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9482B1 - 차량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9482B1
KR100429482B1 KR10-2002-0018042A KR20020018042A KR100429482B1 KR 100429482 B1 KR100429482 B1 KR 100429482B1 KR 20020018042 A KR20020018042 A KR 20020018042A KR 100429482 B1 KR100429482 B1 KR 100429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air
foot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8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9420A (ko
Inventor
나츠메다쿠야
도쿠나가다카히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0516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30192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18425A external-priority patent/JP4538979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020079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9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9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94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64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for sending air streams of different temperatures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71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 B60H1/00685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the door being a rotating disc or cylinder or par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85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 B60H2001/00192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to left and right part of passenger compar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 공조장치에 의하면, 두 개의 발측 개구(27)는 케이스(11)의 좌우 벽부(11b)에 제공되고, 각각 두 개의 발측 도어(28)에 의하여 개방 및 폐쇄된다. 상기 발측 도어(28)의 각 도어면은 발측 개구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하여 좌우 벽부의 면을 따라 이동된다. 얼굴측 개구(20)(21)는 얼굴측 도어에 의하여 개방 및 폐쇄되도록 케이스의 상측벽부(11a)에 제공된다. 상기 발측 도어(28)의 동작 궤적(R1)은 그 발측 도어의 도어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바라볼 경우 얼굴측 도어(22)의 동작 궤적과 겹치고, 상기 얼굴측 도어는 그와 각 발측 도어 사이에 간극을 갖도록 상기 발측 도어 사이에서 동작된다.

Description

차량 공조장치{Vehicl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향상된 송풍 절환 구조를 갖는 차량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특개평9-150620호 공보에 기재된 종래의 차량 공조장치에 있어, 공기 토출 모드 절환 도어로서 이용된 원통형 회전 도어는 케이스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원통형 회전 도어의 축방향 원통면 및 양단면의 일부분에 연통포트가 제공되어, 상기 회전 도어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복수개의 공기 토출 개구는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된다. 그러나, 상기 복수개의 공기 노출 개구는 하나의 회전 도어만을 이용함으로써 개방 및 폐쇄되기 때문에, 각 배열 위치와 공기 토출 개구의 각 크기는 제약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 토출 개구로부터 송풍되는 각 풍량은 마음대로 변화되고, 바이 레벨(bi-level) 모드에서 객실의 상부측으로 송풍되는 공기와 객실의 하부측으로 송풍되는 공기 사이의 유량비를 자유로이 설정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판형 도어와 회전 도어가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케이스내에 상기 판형 도어와 회전 도어가 단순하게 결합될 경우, 상기 회전 도어의 회전 동작과 상기 판형 도어의 회전 동작 사이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고, 공기 흐름의 교란 및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차량 공조장치의 케이스 크기는 간섭 및 공기 흐름 교란을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커져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공기 유로 교란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 배열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차량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조 유닛을 도시한 수직 단면도.
도 2 는 객실 내측으로부터 바라본 경우의 공조 유닛을 도시한 전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측 도어 및 얼굴측 도어의 회전 궤적 범위를 도시한 공조 유닛의 수직 단면도.
도 4a 및 도 4c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조 케이스의 발측 개구를 각각 도시한 개략단면도이고, 도 4b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조 케이스의 발측 개구를 도시한 측면도.
도 5a 및 도 5c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조 케이스의 발측 개구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발측 도어를 각각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고, 도 5b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조 케이스의 발측 개구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발측 도어를 도시한 측면도.
도 6a 내지 도 6c 는 발측 도어의 동작을 도시한 측면도.
도 6d 는 도 6a 의 VID-VID 선에 따른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얼굴측 모드에서 공조 유닛을 도시한 수직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이-레벨 모드에서 공조 유닛을 도시한 수직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측 모드에서 공조 유닛을 도시한 수직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성에 제거 모드에서 공조 유닛을 도시한 수직 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측 개구의 위치 선택 범위를 도시한 공조 유닛의 수직 단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발측 개구의 위치와, 객실의 하부측으로 송풍된 공기와 객실의 상부측으로 송풍된 공기 간의 온도 변화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13a 내지 도 13c 는 발측 도어의 동작을 각각 도시한 측면도.
도 13d 는 도 13a의 XIIID-XIIID선에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공조 케이스 12: 증발기
13: 히터 코어 15: 바이패스 통로
16: 공기 혼합 도어 18: 온풍 통로
20, 21: 얼굴측 개구 22: 얼굴측 도어
27: 발측 개구 28: 발측 도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공조장치에 있어, 객실로 공기가 흐르는 공기 통로를 형성하는 케이스는 냉각 열교환기 및 가열 열교환기를 통해 통과하는 공기의 유로 방향에서 볼 경우, 일측에 위치된 제1 벽부 및 상기 제1 벽부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벽부를 포함한다. 공기가 객실의 일측으로 송풍되는 제1 개구는 제1 벽부에 제공되고, 공기가 객실의 타측으로 송풍되는 제2 개구는 제2 벽부에 제공된다. 케이스에 제1 개구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제1 도어가 위치되고, 제2 개구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제2 도어가 배치된다. 상기 제1 도어는 제1 벽부의 면을 따라 이동되는 도어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벽부의 면을 따라 도어면의 이동에 의하여 제1 개구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배치되는 플레이트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도어는 케이스의 제1 벽부의 면을 따라 이동되는 플레이트 부재에 의해 구성되기 때문에, 제1 도어의 배열 공간은 감소될 수 있고, 케이스내의 공기 흐름은 제1 도어의 이동에 의하여 교란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내 공기 흐름의 교란은 방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스의 크키도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제1 개구는, 제1 벽부의 제1 개구의 개방 방향으로부터 볼 경우, 공기 혼합부의 면적내에 제공된다. 따라서, 공기는 공기 혼합부로부터 제1 개구로 직접적으로 용이하게 유입된다. 그러므로, 공기 흐름 저항은 감소될 수 있고, 제1 개구로 유입된 공기 유량은 증가될 수 있으며, 공기 흐름 소음은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제1 벽부는 냉각 열 교환기 및 가열 열 교환기의 양측 모두에 제공된다. 상기 제1 벽부에 제공된 제1 개구는 상기 제1 벽부에 대응되도록 냉각 열 교환기 및 가열 열 교환기의 양측 모두에 제공된 두개의 개구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도어는 각각 제1 개구의 두 개구부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두 개의 도어 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 도어 및 제2 도어는, 제1 도어의 도어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볼 경우, 상기 제1 도어의 동작 궤적이 제2 도어의 동작 궤적과 겹치게 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2 도어는, 제1 도어의 도어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2 도어와 제1 도어의 각 도어 부재 사이에 소정 간극을 갖도록 제1 도어의 두 도어 부재 사이에서 동작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도어의 배열 공간은 감소될 수 있으며, 제1 도어 및 제2 도어의 간섭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도어는 케이스에 제공된 제1 회전축 주위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제2 도어는 케이스에 제공된 제2 회전축 주위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 각각은 제1 도어의 도어면에 직교하는 방향에 평행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1 개구는 대략 팬(fan)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대략 팬 형태의 제1 개구는 제1 개구의 형태에 대응한다. 대략 팬 형태의 제1 개구는 대략 원호 형태를 갖는 외주연부를 구비하고, 상기 대략 팬 형태의반경 중앙은 외주연부에 대해서 제2 도어의 제2 회전축에 대향하는 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1 도어의 회전축은 제1 개구의 대략 팬 형태의 반경 중앙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 도어와 제2 도어 사이의 간섭은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고, 제1 및 제2 도어의 배열 공간은 더욱 감소될 수 있다.
