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1092B1 - 작업차의 낟알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작업차의 낟알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1092B1
KR100421092B1 KR10-2001-0004462A KR20010004462A KR100421092B1 KR 100421092 B1 KR100421092 B1 KR 100421092B1 KR 20010004462 A KR20010004462 A KR 20010004462A KR 100421092 B1 KR100421092 B1 KR 100421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moving
spiral
feed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4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3952A (ko
Inventor
코노켄지
오카자키히데노리
우치다히로야
도이요시노리
이와모토히로시
이노우에마사노리
스즈키코지
키쿠사와히로마사
코바야시시게오
사카이아키라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1-0004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1092B1/ko
Publication of KR20020063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3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1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10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6Mechanical grain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장치(15)를 가지는 주행 차대(2) 상에 낟알을 일시 저장하는 낟알 저장탱크(4)와, 상기 낟알 저장탱크(4)에 의해 일시 저장되어 있는 낟알을 배출하는 세로 이송통(6)과 신축 낟알 이송장치(5)가 설치된 작업차에 있어서,
상기 신축 낟알 이송장치(5)는 고정용 이송통(8)과 상기 고정용 이송통(8)에 끼워넣어져, 길이 방향으로 신축 이동하는 이동용 이송통(13)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용 이송통(13) 내에는 복수개의 중간 이동 이송나선(12)가 설치되고, 상기 이동용 이송통(13)의 신축 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중간 이동 이송나선(12)의 간격이 확대 또는 축소되도록 구성되는 동시에, 복수개의 중간 이동 이송나선(12)을 회전구동하는 이동용 나선축(9)이 상기 중간 이동 이송나선(12)의 안에 삽입 설치되되, 상기 이동용 나선축(9)은 다각형상이고 중공(A) 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중량이 가볍고, 따라서 이동용 나선축(9)에 지지되어 있는 이동 이송나선(12) 자체의 진동도 적어지므로, 이동 이송나선(12)이 이동용 이송통(13)의 내경부에 맞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용 이송통(13)의 신축이동이 부드럽게 실행된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작업차의 낟알 이송장치{Auger conveyor}
본 발명은 농업기계인 작업차의 낟알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작업차의 낟알 이송장치에서, 신축 낟알 이송장치는 고정용 이송통(移送筒)과 상기 고정용 이송통에 끼워서 길이 방향으로 신축 이동하는 이동용 이송통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용 이송통 내에 복수개의 이동 이송나선(移送螺旋)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용 이송통의 신축 이동에 의해서 상기 복수개의 이동 이송나선의 간격이 확대 또는 축소되도록 구성되며, 복수개의 이동 이송나선을 회전구동하는 이동용 나선축이 상기 복수개의 이동 이송나선 안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이동용 나선축은 다각형상의 솔리드(Solid)로 된 구성이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작업차의 낟알 이송장치로는, 이동용 나선축의 회전구동에 의해 상기 이동용 나선축이 휘어져 버리고, 그 결과 이동 이송나선이 진동하여 이동 이송통의 내부에 맞닿는다고 하는 단점이 발생되어 왔다. 그리고, 낟알이 이동 이송나선에 의해 반송되면 탈락하게 된다든지, 낟알과 함께 약간 존재하는 짚 부스러기가 걸리게 된다든지 하여 반송능력이 저하되어 왔다.
더욱이, 이동 이송통을 신장하면 그 무게에 의해 선단부가 밑으로 휘어지곤 했다.
또한, 신축 낟알 이송장치를 유지장치에 수납할 때에 있어서, 이동 이송통의축소작동과 선회작동은 독립적으로 조작하는 구성이었기 때문에 그 축소 선회조작이 번거롭게 되어 있었다. 그리고, 유지장치 내에서, 이동 이송통을 신축시키면, 상기 이동 이송통과 유지장치가 맞닿게 되어 이동 이송통과 유지장치가 손상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첫번째 목적은, 작업차의 낟알 이송장치의 중량을 가볍게 하고 진동을 줄이며, 이송장치의 내부 구성요소간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동용 이송통의 신축이동을 부드럽게 하며, 이동용 나선축의 강성(剛性) 및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두번째 목적은, 낟알의 반송(搬送) 저항을 줄이고 낟알의 손상을 방지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세번째 목적은, 나선체 단체의 구성을 단순하게 하여 코스트를 절감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네번째 목적은, 중간 이동 이송나선의 재료를 특정시킴으로써 중량을 가볍게 하고, 이동용 이송통의 신장시 휨을 적어지게 하여 이동용 이송통이 부드럽게 신축이동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섯번째 목적은, 신축 낟알 이송장치가 선회하는 동시에 유지장치로 효율적으로 수납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여섯번째 목적은, 신축 낟알 이송장치가 유지장치 내에 수납되었을 때에 이동용 이송통과 유지장치의 상호 미끄러짐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곱번째 목적은, 신축 낟알 이송장치가 신장된 위치로부터 유지장치로 선회 이동하면서 축소되고 있을 때에 있어서, 예컨대 이동용 이송통 내에 낟알이 막혔을 경우, 중도에 이동용 이송통의 축소는 정지시키고 선회는 유지시킴으로써 이동용 이송통을 신축시키는 이동용 모터의 파손을 방지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간 이동 이송나선의 결합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간 이동 이송나선의 결합구성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간 이동 이송나선의 결합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간 이동 이송나선의 결합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간 이동 이송나선의 수축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간 이동 이송나선의 신장시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용 이송통, 이동용 이송통 및 이동 나선축 등의 결합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이동용 이송통 내에 이동 나선축과 고정용 이송통이 결합되는 구성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장치가 설치되는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이송나선의 결합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이송나선의 결합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이송나선의 결합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이송나선의 결합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 낟알 이송장치를 조작하는 각종 스위치 및 각종 조작 레버 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작장치를 제어하는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중간 이동 이송나선 단체의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9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중간 이동 이송나선 단체가 가장 멀리 떨어져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2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중간 이동 이송나선 단체가 가장 근접하게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중간 이동 이송나선 단체의 시작 단부와 종단부가 중심축선에 놓이는 경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4는 중간 이동 이송나선 단체의 시작 단부와 종단부가 축으로부터 벗어난 경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이동 이송나선 단체의 측면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이동 이송나선 단체를 축방향에서 본 정면도이고,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복수의 이동 이송나선 단체로부터 구성되는 구조의 측면도이고,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 낟알 이송장치를 선회 및 승강시키는 조작수단이 이동용 이송통에 설치된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 낟알 이송장치를 선회 및 승강시키는 조작수단이 이동용 이송통에 설치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 낟알 이송장치를 선회 및 승강시키는 조작수단이 이동용 이송통에 설치된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1은 본 발명에 따라 배출장치가 신축하면서 운반차의 짐받이로 낟알이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2는 본 발명에 따라 배출장치가 선회하면서 운반차의 짐받이로 낟알이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3은 레버의 사시도이고,
도 34는 통합기능을 가지는 레버의 사시도이고,
도 35는 본 발명에 따라 수동으로 신축되는 낟알 이송장치가 설치된 콤바인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6은 본 발명에 따라 수동으로 신축되는 낟알 이송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7은 본 발명에 따라 수동으로 신축되는 낟알 이송장치에서 이동용 이송통과 고정용 이송통의 위치결정 구조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고,
도 38은 본 발명에 따라 수동으로 신축되는 낟알 이송장치에서 이동용 이송통의 위치결정 구조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고,
도 39는 본 발명에 따라 수동으로 신축되는 낟알 이송장치에서 이동용 이송통의 위치결정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부호의 설명>
1... 콤바인 1a... 기계 몸체
2... 주행 차대 3... 탈곡기
3a... 이송 체인(feed chain) 3b... 협지부(挾持部)
4... 낟알 저장탱크 4a... 전후 이송나선
4b... 텐션 클러치 모터 5... 신축 낟알 이송장치
6... 세로 이송통 6a... 세로 이송나선
6b... 커플링 호스 6c... 모터
6d... 유압 실린더 7... 고정 이송나선
8... 고정용 이송통 9... 이동 나선축
9a... 받침 부시 9b... 앞 지지축
10... 뒤쪽 이동 이송나선 11... 앞쪽 이동 이송나선
12... 중간 이동 이송나선 12a... 다른 구성의 중간 이동 이송나선
13... 이동용 이송통 13a... 검출구
14.. 신축장치 15... 주행장치
15a... 주행 무한궤도 16.. 예취기(刈取機)
16a... 신축 실린더 16b... 볏짚 센서
17a... 내로우 가이드 17b... 볏짚 분리부
18a... 인기(引起) 장치 18b... 예인(刈刃) 장치
19a... 소입(搔入) 이송장치 19b... 볏짚 이송장치
20a... 조작장치 20b... 조종석
20c... 엔진 20d... 조작반 면
21a... 주행용 미션 케이스 21b... 차 속도센서
22a... 오거 레버(auger lever) 22b... 벼 배출 레버
23a... 긴급 정지 스위치 23b... 선회 스위치
23c... 램프 스위치 23d... 신축 스위치
24... 유지장치 24a... 주 기둥
24b... 받침판 25... 수납센서
26... 제어장치 26a... 입력회로
26b... CPU 26c... 출력회로
27... 선단 나선체 27a... 보강 핀
28... 이동용 모터 29... 작업등(作業燈)
30... 커플링 메탈 30a... 바깥 보스
30b... 안쪽 보스 30c... 베어링
31... 고정 나선축 31a... 고정 나선체
31b... 삽입공 31c... 뒤쪽 지지축
32... 보조축 32a... 삽입공
33... 연결(連結) 메탈 33a... 받침 메탈
34... 바깥 메탈 35... 배출통
35a... 지지 메탈 35b... 낟알 배출구
35c... 뒤쪽 측판 36... 뒤쪽 고정보스
36a... 지지판 36b... 결합부
36c... 나선체 36d... 볼트
36e... 잘린 부분 37... 앞쪽 고정보스
37a... 지지판 37b... 결합부
38... 중간 이송보스 38a... 지지판
38b... 결합부 39... 지지판
40... 받침 메탈 41... 이동용 지지 메탈
42... 로울러 장치 42a... 로울러 메탈
42b... 지지판 42c... 로울러
43... 이송축 43a... 나선 나사
44... 안전커버 50... 베어링 보스
51... 나선체 52... 스페이서
52a... 두께부 52b... 구멍
53... 베어링 보스 53'... 인접한 베어링 보스
54... 부착 부재 55... 나선부
55'... 인접한 나선부 56... 스페이서용 돌기
57... 나선 걸림체 58... 조작상자
59... 조작레버 60... 신축 스위치 조작레버
61... 수납 스위치 62... 배출 스위치
63... 개폐식 커버 64... 운반차
64a... 짐받이 65... 레버
66... 레버 67... 레버
67a... 스위치 68... 핸들
69... 베어링 보스 70... 지지 부재
71... 스프링 72... 오목부
73... 걸림 볼 α... 후퇴각
A... 중공 B... 길이
C... 길이 D... 길이
E... 치수 F... 치수
L... 간격 X... 중심축선
p... 외주부 q... 외주부
r... 내경부 s... 기초부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기술수단을 강구하는 것이다.
