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9942B1 - 기록재생기를갖는비디오카메라및그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기록재생기를갖는비디오카메라및그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9942B1
KR100419942B1 KR1019970007216A KR19970007216A KR100419942B1 KR 100419942 B1 KR100419942 B1 KR 100419942B1 KR 1019970007216 A KR1019970007216 A KR 1019970007216A KR 19970007216 A KR19970007216 A KR 19970007216A KR 100419942 B1 KR100419942 B1 KR 100419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ideo
video camera
horizontal synchronizing
os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7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2398A (ko
Inventor
아카네 야마다
하지메 와타나베
히로유키 사토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80072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2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9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9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동기 신호 분리 회로, LCD 패널, 신호 라인, 및 수평 동기 분리 회로 및 PLL 회로로 이루어진 LCD 제어기를 포함하는 LCD 패널과 OSD IC를 포함하는 기록재생기를 갖는 비디오 카메라가 제공된다. 수평 동기 분리 회로는 동기 신호 분리 회로로부터 수신된 복합 동기 신호로부터 수평 동기 신호를 분리시킨다. PLL 회로는 수평 동기 분리 회로에 의해 분리된 수평 동기 신호에 동기하여 재생된 수평 동기 신호를 발생시킨다. PLL 회로에 의해 출력된 재생된 수평 동기 신호는 신호 라인을 통해 LCD 패널로 공급된다. PLL 회로는 주로 LCD 패널에 재생된 수평 동기 신호를 공급하도록 의도된 것이지만, 이러한 신호는 단자 및 스위치를 통해 OSD IC에도 공급된다.

Description

기록재생기를 갖는 비디오 카메라 및 그 제어 방법{Video camera having storage medium-equipped recorder-reproduc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기록 매체 장착 기록재생기를 갖는 비디오 카메라 및 그 카메라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기록 매체 장착 기록재생기를 갖는 비디오 카메라로서, 비교가능한 종래 모델들보다 성분 단가가 싼 비디오 카메라 및 그 카메라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의 설명)
도 3A 및 도 3B(이하 함께 도 3으로 칭함)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를 갖는 종래의 휴대용 비디오 카메라의 블록도이다. 도 3의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장착 비디오 카메라는 주로 비디오 카메라(31) 및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32)로 구성된다. 비디오 카메라(31)는 피사체의 영상을 픽업하는 CCD(11) 및 CCD(11)의 출력을 처리하여 예컨대 NTSC 포맷으로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 신호 처리 회로(12)를 포함한다. 비디오 카메라(31)는 수직 동기 신호 발생 회로(14)와 수평 동기 신호 발생 회로(15)로 이루어진 동기 신호 발생 회로(13)를 포함한다. 수직 및 수평 동기 신호 발생 회로(14, 15)에 의해 각각 발생된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는 카메라 신호 처리 회로(12)에 공급된다.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32)는 비디오 카세트(19A)상에 비디오 카메라(31)로부터 발생된 비디오 신호를 기록하고 비디오 카세트(19A)로부터 비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카세트 테이프 구동 유닛(19)을 포함한다. 카세트 테이프 구동 유닛(19)에 의해 재생되어 출력된 비디오 신호는 비디오 IC(16)내의 스위치(17)의 접점 PB를 통해 동기 분리 회로(18)에 공급된다. 스위치(17)의 또다른 접점 EE를 통해, 동기 분리 회로(18)는 카메라 신호 처리 회로(12)에 의해 출력된 비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스위치(17)는 접정 PB 또는 접점 EE를 통해 비디오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된 신호를 라인 출력 신호로서 카세트 테이프 구동 유닛(19) 및 외부 소자에 출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라인 출력 신호는 또한 가산기(27) 및 단자(28)를 통해 LCD 패널 소자(2)에 공급된다.
