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6166B1 - 공기입 타이어 - Google Patents

공기입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6166B1
KR100426166B1 KR10-2001-0050228A KR20010050228A KR100426166B1 KR 100426166 B1 KR100426166 B1 KR 100426166B1 KR 20010050228 A KR20010050228 A KR 20010050228A KR 100426166 B1 KR100426166 B1 KR 100426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m
height
bead
arc
contact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0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8680A (ko
Inventor
서재호
심재은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0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6166B1/ko
Publication of KR20010088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8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6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61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2Seating or securing beads on rims
    • B60C15/024Bead contour, e.g. lips, grooves, or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3/00Tyre sidewalls; Protecting, 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thereof
    • B60C13/003Tyre sidewalls; Protecting, 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thereof characterised by sidewall curv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비드부(21)의 프로파일을 일부 변경하여 림(10)에 고정된 타이어(20)의 공기압이 10%인 상태에서, 비드부(21) 외곽면이 림플랜지(12,13,14)에 소정 압력으로 접하면서 지지되어, 휠 발란스 웨이트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X2)이 충분히 확보되고, 비드부(21)와 사이드월부(22)의 경계부분의 변형이 가능한 한 억제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입 타이어{Pneumatic Tire}
본 발명은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휠 발란스 웨이트(Wheel Balance Weight) 설치를 위한 공간이 만족스럽게 확보되고, 비드부와 사이드월부의 경계부분의 변형이 가능한 한 억제되어진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타이어는 다수의 부재들이 접합되어 그린타이어를 이룬 후에 가류되어 하나의 제품타이어로 완성되는데, 완성된 제품타이어는 통상 노면과 접하는 부분의 트래드부와, 림에 결합되는 비드부 및, 비드부와 트래드부 사이의 사이드월부로 구분된다.
한편, 타이어의 프로파일(Profile)은 타이어의 특성을 결정하는 주요한 요소이며, 이중 비드부를 제외한 부분의 프로파일은 타이어의 사용특성에 맞게 다양하게 결정된다. 반면, 비드부의 프로파일은 림의 형상에 상응하게 결정되고, 림의 형상은 타이어의 규격에 따라서 대체로 규격화되어 있으므로, 비드부의 프로파일도 타이어의 규격에 따라서 이미 적절한 값으로 결정되어진 것을 이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타이어의 비드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림에 고정된 타이어의 공기압이 10%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인 바, 이에 의하면, 비드부(21)의 저면(P0)이 림 비드시트(11)에 밀착되면서 림 비드시트(11)의 경사각(θ1)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비드부(21)의 제1호(P1)가 림 연결부(12)에 밀착되면서 림 연결부(12)와 동일한 곡률반경(R1)을 이루며, 비드부(21)의 경사면(P2)이 림 경사부(13)에 밀착되면서 림 경사부(12)의 경사각(θ2)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비드부(21)의 제2호(P3)가 제1호(P1)의 역방향으로 구배되되, 제1호(P1)와 경사면(P2)의 접점(B)의 높이(H1)는 림 연결부(12)와 림 경사부(13)의접점의 높이와 동일하고, 경사면(P2)과 제2호(P3)의 접점(D)의 높이(H3)는 림 경사부(13)와 림 자유단부(14)의 접점(C)의 높이(H2)보다 크며, 제2호(P3)와 사이드월부(22)를 이루는 호(P4)의 접점(E)의 높이(H4)는 림플랜지(12,13,14)의 높이(H)보다 크고, 제2호(P3)의 곡률반경(R3)은 림 자유단부(14)의 곡률반경(R2)보다 크게 형성되어진 구조를 이룬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르면, 타이어(20)의 공기압이 증가될수록, 림 경사부(13)와 림 자유단부(14)의 접점(C)을 기준으로 하여, 이보다 위에 위치된 타이어부분이 바깥쪽으로 팽창하게 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변형되면, 휠 발란스 웨이트(Wheel Balance Weight)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X1)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게 되어, 조립된 휠 발란스 웨이트가 작은 외력에도 쉽게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비드부(21)와 사이드월부(22)의 경계부분이 외부로 