즉,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주행장치(15)를 가지는 주행 차대(車臺)(2) 상에 낟알을 일시 저장하는 낟알 저장탱크(4)와, 이 낟알 저장탱크(4)에서 일시 저장되어 있던 낟알을 배출하는 세로 이송통(6)과 신축 낟알 이송장치(5)를 설치한 작업차에 있어서, 이 신축 낟알 이송장치(5)는 고정용 이송통(8)과 상기 고정용 이송통(8)에 끼워맞춰져 길이 방향으로 신축 이동하는 이동용 이송통(13)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용 이송통(13) 내에는 복수개의 중간 이동 이송나선(12)이 설치되어 상기 이동용 이송통(13)의 신축 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중간 이동 이송나선(12)의 간격이 확대 또는 축소되도록 구성되는 동시에, 복수개의 중간 이동 이송나선(12)을 회동(回動)시키는 이동용 나선축(9)이 상기 중간 이동 이송나선(12) 안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이동용 나선축(9)은 다각형상의 중공축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낟알 이송장치로 하고 있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중간 이동 이송나선(12)의 적어도 이송 선단측에 잘린 부분(36e)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낟알 이송장치로 하고 있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이동 이송나선(12)을 구성하는 단일의 나선체(36c)의 기본 길이는, 약 1피치로부터 약2피치의 사이에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낟알 이송장치로 하고 있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주행장치(15)를 가지는 주행 차대(2) 상에 낟알을 일시 저장하는 낟알 저장탱크(4)와, 이 낟알 저장탱크(4)에서 일시 저장하고 있던 낟알을 배출하는 세로 이송통(6)과 신축 낟알 이송장치(5)를 설치한 작업차로서, 이 신축 낟알 이송장치(5)는 고정용 이송통(8)과, 상기 고정용 이송통(8)에 끼워맞춰져 길이 방향으로 신축 이동하는 이동용 이송통(13)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용 이송통(13) 내에 복수개의 중간 이동 이송나선(12)이 설치되어 상기 이동용 이송통(13)의 신축 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중간 이동 이송나선(12)의 간격이 확대 또는 축소되도록 구성하는 동시에, 복수개의 중간 이동 이송나선(12)을 회동시키는 이동용 나선축(9)을 상기 중간 이동 이송나선(12) 안에 삽입 설치하며, 더욱이 상기 중간 이동 이송나선(12)은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낟알 이송장치로 하고 있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낟알 이송장치(5)는, 세로 이송통(6)의 세로축심 둘레로 선회가능하게 구성될 뿐만아니라, 기초부를 지점으로 하여 선단의 낟알 배출구(35b) 측이 상하로 승강 회동하는 구성으로 되고, 신장된 위치에 있는 상기 신축 낟알 이송장치(5)를 유지장치(24)로 수납시킬 때에는 선회조작과 연동되면서 이동용 이송통(13)이 축소 작동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낟알 이송장치로 하고 있다.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낟알 이송장치(5)를 수납 유지하는 유지장치(24)에, 신축 낟알 이송장치(5)가 수납된 것을 검출하는 수납센서(25)를 설치하고, 상기 수납센서(25)가 신축 낟알 이송장치(5)의 수납상태를 검출하면 상기 이동용 이송통(13)의 신축 이동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낟알 이송장치로 하고 있다.
청구항 7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낟알 이송장치(5)가 신장된 위치로부터 상기 유지장치(24)에 수납되는 수납 선회공정에서, 선회조작과 연동되어 이동용 이송통(13)이 축소 작동되는데 있어, 이 축소 작동은 설정한 소정시간을 경과하면 정지되는 동시에 상기 신축 낟알 이송장치(5)의 유지장치(24)로의 선회작동은 계속하여 실행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낟알 이송장치로 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논 내에 서 있는 볏짚은, 작업차의 전진과 동시에 예취기(刈取機)에 의해 수확되고, 수확된 볏짚은 뒤쪽의 탈곡기를 향해 반송된다. 그리고, 탈곡기의 이송체인(feed chain)에 인계되고, 상기 이송체인에 의해 반송되면서 탈곡기에 의해 탈곡된다. 탈곡 후의 피처리물은 선별되고, 선별 후의 낟알은 낟알 저장탱크 내에 일시 저장된다.
이 저장된 낟알을 기계 밖으로 배출할 때는, 세로 이송통으로부터 낟알을 신축 낟알 이송장치를 향해 반송되고, 신축 낟알 이송장치의 고정용 이송통(8)에 내장된 고정 이송나선에 인계 이송되고, 더욱이 이 고정용 이송통(8)의 외주부에 삽입되어, 신축장치로 신축이 자유로운 이동용 이송통(13)에 내장된 이동 나선축(9)으로 축 지지한 복수의 이동 이송나선(12)의 나선체(36c)에 의해, 고정 이송나선으로부터 낟알은 차례로 인계되어 이송되고, 이 이동용 이송통(13)의 선단부에 설치된 배출통 하부의 낟알 배출구로부터 기계 밖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낟알을 배출할 때에는, 상기 이동 이송나선(12) 및 이동용 이송통(13)은 신축장치에 의해 소정 길이 위치로 신축 이동되고, 또 소정 위치로 회동 및 소정 높이 위치로 상승 이동되어 낟알은 기계 밖으로 배출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7에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농업기계인 콤바인이 도시되어 있다.
콤바인(1)의 주행 차대(2)의 아래쪽에는, 토양면을 주행하는 좌우 한쌍의 주행 무한궤도(crawler)(15a)를 팽팽하게 설치한 주행장치(15)를 설치하고, 주행 차대(2)의 위쪽에는 탈곡기(3)를 실어서 설치한 구성이다. 주행 차대(2) 앞쪽의 예취기(16)에 의해 서 있는 볏짚을 베어내고, 베어내어진 볏짚은 후방으로 이송되어 탈곡기(3)의 이송 체인(3a)과 협지부(挾持部)(3b)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반송(搬送)되어 탈곡된다. 탈곡과 선별이 끝난 낟알은 탈곡기(3)의 오른쪽에 장착된 낟알 저장탱크(4)에 회수되는 구성이다.
상기 탈곡기(3)의 앞 부분에서 주행 차대(2)의 앞쪽에는, 도 17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 위치로부터 서 있는 볏짚을 분리하는 내로우 가이드(narrow guide)(17a) 및 볏짚 분리부(17b)와, 이 분리된 볏짚을 끌어 일으키는 인기(引起) 장치(18a)와, 일으켜진 볏짚을 긁어모아 이송하는 소입(搔入) 이송장치(19a)와, 긁어모은 볏짚을 베어내는 예인(刈刃) 장치(18b)와, 베어낸 볏짚을 이송하여 탈곡기(3)의 이송 체인(3a)과 협지부(3b)로 이송하는 볏짚 이송장치(19b)가 설치되는 예취기(16)는, 유압구동에 의한 신축 실린더(16a)에 의해 토양면에 대하여 승강이 자유롭게 작용되는 구성이다.
