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8971B1 -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발신방법과, 이동통신 단말장치 및정보제공 서버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발신방법과, 이동통신 단말장치 및정보제공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8971B1
KR100418971B1 KR10-2001-0030434A KR20010030434A KR100418971B1 KR 100418971 B1 KR100418971 B1 KR 100418971B1 KR 20010030434 A KR20010030434 A KR 20010030434A KR 100418971 B1 KR100418971 B1 KR 100418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information
connection
storage means
mobile commun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0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9205A (ko
Inventor
도이미와코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10109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9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8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89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04L12/2869Operational details of access network equipments
    • H04L12/2898Subscriber equip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24Negotiating SLA [Service Level Agreement]; Negotiating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183Processing at user equipment or user record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통신상대에 대한 접속이 용이하게 행해지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발신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장치를 제공한다.
지역마다 고유한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원하는 단말과 접속하는 네트워크를 매개로 통신을 행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 및 그 발신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서비스 제공원으로의 접속정보를 기억수단에 기억하고, 특정된 현재위치와 사용자가 요구한 서비스에 최적의 서비스 제공원으로의 접속정보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접속정보로부터 선택하고, 이 선택된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요구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발신방법과, 이동통신 단말장치 및 정보제공 서버{SENDING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SERVER FOR PROVID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예컨대 cdmaOne과 같이 글로벌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형의 이동통신 단말장치 및, 이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발신방법 및 그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대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제공 서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전화는 나라마다 통신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예컨대 일본 내에서 사용하는 것은 일본 내에서만 사용하지만, cdmaOne과 같이 동일한 통신방식으로 사용하는 휴대전화가 최근에 출현해 왔다. cdmaOne은 2000년 4월 1일 현재, 일본과 홍콩에서 사용한다. 더욱이, 아시아와 미국에서도 사용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일정한 나라 뿐만 아니라, 복수의 나라에서 1개의 휴대전화로 통화가 가능해지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우선, 잘 거는 전화번호는 단축 다이얼 등으로 휴대전화 자체에 기억되어 있는데, 예컨대 일본 내에서는 「 044-549-xxxx 」로 통화한다고 해도, 홍콩으로부터는 이 번호로는 통화하지 못한다.
우선, 국제전화임을 나타내는 번호와 일본의 국가번호를 부가하고, 더욱이 시외국번의 선두의 「 0 」을 삭제하고, 예컨대 미국으로부터의 경우에는 「 011(국제번호 식별번호)-81(일본의 국가번호)-44-549-xxxx 」로 된다. 문제로 되는 것은, 국제번호 식별번호는 나라에 따라 다르게 되어 있다는 것이다. 미국으로부터 미국 이외로는, 상기의 예와 같이 「 011 」이지만, 일본으로부터 해외로의 경우에는 「 001 」이다. 이와 같이 어느 나라로부터 거는가로, 단축 다이얼 등의 미리 등록된 전화번호를 사용할 수 없게 되버린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단축 다이얼을 사용하지 않고, 정규의 번호로, 국제번호 식별번호나 국가번호를 부가하여, 다이얼 하면 좋지만, 통상은 단축 다이얼 등으로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정규의 번호를 알 수 없다거나 하는 일이 아주 많다. 또한, 매회 전화를 하기 위해, 국제번호 식별번호나 국가번호를 부가한 아주 긴 번호를 누르는 것은, 잘못 누른 전화의 원인으로 되기 쉽다.
마찬가지의 일이 구급전화에도 있다. 일본에서는, 병이나 사고 등이 있을 경우, 구급차로 연락하기 위해서는 「 119 」를 다이얼 하면 되지만, 미국에서는 「 999 」이다. 이와 같이 나라마다, 긴급연락선의 전화번호가 다르게 되어 있는데, 급한 경우에는 정신이 없기 때문에, 좀처럼 정확한 번호를 생각해 내기 어렵고, 일본에서의 번호인 「 119 」 등을 다이얼 해버리는 경향이 있다. 더욱이, 잘 「 999 」를 다이얼 했다 하더라도, 외국인의 오퍼레이터가 나오기 때문에, 어학이 능숙하지 않은 사용자에 있어서는, 구급상황의 내용을 설명하는 것은 어렵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행자에게는 현지 여행회사나, 일본어 등의 모국어로 진찰받을 수 있는 병원 등의 전화번호 등이 팜플렛 등에 알려져 있지만, 짐이 많아 호텔에 내버려 둔 채로 잊어버리거나, 또는 급한 경우에는 정신이 없어 배낭의 짐중에서 찾을 수 없거나 하는 일이 많다.
AOL(America On Line) 등의 네트워크 공급자는 전세계에 접속 포인트가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세계중 어디에서라도 인터넷으로 접속하여, 메일의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통상은, 접속 포인트는 자신이 잘 사용하는 장소에 가장 가까운 곳에 설정하고 있다. 해외에서는, 접속 포인트를 바꿀 필요가 있는데, 문제로 되는 것은 자신이 현재 있는 장소에서 가장 가까운 접속 포인트가 어디인지, 가장 편안한 접속 포인트가 어디인지를 좀처럼 알 수 없다는 점이다. 일본 내에서도, 접속 포인트 리스트가 있는 지명중에, 자신이 지금 있는 장소의 이름이 있을 경우에는, 그 지명을 선택하면 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어디가 가장 가까운 장소인지판단하기 어렵다. 더구나, 그것이 해외이면, 더욱 판단이 불가능하다.
이와 같이, 종래의 휴대전화 등의 휴대 단말장치에서는, 국제번호 식별번호나 국가번호 등이 각국마다 다르다는 제약 때문에, 예컨대 단축 다이얼로서 미리 등록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국제전화를 거는 것이 불가능 했다.