밀려나오면서 변형되므로(도 2상에서 좌측으로), 이 부분에 집중되는 응력에 의해서 타이어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휠 발란스 웨이트(Wheel Balance Weight) 설치를 위한 공간이 만족스럽게 확보되고, 비드부와 사이드월부의 경계부분의 변형이 가능한 한 억제되도록 하는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타이어의 비드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림에 고정된 타이어의 공기압이 10%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타이어의 비드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림에 고정된 타이어의 공기압이 100%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비드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에 대한 대응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비드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에 대한 대응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용어 설명 -
10 ; 림, 11 ; 림 비드시트,
12 ; 림 연결부, 13 ; 림 경사부,
14 ; 림 자유단부, 20 ; 타이어,
21 ; 비드부, 22 ; 사이드월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림에 고정된 타이어의 공기압이 약 10%인 상태에서, 비드부의 저면(P0)이 림 비드시트에 밀착되면서 림 비드시트의 경사각(θ1)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비드부의 제1호(P1)가 림 연결부에 밀착되면서 림 연결부와 동일한 곡률반경(R1)을 이루며, 비드부의 경사면(P2)이 림 경사부에 밀착되면서 림 경사부의 경사각(θ2)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비드부의 제2호(P3)가 제1호(P1)의 역방향으로 구배되어진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제1호(P1)와 경사면(P2)의 접점(B)의 높이(H1)는 림 연결부와 림 경사부의 접점의 높이와 동일하고, 경사면(P2)과 제2호(P3)의 접점(D)의 높이(H3)는 접점(B)의 높이(H1)보다는 크면서 림 경사부와 림 자유단부의 접점(C)의 높이(H2)보다는 작으며, 제2호(P3)와, 사이드월부를 이루는 호(P4)의 접점(E)은 림 자유단부상에 위치되어서, 이의 높이(H4)는 림플랜지의 높이(H)보다는 작고, 제2호(P3)의 곡률반경(R3)은 림 자유단부의 곡률반경(R2)보다는 크게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각각 도 1과 도 2에 대한 대응도인 바, 종래 기술을 도시한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 의하면, 림(10)에 고정된 타이어(20)의 공기압이 약 10%인 상태에서, 비드부(21)의 저면(P0)이 림 비드시트(11)에 밀착되면서 림 비드시트(11)의 경사각(θ1)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비드부(21)의 제1호(P1)가 림 연결부(12)에 밀착되면서 림 연결부(12)와 동일한 곡률반경(R1)을 이루며, 비드부(21)의 경사면(P2)이 림 경사부(13)에 밀착되면서 림 경사부(12)의 경사각(θ2)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비드부(21)의 제2호(P3)가 제1호(P1)의 역방향으로 구배되되, 상기 제1호(P1)와 경사면(P2)의 접점(B)의 높이(H1)는 림 연결부(12)와 림 경사부(13)의 접점의 높이와 동일하고, 경사면(P2)과 제2호(P3)의 접점(D)의 높이(H3)는 접점(B)의 높이(H1)보다는 크면서 림 경사부(13)와 림 자유단부(14)의 접점(C)의 높이(H2)보다는 작으며, 제2호(P3)와 사이드월부(22)를 이루는 호(P4)의 접점(E)은 림 자유단부(14)상에 위치되어서, 이의 높이(H4)는 림플랜지(12,13,14)의 높이(H)보다는 작고, 제2호(P3)의 곡률반경(R3)은 림 자유단부(14)의 곡률반경(R2)보다는 크게 형성되어진 구조를 이룬다.
여기서, 접점(D)이 접점(B)과 접점(C) 사이에 배치되고, 접점(E)가 림 자유단부(14)상에 위치되며, 제2호(P3)의 곡률반경(R3)은 림 자유단부(14)의 곡률반경(R2)보다 크므로, 타이어 공기압이 약 10%인 상태에서 접점(D)에서 접점(E)까지의 비드부가 림 자유단부(14)에 소정 압력으로 맞대어진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타이어의 공기압을 100%로 가압하더라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드부(21)와 사이드월부(22)의 경계부분이 림플랜지부(12,13,14)에 의해 지지되어서 외부로 밀려나오지 않게 되어(도 4상에서 좌측으로), 휠 발란스 웨이트(Wheel Balance Weight)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X2)이 충분히 확보된다.
또한, 비드부(21)와 사이드월부(22)의 경계부분의 변형이 억제되면, 이부분의 프로파일이 가능한 한 설계값을 그대로 유지하게 되므로, 프로파일의 변형으로 인한 타이어의 성능저하가 방지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접점(B)의 높이(H1)는 림플랜지 높이(H)의 약 0.22배이고, 접점(C)의 높이(H2)는 림플랜지 높이(H)의 0.4 ∼ 0.6배이며, 접점(E)의 높이(H4)는 림플랜지 높이(H)의 0.7 ∼ 0.9배이고, 림 비드시트(11)의 경사각(θ1)은 약 5°, 림 경사부(13)와 경사면(P2)의 경사각(θ2)은 약 2°인 한편, 제2호(P3)의 곡률반경(R3)은 림 자유단부(14)의 곡률반경(R2)보다는 크면서 곡률반경(R2)의 2배보다는 작은 범위를 만족하도록 하였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비드부의 프로파일을 일부 변경하여 림에 고정된 타이어의 공기압이 10%인 상태에서, 비드부 외곽면이 림플랜지에 소정 압력으로 접하면서 지지되도록 하여, 비드부와 사이드월부의 경계부분의 변형이 가능한 한 억제된다.
