahmengerüst GmbH & Co KG, 1000 Berlin Stahlrohrgerüst
WO1988003212A1 (en) * 1986-10-28 1988-05-05 Lubeca Contruction Systems Pty. Ltd. Scaffolding system
DE3800169A1 (de) * 1987-11-27 1989-06-08 Mueller & Borggraefe Kg Metallstandgeruest fuer bauwerke
DE69214151D1 (de) * 1991-07-12 1996-10-31 Ronald Lubinski Aluminium gerüst
ES2068136B1 (es) * 1993-05-04 1998-01-16 Ulma S Coop Andamio multidireccional perfeccionad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76541B1 (de) 1999-08-04
JP3957318B2 (ja) 2007-08-15
US6027276A (en) 2000-02-22
DE59700307D1 (de) 1999-09-09
KR19990082052A (ko) 1999-11-15
JP2000503358A (ja) 2000-03-21
BR9707302A (pt) 1999-07-20
ES2137054T3 (es) 1999-12-01
DE19602737A1 (de) 1997-07-31
WO1997027372A1 (de) 1997-07-31
EP0876541A1 (de) 1998-11-11
ATE182949T1 (de) 1999-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2776B1 (ko) 비계조인트
US3993341A (en) Deck structure and connector for building construction
US5400870A (en) Scaffolding frame system
US4586842A (en) Scaffold joint for a scaffold structure
JP4794113B2 (ja) 足場用連結装置
KR102051669B1 (ko) 자동 풀림 샤클
US4359960A (en) Marine tether anchoring device
KR102105585B1 (ko) 형틀 체결용 너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형틀 체결 장치
US5064163A (en) Connecting device for shuttering panels
JP7141658B2 (ja) 足場における楔緊結装置
US3990207A (en) Tiedown device
JP7441712B2 (ja) 足場における楔緊結装置
US3017972A (en) Connection units
JPH0465921B2 (ko)
JP7473396B2 (ja) 足場における楔緊結装置
US4590732A (en) Anchor device
KR200392065Y1 (ko) 부재 고정구
JP7473395B2 (ja) 足場における楔緊結装置
CN211368674U (zh) 一种弹性接桩机构及预制桩组合
JPH07286438A (ja) パイプジョイント
JP3495304B2 (ja) 仮設用幅木の取付装置
CZ226992A3 (en) Lock-out device for connecting scaffold
KR102599110B1 (ko) 리벳형으로 결합되는 내진용 앵커 어셈블리
US20040261339A1 (en) Safety barrier
KR100556624B1 (ko) 동바리 조립용 브라켓과 이를 이용한 동바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