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3939B1 - 오토포커스제어장치및방법 - Google Patents

오토포커스제어장치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3939B1
KR100423939B1 KR1019960024335A KR19960024335A KR100423939B1 KR 100423939 B1 KR100423939 B1 KR 100423939B1 KR 1019960024335 A KR1019960024335 A KR 1019960024335A KR 19960024335 A KR19960024335 A KR 19960024335A KR 100423939 B1 KR100423939 B1 KR 100423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ocus
subject
signal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4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4676A (ko
Inventor
나오끼 가와구찌
마끼비 나까무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04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3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39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3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based on contrast or high frequency components of image signals, e.g. hill climbing meth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 Studio Devices (AREA)
  • Focu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콘트라스트가 높은 피사체가 측거틀내에 출입하는 경우라도 바른 오토포커스 제어를 행하는데 있다.
그 구성은, 제어마이컴(8')은 오토포커스 검파부(7')에서 보내져오는 초점신호의 검출위치가 측거틀의 주변부일때는 측거틀의 위치나 사이즈를 변화시키기 위한 측거틀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 결과, 콘트라스트가 높은 피사체가 측거틀에 출입하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오토포커스 제어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테이프레코더(이하 『캠코더』라고 한다)등의 촬상장치에 있어서의 오토포커스제어, 특히 오동작의 방지기술에 관한 것이다.
캠코더등의 촬상장치에 있어서의 오토포커스 제어장치로써는 예를들면 제11도에 나타내는 것이 있다. 이 도면에 있어서 피사체(도시생략)로부터의 빛은 포커스렌즈(1)에 의해 집광되고, 아이리스(2)에 있어서 적당한 광량으로 조정되어서 CCD촬상소자(3)에 결상한다. 그리고 여기서 영상신호로 변환되고, 샘플/홀드 및AGC회로(4)에 있어서 노이즈제거와 레벨조정을 받은후, A/D변환기(5)에 의해 디지털신호로 변환된다.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영상신호는 카메라신호처리부(6)에 있어서 Y/C분리, 감마보정등의 카메라신호처리가 실시된다. 카메라신호처리부(6)의 출력신호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기록재생회로에 보내지고, 소정의 기록재생처리가 실시된다. 카메라신호처리부(6)내에서 분리된 휘도신호는 오토포커스(AF) 검파부(7)로 보내진다.
오토포커스 검파부(7)는 제 12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휘도신호의 고역성분을 통하는 하이패스필터(또는 밴드패스필터)(71)와, 이 필터(71)의 출력을 정류하는 정류회로(72)와, 정류회로(72)의 출력에서 오토포커스용의 측거틀내의 휘도신호를 추출하기 위한 게이트회로(73)와 게이트회로(73)의 출력을 검파함으로써 필드내의 고역성분의 최대치를 검출하여 초점신호를 작성하는 검파회로(74)와로 구성되어 있다.
제 12도에 나타낸 오토포커스 검파부(7)가 작성한 초점신호의 레벨과 핀트위치와의 관계의 일예를 제 13도에 나타낸다. 이와같이 초점신호의 레벨은 합초위치에 있어서 픽크가 된다.
다시 제 11도의 설명으로 되돌아간다. 오토포커스 검파부(7)에서 작성된 초점신호는 제어마이크로 컴퓨터(이하 『마이크로 컴퓨터』를 『마이컴』이라고 한다)(8)로 보내진다. 제어마이컴(8)은 초점신호의 레벨이 커지는 방향으로 포커스렌즈(1)를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제어신호를 모터구동회로(9)에 준다. 모터구동회로(9)는 모터제어신호에 따른 방향과 속도로 모터(10)를 회전시킨다. 요컨데, 초점신호의 레벨의 피크가 검출되는 위치에 포커스렌즈(1)를 이동시키도록 폐루프가 구성되어 있다. 이 오토포커스제어는 초점신호의 픽크를 검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등산제어라고 불리우고 있다.
