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7190B1 - 경화포장기 및 경화포장방법 - Google Patents

경화포장기 및 경화포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7190B1
KR100417190B1 KR10-2000-0070402A KR20000070402A KR100417190B1 KR 100417190 B1 KR100417190 B1 KR 100417190B1 KR 20000070402 A KR20000070402 A KR 20000070402A KR 100417190 B1 KR100417190 B1 KR 100417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ening
packaging
curing
wrapping
wrapping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0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7930A (ko
Inventor
신바시신이치로
Original Assignee
로렐뱅크머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렐뱅크머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로렐뱅크머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77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7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7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71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65B11/56Rolling articles with wrappers along a supporting surfa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7D9/06Devices for stacking or otherwise arranging coins on a support, e.g. apertured plate for use in counting coins
    • G07D9/065Devices for wrapping coi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과부족이 있는 포장경화(包裝硬貨)를 제작한 경우, 시각적으로 정상적인 포장경화와 분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과부족이 있는 포장경화가 만일 정상적인 포장경화와 섞인 경우에도 신속한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경화포장기 및 경화포장방법을 제공한다.
과부족 검출수단(26, 43)에 의해 하나의 포장경화의 경화 개수의 과부족이 검출되었을 때, 그 포장경화에 대하여 다시 일회 또는 복수회 포장동작을 포장지 권회 가압조임수단(9)에 행하게 하는 포장지 복수회 감기제어수단(54)을 구비함으로써, 경화 개수에 과부족이 있는 경우 통상보다 많이 감겨 가압조임되는 포장지에 의해 시각적으로 정상인 포장경화와 분별해낸다.

Description

경화포장기 및 경화포장방법{Coin wrapper and wrapping method of coin}
본 발명은, 투입된 경화를 소정 개수씩 집적하여, 집적된 경화를 포장함과 동시에, 포장부에서 포장한 경화의 과부족을 검지하도록 한 경화포장기 및 경화포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경화포장부에서의 포장경화의 과부족 검지장치로서, 예컨대,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 3-612호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 장치에서는, 집적된 경화가 포장부에 반송된 후, 포장지가 삽입되고, 또한 상하 가압조임후크가 상하로부터 이동하여 포장지의 상하단부를 가압조임으로써포장하게 되는데, 이 때 상하 가압조임후크가 집적된 경화의 상하 양단에 접촉되는 것을 이용하여 집적된 경화의 높이를 검출하게 되어 있다. 즉, 가압조임시의 상하 가압조임후크의 상하의 이동량을 로터리 엔코더로 절대위치 데이터로서 검출하고, 이 검출된 절대위치 데이터로부터 집적된 경화의 높이를 산출하며, 비교수단으로써 로터리 엔코더의 절대위치 데이터로부터 산출한 집적경화의 높이와 미리 정해진 기준 데이터와의 차를 산출하여, 산출된 값이 허용범위 내인지의 여부에 따라 포장경화의 과부족을 검출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경화의 개수를 포장 중인 가압조임후크의 이동량으로 검출한다면, 과부족이 발생한 경우에 과부족을 검출한 시점에서는 집적경화는 이미 포장되어 있고, 더구나 이 때 과부족이 발생한 집적경화도 정상 개수의 집적경화와 마찬가지로 포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나중에 이 과부족이 있는 포장경화가 정상적인 포장경화와 섞여 버리는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구별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과부족이 있는 포장경화를 제작한 경우, 시각적으로 정상적인 포장경화와 구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과부족이 있는 포장경화가 만일 정상적인 포장경화와 섞이더라도, 신속한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경화포장기 및 경화포장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따른 경화포장기 전체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경화포장기의 가압조임후크 구동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경화포장기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경화포장기의 각 캠의 동작을 나타내는 캠선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경화포장기에 의해 제작된 포장경화로서, 도 5a는 정상적인 포장경화, 도 5b는 개수에 과부족이 있는 경우의 포장경화의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에 따른 경화포장기에 의해 제작된, 개수에 과부족이 있는 경우의 포장경화로서, 도 6a는 일예, 도 6b는 다른 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서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회전원반(경화반송수단)
2 경화통로(경화반송수단)
3 이송벨트(경화반송수단)
4 집적부(집적수단)
7 집적경화
7A 포장경화
9 포장부(포장지 권회 가압조임수단)
12 포장지
18 상부 가압조임후크
19 하부 가압조임후크
26 로터리 엔코더(과부족 검출수단)
43 집적개수 판정수단(과부족 검출수단)
50 스토퍼(규제수단)
51 솔레노이드(규제수단)
54 포장지 복수회 감기제어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경화포장기는, 복수의 경화를 한 개씩 송출하는 경화반송수단과, 송출된 경화를 중첩 상태로 집적하는 집적수단과, 집적된 경화의 외주면에 포장지를 공급하여 둘러 감음과 동시에 그 감은 포장지를 상하 한쌍의 가압조임후크를 상하로부터 이동시킴으로써 이들 가압조임후크로 가압조임하여 포장경화를 제작하는 포장동작을 행하는 포장지 권회 가압조임수단과, 상기 포장경화의 경화개수의 과부족을 검출하는 과부족 검출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과부족 검출수단에 의해 하나의 포장경화에 경화개수의 과부족이 검출되었을 때, 그 하나의 포장경화에 대하여, 다시 한번 또는 여러번 상기 포장동작을 상기 포장지 권회 가압조임수단에 행하게 하는 포장지 복수회 감기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과부족 검출수단에 의해 하나의 포장경화에 경화 개수의 과부족이 검출되었을 때, 포장지 복수회 감기제어수단이, 해당 하나의 포장경화에 대하여 다시 한번 또는 여러번 포장동작을 포장지 권회 가압조임수단에 행하게 하기 때문에, 과부족이 있던 해당 포장경화가, 통상의 것보다 많이 감겨 가압조임된 포장지에 의해 시각적으로 정상적인 포장경화와 구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경화포장기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 복수회 감기제어수단은, 하나의 포장경화에 대한 2회째 이후의 상기 포장동작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압조임후크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량을 1회째의 이동량에 비하여 작게 규제하는 규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과부족 검출수단에 의해 하나의 포장경화의 경화 개수의 과부족이 검출되었을 때, 포장지 복수회 감기제어수단이, 해당 하나의 포장경화에 대해, 한번 또는 여러번 포장동작을 포장지 권회 가압조임수단에 더 행하게 하게 되지만, 이 2회째 이후의 포장동작에 있어서, 한 쌍의 가압조임후크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량을 1회째의 이동량에 비하여 작게 규제함으로써, 도중에 가압조임을 멈추고, 2중 이상의 포장으로 또한 포장경화의 단부의 가압조임 부분에 고의로 가압조임불량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과부족이 있는 해당 포장경화가 통상의 것보다 많이 감기고, 또한 불량상태로 가압조임된 포장지에 의해, 시각적으로 정상적인 포장경화와 구별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따른 경화포장기를 도 1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일실시의 형태에 따른 경화포장기의 기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있어서, 부호 1은 경화가 일괄 투입되는 회전원반(경화반송수단)으로서, 이 회전원반(1) 내의 경화는, 해당 회전원반(1)의 원심력에 의해, 수평으로 설치된 경화통로(경화반송수단)(2)에 대하여 한 개씩 송출되게 되어 있다.
