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9148A - 휴대폰에서의 긴급 호 발신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폰에서의 긴급 호 발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9148A
KR20010029148A KR1019990041802A KR19990041802A KR20010029148A KR 20010029148 A KR20010029148 A KR 20010029148A KR 1019990041802 A KR1019990041802 A KR 1019990041802A KR 19990041802 A KR19990041802 A KR 19990041802A KR 20010029148 A KR20010029148 A KR 20010029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emergency call
mobile phone
call
count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1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4872B1 (ko
Inventor
장대원
이희정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90041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4872B1/ko
Priority to EP00308450A priority patent/EP1093317B1/en
Priority to DE60013059T priority patent/DE60013059T2/de
Priority to US09/671,115 priority patent/US7113764B1/en
Publication of KR20010029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9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4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48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1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 H04M1/724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with manual activation of emergency-service fun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85Appending a prefix to or inserting a pause into a dialling sequ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1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50Conn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을 이용한 긴급통화를 하고자 할 때 각 국가별로 긴급통화를 하기 위한 전화번호가 다르더라도 자동적으로 긴급 전화와 연결됨으로써 긴급통화를 할 수 있는 휴대폰에서의 긴급 호 발신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휴대폰에서의 긴급 호 발신 방법은 기지국의 페이징 채널 메시지를 수신하고 있는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에 긴급통화를 위한 신호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휴대폰이 상기 페이징 채널에서 인식된 국가코드에 따라 상기 국가코드에 맞는 긴급전화번호로 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휴대폰에서의 긴급 호 발신 방법{Emergency call origination method in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폰에서의 긴급 호 발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폰을 이용한 긴급통화를 하고자 할 때 각 국가별 긴급 전화번호를 모르는 경우에도 각 국가별 긴급통화를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휴대폰에서의 긴급 호 발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코드분할 다중접속(이하, CDMA라 약칭 함) 시스템은 이동국(이하, 휴대폰이라 함),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및 이동 교환국으로 구성되며, 그 중에서 휴대폰은 디지털 셀룰러 네트웍(DCN : Digital Cellular Network)이나 개인 휴대 통신 서비스(PCS :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에서 사용하는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이고, 기지국은 휴대폰과 기지국 제어기사이에서의 신호 포맷을 무선 링크와 유선 링크에 적합하도록 바꾸며, 기지국 제어기는 기지국의 각 요소별 기능과 셀 운용자 사이의 접속 수단이 되며, 기지국 운용 관리, 기지국내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서비스 상태 관리, 호 트래픽에 대한 자원의 할당과 구성, 기지국 운용에 관한 정보수집, 기지국 운용, 감시 및 고정에 관련된 하부장치 등의 감시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이동 교환국은 기지국 제어기 관리 및 이동 통신 네트워크와 일반전화망 혹은 동일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이동 교환국간 사용자 트래픽을 위한 접속점을 구성한다.
이와 같은 CDMA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휴대폰간에는 순방향과 역방향에 서로 다른 채널 구조를 갖고 있는데 순방향 채널은 휴대폰이 기지국에 접속할 때 수신되는 신호중 가장 큰 신호를 선택하여 동기를 맞출 수 있도록 하는 파일롯(Pilot) 채널과, 기지국의 여러 가지 파라미터 정보를 담아서 이동국에 전송하는 동기(Sync.) 채널과, 휴대폰에게 부가정보, 특정 휴대폰에 대한 페이징, 명령 그리고 채널 할당 등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페이징(Paging) 채널 및 기지국에서 휴대폰으로 음성 또는 데이터와 신호 정보를 전달하는 순방향 통화 채널이 구성되고, 역방향 채널에는 휴대폰에서 기지국으로 음성 또는 데이터와 신호 정보를 전달하는 역방향 통화 채널과 휴대폰이 기지국과 통화를 시도하거나 페이징 채널에서 받은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하는 접속(Access) 채널로 구성된다.
이동통신 시스템이 처음에 개발되었을 때만 하더라도 개인들이 휴대하는 휴대폰은 기본적으로 통화를 위한 것이었지만 최근에는 단순한 통화보다는 다양한 기능들이 추가되고 있다.
즉, 휴대폰 사용자간 메시지를 주고받는다든지, 사업자가 휴대폰에 각종 정보를 메시지 형태로 브로드캐스팅하는 것들이 추가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휴대폰을 이용한 인터넷이나 PC 통신 및 주식거래 등이 가능한 인터넷 폰과 라디오를 수신할 수 있는 휴대폰까지 등장하고 있다.