그렇지만 상술한 등산제어에서는 측거틀 바깥에 콘트라스트가 높은 피사체가 존재하고, 측거틀내의 피사체의 콘트라스트가 낮으면 핀트맞추기를 할 수 없게 되는 일이 있었다. 이점에 대해서 제 14도~제 16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14도에 합초상태와, 중간흐린상태와 크게흐린상태와를 나타낸다. 여기서 측거틀 바깥에 콘트라스트가 높은 피사체(A), 이것과 비교하여 콘트라스트가 낮은 피사체(B)가 틀내에 있다. 제 14도 [1]의 합초상태에서는 피사체(A)는 측거틀 바깥에, 피사체(B)는 측거틀내에 있다. 제 14도 [2]의 중간흐린상태에서는 피사체(A)의 윤곽이 흐려서, 그 흐린 상(착란원)의 일부가 측거틀의 주변부에 접하도록 된다. 또한, 제 14도 [3]의 크게흐린 상태에서는 피사체(A)의 흐려진 상의 일부가 측거틀내로 들어간다.
피사체[A,B]가 촬상장치에서 같은 거리에 존재할때, 포커스렌즈의 위치에 대한 피사체(A,B) 각각의 초점신호의 변화는 제 15도와 같이 된다. 또, 측거틀내의 초점신호는 제 16도와 같이 된다.
초점신호는 측거틀내의 가장 콘트라스트가 높은 부분을 검출한 것이기 때문에 크게흐린 상태(3)로부터 중간흐린 상태(2)에서는 피사체(A)의 에지를 검출하지만, 중간흐린 상태(2)에서 피사체(A)의 에지가 측거틀의 바깥으로 나가는데 따라서 초점신호는 급격히 작아지고, 곧 피사체(B)의 에지를 검출하게 된다. 이때문에 측거틀바깥의 피사체(A)의 흐려진 상이 측거틀에서 나오는 위치가 초점신호의 레벨의 픽크가 된다. 결국 중간흐린 상태(2)에서 초점신호의 레벨이 픽크가 되는데서, 이 위치를 합초위치로 판단하게 되고, 진정한 합초위치를 발견할 수 없게 된다.
이때문에 초점신호의 레벨의 픽크를 찾는 종래의 오토포커스 제어방법에서는 측거를 바깥에 콘트라스트가 높은 피사체가 존재하고, 측거틀내의 피사체의 콘트라스트가 낮으면, 핀트가 흐려져서 피사체의 상이 넓어지는 것으로, 측거를 바깥의 피사체의 흐려진 상의 일부가 측거틀내로 들어왔을때에, 핀트맞추기를 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콘트라스트가 높은 피사체가 측거틀내로 출입하는 바와같은 경우라도 바른 오토포커스제어를 행할 수 있는 오토포커스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계되는 오토포커스 제어장치 및 방법은 피사체를 촬상하여 얻은 영상신호의 소정의 주파수 성분에서 초점신호를 작성하는 오토포커스 제어장치 또는 방법에 있어서 초점신호의 검출위치가 소정의 측거틀의 주변부인 것을 검출했을때 상기 소정의 측거틀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 1수단으로서는 예를들면 초점신호의 검출위치와 소정의 측거틀의 위치와의 비교에 의한 검출수단, 혹은 복수개의 다른 크기나 위치의 측거틀내의 상기 소정의 주파수성분의 비교에 의한 검출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또, 제 2수단은 소정의 측거틀의 크기나 위치등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오토포커스 제어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피사체를 촬상하여 얻은 영상신호의 소정의 주파수성분에서 작성되는 초점신호의 검출위치가 소정의 측거틀의 주변부일때에, 이 측거틀의 위치나 크기등을 변화시킨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1] 본 발명을 적용한 오토포커스 제어장치의 기본구성
[2] 초점신호의 검출위치가 측거틀의 주변부인 것을 검출하는 수단
(1) 초점신호의 검출위치와 측거틀의 위치와의 비교에 의한 검출
(2) 복수의 다른 측거틀의 초점신호의 비교에 의한 검출
[1] 본 발명을 적용한 오토포커스 제어장치의 기본구성
제 1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오토포커스 제어장치의 기본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여기서 제 11도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의 번호를 붙이고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한 오토포커스 제어장치는 피사체(도시생략)로부터의 빛을 집광하는 포커스렌즈(1)와 포커스렌즈(1)를 통과한 빛의 량을 조정하는 아이리스(2)와 아이리스(2)를 통과한 피사체의 상을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CCD촬상소자(3)와 CCD촬상소자(3)의 출력영상신호의 노이즈제거와 레벨조정을 행하는 샘플/홀드 및 AGC회로(4)와, 샘플/홀드 및 AGC회로(4)의 출력을 디지털화하는 A/D변환기(5)와, A/D변환기(5)의 디지털 