경화통로(2)는, 그 상방에 경화를 한 개씩 이송시키는 이송벨트(경화반송수단)(3)을 가지고 있다. 경화통로(2)의 도중 위치에는, 경화판별부(미도시)가 설치되어 있고, 경화의 진위 및 금속종류가 판별되게 되어 있다.
이 경화통로(2)를 경유한 경화는, 다음의 집적부(집적수단)(4)에 공급되어 한 개씩 집적되게 되어 있다.
집적부(4)는, 나선형의 돌기부(5)를 각각 갖는 한쌍의 집적드럼(6)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집적드럼(6)은, 상호 돌기부(5)의 높이 위치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경화통로(2)로부터의 경화의 공급에 동기시켜 서로 반대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회전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경화통로(2)를 통하여 공급된 경화가 집적드럼(6)의 돌기부(5)에 실려 일단 하강되고, 그 후에 공급된 경화가 이전의 경화 위에 중첩된 결과, 이들 집적드럼(6)사이에 복수의 경화가 상하방향으로 중첩 상태로 집적되어 집적경화(7, 도 2 참조)가 구성되게 되어 있다.
또한, 이들 집적드럼(6)의 하방 위치에는, 해당 집적드럼(6)에 있어서 소정 개수(예컨대, 50개 등)가 집적된 집적경화(7)를 그 상면에 적치시키는 셔터(8)가 설치된다. 그리고, 해당 셔터(8)가 개방되었을 때에는, 해당 셔터(8)의 상면에 적치되어 있던 집적경화(7)가 낙하되고, 하방의 포장부(포장지 권회 가압조임수단) (9)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포장부(9)에는, 셔터(8)로부터 낙하된 집적경화(7)를 밑에서 지탱하는 지지봉(10)과, 해당 지지봉(10)의 주위에 연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상호 근접/이간 가능한 3개의 평행한 포장로울러(11)에 의해 집적경화(7)의 주위에 포장지(12)를 공급하여 둘러 감는 포장기구(13)와, 권회된 포장지(12)를 집적경화(7)의 상하단에서 가압조임하는 가압조임기구(14)가 설치된다. 상기 포장로울러(11)는 포장 모터(미도시)에 의해, 그 축심 주위로 회전구동되게 되어 있다. 또한, 이들 포장기구 (13) 및 가압조임기구(14)에는, 이들 기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15)(도 3 참조)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지지봉(10)은, 승강가능하게 설정되는 지지봉 아암(16)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고, 도시되지 않은 지지봉 아암 캠 및 지지봉 아암 릴리프 캠의 작동에 의해, 셔터(8)의 해방시 해당 셔터(8)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어 낙하하는 집적경화(7)를 그 상단에서 받아내고, 그 후 연직방향으로 하강됨으로써, 집적경화(7)를 3개의 포장로울러(11)의 사이에 배치하게 되어 있다.
상기 포장기구(13)는, 이와 같이 하여 포장로울러(11) 사이에 배치된 집적경화(7)에 대하여, 이들 포장로울러(11)를 포장로울러 개폐 캠(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서로 근접시킴으로써, 해당 포장로울러(11)에 의해 집적경화(7)를 그 반경방향의 세방향으로부터 조이게 되어 있다. 또한, 이들 포장로울러(11)의 근처에는, 포장지공급로울러(17)가 설치되어 있고, 이 포장지 공급로울러(17)의 작동에 의해 포장지(12)가 집적경화(7)와 포장로울러(11)와의 사이로 공급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포장지 공급로울러(17)에 의해서 포장지(12)를 집적경화(7)와 포장로울러(11)와의 사이에 공급한 상태에서 포장 모터의 작동에 의해 포장로울러(11)를 회전시킴으로써, 포장지(12)가 집적경화(7)의 원통면에 감기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포장지(12)는, 집적경화(7)의 높이보다 큰 폭의 치수를 갖는 것이다.
상기 가압조임기구(14)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적경화(7)가 포장로울러(11, 도 2에서는 생략) 사이에 배치된 후, 가압조임후크 릴리프 캠(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포장로울러(11)간의 간극으로부터 집적경화(7)의 상하에 삽입되는 한 쌍의 가압조임후크(18, 19)와, 이들 가압조임후크(18, 19)를 상하방향을 따라 근접이간시키는 가압조임후크 구동기구(20)를 구비하고 있다.
가압조임후크 구동기구(20)는, 상부 가압조임후크(18)를 고정하는 상부 아암 (21)과, 하부 가압조임후크(19)를 고정하는 하부 아암(22)과, 이들 상부 아암(21) 및 하부 아암(22)을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로드(23)와, 상부 아암(21)에 고정된 랙(24)과, 해당 랙(24)에 맞물려 하부 아암(2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피니언(25)과, 해당 피니언(25)의 회전축에 연결된 앱솔루트 타입의 로터리 엔코더(과부족 검출수단)(26)를 구비하고 있다.
즉, 상부 가압조임후크(18)와 하부 가압조임후크(19)를 서로 근접 이간시키도록 상부 아암(21) 및 하부 아암(22)을 가이드로드(23)에 따라 변위시키면, 상부 아암(21)에 고정된 랙(24)이 상하방향으로 변위되고, 그 결과, 랙(24)에 맞물려 있는 피니언(25)이 회전되어, 그 회전량이 로터리 엔코더(26)에 의해서 검출되게 되어 있다. 검출된 회전량은, 상부 가압조임후크(18)와 하부 가압조임후크(19)의 이동량의 합과 정비례하는 관계에 있으므로, 가압조임후크(18, 19)의 상대적인 이동량을 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가압조임후크 구동기구(20)는, 풀리(27)에 권회되어 상부 아암(21)및 하부 아암(22)에 연결된 스프링(28)을 구비하고 있다. 이 스프링(28)은, 이들 상부 아암(21)과 하부 아암(22)을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항상 탄성가압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가압조임후크 구동기구(20)는 상기 상부 아암(21) 및 하부 아암(22)을 근접 이간시키기 위한 캠기구(29)를 구비하고 있다.