동기 분리 회로(18)는 스위치(17)를 통해 수신된 비디오 신호로부터 복합 동기 신호를 분리시키고, 분리된 복합 신호를 수평 동기 분리 회로(29) 및 수직 동기 분리 회로(21)에 전송한다. 수평 동기 분리 회로(29)는 수신된 복합 동기 신호로부터 수평 동기 신호를 분리시키고, 분리된 신호를 PLL 회로(AFC 회로)(30)에 공급한다. PLL 회로(30)는 수신된 수평 동기 신호와 동기하여 재생된 수평 동기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와 같이 발생된 신호를 스위치(25)의 접점 PB를 통해 OSD IC(26)에 출력한다.
메카니즘 제어 마이크로 컴퓨터(20)내의 수직 동기 분리 회로(21)는 수신된 복합 동기 신호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를 분리시키고, 분리된 신호를 스위치(22)의 접점 PB를 통해 수직 동기 신호 발생 회로(23)에 공급한다. 또한, 수직 동기 신호 발생 회로(23)는 스위치(22)의 접점 EE를 통해 수직 동기 신호 발생 회로(14)에 의해 출력된 수직 동기 신호를 수신한다. 수직 동기 신호 발생 회로(23)는 스위치(22)를 통해 수신된 수직 동기 신호와 동기하여 재생된 수직 동기 신호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신호를 OSD IC(26)에 제공한다.
OSD IC(26)는 위에서 수신된 재생된 수평 및 수직 동기 신호들과 동기하여 스크린 상에 삽입될 문자들 및 그림들을 나타내는 펄스(펄스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SD) 펄스로 언급됨)를 발생시킨다. 발생된 펄스는 가산기(27)로 전송된다.
가산기(27)는 비디오 IC(16)로부터의 비디오 신호와 OSD IC(26)로부터의 OSD 펄스들을 중첩시킨다. 중첩 동작의 결과는 단자(28)를 통해 LCD 패널 소자(2)로 출력된다.
작동 유닛(24)은 비디오 카메라(31)와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32)를 원하는대로 조작하기를 원하는 사용자에 의해 작동된다. 원하는 동작들을 나타내는 신호들은 메카니즘 제어 마이크로 컴퓨터(20)에 출력된다.
전술된 회로들 및 성분들은 모두 캠코더 엔클로저(camcorder enclosure)(1)에 내장된다.
LCD 패널 소자(2)는 단일 성분으로 캠코더 엔클로저(1)에 부착된다. LCD 패널 소자(2)는 단자(28)를 통해 수신된 비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LCD 패널(46)을 포함한다. LCD 패널 소자(2)내의 동기 신호 분리 회로(41)는 단자(28)를 통해 수신된 비디오 신호로부터 복합 동기 신호를 분리시키고, 분리된 신호를 LCD 제어기(47)내의 수평 동기 분리 회로(42) 및 수직 동기 분리 회로(44)로 전송한다. 수평 동기 분리 회로(42)는 수신된 복합 동기 신호로부터 수평 동기 신호를 분리시키고, 분리된 신호를 PLL 회로(AFC 회로)(43)로 출력한다. PLL 회로(43)는 수평 동기 분리 회로(42)로부터 수신된 수평 동기 신호와 동기하여 재생된 수평 동기 신호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신호를 LCD 패널(46)에 제공한다. 수직 동기 분리 회로(44)는수신된 복합 동기 신호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를 분리시키고, 분리된 신호를 게이트 구동기(45)로 전송한다. 게이트 구동기(45)는 수신된 수직 동기 신호와 동 위상으로 게이트 구동기 시작 펄스들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펄스들을 LCD 패널(46)로 출력한다.
전술된 예에서, 사용자는 먼저 비디오 카메라(31)가 영상을 픽업하도록 메카니즘 제어 마이크로컴퓨터(20)에 명령하여 제어 유닛(24)을 동작시킨다. 다음에, 비디오 카메라(3)의 CCD(11)에 의해 픽업된 피사체를 나타내는 비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용 LCD 패널(46)에 공급된다. 작동 유닛(24) 상에 수행된 동작들을 나타내는 문자들 및 기호들은 OSD IC(26)에 의해 발생되어 가산기(27)에 의해 비디오 신호 상에 중첩된다. 중첩 동작은 LCD 패널(46)이 OSD IC(26)에 의해 발생된 문자들 및 그림들을 디스플레이하게 한다.