상기 탈곡기(3) 쪽에는, 도 17 및 도 18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콤바인(1)을 시동, 정지 및 각부(各部) 조절 등의 조작을 하는 조작장치(20a)와, 작업자가 탑승하는 조종석(20b)을 설치하여, 이 조종석(20b)의 아래쪽에는 주행 차대(2)의 위쪽에 엔진(20c)을 실어서 설치하는 동시에, 뒤쪽에는 낟알 저장탱크(4)를 설치한다. 이들 주행장치(15)와, 탈곡기(3)와, 예취기(16)와, 엔진(20c) 등에 의해, 콤바인(1)의 기계 몸체(1a)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예취기(16)의 볏짚 이송장치(19b)에 의해서 형성되는 볏짚 이송경로 중에는, 베어내어져 이송되는 볏짚에 접촉 작용함으로써 탈곡기(3)에 볏짚 공급의 유무를 검출하는 볏짚 센서(16b)가 설치되어 있다. 주행 차대(2) 선단부분에 걸쳐져서 설치된 주행용 미션 케이스(mission case)(21a)의 동력전달 경로 중에는, 그 출력 회전수에 의해 주행차의 속도를 검출하는 차 속도 센서(21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낟알 저장탱크(4) 내의 밑바닥 부분에는 저장 낟알을 뒤쪽으로 이송하는 전후 이송나선(4a)이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는 동시에, 뒤쪽으로 이송되는 낟알을 인계하여 커플링 케이스(6b)를 통해 방향 변환하는 세로 이송나선(6a)을 내장한 세로 이송통(6)이 대략 수직 상태로 설치되고, 모터(6c)에 의해 이 세로 이송통(6)이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세로 이송통(6)의 상단부(上端部)에는, 상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그 전체 길이가 콤바인(1)의 전후 길이에 걸쳐 신축이 자유롭고 상하 회동이 자유로우며 선회가 자유롭게 낟알을 기계 밖으로 배출하는 신축 낟알 이송장치(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신축 낟알 이송장치(5)의 이동용 이송통(13)의 신축은 신축장치(14)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하 회동은 유압실린더(6d)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세로 이송통(6)의 위쪽에는, 고정 이송나선(7)을 내장한 고정용 이송통(8)과, 상기 고정용 이송통(8)에 끼워맞춰져 신축장치(14)에 의해 신축이 자유로운 이동용 이송통(13)이 설치되어 있다. 이 이동용 이송통(13)의 내부에는, 이동용 이송통(13)과 함께 신축하는 이동 나선축(9)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동 나선축(9)에는 앞쪽 이동 이송나선(11), 뒤쪽 이동 이송나선(10), 복수개의 중간 이동 이송나선(12)이 설치되어 있다.
도 15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조작장치(20a)의 조작반(操作盤) 면(20d)의 외측면에는 신축 낟알 이송장치(5)를 조작하는 각종 스위치 및 각종 조작 레버 등이 설치되어 있다. 신축 낟알 이송장치(5)를 상하 회동 및 좌우 선회조작하는 오거(auger) 레버(22a)와, 엔진(20c)의 동력을 이 신축 낟알 이송장치(5)에 전달하는 벼 배출 레버(22b)를 설치하고, 이 벼 배출 레버(22b)를 밀어 내려 배출 위치로 조작하면, 텐션(tension) 클러치 모터(4b)가 구동되어 엔진(20c)에서의 동력이 낟알 저장탱크(4) 내의 전후 이송나선(4a)에 전달된다. 상기 전후 이송나선(4a)이 구동되면, 연결되어 있는 세로 이송나선(6a), 고정 이송나선(7), 이동 나선축(9)이 회전구동된다. 상기 이동 나선축(9)이 구동되면, 뒤쪽 이동 이송나선(10), 복수의 중간 이동 이송나선(12), 앞쪽 이동 이송나선(11), 선단 나선 플레이트(27)가 회전구동되어, 낟알 저장탱크(4) 내의 낟알은 낟알 배출구(35b)로부터 기계 밖으로 배출될 수 있는 구성이다.
또, 상기 신축 낟알 이송장치(5) 등을 정지시킬 때에 조작하는 ON-OFF 스위치방식의 긴급 정지 스위치(23a)와, 소정 위치로 자동적으로 선회시켜서 신장시킬 때에 조작하는 ON-OFF 스위치 방식의 선회 스위치(23b)와, 유지장치(24) 내에 자동적으로 수납(收納)시키는 ON-OFF 스위치 방식의 램프 스위치(23c)와, 이동용 이송통(13)을 신장 또는 수축시킬 때에 조작하는 신축 스위치(23d)가 설치된 구성이다.
상기 스위치(23a,23b,23c)에 관해서 설명하면, 램프 스위치(23c)는 일명 자동 수납 스위치라고 불리는 것으로서, 상기 램프 스위치(23c)를 들어간 상태로 하면, 신축 낟알 이송장치(5)는 승강, 신축, 선회를 자동적으로 행하여 유지장치(24) 안에 자동적으로 수납시키는 스위치이고, 자동 수납 선회 중에는 스위치(23c) 자체가 녹색(다른 색이여도 좋음)으로 점등하는 구성이다. 이 자동 수납 중에 스위치(23c) 자체가 녹색으로 점등하는 이유는, 선회시 장해물에 대하여 맞닿을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선회 스위치(23b)는 일명 자동 신장 스위치라고 불리는 것으로, 상기 선회 스위치(23b)를 들어간 상태로 하면, 신축 낟알 이송장치(5)는 승강, 선회, 신축을 자동적으로 행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신장 위치로 자동적으로 선회하는 스위치이다. 이 스위치는 점등하지는 않지만, 신장 상태인 것을 작업자에게 알리기 위해서 점등하더라도 좋다. 상기 램프 스위치(23c)와 선회 스위치(23b)는 따로따로 설치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레버(Lever)식의 일체 스위치로 하여도 좋다. 이는, 램프 스위치(23c)와 선회 스위치(23b)가 동시에 들어가게 되는 경우는 없기 때문이다.
긴급 정지 스위치(23a)는, 신축 낟알 이송장치(5)가 자동 신장하거나 자동 수납하는 중에, 들어간 상태로 하면, 그 시점에서 신축 낟알 이송장치(5)를 긴급 정지하는 구성이다.
상기 오거 레버(22a)의 횡측 근방에는, 신축 낟알 이송장치(5)의 이동용 이송통(13)과 고정용 이송통(8)의 결합부를 받쳐 유지하는 유지장치(24)가 설치되는데, 이 유지장치(24)는 주(主) 기둥(24a)의 상단부에 U자 모양의 받침판(24b)을 고착하여 설치된 구성이다.
도 17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유지장치(24)에는 이동용 이송통(13)의 한계 단축위치를 검출하는 ON-OFF 스위치 방식의 수납 센서(25)가 설치되고, 이 이동용 이송통(13)의 한계 단축상태를 규제하는 구성이다.
도 1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조작장치(20a)의 제어장치(26)에는 각종 레버(22a,22b)와 각종 스위치(23a,23b,23c,23d)의 조작과 수납센서(25)의 검출 등이 입력회로(26a)로부터 CPU(26b)로 출력되는 구성이다. 이들의 신호에 따라, CPU(26b)에서 출력회로(26c)를 지나서 텐션 클러치 모터(4b)가 구동된다. 그렇게 되면, 낟알 저장탱크(4) 내의 전후 이송나선(4a)과, 세로 이송통(6) 내의 세로 이송나선(6a)과, 신축 낟알 이송장치(5)의 고정 이송나선(7)과, 이동 나선축(9)의 각 앞쪽 이동 이송나선(11), 뒤쪽 이동 이송나선(10), 복수개의 중간 이동 이송나선(12) 및 후술하는 선단 나선체(27)등이 회전구동된다.
또한, 이동용 모터(28)의 정ㆍ역회전에 의해 이동용 이송통(13) 및 이동 나선축(9)이 신축 제어되는 구성이다. 이동용 이송통(13)의 선단에 설치된 작업등(29)은 야간 작업할 경우에 적절히 점등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신축 낟알 이송장치(5)는 고정용 이송통(8)과, 이 고정용 이송통(8)의 외주부(q)에 삽입되어 신축이 자유로운 이동용 이송통(13)과, 이 이동용 이송통(13)을 신축 이동시키는 신축장치(14)와, 이동용 이송통(13)의 한계 단축위치를 검출하는 수납센서(25) 등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도 8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용 이송통(8)에는 고정 이송나선(7)이 내장되어 설치되며, 이 고정 이송나선(7)은 고정 나선축(31)의 외주부에 판(板) 모양의 고정 나선체(31a)가 고착 설치된 구성이다. 고정 나선축(31)의 내경부(內徑部)에는 고리 모양의 삽입공(31b)이 형성되고, 또 이 고정 나선축(31)의 이송 종단부(終端部) 내경의 삽입공(31b) 부분에는, 이 삽입공(31b)보다 작은 지름으로 후술하는 이동 나선축(9)의 외주부(p)를 축 지지하는, 육각 형상의 삽입공(32a)이 내경부에 형성된 보조축(32)이 고착되어 있다.