이 캠기구(9)는, 캠 모터(미도시)에 의해 연직면 내에서 회전구동되는 가압조임후크 캠(30, 31)과, 이들 가압조임후크 캠(30, 31)의 캠면을 회전시키는 캠 종동부(32, 33)와, 그 캠 종동부(32, 33)를 길이 방향의 도중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또한 각각 고정축(34, 35)을 중심으로 요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요동 아암(36) 및 하부 요동 아암(37)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상부 요동 아암(36) 및 하부 요동 아암(37)의 선단에는, 상기 상부 아암(21)의 하면 및 상기 하부 아암(22)의 상면으로 각각 전동(轉動)되는 로울러(38, 39)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집적경화(7)가 포장로울러(11)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캠 모터가 작동되면, 가압조임후크 캠(30, 31)이 회전 구동되고, 그 가압조임후크 캠(30, 31)의 캠면을 따라 캠종동부(32, 33)가 변위된다. 이에 따라, 캠종동부(32, 33)를 장착한 상부 요동 아암(36) 및 하부 요동 아암(37)이, 각각의 고정축(34, 35)을 중심으로 연직면 내에서 요동 운동된다.
그리고, 각 요동 아암(36, 37)이, 이들 선단의 로울러(38, 39)에 의해 상부 아암(21)의 하면 및 하부 아암(22)의 상면을 각각 압압하도록 요동되는 경우에는, 상부 아암(21) 및 하부 아암(22)은 스프링(28)에 의한 탄성 가압력에 반발하여 가압조임후크(18, 19)를 이간시키도록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각 요동 아암(36, 37)이 상기와는 역방향으로 각각 요동한 경우에는, 상부 아암(21) 및 하부 아암(22)은 스프링(28)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서로 근접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부 아암(21)에 고정된 상부 가압조임후크(18) 및 하부 아암(22)에 고정된 하부 가압조임후크(19)는, 집적경화(7)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이간위치와, 집적경화(7)의 상하면에 접촉되게 되는 접촉 위치와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게 되어 있다. 이 이간 위치는, 캠기구(29)에 의해 일정하게 결정되는 일정의 위치이지만, 접촉 위치는 집적경화(7)의 금속종류 및 집적개수에 따라 변화하는 위치이다.
또한, 포장부(9)의 하방에는, 적정개수의 집적경화(7)가 포장지(12)로 포장되어 이루어지는 포장경화(7A, 도 5a 및 도 5b 참조)를 받아들이는 롤 슈트(미도시), 포장경화(7A)의 집적개수가 적정하지 않은 경우 이를 받아 들이는 리젝트 박스(미도시) 및 포장경화(7A)를 로울 슈트 또는 리젝트 박스로 나누는 게이트(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요동 아암(36)의 측방에는, 그 상부 요동 아암(36)에 하방으로부터 접촉함으로써 그 상부 요동 아암(36)의 요동량, 즉 상부 가압조임후크(18)의 하방으로의 이동량을 규제할 수 있는 스토퍼(규제 수단)(50)와, 그 스토퍼(50)를 상부 요동 아암(36)의 요동 영역으로 돌출시키는 상태와 이간시키는 상태로 절환하는 솔레노이드(규제 수단)(51)가 설치되어 있다.
즉, 솔레노이드(51)가 여자(勵磁)상태에 있어 스토퍼(50)가 상부 요동 아암(36)의 요동 영역으로 돌출한 상태에서는, 상부 가압조임후크(18)는, 상부 요동 아암(36)이 이 스토퍼(50)에 접촉하여 요동이 규제되는 소정의 정지위치까지밖에 하강할 수 없고, 한편, 솔레노이드(51)가 소자(消磁)상태에 있어 스토퍼(50)가 상부 요동 아암(36)의 요동 영역에서 이간된 상태에서는, 상부 요동 아암(36)의 요동이 스토퍼(50)로 규제되지 않으므로, 상부 가압조임후크(18)는, 상기 정지 위치를 넘어 더 하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15)는, 상기 가압조임후크 구동기구(20)의 로터리 엔코더(26)에 있어서 검출된 데이터 등을 입출력하는 RAM(40)과, 적정한 경우의 집적 높이 등의 설정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ROM(41)과, 이들 RAM(40) 및 ROM(41)에 격납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CPU(42)를 구비하고 있다. CPU(42)는, 집적개수 판정수단(과부족 검출수단)(43)과, 포장동작 지시수단(44)과, 회전방향 전환수단(45)과, 포장지 복수회 감기제어수단(54)의 각 기능을 다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집적개수 판정수단(43)은, 상기 RAM(40)에 입력된 로터리 엔코더(26)로부터의 피니언(25)의 가압조임동작에 따른 회전량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포장경화 (7A) 내의 집적경화(7)의 집적 높이를 산출함과 동시에, 이 집적 높이를 ROM(41)에 기억되어 있는 적정한 경우의 집적 높이와 비교하여 포장경화(7A)의 집적개수에 과부족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부 가압조임후크(18) 및 하부 가압조임후크(19)가 최대로 이격되었을 때의 거리(L1)로부터, 가압조임동작에 따라 이동한 이동 거리(L2)를 뺀 값이 포장경화(7A) 내의 집적경화(7)의 집적높이이다.
상기 포장동작 지시수단(44)은, 포장지 공급 로울러(17)를 구동하는 포장지 공급모터(46) 및 포장모터(47)에 동작 지시 또는 동작정지 지시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상기 회전방향 전환수단(45)은, 상기 집적 매수 판정수단(43)의 판정 결과에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캠 모터(48)의 회전방향을 바꾸게 되어 있다.
포장지 복수회 감기제어수단(54)은, 상기 집적개수 판정수단(43)에 의해 하나의 포장경화(7A) 내의 집적경화(7)의 집적 높이로부터 산출되는 경화 개수의 과부족이 검출되었을 때, 그 하나의 포장경화(7A)에 대하여 또 한번 (복수회도 가능) 둘레면에 포장지(12)를 공급하여 둘러 감음과 동시에 그 감은 포장지(12)를 상부 가압조임후크(18) 및 하부 가압조임후크(19)를 상하로부터 이동시킴으로써 이들로 가압조임하는 포장동작을 포장부(9)에 행하게 하고 있다.
