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0217B1 -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 Google Patents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0217B1
KR100420217B1 KR10-2001-0049115A KR20010049115A KR100420217B1 KR 100420217 B1 KR100420217 B1 KR 100420217B1 KR 20010049115 A KR20010049115 A KR 20010049115A KR 100420217 B1 KR100420217 B1 KR 100420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e
preparing
root
shade
wee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9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8631A (ko
Inventor
유소순
Original Assignee
유소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소순 filed Critical 유소순
Priority to KR10-2001-0049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0217B1/ko
Publication of KR20010088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8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0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02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Abstract

본 발명은 해동피, 우슬, 인진쑥, 엉컹퀴뿌리, 창출, 장피를 각각 100g씩 준비한 후, 너삼 10g을 그늘에서 일주일 이상 건조시킨 다음, 물 10리터에 상기 준비한 재료들을 넣어 압력솥에서 2~3시간 가열하여 제1여액을 제조한 후에, 두충피, 감초, 금작근, 느릅나무껍질, 질경이를 100g 씩 준비하여 그늘에 일주일 이상 건조시킨 후에 상기 제1여액에 넣어 다시 압력솥에서 2시간정도 가열한 후에 꺼내어 냉각시킨 다음, 여과하여 여액을 진공포장하여 제조되는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Method and constituent for manufacturing of health care food}
본 발명은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이미 널리 알려진 풀, 뿌리, 넝쿨 등을 끓여서 농축시켜 복용하여 건강을 증진시키는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생활문화와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의해 정신적, 육체적 활동과 과도한 스트레스 등으로 체력의 저하를 다양한 증상으로 느끼며 살아가고 있다. 이에 편승하여 자양강장 음료 등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제품들의 판매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미 일부는 일반화되어 있고, 한약재를 원료로 하는 차의 제조방법은 이미 널리 알려져 왔다.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998-72976호에는 대추, 검정콩, 감초, 당귀 목단, 백작약 잔대, 올리고당을 주재로 한 건강음료가 기술되어 있으며,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00-33537호에는 제올라이트와 백복령을 이용한 식음용수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고,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97-68910호에는 연옥분을 녹차 등에 혼합하여제조된 기능성음료의 제조방법이 공개되어 있으며,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00-23938호에는 삼백초와 쑥 및 신선초를 추출한 후에 고온 농축하여 알카리성 식품으로 사용하는 생약재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고,
국내공개특허번호 공개번호 제98-61431호에는 자양강장에 효과가 있는 한약재를 원료로 한 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으나,
상기 종래의 기술들은 원료를 추출 농축한 다음 차를 제조하거나, 건강음료를 제조하여 편리하게 시음할 수 있으나, 원료의 구입이 어렵고 고가이기 때문에 쉽게 차를 제조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왔으며, 약리성과 자극적인 독성으로 인하여 맛감각 적으로의 불쾌감은 물론, 장기 복용 시 체내에 과대한 부담을 주어 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예로부터 식용으로 많이 사용되었으며, 검증이 된 값싸고, 주위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풀, 뿌리 넝쿨 등을 주원료로 하는 추출 및 제조과정을 거쳐 음료를 제조함으로서 취급이 편리하고 간편하게 시음할 수 있으며, 현대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해동피, 우슬, 인진쑥, 엉컹퀴뿌리, 창출, 장피, 두충피, 감초, 금작근, 느릅나무껍질, 질경이를 각각 동일중량과, 너삼은 상기 각각의 중량 1/10로 조성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해동피, 우슬, 인진쑥, 엉컹퀴뿌리, 창출, 장피를 각각 100g씩 준비한 후, 너삼 10g을 그늘에서 일주일 이상 건조시킨 다음, 물 10리터에 상기 준비한 재료들을 넣어 압력솥에서 2~3시간 가열하여 제1여액을 제조한 후에, 두충피, 감초, 금작근, 느릅나무껍질, 질경이를 100g 씩 준비하여 그늘에 일주일 이상 건조시킨 후에 상기 제1여액에 넣어 다시 압력솥에서 2시간정도 가열한 후에 꺼내어 냉각시킨 다음, 여과하여 여액을 진공포장하여 제조되는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해동피는 음나무 또는 엄나무의 껍질을 말하는 것으로서, 학명이 Kalopanax pictus(Thunb) Nakai, 높이 20미터까지 자라며 작은 가지에는 굵은 가시가 있고, 긴가지에 잎이 호생하고 딱딱한 지질로서 원형에 가깝고 손바 닥 모양으로 5~7가래 찢어졌고 삼각상 난형 내지 장원상 난형이다 과실은 구형에 가깝고 개화기는 7~8월이며 결실기는 9~10월이며 산기슭의 양지쪽이나 길섶에 나며 전국에 분포하며 연중 수시로 껍질을 벗겨 조피를 제거하여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린다.