도 8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용 이송통(8)의 외주부(q)의 이송 종단부는 커플링 메탈(30)의 바깥 보스(boss)(30a)의 내경부에 삽입되어 고착 설치되고, 또 이 커플링 메탈(30)의 안쪽 보스(30b)의 내경부에 설치된 베어링(30c)의 내경부에는 보조축(32)의 외경부가 삽입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나선축(31)의 이송 시작 단부의 축 단부(端部)에 설치된 뒤쪽 지지축(31c)은, 세로 이송통(6)의 상단부에 설치된 연결 메탈(33)에 내장된 받침 메탈(33a)에 삽입되어 축 지지되는 구성이다.
도 8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커플링 메탈(30)의 바깥 보스(30a)는 원형 모양으로 형성하고, 이 바깥 보스(30a)의 외경부와, 고정용 이송통(8)의 외주부(q)의 이송 시작 단부(端部)로부터 소정 거리의 위치에 고착 설치된 통(筒) 모양의 바깥 메탈(34)의 외주부를 이동용 이송통(13)의 내경부가 전후로 미끄럼 이동이 자유롭게 된 구성이다.
도 8과 도 9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용 이송통(13) 안에는, 외경 형상이 육각형상이고 내경이 중공(中空) 형상 또는 솔리드(Solid) 형상인 이동 나선축(9)이 내장되어 설치되며, 이 이동 나선축(9)의 이송 시작 단부쪽의 축 단부에는 외주부가 육각형상인 받침 부시(9a)가 삽입되어 고착된 구성이다. 이와 같이, 이동 나선축(9)은 육각형상이지만, 육각 이외의 다각형상 또는 요철을 가지는 형상으로서 동력전달이 가능한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이동 나선축(9)에 있어서, 중공 축(A)으로 구성하면 상기 이동 나선축(9) 자체의 중량이 경감되는 동시에 단면계수가 커져 강성(剛性)이 증대하고 강도가 강해진다.
상기 이동나선축(9)의 선단부에 설치된 앞 지지축(9b)은, 이동용 이송통(13)의 선단부에 장착된 배출통(35)의 안쪽 면에 설치된 지지 메탈(35a)에 삽입되어 축 지지된 구성이고, 중간부는 보조축(32)의 삽입공(32a)에서 축 지지되는 동시에, 뒤 쪽의 축 단부(端部)는, 이 축단부에 설치된 받침 부시(9a)의 외주부가 고정 나선축(31)의 삽입공(31b)에서 축 지지된 구성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용 이송통(13)의 내부에는, 상기 이동용 이송통(13)과 함께 신축하는 이동 나선축(9)이 설치되어 있다. 이 이동 나선축(9)의 이송 위쪽에는, 뒤쪽 이동 이송나선(10)이 설치되고, 이송 아래쪽에는 앞쪽 이동 이송나선(11)이 설치되며, 상기 뒤쪽 이동 이송나선(10)과 앞쪽 이동 이송나선(11) 사이에는 복수의 중간 이동 이송나선(1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앞쪽 이동 이송나선(11)과 뒤쪽 이동 이송나선(10)은 이동 나선축(9)에 고정되어 있어 이동 나선축(9)의 이동와 함께 이동하는 구성이다. 또한, 각 중간 이동 이송나선(12)은 이동 나선축(9)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게 끼워져 있어 상기 이동 나선축(9)에 대하여 미끄러지는 구성이다.
도 8, 도 11 및 도 1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 이송나선(10)은 보조축(32)의 위쪽에서 이동 나선축(9)에 축 지지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 뒤쪽 이동 이송나선(10)은, 내경형상이 육각형상이고 외경형상이 원형모양인 뒤쪽 고정보스(36)의 외주부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이 끼워맞춤부에는 띠 모양으로 일단부(一端部) 쪽이 한쪽 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부(36b)가 설치되고, 이결합부(36b) 쪽을 바깥쪽으로 돌출시킨 지지판(36a)이 고착 설치되며, 이들 지지판(36a)과 뒤쪽 고정보스(36)에는, 판 모양으로 소정길이의 나선체(36c)가 고착 설치된 구성이다. 그리고, 뒤쪽 이동 이송나선(10)의 뒤쪽 고정보스(36)가 볼트(36d)에 의해 이동 나선축(9)에 체결되어 고정된 구성이다.
도 8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뒤쪽 이동 이송나선(10)의 나선체(36c)의 이송 시작 단부쪽의 단부에는, 잘린 부분(36e)이 형성되고, 이 잘린 부분(36e)에 의해 이 이송 나선체(36c)의 이송 시작 단부에 걸리는 이송 낟알 속에 혼입된 가지가 붙은 낟알 및 짚 부스러기 등의 걸림이 방지되어 이동용 이송통(13) 안에서의 막힘이 방지되고 낟알의 이송성능의 향상이 도모되는 구성이다.
도 8, 도 11 및 도 1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앞쪽 이동 이송나선(11)은, 우선 내경형상이 육각형상이고 외경형상이 원형모양인 앞쪽 고정보스(37)의 외주부에, 띠모양이고 일단부 쪽이 한쪽 방향으로 돌출하는 결합부(37b)가 형성되고, 이 결합부(37b) 측을 바깥쪽으로 돌출시킨 지지판(37a)이 고착 설치되며, 이들 지지판(37a)과 앞쪽 고정보스(37)에 소정길이의 나선체(36c)가 고착 설치된 구성이다. 그리고, 앞쪽 이동 이송나선(11)의 앞쪽 고정보스(37)가 볼트(36d)에 의해 이동 나선축(9)에 체결되어 고정된 구성이다.
이 앞쪽 이동 이송나선(11)의 나선체(36c)의 이송 시작 단부 쪽의 단부에는, 도 8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잘린 부분(36e)이 형성되고, 이 잘린 부분(36e)에 의해 이 나선체(36c)의 이송 시작 단부에 걸리는 이송 낟알 속에 혼입된 가지가 붙은 낟알 및 짚 부스러기 등의 걸림이 방지되어 이동용 이송통(13) 안에서의 막힘이 방지되고 낟알의 이송성능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도 1∼도 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중간 이동 이송나선(12)은, 내경형상이 육각형상이고, 외경이 원형모양인 중간 이송보스(38)의 외주부에 띠 모양으로 양단이 돌출하는 결합부(38b,38b)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38b,38b)를 외측으로 돌출시킨 지지판(38a)이 고착 형성되며, 이들 지지판(38a)과 중간 이송보스(38)에는 소정 길이의 나선체(36c)가 고착 설치된 구성이다. 이 중간 이동 이송나선(12)은 뒤쪽 이동 이송나선(10)과 앞쪽 이동 이송나선(11) 사이에 복수개를 신축이 자유롭게 이동 나선축(9)에 삽입하여 축 지지한 구성이다.
도 6 및 도 7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 이송나선(12)의 신장 시에는, 결합부(38b,38b)가 서로 걸어맞춰질 때까지 신장되는 구성이다. 또, 수축 시에는, 도 5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중간 이송보스(38)의 단면부(端面部)가 맞닿을 때까지 수축하는 구성이다.
도 1과 도 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중간 이동 이송나선(12)의 나선체(36c)는, 이송 시작 단부측의 단부와 이송 종단부측의 단부에는, 잘린 부분(36e)이 형성되고, 이 잘린 부분(36e)에 의해 이 나선체(36c)의 이송 시작 단부에 걸리는 이송 낟알 속에 혼입된 가지가 붙은 낟알 및 짚 부스러기 등의 걸림이 방지되어 이동용 이송통(13) 안에서의 막힘이 방지되고, 낟알의 이송성능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또, 이송 종단부에도 마찬가지로 잘린 부분(36e)을 형성함으로써, 이 중간 이동 이송나선(12)이 조립되는 때에 방향성이 없어져 잘못된 조립이 이루어지지 않는 구성이다.