또한, 해외에서, 예컨대 긴급상황에서 모국어로 전화서비스를 받으려고 할 경우에 원하는 상대로 용이하게 전화를 거는 것이 불가능 했다.
더욱이, 사용자가 어디에 있어도, 그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또는 가장 저렴한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 포인트로의 접속이 용이하게 행해지지는 않았다.
즉, 종래의 휴대전화 등의 이동통신 단말장치에서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의 원하는 통신상대에 대한 접속이 용이하게 행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의 원하는 통신상대에 대한 접속이 용이하게 행해지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발신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로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의 원하는 서비스 제공원에 대한 접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지역마다 고유한 그 서비스 제공원으로의 최신의 접속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어디에서도(어느 나라에서도), 미리 등록된 전화번호를 이용한 국제전화나 긴급시의 연락선으로의 전화가 용이하게 행해진다.
또한, 어디에 있어도, 가장 가까운 또는 가장 저렴한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 포인트로의 접속이 가능해진다.
더욱이, 사용자가 어디에 있어도, 특히 해외에 있을 경우에도, 그 현지의 언어와 해당 사용자의 모국어와의 사이의 사전 데이터를 이용하여 원하는 문서 등의 번역을 용이하게 행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위치정보에 의존하는 접속정보의 선택처리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3은 접속정보 기억부에서의 접속 포인트의 리스트의 기억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접속정보 기억부에서의 긴급연락선의 리스트의 기억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접속정보 기억부에 기억되는 등록된 단축 다이얼의 리스트의 기억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전화번호를 편집할 경우에 사용하는, 각국의 국명과 대표위치와, 국제번호 식별번호 등의 테이블의 기억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국제전화의 발신처리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9는 제1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 접속정보 기억부에 기억하는 최신의 접속정보의 리스트를 서비스 서버와 교신하여 취득할 경우의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접속 지시부, 2 --- 접속정보 기억부,
3 --- 선택부, 4 --- 정보 입력부,
5 --- 정보 제시부, 7 --- 위치정보 취득부,
8 --- 송수신부, 9 --- 제어부,
10 --- 위치정보 제공장치, 13 --- 편집부,
14 --- 언어 선택부, 15 --- 사전 데이터 기억부,
16 --- 번역엔진(번역 처리부), 100 --- 서비스 서버.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역마다 고유한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원하는 단말과 접속하는 네트워크를 매개로 통신을 행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 및 그 발신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서비스 제공원으로의 접속정보를 기억수단에 기억하고, 특정된 현재위치와 사용자가 요구한 서비스에 최적의 서비스 제공원으로의 접속정보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접속정보로부터 선택하고, 이 선택된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요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상대로의 접속정보를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선택하고 나서 네트워크에 접속요구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의 원하는 통신상대에 대한 접속이 용이하게 행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지역마다 고유한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원하는 단말과 접속하는 네트워크를 매개로 통신을 행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 및 그 발신방법에 있어서, 통신상대로의 접속정보를 기억수단에 기억하고, 특정된 현재위치로부터 지정된통신상대로 접속가능하게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접속정보를 상기 특정된 현재위치에 적합하게 편집하고, 이 편집된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요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원하는 통신상대로의 접속정보(예컨대, 단축 다이얼로 등록하고 있는 전화번호)를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편집하고 나서 네트워크에 접속요구하기 때문에(예컨대, 단축 다이얼을 해외로부터도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의 원하는 통신상대에 대한 접속이 용이하게 행해진다.
본 발명은, 지역마다 고유한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원하는 단말과 접속하는 네트워크를 매개로 통신을 행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 및 그 발신방법에 있어서, 지역마다 설치된 긴급연락선으로의 접속정보를 기억수단에 기억하고, 특정된 현재위치에서 지정된 긴급연락선에 가장 적합한 접속정보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접속정보로부터 선택하고, 이 선택된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요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마다 고유한 긴급연락선으로의 접속정보(예컨대, 해외에서, 모국어가 통하는 서비스 제공원)를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선택하고 나서 네트워크에 접속요구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의 원하는 통신상대에 대한 접속이 용이하게 행해진다.
본 발명은, 지역마다 고유한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원하는 단말과 접속하는 네트워크를 매개로 통신을 행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서비스 제공원으로의 접속정보를 기억수단에 기억하고, 특정된 현재위치와 사용자가 요구한 서비스에 최적의 서비스 제공원으로의 접속정보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접속정보로부터 선택하고, 이 선택된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요구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대해,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하는 상기 소정의 서비스 제공원으로의 최신의 접속정보를 소정의 네트워크를 매개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어디에 있어도, 그 지역에서의 사용자의 원하는 서비스 제공원에 대한 접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지역마다 고유한 그 서비스 제공원으로의 최신의 접속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역마다 고유한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원하는 단말과 접속하는 네트워크를 매개로 통신을 행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있어서, 현재위치를 특정하는 특정수단과, 미리 정해진 특정언어와 그 이외의 언어와의 사이에서 상호 번역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복수의 사전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 이 기억수단에 기억된 사전 데이터로부터 상기 특정언어와 상기 특정수단에서 특정된 현재위치에서 적합한 언어와의 사이에서 상호 번역을 가능하게 하는 사전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수단 및, 이 선택수단에서 선택된 사전 데이터를 이용하여 번역을 행하는 번역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모국어와 사용자가 있는 나라에서 이용되고 있는 언어간 사전 데이터를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미리 선택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어디에 있어도, 그 지역에서 이용되고 있는 언어와 해당 사용자의 모국어와의 사이의 사전 데이터를 이용하여 원하는 문서 등의 번역을 용이하게 행한다. 예컨대, 외국어의 웹(web)페이지나 수신한 또는 송신하는 전자메일의 내용을 선택하거나, 더욱이 의미를 알 수 없는 어구의 의미를 참조할 수 있다.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장치(예컨대, 휴대전화, PHS 등)의 본 발명의 주요부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으로, 예컨대 전화망과 같이 지역마다 고유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세계중에 산재하는 원하는 단말과 접속하는 네트워크를 매개로 통신을 행하는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이동통신 단말장치는, 제어부(9)에 접속 지시부(1)와, 접속정보 기억부(2), 선택부(3), 정보 입력부(4), 정보 제시부(5), 위치정보 취득부(7) 및, 송수신부(8)가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접속정보 기억부(2)는, 예컨대 원하는 네트워크의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접속 포인트에 대해, 그 위치정보와 함께, 전화번호 등의 그 접속 포인트에 접속할 경우에 필요한 정보를 접속정보로서 기억한다.
