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0995B1 - 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현상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현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0995B1
KR100420995B1 KR1019960056831A KR19960056831A KR100420995B1 KR 100420995 B1 KR100420995 B1 KR 100420995B1 KR 1019960056831 A KR1019960056831 A KR 1019960056831A KR 19960056831 A KR19960056831 A KR 19960056831A KR 100420995 B1 KR100420995 B1 KR 100420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developing
roller
container
preven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6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8006A (ko
Inventor
곽진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56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0995B1/ko
Publication of KR19980038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8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0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09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handling means after the developing zone and before the supply, e.g. developer recovering rol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supplying means, e.g. structure of developer supply rol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regulating means, e.g. structure of doctor blad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05Arrangements for conveying toner was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에 현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현상장치 외부로 유출되는 토너를 방지하기 위하여, 토너가 수용되는 토너용기가 마련된 현상용기와, 현상용기에 수납되며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매체로 토너를 현상하는 현상롤러와, 토너용기에 수납되며 그 토너용기의 토너를 상기 현상룔러로 공급하는 토너공급롤러와, 현상롤러에 부착된 토너를 균일한 토너층으로 만드는 토너규제롤러가 구비된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현상용기의 어느 일측에, 토너용기로부터 공급된 토너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토너유출방지수단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장치를 채용하는 것에 의하여 현상에 참여하지 않은 토너의 유출을 방지하여 화상품질을 좋게 하고, 토너를 절약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장치{A developing apparatus of an electrographic printing machine}
본 발명은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현상용기 외부로 토너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토너유출방지수단을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는, 원고로부터 또는 소정의 소스로부터 취득한 화상정보에 따라 감광매체, 예컨데 감광드럼을 노광하여 감광드럼에 보이지 않는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그 정전잠상이 형성된 부위에 현상제(토너)를 부착시켜 그 정전잠상이 드러나 보이도록 현상하여 그 현상된 화상을 기록지에 전사하고 정착시킴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인쇄하게끔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현상용기의 양측방향 외부로 유출되는 토너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장치를 II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현상용기(10)의 내부에 현상롤러(3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토너(1, 도 2)를 공급하는 토너공급롤러(40)가 상기 현상롤러(30)의 하부측면에 접촉되게 위치된다. 현상롤러(30)의 상부 측면에는 그 표면에 공급된 토너를 균일한 토너층으로 만드는 토너규제롤러(50)가 위치된다. 상기롤러들(30,40,50)은 상기 현상용기(10)의 양측벽(10a,10b)을 관통하는 회전축(30a,40a,50a)과 각각 결합되며, 그 회전축(30a,40a,50a)이 회전되는 것에 의하여 현상용기(10) 내부에서 회전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현상용기(10) 내부에 토너(1)가 충전되고, 회전되는 토너공급롤러(40)는 그 표면에 토너를 부착시킨다. 상기 토너공급롤러(40)의 표면에 부착된 토너는 회전하는 현상롤러(30)로 이송된다. 이때, 토너규제롤러(50)는 상기 현상롤러(30)와 함께 회전하며 현상롤러(30)에 부착되는 토너층의 두께를 규제한다.
그런데, 현상용기(10) 내부에 설치된 상기한 롤러들(30,40,50)이 회전됨에 따라 토너는 그 롤러들(30,40,50)의 양단 방향으로 쌓이게 된다. 상기 양측면에 쌓여진 토너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30a,40a,50a)을 따라 현상용기(10)의 양측벽(10a,10b)을 통하여 유출되어 인쇄기 기내를 오염시킬 뿐 만 아니라 감광체(미도시)로 전달되어 역시 화상품질을 저하시킨다. 또한, 현상용기(10) 내부에 잔재하는 토너찌꺼기(1a)는 장시간 경과함에 따라 굳게 되어 현상장치 부하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현상장치의 구동 토오크 변화가 초래되고 롤러들의 회전이 일정하지 않게 되어 화상품질이 저하된다. 한편, 유출되는 토너는 토너 낭비의 요인으로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현상장치 외부로 토너의 유출을 방지하여 화상품질의 방지할 수 있으며, 토너의 소비율을 낮춘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현상용기의 양측방향 외부로 유출되는 토너를 나타내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장치를 II 방향에서 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장치의 개략적 구성도.