상기 나선체(36c) 단체(單體)의 길이는, 나선의 약 1피치로부터 2피치의 사이에서 구성되도록 한다. 나선체(36c)는, 중간 이송보스(38)에 대하여 고정할 필요가 있는데,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약 1피치이면 지지판(38a) 1개의 부품으로 지지가 가능해진다. 또한, 마찬가지로 약 2피치이면, 지지판(38a)을 연장하여 상기 지지판(38a) 나선 2피치 분의 나선체(36c)를 고착하면 되므로, 상기 지지판(38a) 1개의 부품으로 지지가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부품수가 줄고 코스트(cost)가 절감된다. 요컨대, 나선체(36c)의 단체 길이는 나선피치의 정수배로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앞쪽 이동 이송나선(11), 뒤쪽 이동 이송나선(10), 중간 이동 이송나선(12)의 각 나선체(36c)의 잘린 부분(36e)과 이동용 이송통(13)과의 관계는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이다. 이와 같이, 각 나선체(36c)에는 잘린 부분(36e)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잘린 부분(36e)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소정 각도의 후퇴각( α)을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후퇴각( α)의 기초부(s) 사이의 간격(L)은 약 20mm 이상, 또는 약 30mm 근방에서 형성 및 설치된 구성이다. 이와 같이, 각 나선체(36c)에는, 후퇴각( α)으로 형성되는 잘린 부분(36e)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이 각 나선체(36c)의 이송 시작 단부에는 이송하는 낟알 속에 혼입되는 가지가 붙은 낟알 및 짚 부스러기 등이 걸리는 경우가 없어져, 이동용 이송통(13) 내부가 이들 가지가 붙은 낟알 및 짚 부스러기 등에 의해 막히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이동용 이송통(13) 및 앞쪽 이동 이송나선(11), 뒤쪽 이동 이송나선(10), 중간 이동 이송나선(12)의 파손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간격(L)은 적어도 약 20mm 이상으로 형성하지 않으면, 가지가 붙은 낟알 및 짚 부스러기등의 걸림을 방지하는 효과가 적어지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또한, 간격(L)은 약 30mm 근방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지가 붙은 낟알 및 짚 부스러기 등의 걸림을 방지하는 효과가 가장 큰 구성이다. 더욱이, 간격(L)을 대폭 넓히면 걸림을 방지하는 효과는 있지만, 이송 시작 단부에서 낟알의 인계가 악화되고 낟알의 이송성능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도 1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쪽 이동 이송나선(11)의 앞쪽과 배출통(35)의 뒤쪽 판(35c) 사이에는, 상기 이동 나선축(9)의 외주부(p)에서 선단 나선체(27)가 고착 설치된 구성이다. 이 이동 나선축(9)에 고착 설치된 보강 핀(27a)은 이 선단 나선체(27)의 이송 종단부에 고착된 구성이다. 배출통(35)의 전후 길이가 기계의 크기(기종 및 형식)에 의해서 변경된 때에는, 이 선단 나선체(27)의 전체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는 구성이다. 선단 나선체(27)의 이송 시작 단부쪽의 단부에는 후퇴각( α)으로 형성되는 잘린 부분(36e)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세로 이송통(6)으로부터 고정용 이송통(8) 안으로 공급된 낟알은, 고정 이송나선(7), 뒤쪽 이동 이송나선(10), 각 중간 이동 이송나선(12), 앞쪽 이동 이송나선(11) 및 선단 나선체(27)로 차례로 앞쪽으로 이송되어, 배출통(35)의 낟알 배출구(35b)로부터 기계 밖으로 배출된다.
도 8과 도 10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용 이송통(13)의 이송 시작 단부의 외주부에는 로울러 장치(42)가 120°의 동일한 간격 배열로 세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이 로울러 장치(42)는, 로울러 메탈(42a)에 설치된 지지판(42b)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판(42b)에 회전이 자유롭게 로울러(42c)가 축 지지되어 설치되며, 각 로울러(42c)의 외주부는 고정용 이송통(8)의 외주부(q)에 맞닿은 상태로 설치된 구성이다. 이동용 이송통(13)의 전후 미끄럼 이동에 의해, 상기 각 로울러(42c)의 외주부는 고정용 이송통(8)의 외주부(q)에 접촉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전후로 이동하는 구성이다.
도 10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신축장치(14)는, 연결 메탈(33)의 선단부에서 역 L 자 모양의 지지판(39)이 설치되고, 이 지지판(39)의 기초부 쪽에 이동용 모터(28)가 설치되는 동시에 선단부에는 받침 메탈(40)이 설치된다. 이동용 모터(28)에는, 외경부에 나선 나사(43a)가 설치된 이송축(43)이 설치되고, 이 이송축(43)은 이동용 이송통(13)의 외주부에 설치된 이동용 지지메탈(41)에 나사 결합되는 동시에 선단부는 받침 메탈(40)에 의해 축 지지된 구성이다. 44는 원형 모양의 안전 커버이다.
다음, 상기 신축 낟알 이송장치(5)의 움직임에 관해서 설명한다.
상기 신축 낟알 이송장치(5)의 이동용 이송통(13)이 소정 신장위치 또는 한계 신장위치로부터 한계 단축위치 직전까지 사이의 신장상태에 있을 때에, 한계 단축 위치로 조작하고 유지장치(24)의 받침판(24b)에 의해 유지상태로 둘 경우에는, 선회 스위치(23b) 및 오거 레버(22a)를 조작(좌우 선회와 상하 이동)하여 소정 위치(원래의 위치)로 선회시키는 동시에 신축 스위치(23d)를 수축 쪽으로 조작함으로써, 제어장치(26)에 의해 이동용 모터(28)가 역회전 시동 제어되고, 신축장치(14)가 역회전 작동되어 이동용 이송통(13)이 수축 쪽으로 이동 제어된다.
또, 상기 신축 스위치(23d)를 신장 쪽으로 조작함으로써, 제어장치(26)에 의해 이동용 모터(28)가 정회전 시동 제어되고 신축장치(14)가 정회전 작동되어 이동용 이송통(13)은 신장 쪽으로 이동 제어된다.
상기 이동용 이송통(13)이 결합 상태에서 수축 쪽의 소정 위치까지 이동 제어되면, 이 이동용 이송통(13)의 외주부에 돌출되어 설치된 검출구(13a)가 유지장치(24)의 받침판(24b)에 설치된 수납 센서(25)에 접촉되어 상기 수납 센서(25)가 ON 상태로 된다. 상기 ON 상태에 따라, 제어장치(26)에 의해 이동용 모터(28)가 정지 제어되고 신축장치(14)가 정지된다. 상기 정지로 인해 이동용 이송통(13)이 소정의 한계 단축위치에 정지 제어되는 구성이다. 이 한계 단축위치는 이동용 이송통(13)이 고정용 이송통(8)에 완전히 결합하는 상태가 되기 바로 직전에 정지되는 구성이다. 이는, 이동용 이송통(13)이 잠김(lock) 상태가 되어 이동용 모터(28)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어느 정도 여유를 갖게 하기 위함이다.
다음, 도 19 내지 도 23에 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하는 것은, 상기 이동용 이송통(13) 내의 중간 이동 이송나선(12)을 합성 수지제로 구성한 것이다.
도 19는 중간 이동 이송나선(12) 단체(單體)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0은 중간 이동 이송나선(12) 단체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1은 복수의 중간 이동 이송나선(12) 단체가 연결되면서 서로 가장 멀리 떨어진 상태를 구성하는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2는 복수의 중간 이동 이송나선(12) 단체가 연결되면서 서로 가장 근접한 상태가 구성되는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동 이송나선(12) 단체는, 상기 이동 나선축(9)에 미끄럼이 자유롭게 끼워맞춰지고 외주부가 원통 모양인 베어링 보스(50)와, 그 외주면에 지지 고정되되 베어링 보스(50)의 외주를 거의 일주(一周)하는 스파이럴(spiral) 형상의 나선체(51)와, 상기 나선체(51)를 베어링 보스(50)에 접속하기 위한 스페이서(52)로 이루어진다. 스페이서(52)는 베어링 보스(50)의 양 단부(端部)에 접속되고, 그 외주면의 거의 양단부에 나선체(51)가 접속 고정되어 있다. 스페이서(52)는 베어링 보스(50)에 나선체(51)를 접속 고정하기 위한 접속부분을 구성하고, 또한 복수의 이동 이송나선(12) 단체를 연결하면서, 서로 떨어지게도 하고 접근하게도 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스페이서(52)는 나선체(51)와 마찬가지로 베어링 보스(50)의 외주를 거의 일주하도록 스파이어럴 모양으로 되어 있고,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이동 이송나선(12) 단체가 연결되면서 서로 가장 떨어진 상태에 있는 때에는, 서로 인접하는 스페이서(52)의 두께부(52a)(도 19) 끼리와 걸어맞춤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 보스(50)의 길이(B)는 이동 이송나선(12) 단체 길이(C)의 약1/3이고, 스페이서(52)의 내경이 베어링 보스(50)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중간 이동 이송나선(12) 단체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선체(51)가 인접한 나선체(51)에 가장 근접할 때에는, 인접한 베어링 보스(50)와의 사이에 간격이 없을 만큼 근접시킬수 있다. 이 때, 베어링 보스(50)의 외주와 스페이서(52)의 내주(內周) 사이에 있는 낟알은 스페이서(52)에 형성된 구멍(52b)으로부터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스페이서(52)의 걸어맞춤용 두께부(52a)의 하면(下面)은 원호 모양의 두께 형상이기 때문에 강도도 우수하다.
또, 스페이서(52)가 베어링 보스(50)와 나선체(51) 사이에서 나선체(51)와 마찬가지로 베어링 보스(50)의 외주를 거의 일주하도록 스파이어럴 모양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중간 이동 이송나선(12) 단체를 수지화(樹脂化) 함으로써도 금속제의 것에 비해 낮은 강도를 보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중간 이동 이송나선(12) 단체는, 상기 이동 나선축(9)에 대하여 회전방향으로는 규제되고 축방향으로는 미끄럼이 자유로운 상태로 끼워맞춰져, 복수의 일련의 신축 나선을 구성하고 있다.
