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8916B1 - 폴리아세탈수지조성물및그의성형물품 - Google Patents

폴리아세탈수지조성물및그의성형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8916B1
KR100428916B1 KR1019970706413A KR19970706413A KR100428916B1 KR 100428916 B1 KR100428916 B1 KR 100428916B1 KR 1019970706413 A KR1019970706413 A KR 1019970706413A KR 19970706413 A KR19970706413 A KR 19970706413A KR 100428916 B1 KR100428916 B1 KR 100428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weight
parts
resin composition
polyacetal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6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703005A (ko
Inventor
게니찌 시노하라
Original Assignee
이.아이,듀우판드네모아앤드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아이,듀우판드네모아앤드캄파니 filed Critical 이.아이,듀우판드네모아앤드캄파니
Publication of KR19980703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3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8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8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9/00Compositions of polyacetal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acet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56Investigating resistance to wear or abra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9/00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 G01N19/02Measuring coefficient of friction between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 제제의 목적은 열 노화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 및 그리스 저항성을 갖고, 용접 부분에 물리적 특성의 감소를 주지 않고, 개선된 마찰 특성을 갖는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 및 이것으로부터 성형된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폴리아세탈 100 중량부 당 글리시딜기 함유 펜던트 사슬을 갖는 올레핀 중합체 기재 중합체 2 내지 7 중량부 및 1종 이상의 가소성 디메틸 실록산 중합체 0.5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 카본 블랙 0.05 내지 0.5 중량부와 함께 전기의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 및 이것으로부터 성형된 물품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성형 물품 {Polyacetal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Thereof}
우수한 반복 피로 특성 및 내마멸성 및 균형을 잘 이룬 기계적 특성을 갖는 가소 재료인 폴리아세탈 수지는 자동차 및 전기 및 전자 부문 등의 광범위한 분야에 사용된다. 그러나, 폴리아세탈 수지는 일반적으로 90 내지 120 ℃의 고온에서 반복 사용할 때 고온에서 산화적으로 분해되어 기계적 특성이 너무 급속하게 감소되어 유지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4,098,843호 및 제4,845,161호에 개시된 바의 폴리아미드 및 폴리디카르보이미드 등의 산화방지제 및 열 안정화제를 첨가하는 방법을포함하는 열 노화에 대한 저항성 (장기간의 열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한 많은 제안들이 행해졌고, 일본 특허 공개 제H4-345649호는 폴리아세탈 수지 및 관능기로서 에폭시, 니트릴기 및(또는) 옥사졸릴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열 노화에 대한 개선된 저항성 및 그리스 저항성 (장기간 내유성)을 가진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열 노화에 대한 저항성 및 그리스 저항성을 지니며 물리적 특성의 감소가 없는 용접 부분을 갖고, 폴리아세탈 수지, 글리시딜기 함유 펜던트 사슬을 가진 올레핀형 중합체, 및 옥사졸릴기 함유 펜던트 사슬을 포함하는 개선된 폴리아세탈 수지를 개발 및 제안하였다. [일본 특허 출원 공고 제H6-111711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
상기와 같이 폴리아세탈 수지에 상당한 개선이 이루어져 왔다. 성형 기어, 스위치, 롤러, 스위치 장치 부분, 캠 등의 이들 개선된 폴리아세탈 수지를 사용하는 성형 물품들은 높은 부하가 걸려, 때로는 이들을 사용함에 있어 마멸 문제 또는 삐걱거림의 문제를 겪게되고, 내마멸성 등의 마찰 특성에 많은 개선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 노화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 및 그리스 저항성을 갖고 폴리아세탈 수지의 더욱 개선된 마찰 특성과 더불어 용접부분에 물리적 특성의 감소를 주지 않는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폴리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 당 글리시딜기 함유 펜던트 사슬을갖는 올레핀 중합체 기재 중합체 2 내지 7 중량부 및 1종 이상의 가소성 디메틸 실록산 중합체 0.5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 뿐만 아니라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한 성형 물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폴리아세탈 수지, 글리시딜기 함유 펜던트 사슬을 가진 올레핀 중합체 기재 중합체 조성물 및 디메틸 실록산 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 및 추가로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들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지는 열 노화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 및 그리스 저항성을 지니고 개선된 내마멸 특성과 아울러 성형된 부분에서 물리적 특성의 손실이 없는 성형 물품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마찰 특성 평가 시험에 사용된 왕복 마찰 마멸 시험기에 대한 것이다.
