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2547B1 - 타이어 공기압 감지 안전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타이어 공기압 감지 안전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2547B1
KR100422547B1 KR10-2001-0048457A KR20010048457A KR100422547B1 KR 100422547 B1 KR100422547 B1 KR 100422547B1 KR 20010048457 A KR20010048457 A KR 20010048457A KR 100422547 B1 KR100422547 B1 KR 100422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air pressure
pressure
signal
shift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8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4445A (ko
Inventor
김준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8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2547B1/ko
Publication of KR20030014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4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2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25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01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2Control of vehicle driving stabil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2Locking of the control inpu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타이어 공기압 감지 안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타이어의 공기압이 설정 압력보다 낮게 되면 시동이 걸리지 않거나 변속 레버의 작동이 불가능하도록 하여 차량의 운행이 불가능하도록 한 타이어 공기압 감지 안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시동전 상태에서 타이어의 공기압이 일정 이하이면 스타트 모터가 작동되지 않도록 하여 시동이 불가능하게 하고; 시동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타이어의 공기압이 일정 이하이면 변속 레버가 P(주차)단에서 타단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거나 변속 레버가 N(중립)단에서 D(주행)단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차량이 주행중인 상태에서 타이어의 공기압이 일정 이하이면 연료량 제어를 통해 차량의 속도가 증가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본 발명의 장치는 타이어의 공기압을 감지하는 공기압 감지수단과; 상기 공기압 감지수단의 신호를 입력받아 타이어의 공기압이 일정 이하이면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회로수단과; 상기 제어회로수단의 작동신호에 따라 변속 레버의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시프트 록킹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타이어 공기압 감지 안전 장치 및 방법{SAFETY APPARATUS FOR SENSING AIR PRESSURE OF TIRE AND THE METHOD}
본 발명은 자동차의 타이어 공기압 감지 안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타이어의 공기압이 설정 압력보다 낮게 되면 시동이 걸리지 않거나 변속 레버의 작동이 불가능하도록 하여 차량의 운행이 불가능하도록 한 타이어 공기압 감지 안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주행에서 타이어의 공기압은 자동차의 안전에 상당히 큰 비중을 차지한다.
즉, 타이어의 공기압이 높게 되면, 핸들이 너무 가벼워 안정감이 떨어지고, 주행 중 쿠션이 없어 통통 튀는 현상이 발생된다. 그리고, 접지면이 좁으므로 제동 거리가 길어지고, 타이어의 중앙만 마모되는 이상 마모 현상이 발생된다.
반면, 타이어의 공기압이 작으면, 핸들이 너무 무거워 핸들 돌리기가 힘이들고, 타이어에 많은 열이 발생되며, 수명이 짧아진다.
특히, 브레이크를 밟을 때 제동거리가 조금씩 밀리게 되면서 커지게 되어 안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타이어는 자동차 안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운전자는 타이어의 공기압 점검을 확실하고 정확하게 점검해야 하지만 대부분의 운전자는 타이어의 공기압 점검을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자동차에는 운전자가 육안으로 직접 확인하지 않고서는 타이어의 공기압이 비정상 상태임을 알려주는 별다른 장치가 없기 때문에 운전자가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고, 운전자가 직접 확인한다 하더라도 확실한 점검이 이루어지지 않고, 주행중에는 공기압의 점검이 불가능하므로 보다 안전한 자동차의 주행 조건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시동전, 시동후, 주행중 타이어의 공기압을 감지하여 일정 압력 이하가 되면 차량의 운행이 불가능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량의 안전 주행 조건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타이어 공기압 감지 안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공기압 감지 안전 장치가 도시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공기압 감지 안전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공기압 감지 안전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제어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공기압 감지 안전 장치에서 변속 레버측 시프트 록 구조가 도시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공기압 감지센서 10 : ECU