고정용 이송통(8)과 이동용 이송통(13)으로 이루어지는 신축 낟알 이송장치(5)에 있어서, 적어도 신축하는 이동용 이송통(13) 내의 중간 이동 이송나선(12) 단체만이라도 합성 수지제로 한다. 따라서, 고정용 이송통(8) 부분은 금속제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신축 낟알 이송장치(5)의 신축하는 이동용 이송통(13) 내의 중간 이동 이송나선(12) 단체를 합성 수지제로 함으로써, 신축 낟알 이송장치(5) 전체의 관성 모멘트로의 영향이 큰 이동용 이송통(13) 선단부분의 중량이 가벼워져 신축 낟알 이송장치(5)의 경량화 효과가 커진다.
다만, 신축하는 나선부분 뿐만 아니라, 고정 나선부분도 합성수지제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특히 낟알 배출 오거(5)가 대형으로 될 때 경량화 효과가 뛰어나, 콤바인의 신축 낟알 이송장치(5) 뿐만 아니라, 그 밖의 구성부분에 걸리는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합성수지제 또는 금속제의 어느 것이라도 좋지만, 중간 이동 이송나선(12) 단체의 스파이어럴 형상의 나선체(51)의 스파이어럴은, 도 23의 중간 이동 이송나선(12) 단체의 측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아 중심축선(X)으로부터 시작, 중심축 주위를 일주하여 중심축선(X)에서 끝나도록 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2에서 나타내는 중간 이동 이송나선(12) 단체는,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이송나선(12) 단체의 나선체(51)의 스파이어럴 형상 부분의 시작 단부와 종단부가, 이동 이송나선(12) 단체를 측면에서 보아 이동 이송나선(12) 단체의 중심축선(X)보다 길이(D) 만큼 길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이 길이(D) 만큼의 부분이 금형으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그 때문에, 길이(D) 만큼 긴 부분에는 별도의 이동식 금형을 설치할 필요가 있는데 금형이 복잡하고 고가로 되어 있다.
그러나, 도 23에 나타내는 실시예로서는 중간 이동 이송나선(12) 단체의 나선체(51)의 스파이어럴은 전술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아 중심축선(X)에서 끝나 있기 때문에, 금형이 언더컷을 일으키지 않는다. 그 결과, 도 23에 나타내는 이동 이송나선(12) 단체의 금형은 간단하고 염가로 된다.
이와 같이, 중간 이동 이송나선(12) 단체를 합성수지화 함으로써, 신축 낟알 이송장치(5)를 경량화 할 수 있다. 또한, 신축 낟알 이송장치(5) 자체의 모멘트가 줄기 때문에 부드러운 선회 및 상하 운동이 작은 구동력에 의해 가능해진다. 또한, 중간 이동 이송나선(12) 단체를 합성수지화 함으로써, 철계(鐵系) 등의 금속제보다 코스트가 삭감될 수 있고, 품질에 있어서도 불균일성이 없어져 부드러운 신축 및 배출이 가능해진다.
특히, 고정용 이송통(8)으로부터 낟알을 이어받는 이동용 이송통(13)의 시작 단부와, 낟알을 외부로 배출하는 종단부(낟알 배출구)에서 낟알이 막히기 쉽고, 낟알이 막힌 경우에는 큰 부하가 걸리기 때문에, 이동용 이송통(13) 내의 복수의 중간 이동 이송나선(12) 단체 중의 시작 단부 쪽과 종단부 쪽의 중간 이동 이송나선(12) 단체는, 예컨대 유리섬유가 들어간 합성수지로 구성되며, 그 밖의 중간부의 이동 이송나선(12) 단체는 보통의 합성 수지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비용면에서 유리하고 내구성이 높은 것이 얻어지게 된다.
다음, 전술한 선회 스위치(23b)(자동수납 스위치)를 들어간 상태로 할 때의 신축 낟알 이송장치(5)의 움직임에 관해서 설명한다.
선회 스위치(23b)(자동수납 스위치)를 들어간 상태로 하면, 낟알 이송장치(5)는 유지장치(24) 방향으로 선회를 개시한다. 이 선회는, 평면방향에서 보아 왼쪽 선회이지만 오른쪽 선회라도 좋고, 선회각도가 작아도 된다. 또한, 선회는 장해물과의 맞닿음을 피하기 위해서 가장 높은 위치로 상승시키고 나서 선회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선회와 동시에 이동용 이송통(13)이 축소를 개시하는 구성이다.
이에 의해, 신축 낟알 이송장치(5)의 이동용 이송통(13)은 선회함에 따라 함께 자동적으로 축소하여 가는 구성이기 때문에, 조작성이 개선되고 작업자의 조작부담이 경감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신축 낟알 이송장치(5)는, 그 길이 방향의 길이가 짧아지기 때문에 안전하다.
다음, 신축 낟알 이송장치(5)가 유지장치(24) 내에 수납되면 수납센서(25)가 들어간 상태로 된다. 상기 수납센서(25)가 들어간 상태일 때는 신축 스위치(23d)를 조작하더라도 이동용 이송통(13)의 신축을 억제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유지장치(24)의 받침판(24b)과 이동용 이송통(13)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신축 낟알 이송장치(5)의 이동용 이송통(13)은 선회함에 따라 자동적으로 축소되어 가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고장 등에 의해 축소가 도중에 정지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중간 이동 이송나선(12) 단체 사이에 낟알이 막히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는, 이동용 모터(28)가 타붙어 파손되어 버리기 때문에, 소정시간 경과하면 자동적으로 이동용 모터(28)로의 출력을 자동적으로 정지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이동용 모터(28)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이동용 모터(28)로의 출력을 정지하더라도, 신축 낟알 이송장치(5) 자체는 선회를 속행(續行)하고, 최종적으로는 하강하여 유지장치(24) 안에 수납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작업이 중단되는 경우가 없어지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다음 작업을 실행해 갈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25로부터 도 27에 관해서 설명한다.
상기한 중간 이동 이송나선(12) 단체의 또 다른 구성의 이동 이송나선(12a) 단체의 그림이다. 도 25에는 이동 이송나선(12a) 단체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도 26에는 이동 이송나선(12a) 단체의 축방향에서 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7에는, 복수의 이동 이송나선(12a) 단체로부터 구성되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이송나선(12a) 단체는, 상기 이동 나선축(9)에 미끄럼이 자유롭게 끼워 맞춰지는 베어링 보스(53)의 외주에, 대략 반원통으로 형성된 설치 부재(54)에 의해서 나선부(55)가 설치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 보스(53)는 종래 틀(型)보다 짧게 형성하여, 치수(E)(베어링 보스(53)의 치수) < 치수(F)(종래 틀의 베어링 보스의 치수)의 관계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중량이 가벼워진다.
따라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이동 이송나선(12a) 단체는, 나선부(55)를 인접한 나선부(55')에 가장 근접시킬 때(도 27의 왼쪽 부분 참조) 인접한 베어링 보스(53')와의 사이에 간격이 생겨서 접촉하지 않을 정도의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 보스(53)는, 그 단부에 베어링 보스의 스페이서용 돌기(56)가 설치되어 인접한 베어링 보스(53') 와의 간격을 유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나선 걸림체(57)에 의해 인접한 나선부(55')를 걸어 이탈을 방지하기 때문에 이동 이송나선(12a)이 가장 멀리 떨어져도 나선부(55) 끼리는 대략 연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 도 28 내지 도 32에 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하는 것은, 신축 낟알 이송장치(5)를 좌우 선회시킨다든지,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킨다든지 하는 조작수단에 관한 것이다. 그 구체적 구성에 관해서설명한다.
이동용 이송통(13) 선단에 마련된 낟알 배출구(35b) 근방에서, 이 이동용 이송통(13)의 아래쪽으로는 직육면체 모양의 조작상자(58)가 설치되고, 이 조작상자(58)의 배면(背面)에는 신축 낟알 이송장치(5)를 상하 좌우로 회동시키는 조작레버(59)가 이동용 이송통(13)의 길이 방향을 향해 설치되어 있다.
이 조작레버(59)를 상하방향으로 조작하면 신축 낟알 이송장치(5)는 이에 대응하여 상하로 이동하고, 좌우방향으로 조작하면 그 조작레버(59)가 움직이는 방향에 대응하여 신축 낟알 이송장치(5)가 좌우로 회동한다.
한편, 조작상자(58)의 좌우방향의 한쪽 면(이 실시예에서는 진행방향을 향해 오른쪽)에는, 신축 낟알 이송장치(5)의 이동용 이송통(13)을 신축시키는 신축 스위치 조작레버(60)와, 신축 낟알 이송장치(5)를 정규의 수납위치(신축 낟알 이송장치(5)를 사용하지 않을 때 유지장치(24)에 수납되는 위치)로 자동적으로 회귀시키는 수납 스위치(61) 및 낟알 배출 클러치와 연동되어 있는 배출 스위치(6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납 스위치(61)는 작업자가 잘못해서 건드리지 않도록 이 수납 스위치(61)의 바깥쪽에 개폐식의 커버(63)가 설치되어 있고, 부주의로 수납 스위치(61)를 눌러 신축 낟알 이송장치(5)가 자동적으로 수납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작업자가 의식적으로 신축 낟알 이송장치(5)를 수납시킬 때는, 이 커버(63)를 위쪽으로 회동시킨 뒤에 수납 스위치(61)를 누르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각종 스위치나 레버를 낟알 배출구(35b) 근방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조작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작업효율이 향상되게 된다.