맛은 쓰고 성질은 차며 무독하다, 청혈 거풍, 제습의 효능이 있으며 류머티성 골통을 치료한다.(도해향약(생약)대사전, 정진섭, 신민교 편저, 영림사, 도서출판 1998년발행 438쪽 참조)
너삼은 고삼이라고도 하며 학명이 Sophora flavescens Ait 이며 다년생 초본으로 높이 100Cm에 달하고 뿌리는 원주상이며 비대하고 표면은 황색이다.
잎은 기수익상복엽이며 호생하고 엽병이 길다 종자는 보통 3~7개, 흑색이며 구형에 가깝고 개화기는 6~8월이다 산이나 들의 햇볕이 잘 드는 곳에 나고 전국에 분포되어 있다 뿌리는 가을에 채취하여 근두와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서 햇볕에 말린다.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이뇨작용과 항부정맥작용, 항결핵균 및 항 피부사상균에 좋으며, 청열, 조습, 살충의 기능이 있으며, 급성편도선염, 탈홍, 음창, 습진, 화상 등의 치료에도 사용한다(도해향약(생약)대사전, 정진섭, 신민교 편저, 영림사, 도서출판 1998년발행 707쪽 참조).
우슬은 학명이 Achyranthes bicentata BL 이며 다년생 초본으로 높이 50~100Cm이며 뿌리는 가늘고 외피는 다갈색이며 줄기는 곧게 섰고 네모졌으며 마디에 가지가 대생하며 개화기는 8~9월이며 전국의 산이나 들의 노변에 분포하는 비름과 초본의 뿌리를 말하며 줄기와 잎이 마른 다음에 캐 수염뿌리 흙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려 유황으로 여러 번 훈증하여 끝을 끊어내고 고르게 간추려서 다시 말린 것으로서,
자궁수축작용이 있으며 장운동을 활발하게 하고 혈압강하작용, 심장의 수축, 말초혈관의 확장에 효과가 있으며, 지통작용 및 약간의 이뇨작용이 있으며, 정혈, 이뇨, 통증제거, 혈뇨, 월경불순, 산후의 복통, 통증을 다스리며 간과 위를 보호하고 근골은 튼튼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도해향약(생약)대사전, 정진섭, 신민교 편저, 영림사, 도서출판 1998년발행 339내지 340쪽 참조).
감초는 맛이 달고 성질은 평온하며, 글리세리진이 함유하고 있어, 약물중독, 식물중독 체내대사물의 중독분만 아니라, 세균독소등에 해독작용이 있으며, 항염증과 항알레르기반응 작용이 있으며, 강심작용과 혈중콜레스테롤을 함량을 감소시키는 작용이 있다(도해향약(생약)대사전, 정진섭, 신민교 편저, 영림사, 도서출판 1998년 발행 684, 685쪽 참조)).
인진쑥은 학명이 Artenisia capillaris Thunb)이며, 다년생 초본으로 높이 40~100Cm이며, 직립경으로, 목질화되고 가지가 많으며 묵은 가지에는 털이 없지만 어린가지는 회백색의 가는 유모로 뒤덮여 있다. 영양지의 엽신은 2~3회 익상분열 또는 당상분열하며 열편은 선형의 흰색의 털로 뒤덮여 있다 개화기는 8~9월이며 전국에 분포한다 인진쑥에는 시네올(Cineol), 콜린(Coline), 유컬라프톨(Eucalyptol), 아데닌(Adenine), 모노기닌(Monogynin), 아르테미신(Artemisin)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항균작용을 하며, 응혈제로 사용하며, 거담효과가 있으며, 습한을 몰아내는 등의 성질이 있다(도해향약(생약)대사전, 정진섭, 신민교 편저, 영림사, 도서출판 1998년발행 1016쪽 참조).