15 : 연료 인젝터 21 : 타이어 공기압 스위치
22 : 클러스터 23 : 시동스위치
24 : 스타팅 릴레이 25 : 스타팅 모터
26 : 인히비터 스위치 27 : 솔레노이드 작동 릴레이
28 : 타이어 공기압 릴레이 29 : 브레이크 록 스위치
30 : 제1 솔레노이드 40 : 변속 레버
45 : 걸림 돌기 50 : 시프트 록킹 장치
52 : 제2 솔레노이드 55 : 록킹 레버
55a : 대응철편 56 : 리턴 스프링
58 : 가이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타이어 공기압 감지 안전 방법은, 시동전 상태에서 타이어의 공기압을 감지하는 공기압 감지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타이어의 공기압이 일정 이하이면 타이어 공기압 스위치에서 비정상 신호를 인가해 스타팅 릴레이와 스타팅 모터가 작동되지 않도록 하여 시동이 불가능하게 하고;시동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공기압 감지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타이어의 공기압이 일정 이하이면 타이어 공기압 릴레이를 통해 시동 스위치와 인히비터 스위치의 N단이 접지되어 솔레노이드를 매개로 변속 레버가 N(중립)단에서 D(주행)단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변속 레버가 P(주차)단에서 타단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제어하고;차량 주행중 타이어 공기압이 일정 이하가 되면 공기압 감지센서의 신호는 클러스터를 통해 운전자에게 알려줌과 동시에 ECU에 전달되어 연료 컷 신호가 연료 인젝터에 인가되어 연료량 제어를 통해 차량의 속도가 증가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타이어 공기압 감지 안전 장치는, 각각의 타이어에 설치되어 감지된 공기압에 대한 신호를 ECU로 입력하는 공기압 감지센서로 이루어진 공기압 감지수단과;시동 스위치가 오프 상태에서 타이어의 공기압이 정상 압력보다 낮은 일정 압력 이하일 때 스타팅 릴레이 및 스타팅 모터가 작동되지 않도록 타이어 공기압 센서의 신호에 따라 비정상 신호를 인가하는 타이어 공기압 스위치와, 시동 스위치가 온 상태에서 타이어의 공기압이 일정 이하일 때 시동 스위치와 인히비터 스위치의 N단이 접지되어 솔레노이드 작동 릴레이를 통해 제2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 변속 레버가 N단에서 D단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동되는 타이어 공기압 릴레이 및 차량 주행중 타이어 공기압이 일정 이하일 때 공기압 감지센서의 신호를 받아 연료 컷 신호가 연료 인젝터에 인가되어 연료량 제어를 통해 가속 운전이 불가능하도록 제어하는 ECU로 이루어져 타이어의 공기압이 일정 이하이면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회로수단과;변속 레버의 측면으로 돌출된 걸림 돌기와, 상기 변속 레버의 인근에 설치되어 직선 이동하면서 상기 걸림 돌기를 구속하거나 해제하는 록킹 레버와, 상기 제어회로수단의 작동신호에 따라 상기 록킹 레버를 상하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로 구성된 시프트 록킹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록킹 레버는 상기 변속 레버가 N(중립)단에서 D(주행)단으로 이동하는 것을 구속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공기압 감지 안전 장치가 도시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각각의 타이어(T)에는 공기압을 감지할 수 있는 공기압 감지센서(5)가 설치되고, 각 공기압 감지센서(5)의 신호는 ECU(10)에 입력되도록 연결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공기압 감지 안전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공기압 감지 안전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회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공기압 감지 안전 방법은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시동전 상태에서는 타이어(T)의 공기압이 일정 이하이면 스타팅 모터(25)가 작동되지 않도록 하여 시동이 불가능하게 한다.
즉, 시동 스위치(23)가 오프 상태에서 타이어(T)의 공기압이 정상 압력보다 낮은 일정 압력 이하이면, 타이어 공기압 센서(5)의 신호에 따라 타이어 공기압 스위치(21)에서 비정상 신호가 인가됨으로 스타팅 릴레이(24) 및 스타팅 모터(25)가 작동되지 않게 되어 차량의 시동이 불가능해지게 된다.
다음, 시동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타이어(T)의 공기압이 일정 이하이면 변속 레버가 P(주차)단에서 타단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거나 변속 레버가 N(중립)단에서 D(주행)단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즉, 자동 변속기용 차량의 경우, 시동 스위치(23)가 온 상태에서 타이어(T)의 공기압이 일정 이하이면 타이어 공기압 릴레이(28)가 작동되어 시동 스위치(23)와 인히비터 스위치(26)의 N단이 접지되어 솔레노이드 작동 릴레이(27)를 통해 제2 솔레노이드(52)를 작동시켜 변속 레버가 N단에서 D단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인히비터 스위치(26)에서 P단에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브레이크 록 스위치(29)가 작동되지 않아 제1 솔레노이드(30)에 의해 P단에서 변속 레버의 이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다음, 차량이 주행중인 상태에서 타이어의 공기압이 일정 이하이면 연료량 제어를 통해 차량의 속도가 증가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즉, 차량 주행중 타이어 공기압이 일정 이하가 되면 공기압 감지센서(5)의 신호는 클러스터(22)를 통해 운전자에게 알려줌과 동시에 ECU(10)에 전달되어 연료 컷 신호가 연료 인젝터(15)에 인가되어 연료량 제어를 통해 가속 운전이 불가능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하지만, 타이어의 공기압이 정상 상태일 경우에는 스타팅 릴레이(24)를 통해 스타팅 모터(25)가 작동되고, 인히비터 스위치(26)의 P단에 전원이 흐르게 되므로 이 전원은 브레이크 록 스위치(29)를 통해 제1 솔레노이드(30)를 작동시켜 변속 레버의 록킹을 해제하게 되므로 정상 주행이 가능해진다.