송수신부(8)는, 예컨대 전화망에 접속하여 통신을 행하기 위한 cdmaOne 등의 통신방식으로 무선에 의해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송수신부(8)는, 사용자의 현재위치를 특정(特定)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정보 제공장치(10; 예컨대, cdmaOne이면 기지국)와 교신한다.
위치정보 취득부(7)는, 송수신부(8)에서 위치정보 제공장치(10)와 교신함으로써 측정된 전파강도 등을 기초로, 사용자의 현재위치를 특정하고, 그 특정된 현재위치의 위치정보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접속 지시부(1)는, 사용자가 원하는 상대로의 접속지시 등을 입력(예컨대, 전화번호의 입력, 인터넷으로의 접속지시 등)하기 위한 키 조작부 등으로 구성된다.
선택부(3)는, 위치정보 취득부(7)에서 취득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현재위치에 가장 적합한 접속정보를 접속정보 기억부(2)에 기억된 접속정보중에서 선택한다.
정보 입력부(4)는, 예컨대 키보드, 마이크 등으로 구성되는 전자메일로서 송신하는 텍스트문의 입력, 통화를 위한 음성입력 등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정보 제시부(5)는, 사용자에 필요한 정보(음성·데이터 등)를 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으로 구성되고, 예컨대 선택·지시를 위한 메뉴항목이나 회선 접속상태, 수신한 음성이나, 송수신 메일 등의 제시를 행한다.
제어부(9)는, 상기 각부의 제어를 담당함과 더불어, 전자메일 등의 작성, 송수신 처리 등을 행한다. 또한, 접속 지시부(1)로부터 사용자에 의한 접속요구 지시가 입력된 경우에 선택부(3)에서 선택된 접속정보를 우선적으로 이용하여(그 선택된 접속정보를 이용하는데 맞는 사용자로부터의 특별한 지시 등이 없는 한, 해당 선택된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예컨대, 전화망)에 접속요구(발신) 하기 위한 제어처리를 실행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접속 지시부(1)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통신상대로의 접속지시를 행하면, 제어부(9)의 제어 하에서, 예컨대 전화망에 접속요구를 행해, 그 결과 해당 원하는 통신상대와의 사이에서 회선 접속이 완료하면, 정보 입력부(4)로부터 입력된 음성·텍스트문 등의 정보가 송수신부(8)로부터 송신되고, 반대로 송수신부(8)가 통신상대로부터의 음성·텍스트문을 수신하면, 그것은 제시부(5)에 제시되도록 되어 있다.
통신방식으로서, 여기에서는 cdmaOne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기지국과의 교신에 의해 위치를 특정하는 방법을 들어 나타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GPS 시스템과 같이 위성과의 교신에 의해 위치를 특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 위치정보 제공장치(10)는, GPS 위성과 지상 기지국에 대응하고, 송수신부(8)와 위치정보 취득부(7)가 GPS 수신기에 대응한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속 포인트 선택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위치정보의 취득은 정기적으로 행해질 경우와, 또는 메일처리 등으로 예컨대 인터넷 접속의 지시가 사용자로부터 있었던 때에 행하는 경우의 2가지의 경우가 고려된다. 도 2의 처리의 흐름에서는, 이 양쪽에 공통하는 위치정보의 취득으로부터 기록한다. 제어부(9)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접속 포인트의 전화번호를 유지하고 있고, 이를 이용하여 해당 접속 포인트로의 접속요구를 행하는데, 이 전화번호는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뀌어 기록된다.
위치정보 제공부(10)와 교신하여, 위치정보 취득부(7)는 현재의 위치(Xt, Yt)를 취득한다(단계S101). 위치정보 취득부(7)에서의 위치정보의 특정방법은,간단하게는 진원위치의 특정방법과 마찬가지로, 복수(많을 경우는 3개)의 기지국이 수신한 전파의 강도를 거리로 변환한 원을 그리고, 3개의 원이 함께 겹치는 부분이 위치로 산정된다.
현재위치(Xt, Yt)는, 구위치(Xt-1, Yt-1)와의 거리차가 일정치(여기에서는, 임시로)보다 큰지 어떤지를 비교한다(단계S102). 크지 않을 경우에는, 전회와 위치가 거의 이동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되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사용하는 접속 포인트를 변경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처리를 종료한다.
거리차가보다 클 경우에는, 사용하고 있는 접속 포인트를 변경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단계S103으로 진행한다.
접속정보 기억부(2)에는,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급자의 각 지역에 설치된 복수의 접속 포인트의 리스트, 즉 복수의 접속 포인트에 대해, 그 위치정보와, 그 접속 포인트의 전화번호가 대응하여 기억되어 있다.