그와 같은 다양한 기능들이 추가되는 것은 무엇보다도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것인데 최근의 사용자들의 구매추세가 같은 가격이라면 단순한 통화를 위한 휴대폰보다는 다양한 기능이 있는 휴대폰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이 있음에도 소프트웨어의 부실로 인한 휴대폰 사용방법이 불편한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 외면당하기 쉽기 때문에 다양한 기능이 있음에도 휴대폰 사용 방법은 단순한 것이 선호되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폰을 이용한 통화는 초기에는 국내에 국한된 경우가 많았지만 최근에는 국내외 통신 사업자가 국제 통화 서비스를 제공한다던가 국내에 등록된 휴대폰을 외국에서 이용하는 경우도 점차로 증가하고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통신 서비스 사업자간 협약으로 다른 사업자의 시스템을 이용해 로밍(roaming) 서비스 할 수 있게 된다.
그와 같은 로밍 서비스는 세계가 지구촌화하는 추세에 점차로 증가할 것으로예상되고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휴대폰을 이용한 통화 방법은 기본적으로 휴대폰이 순방향 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파일롯 채널, 동기 채널 및 페이징 채널을 수신하여 정상적인 서비스 제공인 가능한 상태에서 휴대폰의 키패드를 조작하여 착신측 전화번호를 입력한후 휴대폰 표시부(LCD)에서 전화번호를 확인하고, 전화번호의 입력이 제대로 되었으면 통화(또는 SEND)키를 누르면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및 이동 교환국을 통해 착신 측과 호가 설정된 후 통화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통화 방법은 국내외에서 사용할 때 특별한 불편을 느끼지는 않겠지만 긴급통화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불편을 느끼는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즉, 국내에 거주하는 내국인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긴급전화 번호는 범죄신고 전화번호인 112, 화재 또는 재난 신고 전화번호인 119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국내에 거주하게된 외국인이라던가, 여행, 출장 등의 명목으로 외국에 나가게 되는 내국인의 경우에는 그 나라의 긴급 전화번호를 알 수 없고, 특별한 경우를 제외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긴급 전화번호를 기억한다거나 휴대폰의 메모리부에 저장시켜 놓는 경우는 많지 않다.
또한 휴대폰에도 긴급통화를 위한 별도의 기능이 없어 긴급통화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발신 절차와 동일한 절차를 이용해 시도하거나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몇 개의 긴급통화를 위한 번호를 일정 메모리 영역에 저장시켜 놓고 이를 단축 다이얼을 이용해 한 두 번의 키 패드 조작만으로 발신을 시도할 수는 있다.
예를 들면 미국의 경우에는 '911' 그리고 한국의 경우에는 '119'와 같은 긴급 전화번호를 직접 다이얼링하고, 통화(SEND) 키를 눌러 발신을 시도하거나, 휴대폰 사용자가 휴대폰의 메모리 영역에 휴대폰에서 지원하는 개수만큼 긴급통화를 위한 긴급전화번호를 미리 저장하고 이를 단축키로 지정하여 긴급통화시 원하는 번호로 발신을 시도한다.
따라서 종래 휴대폰을 이용한 긴급 호 발신 방법에 있어서는 휴대폰 사용자가 휴대폰을 사용하고 있는 국가, 지역의 긴급 전화번호를 미리 알고 있거나, 긴급 전화번호를 미리 저장시켜 놓아야 하는데 만일 현재 휴대폰을 사용하고 있는 국가, 지역에서 이용되는 긴급 전화번호를 알고 있지 못하거나, 일련 번지에 저장되어 있는 단축 키 번호를 모르거나, 메뉴 사용방법을 숙지하고 있지 못한 경우에 긴급 사태가 발생한 경우에도 긴급통화를 할 수 없거나 시간이 지체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휴대폰의 메모리부에 각 국가별 긴급전화 번호를 저장시키고, 페이징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국가코드에 따라 긴급 상황 발생시 긴급전화번호로 자동적으로 호를 발신할 수 있는 휴대폰에서의 긴급 호 발신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채널 메시지를 수신하고 있는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에 긴급통화를 위한 신호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휴대폰이 상기 페이징 채널에서 인식된 국가코드에 따라 상기 국가코드에 맞는 긴급전화번호로 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폰 사용자가 외국에 있는 동안 갑작스런 긴급 상황 발생시나 국내에 있는 경우라도 갑작스런 긴급 상황 발생시 긴급 호를 쉽게 발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에서의 긴급 호 발신을 제공하기 위한 각 국가별 국가코드와 긴급 전화번호 맵핑 테이블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휴대폰 본체 2 : 표시부
3 : 키 패드부 4 : 긴급 키 패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에서의 긴급 호 발신을 제공하기 위한 각 국가별 국가코드와 긴급 전화번호 맵핑 테이블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폰 본체(1)와, 문자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2)와, 전화번호나 문자 등을 입력하기 위한 키 패드부(3)와 긴급 호를 발신하는데 사용하는 긴급 키 패드(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긴급 키 패드(4)를 구비한 휴대폰의 긴급 호 발신 방법은 휴대폰이 처음 파워 업(Power up)되면 휴대폰은 순방향 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파일롯 채널, 동기 채널 및 페이징 채널을 수신한 상태에서 페이징 채널의 오버헤드 메시지중 확장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ESPM : Extended System Parameter Message)를 수신한다. 이때, ESPM에는 국가 코드인 MCC(Mobile Country Code) 값을 갖는 필드가 있는데 휴대폰은 이 메시지를 수신하면 MCC 필드의 값을 저장한다.