이때, 제2 솔레노이드(52)에는 구동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변속 레버의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여 정상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공기압 감지 안전 장치에서 변속 레버측 시프트 록 구조가 도시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공기압 감지 안전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의 공기압을 감지하는 공기압 감지센서(5)와, 상기 공기압 감지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 타이어의 공기압이 일정 이하이면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상기한 제어회로와, 상기 제어 회로의 작동에 따라 변속 레버(40)의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시프트 록킹 장치(50)로 구성된다.
상기 시프트 록킹 장치(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 레버(40)의 측면으로 돌출된 걸림 돌기(45)와, 상기 변속 레버(40)의 레버 하우징(미도시 됨)에 설치되어 직선 이동하면서 상기 걸림 돌기(45)를 구속하거나 해제하는 록킹 레버(55)와, 상기 도 3의 제어회로의 작동 신호에 따라 상기 록킹 레버(55)를 상하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록킹 레버(55)는 상기 레버 하우징에 설치된 가이드(58)에 의해 직선 이동을 안내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도 3의 제어회로의 신호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2 솔레노이드(52)와, 상기 록킹 레버(55)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솔레노이드(52)의 자화에 대응하는 대응철편(55a)과, 상기 제2 솔레노이드(52) 온 작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록킹 레버(55)를 이동시키는 리턴 스프링(56)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록킹 레버(55)는 상기 변속 레버(40)가 N(중립)단에서 D(주행)단으로 이동하는 것을 구속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미설명 부호 42는 변속 레버의 이동을 안내하는 디텐트 플레이트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공기압 감지 안전 장치는 자동 변속기용차량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 솔레노이드(52)가 온 작동되면 록킹 레버(55)가 상승하여 걸림 돌기(45)를 구속함으로써 변속 레버(40)가 N단에서 D단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반면, 상기 제2 솔레노이드(52)가 오프 작동되면 록킹 레버(55)가 리턴 스프링(56)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하므로 상기 걸림 돌기(45)의 구속이 해제되어 변속 레버(40)의 작동이 자유로워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공기압 감지 안전 방법 및 장치는 시동전, 시동후, 주행중 타이어의 공기압을 감지하여 일정 압력 이하가 되면 차량의 운행이 불가능해지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차량의 안전 주행 조건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Claims (6)

  1. 시동전 상태에서 타이어의 공기압을 감지하는 공기압 감지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타이어의 공기압이 일정 이하이면 타이어 공기압 스위치에서 비정상 신호를 인가해 스타팅 릴레이와 스타팅 모터가 작동되지 않도록 하여 시동이 불가능하게 하고;
    시동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공기압 감지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타이어의 공기압이 일정 이하이면 타이어 공기압 릴레이를 통해 시동 스위치와 인히비터 스위치의 N단이 접지되어 솔레노이드를 매개로 변속 레버가 N(중립)단에서 D(주행)단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변속 레버가 P(주차)단에서 타단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차량 주행중 타이어 공기압이 일정 이하가 되면 공기압 감지센서의 신호는 클러스터를 통해 운전자에게 알려줌과 동시에 ECU에 전달되어 연료 컷 신호가 연료 인젝터에 인가되어 연료량 제어를 통해 차량의 속도가 증가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공기압 감지 안전 방법.
  2. 각각의 타이어에 설치되어 감지된 공기압에 대한 신호를 ECU로 입력하는 공기압 감지센서로 이루어진 공기압 감지수단과;
    시동 스위치가 오프 상태에서 타이어의 공기압이 정상 압력보다 낮은 일정 압력 이하일 때 스타팅 릴레이 및 스타팅 모터가 작동되지 않도록 타이어 공기압 센서의 신호에 따라 비정상 신호를 인가하는 타이어 공기압 스위치와, 시동 스위치가 온 상태에서 타이어의 공기압이 일정 이하일 때 시동 스위치와 인히비터 스위치의 N단이 접지되어 솔레노이드 작동 릴레이를 통해 제2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 변속 레버가 N단에서 D단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동되는 타이어 공기압 릴레이 및 차량 주행중 타이어 공기압이 일정 이하일 때 공기압 감지센서의 신호를 받아 연료 컷 신호가 연료 인젝터에 인가되어 연료량 제어를 통해 가속 운전이 불가능하도록 제어하는 ECU로 이루어져 타이어의 공기압이 일정 이하이면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회로수단과;
    변속 레버의 측면으로 돌출된 걸림 돌기와, 상기 변속 레버의 인근에 설치되어 직선 이동하면서 상기 걸림 돌기를 구속하거나 해제하는 록킹 레버와, 상기 제어회로수단의 작동신호에 따라 상기 록킹 레버를 상하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로 구성된 시프트 록킹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공기압 감지 안전 장치.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레버는 가이드 수단에 의해 직선 이동을 안내받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공기압 감지 안전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어회로수단의 신호에 따라 온/오프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록킹 레버에 구비되어 상기 솔레노이드의 자화에 대응하는 대응철편과; 상기 솔레노이드 온 작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록킹 레버를 이동시키는 탄성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공기압 감지 안전 장치.
