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9572A - 차량의 타이어공기압 경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타이어공기압 경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9572A
KR19990019572A KR1019970042966A KR19970042966A KR19990019572A KR 19990019572 A KR19990019572 A KR 19990019572A KR 1019970042966 A KR1019970042966 A KR 1019970042966A KR 19970042966 A KR19970042966 A KR 19970042966A KR 19990019572 A KR19990019572 A KR 19990019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peed
gear
tire
engine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2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택성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42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9572A/ko
Publication of KR19990019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9572A/ko

Links

Landscapes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주행 중 타이어의 공기압이 적정량보다 높거나 낮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경보하는 차량의 타이어공기압 경보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타이어는 운전자가 점검을 소흘히 함에따라 타이어의 공기압이 비정상적인 상태로 차량을 운행하는 바, 타이어의 공기압이 너무 높을 경우 슬립되기 쉬우며, 타이어의 공기압이 너무 낮을 경우 과다한 연료의 소모를 초래하고, 타이어의 비정상적인 마모를 유발하여, 사고의 위험성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중 타이어의 공기압이 적정량보다 높거나 낮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경보함으로써, 타이어의 공기압이 비정상적인 상태로 차량을 운행함에 기인한 주행중 차량의 슬립이나 과다한 연료의 소모를 방지함과 동시에 타이어의 비정상적인 마모에 따른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타이어공기압 경보방법
본 발명은 차량의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주행 중 타이어의 공기압이 적정량보다 높거나 낮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경보하는 차량의 타이어공기압 경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바퀴는 휠과 타이어로 이루어져 있다. 휠은 타이어와 함께 자동차의 전중량을 분담하여 지지하고, 제동 및 구동시의 토크, 노면에서의 충격, 선회시의 원심력이나 자동차가 경사졌을 때 생기는 횡방향의 힘 등에 견디고, 또 경량인 것이 요구된다. 타이어는 휠에 끼워져 일체가 되어 회전하며 노면에서의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제동, 구동 및 선회시에는 노면과의 사이에 슬립을 일으키지 않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차량의 타이어는 운전자가 점검을 소흘히 함에따라 타이어의 공기압이 비정상적인 상태로 차량을 운행하는 바, 타이어의 공기압이 너무 높을 경우 슬립되기 쉬우며, 타이어의 공기압이 너무 낮을 경우 과다한 연료의 소모를 초래하고, 타이어의 비정상적인 마모를 유발하여, 사고의 위험성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차량의 주행 중 타이어의 공기압이 적정량보다 높거나 낮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경보함으로써, 타이어의 공기압이 비정상적인 상태로 차량을 운행함에 기인한 주행중 차량의 슬립이나 과다한 연료의 소모를 방지함과 동시에 타이어의 비정상적인 마모에 따른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타이어공기압 경보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의 타이어공기압 경보방법에 있어서, 엔진의 시동이 걸리면, 기어포지션검출센서로 부터 인가되는 검출신호에 따라 기어의 포지션을 검출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이후, 엔진회전수검출센서로 부터 인가되는 검출신호에 따라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이후, 차속센서로 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이후, 검출된 기어의 포지션과 엔진회전수 및 차속에 의거하여 기어의 포지션에 따른 엔진회전수 대 속도의 비를 산출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이후, 산출된 기어의 포지션에 따른 엔진회전수 대 속도의 비가 기설정되어 있는 유효범위 이상인지를 비교하는 제5과정과; 상기 제5과정에서 기어의 포지션에 따른 엔진회전수 대 속도의 비가 기설정되어 있는 유효범위보다 크지않으면, 산출된 기어의 포지션에 따른 엔진회전수 대 속도의 비가 기설정되어 있는 유효범위 이하인지를 비교하는 제6과정과; 상기 제6과정에서 기어의 포지션에 따른 엔진회전수 대 속도의 비가 기설정되어 있는 유효범위 이하이면, 클러치스위치가 온되었는지를 검사하는 제7과정과; 상기 제7과정에서 클러치스위치가 온되었으면, 타이어의 공기압이 낮음을 지시하는 경보를 발생하는 제8과정과; 상기 제5과정에서 기어의 포지션에 따른 엔진회전수 대 속도의 비가 기설정되어 있는 유효범위 이상이면, 클러치스위치가 온되었는지를 검사하는 제9과정과; 상기 제9과정에서 클러치스위치가 온되었으면, 타이어의 공기압이 높음을 지시하는 경보를 발생하는 제10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타이어공기압 경보장치의 구성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타이어공기압 경보방법의 동작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어포지션검출센서 20 : 엔진회전수검출센서
30 : 차속센서 40 : ECM(Electronic Control Module)