단계S103에서는, 선택부(3)는 위치정보 취득부(7)에서 취득한 현재위치의 위치정보와, 접속정보 기억부(2)에 기억되어 있는 접속 포인트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현재위치(Xt, Yt)에 가장 가까운 접속 포인트를 선택한다. 이 선택방법은, 각각의 접속 포인트의 위치정보 (Xn, Yn; n=1,2,3 ...)와, 현재위치(Xt, Yt)와의 거리차가 가장 작은 것을 선택하는 방법이어도 된다. 즉, Min(거리((Xt, Yt)-(Xn, Yn))(n=1,2,3...)을 만족하는 접속 포인트를 선택한다.
접속정보 기억부(2)는,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터넷으로의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접속 포인트에 대해, 그 위치정보와, 그 접속 포인트의 전화번호 외에, 접속가격과 같은 다른 파라메터를 대응하여 기억하고 있어도 된다. 그리고, 선택부(2)는 상술한 바와 같은 거리차와 이 파라메터 dsn(n=1,2,3...)을 합한 것이 최소로 되는 접속 포인트를 선택하도록 해도 된다. 즉, 소정의 중첩치 W1, W2를 이용하여, Min(W1·거리(Xt, Yt)-(Xn, Yn)+W2·dsn)(n=1,2,3...)을 만족하는 접속 포인트를 선택한다.
다음에, 선택부(2)는 이 선택된 접속 포인트의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접속 포인트로 하도록 바꾸어 기록한다(단계S104). 이 시점에서 직전에 일본에서 사용하고 있으면, 일본의 지역(예컨대, 동경이나 가와사키, 요코하마 등)이 사용의 접속 포인트로서 유지되어 있던 것이, 현재위치가 일본으로부터 벗어나, 예컨대 뉴욕으로 되면, 가장 가까운 접속 포인트가 뉴욕으로 바뀌어 기록된다.
사용자가 인터넷으로의 접속지시를 접속 지시부(1)로 입력하면, 이 바뀌어 기록된 접속 포인트를 사용하여 접속한다. 결국, 사용자가 현재, 예컨대 뉴욕에 있는 것이면, 그 뉴욕의 접속 포인트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간단히 또 편하게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후, 또 일본으로 되돌아 오면, 일본의 접속 포인트가 도 2에 나타낸 순서에 따라 바뀌어 기록되기 때문에, 사용자 자신이 사용자가 거처하는 장소에 따라 접속 포인트의 설정을 행할 필요가 없다.
더욱이, 단계S102에서 이전에 취득한 위치정보와 이번에 취득한 위치정보와의 사이의 변화가 크고,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접속 포인트의 변경을 필요로 할 경우, 그 취지를 미리 사용자에게 제시하여(정보 제시부(5)에 제시하여), 사용자로부터의 허가를 얻고 나서 접속 포인트의 변경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의 예에서는, 접속 포인트의 리스트는 1종류 뿐이었지만, 이 리스트를 지역마다(또는, 나라마다) 설치하고, 리스트 단위로 바꾸어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단계S102에서 취득한 거리차가 커, 국외로 이동한 것으로 고려될 경우에는, 접속 포인트 기억부(2)에 기억되어 있는 그 나라의 접속 포인트의 리스트만을 바꾸어 기록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접속정보 기억부(2)에 미리 접속 포인트의 리스트를 복수 기억해 두고, 취득한 위치정보에 따라, 근방의 접속 포인트의 리스트를 선정하고, 그 리스트 내에서만 최근방의 접속 포인트를 찾도록 해도 된다.
더욱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수신부(8)는, 예컨대 사용자로부터의 지시 입력이 있었던 경우에, 최신의 접속 포인트의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100)와 교신을 행해, 최신의 접속 포인트의 리스트를 취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접속정보 기억부(2)에 기억하고 있는 리스트의 기록변경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사용자가 어디에 있어도, 그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또는 가장 저렴한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로의 접속 포인트를 사용자에게 어떠한 부담을 주지않고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접속정보 기억부(2)에 인터넷으로의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원의 접속 포인트의 리스트를 기억할 경우를 나타냈지만, 다음에, 이것 대신 접속정보 기억부(2)에는 지역마다 설치된 긴급연락선의 리스트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긴급연락선으로는, 예컨대 사용자가 해외에서 비상사태가 일어날 경우, 사용자의 모국어로 필요로 하는 긴급시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서비스 제공원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사용자의 모국 일본에서는 「 119 」는 소방차·구급차의 호출 콜이고, 「 110 」는 경찰의 호출 콜이지만, 해외에서도 긴급시에 국내에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 119 」, 「 110 」로 다이얼 하면, 사용자가 현재 있는 장소에서, 그 긴급 콜의 목적에 맞는 모국어로 사용자가 받을 수 있는 포인트의 전화번호를 리스트로서 기억한다. 즉,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긴급연락선의 리스트는, 모국에서의 긴급연락선으로의 전화번호에 대응하고, 그 긴급연락선과 동일한 목적으로 각 지역마다(각 나라마다) 설치된 모국어로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서비스 제공원의 전화번호를, 그 서비스 제공원의 위치정보와 함께 대응하여 기억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장치는, 예컨대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에 나타낸 순서도에 따라 사용자의 최신의 위치정보를 취득하고(단계S101), 그것을 기초로 해당 사용자의 모국에서의 각 긴급연락선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해당 지역의 긴급연락선을 도 4에 나타낸 리스트로부터 선택한다(단계102~단계103). 제어부(9)는, 이 선택된 해당 사용자의 최신의 위치정보에 대응한 긴급연락선을 해당 사용자의 모국에서의 긴급연락선의 전화번호에 대응하여 유지하고, 변경이 있을 때마다 이 대응관계를 갱신한다(단계S104).
네트워크로의 접속지시, 즉 이 경우, 접속 포인트 「 119 」, 「 110 」으로의 접속지시가 접속 지시부(1)로부터 입력되면(사용자가 「 119 」, 「 110 」으로 다이얼 하면), 접속 제어부(4)는 이들 긴급 콜에 대응한 현지의 긴급연락선에 접속요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해외에서도 사용자는 안심하고 적절한 장소에 전화를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그 효과는 크다.