상기 발명의 상기 목적들 및 다른 목적들, 특징들 그리고 장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12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차량 공조장치의 통풍 시스템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한 공조 유닛(10) 및 상기 공조 유닛(10)으로 공기를 송풍시키기 위한 송풍기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송풍기 유닛은 중앙으로부터 전방 좌석 측으로 오프셋(offset)되도록 차량 폭 방향(좌우 방향)에서 객실내의 계기 판넬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기 유닛은 내측 공기(즉,, 객실 내측 공기)와 외측 공기(즉, 객실 외측 공기)를 선택적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내측/외측 공기 스위칭 박스 및 상기 내측/외측 스위칭 박스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송풍시키기 위한 송풍기(예를 들면, 원심식 전기 송풍기)를 포함한다.
상기 공조 유닛(10)은 수지류의 공조 케이스(11)와, 증발기(냉각 열 교환기)(12) 및 히터 코어(가열 열 교환기)(13)를 포함한다. 상기 증발기(12) 및 히터 코어(13)는 공조 케이스(11)내에 일체로 배치된다. 상기 공조 케이스(11)는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갖고, 강도에서도 우수한 수지류,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과 같은 수지류로 이루어지며, 복수개의 분할 케이스로 구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분할 케이스는 금속 스프링 클립 및 스크류등과 같은 체결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공조 유닛(10)은 객실의 계기 판넬 내측에 배치되고, 실질적으로 차량 폭 방향의 중앙부에 배열된다. 또한, 상기 공조 유닛(10)은 차량 전후방향, 차량 상하방향 및 차량 좌우 방향에서 도 1 및 도 2 에 도시한 배열에 대응하도록 차량에 설치된다.
상기 공조 유닛의 최전방측 면에는 공기 입구(14)가 제공된다. 상기 송풍기 유닛으로부터 송풍된 공기는 공기 입구(14)를 통해 공조 케이스(11)로 흐른다.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증발기(12)는 상기 공기 입구(14)의 바로 공기 하류측 공조 케이스(11)내에 배치된다. 상기 증발기(12)는 냉동 사이클 시스템에서의 냉매의 증발 잠열을 공기로부터 흡열함으로써 그를 통해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한다. 또한, 상기 증발기(12)는 실질적으로 상기 공조 케이스(11)내의 전체 공기 통로를 가로지르도록 수직으로 배치되며, 상기 증발기(12)의 두께는 차량 전후방향으로 박형(thin)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히터 코어(130는 그와 증발기(12) 사이에 소정 간격을 갖고 상기 증발기(12)의 공기 하류측(차량 후방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히터 코어(13)는 하부측에서 차량 후방측으로 약간 경사지도록 상기 공조 케이스(11)내에 배치된다. 본 제1 실시예에서, 상기 증발기(12)와 히터 코어(13)의 각 폭의 치수는 공조 케이스(11)의 폭 치수와 거의 동일하게 설정된다.
고온의 온수(엔진 냉각수)가 흐르는 상기 히터 코어(13)는 열원으로서, 고온의 온수를 이용하여 상기 증발기(12)로부터 흐르는 공기를 가열한다. 상기 히터 코어(13)는, 바이패스 통로(15)가 상기 공조 케이스(11)내의 히터 코어(13) 상부에 제공되도록 상기 공조 케이스(11)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12)로부터의 공기는 바이패스 통로(15)를 통해 통과하면서 상기 히터 코어(13)를 바이패스한다.
상기 히터 코어(13)를 통해 통과하는 공기량과 상기 바이패스 통로(15)를 통하면서 히터 코어(13)를 바이패스하는 공기량 간의 흐름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히터 코어(13)와 증발기(12) 사이에 평판형 공기 혼합 도어(16)가 제공된다.
상기 공기 혼합 도어(16)는 대략 수평방향(예를 들면, 차량 폭 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축(17)에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공기 혼합 도어(16)는 회전축(16) 주위로 회전가능하게 되도록 배치된다. 본 제1 실시예에서, 공기 혼합 도어의 흐름비 조절에 의하여, 객실로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7)은 공조 케이스(1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회전축(17)의 일단은 공조 케이스(11)의 외측으로 돌출하고, 연결 메커니즘을 통하여 서보모터를 이용하는 엑츄에이터 또는 수동 조작 메커니즘으로 연결되어, 상기 혼합 도어(16)의 회전 위치는 엑츄에이터 또는 수동 조작 메커니즘에 의하여 조절된다.
상기 히터 코어(13)의 공기 하류측에는 그 히터 코어(13)의 공기 출구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하는 온풍 통로(18)가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온풍 통로(18)로부터의 온풍 및 바이패스 통로(15)로부터의 냉풍이 상기 공기 혼합부(19)에서 합류되어 혼합된다.
상기 공조 케이스(11)의 상부 벽부(11a)의 차량 후방측 위치에는 상기 상부 벽부(11a)에서 개방되도록 얼굴측 개구(20)(21)가 제공된다. 즉, 상기 얼굴측 개구(20)(21)는 공기 혼합부(19)의 바로 상부측 위치에서 상기 상부 벽부(11a)에 제공된다.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얼굴측 개구(20)(21)는 차량 폭방향으로 4개의 개구로 분리되도록 제공된다. 특히, 중앙의 두 얼굴측 개구(20)는 중앙측 위치에 배열되고, 양측 두개의 얼굴측 개구(21)는 상기 중앙 얼굴측 개구(20)의 좌우측에 배열된다. 상기 중앙 얼굴측 개구(20)는 차량 폭방향으로 중앙 얼굴측 덕트를 통하여 계기 판넬의 중앙 상부측에 제공된 중앙 얼굴측 공기 출구로 결합되고, 조절된 공기는 차량 폭 방향으로 중앙 주위의 객실 상부측으로 송풍된다. 유사하게, 양쪽 얼굴측 개구(21)는 양쪽 얼굴측 덕트를 통하여 계기 판넬상의 좌우측부에 제공된 양쪽 얼굴측 공기 출구에 결합되며, 조절된 공기는 차량 폭방향으로 좌우 양측의 객실 상부측으로 송풍된다.
