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0186B1 - 초음파 용착기용 부스타의 진동 흡수장치 - Google Patents

초음파 용착기용 부스타의 진동 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0186B1
KR100420186B1 KR10-2001-0005696A KR20010005696A KR100420186B1 KR 100420186 B1 KR100420186 B1 KR 100420186B1 KR 20010005696 A KR20010005696 A KR 20010005696A KR 100420186 B1 KR100420186 B1 KR 100420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protrusion
buster
groove
vibration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5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5265A (ko
Inventor
조대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영초음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영초음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영초음파
Priority to KR10-2001-0005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0186B1/ko
Publication of KR20020065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5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0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01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making use of vibrations, e.g. ultrasonic welding
    • B23K20/106Features related to sono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3/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을 용착시키는 초음파용 용착기에 사용되는 부스타에 관한 것으로, 용착기 본체(1)에 부스타(2)를 체결하는 체결홈(3)을 형성한 다음 부스타(2)를 체결하여 덮개(4)로 덮어 고정볼트(5)로서 고정하되, 부스타(2)의 양측에 진동흡수용 돌출부(6)를 돌출형성하되 진동흡수용 돌출부(6)의 일면 중간부에 요홈(7)을 형성하고, 타측면에는 일면의 요홈(7')보다 크게 다른 요홈(7)를 형성하여 진동흡수용 돌출부(6)의 단면이 'ㄹ'형상이 되도록 하며, 진동흡수용 돌출부(6)의 내측 즉 부스타(2)의 돌출부와 접하는 부분에는 일정하게 좁은 간격으로 관통공(8)을 형성하고, 진동흡수용 돌출부(6)의 외경 중간부에는 고정돌기(9)를 돌출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진동을 자체적으로 흡수하기 때문에 별도의 진동 흡수장치가 필요 없으며, 이로 인하여 정밀한 용착 작업을 할 수가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초음파 용착기용 부스타의 진동 흡수장치{THE METHOD AND DEVICE OF ABSORLING VIBRATION FOR SUPERSONIC WARE DEPOSIFER}
본 발명은 금속을 용착시키는 초음파용 용착기에 사용되는 부스타에 관한 것으로, 초음파 작동시 발생되는 진동을 부스타에서 자체적으로 흡수함과 동시에 부스타를 고정하는 진동흡수용 돌출부를 한 몸체로 만들어 용착기의 정밀도를 최대로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음파 용착기에서는 제품을 용착 시키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 바, 이때 부스타의 고정날개에 진동이 발생하게 되면 제품을 접착시키고자 하는 부분에 정확하게 진동을 가하여 용융을 시킬 수가 없기 때문에 정밀도가 떨어지게 되고, 또한 기계의 안정도 및 용착에 문제를 일으키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각 회사마다 진동을 흡수시킬 수 있는 방법이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추세이다.
즉 종래에 용착기에 부스타를 고정시켜온 방법은 용착기본체의 내부에 부스타의 고정부를 고정하기 위한 상부지지구와 하부지지구를 설치하되 상, 하부 지지구와 부스타의 고정부 사이에 별도의 진동흡수장치인 고무패킹을 체결하여 고정하는 방식과 부스타의 후미에 고정날개를 체결하고, 이 고정날개를 용착기 본체에 고정시키는 방법이 주종을 이루어 왔다.
그러나 상기 전자와 같은 구성은 부스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상, 하부 고정구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고무패킹이 흡수하도록 하였으나 장기간 사용할 경 우 고무패킹의 완충력이 떨어져 부스타의 흔들림이 크게 발생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고무패킹에 의하여 진동을 흡수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부스타의 진동이 심하여 용융시키고자 하는 부분에 정확하게 밀착시킬 수가 없기 때문에 정밀한 용착을 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부스타와 진동흡수장치가 별도로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진동흡수용 고무패킹을 이용할 경우 수명이 단축됨으로서 정밀도가 떨어져 부품을 자주 교체를 하여야 하고 이로 인하여 불필요한 작업을 함으로서 작업시간의 낭비와 인건비를지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후자의 방법은 부스타의 후미에 고정날개를 삽입 체결한 다음 이 고정날개를 용착기에 체결하여 고정하는 방식으로서 부스타에 직접 고정날개가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부스타에 진동이 발생할 경우 진동이 그대로 용착기에 전달됨으로서 진동이 심하여 