도 4는 도 3의 IV-IV' 선을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V-V' 선을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토너 110 ... 현상용기
110a ... 하부용기 110b ... 상부용기
110c ... 커버부재 130 ... 현상롤러
140 ... 토너공급롤러 150 ... 토너규제롤러
155 ... 토너제거브레이드 160 ... 토너이송플레이트
170 ... 토너공급플레이트 180 ... 토너용기
200 ... 실 부재 200a ... 제1실 부재
200b ... 제2실 부재 200n ... 전극
300 ... 실 플레이트 400 ... 토너유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장치는, 토너가 수용되는 토너용기(180)가 마련된 현상용기(110)와, 상기 현상용기(110)에 수납되며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매체로 토너를 현상하는 현상롤러(130)와, 상기 토너용기(180)에 수납되며 그 토너용기(180)의 토너를 상기 현상룔러(130)로 공급하는 토너공급롤러(140)와, 상기 현상롤러(130)에 부착된 토너를 균일한 토너층으로 만드는 토너규제롤러(150)가 구비된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용기(110)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토너용기(180)로부터 공급된 토너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현상롤러(130) 양측방향에 마련되어 그 방향으로 토너의 유출을 방지하는 제1토너유출방지수단과, 상기 현상롤러 전면방향에 위치되어 현상에 참여하지 않은 토너가 현상용기 외부로의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토너유출방지수단을 구비하여 된 토너유출방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토너유출방지수단은, 상기 현상롤러(130)와 상기 토너규재롤러(150)의 양측단 외주면을 감싸는 것으로서, 전하가 공급되는 전극(200n)이 마련된 반도전성 유전체로 구성되는 탄력성이 있는 제1실 부재(200a)와, 상기 제1실 부재(200a)와 일체로 된 탄력성이 있는 제2실 부재(200b)로 된 실 부재(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현상용기의 일측에 상기 제1토너유출방지수단 및 제2토너유출방지수단에 의하여 유출이 방지된 토너가 상기 토너용기로 일정 방향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토너유로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토너유출방지수단은,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토너공급롤러 사이에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현상롤러 표면에 잔류하는 토너를 상기 토너유로로 모이게 하는 한 쌍의 도전성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토너유로는, 상기 토너공급롤러와 상기 현상롤러의 하부측 사이로부터 상기 토너용기까지 연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는 토너(1)가 수용된 토너용기(180)가 마련된 현상용기(110)를 구비하고, 이때 상기 현상용기(110)는 상,하부용기(110a)(110b)와, 상기 상부용기(110b)에 부착되는 커버부재(110c)로 이루어진다. 상기 현상용기(110)의 내부에는 현상롤러(13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토너용기(180)에는 상기 현상롤러(130)로 토너(1)를 공급하는 토너공급롤러(140)가 상기 현상롤러(130)의 하부측면에 접촉되게 위치된다. 현상롤러(130)의 상부 측면에는 현상롤러(130) 표면에 공급된 토너가 균일한 토너층으로 되도록 일정 압력을 인가하는 토너규제롤러(150)가 마련된다. 상기 상부용기(110b)에 마련된 커버부재(110c)에는 토너규제롤러(150)의 표면에 잔류하는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토너제거브레이드(155)가 상기 토너규제롤러(150)에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토너규제브레이드(155)에 의해 제거된 토너(1)가 토너용기(180a)로 이송되도록 하는 토너이송플레이트(160)가 위치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현상용기(110)에는 상기 토너용기(180)로부터 공급되어 현상에 참여하지 않은 토너가 현상용기(110)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토너유출방지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토너유출방지수단은, 상기 현상롤러(130)의 양측 방향으로 토너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제1토너유출방지수단과, 상기 현상롤러(130) 전면 방향에 위치되어 현상에 참여하지 않은 토너가 현상용기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토너유출방지수단을 구비하여서 이루어지고, 이때, 상기 현상용기(110)의 일측에 제1토너유출방지수단 및 제2토너유출방지수단에 의하여 유출이 방지된 토너가 상기 토너용기(180)로 일정 방향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토너유로(40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토너유출방지수단은, 상기 현상롤러(130)와 상기 토너규제롤러(150)의 양측단 외주면을 감싸는 한 쌍의 실 부재(200)를 포함한다. 상기 실 부재(200)는 탄력성이 있는 제1실 부재(200a)와 제2실 부재(200b)로 이루어지며, 이때, 제1실 부재(200a)는 반도전성 유전체(전기저항 104∼109Ω㎝)로 되어 있는 우레탄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실 부재(200a)에는 각각 전극(200n)이 설치되어 이곳으로 전압이 인가된다. 상기 한 쌍의 실 부재(200)는 현상에 참여하지 않은 토너가 현상롤러(130) 및 토너규제롤러(150)의 양단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제1실부재(200a)에 대전된 토너의 극성과 반대극성의 전압이 인가될 때 발생되는 전계력에 의해 상기 양단 방향으로 토너의 유출이 차단되고, 제2실부재(200b)에 의한 기계적인 압력에 의해 상기 양단방향으로의 토너의 유출이 더욱 확실하게 차단된다.
