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3345A - 타이어의 이탈이 방지되는 타이어용 림과 이를 구비한 차량 휠 - Google Patents

타이어의 이탈이 방지되는 타이어용 림과 이를 구비한 차량 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3345A
KR20220143345A KR1020210049746A KR20210049746A KR20220143345A KR 20220143345 A KR20220143345 A KR 20220143345A KR 1020210049746 A KR1020210049746 A KR 1020210049746A KR 20210049746 A KR20210049746 A KR 20210049746A KR 20220143345 A KR20220143345 A KR 20220143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rim
protrusion
pressing protrusion
vehicl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9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혁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9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3345A/ko
Publication of KR20220143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33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00Disc wheels, i.e. wheels with load-supporting disc body
    • B60B3/04Disc wheels, i.e. wheels with load-supporting disc body with a single disc body not integral with rim, i.e. disc body and rim being manufactured independently and then permanently attached to each other in a second step, e.g. by welding
    • B60B3/041Disc wheels, i.e. wheels with load-supporting disc body with a single disc body not integral with rim, i.e. disc body and rim being manufactured independently and then permanently attached to each other in a second step, e.g. by welding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of rim to wheel dis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1/00Rims
    • B60B21/10Rim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yre-seat or flange, e.g. corrugated
    • B60B21/104Rim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yre-seat or flange, e.g. corrugated the shape of fla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1/00Rims
    • B60B21/12Appurtenances, e.g. lining bands
    • B60B21/125Bead clamp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50Improvement of
    • B60B2900/523Tire fixation on rim, e.g. fixing axially or circumferentially there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시 타이어용 림과 타이어의 체결력을 높여 고속주행시 또는 고하중의 운전조건에서 타이어용 림과 타이어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 타이어의 이탈이 방지되는 타이어용 림과 이를 구비한 차량 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이탈이 방지되는 타이어용 림은, 외주에 타이어(10)가 체결되어 차량 휠(1)을 구성하는 타이어용 림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용 림(20)의 둘레에 위치하고, 외주면에 상기 타이어(10)가 조립되는 림플랜지(21) 및 상기 림플랜지(21)에서 상기 타이어용 림(20)의 반경방향으로 왕복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타이어(10)의 비드부(13)를 가압하는 가압돌기(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타이어의 이탈이 방지되는 타이어용 림과 이를 구비한 차량 휠{RIM FOR PREVENTION SEPARATING PNEUMATIC TIRE AND VEHICLE WHEEL HAVING THE RIM}
본 발명은 주행시 타이어용 림과 타이어의 체결력을 높여 고속주행시 또는 고하중의 운전조건에서 타이어용 림과 타이어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 타이어의 이탈이 방지되는 타이어용 림과 이를 구비한 차량 휠에 관한 것이다.
공기입 타이어(이하, '타이어'라고 함)은 통상적으로 도 1과 같은 구조로 형성된다. 트레드부(111)로부터 사이드월부(112)를 거쳐 비드부(113)까지 카카스(114)가 구비된다. 상기 트레드부(111)에서 상기 카카스(114)의 외측으로 스틸벨트(116)와 캡플라이(117)가 구비되며, 상기 타이어(110)의 내측면에는 인너라이너(118)가 구비된다.
상기 카카스(114)는 상기 비드부(113)에서 상기 타이어(110)의 둘레방향으로 구비되는 비드와이어(115)를 감싸 턴업됨으로써, 공기누설을 방지하고, 상기 비드부(113)가 상기 타이어용 림(120)의 림플랜지(121)에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타이어(110)와 상기 타이어용 림(120)이 조립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비드부(113)가 상기 림플랜지(121)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구조가 적용되기도 한다. 예컨대, 상기 비드부(113)에서 상기 인너라이너(118)의 아래(타이어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에 열팽창계수가 큰 보강재를 장착하고, 상기 비드부(113)에 보강홈(113a)을 형성한다. 주행에 의해 상기 보강재가 열팽창을 하여 상기 보강재(119)가 열변형되면, 상기 보강홈(113a)이 형성된 부위에서 상기 림플랜지(121)와 흡착이 강해져 상기 타이어(110)와 상기 타이어용 림(120)의 분리를 방지토록 하였다.
하지만, 상기 타이어(110)의 설계시, 상기 보강재(119)의 열팽창에 따른 상기 보강홈(113a)의 형상을 감안하여 상기 비드부(113)를 형상을 설계해야 하기 때문에, 설계가 용이하지 않았다. 또한, 상기 보강재(119)의 위치를 선정하는 것도 어려웠다.