참고적으로 페이징 채널은 크게 두가지의 메시지를 휴대폰에 전송하는데 첫 번째로는 서비스 영역내의 모든 휴대폰에 전달되는 오버헤드(overhead) 메시지와 특정 휴대폰에 전달되는 퍼스널 스테이션 다이렉티드(personal station directed) 메시지가 있다.
여기서 오버헤드 메시지에는 시스템 파라미터, 이동국의 접속에 관련된 정보, 기지국 주파수 정보, 국제 로밍을 위한 정보, 이웃 기지국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되고, 퍼스널 스테이션 다이렉티드 메시지에는 페이징을 위한 메시지, 명령, 채널 할당 메시지 등이 포함된다.
여기서 각 국가별 국가코드와 긴급 전화번호 맵핑 테이블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데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에서는 휴대폰의 저장부에 각 국가별 국가코드와 긴급 전화번호 맵핑 테이블을 저장한다. 즉 각 국가나 지역별로 사용되는 긴급 전화번호를 국가코드인 MCC와 연결시킨 범세계 긴급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계속해서 휴대폰이 페이징 채널에서 수신된 오버헤드 메시지중 확장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ESPM)의 MCC 필드 값을 저장한 상태에서 긴급 상황이 발생하면 휴대폰 사용자는 휴대폰 본체(1)의 키 패드부(3)의 긴급 키 패드(4)를 누른다. 이때, 긴급 키 패드(4)를 구성하지 않고 기존의 키 패드중 특정 키 패드를 복수번(예를 들면 '*' 키패드를 2회 연속해서 누르거나 '#' 키 패드를 2회 연속해서 누른후 통화(SEND) 키 패드를 누르는 등) 누르는 것으로 긴급 키 패드의 역할을 대신하게 할 수 있다.
그러면 휴대폰의 이동국 모뎀(MSM : Mobile Station Modem)은 긴급통화를 위한 호 발신임을 인식하고 현재 휴대폰에 저장된 국가코드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각 국가별 국가코드와 긴급 전화번호 맵핑 테이블을 비교하고, 해당하는 긴급 전화번호로 발신 메시지의 착신측 번호 필드를 이용해 호 발신을 시도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은 본 발명 휴대폰에서의 긴급 호 발신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긴급 호 발신시 긴급전화번호를 누르거나 단축번호 또는 메뉴를 누르기 위한 여러 번의 키 패드 조작이 필요 없이 간편한 긴급통화 발신이 가능하다.
둘째, 휴대폰 사용자가 특정 지역이나 외국에 나간 경우 긴급상황 발생시 전화번호를 모르는 경우에도 편리하게 긴급통화 발신을 시도할 수 있다.
셋째, 범세계 긴급 전화 발신 기능을 휴대폰측에서 함으로써 망(Network) 또는 통신 시스템의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3)

  1. 기지국의 페이징 채널 메시지를 수신하고 있는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에 긴급통화를 위한 신호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휴대폰이 상기 페이징 채널에서 인식된 국가코드에 따라 상기 국가코드에 맞는 긴급전화번호로 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로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서의 긴급 호 발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에 긴급통화를 위한 신호의 발생은 상기 휴대폰의 긴급통화용 버튼을 누르거나 또는 긴급통화 발신용 특수 키패드와 통화키 패드를 누르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서의 긴급 호 발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은 상기 휴대폰의 메모리부에 상기 페이징 채널에서 수신되는 오버헤드 메시지에서 수신된 국가코드(MCC)와, 복수개 국가의 국가코드(MCC)와 연동되는 상기 국가별 긴급 전화번호를 맵핑한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서의 긴급 호 발신 방법.