선행 기술 분야에 있어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자들은 폴리아세탈 수지, 글리시딜 함유 펜던트 사슬을 가진 올레핀 형의 중합체 및 옥사졸릴기를 함유한 펜던트 사슬을 가진 스티렌 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아세탈 수지에 디메틸 실록산 중합체를 첨가함으로써 내마멸성이 상당히 개선되며, 카본 블랙의 추가의 혼합은 실질적으로 마멸 속도를 감소시킨다는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자들은 폴리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 당 글리시딜기 함유 펜던트 사슬을 가진 올레핀 중합체 기재 중합체 조성물 2 내지 7 중량부 및 1종 이상의 가소성 디메틸 실록산 중합체 0.5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 뿐만 아니라 그것으로부터의 성형 물품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a) 중합체 조성물이 글리시딜기 함유 펜던트 사슬을 가진 단일의 올레핀 중합체의 수지 조성물이고;
(b) 중합체 조성물이 글리시딜기 함유 펜던트 사슬을 가진 올레핀 중합체 100 중량부 및 옥사졸릴기를 포함하는 스티렌 중합체 50-200 중량부의 멜트 블렌드이며;
(c) 상기의 수지 조성물 (a) 및 (b) 100 중량부 당 카본 블랙 0.05 내지 5 중량부를 첨가함으로써 수득된 수지 조성물 및 전기의 수지 조성물 (a), (b) 및 (c) 각각의 성형 물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폴리아세탈 수지 성분으로서, 포름알데히드 등의 알데히드, 트리옥산, 테트라옥산 등의 포름알데히드의 고리형 올리고머 등의 단독 중합체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상기 알데히드와 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1,3-디옥솔란 등의 고리형 에테르 또는 아세탈과의 공중합체 등의 통상의 폴리아세탈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아세탈 수지는 주로 -OCH3, -OCF3, -OCH2OH 등의 보호기로 보호되거나 보호되지 않은 말단을 가진 -(CH2O)n-(n은 양의 수를 나타냄) ??(또는) -(CHR-O)n-(R은 알킬 기; n은 양의 수)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의 주 사슬을 갖고, 평균 분자량이 10,000 내지 100,000, 바람직하게는 20,000 내지 70,000인 중합체이다.
멜트 블렌드는 글리시딜기 함유 펜던트 사슬을 가진 올레핀 중합체 또는 이 올레핀 중합체와 옥사졸릴기를 가진 스티렌 중합체의 멜트 블렌드인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중에서 글리시딜기 함유 둘출 사슬을 가진 올레핀 중합체 기재 중합체 조성물로 사용된다.
글리시딜기 함유 펜던트 사슬을 가진 올레핀 중합체는, 예를 들면 랜덤 에틸렌/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랜덤 에틸렌-메틸(메타)아크릴-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3원 공중합체, 랜덤 에틸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3원 공중합체체, 랜덤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3원 공중합체 등을 단독으로 또는 이들의 두 개 이상의 혼합물로 포함하여 이들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옥사졸릴기를 가진 실란 중합체는, 예를들면 2-비닐-옥사졸린 및 스티렌의 공중합체가 있고 이들 잘 알려진 공중합반응에 의해 쉽게 제조될 수 있다.