상기 공조 케이스(11)의 얼굴측 개구(20)(21) 하부측(내측)에는 그 얼굴측 개구(20)(21)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얼굴측 도어(22)가 제공된다.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얼굴측 도어(22)는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하는 얇은 사각 판형 도어이다. 상기 얼굴측 도어(22)는 공조 케이스(11)의 상부 벽부(11a) 차량 후방단부측에 배치된 회전축(23)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23) 주위로 회전된다.
상기 얼굴측 개구(20)(21)의 차량 전방측 위치에서 공조 케이스(11)의 상부 벽부(11a)에는 성에 제거 개구(24)가 개방된다. 상기 성에 제거 개구(24)는 성에 제거 덕트를 통하여 성에 제거 공기 출구에 연결되고, 공기 혼합부(19)로부터의 조절된 공기가 상기 성에 제거 출구로부터 차량 앞 유리(windshield)의 내측면으로 송풍된다. 상기 공조 케이스(11)의 성에 제거 개구(24) 하부측(내측)에는 상기 성에 제거 개구(24)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하여 성에 제거 도어(25)가 배치된다. 상기 성에 제거 도어(25)는 얼굴측 도어(22)와 유사하게 차량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얇은 사각 판형 도어이다. 상기 성에 제거 도어(25)는 성에 제거 개구(24)의 차량 전방 단부측에서 공조 케이스(11) 내측에 배치된 회전축(26)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26) 주위로 회전된다.
또한,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폭 방향으로 공조 케이스(11)의 좌우측에 위치된 좌우측 벽부(11b)에는 발측 개구(27)가 개방된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발측 개구(27)는 차량 폭방향으로의 측면에서 바라본 경우, 공기 혼합부(19)의 면적과 겹치는 위치에 제공된다. 상기 각 발측 개구(27)는 대략 팬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각 발측 개구(27)의 개구 면적은 하부로부터 상부측으로 확장된다. 즉, 상기 발측 개구(27)는 히트 코어(13)와 얼굴측 개구(20)(21)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대략 팬 형태를 갖도록 제공되어, 대략 팬 형상의 원호 주연부의 방사상 중앙부가 상기 발측 개구(27)의 바닥측에 위치되고, 상기 발측 개구(27)의 개구 면적은 상부측으로 증가된다. 따라서, 상기 발측 개구(27)의 대략 팬 형상의 방사상 중앙부는 대략 팬 형상의 원호 주연부에 대하여 상기 얼굴측 도어(22)의 회전축(23)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제공된다. 대략 팬 형상을 갖는 좌우 발측 도어(28) 각각은, 각각 발측 개구(27)를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하여 회전축(29) 주위에 회전가능하게 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회전축(29)은 발측 개구(27)의 대략 팬 형상의 방사상 중앙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회전축(29)은 차량 폭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29)의 양단은 공조 케이스(11)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발측 도어(28)는 그(28)의 도어 면들이 공조 케이스(11)의 측벽부(11b)를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공조 케이스(11)내에 배치된다. 즉, 상기 발측 도어(28)는 발측 개구(27) 모두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상기 회전축(29)에 일체로 연결된다. 제1 실시예에서, 상기 발측 도어(28)는 일예로 수지류를 이용하여 회전축(29)과 일체로 몰드된다. 상기 발측 개구(27)는 조절된 공기가 객실내의 승객 발쪽 면적으로 송풍되도록 좌우측벽(11b)에서 개방된다. 즉, 조절된 공기는 상기 발측 개구(27)를 통하여 객실내의 하부 좌우측으로 송풍된다.
도 3 에서, R1은 얼굴측 도어(22)의 회전 궤적 범위를 나타내고, R2는 발측 도어(28)의 회전 궤적 범위를 나타낸다. 상기 두 도어(22)(38)의 회전 궤적 범위(R1)(R2)는, 차량의 폭 방향(예를 들면, 발측 도어(28)의 도어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두 도어(22)(28)를 바라볼 경우, 부분적으로 겹쳐지게 된다. 제1 실시예에서,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얼굴측 도어(22)는 차량 폭 방향으로 길이 L1을 가지며, 좌우 발측 도어(28)는 차량 폭 방향으로 거리 L2에 의하여 분리되어 있으며, 좌우 발측 도어(28)의 거리 L2는 발측 도어(22)의 길이 L1보다 소정량(예를 들면, 5mm) 크게 설정된다.
따라서, 회전 궤적 범위(R1)(R2)가 축방향(차량 폭방향)에서 바라볼 경우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상기 도어(22)(28)가 배치되더라도, 양측 발측 도어(28)가 차량의 폭 방향으로 얼굴측 도어(22)의 좌우측에서 공조 케이스(11)의 측벽부(11b)의 내측면을 따라 회전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발측 개구(27)의 대략 팬 형상의 반경 중앙부는 발측 개구(27)의 원호 주연부에 대하여 얼굴측 도어(22)의 회전축(23)에 대향하는 하부측 위치에서 설정되며, 상기 회전축(29)은 발측 개구(27)의 대략 팬 형상의 반경 중앙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발측 도어(28)의 회전축(29)과 얼굴측 도어(22) 간의 간섭은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a 내지 도 6d 를 참조하여 발측 도어(28)의 밀봉 구조를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c 는 공조 케이스(11)내의 발측 개구(27)의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4a 내지 도 4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발측 도어(28)의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유지되는 베어링 홀(30)이 상기 발측 개구(27)의 대략 팬 형상의 반경 중앙부 위치에서 상기 공조 케이스(11)에 개방된다. 상기 발측 개구(27)를 형성하는 공조 케이스(11)의 벽부는 대략 폐쇄된 루프(loop) 형태의 팬 형상으로 상기 공조 케이스(11) 내측으로 돌출하는 내측 돌출부(27a) 및 대략 폐쇄된 루프 형태의 팬 형상으로 상기 공조 케이스(11)의 외측으로 돌출된 외측 돌출부(27b)를 구비한다.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돌출부(27a)에서, 외주면(27c)과 내주면(27d) 및 일측면(27e)(도 4 에서 우측면)은 제1 밀봉면(S1)을 구성한다. 상기 내측 돌출부(27a)의 타측면(도 4b 에서 좌측면)은 도 4a 및 도 4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치수 "h"에 의하여 제1 밀봉면(S1)보다 공조 케이스(11) 내측으로 돌출하는 제2 밀봉면(S2)을 구성한다.