KR1019990041802A 1999-09-29 1999-09-29 휴대폰에서의 긴급 호 발신 방법 KR100344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1802A KR100344872B1 (ko) 1999-09-29 1999-09-29 휴대폰에서의 긴급 호 발신 방법
EP00308450A EP1093317B1 (en) 1999-09-29 2000-09-27 Method for establishing an emergency call from a mobile phone
DE60013059T DE60013059T2 (de) 1999-09-29 2000-09-27 Verfahren zum Aufbau eines Notrufes von einem Mobiltelefon
US09/671,115 US7113764B1 (en) 1999-09-29 2000-09-28 Method for transmitting emergency call of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1802A KR100344872B1 (ko) 1999-09-29 1999-09-29 휴대폰에서의 긴급 호 발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9148A true KR20010029148A (ko) 2001-04-06
KR100344872B1 KR100344872B1 (ko) 2002-07-19

Family

ID=37018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1802A KR100344872B1 (ko) 1999-09-29 1999-09-29 휴대폰에서의 긴급 호 발신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113764B1 (ko)
EP (1) EP1093317B1 (ko)
KR (1) KR100344872B1 (ko)
DE (1) DE60013059T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6111A (ko) * 2001-12-27 2003-07-0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긴급 전화 걸기 방법
KR100418971B1 (ko) * 2000-05-31 2004-02-14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발신방법과, 이동통신 단말장치 및정보제공 서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5030A (ja) * 2002-05-06 2005-08-18 ノキア コーポレイション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特定形式のセッションを取り扱うシステム及び方法
US7546112B2 (en) * 2003-03-21 2009-06-09 Qisda Corporation Single telephone number calling method and calling apparatus for mobile unit
ES2298680T3 (es) * 2003-03-24 2008-05-16 Star Home Gmbh Seleccion de red preferida.
US7356337B2 (en) * 2004-03-23 2008-04-08 Starhome Gmbh Dialing services on a mobile handset and remote provisioning therefor
US20060030340A1 (en) * 2004-08-05 2006-02-09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destination in a mobile radio
US20060141960A1 (en) * 2004-12-29 2006-06-29 Motorola, Inc. Triggering an emergency mode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s thereof
US8045953B2 (en) * 2005-02-03 2011-10-25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autoselection of an emergency number in a mobile station
KR100754608B1 (ko) * 2006-03-14 2007-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긴급 발신 방법 및 장치
JP5109973B2 (ja) * 2006-04-10 2012-12-26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位置依存課金制御システムおよび位置依存課金制御方法
US8285244B2 (en) * 2006-09-26 2012-10-09 Motorola Mobility Llc Uniform emergency interconnect access in a multi-modal device
US7853240B2 (en) 2007-02-15 2010-12-14 Research In Motion Limited Emergency number selection for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ATE539546T1 (de) * 2007-02-15 2012-01-15 Research In Motion Ltd Notrufnummernwahl für mobile kommunikationsvorrichtung
US20080253399A1 (en) * 2007-04-16 2008-10-1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Optimiz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multiple plmn-ids
WO2010058466A1 (ja) * 2008-11-20 2010-05-27 富士通株式会社 無線基地局、無線端末、特定情報配信方法、および特定情報受信方法
DE102008060567A1 (de) * 2008-12-04 2010-06-1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US8351895B2 (en) * 2009-09-04 2013-01-08 Zomm, Llc Wireless security device and method to place emergency calls
US9491604B2 (en) 2010-10-22 2016-11-08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placing an emergency phone call from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o an enterprise
EP2587851B1 (en) * 2011-10-28 2016-01-20 Vodafone GmbH ECall terminal for scanning paging channels
JP2013152528A (ja) * 2012-01-24 2013-08-08 Toshiba Corp 携帯可能電子装置、icカード、および、icカードシステム
US9210591B2 (en) 2012-03-12 2015-12-08 Starhome Gmbh System and method for steering of roaming
WO2015030337A1 (en) * 2013-08-30 2015-03-0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supporting emergency call
US9712987B2 (en) * 2014-10-24 2017-07-18 Qualcomm Incorporated Provisioning emergency services information using mappings and emergency services types
US9338627B1 (en) 2015-01-28 2016-05-10 Arati P Singh Portable device for indicating emergency events
DE102016001954A1 (de) * 2016-02-19 2017-04-20 Audi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Notrufsystems und Notrufsystem
US9986405B1 (en) 2017-03-16 2018-05-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ext-dependent emergency situation report