제2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대해, 제1실시형태와 다른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 제2실시형태는, 현재위치에 따라, 단축 다이얼 등 미리 기억하고 있는 전화번호에 국제번호 식별번호나 국가번호 등을 자동적으로 부가하는 등의 편집을 행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장치(예컨대, 휴대전화, PHS 등)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1과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즉, 도 1의 선택부(3) 대신에 편집부(13)가 제어부(9)에 접속되고, 접속정보 기억부(2)에는 단축 다이얼과 정규의 전화번호를 대응하여 기억한다.
편집부(13)는, 전화번호에 국제번호 식별번호 등의 부가를 행하는 전화번호의 편집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접속정보 기억부(2)에는, 예컨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리 등록된 단축 다이얼의 리스트로서, 단축 다이얼과 정규의 전화번호를 쌍으로 하여 기억하고있다. 여기에서는, 그 이외에 국가번호(예컨대, 일본이면 「 81 」)와, 국제전화에서는 국번의 「 0 」을 삭제하기 때문에, 그와 같은 국제전화번호화의 규칙도 쌍으로 하여 테이블 형식으로 기억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국가번호와 국제전화번호화의 규칙을 단축 다이얼과 쌍으로 하여 기억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후술하는 편집부(13)가 유지하는 국제번호 식별번호도 함께 기억하는 것도 가능하다.
편집부(13)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화번호를 편집할 경우에 사용하는, 각 나라의 국명과 대표위치와, 국제번호 식별번호를 쌍으로 하여 테이블 형식으로 기억하고 있다.
다음에, 도 8에 나타낸 순서도를 참조하여, 국제전화의 발신처리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원하는 단축 다이얼을 눌러, 접속 지시부(1)로부터 발신의 지시가 입력되면(단계S200), 위치정보 취득부(7)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위치정보(Xt, Yt)를 취득한다(단계S201). 편집부(13)는, 취득한 위치정보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각 나라의 위치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가 자국내에 있는지 어떤지를 산출한다(단계S202). 자국내에 있으면, 제어부(9)는 접속정보 기억부(2)에 도 6과 같은 형식으로 기억된 내용에 기초하여, 지시된 단축 다이얼에 대응하는 정규의 전화번호를 발신하여 종료한다(단계S205). 결국, 단축 다이얼 「 1 」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 044-549-xxxx 」이면, 그 전화번호를 발신한다.
자국내에 없으면, 편집부(13)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테이블을 참조하여, 취득한 위치정보에 가장 맞는 나라(예컨대, 취득한 위치정보에 가장 가까운 위치정보를 갖는 나라)를 탐색한다(단계S203). 다음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테이블을 참조하여 탐색된 나라의 국제번호 식별번호를 얻는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테이블을 참조하여, 단축 다이얼로 지정된 정규의 전화번호에 대해, 편집규칙을 기초로 국제번호 식별번호와 국가번호를 부여하고, 국제전화의 번호로 편집한다(단계S204). 결국, 단축 다이얼 「 1 」에 대응하는 정규의 전화번호가 「 044-549-xxxx 」이고, 취득된 위치정보로 특정되는 현재위치가 미국인 것으로 하면, 편집부(13)는 해당 전화번호에, 국제번호 식별번호 「 011 」과 일본의 국가번호 「 81 」를 부가하고, 더욱이 국번 「 044 」를 「 44 」로 변경하고, 최종적으로는 「 011(국제번호 식별번호)-81(일본의 국가번호)-44-549-2286 」로 편집한다. 제어부(9)는, 이 편집된 전화번호를 발신한다(단계205).
반대로, 단축 다이얼로서 등록되어 있는 전화번호가 미국내의 상대선으로의 국제전화번호이면, 「 011-1-212-944-1318 」이라는 것과 같이 되어 있지만, 취득된 위치정보로 특정되는 나라가 미국이면, 편집부(13)는 국제번호 식별번호 「 001 」과 미국의 국가번호 「 1 」를 삭제하여, 「 212-944-1318 」로 편집한다. 이 경우, 접속정보 기억부(2)는 국제전화번호로부터 나라마다 로컬한 전화번호로 편집하기 위한 규칙을 미리 기억해 두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사용자는 세계중 어디에서라도 단축 다이얼 등, 자신의 휴대전화에 기억하고 있는 번호를 선택한 것 만으로, 부담없이 잘못되기 쉬운 긴 숫자열을 치지않고, 정확하게 전화를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3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대해, 제1, 제2실시형태와 다른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제3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장치(예컨대, 휴대전화, PHS 등)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1과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즉, 도 1의 선택부(3) 대신에 언어 선택부(14)가 제어부(9)에 접속되고, 또한 도 1의 접속정보 기억부(2) 대신에 사전 데이터 기억부(15)가 제어부(9)에 접속되어 있다.
언어 선택부(14)는, 위치정보 취득부(7)에서 취득된 위치정보를 기초로, 그 위치정보에 맞는 나라에서 이용되고 있는 언어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각국의 국명과 대표위치와 공용언어를 테이블 형식으로 기억하고 있다.
사전 데이터 기억부(15)는, 미리 정해진 특정언어, 예컨대 사용자의 모국어와 그 이외의 언어와의 사이에서 상호 번역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복수의 사전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다. 그리고, 언어 선택부(14)에서 선택된 언어와 특정언어(예컨대, 사용자의 모국어)와의 사이에서 상호 번역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사전 데이터가, 사용자로부터 항상 접속가능하게 기억되어 있다.