중합체 조성물의 폴리에세탈 수지로의 혼입은 그 성형 물품의 열 노화에 대한 저항성 및 그리스 저항성을 개선시키지만, 특히 글리시딜기 함유 펜던트 사슬을 가진 올레핀 중합체 및 옥사졸릴기를 갖는 스티렌 중합체로 구성되는 멜트 블렌드의 사용하면 또한 글리시딜기 함유 펜던트 사슬을 가진 올레핀 중합체를 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 열 노화에 대한 저항성을 더욱 개선시킨다. 혼입되는 중합체 조성물의 양이 너무 적으면 고온 열 노화에 대한 저항성과 그리스 저항성에 대한 충분한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없고, 반면 양이 너무 많으면 반대로 성형된 폴리아세탈 수지 물품의 고유한 기계적 특징인 고강도 및 고모듈러스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사용하는 중합체 조성물이 글리시딜기 함유 펜던트 사슬을 가진 올레핀 중합체와 옥사졸릴기를 가진 스티렌 중합체의 멜트 블렌드인 경우, 글리시딜기 함유 펜던트 사슬을 가진 올레핀 중합체 100 중량부 및 옥사졸릴기를 갖는 스티렌 중합체50 내지 200 중량부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을 사용한다. 옥사졸릴기를 갖는 스티렌 중합체의 양이 너무 적으면, 글리시딜기 함유 펜던트 사슬을 가진 올레핀 중합체 입자들은 더 이상 옥사졸릴기를 갖는 스티렌 중합체로 혼입될 수 없고 대신에 폴리아세탈 수지내에 존재할 것이며, 이것은 성형 물품의 결합 강도를 상당히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일정치 않은 분산으로 인해 균열 형성을 야기할 것이다. 반면, 옥사졸릴기를 갖는 스티렌 중합체의 양이 너무 많으면, 옥사졸릴기를 가진 스티렌 중합체에 의한 열 안정화 효과 및 글리시딜길를 가진 올레핀 중합체에 의한 열 안정화 효과의 상승적 작용이 없게 되며 따라서 열 노화 저항성을 충분히 개선시킬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Williams' Plastometer에 의해 측정하여 가소성이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9인 디메틸 실록산을 사용한다. 매우 낮은 가소성은 수지 조성물의 용융 혼련 동안 또는 성형 동안 조성물이 혼련기 또는 성형 기계에서의 스크류 표면상을 미끄러지는 현상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성형물내로 특정 양을 채우는 것을 어렵게 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디메틸 실록산 중합체는 점도가 매우 높은데, 이것은 통상적인 실리콘 유의 점도로 표현하기 어렵고, 통상적으로 윤활제로 사용되는 실리콘 중합체의 점도 150,000 cs 보다 훨씬 높은 점도의 중합체가 된다. 평균 DPC 분자량은 약 550,000 내지 700,000이다.
디메틸 실록산 중합체는 성형된 물품의 내마멸성을 개선시키지만 혼입된 양이 너무 적다면, 성형된 물품의 내마멸성에 대한 만족스런 개선은 얻을 수 없다. 반면 양이 너무 많다면, 반대로 성형성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또한 성형 물품의내마멸성을 감소시킨다.
혼입되는 디메틸 실록산 중합체의 적합한 양은 폴리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 당 0.5 내지 2.5 중량부이다.
카본 블랙을 본 발명의 상기 수지 조성물로 혼입하면 성형성 및 성형 물품의 내마멸성을 더욱 개선시키는 수지 조성물을 얻는다. 혼입되는 카본 블랙의 적합한 양은 각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5 내지 0.5 중량부이다. 카본 블랙 화합물의 양이 너무 적으면 성형 물품의 내마모성에 대한 유의성 있는 효과는 없게 된다. 반면 양이 너무 많으면 일정치 않은 분산 또는 열 분해로 인해 성형성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또한 성형 물품의 기계적 특성, 특히 내마멸성과 내충격성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각 수지 조성물은 고유의 특성에 불리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은 범위내에서 폴리아세탈 수지에 보통 첨가되는 다양한 첨가제, 예를 들어 산화방지제, 열 안정화제, 포름알데히드 트랩, UV 흡수제, 착색 안료, 이형제, 윤활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아세탈 수지 기재 수지 조성물은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각 성분을 잘 혼합한 후, 단일 회전 압출기 또는 이중 회전 압출기 등을 사용하여, 용융 혼련시켜 펠렛을 제조함으로써 쉽게 제조할 수 있다.