출력에 대해서 Y/C분리, 감마보정등의 신호처리를 실시하는 카메라신호 처리부(6)와를 갖추고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한 오토포커스 제어장치는 또한 카메라신호 처리부(6)내에서분리된 휘도신호에서 오토포커스 제어용의 초점신호를 작성하는 오토포커스 검파부(7')와 오토포커스 검파수(7')로부터의 초점신호의 레벨이 커지는 방향으로 포커스렌즈(1)를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제어신호를 모터구동회로(9)에 보내는 동시에, 초점신호의 검출위치가 측거틀의 주변부인 경우에는, 측거틀의 위치나 사이즈(크기)를 변화시키기 위한 측거를 제어신호를 오토포커스 검파부(7')로 보내는 제어마이컴(8')과 제어마이컴(8')에서 보내진 모터제어신호에 따라서 모터(10)를 구동하는 모터구동회로(9)와 모터구동회로(9)에 의해 구동되고, 포커스렌즈(1)를 이동시키는 모터(10)와 카메라신호 처리부(6)와 오토포커스 검파부(7')에 대해서, 수직동기신호(VD), 수평동기신호(HD) 및 예를들면 약 14MHz의 클럭(CL)을 공급하는 타이밍 발생부(11)를 갖추고 있다.
다음에, 제 1도에 나타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 1도에 있어서 피사체(도시생략)로부터의 빛은 포커스렌즈(1)에 의해 집광되고, 아이리스(2)에 있어서 적당한 광량으로 조정되어서 CCD촬상소자(3)에 결상한다. 그리고 여기서 영상신호로 변환되고, 샘플/홀드 및 AGC회로(4)에 있어서 노이즈제거와 레벨조정을 받은 후 A/D변환기(5)에 의해 디지털신호로 변환된다.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영상신호는 카메라신호 처리부(6)에 있어서 Y/C분리, 감마보정등의 카메라신호처리가 실시된다. 카메라신호 처리부(6)의 출력신호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기록재생회로에 보내지고, 소정의 기록재생처리가 실시된다. 카메라신호 처리부(6)내에서 분리된 휘도신호는 오토포커스 검파부(7')로 보내진다.
오토포커스 검파부(7')는 카메라신호 처리부(6)에서 공급된 휘도신호와 타이밍 발생부(11)에서 공급된 수직동기신호(VD), 수평동기신호(HD) 및 클럭신호(CL)가 되는 초점신호를 작성하고, 제어마이컴(8')으로 보낸다. 제어마이컴(8')은 초점신호가 커지는 방향으로 포커스렌즈(1)를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제어신호를 모터구동회로(9)에 부여한다. 모터구동회로(9)는 모터제어신호에 따른 방향과 속도로 모터(10)를 회전시킨다. 제어마이컴(8')은 또한 초점신호의 검출위치가 측거틀의 주변부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초점신호의 검출위치가 측거틀의 주변부일때에는 오토포커스 검파부(7')에 있어서의 측거틀을 변화시키기 위한 측거틀 제어신호를 출력한다(상세는 후술).
[2] 초점신호의 검출위치가 측거틀의 주변부인 것을 검출하는 수단
초점신호의 검출위치가 측거틀의 주변부인 것을 검출하기 위해 2개의 수단을 고려하였다. 그 하나는 초점신호의 검출위치와 측거틀의 위치와를 비교하여 검출하는 것, 다른 하나는 복수의 다른 측거틀의 초점신호를 비교하여 검출하는 것이다. 이하 차례로 설명한다.
(1) 초점신호의 검출위치와 측거틀의 위치와의 비교에 의한 검출
제 2도는 오토포커스 검파부(7')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여기서 제 12도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의 부호가 붙여져 있다.
제 2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오토포커스 검파부(7')는 휘도신호의 고역성분을 통하는 하이패스필터(또는 밴드패스필터)(71)와, 이 필터(71)의 출력을 정류하는 정류회로(72)와, 정류회로(72)의 출력에서 오토포커스용의 측거틀내의 휘도신호를 추출하기 위한 게이트회로(73')와, 게이트회로(73')의 출력을 검파함으로써 필드내의 고역성분의 최대치를 검출하여 초점신호를 작성하는 동시에, 이 초점신호가 검출된 타이밍에 있어서 후술하는 수평위치 카운터(75)와 수직위치카운터(76)의 카운트값을 유지하는 검파회로(74')와를 갖추고 있다. 여기서 게이트회로(73')에는 제어마이컴(8')에서 측거틀의 위치 또는 사이즈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입력되어 있다. 이 제어신호는 초점신호의 검출위치가 측거틀의 주변부인 것을 제어마이컴이 검출했을때에 오토포커스제어에 오동작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 측거틀의 위치나 사이즈를 바꾸는 것이다(상세는 후술).