제어부(9)는, 사전 데이터 기억부(15)에 기억된 사전 데이터중, 언어 선택부(14)에서 선택된 언어와 특정언어(사용자의 모국어)와의 사이에서 상호 번역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사전 데이터를 이용하고, 사용자로부터 지시된 인터넷의 웹페이지나 텍스트문 등의 번역을 행하는 번역엔진(16; 번역 처리부)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현재위치를 특정(위치정보를 취득)하거나, 언어 선택부(14)는, 그 취득한 위치정보와 미리 기억한 테이블로부터 얻어지는 각국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가 자국내에 있는지 어떤지를 산출한다. 자국내에 있으면, 그대로 처리를 종료하지만, 자국내에 없으면, 미리 기억한 테이블로부터 얻어지는 각국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어느 나라에 있는지를 판별하고, 그 결과 해당국의 언어를 선택한다. 예컨대, 모국어가 일본어인 사용자가 현재 미국에 있을 경우는, 언어 선택부(14)에서 영어가 선택된다.
이 경우, 사전 데이터 기억부(15)에는, 언어 선택부(14)에서 선택된 언어와 특정언어(예컨대, 사용자의 모국어)와의 사이에서 상호 번역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사전 데이터가, 사용자로부터 항상 접속가능하게 기억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사용자가, 예컨대 정보 입력부(4)로부터 의미를 조사하려는 원하는 현지어를 입력하여 사전의 참조를 지시하면, 사전 데이터 기억부(15)에 기억된 현지어와 사용자의 모국어와의 사이의 사전 데이터의 참조가 가능해진다.
더욱이, 사용자로부터의 지시를 받아, 제어부(9)는 정보 입력부(4)로부터 입력된 일본어의 텍스트문을 영어로 번역하거나, 송수신부(8)를 매개로 수신된 인터넷의 웹페이지를 영어에서 일본어로 번역하고, 그 결과를 정보 제시부(5)에 제시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일본어 밖에 사용하지 못해도 체재국(滯在國)에 따른언어의 사전을 언어 선택부(14)가 자동적으로 선택해 주기 때문에, 사용자가 어디에 있어도, 그 지역에서 이용되고 있는 언어의 전자사전을 용이하게 손으로 입력할 수 있어, 그것을 기초로, 외국어의 웹페이지나 수신한 또는 송신하는 전자메일의 내용을 번역하거나, 또 의미를 알 수 없는 어구를 검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제1~제3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시단계에서는 그 취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각 실시형태에는 여러 단계의 발명이 포함되어 있으며, 개시되는 복수의 구성요건에서의 적당한 조합에 의해, 여러가지의 발명이 추출될 수 있다. 예컨대, 실시형태에 나타낸 전구성요건으로부터 몇개의 구성요건이 삭제되어도,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란에서 기술한 과제(의 적어도 1개)를 해결할 수 있고, 발명의 효과의 란에 기술되어 있는 효과(의 적어도 1개)가 얻어질 경우에는, 이 구성요건이 삭제된 구성이 발명으로서 추출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의 원하는 통신상대에 대한 접속이 용이하게 행해진다.
또한, 사용자의 원하는 서비스 제공원에 대한 접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지역마다 고유한 그 서비스 제공원으로의 최신의 접속정보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지역마다 고유한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원하는 단말과 접속하는 네트워크를 매개로 통신을 행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발신방법에 있어서,
    원하는 서비스 제공원으로의 접속정보를 기억수단에 기억하고, 특정된 현재위치와 사용자가 요구한 서비스에 최적의 서비스 제공원으로의 접속정보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접속정보로부터 선택하고, 이 선택된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요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방법.
  2. 지역마다 고유한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원하는 단말과 접속하는 네트워크를 매개로 통신을 행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발신방법에 있어서,
    통신상대로의 접속정보를 기억수단에 기억하고, 특정된 현재위치로부터 지정된 통신상대로 접속가능하게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접속정보를 상기 특정된 현재위치에 적합하게 편집하고, 이 편집된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요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방법.
  3. 지역마다 고유한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원하는 단말과 접속하는 네트워크를 매개로 통신을 행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발신방법에 있어서,
    지역마다 설치된 긴급연락선으로의 접속정보를 기억수단에 기억하고, 특정된 현재위치에서 지정된 긴급연락선에 가장 적합한 접속정보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접속정보로부터 선택하고, 이 선택된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요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발신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접속정보는, 상기 특정된 현재위치의 변화에 따라, 또는 입력된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바뀌어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방법.
  5. 지역마다 고유한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원하는 단말과 접속하는 네트워크를 매개로 통신을 행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서비스 제공원으로의 접속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현재위치를 특정하는 특정수단,
    요구된 서비스와 상기 특정수단에서 특정된 현재위치에 최적의 서비스 제공원으로의 접속정보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접속정보로부터 선택하는 선택수단 및,
    상기 선택수단에서 선택된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요구하는 발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
  6. 지역마다 고유한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원하는 단말과 접속하는 네트워크를 매개로 통신을 행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있어서,
    통신상대로의 접속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현재위치를 특정하는 특정수단,
    원하는 통신상대가 지정된 경우 상기 특정수단에서 특정된 현재위치로부터 상기 지정된 통신상대로 접속가능하게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접속정보를 상기 특정된 현재위치에 적합하게 편집하는 편집수단 및,
    상기 편집수단에서 편집된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요구하는 발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
  7. 지역마다 고유한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원하는 단말과 접속하는 네트워크를 매개로 통신을 행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있어서,
    지역마다 설치된 긴급연락선으로의 접속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현재위치를 특정하는 특정수단,
    원하는 긴급연락선이 지정된 경우, 상기 특정되어 현재위치에서 그 지정된 긴급연락선에 가장 적합한 긴급연락선의 접속정보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접속정보로부터 선택하는 선택수단 및,
    상기 선택수단에서 선택된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요구하는 발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
  8. 지역마다 고유한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원하는 단말과 접속하는 네트워크를 매개로 통신을 행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있어서,
    현재위치를 특정하는 특정수단과,
    미리 정해진 특정언어와 그 이외의 언어와의 사이에서 상호 번역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복수의 사전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사전 데이터로부터 상기 특정언어와 상기 특정수단에서 특정된 현재위치에서 적합한 언어와의 사이에서 상호 번역을 가능하게 하는 사전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수단 및,
    상기 선택수단에서 선택된 사전 데이터를 이용하여 번역을 행하는 번역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
  9.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발신정보는, 상기 특정된 현재위치의 변화에 따라, 또는 사용자 입력된 지시에 따라 바꾸어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
  10. 지역마다 고유한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원하는 단말과 접속하는 네트워크를 매개로 통신을 행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서비스 제공원으로의 접속정보를 기억수단에 기억하고, 특정된 현재위치와 사용자가 요구한 서비스에 최적의 서비스 제공원으로의 접속정보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접속정보로부터 선택하고, 이 선택된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요구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대해,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하는 상기 소정의 서비스 제공원으로의 최신의 접속정보를 소정의 네트워크를 매개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 서버.