50 : 클러치스위치 60 : 경보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적용된 차량의 타이어공기압 경보장치는 첨부된 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포지션검출센서(10), 엔진회전수검출센서(20), 차속센서(30), ECM(Electronic Control Module; 40), 클러치스위치(50) 및 경보부(60)를 구비한다.
기어포지션검출센서(10)는 기어의 포지션을 검출하여 이에 대응하는 기어검출신호를 제어부(40)로 출력하고, 엔진회전수검출센서(20)는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이에 대응하는 회전검출신호를 제어부(40)측으로 출력한다. 차속센서(30)는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여 이에 대응하는 차속검출신호를 제어부(40)로 출력한다. 제어부(40)는 기어포지션검출센서(10)로 부터 인가되는 기어검출신호와 엔진회전수검출센서(20)로 부터 인가되는 회전검출신호 및 차속센서(30)로 부터 인가되는 차속검출신호에 따라, 해당 기어에 따른 엔진회전수 대 속도의 비를 산출하여, 이를 기설정된 값과 비교한 후, 이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클러치스위치(50)는 클러치패달의 조작에 따라 온/오프되어, ECM(40)으로 부터 인가되는 제1 및 제2제어신호를 경보부(60)측으로 인가하거나 차단한다. 경보부(60)는 클러치스위치(50)로 부터 제1및 제2제어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타이어의 공기압이 높거나 낮음을 지시하는 경보를 발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의 타이어공기압 경보장치에서 본 발명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 도2의 동작순서도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ECM(40)의 내부에는 타이어의 공기압이 정상적일 경우에 각기어의 포지션에 대응하여 엔진회전수에 따른 속도 비(比)의 범위가 기설정되어 있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차량의 속도는 여러가지 주행조건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다음의 수식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차량의 속도 = 엔진회전수 X 타이어의 외경
상기 수식에서 타이어의 외경은 타이어의 둘레길이를 나타내며, 이를 다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수식은 엔진회전수가 일정한 상태에서 타이어의 외경이 커지면 차량의 속도도 커짐을 나타내고, 이와반대로 타이어의 외경이 작아지면 차량의 속도도 작아짐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타이어의 외경은 타이어의 공기압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즉, 타이어의 공기압에 의해 타이어의 지름이 커지거나 작아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타이어의 외경도 커지거나 작아진다. 또한, 엔진의 회전수가 같아도 선택된 기어에 따라 차량의 속도가 다르다. 따라서, 각 기어의 포지션별로 타이어의 공기압이 정상적인 상태에서 엔진회전수에 따른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여 해당 범위를 ECM(40)에 설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ECM(40)에 타이어의 공기압이 정상적일 경우에 각기어의 포지션에 대응하여 엔진회전수에 따른 속도 비(比)의 범위가 기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운전자가 자동차의 엔진에 시동을 걸고 운행을 시작하면, ECM(40)은 기어포지션검출센서(10)로 부터 인가되는 검출신호에 따라 기어의 포지션을 검출하고(스텝 S1), 엔진회전수검출센서(20)로 부터 인가되는 검출신호에 따라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며(스텝 S2), 차속센서(30)로 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차량의 속도를 검출한다(스텝 S3). 이후에 ECM(40)은 검출된 기어의 포지션과 엔진회전수 및 차속에 의거하여 기어의 포지션에 따른 엔진회전수 대 속도의 비를 산출한 후(스텝 S4), 산출된 기어의 포지션에 따른 엔진회전수 대 속도의 비가 기설정되어 있는 유효범위 이상인지를 비교하여(스텝 S5), 기어의 포지션에 따른 엔진회전수 대 속도의 비가 기설정되어 있는 유효범위보다 크지않으면, 엔진회전수가 일정한 상태에서 차량의 속도가 기설정된 유효범위보다 높지않음을 나타내며, 이는 타이어의 외경이 정상적인 경우보다 길지않음을 뜻하므로 결과적으로 타이어의 공기압이 정상적인 경우보다 높지않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ECM(40)은 산출된 기어의 포지션에 따른 엔진회전수 대 속도의 비가 기설정되어 있는 유효범위 이하인지를 비교하여(스텝 S6), 기어의 포지션에 따른 엔진회전수 대 속도의 비가 기설정되어 있는 유효범위 이하이면, 엔진회전수가 일정한 상태에서 차량의 속도가 기설정된 유효범위보다 낮음을 나타내며, 이는 타이어의 외경이 정상적인 경우보다 짧음을 뜻하므로 결과적으로 타이어의 공기압이 정상적인 경우보다 낮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ECM(40)은 클러치스위치(50)가 온되었는지를 검사하여(스텝 S7), 클러치스위치(50)가 온되었으면, ECM(40)은 제1제어신호를 경보부(60)에 인가함으로써, 경보부(60)는 타이어의 공기압이 낮음을 지시하는 경보를 발생한 후, 동작을 종료한다(스텝 S8).
한편, 상기 스텝S5에서 기어의 포지션에 따른 엔진회전수 대 속도의 비가 기설정되어 있는 유효범위 이상이면, 엔진회전수가 일정한 상태에서 차량의 속도 기설정된 유효범위보다 높음을 나타내며, 이는 타이어의 외경이 정상적인 경우보다 길음을 뜻하므로 결과적으로 타이어의 공기압이 정상적인 경우보다 높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ECM(40)은 클러치스위치(50)가 온되었는지를 검사하여(스텝 S9), 클러치스위치(50)가 온되었으면, ECM(40)은 제2제어신호를 경보부(40)에 인가함으로써, 경보부(40)는 타이어의 공기압이 높음을 지시하는 경보를 발생한 후, 동작을 종료한다(스텝 S10).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중 타이어의 공기압이 적정량보다 높거나 낮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경보함으로써, 타이어의 공기압이 비정상적인 상태로 차량을 운행함에 기인한 주행중 차량의 슬립이나 과다한 연료의 소모를 방지함과 동시에 타이어의 비정상적인 마모에 따른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