한편, 발측 도어(25)는 도 5a 내지 도 5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성된다. 도5a 내지 도 5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발측 도어(28)는 도어면을 구성하는 플레이트 부재(28a)를 구비하고, 상기 플레이트 부재(28a)는 대략 팬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발측 개구(27)의 내측 돌출부(27a)에 대향하는 플레이트 부재(28a)의 면은 도 6d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측 개구(27)의 내측 돌출부(27a)의 상단부에서 이동되도록 설정된다. 여기에서, 도 6d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돌출부(27a)의 상단부와 발측 도어(28)의 플레이트 부재(28a) 사이에서 상기 발측 도어(28)가 이동하는 동안 그들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될 수 있도록 작은 간극 "j"가 설정된다.
상기 내측 돌출부(27a)로 돌출하는 주연 돌출부(28b)는 발측 개구(27) 주위의 제1 밀봉면(S1)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플레이트 부재(28a)에 형성된다. 상기 제1 밀봉 부재(31)는 본딩 재질등을 이용함으로써 주연 돌출부(28b)의 전체 면에 고정된다. 상기 내측 돌출부(27a)에 대향하는 측으로 돌출하는(케이스(11) 내측으로 돌출하는) 측부(28c)(예를 들면, 도 5b 에서 좌측부)는 상기 발측 도어(28)의 플레이트 부재(28a)에 형성된다. 제1 실시예에서, 상기 측부(28c)의 돌출량 총합 h1 및 상기 플레이트 부재(28a)의 두께 "t"는 상기 발측 개구(27)의 제2 밀봉면(S2)의 돌출량 "h"와 같게 되도록 설정된다(예를 들면, h = t + h1). 제2 밀봉 부재(32)는 본딩 재질등을 이용함으로써 측부(28c)에 고정된다.
제1 실시예에서, 발포형(foam) 수지와 같은 탄성 재질은 상기 제1 및 제2 밀봉 부재(31)(32)의 재질로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발측 도어(28)의 제1 밀봉부재(31)는 발측 개구(27)의 내측 돌출부(27a)의 제1 밀봉면(S1)에 가압 접촉되고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상기 발측 도어(28)의 제2 밀봉 부재(32)는 발측 개구(27)의 내측 돌출부(27a)의 제2 밀봉면(S2)에 가압 접촉되고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도 6a 는 발측 도어(28)가 발측 개구(27)를 완전히 폐쇄할 경우의 발측 도어(28) 위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 6b 는 발측 도어(28)가 개방 정도에 따라 발측 개구(27)를 개방할 경우의 발측 도어(28)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며, 도 6c 는 발측 도어(28)가 발측 개구(27)를 완전히 개방할 경우의 발측 도어(28)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얼굴측 도어(22), 성에 제거 도어(25) 및 발측 도어(28)는 공기 출구 모드를 절환하기 위한 모드 절환 도어이다. 상기 도어(22)(25)(28)은 각각 회전축(23)(26)(29)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각 회전축(23)(26)(29)은 차량 폭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즉, 각 회전축(23)(26)(29)은 상기 발측 도어(28)의 플레이트 부재(28a)의 도어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한다. 상기 회전축(23)(26)(29)은 링크 메커니즘를 통하여 서보모터를 이용하는 모드 절환 액츄에이터 또는 수동조작 메커니즘으로 연결되어, 모드 동작 엑츄에이터 및 수동 조작 메커니즘에 의하여 서로 동작가능하게 연결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조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 있어, 얼굴측 도어(22)와, 성에 제거 도어 및 발측 도어(28)의 동작 위치를 선택함으로써, 얼굴측 모드, 바이-레벨(bi-level) 모드, 발측 모드 및 성에 제거 모드와 같은 다음의 공기 출구 모드로 선택될 수 있다.
(1) 얼굴측 모드
얼굴측 모드가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될 경우, 얼굴측 도어(22)는 얼굴측 개구(20)(21)를 완전히 개방하고, 성에 제거 도어(25)는 성에 제거 개구(24)를 완전히 폐쇄한다. 상기 얼굴측 모드에서, 바이패스 통로(15)를 완전히 개방하기 위하여 공기 혼합 도어(16)가 히터 코어(13)의 공기 통로를 완전히 폐쇄할 경우, 송풍기 유닛에 의하여 송풍된 모든 공기는 증발기(12)에서 냉각되고, 도 7 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얼굴측 개구(20)(21)를 통해 객실내 승객의 얼굴측으로 송풍된다. 도 7 에서, 상기 공기 혼합 도어(16)는 최대 냉각 위치에 위치된다. 그러나, 상기 얼굴측 모드에서, 상기 공기 혼합 도어(16)는 객실의 설정 온도에 따른 개방 정도 위치로 동작될 수 있다. 상기 공기 혼합 도어(16)가 중간 개방 정도 위치로 동작될 경우, 증발기(12)로부터의 일부 공기는 가열되어질 히터 코어(13)를 통해 통과하고, 상기 증발기(12)로부터의 다른 일부 공기는 희망 온도를 갖는 조절된 공기를 공기 혼합부(19)에서 얻을 수 있도록 바이패스 통로(16)를 통하여 통과한다. 따라서, 상기 얼굴측 모드에서, 희망 온도를 갖는 조절된 공기는 얼굴측 개구(20)(21)를 통하여 객실내의 승객 얼굴측으로 송풍될 수 있다.
(2) 바이 레벨 모드
도 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이 레벨 모드가 설정될 경우, 성에 제거 도어(25)는 도 7 의 얼굴측 모드와 유사하게, 성에 제거 개구(24)를 완전히 폐쇄하도록 동작된다. 바이 레벨 모드에서, 상기 얼굴측 도어(22) 대략 절반 개방 상태에서 얼굴측 개구(20)(21)를 개방하고, 발측 도어(28)은 대략 절반 개방 상태에서 발측 개구(27)를 개방한다. 일반적으로, 바이 레벨 모드는 봄 및 가을과 같은 계절에 이용되기 때문에, 상기 공기 혼합 도어(16)는 중간 개방 정도에서 동작된다. 따라서, 도 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발기(12)로부터 바이패스 통로(15)를 통하여 통과하는 냉각 공기(A)와, 히터 코어(13)를 통하여 통과하는 가열 공기(B) 사이의 흐름비는 상기 공기 혼합 도어(16)의 개방 정도에 의하여 조절된다. 따라서, 바이패스 통로(15)로부터의 냉각 공기(A) 및 히터 코어(13)로부터의 가열 공기(B)는 조절된 공기로 되도록 공기 혼합부(19)에서 혼합되고, 조절된 공기는 얼굴측 개구(20)(21)로부터 객실내의 승객 얼굴측으로 송풍된다.