도 4에, 캠 모터(48)에 의해 연동되는 지지봉 아암(16), 포장로울러(11), 가압조임후크(18, 19)의 동작을 제어하는 지지봉 아암 캠, 지지봉 아암 릴리프 캠, 포장로울러 개폐 캠 및 가압조임후크 캠(30, 31), 가압조임후크 릴리프 캠의 캠선도를 각각 나타낸다. 이들 캠선도는, 캠 모터(48)의 정회전을 따라 우측으로 이행하는 것으로, 최좌단이 각 캠의 초기 위치이고, 우측으로 이행함에 따라 각 캠이 동작하여 최우단에서 원사이클의 동작을 종료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가압조임후크 캠(30, 31)의 캠선도로서는, 상부 가압조임후크(18)를 상하 이동시키는 가압조임후크 캠(30)의 캠선도만을 나타내고, 이와 상하 대칭이 되는 하부 가압조임후크(19)용의 가압조임후크 캠(31)에 대해서는 캠선도를 생략하고 있다.
이 도 4의 캠선도를 참조하여 지지봉 아암(16), 포장로울러(11), 가압조임후크(18, 19)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지지봉 아암(16)은, 지지봉 아암 캠에 의해 수직방향의 동작이 제어되고, 또한, 지지봉 아암릴리프 캠에 의해 수평방향의 동작이 제어되고 있다. 지지봉 아암(16)은, 캠선도의 초기 위치에 있어서, 지지봉(10)을 포장로울러(11)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벗어난 하방의 후퇴 위치에 배치하고 있고, 동작이 시작되면 지지봉 아암 캠에 의해 지지봉(10)을 상승시키면서 지지봉 아암 릴리프 캠에 의해 지지봉 (10)을 포장로울러(11)의 중앙 위치의 수직선상에 배치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의 부호 a로 표시되는 위치에서는, 지지봉(10)은 집적드럼(6)의 하방의 셔터(8)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며, 집적드럼(6)으로부터 셔터(8)를 통해 집적경화(7)를 받아들인다.
이어서, 포장동작이 시작되는 도 4의 부호 b로 표시되는 위치까지의 사이에 지지봉(10)은 집적경화(7)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면서 포장로울러(11)의 사이로 하강시킨다. 그리고, 모든 포장동작이 종료한 도 4의 부호 f의 위치에 있어서, 지지봉 아암 캠의 작동에 의해, 지지봉(10)을 약간 하강시켜 포장경화(7A)로부터 릴리프한 후, 지지봉 아암 릴리프 캠의 작동에 의해 지지봉(10)을 포장로울러(11)의 측방의 후퇴 위치까지 이동시켜 원사이클의 동작이 종료된다.
이어서, 포장로울러(11)는 캠선도의 초기 위치로부터 도 4의 부호 b에 도달하는 동안, 3개의 포장로울러(11)가 서로 이간되도록 설정되며, 도 4의 부호 b시점 즉 상기 지지봉(10)이 집적경화(7)를 포장로울러(11)의 사이에 배치한 포장동작 개시 시점으로부터, 도 4의 부호 c시점까지의 사이에, 포장로울러 개폐 캠의 작동에 의해 집적경화(7)의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이동된다. 이에 따라, 3개의 포장로울러(11)에 의해 집적경화(7)가 끼워진다. 그리고, 포장동작이 종료하고, 지지봉아암(16)이 후퇴 위치로 후퇴한 시점의 도 4의 부호 f 이후의 시점에서 포장경화 (7A)를 방출하도록 그 포장경화(7A)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변위시키며, 포장경화(7A)를 낙하시켜 원사이클의 동작을 종료하게 되어 있다. 또한, 포장지(12)는, 포장로울러(11)로 집적경화(7)가 끼워지기 전의 단계에서 포장로울러(11)와 집적경화(7)와의 간극으로 보내지며, 구체적으로는 포장로울러(11)가 집적경화(7)에 근접되기 시작하는 포장동작 개시시점인 도 4의 부호 b 시점에서 포장지 공급 로울러 (17)에 의한 포장지(12)의 공급이 시작되게 된다.
가압조임후크(18, 19)는, 우선 가압조임후크 캠(30, 31)에 의해 수직방향의 동작이 제어되고, 또한, 가압조임후크 릴리프 캠에 의해 수평방향의 동작이 제어되고 있다. 그리고, 가압조임후크(18, 19)는, 포장동작 개시후, 상기 포장로울러(11)에 의해 집적경화(7)가 끼워진 후의 도 4의 부호 c의 시점에서, 상부 가압조임후크 (18)를 최상위에, 하부 가압조임후크(19)를 최하위에 배치한 상태로 하고, 도 4의 부호 c 내지 d 사이에 있어서, 가압조임후크 릴리프 캠의 작동에 의해, 포장로울러 (11)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벗어난 후퇴위치로부터 집적경화(7)의 상하에 배치되는 이간 위치를 향하여 이동된다. 그리고, 도 4의 부호 e 내지 f에 있어서의 가압조임후크 캠(30, 31)의 작동에 의해 상부 가압조임후크(18) 및 하부 가압조임후크 (19)는, 상호 근접되어 집적경화(7)의 상하면에 접촉하는 접촉위치까지 변위된다.
또한, 가압조임후크 캠(30, 31)은 도 4에 도시한 1 사이클 동작 중에, 도 4의 초기 위치와 부호 c와의 사이에서, 또 한번 상부 가압조임후크(18)와 하부 가압조임후크(19)를 왕복 이동시키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이 한번의 왕복은, 캠기구(29) 내에서의 톱니 바퀴(미도시)의 백래쉬에 따른 진동에 의해 지지봉(10) 상에 적치되어 있는 집적경화(7)의 집적 상태가 무너져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동작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경화포장기의 동작에 관하여 이하에 설명하기로 한다.
경화를 회전원반(1)에 투입시키고, 그 회전원반(1)을 회전시키면, 그 회전원반(1)에 의해 생긴 원심력에 의해, 투입된 경화가 한 개씩 경화통로(2)로 보내며, 또한 반송 벨트(3)에 의해 반송된다. 경화는, 경화통로(2) 상에서 이송벨트(3)에 의해 반송되는 동안, 설정된 금속종류의 경화인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그리고, 설정된 금속종류 이외의 경화는 리젝트되며, 또한 설정된 금속종류의 경화는 그 개수가 계수된다.
그리고, 경화통로(2)에 의해 반송되어 온 경화는, 경화통로(2)의 최후방에 배치된 집적드럼(6)에 계속 공급되고, 이 경화의 공급과 동기하여 회전 구동되는 집적드럼(6)에 의해 중첩상태로 집적된다. 그리고, 소정 개수의 경화가 집적드럼(6)에 의해 집적되면, 집적드럼(6)이 더욱 회전 구동하여 집적경화(7)는, 집적드럼(6)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셔터(8) 상에 전달된다.