작동 유닛(24)은 기록 모드를 설정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이 모드에서, LCD 패널(46)에 공급된 비디오 신호의 일부는 카세트 테이프 구동 유닛(19)에 전송되고, 비디오 카세트(19A)에 기록된다.
작동 유닛(24)이 비디오 카세트(19A)로부터의 신호 재생을 명령하도록 동작할 때, 카세트 테이프 구동 유닛(19)으로부터 재생된 신호는 디스플레이용 LCD 패널(46)로 출력된다. 이때, 역시, OSD IC(26)에 의해 발생된 OSD 신호들은 LCD 패널(46)로 출력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된 예에서, 비디오 카세트(19A)의 기록들이 재생될 경우, 수평 동기 분리 회로(29) 및 PLL 회로(30)는 OSC 신호들을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재생된 수평 동기 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한다. LCD 제어기(47)내의 수평 동기 분리 회로(42) 및 PLL 회로(43)는 LCD 패널(46)상에 비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필요한 재생된 수평 동기 신호를 발생시킨다.
전술된 것처럼, 종래의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장착 비디오 카메라는 두세트의 수평 동기 분리 회로 및 PLL 회로, 즉, 한쪽에는 OSD IC(26)에 공급된 재생된 수평 동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평 동기 분리 회로(29) 및 PLL 회로(30)와, 다른쪽에는 LCD 패널(46)에 공급되는 재생된 수평 동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LCD 제어기(47)내의 수평 동기 분리 회로(42) 및 PLL 회로(43)를 포함한다. 그러한 용장 회로(redundant circuit) 구성의 명백한 단점은 성분수의 증가로 인해 단가가 상승한다는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을 실현하는 기록 매체 장착 기록재생기를 갖는 비디오 카메라의 응용으로서 실행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를 갖는 비디오 카메라의 블록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을 실현하는 기록 매체 장착 기록재생기를 갖는 또다른 비디오 카메라의 응용으로서 실행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를 갖는 비디오 카메라의 블록도.
도 3A 및 도 3B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를 갖는 종래의 비디오 카메라의 블록도.
*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CCD 16 : 비디오 IC
21 : 수직 동기 분리 회로 24 : 작동 유닛
27 : 가산기 30, 43 : PLL 회로
42 : 수평 동기 분리 회로
(발명의 개요)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상기 및 다른 단점을 극복하고, 비교가능한 종래 모델들보다 적은 부품을 내장하여 단가를 낮추는 기록 매체 장착 기록재생기를 갖는 비디오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수행에 있어서,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라, 피사체들의 영상들을 픽업하는 비디오 카메라 유닛; 상기 비디오 카메라 유닛으로부터의 비디오 신호를 기록 매체상에 기록하고,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비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기록 재생기; 상기 비디오 카메라 유닛 또는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의 상기 비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수단;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 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OSD 신호들을 발생시키는 OSD 신호 발생 수단; 상기 비디오 카메라 유닛 또는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의 상기 비디오 신호 상에 상기 OSD 신호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OSD 신호들을 중첩시키는 중첩 수단; 상기 비디오 카메라 유닛 또는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의 상기 비디오 신호에 포함된 수평 동기 신호와 동기하여 재생된 수평 동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발생 수단; 상기 재생된 수평 동기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공급하는 제 1 공급 수단: 및 상기 재생된 수평 동기 신호를 상기 OSD 신호 발생 수단에 공급하는 제 2 공급 수단을 포함하는 기록 재생기를 갖는 비디오 카메라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기록재생기를 갖는 상기 비디오 카메라를 제어하여 재생된 수평 동기 신호가 디스플레이 수단 및 OSD 신호 발생 수단에 공급되도록 하는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기록재생기를 갖는 본 발명의 비디오 카메라 및 그 제어 방법의 장점으로서, 재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재생된 수평 동기 신호는 디스플레이 수단뿐만 아니라 OSD 신호 발생 수단에도 공급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측면, 특징 및 장점은 다음 설명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다면 보다 명백해 질 것이다.