KR 10-0900510 B1(2009.05.26, 명칭 : 자동차용 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주행시 타이어의 비드부와 타이어용 림의 림플랜지 사이의 체결력이 높아지도록 하여, 상기 타이어와 상기 타이어용 림의 분리를 방지함으로써, 조종성 및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한 타이어의 이탈이 방지되는 타이어용 림과 이를 구비한 차량 휠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이탈이 방지되는 타이어용 림은, 외주에 타이어가 체결되어 차량 휠을 구성하는 타이어용 림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용 림의 둘레에 위치하고, 외주면에 상기 타이어가 조립되는 림플랜지 및 상기 림플랜지에서 상기 타이어용 림의 반경방향으로 왕복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타이어의 비드부를 가압하는 가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림플랜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압돌기를 상기 타이어용 림의 외측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타이어용 림에 상기 가압돌기와 상기 탄성부재를 수용하는 돌기설치공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설치공의 내부에서 상기 가압돌기가 상기 돌기설치공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비드부를 가압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림플랜지로부터 상기 타이어용 림의 회전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기설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설치부의 내부에 상기 돌기설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타이어용 림의 둘레방향을 따라 정해진 각도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돌기가 설치되는 각도간격은, 상기 타이어용 림에서 스포크가 설치되는 각도간격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타이어용 림의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타이어용 림에서 스포크가 설치되는 위치에서 상기 스포크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타이어의 이탈이 방지되는 타이어용 림을 구비한 차량 휠은, 타이어 및 외주에 상기 타이어에 조립되고, 차축에 체결되는 타이어용 림을 포함하고, 상기 타이어용 림의 림플랜지에 상기 타이어용 림의 반경방향으로 왕복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타이어의 비드부를 가압하는 가압돌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림플랜지의 내부에서 설치되고, 상기 가압돌기를 상기 타이어용 림의 외측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타이어용 림에 상기 가압돌기와 상기 탄성부재를 수용하는 돌기설치공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설치공의 내부에서 상기 가압돌기가 상기 돌기설치공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비드부를 가압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림플랜지로부터 상기 타이어용 림의 회전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기설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설치부의 내부에 상기 돌기설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타이어용 림의 둘레방향을 따라 정해진 각도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돌기가 설치되는 각도간격은, 상기 타이어용 림에서 스포크가 설치되는 각도간격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타이어용 림의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타이어용 림에서 스포크가 설치되는 위치에서 상기 스포크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타이어의 이탈이 방지되는 타이어용 림과 이를 구비한 차량 휠에 따르면, 주행시, 압력돌기가 비드부를 가압함으로써, 비드부와 림플랜지의 체결력이 향상되도록 하여, 타이어와 타이어용 림이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도 1은 통상적인 타이어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라 타이어와 타이어용 림의 체결력을 높이기 위하여 타이어에 보강재와 보강홈을 형성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이탈이 방지되는 타이어용 림과 타이어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이탈이 방지되는 타이어용 림과 타이어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이탈이 방지되는 타이어용 림과 타이어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이탈이 방지되는 타이어용 림에서 스포크와 돌기설치부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이탈이 방지되는 타이어용 림과 이를 구비한 차량 휠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이탈이 방지되는 타이어용 림은, 외주에 타이어(10)가 체결되어 차량 휠(1)을 구성하는 타이어용 림에서, 상기 타이어용 림(20)의 둘레에 위치하고, 외주면에 상기 타이어(10)가 조립되는 림플랜지(21) 및 상기 림플랜지(21)에서 상기 타이어용 림(20)의 반경방향으로 왕복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타이어(10)의 비드부(13)를 가압하는 가압돌기(23)를 포함한다.
차량 휠(1)은 차축에 체결되는 타이어용 림(20)과 상기 타이어용 림(20)의 외측에 조립되어 노면에 접촉되는 타이어(10)를 포함한다.
상기 타이어(10)는 카카스(14)가 턴업되면서 비드와이어(15)를 감싸는 부위가 비드부(13)가 되고, 상기 비드부(13)가 상기 타이어용 림(20)에 조립되면서, 상기 타이어(10) 내부의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기본적으로 상기 타이어(10)가 상기 타이어용 림(2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타이어(10)의 내측면에는 인너라이너(18)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타이어용 림(20)에 상기 타이어용 림(20)과 상기 타이어(10)의 조립시, 상기 타이어용 림(20)으로부터 상기 타이어(10)로 가압하여, 상기 타이어용 림(20)과 상기 타이어(10)의 체결력을 높이는 가압돌기(23)를 포함하도록 한다.