멜트 블렌드가 글리시딜기 함유 펜던트 사슬을 가진 올레핀 중합체 및 옥사졸릴기를 가진 스티렌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로 사용한다면, 글리시딜기 함유 펜던트 사슬을 가진 올레핀 중합체 및 옥사졸릴기를 가진 스티렌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의 멜트 블렌드로부터 상기와 유사한 방법으로 펠렛을 제조하고, 뒤이어서 다시 생성된 펠렛을 다른 성분과 용융 혼련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옥사졸릴기를 가진 스티렌 중합체가 글리시딜기 함유 펜던트 사슬을 가진 올레핀 중합체로 혼입되어 가진 코아-쉘 구조를 형성할 가능성이 높다.
<실시예 1> 수지 조성물의 제조
a) 폴리아세탈 수지에 사용된 성분
폴리아세탈 단독중합체 표준 수지 (Dupont Company에서 제조된 상표명 Delrin 500 PNC 10).
중합체 조성물;
A: 랜덤 에틸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N-부틸아크릴레이트 3원 공중합체 (단량체 함량: Dupont Company에서 제조된 5%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및 30% N-부틸아크릴레이트).
B: 에틸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PMN)가 그라프트된 공중합체 (EGMA) (단량체 함량: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10. 5%, EGMA/PMMA=70/30; Nippon Yushi K.K.에 의해 제조된 상표명 Modibar[음성상 번역]4200).
C: 2-비닐 옥사졸린 (단량체 함량: 5%)과 스티렌 (Nippon Shokubai K.K.에 의해 제조된 상표명: Epicross RPS-005)의 랜덤 공중합체.
D: 중합체 조성물 A 60 부 및 C 40 중량부를 혼합하고 통상적인 압출기를 사용하여 온도 190 ℃의 원통에서 용융 혼련하고 수냉각 및 절단을 행하여 얻어진 펠렛.
실리콘 고무 농축물; 폴리아세탈 수지 (상표명:Dupont Company에서 제조된 상표명 Delrin DE 8100 HBNC 100)를 이중 회전 압출기에 주입하고, 수지 온도 190 내지 210 ℃에서 용융 혼련한 후, 고온에서 연화되는 가소성 1.40 내지 1.90의 디메틸 실록산 중합체 (DMSP)(Toray Silicone K.K.에 의해 제조된 BY16-140)의 폴리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 중량부의 비율로 측면 공급 장치를 통해 높은 중합도에서 첨가하고, 냉각 및 절단을 하고, 이어서 폴리아세탈 수지 기재 실리콘 고무 농축물을 제조한다.
카본 블랙:
BK-1: 카본 35 (Mitsubishi Kasei K.K.에의해 제조)
BK-2: 벌칸 9 (Cabot K.K.에 의해 제조)
b) 수지 조성물 제조
폴리아세탈 수지 10 kg을 35 mm 이중 회전 압출기 (Toshiba K.K.에 의해 제조된 DEM 35)를 사용하여 중합체 조성물, 실리콘 고무 농축물 및(또는) 카본 블랙 존재 및(또는) 부재하에 용융 혼련하고, 뒤이어 수냉각 및 절단을 하여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시료 1-9) 및 비교 수지 조성물 (시료 11-19)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각 펠렛의 조성물은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2> 성형된 물품의 제조 (시험 단편) 및 성형성 평가.
상기에서 제조된 펠렛화된 각 생산물은 통상의 조건으로 사출 성형시켜 다양한 시험을 위한 시험 단편을 만들었다.
성형성은 입구 주위의 표면 외관을 관찰함으로써 시험 단편의 성형에 있어서 다음을 기초로 하여 측정하였고, 등급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 우수
○: 단지 입구 주위 근처에서 표면 구김 관찰되었다.
△: 입구 주위의 넓은 범위에서 표면 구김이 관찰되었다.
X: 표면 박리가 관찰되었다.
<실시예 3> 마찰 특성 평가 시험
a) 왕복 마찰 마멸 시험기
마찰 특성 평가는 도 1에 설명한 왕복 마찰 마멸 시험기 (당사에 의해 개발됨)를 사용하여 수행하였고 도 1에서 숫자는 하기의 성분을 나타낸다.
