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5304B1 - 인터넷 상에서 부동산 개발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 상에서 부동산 개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5304B1
KR100415304B1 KR10-2000-0044920A KR20000044920A KR100415304B1 KR 100415304 B1 KR100415304 B1 KR 100415304B1 KR 20000044920 A KR20000044920 A KR 20000044920A KR 100415304 B1 KR100415304 B1 KR 100415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l estate
information
development
user
estate develo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4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3766A (ko
Inventor
장을순
Original Assignee
장을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을순 filed Critical 장을순
Priority to KR10-2000-0044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5304B1/ko
Publication of KR20000063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3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5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5304B1/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상에서의 부동산개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부동산개발 목적이 일치하는 사용자 상호간에 군집을 형성하고, 상기 사용자 상호간의 의견수렴에 의해 부동산을 개발하는 인터넷상에서의 부동산개발에 관한 방법이다.
종래에는 인터넷상에서 사용자가 부동산을 개발하려면 건축설계/시공사무소에서 제시하는 설계도면 및 건축시공회사를 선택해야 하고, 또한 부동산개발 영역이 광범위하거나, 또는 부동산 개발자금이 부족한 경우, 사용자 개인으로는 부동산개발에 참여를 하지 못하였던 반면에 본 발명은 부동산개발정보 DB, 부동산정보 DB, 부동산개발군집 DB를 운영하는 부동산개발서버와, 회원정보 DB, 웹정보 DB를 운영하는 웹서버와, 상기 부동산개발서버와 웹서버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상기 웹서버가 인터넷망을 통하여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접속한 인터넷시스템 상에서, 상기 웹정보 DB에 사용자의 부동산개발개인/군집창을 구비하여 다수개의 건추설계/시공사무소에서 제시하는 다수개의 설계도면 및 다수개의 공개입찰내역정보를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도록 하며, 다수의 사용자가 부동산 개발 목적이 일치할 경우, 군집을 형성하여 부동산을 개발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Description

인터넷 상에서 부동산 개발방법{Method of immovable property evolution at internet}
본 발명은 인터넷 상에서의 부동산개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인터넷상에서 부동산개발 목적이 일치하는 사용자 상호간에 군집을 형성하고, 상기 사용자 상호간의 의견수렴에 의해 부동산을 개발하는 인터넷상에서의 부동산개발에 관한 방법이다.
최근들어 인터넷의 발달로 오프라인상에서 행해지고 있는 전반적인 서비스가 인터넷상으로 옮겨가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부동산 개발도 인터넷의 발달에 의해 온라인상에서 건축시공사, 건축설계사무소 등을 웹페이지 형식으로 운영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사용자가, 예를 들어, 인터넷 상에서 부동산개발을 하고자 한다면 먼저, 웹서버, 또는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텍스트, 그래픽 등의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의 컴퓨터 단말기로 전송을 실행하여 주는 WWW(World Wide Web)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브라우저가 설치된 사용자의 컴퓨터단말기에서 상기 웹브라우저에 구비된 URL입력부(웹사이트, 웹페이지 등의 정보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주소를 입력하는 난)에 건축설계/시공사무소의 홈페이지주소를 입력한다.
여기서 건축설계/시공사무소의 URL입력부에 홈페이지주소를 입력할 때, 상기 URL입력창의 좌측에 표시된 “http”는 상기 입력되는 홈페이지주소를 상기 홈페이지를 관리하는 웹서버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신규약을 의미한다.
상기 사용자의 컴퓨터 단말기의 웹브라우저상의 URL입력부에 입력된 건축설계/시공사무소의 홈페이지주소를 전송하면 상기 건축설계/시공사무소의 홈페이지를 관리하여 주는 웹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컴퓨터단말기에 구비된 웹브라우저상에 상기 웹서버가 운영하는 웹페이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웹페이지는 모자익(Mosaic)에 사용되는 하이퍼텍스트를 기술하는 언어인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문서를 이용하여 제작이 된다.