CN109151795B (zh) * 2018-10-31 2021-02-05 南昌努比亚技术有限公司 紧急呼叫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1222B2 (ja) * 1994-06-28 2002-07-15 ソニー株式会社 携帯型電話装置
TW441211B (en) * 1994-12-15 2001-06-16 At & Amp T Corp Emergency calling from a wireless telephone
US5946618A (en) * 1996-11-04 1999-08-3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osition-based call processing in a mobile telephone system using multiple location mapping schemes
FI964621A (fi) * 1996-11-19 1998-05-20 Ericsson Telefon Ab L M Menetelmät ja laitteet puhelinnumeroihin pääsemiseksi
US6044263A (en) * 1996-12-18 2000-03-28 Ericsson Inc.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 independent dialing procedure with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6115596A (en) * 1997-04-22 2000-09-05 Ericss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andling emergency calls in hierarchical cell structures
US6073005A (en) * 1997-04-22 2000-06-06 Ericss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emergency calls in radiocommunication systems
KR100253141B1 (ko) * 1997-08-20 2000-04-15 윤종용 코드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이동 단말에서 지역번호 자동설정 방법
KR19990035440A (ko) * 1997-10-31 1999-05-15 유기범 휴대폰에서의 시내 지역번호 자동 삽입 방법
US6625132B1 (en) * 1997-11-13 2003-09-23 Nortel Networks Ltd Idle intersystem roaming determination and system reselection in a C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374078B1 (en) * 1998-04-17 2002-04-16 Direct Wireless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multiple external communication links
US6321098B1 (en) * 1998-09-15 2001-11-2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the recording and processing of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6374103B1 (en) * 1998-09-30 2002-04-16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overhead message updates
KR20000026146A (ko) * 1998-10-17 2000-05-15 윤종용 문자인식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에서 전화번호부 생성 및 검색방법
US6374099B1 (en) * 1999-05-10 2002-04-16 Lucent Technologies Inc. High priority and/or emergency overload access control system
US6501420B2 (en) * 2000-02-24 2002-12-3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obile cellular telephone comprising a GPS receiver
US6389291B1 (en) * 2000-08-14 2002-05-14 Sirf Technology Multi-mode global positioning system for use with wireless network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8971B1 (ko) * 2000-05-31 2004-02-14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발신방법과, 이동통신 단말장치 및정보제공 서버
KR20030056111A (ko) * 2001-12-27 2003-07-0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긴급 전화 걸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4872B1 (ko) 2002-07-19
US7113764B1 (en) 2006-09-26
DE60013059T2 (de) 2004-12-30
DE60013059D1 (de) 2004-09-23
EP1093317A1 (en) 2001-04-18
EP1093317B1 (en) 2004-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4872B1 (ko) 휴대폰에서의 긴급 호 발신 방법
JP3836371B2 (ja) 緊急呼番号のアルファタグ付けおよび型の指摘
US6650629B1 (en) Method and system for terminal communication
US6731943B1 (en) System for efficient mobile subscriber station paging in cellular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s
CA2147956A1 (en) Base storage of handset's base registrations
KR20010019786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음성인식 및 문자표시 장치 및 방법
EP0896780A1 (en) Method, device and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providing a consistent set of services to a roaming user
EP1469691B1 (en) Mobile phone system
US200600999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group call processing in a key telephone system
CN102695244B (zh) 根据服务通信类型选择基站收发机系统的方法和设备
CN102318403B (zh) 融合式无绳和蜂窝电话系统
CN101009681B (zh) 通信控制系统
KR10055646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 전환방법
AU7225991A (en)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link with wireless telephone
KR100350248B1 (ko) 이동전화시스템에서 음성 사서함 서비스방법
KR100260821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부가서비스 방법
KR20040075511A (ko) 단축다이얼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222658B1 (ko) 무선통신망에서 순방향 제어채널을 이용한 발신자 전화번호 송수신 방법
KR10067805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표시 및 발신 방법
JPH09215038A (ja) 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
KR20050022999A (ko) 가입 통신망 식별자 표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485076B1 (ko) 발신 단말기의 통화연결음 알람방법
CN100452925C (zh) 移动通信终端的收信号码传输方法及其传输消息
KR100291474B1 (ko) 차세대디지탈무선전화기에서등록모드에따른자동링크설정방법
JPH1118153A (ja) 移動体電話機のモード切替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