상기 발측 개구(27)는 공기 혼합부(19)의 좌우측 모두에서 공기 혼합부(19)와 겹치게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 혼합부(19)로 송풍되는 냉각 공기(A) 및 가열 공기(B)는 공조 케이스(11)의 좌우측 벽부(11b)에 제공된 좌우 발측 개구(27)로 분기되어 흐른다. 냉각 공기(A) 및 가열 공기(B)는 혼합되어 발측 개구(27)로 흐르고, 혼합된 공기는 좌우 발측 개구(27)로부터 객실내의 승객 발측으로 흐른다.
(3) 발측 모드
도 9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측 모드가 설정될 경우, 성에 제거 도어(25)는 성에 제거 개구(24)를 조금 개방시키고, 얼굴측 도어(22)는 얼굴측 개구(20)(21)를 완전히 폐쇄한다. 또한, 발측 도어(28)는 발측 개구(27)를 완전히 개방하도록 동작한다.
도 9 의 예에서, 공기 혼합 도어(16)는 바이패스 통로(15)를 완전히 폐쇄하고, 히터 코어(13)의 공기 통로를 완전히 개방하도록 최대 가열 위치에서 동작된다. 따라서, 송풍기 유닛에 의하여 송풍된 모든 공기는 증발기(12)를 통하여 통과하고, 히터 코어(13)에서 가열되도록 히터 코어(13)로 흐른다. 상기 히터 코어(13)에서 가열된 가열 공기는 도 9 의 화살표 B 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 공기 통로(18)를 통하여 공기 혼합부(19)로 흐른다. 상기 공기 혼합부(19)에서의 대부분 가열 공기는 도 9 의 화살표 D 로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발측 개구(27)로 분기되어 흐르고, 좌우 발측 개구(27)로부터 객실내의 승객 발측 영역으로 송풍된다.
상기 발측 모드에서, 가열 공기의 일부는 공기 혼합부(19)로부터 성에 제거 개구(24)로 흐르고, 차량 앞유리의 성에 제거를 위하여 성에 제거 개구(24)로부터 차량 앞유리 내측면으로 송풍된다. 상기 발측 모드에서, 냉각 공기와 가열 공기 사이의 혼합비를 공기 혼합 도어(16)를 이용함으로써 적절히 조절하여, 객실로 송풍된 공기의 온도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4) 성에 제거 모드
도 10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성에 제거 모드가 설정될 경우, 성에 제거 도어(25)는 성에 제거 개구(24)를 완전히 개방하도록 동작된다. 또한, 얼굴측 도어(22)는 얼굴측 도어(20)(21)를 완전히 폐쇄하고, 발측 도어(28)도 발측 개구(27)를 완전히 폐쇄한다. 도 10 에 도시한 예에서, 공기 혼합 도어(16)는 바이패스 통로(15)를 완전히 폐쇄하고, 히터 코어(13)의 공기 통로를 완전히 개방시키도록 최대 가열 위치로 동작된다. 따라서, 송풍기 유닛으로부터 송풍된 모든 공기는 증발기(12)를 통과한 이후 상기 히터 코어(13)로 흐른다. 상기 히터 코어(13)로부터의 가열 공기는 가열 공기 통로(18)를 통하여 상측으로 흐른 후 공기혼합부(19)로 흐르고, 성에 제거 개구(24)로 유입된다. 이후, 가열 공기는 차량 앞 유리의 성에 제거를 위하여 성에 제거 개구(24)로부터 차량 앞유리 내측면으로 송풍된다. 성에 제거 모드 경우라도, 차량 앞유리 내측면으로 송풍된 공기 온도는 상기 공기 혼합 도어(16)의 동작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발측/성에 제거 모드는 공기 출구 모드로서 설정될 수 있다. 발측/성에 제거 모드에서, 성에 제거 개구(24)로부터 송풍된 공기량은 발측 모드에서의 공기량에 비하여 증가된다. 발측/성에 제거 모드에서, 발측 개구(27)로부터 송풍된 공기량은 성에 제거 개구(24)로부터 송풍된 공기량과 대략 동일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발측 도어(28)가 도 6c 에 도시한 발측 개구(27)의 완전 개방 위치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축(29) 주위를 회전할 경우, 각 플레이트 부재(28a)는 측벽부(11b)를 따라 발측 개구(27)의 내측 돌출부(27a)의 상부에서 이동되어, 상기 발측 개구(27)의 개방 면적은 점차 감소된다.
상기 발측 도어(28)가 도 6c 에 도시한 위치로부터 도 6a에 도시한 위치로 이동될 경우, 상기 발측 도어(28)의 플레이트 부재(28a)는 발측 개구(27)의 개방면적을 완전히 폐쇄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발측 도어(28)의 제1 밀봉 부재(31)는 발측 개구(27)의 내측 돌출부(27a)의 제1 밀봉면(S1)을 가압 접촉하며,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유사하게, 상기 발측 도어(28)의 제2 밀봉 부재(32)는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상기 내측 돌출부(27a)의 제2 밀봉면(S2)에 가압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발측 도어(28)가 발측 개구(27)를 완전히 폐쇄한 경우, 공기 밀봉 성능은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고, 상기 발측 개구(27)로부터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상기 내측 돌출부(27a)의 제2 밀봉면(S2)은 상기 발측 도어(28)의 완전히 폐쇄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로서 이용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좌우 발측 도어(28)는 공기 혼합부(19)의 좌우 양측에서 공조 케이스(11)의 측벽부(11b)를 따라 차량 전후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상기 발측 도어(28)는 얼굴측 도어(22)의 회전 방향(예를 들면, 차량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예를 들면, 차량 전후 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상기 좌우 발측 도어(28)을 연결하는 회전축(29)은 상기 얼굴측 도어(22)의 회전 궤적 범위(R1) 외측에 위치되고, 좌우 발측 도어(28) 사이의 거리(L2)는 차량 폭방향으로 발측 도어(22)의 거리(L1) 보다 소정량(5mm) 크게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22)(28)의 회전 궤적 범위(R1)(R2)가 차량 폭 방향에서 볼 때 겹쳐지는 경우라도, 상기 두 도어(22)(28) 사이의 간섭은 정확히 방지될 수 있다. 그 결과, 발측 도어(28)를 위한 특별한 동작 공간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공조 유닛(10)의 크기도 감소될 수 있다.