(양호한 실시예의 설명)
도 1A 및 도 1B(이하 함께 도 1이라 칭함)은 본 발명을 실현하는 기록 매체 장착 기록재생기를 갖는 비디오 카메라의 응용으로서 실행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를 갖는 비디오 카메라의 대표적 구성을 도시한다.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장착 비디오 카메라는 기본적으로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비디오 카메라와 구조가 동일하다. 한가지 차이점은, 도 1에 도시된 비디오 카메라에는 도 3에 포함된 수평 동기 분리 회로(29) 및 PLL 회로가 빠져 있다는 것이다. 또다른 차이점은, 도 1의 비디오 카메라에서, LCD 제어기(47)내의 PLL 회로(43)(발생 수단)에 의해 출력된 재생된 수평 동기 신호는, 라인(71)(제 1 공급 수단)을 통해 LCD 패널(46)에 공급되고, 라인(72) 및 단자(51)(제 2 공급 수단)를 통해 스위치(25)의 접점 PB에 공급된다는 것이다. 도 1의 실시예의 다른 성분들은 도 3의 종래의 구성과 실질상 동일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사용자는 작동 유닛(24)을 동작시켜 비디오 카메라(31)에 원하는 피사체의 영상을 픽업할 것을 명령한다. 그에 응답하여, 메카니즘 제어 마이크로컴퓨터(20)는 VA/PB 신호를 출력하여 스위치(17,22,25)를 각각 접점 EE에 위치시킨다.
이때, CCD(11)에 의해 픽업된 피사체를 나타내는 신호는 카메라 신호 처리 회로(12)에 입력된다. 카메라 신호 처리 회로(12)는 수직 및 수평 동기 신호 발생 회로들(14 및 15)로부터의 수직 및 수평 동기 신호들과 동기하여 CCD(11)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하고, NTSC 포맷으로 비디오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발생된 비디오 신호는 비디오 IC(16)로 출력된다.
비디오 IC(16)는 스위치(17)의 접점 EE를 통해 카메라 신호 처리 회로(12)로부터 발생된 비디오 신호를 받아들인다. 비디오 신호는 가산기(27) 및 단자(28)를통해 LCD 패널 소자(2)의 LCD 패널(46)에 전송된다. 이때, 동기 신호 분리 회로(41)는 단자(28)를 통해 수신된 비디오 신호로부터 복합 동기 신호를 분리시키고, 분리된 신호를 출력한다. 수평 동기 분리 회로(42)는 동기 신호 분리 회로(41)에 의해 출력된 복합 동기 신호로부터 수평 동기 신호를 분리시키고, 분리된 신호를 PLL 회로(43)로 출력한다. PLL 회로(43)는 수평 동기 분리 회로(42)로부터 수신된 수평 동기 신호에 동기하여 재생된 수평 동기 신호를 발생시킨다. 재생된 수평 동기 신호는 라인(71)을 통해 LCD 패널(46)로 출력된다.
마찬가지로, 수직 동기 분리 회로(44)는 동기 신호 분리 회로(41)로부터 수신된 복합 동기 신호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를 분리시킨다. 이와 같이 분리된 신호는 게이트 구동기(45)로 전송된다. 게이트 구동기(45)는 수신된 수직 동기 신호에 동기하여 게이트 구동기 시작 펄스들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펄스들을 LCD 패널(46)로 출력한다. LCD 패널(46)은 게이트 구동기(45)로부터의 게이트 구동기 시작 펄스들과 PLL 회로(43)로부터 재생된 수평 동기 신호에 동기하여 입력 비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한다. 이것은 사용자가 비디오 카메라(31)에 의해 픽업된 피사체의 영상들을 LCD 패널(46) 상에 모니터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작동 유닛(24)이 기록을 명령하도록 동작하면, 비디오 IC(16)의 스위치(17)를 통해 입력된 비디오 신호는 카세트 테이프 구동 유닛(19)에 공급된다. 다음에 비디오 신호는 비디오 카세트(19A)상에 기록된다.