KR10-2001-0030434A 2000-05-31 2001-05-31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발신방법과, 이동통신 단말장치 및정보제공 서버 KR1004189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63041 2000-05-31
JP2000163041A JP2001346256A (ja) 2000-05-31 2000-05-31 移動通信端末装置の発信方法および移動通信端末装置および情報提供サー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9205A KR20010109205A (ko) 2001-12-08
KR100418971B1 true KR100418971B1 (ko) 2004-02-14

Family

ID=18666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0434A KR100418971B1 (ko) 2000-05-31 2001-05-31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발신방법과, 이동통신 단말장치 및정보제공 서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10049738A1 (ko)
EP (1) EP1168781B1 (ko)
JP (1) JP2001346256A (ko)
KR (1) KR100418971B1 (ko)
CN (1) CN1293775C (ko)
DE (1) DE6010332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85234A (en) * 2002-02-08 2003-08-13 Francis Cagney Telephone number modification
JP2003333165A (ja) * 2002-05-10 2003-11-21 Ntt Docomo Inc 国際ダイヤル操作機能付き移動端末、国際ダイヤルプログラム、及び、国際ダイヤルシステム
US6941159B2 (en) * 2002-05-28 2005-09-06 Inventec Appliances Corp. Method for automatically converting a stored telephone number of cellular phone for dialing in a different country
US20040019665A1 (en) * 2002-07-24 2004-01-29 Liang Thomas T. Logging mobile devices onto multiple networks
JP4313013B2 (ja) * 2002-09-18 2009-08-12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その情報処理方法及び、その情報処理プログラム
BR0318463A (pt) * 2003-08-13 2006-09-12 Tim Italia S P A método para processar indicadores de usuário armazenados em um terminal para redes de telecomunicações, terminal para redes de telecomunicações, cartão do tipo sim para um terminal de uma rede de telecomunicações, e, produto de programa de computador
JP2005118104A (ja) 2003-10-14 2005-05-12 Aruze Corp 遊技システム、並びにそのような遊技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遊技機、及び遊技方法
JP4290568B2 (ja) * 2004-01-07 2009-07-08 アルゼ株式会社 携帯電話機及び携帯電話機の制御方法
KR100596232B1 (ko) * 2004-10-09 2006-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화망 선택 접속 기능을 갖는 원폰 이동통신 단말기 및그 전화망 선택 접속 방법
US7340390B2 (en) * 2004-10-27 2008-03-04 Noki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fore
KR100689441B1 (ko) * 2004-11-17 200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국제전화 자동 발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US8332560B2 (en) * 2005-07-11 2012-12-11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inoperable connection points in a storage enclosure
KR100708191B1 (ko) 2005-11-16 2007-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Ip 어드레스풀을 구비한 통신 단말기
US8437288B2 (en) * 2006-03-07 2013-05-07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 selection by wireless terminals
US9277053B2 (en) * 2008-10-31 2016-03-01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Ready-to-dial global phone numbers
CN101640727A (zh) * 2009-08-18 2010-02-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拨号的方法及终端
US9235952B2 (en) 2010-11-14 2016-01-12 Nguyen Gaming Llc Peripheral management device for virtual game interaction
US9672686B2 (en) 2011-10-03 2017-06-06 Nguyen Gaming Llc Electronic fund transfer for mobile gaming
JP6302155B2 (ja) * 2012-05-16 2018-03-28 京セラ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通信モジュール、及びコントローラ
CN103458130B (zh) * 2012-05-28 2018-11-06 南京中兴新软件有限责任公司 呼叫方法、系统、终端、拨号序列服务器及映射服务器
US9218333B2 (en) * 2012-08-31 2015-12-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text sensitive auto-correction
US10387577B2 (en) * 2015-03-03 2019-08-20 WonderHealth, LLC Secure data translation using machine-readable identifier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7694A (ja) * 1993-11-24 1995-06-06 Sanyo Electric Co Ltd 携帯電話装置
KR19990046493A (ko) * 1999-03-22 1999-07-05 양웅섭 국제공용개인휴대통신기기
US5978678A (en) * 1996-06-07 1999-11-0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Cellular telephone network rou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nationally roaming mobile stations
JP2000115344A (ja) * 1998-10-01 2000-04-21 Nec Corp 携帯電話機の自動番号変換方式
JP2000358093A (ja) * 2000-02-18 2000-12-26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型通信機器
KR20010029148A (ko) * 1999-09-29 2001-04-06 서평원 휴대폰에서의 긴급 호 발신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6678A (en) * 1898-01-04 Ball-bearing eccentric
JP2689776B2 (ja) * 1991-07-30 1997-12-10 日本電気株式会社 車載携帯電話端末装置
US6760695B1 (en) * 1992-08-31 2004-07-06 Logovista Corporation Automate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US5835061A (en) * 1995-06-06 1998-11-10 Waypor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ographic-based communications service
US6259405B1 (en) * 1995-06-06 2001-07-10 Wayport, Inc. Geographic based communications service
US5722088A (en) * 1995-09-20 1998-02-24 Ericsson Inc. Automatic prefix systems and methods for mobile radiotelephones
DE19623299C2 (de) * 1996-06-11 1999-02-04 Christian Tauss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Telefonverbindung
JP2861957B2 (ja) * 1996-07-31 1999-02-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測位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固定局側装置及び測位装置