상기 발측 도어(28)는 공기 혼합부(19)의 양측에서 좌우측 벽부(11b)를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얼굴측 개구(20)(21)로 흐르는 공기 또는 성에 제거 개구(24)로 흐르는 공기는 상기 발측 도어(28)의 회전 동작에 의하여 분기되지 않는다. 또한, 좌우 발측 개구(27)는 좌우 발측 도어(28)만을 이용함으로써 개방 및 폐쇄되고, 상기 얼굴측 개구(20)(21)는 얼굴측 도어(22)만을 이용함으로써 개방 및 폐쇄되며, 상기 성에 제거 개구(24)는 성에 제거 도어(25)만을 이용함으로써 개방 및 폐쇄된다. 따라서, 개구(27)(20)(21)(24)의 각 개방 면적은 용이하고 자유롭게 설정할수 있고, 공조 장치는 다양한 차량에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상기 발측 도어(28)의 대략 팬 형상의 원형 원호 주연의 반경 중앙부는 상기 발측 개구(27)의 대략 팬 형상의 원형 원호 주연의 반경 중앙부로부터 회전축(29)의 축방향으로 약간 위치 이동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발측 도어(28)는 발측 개구(27)의 완전한 개방 상태로부터 그의 완전한 폐쇄상태로 이동할 경우, 상기 발측 도어(28)의 제1 및 제2 밀봉 부재(31)(32)는 도 6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측 개구(27)의 내측 돌출부(27a)의 제1 및 제2 밀봉면(S1)(S2)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발측 도어(28)가 발측 개구(27)의 완전한 폐쇄 위치에 가장 가까운 위치까지 이동할 경우, 상기 발측 도어(28)의 제1 및 제2 밀봉 부재(31)(32)는 각각 내측 돌출부(27a)의 제1 및 제2 밀봉면(S1)(S2)에 가압 접촉한다. 그 결과, 상기 발측 개구(27)의 개방 상태에서, 상기 발측 도어(28)가 발측 개구(27)를 완전히 폐쇄하기 전에, 상기 제1 및 제2 밀봉부재(31)(32)의 미끄럼 마찰력은 발생되지 않고, 상기 발측 도어(28)의 동작력은 감소될 수 있다.
상기 발측 도어(28)의 플레이트 부재(28a)와 발측 개구(27)의 내측 돌출부(27a)의 돌출 단부 사이에 작은 간극(마이크로 간극) "j"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발측 도어(28)의 동작력은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상기 발측 개구(27)의 배열 위치는 도 11에서 "a", "b", "c"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라도, 전술한 잇점은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측 개구(27)의 배열 위치는 도 11 에 도시한 "a", "b","c", "d" 로 변경될 경우, 발측 개구(27)로부터 송풍된 공기 온도T(발측)와 얼굴측 개구(20)(21)로부터 송풍된 공기 온도T(얼굴측) 간의 온도 차이(△T)는 도 1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발측 개구(27)의 위치가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차량 후방측으로 "a", "b", "c", "d"의 순서로 변경됨으로써, 냉각 공기(A)의 흐름 비율은 감소되고, 가열 공기(B)의 흐름 비율은 증가된다. 따라서, 상기 발측 개구(27)의 위치가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차량 후방측으로 "a", "b", "c", "d"의 순서로 변경됨으로써, 도 9 에 도시한 바와 같이,상기 발측 개구(27)로부터 송풍된 공기의 온도(T)(발측)는 증가된다. 상기 얼굴측 개구(20)(21)의 위치는 공기 혼합부(19)에 대하여 일정하기 때문에, 상기 얼굴측 개구(27)로부터 송풍된 공기의 온도T(얼굴측)는 일정한 온도를 유지한다. 그 결과, 상기 발측 개구(27)의 위치가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차량 후방측으로 "a", "b", "c", "d"의 순서로 변경됨으로써, 상기 발측 개구(27)로부터 송풍된 공기 온도T(발측)와 얼굴측 개구(20)(21)로부터 송풍된 공기 온도T(얼굴측) 간의 온도 차이(△T)는 증가된다. 그러므로, 하부측으로 송풍된 공기와 상부측으로 송풍된 공기 간의 온도 차이(△T)가 요구되는 경우라도, 상기 온도 차이(△T)는 상기 발측 개구(27)의 위치를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도 12 에서는, 바이 레벨 모드 동안의 온도 차이(△T)와 발측 개구(27)의 위치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바이-레벨 모드와 유사하게, 발측 모드 및 발측/성에 제거 모드 각각에서, 객실내의 하부측으로 송풍된 공기와 상부측으로 송풍된 공기 사이의 온도 차이(△T)는 발측 개구(27)의 위치를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용이하게 변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도 13a 내지 도 13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 발측 개구(27)가 완전히 폐쇄될 경우, 밀봉 기능을 얻을 수 있도록 제1 밀봉부재(31)는 발측 개구(27)의 내측 돌출부(27a)의 제1 밀봉면(S1)에 외측으로부터 가압 접촉된다. 그러나,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측 개구(27)의 내측 돌출부(27a) 내면이 상기 제1 밀봉면(S1)으로서 이용되고, 발측 도어(28)의 제1 밀봉부재(31)가 상기 제1 밀봉면(S1)에 가압 접촉한다.
특히, 도 13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돌출부(27a)에서, 외주면(27c)과, 내주면(27d) 및 일측면(27e)(도11c의 좌측면)은 도 13c 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범위에서 내측면에 제1 밀봉면(S1)을 구비하는 대략 U자 형상부를 구성한다. 상기 제1 밀봉면(S1)을 갖는 대략 U자 형상부는 소정 돌출량 K 으로 측벽부(11b)로부터 돌출한다. 상기 내측 돌출부(27a)의 다른 측면(도 13c 에서 우측면)은 제2 밀봉면(S2)로서 이용된다. 상기 제2 밀봉면(S2)의 돌출량은 소정량으로 상기 제1 밀봉면(S1)의 돌출량 K 보다 작도록 이루어져, 상기 발측 도어(28)의 주연 돌출부(28B)는 제2 밀봉면(S2)으로 이동하고, 상기 내측 돌출부(27A)의 내주측을 폐쇄한다.