가압돌기(23)는 상기 타이어용 림(20)에서 림플랜지(21)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타이어용 림(20)은 차축에 체결되는 허브와, 상기 외주면에 타이어(10)가 조립되는 림플랜지(21)와 상기 허브와 상기 림플랜지(21)은 연결하는 스포크(22)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돌기(23)는 상기 타이어용 림(20)에서 상기 타이어(10)와 조립되는 상기 림플랜지(21)에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림플랜지(21)에 상기 가압돌기(23)를 수용하는 돌기설치공(21a)이 형성된다. 상기 가압돌기(23)는 상기 돌기설치공(21a)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가압돌기(23)는 상기 돌기설치공(21a)의 내부에서, 상기 타이어용 림(20)의 반경방향으로 왕복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압돌기(23)는 상기 돌기설치공(21a)의 내부에 상기 타이어용 림(20)의 반경방향의 외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가압돌기(23)가 상기 타이어(10)의 비드부(13)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타이어(10)와 상기 타이어용 림(20)이 체결력이 높아진다.
상기 가압돌기(23)를 상기 비드부(13)를 가압하도록 상기 돌기설치공(21a)의 내부에는 탄성부재(24)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24)는 상기 림플랜지(21)의 내부, 즉 상기 돌기설치공(21a)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압돌기(23)를 상기 타이어용 림(20)의 외측으로 탄성지지한다.
상기 탄성부재(24)는 코일스프링의 형태로 제공되어, 상기 돌기설치공(21a)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탄성부재(24)의 일단이 상기 돌기설치공(21a)의 내측 단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24)의 타단이 상기 가압돌기(23)의 일측면을 탄성지지함으로써, 상기 가압돌기(23)가 상기 탄성부재(24)에 의해 상기 비드부(13)를 가압하도록 탄성지지된다.
한편, 상기 돌기설치공(21a)이 상기 림플랜지(21)의 내부에 형성되는 바, 상기 돌기설치공(21a)의 크기에 제한이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24)의 크기에도 제한이 있어, 상기 가압돌기(23)를 충분한 힘으로 상기 비드부(13)로 가압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돌기설치공(21a)을 상기 타이어용 림(20)의 회전중심쪽으로 확장되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림플랜지(21)에 상기 림플랜지(21)로부터 상기 타이어용 림(20)의 회전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기설치부(21b)를 형성하고, 상기 돌기설치부(21b)의 내부에 상기 돌기설치공(21a)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돌기설치공(21a)의 깊이가 깊어져, 더 큰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는 탄성부재(24)를 상기 돌기설치공(21a)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어서, 상기 가압돌기(23)가 상기 비드부(13)를 가압하는 힘이 더 커져, 상기 타이어용 림(20)과 상기 타이어(10)의 체결력은 더 높아진다.
이와 같이, 상기 돌기설치부(21b)가 상기 림플랜지(21)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림플랜지(21)에 의해 상기 타이어용 림(20)의 미관을 저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기설치부(21b)는 상기 스포크(22)가 형성되는 위치에 상기 돌기설치부(21b)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압돌기(23)를 상기 타이어용 림(20)에 상기 타이어용 림(20)의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각도간격을 두고 설치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가압돌기(23)가 설치될 위치마다 상기 돌기설치공(21a)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돌기설치공(21a)은 상기 타이어용 림(20)에 일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돌기설치공(21a)이 설치되는 각도간격은 상기 스포크(22)가 형성되는 각도간격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특히, 상기 돌기설치공(21a)은 상기 스포크(22)의 내측에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돌기설치부(21b)가 상기 스포크(22)의 내측(차량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는 방향)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돌기설치부(21b)가 상기 스포크(22)에 의해 가려지도록 한다.
상기 가압돌기(23)는 상기 스포크(22)가 설치되는 위치마다 설치되어, 서로 같은 수가 될 수도 있지만, 상기 가압돌기(23)는 상기 스포크(22) 보다 적은 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1 : 차량 휠 10 : 타이어
13 : 비드부 14 : 카카스
15 : 비드와이어 18 : 인너라이너
20 : 타이어용 림 21 : 림플랜지
21a : 돌기설치공 21b : 돌기설치부
22 : 스포크 23 : 가압돌기
24 : 탄성부재 110 : 타이어
111 : 트레드부 112 : 사이드월부
113 : 비드부 113a : 보강홈
114 : 카카스 115 : 비드와이어
116 : 스틸벨트 117 : 캡플라이
118 : 인너라이너 119 : 보강제

Claims (14)

  1. 외주에 타이어가 체결되어 차량 휠을 구성하는 타이어용 림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용 림의 둘레에 위치하고, 외주면에 상기 타이어가 조립되는 림플랜지 및
    상기 림플랜지에서 상기 타이어용 림의 반경방향으로 왕복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타이어의 비드부를 가압하는 가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이탈이 방지되는 타이어용 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림플랜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압돌기를 상기 타이어용 림의 외측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이탈이 방지되는 타이어용 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용 림에 상기 가압돌기와 상기 탄성부재를 수용하는 돌기설치공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설치공의 내부에서 상기 가압돌기가 상기 돌기설치공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비드부를 가압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이탈이 방지되는 타이어용 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림플랜지로부터 상기 타이어용 림의 회전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기설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설치부의 내부에 상기 돌기설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이탈이 방지되는 타이어용 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타이어용 림의 둘레방향을 따라 정해진 각도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이탈이 방지되는 타이어용 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기가 설치되는 각도간격은,
    상기 타이어용 림에서 스포크가 설치되는 각도간격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이탈이 방지되는 타이어용 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타이어용 림의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타이어용 림에서 스포크가 설치되는 위치에서 상기 스포크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이탈이 방지되는 타이어용 림.