오토포커스 검파부(7')는 또한 타이밍발생부(11)에서 공급되는 클럭(CL)으로 카운트업하는 동시에 수평동기신호(HD)마다 클리어되는 수평위치 카운터(75)와 수평동기신호(HD)로 동기하여 카운트업하는 동시에 수직동기신호(VD)마다 클리어되는 수직위치 카운터(76)와를 갖추고 있다. 수직위치 카운터(76)의 카운트같은 count1로써, 또 수평위치 카운터(75)의 카운트값은 count2로써 함께 검파회로(74')에 보내진다.
다음에, 제 3도를 참조하면서 제 2도에 나타낸 오토포커스 검파부(7')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 도면의 [1]은 촬상에리어와 측거틀과 count1, count2와의 관계를 나타낸다. 오토포커스 검파부에 제 3도의 [2]에 나타내는 바와같은 휘도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 측거틀의 좌주변부에 콘트라스트가 높은 피사체가 존재하고, 측거틀의 우주변부에 콘트라스트가 낮은 피사체가 존재한다.
오토포커스 검파부로 제 3도의 [2]에 나타내는 바와같은 휘도신호가 입력되면, 하이패스필터(또는 밴드패스필터)(71)에 의해 제 3도의 [3]에 나타내는 바와같은 고역성분이 추출된다. 이 고역성분은 정류회로(72)에 의해 제 3도의 [4]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정류된다. 그리고 제 3도의 [5]에 나타내는 게이트신호에 의해 AF측거틀내의 정류출력만이 꺼내지고, 검파회로(74')에 의해 측거틀내의 최대치가 초점신호로써 검출된다.
한편, 수평위치 카운터(75)는 타이밍발생부(11)에서 공급된 약 14MHz의 클럭을 수평동기신호(HD)마다 카운트하고, 그 카운트치(count2)를 검파회로(74')에 보낸다. 동일하게 수직위치 카운터(76)는 타이밍발생부(11)에서 공급된 수평동기신호(HD)를 수직동기신호(VD)마다 카운트하고, 그 카운트값(count1)을 검파회로(74')에 보낸다.
검파회로(74')는 정류출력의 최대치가 갱신될때마다 count1 및 count2의 값을 래치한다. 이 결과, 검파회로(74')에는 각 필드에 있어서의 초점신호의 레벨과 그것을 검출한 타이밍에 있어서의 count1 및 count2의 값이 래치된다. 이 초점신호의 레벨과 count1 및 count2의 값은 제어마이컴(8')으로 보내진다.
다음에, 제 4도를 참조하면서 제어마이컴(8')의 처리를 설명한다. 우선, 오토포커스 검파부(7')에서 보내져 오는 count1, count2의 값, 즉 초점신호의 검출위치와 측거틀의 위치와를 비교한다(스텝(S1)). 그리고 count1, count2의 값의 적어도 한편이 측거틀의 주변부를 나타내는 것이었을때는(스텝(S2)에서 Yes), 측거틀의 위치 혹은 사이즈를 변화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오토포커스 검파부(7')의 게이트회로(73')에 보내고(스텝(S3)), 그 후 처리를 종료한다. 이것에 대해서 count1, count2의 값의 어떤것도 측거틀의 주변부를 나타내는 것이 아닐때는(스텝(S2)에서No) 그대로 처리를 종료한다.
제 5도에 측거틀의 주변부에서 초점신호가 검출된 경우의 측거틀의 변화예를 나타낸다. 이 도면에 있어서 피사체(A)는 콘트라스트가 상대적으로 높고, 피사체(B)는 콘트라스트가 상대적으로 낮다.