1 - 평형 조절기
2 - 압력 센서
3 - 암 (Arm)
4 - 하중 (M)
5 - 테이블 측면에서의 시험 단편
6 - 암 측면에서의 시험 단편
7 - 모터
8 - 왕복 테이블 A
9 - 컴퓨터
10 - 기록기
도 1에 설명된 바의 왕복 마찰 마멸 시험기는 앞 뒤로 왕복하는 테이블 (A) 및 중량에 의해 평형을 이룰 수 있는 암 (B)이다. 시험 단편이 고정된 왕복 테이블 (A)은 이 테이블에 연결된 회전 원반에 의해 특정 주기로 앞뒤로의 왕복을 일으킨다. 삼각형 모양의 평평한 시험 단편은 암 (B)의 한쪽 단부에서 고정되어 여기에 중량이 가해져 하중 (M)에 조정된다. 왕복 테이블 (A)가 왕복 운동을 시작하고 암 (B)에 고정된 시험 단편이 왕복 테이블 (A) 상에 고정된 시험 단편 위로 미끄러지기 시작하면 암 (B)의 다른 한쪽 끝으로 통합된 압력 센서가 기록기에 기록한다. 왕복 작동에 작용하는 마찰 토오크 (Y)를 측정하여, 이것은 하중 (M)을 변화시켜 마찰 토오크에서의 변화 (Y)를 측정하는 것을 허용한다.
b) 동적 마찰 계수 (u)
상기에서 설명된 도 1에 나타난 왕복 마찰 마멸 시험기를 사용하여 표 1에 기재된 수학식 1에 따라 각 시험 단편의 동적 마찰 계수 (u)를 계산하였다.
하중 (M1-M5) : 0.5, 1.0 , 1.5, 2.0, 3.0 kg
왕복 길이 : 6.5 cm
회전 속도 (주기 속도) : 4 rpm
검사 단편:
암 측면 : 삼각형의 평평한 시이트 6.4 mm 두께
왕복 테이블 측면 : 3.2 mm-t×18 mm×100 mm
[수학식 1]
동적 마찰 계수 (u)=
(0.5y1+ 1.0y2+ ... +3.0y5)2/(0.52+ 1.02+ ... + 3.02)
c) 마멸 속도 (W)
왕복 마찰 마멸 시험기를 상기와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하여 시험 전(W0) 시험 단편 중량 및 하기의 조건하에서의 시험 후 측정된 시험 단편 (W1) 사이의 차이를 계산하였다. 따라서 표 1에 기재된 마멸 속도 (W)(mg)를 측정하였다.
하중 (M) : 3.0 kg
왕복 길이 : 7.5 cm
회전 속도 (주기 속도) : 60 rpm
왕복 횟수 : 10,000 주기
시험 단편 :
암 측면 : : 삼각형의 평평한 시이트 6.4 mm 두께
회전 테이블 측면 : 3.2 mmt×18 mm×100 mm <실시예 4> 열 분해 시험 (열 노화에 대한 저항성 및 그리스 저항성)
시험 단편을 리튬 기재 그리스 (상품명:Kydo Yushi K.K.에서 제조된 Marutenptar 2 [음성상 번역])로 피복시키고 135 ℃ 오븐에서 188 시간을 유지한 후 인장 시험을 수행하여 각 시료의 초기 강도에 대한 보유 백분율을 계산했다.
열 노화에 대한 저항성 및 그리스 저항성을 보유 백분율의 컴퓨터 결과를 기초로 하여 평가하였고 표 1에 그리스 저항성으로서 제시했다.