사용자는 상기 웹서버에서 전송된 웹페이지 상에서 텍스트를 등록할 수 있는 전자게시판과 같은 웹페이지를 출력한다.
상기 출력된 전자게시판과 같은 웹페이지상에서 사용자가 부동산개발을 하고자 할때, 요구되는 부동산의 지역, 구조, 형태, 자재 등을 사용자단말기에 구비된 키보드를 이용하여 입력하고 등록메뉴를 클릭하면 상기 텍스트로 입력이 된 데이터는 웹서버로 전송이 된다.
상기 웹서버로 전송된 텍스트정보는 상기 웹서버가 운영하는 특정한 DB에 저장이 되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 건축설계/시공사무소의 설계도면작성자는 웹서버에 전송된 데이터를 가공하여 작성된 설계도면을 사용자가 출력 및 프린팅이 가능하도록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상기 사용자가 가지는 전자우편주소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웹서버가 운영하는 다양한 웹페이지에서 전자게시판 페이지와 같은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웹페이지에 상기 설계도면 데이터를 등록함으로써, 사용자가 열람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전송된 설게도면이 사용자의 부동산개발과 부합되면 사용자는 건축시공을 하겠다는 답변을 전자우편수단과 같은 통신링크를 사용하여 건축설계/시공사무소의 웹페이지로 전송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전송된 설계도면 데이터가 자신이 요구하는 부동산개발과 부합되지 않을 경우, 재차 다른 설계도면을 건축설계/시공사무소에게 요구할 수 도 있다.
상기 전자우편수단, 또는 전자게시판 웹페이지상에 등록된 메시지에 의해 건축시공사의 건축시공자는 오프라인상에서 건축을 시공함으로써 인터넷상에서 부동산개발과 관련하여 도면의 설계 및 건축시공을 할 수 있는 여건을 제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부동산개발자인 사용자가 상기 건축설계/시공사무소의 홈페이지주소, 또는 건축시공사의 홈페이지 주소를 모르는 경우, 인터넷 상에서 검색엔진이 구비된 검색웹사이트에서 키워드의 조합에 의해 상기 건축 건축설계/시공사무소의 홈페이지주소또는 건축시공사의 홈페이지주소를 검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인터넷상에서 부동산개발 방법은 사용자가 부동산개발을 하기 위한 첫단계로 인터넷 상에서 건축설계를 의뢰할 때, 사용자가 건축설계/시공사무소의 홈페이상에서 전송된 전자게시판 웹페이지상에 상기 사용자가 요구하는 부동산 개발 내용을 입력하면, 상기 입력된 내용을 수렴하여 개발되어지는 부동산지역은 상기 사용자가 요구하는 부동산 개발 목적중, 교통, 상하수도, 교육시설,문화시설 등과 같은 주변환경 등을 충분히 고려할 수 없으며, 상기와 같은 주변환경을 고려할 경우, 상기 건축설계사무소에서 제공하는 설계도면을 일정횟수 이상 검토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부동산개발자인 사용자가 의뢰한 부동산개발에 부합되는 설계도면은 건축설계/시공사무소에서 제시하는 설계도면은 단지 하나여서, 부동산개발되는 건물에 구비되는 방의 배치등 사용자가 요구하는 다양한 부동산개발에 부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터넷 상에서 부동산개발자인 사용자가 부동산개발을 하는데 있어서 부동산개발 영역이 광범위하거나, 또는 부동산 개발자금이 부족한 경우, 사용자 개인으로는 부동산개발에 참여를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터넷 상의 부동산 개발에 있어서 건물 준공시, 상기 건축설계/시공사무소가 제안하는 건물 준공 가격에 거래를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터넷 상의 부동산 개발에 있어서 건물 건축 진행시, 상기 건축진행상황을 제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사용자가 요구하는 교통, 상하수도, 교육시설, 문화시설 등과 같은 주변환경과 같은 부동산 개발목적에 부합하도록 상기 부동산을 본 발명의 웹사이트상에서 직접 선정할 수 있도록 부동산을 텍스트 및 화상이미지로 데이테베이스화하여 사용자가 열람한 후,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부동산개발자인 사용자가 요구하는 건물의 방의 배치등, 다양한 부동산개발 목적에 부합이 되도록 다수개의 가설계도면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부동산 