제 5도 [1]는 측거틀을 넓혀서 피사체(A)가 측거틀내로 들어가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이 하면 흐린상태에서 합초상태로 제어하는 과정에서 피사체(A)가 측거틀의 바깥으로 나오지 않게되기 때문에, 초점신호는 항상 피사체(A 및 B)를 검출한 것이 되고, 바른 합초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또, 제 5도 [2]는 측거틀을 좁혀서 피사체(A)가 측거틀내로 들어가지 않게 한 것이다. 이와같이 하면, 피사체(A)가 측거틀로 들어가지 않기되기 때문에, 초점신호는 항상 피사체(B)만을 검출한 것이되고, 바른 합초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5도 [3]는 측거틀의 위치를 바꿔서 피사체(A)가 측거틀내에 들어가지 않게한 것이다. 이 경우도 제 5도 [2]와 같은 이유에 의해 바른 합초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이와같이 측거틀의 주변부에서 초점신호가 검출된 경우에는 측거틀을 변화시킴으로써, 바른 합초방향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2) 복수의 다른 측거틀의 초점신호의 비교에 의한 검출
제 6도는 복수의 다른 크기의 측거틀의 초점신호의 비교에 의해 초점신호의 검출위치가 측거틀의 주변부인 것을 검출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측거틀을 틀(a)로 하고, 이 틀보다 약간 큰 측거틀인 틀(b)을 새롭게 설정한다. 제 5도와 동일하게 피사체(A)는 콘트라스트가 높은 피사체이며, 피사체(B)는 콘트라스트가 낮은 피사체이다.
이때 틀(a,b)내의 초점신호와 핀트위치와의 관계는 제 7도와 같게 된다. 틀(b)은 틀(a)보다 약간 크기때문에, 피사체(A)의 에지가 틀에서 나오는 타이밍이 어긋난다. 이것에 의해 틀(b)의 초점신호는 틀(a)의 초점신호보다 약간 합초점에 가까운 위치에서 초점신호가 급격히 변화한다.
피사체(A)의 틀에의 출입이 없는 영역{(3)~(2), (2')~(1)}에서는 틀(a,b)이 함께 초점신호가 검출되는 위치가 동일하기 때문에, 초점신호 자체도 모두 같게 된다. 그리고 이 영역에서는 종래의 오토포커스제어로 바른 합초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피사체(A)의 틀에의 출입이 있는 영역[(2)~(2')}에서는 틀(a,b)에서 초점신호가 검출되는 위치가 다르고, 또 초점신호의 변화도 급격한 것이므로 틀(a)의 초점신호와 틀(b)의 초점신호에는 큰 차가 생긴다. 반대로 틀(a)의 초점신호와 틀(b)의 초점신호에 큰 차가 있는 경우는 초점신호의 검출위치가 측거틀의 주변부에 존재하는 영역으로 간주할 수 있다.
그래서 틀(a)의 초점신호와 틀(b)의 초점신호에는 큰 차가 생긴 경우에는 제 5도와 동일하게 측거틀의 위치나 사이즈를 변화시킴으로써, 바른 합초방향의 판단을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제 6도에서는 크기가 약간 다른 2개의 틀을 동시에 사용하였으나, 제8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은 크기는 같고, 약간 위치를 빗겨진 틀을 사용하여도 동일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 하나의 틀을 필드마다 또는 프레임마다 크기 또는 위치를 전환하여 사용하고, 그 변조의 주기에 맞춰서 초점신호를 동기검파하는 것으로 동일하게 틀 출입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보다 많은 틀을 비교에 이용하는 것으로 보다 정밀도 높은 검출도 가능하다.
제 9도는 오토포커스 검파부(7')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여기서 제 2도와 동일 혹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가 붙여져 있다.
제 9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오토포커스 검파부(7')는 휘도신호의 고역성분을 통하는 하이패스필터(또는 밴드패스필터)(71)와, 이 필터(71)의 출력을 정류하는 정류회로(72)와, 정류회로(72)의 출력에서 측거틀(a,b)내의 휘도신호를 추출하기 위한 제 1게이트회로(73-1), 제 2게이트회로(73-2)와 제 1게이트회로(73-1), 제 2게이트회로(73-2)의 출력을 검파함으로써, 측거틀(a,b)내의 고역성분의 최대치를 검출하여 제 1초점신호, 제 2초점신호를 작성하는 제1검파회로(74-1), 제 2검파회로(74-2)와를 갖추고 있다. 여기서 제 1게이트회로(73-1)와 제 2게이트회로(73-2)에는 제어마이컴(8')에서 측거틀의 위치 또는 사이즈를 설정하기 위한 측거틀 제어신호가 입력되어 있다.