US6073013A (en) * 1996-11-04 2000-06-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osition-based call processing in a mobile telephone system
US6208857B1 (en) * 1996-11-04 2001-03-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osition-and preference-based service selection in a mobile telephone system
US5946376A (en) * 1996-11-05 1999-08-31 Ericsson, Inc. Cellular telephone including language translation feature
FI964621A (fi) * 1996-11-19 1998-05-20 Ericsson Telefon Ab L M Menetelmät ja laitteet puhelinnumeroihin pääsemiseksi
US6075783A (en) * 1997-03-06 2000-06-13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Internet phone to PSTN cellular/PCS system
DE19711096A1 (de) * 1997-03-17 1998-09-24 Siemens Ag Verfahren und Anordnung zum Aufbau einer Kommunikationsverbindung
US6073005A (en) * 1997-04-22 2000-06-06 Ericss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emergency calls in radiocommunication systems
US6115596A (en) * 1997-04-22 2000-09-05 Ericss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andling emergency calls in hierarchical cell structures
JPH1141643A (ja) * 1997-07-04 1999-02-12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無線情報処理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
US6205126B1 (en) * 1997-09-30 2001-03-20 Ericss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an ISP local access number based on device location
JP3105861B2 (ja) * 1998-02-26 2000-11-06 静岡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選択呼出受信機とその受信方法
CA2337627A1 (en) * 1998-07-16 2000-01-27 Ericsson Inc. Mobile telephon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geographic area to a subscriber
US6332073B1 (en) * 1998-10-19 2001-12-18 Ericsson Inc. Emergency number dialing from a fixed cellular terminal
US6356865B1 (en) * 1999-01-29 2002-03-12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poken language translation
US6571221B1 (en) * 1999-11-03 2003-05-27 Wayport, Inc. Network communication service with an improved subscriber model using digital certificates
US6711617B1 (en) * 2000-02-09 2004-03-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utomatic configuration of a computer system based on its physical location using an electronically read schedule
US6766159B2 (en) * 2000-03-10 2004-07-20 Nokia Mobile Phones Ltd. Alpha tagging and type indication of emergency call numb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7694A (ja) * 1993-11-24 1995-06-06 Sanyo Electric Co Ltd 携帯電話装置
US5978678A (en) * 1996-06-07 1999-11-0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Cellular telephone network rou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nationally roaming mobile stations
JP2000115344A (ja) * 1998-10-01 2000-04-21 Nec Corp 携帯電話機の自動番号変換方式
KR19990046493A (ko) * 1999-03-22 1999-07-05 양웅섭 국제공용개인휴대통신기기
KR20010029148A (ko) * 1999-09-29 2001-04-06 서평원 휴대폰에서의 긴급 호 발신 방법
JP2000358093A (ja) * 2000-02-18 2000-12-26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型通信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10049738A1 (en) 2001-12-06
CN1326307A (zh) 2001-12-12
EP1168781B1 (en) 2004-05-19
JP2001346256A (ja) 2001-12-14
EP1168781A1 (en) 2002-01-02
DE60103329D1 (de) 2004-06-24
DE60103329T2 (de) 2004-09-23
CN1293775C (zh) 2007-01-03
KR20010109205A (ko) 200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8971B1 (ko)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발신방법과, 이동통신 단말장치 및정보제공 서버
US89718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nding local information from a wireless browser to a web server
US7881705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for position specification information
JP4564383B2 (ja) 移動通信装置及び位置探索方法
KR20020087935A (ko) 이동 단말기들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JP2011004143A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
JP3903843B2 (ja) 地域別固有名詞辞書受信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装置
JP2004265217A (ja) 音声認識機能を有する移動通信端末とその端末を利用したキーワード検索方法
KR100361021B1 (ko) 객체명을 사용한 통신 접속 시스템 및 방법
KR200217573Y1 (ko) 음성인식을 통한 원격 다이얼링 시스템
KR100424508B1 (ko) 음성인식을 통한 무선인터넷 사이트 접속 방법
US20060253413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user data to a terminal that has data service capability and is integrated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20140236924A1 (en) Method For Improving Address Book of Mobile Means
KR101271145B1 (ko) 이동 단말기 및 통신방법, 통신시스템
KR20000054216A (ko) 휴대폰을 통한 궁합 및 화상에 의한 즉석 미팅 시스템의방법
KR20020038038A (ko) 통신망을 이용한 단축 다이얼 시스템 및 방법
KR100461881B1 (ko) 문자 전화번호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090296903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Directory Entry for Telecommunications Devices
KR101072659B1 (ko) 전화번호를 이용한 부분 디렉토리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0755941B1 (ko) 내부 이미지 데이터, 전화 번호부와 무선 통신을 결합한이동 통신 장치 및 그 응용 방법
KR100917192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JP4208076B2 (ja) 構内交換システム
JPH10164272A (ja) 通信端末のアクセスポイント検索システム
JP2004144602A (ja) 携帯電話用道案内サービスシステム
KR20050114551A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지도 검색 시스템 및 검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