개발 영역이 광범위 하거나, 또는 부동산 개발자금이 부족한 경우, 상기 동일한 부동산 개발 목적을 가지는 사용자 상호간에 군집을 형성하여 부동산 개발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4목적은 부동산개발자인 사용자가 부동산개발을 하는데 소요되는 건물 준공 가격을 사용자 스스로가 직접 비교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웹사이트에서 다수개의 건축설계/시공사무소가 제안하는 건축공개입찰가격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5목적은 오프라인상에서 진행되는 건축 진행사항을 본 발명의 웹사이트에 동영상의 이미지로 제공하여 사용자들이 열람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또한 상기 동영상으로 제공되는 건축 진행상황에 이의 제기가 있으면 상기 건축을 진행하는 건축설계/시공사무소의 답변을 본 발명의 부동산 군집 DB에 저장함으로써사용자의 의견이 수렴이 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부동산개발정보 DB, 부동산정보 DB, 부동산개발군집 DB, 부동산 관련업종 DB를 운영하는 부동산개발 서버와; 회원정보 DB, 웹정보 DB를 운영하는 웹서버; 상기 부동산개발 서버와 웹서버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상기 웹서버가 인터넷망을 통하여 접속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를 구비한 인터넷 기반에 있어서,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인터넷 상에서 본 발명의 웹사이트주소를 입력하여 웹사이트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와;상기 웹사이트에 구비된 개인 부동산개발정보열람메뉴의 클릭에 의해 출력되는 부동산개발양식창에서 입력양식에 맞게 데이터를 입력한 후, 부동산개발 정보DB에 등록하는 단계와;상기 웹서버와 연동된 부동산개발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간의 군집 형성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상기 판단결과, 사용자 단말간에 군집을 형성할 경우 부동산 개발 목적이 일치하는 사용자 단말간에 군집을 형성하도록 하는 단계와;상기 군집 형성된 사용자 단말에 의해 부동산 개발을 위한 부동산에 관련된 업종을 선정하도록 하는 단계와;상기 웹서버와 연동된 부동산개발 서버에서 부동산정보 DB에 사용자가 필요로하는 부동산 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사용자 단말로 확인 요청하는 단계와;상기 판단결과, 군집 형성된 사용자 단말이 필요로하는 유용한 부동산 정보가 있을 경우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의해 부동산 정보를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와;상기 선택된 부동산 정보를 인터넷을 통하여 복수의 설계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상기 전송된 부동산 정보를 바탕으로 복수개의 건축설계회사가 작성한 가설계도면을 건축설계회사 단말을 이용하여 웹서버와 연동된 부동산개발 서버의 부동산개발 군집 DB에 등록하는 단계와;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의해 부동산개발 군집 DB에 등록된 가설계도면 을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와;상기 선택된 가설계도면을 바탕으로 작성된 상세개발계획서를 운영자 웹서버에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와;상기 상세개발계획 정보를 바탕으로 군집 형성된 사용자 단말의 다수결 선택에 의해 설계도면을 선정하도록 하는 단계와;상기 군집 형성된 사용자 단말의 다수결 선택에 의해 건축시공사를 선정하도록 하는 단계와;상기 건축시공사 단말에서 제공된 건축진행상황 정보를 웹사이트에 공개하는 단계와;상기 군집 형성된 사용자 단말에 의해 건축시공사 단말에서 제공된 건축진행 상황에 대해 이의제기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상기 판단결과, 건축진행 상황에 대해 이의제기가 없는 경우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된 법률/세무업종 단말에 의뢰하여 부동산 등기를 