다음에 제 10도를 참조하면서 제어마이컴(8')의 처리를 설명한다. 먼저, 오토포커스 검파부에서 보내져 오는 제 1초점신호의 레벨과 제 2초점신호의 레벨을 비교한다(스텝(S11)). 그리고 그것들의 레벨의 차가 소정치 이상일때는(스텝(S12)에서 Yes), 측거틀의 위치 혹은 사이즈를 변화시키기 위한 측거틀 제어신호를 오토포커스 검파부의 제 1게이트회로(73-1)와 제 2게이트회로(73-2)에보내고(스텝(S3)), 그 후 처리를 종료한다. 이것에 대해서 제 1초점신호의 레벨과 제 2초점신호의 레벨의 차가 소정치 이상이 아닐때는(스텝(S12) 에서 No), 그대로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피사체를 촬상하여 얻은 영상신호의 소정의 주파수성분에서 작성되는 초점신호의 검출위치가 소정의 측거틀의 주변부일때에 측거틀의 크기를 바꾼다든지, 측거틀의 위치를 바꾼다든지 하므로, 콘트라스트가 높은 피사체가 측거틀내로 출입하는 경우라도 바른 오토포커스제어를 행할 수 있다.
제 1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오토포커스 제어장치의 기본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 2도는 제 1도의 오토포커스 검파부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 3도는 제 2도의 오토포커스 검파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4도는 제 1도의 제어마이컴의 처리의 일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제 5도는 측거틀(測距)의 변화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6도는 복수의 다른 크기의 측거틀의 초점신호의 비교에 의해 초점신호의 검출위치가 측거틀의 주변부인 것을 검출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 7도는 제 6도에 있어서의 틀(a,b)내의 초점신호와 핀트위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8도는 복수의 다른 위치의 측거틀의 초점신호의 비교에 의해 초점신호의 검출위치가 측거틀의 주변부인 것을 검출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 9도는 오토포커스 검파부의 구성의 다른 일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 10도는 제어마이컴의 원리의 다른 일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제 11도는 종래의 오토포커스 제어장치의 기본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 12도는 종래의 오토포커스 검파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 13도는 종래의 오토포커스 제어장치에 있어서의 초점신호의 레벨과 핀트위치와의 관계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4도는 합초상태, 중간흐린 상태, 및 크게흐린 상태에 있어서의 측거틀과 피사체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5도는 제 14도의 피사체(A), (B) 각각의 초점신호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6도는 제 14도의 측거틀내의 초점신호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포커스렌즈 3. CCD촬상소자
7,7'. 오토포커스 검파부 8,8'. 제어마이컴

Claims (6)

  1. 낮은 콘트라스트의 피사체와 높은 콘트라스트의 피사체를 갖는 영상으로부터 획득한 비디오 신호의 소정의 주파수 성분으로부터 초점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측거틀을 사용한 오토포커스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초점 신호들간에 적어도 한 레벨차가 소정의 값을 넘는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상기 낮은 콘트라스트의 피사체상에 포커싱된 때에 상기 높은 콘트라스트의 피사체의 초점 가장자리의 외부가 상기 복수틀에 있는지 여부를 검파하는 수단과,
    상기 낮은 콘트라스트의 피사체에 포커싱될 때 상기 높은 콘트라스트의 피사체의 상기 틀 가장자리의 외부가 상기 복수틀 중 하나에 있지 않도록 상기 검파수단으로부터 출력된 검파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틀 중 하나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수단으로 구성되는 오토포커스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파수단은 다른 크기를 가진 상기 복수틀 중 2개 내의 상기 소정의 주파수 성분을 비교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포커스 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파수단은 다른 위치에 배치된 상기 복수틀 중 2개 내의 상기 소정의주파수 성분을 비교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포커스 제어장치.
  4. 낮은 콘트라스트의 피사체와 높은 콘트라스트의 피사체를 갖는 영상으로부터 획득한 비디오 신호의 소정의 주파수 성분으로부터 초점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측거틀을 이용한 오토포커스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초점 신호들간에 적어도 한 레벨차가 소정의 값을 넘는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상기 낮은 콘트라스트의 피사체상에 포커싱된 때에 상기 높은 콘트라스트의 피사체의 초점 가장자리의 외부가 상기 복수틀에 있는지 여부를 검파하는 수단과;
    상기 낮은 콘트라스트의 피사체에 포커싱될 때 상기 높은 콘트라스트의 피사체의 상기 틀 가장자리의 외부가 상기 복수틀 중 하나에 있지 않도록 상기 검파수단으로부터 출력된 검파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틀 중 하나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수단으로 구성되는 오토포커스 제어장치.