O : 보유 백분율 - 80% 이상
X : 보유 백분율 - 80% 미만
실시예 시료 번호
1 2 3 4 5 6 7 8 9
수지 조성물 (중량 부)
폴리아세탈 수지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중합체 조성물
유형 A A A B D A A A B
혼합된 양 5.0 3.0 5.0 5.0 5.0 5.0 5.0 3.0 3.0
DMSP 1.0 1.0 2.0 2.0 1.0 1.0 1.0 2.0 1.0
카본 블랙 BK1 BK2 BK2 BK2
마찰 특성
마찰 계수 (μ) 0.07 0.08 0.05 0.06 0.06 0.07 0.07 0.05 0.07
마멸율 (△ w:mg) 1.2 2.6 6.5 7.8 6.3 0.4 0.5 3.0 2.0
성형성
그리스 저항성
비교예 11 12 13 14 15 16 17 18 19
수지 조성물 (중량 부)
폴리아세탈 수지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중합체 조성물
유형 -- -- A A A A C -- C
혼합된 양 -- -- 5.0 1.0 5.0 10.0 5.0 -- 5.0
DMSP -- 2.0 -- 1.0 3.0 1.0 1.0 -- 2.0
카본 블랙 BK1 BK2
마찰 특성
마찰 계수 (μ) 0.39 0.04 0.22 0.08 0.03 0.15 0.08 0.34 0.05
마멸율 (△ w:mg) 85.0 0.8 16.5 18.0 23.5 18.5 20.5 42.4 21.8
성형성 × × ×
그리스 저항성 × × × × × ×
DMSP (디메틸 실록산 중합체)의 양은 첨가된 실리콘 농축물의 양으로부터 계산하였다. 첨가된 카본 블랙의 모든 양은 0.3 중량부이다.
정의된 범위내의 중합체 조성물 및 디메틸 실록산 중합체 모두를 포함하는 실시예의 모든 시료는 양호한 성형성 뿐만 아니라 우수한 마찰 특성을 나타낸다. 특히 카본 블랙을 포함하고 있는 각 시료는 더 개선된 성형성 및 마멸 속도를 나타낸다. 한편, 중합체 조성물 및 디메틸 실록산중의 어느 것을 포함하지 않은 대조구 시료 또는 정의된 범위밖을 포함하는 대조구 시료 각각은 성형성 및 마찰 특성에서의 균형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지정된 범위내로 디메틸 실록산 중합체를 포함하는 시료는 글리시딜기 함유 펜던트 사슬을 함유한 올레핀 중합체에 기초한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의 고유의 특성인 각각 열 노화에 대한 저항성 및 그리스 저항성을 유지하였다.
폴리아세탈 수지에 기초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매우 양호한 성형성을 지니며, 열 노화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 및 상당히 개선된 마찰 특성과 더불어 물리적 특성이 감소된 용접 부분이 없는 그리스 저항성을 나타내는 주조된 물품을 만든다. 이런 조성물은 특히 마멸 및 삐걱거림이 중요한 스위치 장치 부분, 특히 성형 물품 및 성형 기계에서 적합하다. 디메틸 실록산 중합체의 첨가는 마찰 특성을 상당히 개선시키며 카본 블랙의 첨가는 또한 성형성 및 마멸 속도를 개선시킨다. 마멸 및 삐걱거림이 중요한 스위치 장치 부분에 사용될 때 이것은 매우 적합한 성형 물품 및 성형 재료이다.

Claims (5)

  1. 폴리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 당, 글리시딜기 함유 펜던트 사슬을 갖는 올레핀 중합체 기재 중합체 조성물 2 내지 7 중량부 및 1종 이상의 가소성 디메틸 실록산 중합체 0.5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중합체 조성물이 글리시딜기 함유 펜던트 사슬을 갖는 단일 올레핀형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중합체 조성물이 글리시딜기 함유 펜던트 사슬을 갖는 올레핀 중합체 100 중량부 및 옥사졸릴기를 갖는 스티렌 중합체 50 내지 200 중량부를 포함하는 멜트 블렌드인 것인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정의된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와 추가로 카본 블랙 0.05 내지 0.5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아세탈 수지 기재 수지 조성물.
  5. 제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은 성형 물품.