한편, 주연 돌출부(28b)는 외주면, 내주면 및 일측면(예를 들면, 도 11c 에서 좌측면)을 갖도록 상기 발측 도어(28)의 플레이트 부재(28a)의 주연에 제공된다. 제1 밀봉 부재(31)는 본딩 재질등을 이용하여 상기 주연 돌출부(28b)의 전체 외면에 고정된다. 상기 내측 돌출부(27a)측으로 주연 돌출부(28b)보다 더 돌출한 측부(28c)는 상기 발측 도어(28)의 플레이트 부재(28a)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발측 도어(28) 측부(28c)의 돌출상단은 상기 발측 도어(28)가 발측 개구(27)를 폐쇄할 경우 제2 밀봉면(S2)와 접촉한다. 제2 밀봉부재(32)는 상기 발측 도어(28)의 측부(28c) 돌출상단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측 개구(27)가 발측 도어(28)에 의하여 완전히 폐쇄될 경우, 상기 발측 도어(28)의 대략 U자 형태를 갖는 주연 돌출부(28b)의 제1 밀봉부재(31)는 발측 개구(27)의 내측 돌출부(27a)의 내측의 제1 밀봉면(S1)에 가압 접촉하고, 상기 발측 도어(28)의 측부(28c)의 제2 밀봉부재(32)는 발측 개구(27)에서의 내측 돌출부(27a)의 외측에서 제2 밀봉면(S2)에 가압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발측 개구(27)가 완전히 폐쇄될 경우, 공기 밀봉 성능은 향상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다른 부분들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다른 부분과 유사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서,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잇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참조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충분히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 일예로,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발포형(foam) 수지와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팩킹 등의 밀봉부재는 제1 및 제2 밀봉부재(31)(32)로서 이용된다. 그러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립(lip) 등의 밀봉부재 또한 제1 및 제2 밀봉부재(31)(32)로서 이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발측 개구(27) 및 발측 도어(28)는 대략 팬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발측 개구(27) 및 발측 도어(28)는 사다리꼴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발측 도어(28)는 회전에 의하여 이동된다. 그러나, 상기 발측 도어(28)는 직선 왕복운동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양쪽 발측 도어(28)는 공동 회전축(29)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 공동 회전축(29)은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모터와 같은 구동유닛이 상기 발측 도어(28) 각각에 대응하도록 제공되어, 각 발측 도어(28)는 상기 구동 유닛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단일 발측 개구(27)와 단일 발측 도어(28)가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차량 공조장치에 의하면, 공기 유로 교란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 배열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객실을 구비한 차량의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객실의 서로 다른 측들로 공기가 송풍되는 제1 개구 및 제2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객실로 공기가 흐르는 공기 통로를 형성하는 케이스;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내에 배치되는 냉각 열교환기;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의 냉각 열교환기의 공기 하류측의 배치되는 가열 열 교환기;
    상기 제1 개구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제1 도어; 및
    상기 제2 개구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제2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냉각 열 교환기와 가열 열 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 방향에서 볼 경우 일측에 위치되는 제1 벽부와, 상기 제1 벽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제1 벽부에 제공되고,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제2 벽부에 제공되며,
    상기 제1 도어는 상기 제1 벽부의 면을 따라 이동되는 도어면을 갖는 플레이트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도어는 상기 벽부의 면을 따라 도어면의 이동에 의하여 제1 개구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배치되는
    차량 공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열교환기는 공기가 증발기로부터 가열 열교환기를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 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케이스내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공기 통로는 상기 가열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와 상기 바이패스 통로를 통과하는 공기가 혼합되도록 공기 혼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량과 상기 바이패스 통로를 통과하는 공기량 간의 흐름비를 조절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공기 혼합 도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벽부에서 그의 개방 방향으로부터 바라볼 경우 상기 공기 혼합부의 면적내에 제공되는
    차량 공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벽부는 상기 냉각 열교환기와 가열 열교환기 양측에 제공되고,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제1 벽부에 대응되게 상기 냉각 열교환기와 가열 열교환기 양측에 제공되는 두 개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도어는 상기 제1 개구의 두 개방부를 각각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하여 두 도어 부재를 구비하는
    차량 공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두 도어 부재는 상기 케이스내에 제공된 회전부재를 통하여 서로 결합되는
    차량 공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 및 제2 도어는, 제1 도어의 도어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바라볼 경우, 제1 도어의 동작 궤적은 제2 도어의 동작 궤적에 겹치는 방식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도어는 상기 제1 도어의 도어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2 도어 및 제1 도어의 각 도어 부재 사이에 소정 간극을 갖도록 상기 제1 도어의 두 도어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차량 공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는 상기 케이스내에 제공된 제1 회전축 주위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도어는 상기 케이스내에 제공된 제2 회전축 주위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각 제1 및 제2 회전축은 상기 제1 도어의 도어면에 직교하는 방향에 평행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되는
    차량 공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는 대략 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도어는 상기 제1 개구의 형상에 대응하는 대략 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개구의 팬 형상은 대략 원호 형상을 갖는 외주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도어의 제1 축은 상기 제1 개구의 팬 형상의 반경 중앙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차량 공조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벽부는 차량 폭 방향으로 좌우측 케이스부이고,
    상기 제2 벽부는 차량 수직 방향으로 상기 케이스의 상부 케이스부이며,
    상기 제1 개구의 두 개구부는 객실내의 좌우 하부측으로 공기를 송풍하기 위하여 제공되며,
    상기 제2 개구는 객실내의 상부측으로 공기를 송풍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차량 공조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를 형성하는 벽부는 상기 케이스 내측에서 제1 벽부의 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폐쇄된 루프 형태로 형성되고, 밀봉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도어는 상기 돌출부의 밀봉면에 대응하되도록 제공되는 밀봉 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제1 도어는 상기 돌출부의 상단부에서 이동한 후 상기 제1 개구를 폐쇄할 경우, 상기 제1 도어의 밀봉부재는 상기 돌출부의 밀봉면에 가압 접촉하는
    차량 공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가 제1 개구의 완전 개방 위치로부터 제1 개구의 완전 폐쇄 위치로 이동할 경우, 상기 제1 도어의 밀봉부재는 상기 돌출부의 밀봉면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제1 도어가 제1 개구의 완전 폐쇄 위치로 이동할 경우, 상기 제1 도어의 밀봉 부재는 상기 돌출부의 밀봉면에 가압 접촉하는
    차량 공조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는, 그의 도어 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볼 경우, 동작 궤적과 겹치는 동작 궤적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도어는 그의 도어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2 도어로부터 오프셋되도록 배치되는
    차량 공조장치.
  12. 객실을 구비하는 차량에 결합되는 공조 장치에 있어서,
    객실측으로 공기가 흐르는 공기 통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객실의 하부측으로 공기가 송풍되는 제1 개구와, 상기 객실의 상부측으로 공기가 송풍되는 제2 개구를 구비하며, 차량 폭방향의 대략 중앙에서 차량 계기 판넬 아래 객실에 배치되는 케이스;
    냉각 공기가 통과되도록 상기 케이스내에 배치되는 냉각 열 교환기;
    가열 공기가 통과되도록 상기 냉각 열 교환기의 공기 하류측 케이스내에 배치되는 가열 열 교환기;
    상기 제1 개구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제1 도어; 및
    상기 제2 개구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제2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차량 폭방향에서 상기 냉각 열교환기와 가열 열 교환기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1 벽부와, 상기 제1 벽부와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개구는 제1 개구에 제공되고,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제2 벽부에 제공되고,
    상기 제1 도어는 상기 제1 벽부의 면을 따라 이동하는 도어면을 구비하는 플레이트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도어는 상기 제1 벽부의 면을 따라 상기 도어면의 이동에 의하여 제1 개구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배치되는
    차량 공조장치.