  5. 낮은 콘트라스트의 피사체와 높은 콘트라스트의 피사체를 갖는 영상으로부터 획득한 비디오 신호의 소정의 주파수 성분으로부터 초점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측거틀을 이용한 오토포커스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 측거틀에 대응한 복수 초점신호를 검파하는 수단과;
    낮은 콘트라스트의 피사체상에 포커싱될 때 상기 복수틀 중 하나에 대응하여상기 초점 신호 중 하나가 상기 복수틀 중 하나의 주변영역에 있지 않도록 상기 레벨차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의 값을 초과하는 때에 상기 복수틀 중 하나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과 상기 초점 신호의 레벨차를 검파하는 것을 제어하는 수단으로 구성되는 오토포커스 제어장치.
  6. 낮은 콘트라스트의 피사체와 높은 콘트라스트의 피사체를 갖는 영상으로부터 획득한 비디오 신호의 소정의 주파수 성분으로부터 초점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측거틀을 이용한 오토포커스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 측거틀에 대응한 복수 초점 신호를 검파하는 수단과;
    낮은 콘트라스트의 피사체에 포커싱될 때 상기 복수틀 중 하나에 대응하여 상기 초점 신호 중 하나가 상기 복수틀 중 하나의 주변영역에 있지 않도록 상기 레벨차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의 값을 초과하는 때에 상기 복수틀 중 하나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과 상기 초점 신호의 레벨차를 검파하는 것을 제어하는 수단으로 구성되는 오토포커스 제어장치.
KR1019960024335A 1995-06-30 1996-06-27 오토포커스제어장치및방법 KR1004239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188229 1995-06-30
JP18822995A JP3697745B2 (ja) 1995-06-30 1995-06-30 オートフォーカス制御装置及び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676A KR970004676A (ko) 1997-01-29
KR100423939B1 true KR100423939B1 (ko) 2004-07-09

Family

ID=16220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4335A KR100423939B1 (ko) 1995-06-30 1996-06-27 오토포커스제어장치및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229568B1 (ko)
JP (1) JP3697745B2 (ko)
KR (1) KR100423939B1 (ko)
CN (1) CN111989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2681A (ja) * 1999-04-06 2000-10-20 Canon Inc 焦点検出装置
SE518836C2 (sv) * 1999-05-25 2002-11-26 Flir Systems Ab Anordning och förfarande för ett infrarött bildanalyserande autofokus
WO2002037159A2 (en) * 2000-11-03 2002-05-10 Arcturus Engineering, Inc. Road map image for automated microdissection
JP4565784B2 (ja) * 2001-09-20 2010-10-20 Hoya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
US10156501B2 (en) 2001-11-05 2018-12-18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 Automated microdissection instrument for determining a location of a laser beam projection on a worksurface area
US8722357B2 (en) * 2001-11-05 2014-05-13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 Automated microdissection instrument
JP2004240054A (ja) * 2003-02-04 2004-08-26 Olympus Corp カメラ
KR20060058118A (ko) * 2003-09-10 2006-05-29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촬영 렌즈 위치 제어 장치
CN100414339C (zh) * 2003-09-10 2008-08-27 夏普株式会社 摄影透镜位置控制装置
JP4551708B2 (ja) * 2004-07-21 2010-09-2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WO2006031574A2 (en) 2004-09-09 2006-03-23 Arcturus Bioscience, Inc. Laser microdissection apparatus and method
JP4933061B2 (ja) * 2005-06-10 2012-05-16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機器
JP2007065290A (ja) * 2005-08-31 2007-03-15 Nikon Corp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
JP5161435B2 (ja) * 2006-06-26 2013-03-13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994800B2 (ja) * 2006-11-16 2012-08-08 キヤノン株式会社 受光センサ及び焦点検出装置
KR20100013859A (ko) * 2008-08-01 2010-02-10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렌즈의 mtf 특성을 이용한포커스 조정 장치 및 방법
US9131142B2 (en) 2009-07-17 2015-09-08 Nikon Corporation Focusing device and camera
JP5934929B2 (ja) * 2011-05-27 2016-06-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6116277B2 (ja) 2012-06-07 2017-04-1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102602B2 (ja) * 2013-07-23 2017-03-29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撮像装置
JP6249825B2 (ja) * 2014-03-05 2017-12-2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2671A (en) * 1987-09-02 1995-06-06 Canon Kabushiki Kaisha Automatic focus control by use of component value differences in an image sensing plan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6221U (ja) * 1983-02-14 1984-08-25 コニカ株式会社 自動焦点カメラ
GB2209901B (en) * 1987-09-11 1992-06-03 Canon Kk Image sensing device
DE68914712T2 (de) * 1988-05-11 1994-10-13 Sanyo Electric Co Bildsensorapparat mit einer automatischen Fokussiereinrichtung für automatische Fokusanpassung in Abhängigkeit von Videosignalen.