도 31과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낟알 저장탱크(4) 안에 낟알이 가득찬 상태가 되면, 트럭 등의 운반차(64)의 짐받이로 낟알이 배출되게 된다(자루인 경우도 있음). 그런데, 상기 낟알 배출구(35b)가 트럭 등 운반차(64) 짐받이의 적정 위치에 있지 않을 때, 또는 짐받이에 치우쳐서 저장되고 있는 경우에는, 짐받이 측에 있는 작업자는 이동용 이송통(13)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조작레버(59), 신축 스위치 조작레버(6)를 적절히 조작하여 적정한 위치로 이동시킨다. 예컨대, 이동용 이송통(13)을 신장시키는 경우에는, 신축 스위치 조작레버(60)를 신장쪽으로 쓰러 뜨린다. 그렇게 하면, 이동용 모터(28)는 기동하여 정회전하기 때문에, 나선 나사(43a)의 나사부와 물려 결합되어 있는 이동용 지지메탈(41)은 고정용 이송통(8)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신축 낟알 이송장치(5)의 전체 길이가 길어진다. 반대로, 신축 낟알 이송장치(5)의 전체 길이가 긴 경우에는, 단축(短縮) 쪽으로 스위치 조작레버(60)를 조작하여 이동용 모터(28)를 역회전하면 나선 나사(43a)도 역회전하기 때문에 이동용 지지메탈(41)은 고정통 쪽으로 이동하여 신축 낟알 이송장치(5)의 전체 길이가 짧게 된다. 그리고, 이동용 이송통(13)의 낟알 배출구(35b)가 소정위치에 도달할 때 신축 스위치 조작레버(60)로부터 손을 떼어 중립위치로 두면 이동용 모터(28)의 구동은 정지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배출 스위치(62)를 눌러 낟알 저장탱크(4)에 수용되어 있던 낟알을 트럭의 짐받이(64a)로 배출시킨다. 또, 낟알의 배출에 맞추어, 배출 스위치(62)를 누른채로 신축 스위치 조작레버(60)를 조작할 수도 있어, 짐받이(64a)가 전후로 긴 트럭인 경우에는, 이와 같은 사용방법에 의해 낟알을 균일하게 실어 넣는 것이 가능하다. 도 31와 도 32는 작용 설명도이고, 짐받이 쪽에 있는 작업자가 조작레버(59), 신축 스위치 조작레버(60)를 조작하여 짐받이(64a)에 낟알을 배출시키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콤바인의 조종석(20b)의 조작부에는, 신축 낟알 이송장치(5)를 상하 회동 및 좌우 선회조작하는 오거 레버(22a)와, 신축 낟알 이송장치(5)의 이동용 이송통(13)을 신장 또는 수축시킬 때 조작하는 것으로서 ON-OFF 방식으로 절환하는 신축 스위치(23d)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신축 낟알 이송장치(5)를 선회시키는 오거 레버(22a)와, 이동용 이송통(13)을 신장 또는 수축시키는 신축 스위치(23d)는, 각각 독립적인 스위치이기 때문에 조작성이 나쁜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이는, 트럭 등의 짐받이로 낟알을 배출함에 있어서, 짐받이 위에서 낟알 배출구(35b)를 미세 조정할 때에는 선회작업과 신축작업이 많기 때문이다.
그래서, 신축 낟알 이송장치(5)를 선회시키는 기능과 신축 낟알 이송장치(5)의 이동용 이송통(13)을 신축시키는 기능을 하나의 레버로 조작할 수 있게 하고, 신축 낟알 이송장치(5)의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을 독립적인 레버로 실행시키도록 개량하는 것이 고려된다.
도 33은 레버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고, 65는 신축 낟알 이송장치(5)의 선회와 신축 낟알 이송장치(5)의 이동용 이송통(13)을 신축시키는 레버를 나타내고 있다. 레버(65)를 좌우방향으로 기울이게 하면, 신축 낟알 이송장치(5)는 좌우방향으로 선회하는 동시에, 앞쪽으로 쓰러뜨리면 이동용 이송통(13)은 신장되고, 작업자 쪽으로 쓰러 뜨리면 이동용 이송통(13)이 축소되는 구성이다. 66은 신축 낟알 이송장치(5)를 승강시키는 레버이다. 레버(66)를 전후로 조작하면, 신축 낟알 이송장치(5)이 승강하는 구성이다.
이에 의해, 작업성능이 향상되게 되었다. 특히, 트럭 등의 짐받이 위에 낟알을 배출할 때에, 신축 낟알 이송장치(5)의 선회작업과 신축작업의 미세 조정이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게 되었다.
다음, 도 34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 레버(67)의 구성은, 상기 레버(67) 한 개의 구성에 의해 신축 낟알 이송장치(5)의 선회, 승강, 신축을 실행하는 구성이다. 통상은, 레버(67)를 좌우방향으로 조작하면 상기 신축 낟알 이송장치(5)가 좌우방향으로 선회하는 구성이다. 또한, 전후방향으로 조작하면, 신축 낟알 이송장치(5)가 승강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레버(67)의 헤드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67a)를 조작(누름)하면서 전후방향으로 조작하면 이동용 이송통(13)이 신축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한 개의 레버(67)에 의해 신축 낟알 이송장치(5)의 선회, 승강, 신축을 실행하는 구성이므로, 조작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레버의 개수가 줄기 때문에 콤바인의 조종석(20b)이 간소화되고 코스트도 절감된다.
다음, 도 35 내지 도 39에 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하는 것은, 수동으로 이동용 이송통(13)을 이동시키는 염가형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도 35에 나타내는 실시예의 경우, 신축 낟알 이송장치(5)는, 이동용이송통(13)의 바깥쪽에 핸들(68)을 설치하여 고정 이송통(8)에 끼워 맞춘 상태로 통을 따라 수동으로 신축 조작함으로써, 선단부의 낟알 배출구(35b)의 위치를 기초부의 세로 이송통(6)에 대하여 멀어지게 하거나 가까워지도록 조절하여 낟알의 낙하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신축 낟알 이송장치(5)가 기계 몸체에 수납될 때에는 유지장치(24)에 받쳐져 수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37 및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 볼(73)은 베어링 보스(69)의 지지부재(70) 내에 설치된 스프링(71)의 바깥쪽에 장치되고, 바깥쪽으로 꽉 눌려져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용 이송통(13)에는, 기초부의 배출작업시 걸림 위치에 상당하는 부위와, 중간부의 수납시 걸림 위치에 상당하는 부위의 각각의 안쪽에 위치 결정용 오목부(7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걸림 볼(73)이 오목부(72)에 걸어맞춰져 고정 이송통(8)에 위치 결정되어 고정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의 경우, 위치 결정용 오목부(72)가 배출작업시에 걸리는 기초부 쪽과 수납시에 걸리는 중간부의 2 개소에 설치되어 있지만, 이것에 구애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수를 자유롭게 늘릴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실시예의 신축 낟알 이송장치(5)는, 낟알 저장탱크(4) 내의 낟알을 기계 밖으로 배출하는 경우에 작업자가 핸들(68)을 통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이동용 이송통(13)을 수동으로 신장시켜 낟알 배출구(35b)를 목표하는 위치에 맞출 수 있다. 이 때, 스프링(71)에 의해 바깥쪽으로 꽉 눌린 걸림 볼(73)이 이동용 이송통(13)의 위치 결정용 오목부(72)에 걸어맞춰져 배출위치가 유지되므로안정한 상태에서 배출작업을 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신축 낟알 이송장치(5)는 낟알 저장탱크(4) 내부의 낟알을 목표하는 위치에 연속적으로 배출할 수가 있지만, 작업 중에 이동용 이송통(13)에 대하여 매우 강한 외력이 작용하면 걸림 볼(73)이 스프링(70)의 압력에 대항하면서 틀어 박혀져 위치 결정용 오목부(72)로부터 이탈되고 걸어맞춤 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이동용 이송통(13)은 고정 이송통(8) 위를 자유롭게 미끄러져 줄어들 수 있으므로 파손으로부터 지켜지고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용 이송통(13)을 길이 방향으로 신축시키는데 있어서 모터 등을 그 수단으로 하고 있지 않으므로 부품 개수가 줄어드는 동시에 코스트도 절감된다.