비디오 카메라(31)가 동작되는 카메라 모드에서, 메카니즘 제어 마이크로컴퓨터(20)는 OSD IC(26)(OSD 신호 발생 수단)를 제어하여 다양한 OSD 신호를 발생시킨다.
전술된 경우에, 메카니즘 제어 마이크로컴퓨터(20)의 스위치(22)는 접점 EE를 통해 수평 동기 신호 발생 회로(23)에 비디오 카메라(31)의 수직 동기 신호 발생 회로(14)로부터의 수직 동기 신호를 공급한다. 수직 동기 신호 발생 회로(23)는 수신된 수직 동기 신호에 동기하여 재생된 수직 동기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발생된 재생된 수직 동기 신호는 OSD IC(26)에 공급된다.
OSD IC(26)에는 스위치(25)의 접점 EE를 통해 비디오 카메라(31)의 수평 동기 신호 발생 회로(15)에 의해 발생된 수평 동기 신호가 공급된다. OSD IC(26)는 수직 동기 신호 발생 회로(23)로부터의 재생된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 발생 회로(15)로부터의 수평 동기 신호에 동기하여 OSD 신호들을 발생시킨다. 발생된 OSD 신호들은 가산기(27)에 공급되어 비디오 신호 상에 중첩된다. 이것은 LCD 패널(46)이 진행중인 동작들에 필요한 적절한 메시지들(문자) 및 기호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작동 유닛(24)이 비디오 카세트(19A)로부터의 신호 재생을 명령하도록 동작하면, 메카니즘 제어 마이크로컴퓨터(20)는 비디오 모드를 설정하고 스위치들(17,22,25)을 각각 접점 PB에 위치시킨다. 작동 유닛(24)이 신호 재생의 시작을 지시하도록 동작할 경우, 카세트 테이프 구동 유닛(19)은 비디오 카세트(19A)의 신호 재생을 시작하고 재생된 비디오 신호를 비디오 IC(16)에 공급한다. 비디오 IC(16)는 스위치(17)의 접점 PB를 통해 재생된 비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이와 같이 수신된 재생된 비디오 신호는 가산기(27) 및 단자(28)를 통해 LCD패널(46)에 전송된다. 이때, 카메라 모드에서와 마찬가지로, LCD 제어기(47)내의 PLL 회로(43) 및 게이트 구동기(45)는 재생된 수평 동기 신호 및 게이트 구동기 시작 펄스들을 각각 발생시켜, 그들을 LCD 패널(46)에 공급한다. LCD 패널(46)은 단자(28)를 통해 수신된 비디오 신호를 재생된 수평 동기 신호와 게이트 구동기 시작 펄스에 동기하여 디스플레이한다.
PLL 회로(43)에 의해 발생된 재생된 수평 동기 신호는 라인(71)을 통해 LCD 패널(46)에 공급될 뿐만 아니라, 라인(72), 단자(51), 및 스위치(25)의 접점 PB를 통해 OSD IC(26)에 공급된다.
동기 분리 회로(18)는 비디오 IC(16) 내의 스위치(17)를 통해 수신된 비디오 신호로부터 복합 동기 신호를 분리시킨다. 이와 같이 분리된 복합 동기 신호는 메카니즘 제어 마이크로 컴퓨터(20)의 수직 동기 분리 회로(21)로 전송된다. 수직 동기 분리 회로(21)는 수신된 복합 동기 신호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를 분리시키고, 분리된 신호를 스위치(22)의 접점 PB를 통해 수직 동기 신호 발생 회로(23)에 공급한다. 수직 동기 신호 발생 회로(23)는 수직 동기 분리 회로(21)로부터 수신된 수직 동기 신호에 동기하여 재생된 수직 동기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발생된 재생된 수직 동기 신호는 OSD IC(26)로 출력된다.