JP2985087B2 (ja) * 1988-11-16 1999-11-29 株式会社ニコン 焦点検出装置
US5258847A (en) * 1989-03-22 1993-11-02 Canon Kabushiki Kaisha Object tracing device
JP2772028B2 (ja) * 1989-04-14 1998-07-02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多点測距自動焦点カメラ
US5629735A (en) * 1989-08-20 1997-05-1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ensing device having a selectable detecting area
JPH03182710A (ja) * 1989-12-12 1991-08-08 Olympus Optical Co Ltd 焦点検出装置
JP2822256B2 (ja) * 1990-02-15 1998-11-11 ソニー株式会社 ビデオカメラの露光補正装置
JPH05137047A (ja) * 1991-11-14 1993-06-01 Nikon Corp 焦点検出方法及び焦点検出装置
JPH05344403A (ja) * 1992-06-10 1993-12-24 Sony Corp 撮像装置
JP2996806B2 (ja) * 1992-06-11 2000-01-11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自動焦点調節装置及び焦点調節方法
JP3170881B2 (ja) * 1992-06-29 2001-05-2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ジャイロのドリフト抑制回路
JP3487436B2 (ja) * 1992-09-28 2004-01-19 ソニー株式会社 ビデオカメラシステム
US5589911A (en) * 1992-12-09 1996-12-31 Olympus Optical Co., Ltd. Autofocusing apparatus for camera having multiple rang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2671A (en) * 1987-09-02 1995-06-06 Canon Kabushiki Kaisha Automatic focus control by use of component value differences in an image sensing pla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5478A (zh) 1997-03-19
JP3697745B2 (ja) 2005-09-21
CN1119895C (zh) 2003-08-27
JPH0918768A (ja) 1997-01-17
KR970004676A (ko) 1997-01-29
US6229568B1 (en) 2001-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3939B1 (ko) 오토포커스제어장치및방법
US5212516A (en) Automatic focus adjusting device
JPH09200597A (ja) 自動焦点検出装置
US5442397A (en) Image sensing apparatus
US6507367B2 (en) Image pickup apparatus for varying filter characteristics for focus adjustment
JP2957800B2 (ja) 自動焦点調節装置
JP3167023B2 (ja) 焦点調節装置、ブレ検出装置、動き検出装置、並びに、被写体位置検出装置
JP3093057B2 (ja) 自動焦点検出装置
JPH0630322A (ja) 自動合焦装置
JP2832029B2 (ja) 自動焦点整合装置
EP0390091B1 (en) Automatic focus adjusting device
JP3943610B2 (ja) カメラ及びレンズユニット
JP2810403B2 (ja) 自動焦点整合装置
JP3428663B2 (ja) 自動焦点調節装置
JP2675807B2 (ja) 撮像装置
JP2742741B2 (ja)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
KR20050053998A (ko) 스팟 상태에서의 촬상 장치의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 및그 방법
JP3263061B2 (ja) 合焦調節装置
JP2715441B2 (ja) 撮像装置
KR970004183B1 (ko) 비디오 카메라의 화면 처리 방법
JP2832026B2 (ja) 自動焦点整合装置
KR101228340B1 (ko) 감시 카메라 시스템 및 그의 자동 초점 조절 방법
JP2531238B2 (ja) 撮像装置
JP2854930B2 (ja)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
JPH06303487A (ja) 自動焦点調節装置およびビデオ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