한편, 경화통로(2)에서 소정 개수의 경화의 계수가 종료되면, 캠 모터(48)가 정회전방향으로 구동되고, 지지봉 아암 캠 및 지지봉 아암 릴리프 캠에 의한 지지봉(10)의 이동이 시작되며, 도 4의 부호 a로 도시한 시점에서, 지지봉(10)은 셔터(8)의 바로 아래에 배치된다.
또한, 이 도 4의 부호 a의 시점에서, 집적경화(7)는 그 집적경화(7)가 셔터(8)상에 적치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셔터(8)가 열림으로써 지지봉(10)상으로 전달된다. 이어서, 집적경화(7)는, 지지봉 아암 캠이 더 회전되어 지지봉(10)이 하강됨으로써, 포장부(9)의 포장로울러(11) 사이의 소정의 포장 위치로 반송된다(도 4에서의 b 시점).
그리고, 이 시점 b에서, 포장동작이 시작되게 되고, 포장부(9)로 반송된 집적경화(7)는, 포장로울러 개폐 캠의 작동에 의해,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3개의 포장로울러(1l)에 의해 지지된다(도 4에서의 c 시점).
한편, 포장로울러(11)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떨어진 대기위치에서, 최대한 이간된 상태로 배치된 상부 가압조임후크(18) 및 하부 가압조임후크(19)는, 가압조임후크 릴리프 캠의 작동에 의해 집적경화(7)의 상하의 이간 위치에 배치된다(도 4에서의 e 시점).
여기서, 집적경화(7)가 포장로울러(11) 사이의 소정의 포장 위치에 위치하는 포장동작 개시시점(도 4에서의 b 시점)에서, 포장동작 지시수단(44)이 포장지 공급 모터(46) 및 포장모터(47)를 기동시킨다. 이에 따라, 포장지 공급 로울러(17)에 의해 포장지(12)가 포장로울러(11)와 집적경화(7)와의 사이에 공급된 후, 포장로울러 (11)가 집적경화(7)를 끼워 회전하며, 그 결과, 포장지(12)가 집적경화(7)의 원통면에 감기게 된다. 그 한편에서, 포장지공급 모터(46)를 포장지(12)의 하나의 포장경화(7A)에 대한 통상의 공급량을 공급하는 회전량으로 구동시킨 후, 포장로울러(11)의 회전은 그대로인 상태로 포장지 공급모터(46)에 제동을 걸어, 포장지 공급로울러(17)를 급정지시킨다. 이에 따라, 포장로울러(11)와 포장지 공급 로울러(17)와의 사이의 포장지(12)가 팽팽하게 되어, 이 부분이 포장로울러(11)와 포장지 공급로울러(17)와의 사이에 배치된 커터(미도시)에 눌려서 절단되게 된다.
그리고, 공급된 포장지(12)가 집적경화(7)의 원통면에 완전히 감긴 후의 타이밍에서, 정회전 상태가 지속되고 있는 캠 모터(48)의 회전에 의해 가압조임후크 (18, 19)는 이간위치로부터 접촉위치를 향해 상호 근접되어 포장지(12)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각각 가압조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집적경화(7)에 대한 포장동작(1회째의 포장동작)이 완료되어 포장경화(7A)가 제작된다(도 4에서의 f 시점). 여기서, 이 포장동작에서는, 가압조임후크(18, 19)는 스프링(28)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집적경화(7)의 표면 및 하면에 각각 접촉하는 위치까지 이동하고,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조임에 의해 둥그렇게 뭉쳐저 형성되는 포장지(12)의 상부 가압조임부(12a)를 집적경화(7)의 표면에 접촉시켜, 포장지(12)의 마찬가지의 하부 가압조임부(12b)를 집적경화(7)의 하면에 접촉시키게 된다.
한편,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경화포장기에서는, 상기 포장지(12)의 가압조임시에 있어어 상하의 가압조임후크(18,19)가 이간 위치로부터 접촉 위치로 이동하기까지의 이동량을, 가압조임후크 구동기구(20)의 로터리 엔코더(26)에 의해 피니언(25)의 회전량으로서 검출하고, 포장동작 완료시(도 4에서의 f 시점)에 있어서의 이동량을 제어장치(15)의 RAM(40) 내에 격납하여 집적개수의 과부족을 판단한다.
우선, 격납된 가압조임후크(8, 19)의 이동량 데이터는, CPU(42) 내에 장착된 집적개수 판정수단(43)에 의해, 집적경화(7)의 집적 높이 데이터로 변환된다. 즉,이간 위치에서의 상부 가압조임후크(18)와 하부 가압조임후크(19)의 위치는 일정하게 정해져 있으므로, 그 이간 위치에 있어서의 가압조임후크(18, 19) 사이의 거리는 일정값이다. 그리고, 그 거리로부터 가압조임후크(18, 19)의 이동량, 즉 상부 가압조임후크(18)의 이동량과 하부 가압조임후크(19)의 이동량과의 합을 차감함으로써 집적경화(7)의 집적 높이를 구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이와 같이 하여 구해진 집적경화(7)의 집적 높이와, ROM(41)에 격납되어 있는 적정한 경우의 집적 높이가 비교됨으로써, 집적경화(7)의 개수가 적정한지의 여부가 판정되게 된다.
집적개수 판정수단(43)에 의해 집적경화(7)의 개수가 적정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그 후도 캠 모터(48)를 계속 정회전시킴으로써, 상하 가압조임후크(18, 19)를 이간 위치에 배치하면서 가압조임후크 릴리프 캠의 작동에 의해 후퇴 위치로 이동시킨다. 또한, 이와 동시에, 지지봉 아암 캠 및 지지봉 아암 릴리프 캠을 작동시켜 지지봉(10)을 후퇴 위치에 배치한 후, 포장 로울러 개폐 캠을 작동시켜 포장경화(7A)를 끼우고 있는 포장로울러(11)를 서로 이간시킴으로써 포장경화(7A)를 그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롤슈트(미도시)로 방출한다.
한편, 집적개수 판정수단(43)에 의해 집적경화(7)의 개수에 과부족이 있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과부족 판단이 행하여진 포장동작 완료시점(도 4에서의 f 시점)에서, 집적 개수에 과부족이 있다는 신호가 포장지 복수회 감기제어수단(54)으로 송출된다. 그러면, 포장지 복수회 감기제어수단(54)은, 아래와 같이 2회째의 포장동작을 포장부(9)에 행하게 된다.