느릅나무는 학명이 Ulmaceae 로서, 키가 작은 나무 같은 것오 있으며 껍질은 회색으로 반드럽고 윤기가 있고 작은 가지는 갈색이고 광택이 있으며 전남북 및 경기, 강원도 이북에 분포한다 지해작용과, 거담작용 및 항균작용이 있다(도해향약(생약)대사전, 정진섭, 신민교 편저, 영림사, 도서출판 1998년발행 534쪽 참조).
엉컹퀴는 학명이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Kitamura 이며, 다년생 초본으로 높이는 50Cm에 달하고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져 있으며 거미줄 같은 흰색의 잔털이 있고 잎은 호생하고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면 시들어서 볼수 없다, 개화기는 6~8월이며 전국에 분포하며 맛은 달면서 쓰고 성질은 냉하며 무독하고, 청열, 정혈, 활혈, 해독의 효능이 있으며 부인의 비만, 토혈, 등을 치료한다(도해향약(생약)대사전, 정진섭, 신민교 편저, 영림사, 도서출판 1998년발행 1041~1042쪽 참조).
창출은 삽주 및 동속 근록식물의 근경이며, 삽주의 학명은 Atractylokes japonica Koidz 인 다년생 초본으로 높이 70Cm에 달하며 근경은 비대하고 마디가 있다 개화기는 7~10월이며 꽃은 백색이고 결실기는 9~10월이고 전국에 분포하며 맛은 시고 쓰며 성질은 따듯하며 중추신경제어작용, 항 히스타민작용이 있으며, 혈당을 강하시키며, 소량에서는 혈압을 높이나 다량에서는 혈압을 강하시키며 이뇨작용을 하여 건위 조습, 거풍, 발한, 식욕부진, 말라리아, 수종, 풍한으로 인한 질병을 치료한다(도해향약(생약)대사전, 정진섭, 신민교 편저, 영림사, 도서출판 1998년발행 1025~1026쪽 참조).
두충피는 두충나무의 껍질로서 학명이 Eucommia ulmiedes Oliv이며 높이 20m에 달하며 작은 가지는 미끄럽고 광택이 있고 껍질, 가지, 잎에는 모두 맥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단엽이 호생하며 유원형이거나 난형 끝은 날카롭고 밑부분은 넓고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다 개화기는 4~5월이며 결실기는 9월이며 중국이 원산지이며 각지에서 재배한다 두충나무의 껍질인 두충은 4월에서 5월 중순사이에 12~15년이상된 나무껍질을 벗겨 조피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려 통풍이 잘되는 곳에 건조한다 맛은 달고 약간 시며, 성질은 따듯하며 혈압강하작용과 이뇨작용 및 혈압강하작용이 있으며, 보간, 보위 의 효능이 있으며, 고혈압 잔뇨, 에 효능이 있다(도해향약(생약)대사전, 정진섭, 신민교 편저, 영림사, 도서출판 1998년발행 605~606쪽 참조).
골담초는 학명이 Caragana chamlagu Lam 이며 높이 1~2m의 나엽관목으로 줄기는 곧게 뻗거나 다수가 모여서 나고 소피는 가늘고 길며 개화기는 5월이며, 결실기는 9~10울이며 중부, 남부에 분포하며 뿌리는 금작근이라 한다.
금작근은 연중 수시로 캐내서 진흙을 깨끗하게 씨고 수염뿌리와 흑갈색의 껍질을 벗겨내고 신선한 것을 쓰거나 햇볕에 말리고 맛은 쓰고 시며 성질은 평온하며 뿌리에는 알칼로이드 배당체, 사포닌 전분 등이 함유되어 있다. 중추신경에 작용하여 혈압강하작용이 있으며, 청폐, 활혈 통맥의 효능이 있어 허손노열, 고혈압등을 치료한다 (도해향약(생약)대사전, 정진섭, 신민교 편저, 영림사, 도서출판 1998년발행 669~670쪽 참조).