정밀성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부스타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를 지그재그 식의 단면을 갖도록 함과 동시에 돌출부의 끝부분과 본체 사이에는 좁은 간격으로 통공을 형성함으로서 진동이 발생할 경우 돌출부에 형성된 통공과 지그재그 식의 단면에 의하여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덮개를 개폐한 상태의 개략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를 보인 전체 개략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 부스타의 요부절개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 부스타의 측면도도 5 는 본 발명 진동 흡수용 돌출부의 발췌 확대 절단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초음파 용착기 본체 2. 부스타 3. 체결홈
4. 덮개 5. 고정볼트 6. 진동흡수용 돌출부
7. 7′. 요홈부 8. 관통공 9. 고정돌기
초음파 용착기 본체에 형성된 체결홈과 부스타의 양측에 형성된 돌출부사이에 진동흡수용 패킹을 체결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용착기 본체(1)에 부스타(2)를 체결하는 체결홈(3)을 형성한 다음 부스타(2)를 체결하여 덮개(4)로 덮어 고정볼트(5)로서 고정하되, 부스타(2)의 양측에 진동흡수용 돌출부(6)를 돌출 형성하되 진동흡수용 돌출부(6)의 일면 중간부에 요홈(7)을 형성하고, 타측면에는 일면의 요홈(7')보다 크게 다른 요홈(7)을 형성하여 진동흡수용 돌출부(6)의 단면이 'ㄹ'형상이 되도록 하며, 진동흡수용 돌출부(6)의 내측 즉 부스타(2)의 돌출부와 접하는 부분에는 일정하게 좁은 간격으로 관통공(8)을 형성하고, 진동흡수용 돌출부(6)의 외경 중간부에는 고정돌기(9)를 돌출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조립 및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초음파 용착기 본체(1)의 체결홈(3)에는 덮개(4)를 분리한 상태에서 부스타(2)를 삽입하며, 부스타(2)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부스타(2)의 상부에 덮개(4)를 덮고 고정볼트(5)로 고정하면 용착기 본체(1)와 덮개(4)가 고정볼트(5)에 의하여 압착되면서 고정되므로 덮개(4)와 초음파 용착기 본체(1)의 체결부에 의하여 진동 흡수용 돌출부(6)를 강하게 압착함으로 견고히 고정하게 된다.
이때 진동 흡수용 돌출부(6)의 외경 중간부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고정돌기(9)가 덮개(4)와 초음파 용착기 본체(1)의 체결홈(3)에 접하면서 견고히 고정하게 됨으로 진동 흡수용 패킹(6)과 덮개(4)및 초음파 용착기 본체(1)의 체결홈(3)간에는 접촉 면적을 최소로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초음파 용착을 하게되면 초음파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부스타(2)에 진동이 발생하게 되고 이 진동파는 부스타(2)에서 초음파 용착기 본체(1)쪽으로 방출하게 되므로 진동파가 진동흡수용 돌출부에 의하여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즉 부스타(2)에 전달된 진동파는 부스타(2)의 양측에 돌출형성 되어 있는 진동 흡수용 돌출부(6)에 전달됨과 동시에 진동 흡수용 돌출부(6)의 내경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8)과 그 상측에 형성된 요홈(7')에 의하여 진동흡수용 돌출부의 내경이 하나의 판체로 형성되고, 그 지지면적 또는 관통공(8)과 요홈(7')에 의하여 좁기 때문에 진동흡수용 돌출부의 수평부분이 각각 진동을 할 수가 있기 때문에 1차적으로 진동이 흡수하게 된다.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부스타(2)의 돌출부와 접하고 있는 진동흡수용 돌출부(6)의 내경에 일정한 간격으로 관통공(8)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측에는 요홈(7')에 의하여 진동흡수용 돌출부(6)가 하나의 판체를 이루게 되고, 이와 동시에 판체의 일측만이 외측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진동 흡수용 돌출부(6)의 내측에 진동이 전달됨과 동시에 진동흡수용 돌출부(6)의 내경이 진동을 하게 됨으로 1차로 진동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상기와 같이 1차로 진동이 흡수되고 남은 잔여 진동이 진동흡수용 패킹(6)의 외측으로 전달되며 이 진동파를 진동흡수용 패킹(6)의 요홈(7)에 의하여 형성된 상측부에 전달됨으로서 전자의 방식에 의하여 진동파를 완벽하게 흡수할 수가 있는 것이다.이와 같이 부스타(2)에 발생된 진동은 부스타(2)를 타고 용착기 본체(1)방향으로 이동하다가 부스타(2)의 양측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진동 흡수용 돌출부(6)의 내경부터 외경으로 지그재그 방식으로 이동하면서 다단식으로 진동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부스타(2)의 양측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진동 흡수용 돌출부(6)가 'ㄹ'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부스타(6)에 진동이 발생하게되면 진동파는 각 진동흡수용 돌출부(6)의 내경을 이루고 있는 판체에 의하여 1차로 진동을 흡수하게 되고, 내경을 통과한 잔여 진동을 그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요홈(7)에 의하여 형성된 외판에 의하여 진동이 2차로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한편 본 발명과 같은 'ㄹ' 형상의 단면 구성을 가진 진동흡수용 패킹을 제작하여 부스타의 양측에 체결하여도 본 발명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부스타의 양측 돌출 형성되어 있는 진동 흡수용 돌출부를 지그재그 식의 단면을 갖도록 함과 동시에 진동 흡수용 돌출부의 끝부분과 부스타 사이에는 좁은 간격으로 통공을 형성함으로서 진동이 발생할 경우 돌출부에 형성된 통공과 지그재그 식의 단면에 의하여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진동을 자체적으로 흡수하기 때문에 별도의 진동 흡수장치가 필요 없으며, 이로 인하여 정밀한 용착 작업을 할 수가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4)