KR1019970706413A 1995-03-13 1996-03-13 폴리아세탈수지조성물및그의성형물품 KR1004289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52347 1995-03-13
JP05234795A JP3315020B2 (ja) 1995-03-13 1995-03-13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らの成形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3005A KR19980703005A (ko) 1998-09-05
KR100428916B1 true KR100428916B1 (ko) 2004-09-18

Family

ID=12912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6413A KR100428916B1 (ko) 1995-03-13 1996-03-13 폴리아세탈수지조성물및그의성형물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815169B1 (ko)
JP (1) JP3315020B2 (ko)
KR (1) KR100428916B1 (ko)
CN (1) CN1088726C (ko)
AT (1) ATE178632T1 (ko)
CA (1) CA2215168A1 (ko)
DE (1) DE69602018T2 (ko)
WO (1) WO19960285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947B1 (ko) * 2002-11-18 2005-06-28 한국엔지니어링플라스틱 주식회사 레이저 마킹용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US20040118509A1 (en) * 2002-12-20 2004-06-24 Flexman Edmund Arthur Concentrations to improve surface adhesion characteristics of polyacetal-based compositions
JP4563004B2 (ja) * 2003-07-08 2010-10-13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ポリアセタール樹脂製摺動部品
JP4359626B2 (ja) 2007-03-29 2009-11-04 アロカ株式会社 荷重装置
CA2699525A1 (en) * 2007-10-19 2009-04-23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acetal compositions with improved tribological properties
FR2937041B1 (fr) * 2008-10-09 2012-07-20 Arkema France Composition semi-conductrice pour cables electriques
US9260730B2 (en) 2009-05-07 2016-02-16 Aquatech Bioenergy LLC Method and system for collecting ethanol from aquatic plants
CH701115A2 (de) * 2009-05-25 2010-11-30 Fischer Georg Rohrleitung Polyolefinzusammensetzung.
JP7269052B2 (ja) * 2019-03-25 2023-05-08 株式会社コーセー 固形組成物評価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固形組成物の評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77263A (ja) * 1987-05-08 1988-11-15 Polyplastics Co 熱可塑性樹脂組成物
EP0290230A3 (en) * 1987-05-08 1990-02-28 Polyplastics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JP3043344B2 (ja) * 1989-09-25 2000-05-22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及び摺動部材
US5173532A (en) * 1989-09-25 1992-12-22 Polyplastics Co., Ltd. Anti-friction and wear-resistant polyacetal molding compositions, and molded sliding members formed thereof
TW245733B (ko) * 1991-11-21 1995-04-21 Du Po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15169B1 (en) 1999-04-07
CA2215168A1 (en) 1996-09-19
EP0815169A1 (en) 1998-01-07
DE69602018D1 (de) 1999-05-12
CN1178544A (zh) 1998-04-08
KR19980703005A (ko) 1998-09-05
ATE178632T1 (de) 1999-04-15
WO1996028510A1 (en) 1996-09-19
DE69602018T2 (de) 1999-11-11
JP3315020B2 (ja) 2002-08-19
JPH08245857A (ja) 1996-09-24
CN1088726C (zh) 2002-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4828B1 (en) Polyacetal resin composition
KR100428916B1 (ko) 폴리아세탈수지조성물및그의성형물품
Inuwa et al. Interface modification of compatibilized polyethylene terephthalate/polypropylene blends: Effect of compatibilization on thermomechanical properties and thermal stability
EP3202846A1 (en) Polyacetal resin composition and sliding member
Penco et al. High‐impact poly (ethylene terephthalate) blends
US5824742A (en) Polyacetal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thereof
EP3202845A1 (en) Polyacetal resin composition and sliding member
JP7311419B2 (ja) 耐ダスト摺動性部材用樹脂組成物、耐ダスト摺動性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ウィンドウレギュレータ用キャリアプレート、耐ダスト摺動性の発現方法
CN110741044B (zh) 聚缩醛树脂组合物、成型品及聚缩醛树脂组合物的制造方法
JP3341790B2 (ja)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
JPH09286899A (ja)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
JP3074568B2 (ja)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
JP2005179455A (ja) 射出成形用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表皮体
JP3591600B2 (ja) ポリアミド樹脂成形物
JPH05279551A (ja) ポリオキシメチレン組成物
Cheung et al. Polysulfone and poly (phenylene sulfide) blends: 3. Rubber toughening
JPH09286900A (ja) ポリアセタール樹脂摺動材用組成物
JP4916606B2 (ja)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
Nelson et al. Mechanical properties of blends of nylon with chemically modified ABS
JPH05295230A (ja) 摺動部材用ポリアセタール樹脂成形品
JP3389933B2 (ja)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
JP2896525B2 (ja) 熱可塑性樹脂用改質剤組成物と耐衝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の各製造方法
JP3577406B2 (ja)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
JP3112499B2 (ja)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
JPH07292215A (ja)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