상기 제2토너유출방지수단은, 상기 현상롤러(130)와 토너공급롤러(140) 사이의 공간에 현상롤러 길이 방향으로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한 쌍의 도전성 플레이트(30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300)는 현상롤러(130)의 전면에 부착된 현상에 참여하지 않은 토너가 현상용기(110)의 전면방향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즉,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300)에 각각 대전된 토너 극성과 방대 전압을 인가하여 이때 발생하는 전계력으로 현상롤러에 잔류하는 현상에 참여하지 않은 토너를 집진시킨다.
상기 토너유로(400)는 토너공급롤러(140)와 하부용기(110a) 사이로부터 토너용기(180)까지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토너유로(400)는 상기 실부재(200) 및 도전성 플레이트(300)에 의하여 수집된 토너가 상기 토너용기(180)로 일 방향 이송되어 재 사용될 수 있게끔 형성된 토너의 경로이다. 한편, 토너공급롤러(140) 주변에 집중적으로 쌓이게 되는 토너에는 상기 실부재(200)와 현상롤러(130)의 틈새사이로 진입하려는 기계적인 힘(롤러의 회전력에 의해서 롤러와 실부재의 틈새로 진입하려는 힘)이 작용하는데, 상기와 같은 기계적인 힘을 토너유로(400)를 둠으로써 분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현상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토너용기(180)에 수용된 토너는 토너공급플레이트(170)의 회전에 의해 토너공급롤러(140)로 이송된다. 상기 토너공급롤러(140)는 현상롤러(130)와 함께 회전하여 그 사이의 토너(10)를 마찰 대전시킨다(본 발명에서는 (-) 로 대전). 대전된 토너는 토너공급롤러(140)를 거쳐 현상롤러(130)로 옮겨진다. 현상롤러(130)로 옮겨진 토너는 토너규제롤러(150)에 의하여 규제되어 일정한 토너층으로 된다.
실제적으로, 현상롤러(130)와 토너규제롤러(150)의 양단에서는 실제적으로 현상에 관여하지 않은 영역이 존재하며 이곳에 토너가 쌓일 수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쌓여진 토너가 현상용기(110)의 양측면으로 유출되어 인쇄기내의 오염의 원인이 될 뿐 아니라, 현상장치 부하로서 작용하여 현상롤러 등의 구동토오크변화를 가져왔다. 상기와 같은 현상용기(110)의 양측면으로 유출되려는 토너를 막기 위하여 제1토너유출방지수단이 채용되며, 현상롤러(130) 및 토너규제롤러(150) 양단방향으로의 토너의 유출은 1차로 제1실부재(200a)에 인가된 전압에 의한 전계력으로 방지하고, 2차로 제2실부재(200b)에 의해 롤러들과 제2실부재 사이의 밀착 기계력으로 방지된다. 상기 실 부재(200)에 의해 현상롤러(130) 및 토너규제롤러(150)의 양단 방향으로 이송되지 못한 토너는 토너공급롤러(140)가 회전함에 따라 토너유로(400)로 이송된다. 상기 현상롤러(130)에 잔류하는 현상에 참여하지 않은 토너가 현상용기(110) 전면방향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토너유출방지수단이 마련된다. 즉,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300)에 각각 대전된 토너 극성과 방대 전압을 인가하여 이때 발생하는 전계력으로 현상롤러에 잔류하는 현상에 참여하지 않은 토너를 현상롤러(130) 로부터 분리시켜 토너유로(400)로 모이게 한다.
상기한 제1,2토너유출방지수단에 의하여 토너유로(400)로 이송된 토너는 토너공급롤러(14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 토너용기(180)로 재혼입되고 다음 현상에 재 사용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여,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장치는, 제1토너유출방지수단과 제2토너유출방지수단을 구비하여 현상롤러 및 토너규제롤러의 양단 방향으로 유출되는 현상용기 전면 방향으로의 토너의 유출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인쇄기 기내의 오염을 방지하고, 감광매체로 유출된 토너의 전달을 방지할 수 있으며, 현상장치의 구동토오크변화를 방지하여 화상품질이 좋다. 또한, 현상용기의 외부로 유출되는 토너를 토너용기로 재혼입시켜 사용하므로, 토너를 절약할 수 있다.