전술된 것처럼, 비디오 카세트(19A)의 신호 재생을 위한 재생 모드(즉, 비디오 모드)에서, 재생된 수직 및 수평 동기 신호들은 비디오 카세트(19A)로부터 유도된 재생된 비디오 신호에 포함되는 수직 및 수평 동기 신호들과 동기하여 발생된다. 이와 같이 발생된 재생된 수직 및 수평 동기 신호는 OSD IC(26)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수신된 재생된 수직 및 수평 동기 신호들과 동기하여, OSC IC들(26)은 작동 유닛(24)의 동작들에 필요한 다양한 메시지들(문자) 및 기호들을 나타내는 OSD 신호들을 발생시킨다. OSD 신호들이 발생되고, 가산기(27)(중첩 수단)로 출력되어 비디오 신호 상에 중첩된다. 이것은 LCD 패널(46)이 적절한 메시지들 및 기호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허용한다.
전술된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처럼, OSD IC(26)에는 LCD 제어기(47)내의 수평 동기 분리 회로(42) 및 PLL 회로(43)에 의해 발생된 재생된 수평 동기 신호(42)가 공급된다. 이런 장치는 도 3의 수평 동기 분리 회로(29) 및 PLL 회로(30)가 불필요해지도록 한다. 더 적은 성분들이 내장되므로, 본 실시예는 제조 단가를 떨어뜨린다.
도 2A 및 도 2B(이하 함께 도 2라 칭함)는 본 발명을 실현하는 기록 매체 장착 기록재생기를 갖는 다른 비디오 카메라의 응용으로서 실행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를 갖는 비디오 카메라를 도시한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도 1의 LCD 제어기(47)에 포함된 수평 동기 분리 회로(42) 및 PLL 회로(43)가 포함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신, 도 3의 종래 모델에서와 같이, 도 2의 실시예는 캠코더 엔클로저(1)에 설치된 수평 동기 분리 회로(29) 및 PLL 회로(30)를 갖는다. PLL 회로(30)의 출력은, 스위치(25)의 접점 PB에 공급되고, 단자(61)를 통해 LCD 패널(46)에 공급된다. 도 2의 실시예의 다른 성분들은 도 1의 실시예의 성분들과 실질상 동일하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수평 동기 분리 회로(29)는 동기 분리 회로(18)에 의해출력된 복합 동기 신호로부터 수평 동기 신호를 분리시키고, 분리된 신호를 PLL 회로(30)에 공급한다. PLL 회로(30)는 수평 동기 분리 회로(29)로부터 수신된 수평 동기 신호에 동기하여 재생된 수평 동기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발생된 재생된 수평 동기 신호는 라인(82)을 통해 단자(61)로 공급되고, 단자(61)로부터 LCD 패널(46)로 공급된다. 따라서, LCD 패널(46)에는 비디오 IC(16)의 스위치(17)를 통해 수신된 비디오 신호 내에 포함된 수평 동기 신호에 동기된 재생된 수평 동기 신호가 두 개의 다른 상태로 각각 공급된다. 즉, 재생된 수평 동기 신호는 비디오 카메라(31)가 동작될 경우 및 재생 모드에서 비디오 카세트(19A)로부터 비디오 신호가 재생될 경우 양자 모두에 제공된다.