즉, 포장지 복수회 감기제어수단(54)은, 상기 회전방향 전환수단(45)에 의해 캠 모터(48)의 회전방향을 역회전시킨다. 이 캠 모터(48)의 역회전 동작은, 가압조임후크(18, 19)가 이간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포장지(12)의 재삽입이 가능해지는 도 4의 부호 b의 위치까지 계속되고, 이 위치 b에 도달한 시점에서, 2회째의 포장동작을 시작하게 하기 위하여, 다시 캠 모터(48)의 회전방향이 정회전방향으로 바뀌게 된다.
또한, 포장지 복수회 감기제어수단(54)은, 캠 모터(48)의 역회전 동작을 종료하여 정회전방향으로 절환하는 2회째의 포장동작 개시의 타이밍(도 4에서의 b 위치로 되돌아간 시점)에서, 포장동작 지시수단(44)에 의해, 포장지 공급 모터(46) 및 포장 모터(47)를 기동시킨다. 이에 따라, 포장지 공급 로울러(17)에 의해 포장지(12)가, 포장로울러(11)와, 이미 1회째의 포장동작이 완료되어 있는 포장경화 (7A)와의 사이에 공급된 후, 포장로울러(11)가 이 포장경화(7A)를 끼워 회전하며, 그 결과, 2장째의 포장지(12)가 이미 1회 포장되어 있는 이 포장경화(7A)의 원통면에 더 감기게 된다. 그 한편에서, 포장지 공급모터(46)를 포장지(12)의 하나의 포장경화(7A)에 대한 통상의 공급량을 공급하는 회전량으로 구동시킨 후, 포장로울러(11)의 회전은 그대로인 상태로 포장지 공급모터(46)에 제동을 걸어, 포장지 공급로울러(17)를 급정지시킨다. 이에 따라, 포장로울러(11)와 포장지 공급 로울러(17)와의 사이의 포장지(12)가 팽팽하게 되어, 이 부분이 포장로울러(11)와 포장지 공급로울러(17)와의 사이에 배치된 커터(미도시)에 눌려서 절단되게 된다.
또한, 포장지 복수회 감기제어수단(54)은, 캠 모터(48)의 역회전 동작을 종료하고 정회전방향으로 절환하는 2회째의 포장동작 개시 시점(도 4에서의 b 위치로 되돌아간 시점)에서, 소자상태로 있던 솔레노이드(51)를 여자하여 스토퍼(50)를 상부 요동아암(36)의 요동 영역으로 돌출시킨다.
그리고, 2회째의 포장동작으로 공급된 포장지(12)가 집적경화(7)의 원통면에 완전히 감긴 후의 타이밍에서, 정회전 상태가 지속되고 있는 캠 모터(48)의 회전에 의해, 가압조임후크(18, 19)는 이간 위치로부터 접촉 위치를 향해 상호 근접되어 포장지(12)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각각 가압조임하게 된다. 이 때, 상부 가압조임후크(18)는, 상부 요동 아암(36)이 스토퍼(50)에 접촉하여 요동이 규제되는 소정의 정지 위치(집적경화(7)의 상면에 접촉하는 위치보다 상측)까지밖에 하강할 수 없다. 그 결과,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2회째의 포장동작에 의해 상부 가압조임후크(18)로 형성되는 포장지(12')의 상부 가압조임부(12a')는, 스프링(28)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가능한, 1회째의 포장동작에 의한 포장지(12)의 상부 가압조임부 (12a) 측에 가장 근접하는 위치에 대하여, 그보다 상측으로 벗어난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게 된다. 한편, 2회째의 포장동작에 의해 하부 가압조임후크(19)로 형성되는 포장지(12)의 하부 가압조임부(12b')는, 스프링(28)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가능한, 1회째의 포장동작에 의한 포장지(12)의 하부 가압조임부(12b)측에 가장 근접하는 위치에 형성되게 된다.
이 2회째의 포장동작의 완료후(도 4에서의 f 시점), 캠 모터(48)를 계속 정회전시킴으로써, 상하 가압조임후크(18, 19)를 이간 위치에 배치하면서 가압조임후크 릴리프 캠의 작동에 의해 후퇴위치로 이동시킨다. 또한, 이와 동시에, 지지봉아암 캠 및 지지봉 아암 릴리프 캠을 작동시켜 지지봉(10)을 후퇴 위치에 배치한 후, 포장 로울러 개폐 캠을 작동시켜 과부족이 있는 포장경화(7A)를 끼우고 있던 포장로울러(11)를 상호 이간시킴으로써, 과부족이 있는 포장경화(7A)는 낙하된다(도 4의 부호 f 이후 참조). 이 때, 게이트(미도시)를 절환함으로써, 정상적인 포장경화(7A)가 투입되는 롤 슈트와는 다른 리젝트 박스(미도시)에, 개수에 과부족이 있는 포장경화(7A)가 방출되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2회째의 포장동작의 완료 후, 과부족이 있는 포장경화 (7A)를 방출시키지 않고, 또한 이에 대하여 3회째 이후의 포장동작을 행하는 설정으로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경화포장기에 의하면, 집적개수 판정수단(43)에 의해 하나의 포장경화(7A)의 경화 개수의 과부족이 검출되었을 때, 포장지 복수회 감기제어수단(54)이, 그 하나의 포장경화(7A)에 대하여, 한번 또는 복수회 포장동작을 포장부(9)에 행하도록 하게 된다. 또한, 이 2회째 이후의 포장동작에 있어서, 상부 가압조임후크(18)의 이동량을 그 하나의 포장경화(7A)에 대한 1회째의 포장동작에 있어서의 상부 가압조임후크(18)의 이동량에 대하여 작게 제어함으로써, 도중에 가압조임을 멈추고, 2중 이상의 포장으로 또한 포장경화(7A)의 단부의 가압조임 부분에 고의로 가압조임불량을 발생시키게 된다. 즉,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2회째의 포장동작에 의해 상부 가압조임후크(18)로 형성되는 포장지(12')의 상부 가압조임부(12a')는, 스프링(28)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가능한, 1회째의 포장동작에 의한 포장지(12)의 상부 가압조임부(12a)측에 가장 근접하는위치에 대하여, 이보다 상측으로 벗어난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며, 2회째의 포장동작에 의해 하부 가압조임후크(19)로 형성되는 포장지(12')의 하부 가압조임부 (12b')는, 스프링(28)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가능한, 1회째의 포장동작에 의한 포장지(12)의 하부 가압조임부(12b)측에 가장 근접하는 위치에 형성되게 되고, 상부측에 분명한 가압조임불량을 형성하게 된다. 이 때문에, 과부족이 있던 해당 포장경화(7A)가, 통상보다 많이 감기고 또한 불량 상태로 가압조임된 포장지(12')에 의해, 시각적으로 정상적인 포장경화(7A)와 구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과부족이 있는 포장경화(7A)가, 만일 정상적인 포장경화(7A)와 섞이더라도 보다 명확하게 이를 분별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50) 및 솔레노이드(51)가, 상부 가압조임후크(18)의 이동량을 1회째의 포장동작에 있어서의 이동량에 대하여 작게 규제함으로써, 도중에 가압조임을 멈추고, 2중 이상의 포장으로 또한 포장경화(7A)의 상부 가압조임부(18)에 분명한 가압조임불량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간소한 구성으로 상부 가압조임후크(18)의 이동량을 작게 할 수 있다.