  1. 삭제
  2. 초음파 용착기 본체에 형성된 체결홈과 부스타의 양측에 형성된 돌출부사이에 진동흡수용 패킹을 체결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용착기 본체(1)에 부스타(2)를 체결하는 체결홈(3)을 형성한 다음 부스타(2)를 체결하여 덮개(4)로 덮어 고정볼트(5)로서 고정하되, 부스타(2)의 양측에 진동흡수용 돌출부(6)를 돌출 형성하되 진동흡수용 돌출부(6)의 일면 중간부에 요홈(7)을 형성하고, 타측면에는 일면의 요홈(7')보다 크게 다른 요홈(7)을 형성하여 진동흡수용 돌출부(6)의 단면이 'ㄹ'형상이 되도록 하며, 진동흡수용 돌출부(6)의 내측 즉 부스타(2)의 돌출부와 접하는 부분에는 일정하게 좁은 간격으로 관통공(8)을 형성하고, 진동흡수용 돌출부(6)의 외경 중간부에는 고정돌기(9)를 돌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용착기용 부스타의 진동 흡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진동흡수용 돌출부(6)의 단면이 'ㄹ'형상이 되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용착기용 부스타의 진동 흡수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부스타의 양측에 진동흡수용 돌출부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용착기용 부스타의 진동 흡수장치.
KR10-2001-0005696A 2001-02-06 2001-02-06 초음파 용착기용 부스타의 진동 흡수장치 KR100420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5696A KR100420186B1 (ko) 2001-02-06 2001-02-06 초음파 용착기용 부스타의 진동 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5696A KR100420186B1 (ko) 2001-02-06 2001-02-06 초음파 용착기용 부스타의 진동 흡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5265A KR20020065265A (ko) 2002-08-13
KR100420186B1 true KR100420186B1 (ko) 2004-03-04

Family

ID=27693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5696A KR100420186B1 (ko) 2001-02-06 2001-02-06 초음파 용착기용 부스타의 진동 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01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390B1 (ko) * 2006-06-27 2006-12-20 조국환 초음파 용착기용 진동 흡수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71396A (en) * 1979-11-15 1981-06-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upport method for ultrasonic wave oscillation system
JPH04267130A (ja) * 1991-02-22 1992-09-22 Mishima Daiji 超音波振動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71396A (en) * 1979-11-15 1981-06-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upport method for ultrasonic wave oscillation system
JPH04267130A (ja) * 1991-02-22 1992-09-22 Mishima Daiji 超音波振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5265A (ko) 2002-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8012B2 (en) Bracket fixing structure
JPH10326097A (ja) 吸音材
JP2003097634A (ja) 制振装置
KR100420186B1 (ko) 초음파 용착기용 부스타의 진동 흡수장치
JPH0993877A (ja) モータブラシの支持構造
KR20060016331A (ko) 인스트루먼트 패널 일체형 디프로스터 덕트
JP2007114617A (ja) 防音カバー
JPS62149552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ルの振動抑制装置
JP2005088868A (ja) 車両用ドアヒンジ装着構造
JP3719888B2 (ja) バンパーラバー
KR20050025937A (ko) 자동차의 외장 부품과 물질 융해를 통해 외장 부품에연결되는 다른 부품으로 구성되는 조립체 및 상기부품들을 조립하는 방법
JPH08184345A (ja) 液体封入ダンパー
JPH0425310Y2 (ko)
JP2003090387A (ja) マウント装置
JPH10318330A (ja) 防振装置
JP4189763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KR100334271B1 (ko) 다이내믹 댐퍼와 리프스프링의 취부구조
RU2144864C1 (ru) Конструкция крепления внутренней обивки двер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DE60040094D1 (de) Elastisches rad
KR100508450B1 (ko) 트랜스미션 마운팅 구조
JP2002195159A (ja) 圧縮機の支持装置
KR20020078456A (ko) 차량의 체결부재
JPH0914341A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
KR100387854B1 (ko) 차량용 도어의 도어트림장착구조
KR0148924B1 (ko) 진공청소기의 전방 방진캡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