청구범위 제1항의 발명으로서는, 이동용 나선축(9)이 중공(中空)이기 때문에, 이동용 이송통(13)의 중량이 가벼워진다. 따라서, 이동용 나선축(9)에 지지되어 있는 이동 이송나선(12) 자체의 진동도 적어지므로, 이동 이송나선(12)이 이동용 이송통(13)의 내경부에 맞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용 이송통(13)의 신축이동이 부드럽게 실행된다. 또한, 이동용 나선축(9)은 중공이기 때문이고, 단면계수가 커져, 이동용 나선축(9)의 강성(剛性)이 향상된다.
청구범위 제2항의 발명으로서는, 중간 이동 이송나선(12)의 적어도 이송 시작 단부 쪽은, 나선의 처음 감긴 부분이 절결되어 있기 때문에, 반송(搬送) 저항이 증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낟알에 손상을 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3항의 발명으로서는, 나선체(36c) 단체의 구성이 간단해지기 때문에, 코스트가 절감된다.
청구범위 제4항의 발명으로서는, 중간 이동 이송나선(12)이 합성수지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용 이송통(13)의 중량이 가벼워진다. 특히, 이동용 이송통(13)을 신장시킬 때에, 휨이 적어지게 되어 아래쪽으로의 모멘트가 작아지기 때문에, 이동용 이송통(13)은 부드럽게 신축이동될 수 있게 된다.
청구범위 제5항의 발명으로서는, 빠져나온 위치로부터 유지장치(24)로 수납될 때에 있어서, 신축 낟알 이송장치(5)의 선회와 동시에, 이동용 이송통(13)도 축소되기 때문에, 유지장치(24)로의 수납작업이 효율적으로 행해진다.
청구범위 제6항의 발명으로서는, 신축 낟알 이송장치(5)가 유지장치(24) 내에 수납되어 있는 때에는, 이동용 이송통(13)은 신축하지 않기 때문에, 이동용 이송통(13)이 유지장치(24)에 접하는 것에 의한 이동용 이송통(13)과 유지장치(24)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7항의 발명으로서는, 신축 낟알 이송장치(5)가 빠져나온 위치로부터 유지장치(24)로 선회이동하고 있는 때에 있어서, 이동용 이송통(13)이 축소되고 있을 때, 이 이동용 이송통(13)의 축소는 소정 시간을 경과하면 정지하지만, 신축 낟알 이송장치(5)의 선회는 속행되어 유지장치(24) 내에 수납되기 때문에, 예컨대, 이동용 이송통(13) 내에 낟알이 막힌 상태인 경우, 상기 이동용 이송통(13)이 완전히 축소하지 않더라도, 이동용 이송통(13)의 축소는 정지되기 때문에, 이동용이송통(13)을 신축시키는 이동용 모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7)

  1. 주행장치(15)를 가지는 주행 차대(2) 상에, 낟알을 일시 저장하는 낟알 저장탱크(4)와, 상기 낟알 저장탱크(4)에 의해 일시 저장되어 있는 낟알을 배출하는 세로 이송통(6)과 신축 낟알 이송장치(5)가 설치된 작업차에 있어서,
    상기 신축 낟알 이송장치(5)는 고정용 이송통(8)과, 상기 고정용 이송통(8)에 끼워넣어져 길이 방향으로 신축 이동하는 이동용 이송통(13)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용 이송통(13) 내에는 복수개의 중간 이동 이송나선(12)이 설치되며, 상기 이동용 이송통(13)의 신축 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중간 이동 이송나선(12)의 간격이 확대 또는 축소되도록 구성되는 동시에, 복수개의 중간 이동 이송나선(12)을 회전구동하는 이동용 나선축(9)이 상기 중간 이동 이송나선(12) 안에 삽입 설치되되, 상기 이동용 나선축(9)은 다각형상이고 중공(A)의 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낟알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중간 이동 이송나선(12)의 적어도 이송 시작 단부쪽에는 잘린 부분(36e)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낟알 이송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이동 이송나선(12)을 구성하는 단일의 나선체(36c)의 기본 길이는, 약 1피치로부터 약 2피치 사이에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낟알 이송장치.
  4. 주행장치(15)를 가지는 주행 차대(2) 상에, 낟알을 일시 저장하는 낟알 저장탱크(4)와, 상기 낟알 저장탱크(4)에 의해 일시 저장되어 있는 낟알을 배출하는 세로 이송통(6)과 신축 낟알 이송장치(5)가 설치된 작업차에 있어서,
    상기 신축 낟알 이송장치(5)는 고정용 이송통(8)과, 상기 고정용 이송통(8)에 끼워넣어져 길이 방향으로 신축 이동하는 이동용 이송통(13)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용 이송통(13) 내에 복수개의 중간 이동 이송나선(12)이 설치되며, 상기 이동용 이송통(13)의 신축 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중간 이동 이송나선(12)의 간격이 확대 또는 축소되도록 구성되는 동시에, 복수개의 중간 이동 이송나선(12)을 회전구동하는 이동용 나선축(9)이 상기 중간 이동 이송나선(12) 안에 삽입 설치되고, 더욱이 상기 중간 이동 이송나선(12)은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낟알 이송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낟알 이송장치(5)는, 세로 이송통(6)의 세로 축심 둘레로 선회가능하게 구성되고, 또한, 기초부를 지점으로 하여 선단(先端)의 낟알 배출구(35b) 쪽이 상하로 승강 회동하게 구성되며, 신장된 위치에 있는 상기 신축 낟알 이송장치(5)를 유지장치(24)에 수납시킬 때에는 선회조작과 연동되면서 이동용이송통(13)이 축소작동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낟알 이송장치.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낟알 이송장치(5)를 수납 유지하는 유지장치(24)에는, 신축 낟알 이송장치(5)가 수납된 것을 검출하는 수납센서(25)가 설치되어, 상기 수납센서(25)가 신축 낟알 이송장치(5)의 수납상태를 검출하면 상기 이동용 이송통(13)은 신축이동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낟알 이송장치.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낟알 이송장치(5)가 신장 위치로부터 상기 유지장치(24)로 수납되는 수납 선회공정에서,
    선회조작과 연동되어 이동용 이송통(13)이 축소 작동하는데 있어서, 이 축소작동은 설정된 소정시간을 경과하면 정지하는 동시에, 상기 신축 낟알 이송장치(5)의 유지장치(24)로의 선회작동은 계속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낟알 이송장치.
KR10-2001-0004462A 2001-01-31 2001-01-31 작업차의 낟알 이송장치 KR100421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4462A KR100421092B1 (ko) 2001-01-31 2001-01-31 작업차의 낟알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4462A KR100421092B1 (ko) 2001-01-31 2001-01-31 작업차의 낟알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3952A KR20020063952A (ko) 2002-08-07
KR100421092B1 true KR100421092B1 (ko) 2004-03-04

Family

ID=37488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4462A KR100421092B1 (ko) 2001-01-31 2001-01-31 작업차의 낟알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10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02372B (zh) * 2018-12-28 2024-02-27 泰安康平纳机械有限公司 一种适合于大量粉体染料存储称量配送的储料桶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4683A (ja) * 1995-02-16 1996-08-27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排穀オーガ
JPH08228580A (ja) * 1995-03-01 1996-09-10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排穀オーガ
JP2000116227A (ja) * 1998-10-16 2000-04-25 Iseki & Co Ltd 作業車の穀粒排出装置
JP2000236742A (ja) * 1999-02-24 2000-09-05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伸縮式排出オ−ガ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4683A (ja) * 1995-02-16 1996-08-27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排穀オーガ
JPH08228580A (ja) * 1995-03-01 1996-09-10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排穀オーガ
JP2000116227A (ja) * 1998-10-16 2000-04-25 Iseki & Co Ltd 作業車の穀粒排出装置
JP2000236742A (ja) * 1999-02-24 2000-09-05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伸縮式排出オ−ガ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3952A (ko) 2002-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34268B2 (ja) コンバイン
JP5916593B2 (ja) コンバイン
JP6095545B2 (ja) 作業機
KR100421092B1 (ko) 작업차의 낟알 이송장치
JP2010130973A (ja) コンバインの伸縮式穀粒排出オーガ
JP6509062B2 (ja) 自脱型コンバイン
JP2015029456A (ja) コンバイン
CN1321557C (zh) 谷物排出装置
JP2015029455A (ja) コンバイン
JP2015029454A (ja) コンバイン
JP4019587B2 (ja) コンバイン
JP5653808B2 (ja) 汎用コンバイン
JP3968090B2 (ja) コンバインの排出オーガ
JP4038605B2 (ja) コンバイン
JP3852433B2 (ja) 穀物排出装置
JP3861445B2 (ja) 作業車の穀粒排出装置
JP3928418B2 (ja) 穀物排出装置
JP3975641B2 (ja) コンバインの伸縮穀粒移送装置
JP4292340B2 (ja) コンバインの穀粒伸縮排出装置
JP2003052234A (ja) コンバインの伸縮穀粒移送装置
JP2001314116A (ja) 穀粒排出装置
JP4370653B2 (ja) コンバイン
JP2002191224A (ja) コンバインの伸縮穀粒移送装置
JP2001314115A (ja) 穀粒排出装置
JP2003061445A (ja) コンバインの伸縮穀粒移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