장피는 녹나무의 껍질로서 녹나무는 학명이 Cinnamomum camphora(L). Sieb로서 낙엽대형나무로 높이 20~30미터에 달하고 작은 가지는 황녹색이며, 윤택이 있고, 가지, 잎에서 향기가 나며, 잎은 호생하며 난형 또는 난상 원형에 끝이 뽀족하고 밑부분도 날카로우며 길이 6~10, 직경 3~6Cm이다. 개화기는 5~6월이며, 결실기는 10월이며 제주도 및 남부의 산기슭 양지에 나며 맛은 시고 정질은 따듯하다. 행기, 지통, 거풍습에 효능이 있으며, 위통, 각기, 타박상을 치료한다(도해향약(생약) 대사전, 정진섭, 신민교 편저, 영림사, 도서출판 1998년발행 449~451쪽 참조).
질경이는 학명이 Plantago asiatica Decaisne이며 다년생 초본으로 화경까지의 높이는 50Cm내외이고 수염뿌리가 있으며 원줄기가 없고 많은 잎이 뿌리에서 나와 비스듬히 퍼진다. 개화기는 6~9월이며 결실기는 7~10월이다 맛은 달고 성질은 차며, 거담작용, 항균작용 항염증작용 항종양작용이 있어, 이수, 청열, 명목, 거담에 효능이 있으며, 소변불통, 대하, 혈노, 항달, 수종, 급성편도섬염등을 치료 한다(도해향약(생약)대사전, 정진섭, 신민교 편저, 영림사, 도서출판 1998년발행 1004~1005쪽 참조).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였다.
실시예
해동피, 우슬, 인진쑥, 엉컹퀴뿌리, 창출, 장피를 각각 100g씩 준비한 후, 너삼 10g을 그늘에서 일주일 이상 건조시킨 다음, 물 10리터에 상기 준비한 재료들을 넣어 압력솥에서 2~3시간 가열하여 제1여액을 제조한 후에, 두충피, 감초, 금작근, 느릅나무껍질 및 질경이를 100g 씩 준비하여 그늘에 일주일 이상 건조시킨 후에 상기 제1여액에 넣어 다시 압력솥에서 2시간정도 가열한 후에 꺼내어 냉각시킨 다음, 여과하여 여액을 진공 포장하여 건강보조식품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제조한 건강보조식품의 조성을 살펴보면, 해동피, 우슬, 인진쑥, 엉컹퀴뿌리, 창출, 장피, 두충피, 감초, 금작근, 느릅나무껍질, 질경이를 각각 동일중량과, 너삼은 상기 각각의 중량 1/10로 조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시 말하면, 해동피, 우슬, 인진쑥, 엉컹퀴뿌리, 창출, 장피, 두충피, 감초, 금작근, 느릅나무껍질, 질경이 및 너삼의 조성비율이 1: 1: 1: 1: 1: 1: 1: 1: 1: 1: 1: 0.1로 조성되어 있는 것이다.
실험예(관능검사)
상기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차를 훈련된 관능평가 요원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관능검사는 기호도 등에 대해 실시하였다.
표 1
평가항목 기호도 향의 강도 비 고
4.0
실시예 1 4.4
종래의 한약차 3.8 3.0
통상의 꿀 4.1 4.1
관능평점 - 1 : 아주 나쁘다, 아주 약하다
2 : 나쁘다, 약하다
3 : 보통이다
4 : 좋다, 강하다
관능검사결과 본 발명의 건강음료는 전체적인 맛이 조화를 이루었으며, 각 재료의 향의 강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피로를 회복하고 숙취 해독시키며 현대인의 공해 및 스트레스로 인하여 인체 내에 축척 되어 있는 각종독소를 제거하여 소화력과 이뇨작용, 피로회복, 관절염, 신경통에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각종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높은 것이다.