따라서, 휠 발란스 웨이트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어, 휠 발란스 웨이트를 설치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또한 비드부와 사이드월부의 경계부분의 변형으로 인한 타이어의 기능저하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보다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2)

  1. 림(10)에 고정된 타이어(20)의 공기압이 약 10%인 상태에서, 비드부(21)의 저면(P0)이 림 비드시트(11)에 밀착되면서 림 비드시트(11)의 경사각(θ1)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비드부(21)의 제1호(P1)가 림 연결부(12)에 밀착되면서 림 연결부(12)와 동일한 곡률반경(R1)을 이루며, 비드부(21)의 경사면(P2)이 림 경사부(13)에 밀착되면서 림 경사부(12)의 경사각(θ2)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비드부(21)의 제2호(P3)가 제1호(P1)의 역방향으로 구배되어진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제1호(P1)와 경사면(P2)의 접점(B)의 높이(H1)는 림 연결부(12)와 림 경사부(13)의 접점의 높이와 동일하고, 경사면(P2)과 제2호(P3)의 접점(D)의 높이(H3)는 접점(B)의 높이(H1)보다는 크면서 림 경사부(13)와 림 자유단부(14)의 접점(C)의 높이(H2)보다는 작으며, 제2호(P3)와 사이드월부(22)를 이루는 호(P4)의 접점(E)은 림 자유단부(14)상에 위치되어서, 이의 높이(H4)는 림플랜지(12,13,14)의 높이(H)보다는 작고, 제2호(P3)의 곡률반경(R3)은 림 자유단부(14)의 곡률반경(R2)보다는 크게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B)의 높이(H1)는 림플랜지 높이(H)의 약 0.22배이고, 접점(C)의 높이(H2)는 림플랜지 높이(H)의 0.4 ∼ 0.6배이며, 접점(E)의 높이(H4)는 림플랜지 높이(H)의 0.7 ∼ 0.9배이고, 림 비드시트(11)의 경사각(θ1)은약 5°, 림 경사부(13)와 경사면(P2)의 경사각(θ2)은 약 2°인 한편, 제2호(P3)의 곡률반경(R3)은 림 자유단부(14)의 곡률반경(R2)보다는 크면서 곡률반경(R2)의 2배보다는 작은 범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KR10-2001-0050228A 2001-08-21 2001-08-21 공기입 타이어 KR100426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0228A KR100426166B1 (ko) 2001-08-21 2001-08-21 공기입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0228A KR100426166B1 (ko) 2001-08-21 2001-08-21 공기입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8680A KR20010088680A (ko) 2001-09-28
KR100426166B1 true KR100426166B1 (ko) 2004-04-06

Family

ID=19713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0228A KR100426166B1 (ko) 2001-08-21 2001-08-21 공기입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61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291B1 (ko) 2020-07-06 2022-01-12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사이드부 보강형 중하중용 공기입 타이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227A (ja) * 1991-11-26 1994-01-18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H115416A (ja) * 1997-06-17 1999-01-12 Yokohama Rubber Co Ltd:The 航空機用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H1120424A (ja) * 1997-06-27 1999-01-26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268507A (ja) * 1998-03-24 1999-10-05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227A (ja) * 1991-11-26 1994-01-18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H115416A (ja) * 1997-06-17 1999-01-12 Yokohama Rubber Co Ltd:The 航空機用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H1120424A (ja) * 1997-06-27 1999-01-26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268507A (ja) * 1998-03-24 1999-10-05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291B1 (ko) 2020-07-06 2022-01-12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사이드부 보강형 중하중용 공기입 타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8680A (ko) 200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1319B2 (en) Non-pneumatic tire with integrated polymeric flexible wheel center mount
JP4221622B2 (ja) ビード/リム境界部を改良したランフラットタイヤ
US20160297244A1 (en) Non-pneumatic tire
JP3829147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07523794A (ja) 自動車車輪用シールリング
KR100426166B1 (ko) 공기입 타이어
US5129973A (en) Motorcycle tire
JP2005350059A (ja) 内部フィンを有するランフラットサポートリング
JP4430826B2 (ja) タイヤとリムの組立体
US7836930B2 (en) Tire whereof at least one bead seat comprises a rib
JPH01202502A (ja) 重荷重用ラジアルタイヤ
JP7340999B2 (ja) 非空気圧タイヤ
US5107913A (en) Industrial solid tires
US20200009923A1 (en) Vehicle wheel
JP2886854B2 (ja) 重荷重用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の外輪郭形状並びにカーカスライン設定方法
US8109309B2 (en) Tire with seats of unequal diameters and reverse axial offset in an inflated state
KR100792547B1 (ko) 비대칭 벨트 구조를 갖는 공기입 타이어
JP2020111256A (ja) 車両用タイヤホイール組立体
KR102468386B1 (ko) 차량용 타이어
JP2007045360A (ja) 空気入りタイヤおよびタイヤホイール組立体
KR100498021B1 (ko) 내구성을 향상시킨 공기입 타이어
KR100198484B1 (ko) 공기입 타이어용 에이펙스 압출몰과 그의 재단방법
JPH11170824A (ja) 重荷重用タイヤ
US10647152B2 (en) Bicycle wheel rim for tubeless wheel
KR20220143345A (ko) 타이어의 이탈이 방지되는 타이어용 림과 이를 구비한 차량 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