Claims (4)

  1. 토너가 수용되는 토너용기(180)가 마련된 현상용기(110)와, 상기 현상용기(110)에 수납되며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매체로 토너를 현상하는 현상롤러(130)와, 상기 토너용기(180)에 수납되며 그 토너용기(180)의 토너를 상기 현상룔러(130)로 공급하는 토너공급롤러(140)와, 상기 현상롤러(130)에 부착된 토너를 균일한 토너층으로 만드는 토너규제롤러(150)가 구비된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용기(110)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토너용기(180)로부터 공급된 토너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현상롤러(130) 양측방향에 마련되어 그 방향으로 토너의 유출을 방지하는 제1토너유출방지수단과, 상기 현상롤러 전면방향에 위치되어 현상에 참여하지 않은 토너가 현상용기 외부로의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토너유출방지수단을 구비하여 된 토너유출방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토너유출방지수단은, 상기 현상롤러(130)와 상기 토너규재롤러(150)의 양측단 외주면을 감싸는 것으로서, 전하가 공급되는 전극(200n)이 마련된 반도전성 유전체로 구성되는 탄력성이 있는 제1실 부재(200a)와, 상기 제1실 부재(200a)와 일체로 된 탄력성이 있는 제2실 부재(200b)로 된 실 부재(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용기의 일측에 상기 제1토너유출방지수단 및 제2토너유출방지수단에 의하여 유출이 방지된 토너가 상기 토너용기로 일정 방향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토너유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토너유출방지수단은,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토너공급롤러 사이에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현상롤러 표면에 잔류하는 토너를 상기 토너유로로 모이게 하는 한 쌍의 도전성 플레이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유로는, 상기 토너공급롤러와 상기 현상롤러의 하부측 사이로부터 상기 토너용기까지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장치.
KR1019960056831A 1996-11-22 1996-11-22 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현상장치 KR100420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6831A KR100420995B1 (ko) 1996-11-22 1996-11-22 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현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6831A KR100420995B1 (ko) 1996-11-22 1996-11-22 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현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8006A KR19980038006A (ko) 1998-08-05
KR100420995B1 true KR100420995B1 (ko) 2005-01-15

Family

ID=37323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6831A KR100420995B1 (ko) 1996-11-22 1996-11-22 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현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09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940U (ko) 2018-05-20 2019-11-28 손준우 인쇄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6217A (ja) * 1993-03-17 1994-09-22 Hitachi Ltd トナーもれ防止機構を備えた現像器
JPH06332335A (ja) * 1993-05-20 1994-12-02 Canon Inc 離型剤補給装置
JPH08123169A (ja) * 1994-10-27 1996-05-17 Tec Corp 電子写真現像装置
JPH08202150A (ja) * 1995-01-24 1996-08-09 Tec Corp 現像装置
JPH08220858A (ja) * 1995-02-17 1996-08-30 Tec Corp 電子写真装置の現像装置
KR960038337U (ko) * 1995-05-27 1996-12-18 현상기의 토너 유출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6217A (ja) * 1993-03-17 1994-09-22 Hitachi Ltd トナーもれ防止機構を備えた現像器
JPH06332335A (ja) * 1993-05-20 1994-12-02 Canon Inc 離型剤補給装置
JPH08123169A (ja) * 1994-10-27 1996-05-17 Tec Corp 電子写真現像装置
JPH08202150A (ja) * 1995-01-24 1996-08-09 Tec Corp 現像装置
JPH08220858A (ja) * 1995-02-17 1996-08-30 Tec Corp 電子写真装置の現像装置
KR960038337U (ko) * 1995-05-27 1996-12-18 현상기의 토너 유출 방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940U (ko) 2018-05-20 2019-11-28 손준우 인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8006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61372C (zh) 成像设备
JP4195259B2 (ja) 湿式画像現像システム
EP0389229A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S6385658A (ja) 現像装置
JP4054496B2 (ja) 画像形成装置
US6163673A (en) Liquid developing apparatus having cleaning electrode for removing toner particulates
JP3703169B2 (ja) 湿式画像形成方法、及び、湿式画像形成装置
KR100420995B1 (ko) 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현상장치
US20060182475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ducing charge roller contamination
JP3111885B2 (ja) 現像装置
JP4230247B2 (ja) 画像形成装置
JP2610454B2 (ja) 現像装置
JP2001134081A (ja) 現像装置及びこの現像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2001042751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766299B2 (ja) 電子写真装置のトナー供給方式
JP4247600B2 (ja) 現像装置
JPH01159679A (ja) 画像形成装置用クリーニング装置
US6393240B1 (en) Wet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improved developer image
JP3528069B2 (ja) 現像装置
JPH04157483A (ja) 接触帯電方式の画像形成装置
JP3556760B2 (ja) 湿式画像形成装置
JP3133205B2 (ja) カラー画像記録装置
US7899384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ducing charge roller contamination
JP5280815B2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962622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