여기서, 포장경화에 대하여 2회째 이후의 포장동작을 행하면, 포장지가 종이인 경우, 두께가 필름에 비하여 두꺼워지므로, 가압조임부가 몇중으로 둥글게 뭉치기 어렵고, 또한 포장되는 경화의 외경이 작아질수록 둥글게 뭉쳐지기 어렵게 되므로, 정상적인 포장경화에 비하여 용이하게 분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포장지가 일축 연신(延伸) 필름 등의 필름인 경우, 두께가 종이에 비하여 얇아지므로, 비교적 몇겹으로도 둥글게 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경험상 2회째 이후의 가압조임부는 연장되는 형상이 되므로, 정상적인 포장경화에 비하여 용이하게 분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스토퍼(50) 및 솔레노이드(51)를 상부 요동아암(36)에 대하여 설치하고, 집적 개수의 과부족이 검출되었을 때, 이 스토퍼(50)를 상부 요동아암(36)에 접촉시킴으로써 상부 가압조임후크(18)의 이동을 기계적으로 규제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그 대신에, 스토퍼(50) 및 솔레노이드(51)를 하부 요동아암(37)에 대하여 설치하는 것 등에 의해, 집적개수의 과부족이 검출되었을 때, 이 스토퍼(50)를 하부 요동아암(37)에 접촉시킴으로써 하부 가압조임후크(19)의 이동을 기계적으로 규제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 도면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2회째의 포장동작에 의해 하부 가압조임후크(19)로 형성되는 포장지(12')의 하부 가압조임부(12b')는 스프링(28)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가능한, 1회째의 포장동작에 의한 포장지(12)의 하부 가압조임부 (12b)측에 가장 근접하는 위치에 대하여, 이보다 하측으로 벗어난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며, 2회째의 포장동작에 의해 상부 가압조임후크(18)로 형성되는 포장지 (12')의 상부 가압조임부(12a')는 스프링(28)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가능한, 1회째의 포장동작에 의한 포장지(12)의 상부 가압조임부(12a)측에 가장 근접하는 위치에 형성되게 되고, 하부측에 분명한 가압조임불량이 형성된다.
또한, 스토퍼(50) 및 솔레노이드(51)를 상부 요동아암(36) 및 하부 요동아암 (37)의 양방에 대하여 설치하는 것 등에 의해, 집적개수의 과부족이 검출되었을때, 이들 스토퍼(50)를 상부 요동아암(36) 및 하부 요동아암(37)에 접촉시킴으로써 상부 가압조임후크(18) 및 하부 가압조임후크(19)의 양측의 이동을 기계적으로 규제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2회째의 포장동작에 의해 상부 가압조임후크(18) 및 하부 가압조임후크(19)로 형성되는 포장지(12')의 상부 가압조임부 (12a') 및 하부 가압조임후크(12b')는, 스프링(28)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가능한, 1회째의 포장동작에 의한 포장지(12)의 상부 가압조임부(12a) 및 하부 가압조임후크 (12b)측에 가장 근접하는 위치에 대하여, 이들보다 상하 양측으로 벗어난 소정의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상하 양방에 분명한 가압조임불량이 형성된다.
또한, 가압조임후크(18, 19)의 이동을 규제하지 않고, 단순히 2회째 이후의 포장동작만을 하게 해도 된다. 이 경우도, 과부족이 있는 포장경화(7A)가 통상의 것보다 많이 감겨 가압조임된 포장지(12)에 의해, 시각적으로 정상적인 포장경화 (7A)로 구별되므로, 과부족이 있고, 만일 정상적인 포장경화(7A)와 섞여버린 경우에도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진다.
또한, 2회째 이후의 포장동작에 있어서의 가압조임후크(18, 19)의 이동을 규제시키는 것으로서, 상기한 스토퍼(50) 대신에 링크 부재나 레버 부재를 이용하여도 되며, 또한 솔레노이드(51) 대신에 모터류를 이용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경화포장기에 의하면, 과부족 검출수단에 의해 하나의 포장경화의 경화 개수의 과부족이 검출되었을 때, 포장지 복수회 감기제어수단이, 해당 하나의 포장경화에 대하여 다시 한번 또는 여러번 포장동작을 포장지 권회 가압조임수단에 행하게 하기 때문에, 과부족이 있던 해당 포장경화가, 통상의 것보다 많이 감겨 가압조임된 포장지에 의해 시각적으로 정상적인 포장경화와 구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과부족이 있는 포장경화가, 만일 정상적인 포장경화와 섞이더라도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경화포장기에 의하면, 과부족 검출수단에 의해 하나의 포장경화의 경화 개수의 과부족이 검출되었을 때, 포장지 복수회 감기제어수단이, 해당 하나의 포장경화에 대해, 다시 한번 또는 여러번 포장동작을 포장지 권회 가압조임수단에 행하게 하게 되지만, 이 2회째 이후의 포장동작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압조임후크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량을 1회째의 이동량에 비하여 작게 규제함으로써, 도중에 가압조임을 멈추고, 2중 이상의 포장으로 또한 포장경화의 단부의 가압조임 부분에 고의로 가압조임불량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과부족이 있는 해당 포장경화가 통상의 것보다 많이 감기고, 또한 불량상태로 가압조임된 포장지에 의해, 시각적으로 정상적인 포장경화와 구별되게 된다.
따라서, 과부족이 있는 포장경화가, 만일 정상적인 포장경화와 섞이더라도 보다 명확히 이를 구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경화포장기에 의하면, 규제수단이, 상하 한 쌍의 가압조임후크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량을 1회째의 포장동작에서의 이동량에 대하여 작게 규제함으로써, 도중에 가압조임을 멈추고, 2중 이상의 포장으로 또한 포장경화의 단부 중 적어도 한 쪽의 가압조임 부분에 분명한 가압조임불량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간소한 구성으로 가압조임후크의 이동량을 작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가압조임후크의 이동량을 규제하여 적어도 한쪽에 가압조임불량을 발생시키므로, 가압조임불량이 보다 명확해진다.