  8. 타이어 및
    외주에 상기 타이어에 조립되고, 차축에 체결되는 타이어용 림을 포함하고,
    상기 타이어용 림의 림플랜지에 상기 타이어용 림의 반경방향으로 왕복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타이어의 비드부를 가압하는 가압돌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이탈이 방지되는 타이어용 림을 구비한 차량 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림플랜지의 내부에서 설치되고, 상기 가압돌기를 상기 타이어용 림의 외측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이탈이 방지되는 타이어용 림을 구비한 차량 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용 림에 상기 가압돌기와 상기 탄성부재를 수용하는 돌기설치공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설치공의 내부에서 상기 가압돌기가 상기 돌기설치공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비드부를 가압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이탈이 방지되는 타이어용 림을 구비한 차량 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림플랜지로부터 상기 타이어용 림의 회전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기설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설치부의 내부에 상기 돌기설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이탈이 방지되는 타이어용 림을 구비한 차량 휠.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타이어용 림의 둘레방향을 따라 정해진 각도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이탈이 방지되는 타이어용 림을 구비한 차량 휠.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기가 설치되는 각도간격은,
    상기 타이어용 림에서 스포크가 설치되는 각도간격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이탈이 방지되는 타이어용 림을 구비한 차량 휠.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타이어용 림의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타이어용 림에서 스포크가 설치되는 위치에서 상기 스포크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이탈이 방지되는 타이어용 림을 구비한 차량 휠.


KR1020210049746A 2021-04-16 2021-04-16 타이어의 이탈이 방지되는 타이어용 림과 이를 구비한 차량 휠 KR202201433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746A KR20220143345A (ko) 2021-04-16 2021-04-16 타이어의 이탈이 방지되는 타이어용 림과 이를 구비한 차량 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746A KR20220143345A (ko) 2021-04-16 2021-04-16 타이어의 이탈이 방지되는 타이어용 림과 이를 구비한 차량 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3345A true KR20220143345A (ko) 2022-10-25

Family

ID=83804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746A KR20220143345A (ko) 2021-04-16 2021-04-16 타이어의 이탈이 방지되는 타이어용 림과 이를 구비한 차량 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334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510B1 (ko) 2007-11-15 2009-06-03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자동차용 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510B1 (ko) 2007-11-15 2009-06-03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자동차용 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1319B2 (en) Non-pneumatic tire with integrated polymeric flexible wheel center mount
CA1152416A (en) Safety tire and wheel assembly
KR960015020B1 (ko) 수축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한 타이어용 림
US20040119584A1 (en) Transmitter in tire condition monitoring apparatus
US4157107A (en) Run-flat tire having integral internal support means
US4408647A (en) Vehicle wheel
JP2007302239A (ja) 固定ストリップに取り付けられたフォーム支持リングを有するランフラットシステム
JPS63130412A (ja) 車輌用タイヤ構造
US20070017621A1 (en) Tire/wheel assembly and pneumatic tire
US3885615A (en) Pneumatic tire wheel rim assembly
CN212219805U (zh) 缺气保用轮胎
KR20220143345A (ko) 타이어의 이탈이 방지되는 타이어용 림과 이를 구비한 차량 휠
JPH0253241B2 (ko)
JP2000025422A (ja) ハブキャップを備えたタイヤ/ホイ―ル装着組立体
CN110682736A (zh) 轮胎轮毂组装体
JPS6136004A (ja) 車両用車輪
JPS5855003B2 (ja) 空気入タイヤ
US20030029539A1 (en) Wheel rim and assembly of such a rim with a bearing support
CN110466285B (zh) 车辆用轮胎轮毂组装体
US6568765B1 (en) Composite wheel having a shallow rim
JP2020111256A (ja) 車両用タイヤホイール組立体
US3639964A (en) Method of mounting a pneumatic tire on a deformable rim
CN211519149U (zh) 一种环状封闭式充气轮胎组件
JP2010095041A (ja) 車両用ホイール
JP2008024218A (ja) 空気入り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