PLL 회로(30)에 의해 발생된 재생된 수평 동기 신호는 라인(81)을 통해 스위치(25)의 접점 PB로 공급된다. 이것은 비디오 카세트(19A)로부터의 신호 재생을 위한 재생 모드에서, 재생된 수평 동기 신호가 스위치(25)를 통해 OSD IC(26)에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의 실시예의 다른 동작은 도 1의 실시예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처럼, 수평 동기 분리 회로(29) 및 PLL 회로(30)는 캠코더 엔클로저(1)내에 제공되고, 수평 동기 분리 회로(42) 및 PLL 회로(43)는 LCD 제어기(47)로부터 생략된다. 따라서, 이런 구성으로 이루어지도록 감소된 성분수를 가지므로, 도 2의 실시예는 또한 제조 단가를 떨어뜨릴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는 주로 비디오 카세트 상에 비디오 신호를 기록하는 비디오카세트 레코더 장착 비디오 카메라의 응용으로서 설명되었다. 그러나, 그러한 응용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한 비디오 신호가 임의의 다른 적절한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이, 기록재생기를 갖는 본 발명의 비디오 카메라 및 그 제어 방법에 따라,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재생된 수평 동기 신호는 디스플레이 수단 및 OSD 신호 발생 수단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실현된 본 발명은 수반되는 성분수를 감소시키고, 그에 따라 비디오 카메라의 제조 단가를 떨어뜨린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특정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되었지만, 그런 설명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한 것일 뿐이며, 첨부된 청구범위의 정신 및 범위 내에서 벗어나지 않고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7)

  1. 기록재생기를 갖는 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
    피사체들의 영상들을 픽업하는 비디오 카메라 유닛;
    상기 비디오 카메라 유닛으로부터의 비디오 신호를 기록 매체상에 기록하고,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비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기록재생기;
    상기 비디오 카메라 유닛 또는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의 상기 비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수단;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 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OSD 신호들을 발생시키는 OSD 신호 발생 수단;
    상기 비디오 카메라 유닛 또는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의 상기 비디오 신호 상에 상기 OSD 신호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OSD 신호들을 중첩시키는 중첩 수단;
    상기 비디오 카메라 유닛 또는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의 상기 비디오 신호에 포함된 수평 동기 신호와 동기하여 재생된 수평 동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발생 수단;
    상기 재생된 수평 동기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공급하는 제 1 공급 수단; 및
    상기 재생된 수평 동기 신호를 상기 OSD 신호 발생 수단에 공급하는 제 2 공급 수단을 포함하는, 비디오 카메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 및 상기 발생 수단을 수용하는 제 1 수용 수단, 및
    상기 OSD 신호 발생 수단 및 상기 중첩 수단을 수용하는 제 2 수용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공급 수단은 상기 재생된 수평 동기 신호를 상기 제 1 수용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 2 수용 수단에 전송하는, 비디오 카메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수용하는 제 1 수용 수단, 및
    상기 OSD 신호 발생 수단, 상기 중첩 수단, 및 상기 발생 수단을 수용하는 제 2 수용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공급 수단은 상기 재생된 수평 동기 신호를 상기 제 2 수용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 1 수용 수단에 전송하는, 비디오 카메라.
  4. 기록 매체 장착 기록재생기를 갖는 비디오 카메라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카메라는:
    피사체들의 영상들을 픽업하는 비디오 카메라 유닛;
    상기 비디오 카메라 유닛으로부터의 비디오 신호를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고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비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기록재생기;
    상기 비디오 카메라 유닛 또는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의 상기 비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수단;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 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OSD 신호들을 발생시키는 OSD 신호 발생 수단;
    상기 비디오 카메라 유닛 또는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의 상기 비디오 신호 상에 상기 OSD 신호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OSD 신호를 중첩시키는 중첩 수단; 및
    상기 비디오 카메라 유닛 또는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의 상기 비디오 신호에 포함된 수평 동기 신호와 동기하여 재생된 수평 동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발생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재생된 수평 동기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 및 상기 OSD 신호 발생 수단에 공급되도록 하는, 비디오 카메라의 제어 방법.
  5.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를 갖는 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
    피사체들의 영상들을 픽업하는 비디오 카메라 유닛;
    상기 비디오 카메라 유닛으로부터의 비디오 신호를 비디오 카세트 상에 기록하고 상기 비디오 카세트로부터 상기 비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상기 비디오 카메라 유닛 또는 상기 비디오 카세트로부터의 상기 비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수단;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 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OSD 신호들을 발생시키는OSD 신호 발생 수단;
    상기 비디오 카메라 유닛 또는 상기 비디오 카세트로부터의 상기 비디오 신호 상에 상기 OSD 신호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OSD 신호들을 중첩시키는 중첩 수단;
    상기 비디오 카메라 유닛 또는 상기 비디오 카세트로부터의 상기 비디오 신호에 포함된 수평 동기 신호와 동기하여 재생된 수평 동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발생 수단;
    상기 재생된 수평 동기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공급하는 제 1 공급 수단; 및
    상기 재생된 수평 동기 신호를 상기 OSD 신호 발생 수단에 공급하는 제 2 공급 수단을 포함하는, 비디오 카메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 및 상기 발생 수단을 수용하는 제 1 수용 수단; 및
    상기 OSD 신호 발생 수단 및 상기 중첩 수단을 수용하는 제 2 수용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공급 수단은 상기 재생된 수평 동기 신호를 상기 제 1 수용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 2 수용 수단에 전송하는, 비디오 카메라.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수용하는 제 1 수용 수단; 및
    상기 OSD 신호 발생 수단, 상기 중첩 수단, 및 상기 발생 수단을 수용하는 제 2 수용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공급 수단은 상기 재생된 수평 동기 신호를 상기 제 2 수용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 1 수용 수단에 전송하는, 비디오 카메라.