KR10-2002-0018042A 2001-04-03 2002-04-02 차량 공조장치 KR1004294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05160 2001-04-03
JP2001105160A JP2002301925A (ja) 2001-04-03 2001-04-03 車両用空調装置
JPJP-P-2001-00118425 2001-04-17
JP2001118425A JP4538979B2 (ja) 2001-04-17 2001-04-17 車両用空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9420A KR20020079420A (ko) 2002-10-19
KR100429482B1 true KR100429482B1 (ko) 2004-05-03

Family

ID=26613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8042A KR100429482B1 (ko) 2001-04-03 2002-04-02 차량 공조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736190B2 (ko)
EP (1) EP1247668B1 (ko)
KR (1) KR100429482B1 (ko)
AU (1) AU765596B2 (ko)
DE (1) DE60233613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337194T1 (de) * 2002-06-21 2006-09-15 Behr Gmbh & Co Modulare heizungs- und/oder klimaanlage für ein kraftfahrzeug
JP4089390B2 (ja) * 2002-11-05 2008-05-2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EP1526015B1 (de) 2003-10-21 2007-01-10 Behr France Rouffach SAS Klappe, insbesondere für den Fussraum für ein Kraftfahrzeug-Belüftungssystem
JP4356440B2 (ja) * 2003-12-12 2009-11-0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4193716B2 (ja) * 2003-12-15 2008-12-1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US7819171B2 (en) * 2004-01-28 2010-10-26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Air conditioning system
WO2006037567A1 (de) * 2004-10-01 2006-04-13 Behr Gmbh & Co. Kg Luftmischklappe
JP5189732B2 (ja) * 2005-11-16 2013-04-24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US20080185059A1 (en) * 2007-02-05 2008-08-07 Delphi Technologies, Inc. Traverse motion HVAC valve
JP4464427B2 (ja) * 2007-06-28 2010-05-19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自動車用空調装置
FR2926493B1 (fr) * 2008-01-18 2011-12-09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chauffage et/ou ventilation d'un habitacle de vehicule automobile a obturateur auxiliaire d'acces a position couplee a la position d'un volet
DE102008040338B3 (de) * 2008-07-10 2010-04-15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Van Buren Township Fahrzeugklimaanlage
US8784166B2 (en) * 2010-03-30 2014-07-22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Heating, ventilating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KR101039252B1 (ko) * 2010-04-19 2011-06-07 (주)삼양디자인 도로 및 공원용 엘이디 가로등
JP6281362B2 (ja) * 2014-03-26 2018-02-2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ユニット
US20150345810A1 (en) * 2014-05-30 2015-12-03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Dual layer door
US10272740B2 (en) * 2014-07-22 2019-04-30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HVAC system having linkage rod with mid-point movement control
US10611209B2 (en) 2017-01-04 2020-04-07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HVAC unit
WO2022241588A1 (zh) * 2021-05-16 2022-11-24 浙江智马达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冷气阀机构、冷却装置及车辆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82336A (en) * 1976-04-27 1981-01-07 Delanair Ltd Ventilation and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JPS5718169Y2 (ko) * 1977-05-20 1982-04-16
US4383642A (en) 1980-03-22 1983-05-17 Diesel Kiki Co., Ltd. Heater unit for use in an air conditioner for automotive vehicles
JPS6284508A (ja) 1985-10-08 1987-04-18 株式会社日本触媒 電解コンデンサ用電解液
US5062473A (en) 1990-06-18 1991-11-05 General Motors Corporation Motor vehicle passenger compartment 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5199485A (en) * 1990-08-03 1993-04-06 Hitachi, Ltd. Air conditioner for motor vehicle having right, left and center temperature controlled vents
JPH04113915A (ja) 1990-09-03 1992-04-15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空調装置
SE468164B (sv) 1991-03-28 1992-11-16 Saab Automobile Foerdelningsdon till en ventilationsanordning foer ett fordon
FR2715352B1 (fr) 1994-01-24 1996-04-19 Valeo Thermique Habitacle Dispositif de chauffage-ventilation de l'habitacle d'un véhicule automobile.
JPH09150620A (ja) 1995-11-29 1997-06-10 Mitsubishi Heavy Ind Ltd 車両用空調装置の吹出口切り換え装置
JPH1029420A (ja) 1996-07-12 1998-02-03 Mitsubishi Heavy Ind Ltd 車両用空気調和装置
FR2761305B1 (fr) * 1997-03-25 1999-06-18 Valeo Climatisation Dispositif de chauffage-ventilation pour vehicule automobile a commande selective selon les zones de l'habitacle
JPH10297246A (ja) * 1997-04-28 1998-11-10 Mitsubishi Heavy Ind Ltd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3858466B2 (ja) * 1997-09-25 2006-12-13 株式会社デンソー 自動車用空調装置
JP4048587B2 (ja) * 1998-02-19 2008-02-2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3937626B2 (ja) * 1999-01-28 2007-06-2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4196492B2 (ja) * 1999-08-17 2008-12-1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4253960B2 (ja) * 1999-11-18 2009-04-15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139513A1 (en) 2002-10-03
DE60233613D1 (de) 2009-10-22
EP1247668B1 (en) 2009-09-09
AU3139702A (en) 2002-10-10
AU765596B2 (en) 2003-09-25
KR20020079420A (ko) 2002-10-19
EP1247668A3 (en) 2003-10-08
US6736190B2 (en) 2004-05-18
EP1247668A2 (en) 2002-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9482B1 (ko) 차량 공조장치
US5701949A (en) Air conditioner for an automobile
US7950444B2 (en) Automotive air conditioning system
US7478666B2 (en) Vehicle air conditioner
US6913529B2 (en) Air passage switching device and vehicle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JP2004106635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457942B1 (ko) 차량공조장치
US5699851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US6852024B2 (en) Air passage switching device and vehicle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JPH0999725A (ja) 自動車用空調装置
JP3596078B2 (ja) 自動車用空調装置
JP3600345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H09193645A (ja) 空気通路開閉装置および自動車用空調装置
JP4618193B2 (ja) 空気通路開閉装置
JP2002096620A (ja) 車両用空調装置
JP4538979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4277644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80040492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H08290714A (ja) 自動車用空調装置
JP3596081B2 (ja) 自動車用空調装置
WO2020255951A1 (ja) 空調ユニット
JP2000301930A (ja) 車両用空調装置
JPH0976726A (ja) 空調装置
JPH1029418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7196735A (ja) 空気通路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