Claims (2)

  1.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해동피, 우슬, 인진쑥, 엉컹퀴뿌리, 창출, 장피를 각각 100g씩 준비한 후, 너삼 10g을 그늘에서 일주일 이상 건조시킨 다음, 물 10리터에 상기 준비한 재료들을 넣어 압력솥에서 2~3시간 가열하여 제1여액을 제조한 후에,
    두충피, 감초, 금작근, 느릅나무껍질 및 질경이를 100g 씩 준비하여 그늘에 일주일 이상 건조시킨 후에 상기 제1여액에 넣어 다시 압력솥에서 2시간정도 가열한 후에 꺼내어 냉각시킨 다음, 여과하여 여액을 진공 포장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2. 삭제
KR10-2001-0049115A 2001-08-14 2001-08-14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100420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115A KR100420217B1 (ko) 2001-08-14 2001-08-14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115A KR100420217B1 (ko) 2001-08-14 2001-08-14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8631A KR20010088631A (ko) 2001-09-28
KR100420217B1 true KR100420217B1 (ko) 2004-03-04

Family

ID=19713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9115A KR100420217B1 (ko) 2001-08-14 2001-08-14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02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146A (ko) * 2002-02-27 2002-04-03 이종선 느릅나무, 인진쑥환을 주제로 한 건강식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203A (ko) * 1998-07-01 2000-02-07 박재홍 느릅나무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보조음료조성물
KR20010001953A (ko) * 1999-06-10 2001-01-05 박철 엄나무성분을 주재로한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010008352A (ko) * 2000-11-25 2001-02-05 박인복 엄나무 음료
KR20010023456A (ko) * 1997-08-28 2001-03-26 시아오잉 수 3 상 동력 케이블의 플러그 유형 연결구
KR100371601B1 (ko) * 2000-06-09 2003-02-11 천현욱 한방건강차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3456A (ko) * 1997-08-28 2001-03-26 시아오잉 수 3 상 동력 케이블의 플러그 유형 연결구
KR20000007203A (ko) * 1998-07-01 2000-02-07 박재홍 느릅나무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보조음료조성물
KR20010001953A (ko) * 1999-06-10 2001-01-05 박철 엄나무성분을 주재로한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0371601B1 (ko) * 2000-06-09 2003-02-11 천현욱 한방건강차의 제조방법
KR20010008352A (ko) * 2000-11-25 2001-02-05 박인복 엄나무 음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8631A (ko) 200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590B1 (ko) 숙취 해소용 한약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1868050B1 (ko) 약용 꽃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60087112A (ko) 꽃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60598A (ko) 쌍화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166883B1 (ko) 당귀, 천궁, 갈근, 작약, 숙지황, 황기, 홍삼, 건강, 감초, 계피 및 대추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40322B1 (ko) 홍삼, 당귀, 천궁, 황기, 대추, 백출, 작약, 감초, 계피 및 숙지황으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56901A (ko) 인진쑥, 헛개열매, 오리나무, 감초, 갈근 및 구기자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89944B1 (ko) 항산화 미백 활성을 갖는 생약 혼합 추출물
CN105192235A (zh) 一种罗汉果薄荷糖及其制作方法
KR101224196B1 (ko) 비타민나무 추출물과 생약제가 함유된 오메가 - 3 제조방법
KR20180089696A (ko) 천연식물 추출물의 잔류농약 제거방법
KR100780552B1 (ko) 한약재를 포함한 영·유아용 기능성 분유 및 그 제조방법
KR19990037871A (ko) 숙취해소용음료및그제조방법
KR20110131143A (ko) 오디 및 한방조성물이 함유된 건강국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건강국수
CN108419869A (zh) 一种清热排毒下火的组合物、饮料及其制备方法
KR100420217B1 (ko)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20040060615A (ko) 유황 오리 엑기스 및 그 제조방법
KR100609643B1 (ko) 피부염 치료용 생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6212783A (zh) 有机茶叶葛藤叶薯叶配方红茶
KR20090014254A (ko) 달콤한 미나리 침출 및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906074B1 (ko) 황기추출액을 주재료로 한 한방건강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815333B1 (ko) 한약재를 이용한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CN110583821A (zh) 一种荷叶玫瑰乌龙茶
KR20090011350A (ko) 쑥 함유 침출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상추출차의 제조방법
KR102487450B1 (ko) 츄잉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