Claims (6)

  1. 복수의 경화를 한 개씩 송출하는 경화반송수단과,
    송출된 경화를 중첩 상태로 집적하는 집적수단과,
    집적된 경화의 외주면에 포장지를 공급하여 둘러 감음과 동시에 그 감은 포장지를 상하 한쌍의 가압조임후크를 상하로부터 이동시킴으로써 이들 가압조임후크로 가압조임하여 포장경화를 제작하는 포장동작을 행하는 포장지 권회 가압조임수단과,
    상기 포장경화의 경화개수의 과부족을 검출하는 과부족 검출수단을 구비하는 경화포장기에 있어서,
    상기 과부족 검출수단에 의해 하나의 포장경화에서 경화개수의 과부족이 검출되었을 때, 그 하나의 포장경화에 대하여, 상기 포장지 권회 가압조임수단에 이해 상기 포장동작을 한번 이상 더 하도록 하는 포장지 복수회 감기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포장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 복수회 감기제어수단은, 하나의 포장경화에 대한 2회째 이후의 상기 포장동작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압조임후크 중 적어도 하나의 가압조임후크의 이동량을, 1회째의 이동량에 비하여 작게 규제하는 규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경화포장기.
  3. 삭제
  4. 삭제
  5. 복수의 경화를 한 개씩 송출하는 단계와,
    송출된 경화를 중첩 상태로 집적하는 단계와,
    집적된 경화의 외주면에 포장지를 공급하여 둘러 감음과 동시에 그 감은 포장지를 상하 한쌍의 가압조임후크를 상하로부터 이동시킴으로써 이들 가압조임후크로 가압조임하여 포장경화를 제작하는 포장동작을 행하는 단계와,
    상기 포장경화의 경화개수의 과부족을 검출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경화포장방법에 있어서,
    상기 과부족을 검출하는 단계에 의해 하나의 포장경화에서 경화개수의 과부족이 검출되었을 때, 그 하나의 포장경화에 대하여, 상기 포장동작을 한번 이상 더 하도록 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포장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동작을 한번 이상 더 하는 단계는, 상기 한 쌍의 가압조임후크 중 적어도 하나의 가압조임후크의 이동량을, 1회째의 이동량에 비하여 작게 규제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포장방법.
KR10-2000-0070402A 1999-11-25 2000-11-24 경화포장기 및 경화포장방법 KR1004171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503899A JP3492573B2 (ja) 1999-11-25 1999-11-25 硬貨包装機
JP11-335038 1999-1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7930A KR20010077930A (ko) 2001-08-20
KR100417190B1 true KR100417190B1 (ko) 2004-02-05

Family

ID=18284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0402A KR100417190B1 (ko) 1999-11-25 2000-11-24 경화포장기 및 경화포장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519920B1 (ko)
EP (1) EP1103933B1 (ko)
JP (1) JP3492573B2 (ko)
KR (1) KR100417190B1 (ko)
CN (1) CN1200850C (ko)
DE (1) DE60033003T2 (ko)
HK (1) HK1037352A1 (ko)
TW (1) TW5221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14637A1 (en) * 2014-08-01 2016-10-27 Gccm, Llc Coin Wrapping Machine
CN105857672B (zh) * 2016-03-31 2018-01-16 嘉兴职业技术学院 硬币包装机
CN105869264B (zh) * 2016-04-22 2018-07-24 温州大学 硬币分离包装一体机
CN107240186A (zh) * 2017-05-17 2017-10-10 上海古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硬币包装机开门机构
JP7388632B2 (ja) * 2020-03-17 2023-11-29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硬貨包装機および硬貨包装機の制御方法
CN115231039A (zh) * 2022-06-22 2022-10-25 中国农业科学院都市农业研究所 一种菌种器皿用封口机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452B2 (ja) * 1986-12-26 1996-01-24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硬貨包装機
JPH0764335B2 (ja) 1989-02-27 1995-07-12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硬貨包装機の硬貨過不足検出装置
JPH07112844B2 (ja) * 1989-06-08 1995-12-06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硬貨包装機用包装紙供給装置
JP2986323B2 (ja) 1993-12-17 1999-12-06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硬貨包装機
JP3043574B2 (ja) * 1994-07-27 2000-05-22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硬貨包装機
JP3481781B2 (ja) * 1996-07-10 2003-12-22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硬貨包装機
JP3419670B2 (ja) * 1996-12-20 2003-06-23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硬貨包装機
JP3540163B2 (ja) * 1997-07-18 2004-07-07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硬貨包装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00850C (zh) 2005-05-11
CN1297835A (zh) 2001-06-06
TW522121B (en) 2003-03-01
EP1103933A3 (en) 2004-03-24
JP3492573B2 (ja) 2004-02-03
EP1103933A2 (en) 2001-05-30
DE60033003T2 (de) 2007-07-19
EP1103933B1 (en) 2007-01-17
HK1037352A1 (en) 2002-02-08
JP2001151203A (ja) 2001-06-05
DE60033003D1 (de) 2007-03-08
KR20010077930A (ko) 2001-08-20
US6519920B1 (en) 2003-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0207B1 (ko) 경화포장기
KR970004742B1 (ko) 경화포장기
KR100241656B1 (ko) 경화포장기
JPS6119483B2 (ko)
KR100417190B1 (ko) 경화포장기 및 경화포장방법
US3938303A (en) Coin packaging apparatus
JPS5944244B2 (ja) 硬貨包装機
KR0165913B1 (ko) 경화처리기
KR100391924B1 (ko) 경화포장기
KR20000052389A (ko) 경화 포장기
KR0165914B1 (ko) 경화처리기
JP3670198B2 (ja) 硬貨包装機
JP2832571B2 (ja) 硬貨包装装置
JPS6212088B2 (ko)
JP3481781B2 (ja) 硬貨包装機
KR0165912B1 (ko) 경화포장기
KR100199143B1 (ko) 경화포장기
JPS5837178B2 (ja) 硬貨包装機の包装紙確認装置
JP3490230B2 (ja) 硬貨包装機
JP2865363B2 (ja) 硬貨包装機
JP6189155B2 (ja) 硬貨包装装置および硬貨包装方法
JP3490209B2 (ja) 硬貨包装機
JP3267697B2 (ja) 硬貨処理機
JPH0133445Y2 (ko)
CN113409511A (zh) 硬币包装机以及硬币包装机的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3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