  1. 차량의 타이어공기압 경보방법에 있어서, 엔진의 시동이 걸리면, 기어포지션검출센서로 부터 인가되는 검출신호에 따라 기어의 포지션을 검출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이후, 엔진회전수검출센서로 부터 인가되는 검출신호에 따라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이후, 차속센서로 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이후, 검출된 기어의 포지션과 엔진회전수 및 차속에 의거하여 기어의 포지션에 따른 엔진회전수 대 속도의 비를 산출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이후, 산출된 기어의 포지션에 따른 엔진회전수 대 속도의 비가 기설정되어 있는 유효범위 이상인지를 비교하는 제5과정과; 상기 제5과정에서 기어의 포지션에 따른 엔진회전수 대 속도의 비가 기설정되어 있는 유효범위보다 크지않으면, 산출된 기어의 포지션에 따른 엔진회전수 대 속도의 비가 기설정되어 있는 유효범위 이하인지를 비교하는 제6과정과; 상기 제6과정에서 기어의 포지션에 따른 엔진회전수 대 속도의 비가 기설정되어 있는 유효범위 이하이면, 클러치스위치가 온되었는지를 검사하는 제7과정과; 상기 제7과정에서 클러치스위치가 온되었으면, 타이어의 공기압이 낮음을 지시하는 경보를 발생하는 제8과정과; 상기 제5과정에서 기어의 포지션에 따른 엔진회전수 대 속도의 비가 기설정되어 있는 유효범위 이상이면, 클러치스위치가 온되었는지를 검사하는 제9과정과; 상기 제9과정에서 클러치스위치가 온되었으면, 타이어의 공기압이 높음을 지시하는 경보를 발생하는 제10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타이어공기압 경보방법.
KR1019970042966A 1997-08-29 1997-08-29 차량의 타이어공기압 경보방법 KR199900195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2966A KR19990019572A (ko) 1997-08-29 1997-08-29 차량의 타이어공기압 경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2966A KR19990019572A (ko) 1997-08-29 1997-08-29 차량의 타이어공기압 경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572A true KR19990019572A (ko) 1999-03-15

Family

ID=66037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2966A KR19990019572A (ko) 1997-08-29 1997-08-29 차량의 타이어공기압 경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95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547B1 (ko) * 2001-08-11 2004-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타이어 공기압 감지 안전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547B1 (ko) * 2001-08-11 2004-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타이어 공기압 감지 안전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4482A (en) Detecting a deflated vehicle tire by comparing angular velocity data of all wheels, a data table, and the directly-measured pressure of a single tire
KR970065100A (ko) 자동차용 토오크 분배 제어 시스템
JPH0262420B2 (ko)
JPH05319122A (ja) 四輪駆動車の駆動力配分制御装置
EP0657314B2 (en) Apparatus for alarming tyre deflation
US5754102A (en) Apparatus for alarming of tire deflation
KR19990019572A (ko) 차량의 타이어공기압 경보방법
JP3653192B2 (ja) 車両用トラクション制御装置
KR100266820B1 (ko) 자동차 타이어 압력 감지장치 및 방법
KR100273592B1 (ko) 타이어 공기압 경보장치
JPH08268014A (ja) タイヤ空気圧低下警報装置
KR0134384B1 (ko) 자동차 타이어의 공기압 체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150540Y1 (ko) 자동차용 차간거리 경고장치
KR0130373Y1 (ko) 자동차의 앤티 락 브레이크 시스템
KR100358486B1 (ko) 차륜의 에어갭 진단방법
KR19980078362A (ko) 자동차 난폭운전 경고 방법 및 장치
KR960014662B1 (ko) 자동차의 안전장치 및 그의 실현방법
JPS60157053A (ja) 自動車の車輪スリツプ検出装置
KR19980028879A (ko) 롤링방지 브레이크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383925B1 (ko) 파워 스티어링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970034022A (ko) 타이어 스탠딩 웨이브현상 감지장치 및 그 방법
CN117163043A (zh) 车辆侧滑预警抑制方法及装置
KR20030029714A (ko) 태그액슬 차량의 슬립 방지 장치 및 방법
JP2002178729A (ja) タイヤ内圧調整装置および方法
JPS62119462A (ja) 駆動輪のハイドロプレ−ニング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