KR1019970007216A 1996-03-05 1997-03-05 기록재생기를갖는비디오카메라및그제어방법 KR1004199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047017A JPH09247627A (ja) 1996-03-05 1996-03-05 記録媒体記録再生装置付ビデオカメラ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96-047017 1996-03-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2398A KR19980072398A (ko) 1998-11-05
KR100419942B1 true KR100419942B1 (ko) 2004-05-20

Family

ID=12763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7216A KR100419942B1 (ko) 1996-03-05 1997-03-05 기록재생기를갖는비디오카메라및그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949957A (ko)
EP (1) EP0794664A3 (ko)
JP (1) JPH09247627A (ko)
KR (1) KR1004199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4400A (ja) * 1997-04-30 1998-11-13 Sony Corp 信号処理回路
JP2001189929A (ja) * 1999-12-28 2001-07-10 Shimadzu Corp X線透視画像装置
US6959865B2 (en) 2002-03-28 2005-11-01 Hand Held Products, Inc. Customizable optical reader
CN100399408C (zh) * 2005-09-27 2008-07-02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驱动器及相关的驱动模块、显示系统与电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21070A (ja) * 1988-02-29 1989-09-04 Casio Comput Co Ltd 画像情報処理装置
JP2899023B2 (ja) * 1989-09-28 1999-06-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ビデオシステム
KR930010360B1 (ko) * 1990-10-31 1993-10-16 삼성전자 주식회사 동기신호복원회로
JPH06125484A (ja) * 1992-04-17 1994-05-06 Gold Star Co Ltd ムービーカメラ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の映像信号のディスプレイ方法
JP3548191B2 (ja) * 1993-03-22 2004-07-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
KR0139947Y1 (ko) * 1993-07-31 1999-05-01 김광호 캠코더의 문자신호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949957A (en) 1999-09-07
JPH09247627A (ja) 1997-09-19
EP0794664A3 (en) 1999-02-24
KR19980072398A (ko) 1998-11-05
EP0794664A2 (en) 1997-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9942B1 (ko) 기록재생기를갖는비디오카메라및그제어방법
JP2008053839A (ja) 編集装置,映像記録再生装置の制御方法及び編集システム
US5790744A (en) Titl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use in a video signal processing system
JPS63153976A (ja) 撮像装置
JP2001275043A (ja) 記録装置
JPH10150609A (ja) オンスクリーン表示装置
JPH10187111A (ja) 映像信号変換装置
US545562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effective keys
JP2760546B2 (ja) 画像表示装置
KR100206112B1 (ko) 복합영상기기의 작동모드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3286479B2 (ja) 画像展示システム
KR920008938B1 (ko) 화면재생방법 및 그 장치
KR100414789B1 (ko) 보안기능을 갖는 일체형 타임랩스 브이씨알
JP2006115152A (ja) 記録再生装置
JP3144181B2 (ja) 記録再生装置
JPH07169247A (ja) ビデオ編集方法
JP3597662B2 (ja) 映像記録方法および映像記録再生装置
JPH0115008Y2 (ko)
JP2002314849A (ja) 画像出力装置及び方法、並びに記憶媒体
JPH0420310B2 (ko)
JPS59140485A (ja) テレビジヨン文字表示装置
JP3424312B2 (ja) 電子機器
JP3427439B2 (ja) ビデオシステム
JPH0438628Y2 (ko)
JPH08275100A (ja) ディジタルvtrのタイトラ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