  6. 제 2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레버는 상기 변속 레버가 N(중립)단에서 D(주행)단으로 이동하는 것을 구속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공기압 감지 안전 장치.
KR10-2001-0048457A 2001-08-11 2001-08-11 타이어 공기압 감지 안전 장치 및 방법 KR100422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457A KR100422547B1 (ko) 2001-08-11 2001-08-11 타이어 공기압 감지 안전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457A KR100422547B1 (ko) 2001-08-11 2001-08-11 타이어 공기압 감지 안전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4445A KR20030014445A (ko) 2003-02-19
KR100422547B1 true KR100422547B1 (ko) 2004-03-11

Family

ID=27718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8457A KR100422547B1 (ko) 2001-08-11 2001-08-11 타이어 공기압 감지 안전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25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9376B1 (ko) * 2003-08-07 2006-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타이어의 공기압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539A (ko) * 1994-06-22 1996-01-25 전성원 주행 차량의 타이어 펑크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19572A (ko) * 1997-08-29 1999-03-15 양재신 차량의 타이어공기압 경보방법
JP2001030723A (ja) * 1999-07-23 2001-02-06 Oki Electric Ind Co Ltd タイヤ圧モニタシステム
KR100309832B1 (ko) * 1998-09-07 2002-04-24 이계안 자동차의타이어공기압조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539A (ko) * 1994-06-22 1996-01-25 전성원 주행 차량의 타이어 펑크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19572A (ko) * 1997-08-29 1999-03-15 양재신 차량의 타이어공기압 경보방법
KR100309832B1 (ko) * 1998-09-07 2002-04-24 이계안 자동차의타이어공기압조정장치
JP2001030723A (ja) * 1999-07-23 2001-02-06 Oki Electric Ind Co Ltd タイヤ圧モニタ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9376B1 (ko) * 2003-08-07 2006-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타이어의 공기압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4445A (ko) 2003-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9155B2 (en) Vehicle transmission controller
JP5087358B2 (ja) 作業車両のペダルロック制御装置
EP1651495B1 (en) A system for starting automatic car in safety and a method thereof
US6533705B1 (en) Shifting device for the gearbox of a motor vehicle
US20050266958A1 (en) Rolling away protection after engine switch off and security device
KR100422547B1 (ko) 타이어 공기압 감지 안전 장치 및 방법
JP2007032819A (ja) 車両制御システム
CN111527332A (zh) 用于控制具有驻车锁的机动车的方法
US5092436A (en) Anti-wheel slipping device for drive axles provided with differential gearing
KR100325546B1 (ko) 차량의 급발진 방지 시스템
JP5087359B2 (ja) 作業車両のペダルロック制御装置
JP7460951B2 (ja) 車両制御システム
KR100428111B1 (ko) 자동차의 급발진 오조작 방지 장치
KR20070016823A (ko) 가속페달 오조작시 사고 방지를 위한 차량 제어 방법
KR101856333B1 (ko) 급발진을 막아주는 엑셀 페달에 의한 차량의 출력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들
KR100391495B1 (ko) 변속레버 조작기구
KR100232452B1 (ko) 체중센서를 이용한 쉬프트록 장치
KR100588950B1 (ko) 자동변속차량의 안전운행을 위한 이중 안전장치
KR0178321B1 (ko) 차량의 브레이크 오일 부족시 오토 트랜스미션 작동차단장치
KR100192358B1 (ko) 자동차의 역진제어장치
JPH05178127A (ja) オートマチック車の急発進防止装置
KR960005364Y1 (ko)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보호장치
JPH0920233A (ja) ロックブレーキ装置
JPH10103498A (ja) エアバッグ装着車両の自動変速機制御装置
KR20050054747A (ko) 파킹 보조 기능을 갖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