이전하도록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상에서 부동산 개발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사용자가 인터넷 상에서 부동산을 개발하기 위해 필요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사용자가 인터넷상에서 부동산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의 부동산 개발양식에 기재되는 세부항목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부동산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부동산 개발정보 DB 2 : 부동산정보 DB
3 : 부동산개발 군집 DB 4 : 부동산 관련업종 목록 DB
5 : 부동산개발 서버 6 : 회원정보 DB
7 : 웹정보 DB 8 : 웹서버
9 : 네트워크 10 : 인터넷망
11 : 사용자 단말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사용자가 인터넷 상에서 부동산을 개발하기 위해 필요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부동산개발 목적 정보를 포함하는 부동산개발 정보 DB(1)와, 사용자가 제공하는 부동산의 정보를 텍스트 및 화상이미지의 정보를 포함하는 부동산정보 DB(2)와, 부동산개발목적이 일치하는 사용자간의 상호의견 교환정보, 설계도면정보, 건축시공양식정보 등을 포함하는 부동산개발군집 DB(2)와, 부동산 건축설계/시공사무소의 홈페이지, 법률사무소의 홈페이지, 세무회계사무소의 사무소 소개정보, 등급정보를 포함하는 각종정보와 상기 각 사무소와 링크를 시켜주는 이동메뉴를 포함하는 부동산 관련업종 DB(4)와, 상기 부동산개발 정보 DB(1), 부동산정보 DB(2), 부동산개발군집 DB(2), 부동산 관련업종 DB(4)를 운영하는 부동산개발 서버(5)와, 사용자의 은행계좌번호, 상기 은행계좌의 비밀번호, 주민등록번호 등 각종 개인신상정보를 포함하는 회원정보 DB(1)와, 각종 서식정보를 포함하는 웹정보 DB(5)와, 상기 회원정보 DB(1), 웹정보 DB(5)를 운영하는 웹서버(8)와, 상기 부동산개발 서버(5)와 웹서버(8)가 네트워크(9)를 형성하고, 상기 웹서버(8)가 인터넷망(10)을 통하여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기(11)로 구성된다.
상기 개인부동산개발정보 DB(1)는 개개의 사용자가 개발하고자 하는 부동산의 정보를 계층적 디렉토리 구조를 반영하여, 먼저 시(특별시, 광역시), 구, 동 별 및 도, 군으로 구분하며, 상기 지역별로 구분된 디렉토리 구조의 하부 디렉토리구조, 즉 계층으로 구분하여 상업용 및 주거용으로 구분 하며, 상기 용도별로 구분된디렉토리 구조를 다시 주거용으로 구분된 부동산 정보는 아파트, 연립주택, 전원주택으로 구분하고, 상기 상업용으로 구분된 부동산 정보는 아파트상가, 주상복합상가, 시장권상가, 역세권 상가 등의 하부 디렉토리구조로 구분하고, 상기 형태별로 구분된 부동산정보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부동산개발 가격정보, 부동산면적정보, 부동산 배치구조 정보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진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상기 개인부동산개발정보 DB(1)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 부동산개발정보를 열람하려면, 상기 사용자의 컴퓨터단말기의 웹브라우저 상에 전송된 웹사이트에서 개인 부동산개발정보열람메뉴를 클릭하면 웹서버(8)와 부동산개발서버(5)가 연동하여 개인부동산개발정보가 제시된 개인부동산개발창(도면없음)이 사용자의 컴퓨터단말기의 웹브라우저상에 전송된다.
상기 부동산정보 DB(2)는 부동산 소유자인 사용자의 부동산 정보를 텍스트 및 화상이미지로 제시되는 개발가능 부동산 목록과 일반 부동산 목록으로 구분되어 저장되어지도록 구분되어 진다.
상기 구분되어진 개발가능 부동산 항목과 일반 부동산 항목을 사용자가 열람할 수 있도록, 상기 각 항목을 나타내는 부동산지역 명칭, 평수등이 기재된 텍스트부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상기 구비된 텍스트부를 클릭하면, 웹서버(8)와 부동산개발서버(5)가 연동하여 부동산정보 DB(2)에 저장되어 있는 텍스트 및 화상이미지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부동산토지열람창(도면없음)이 사용자의 컴퓨터단말기에 구비된 웹브우저로 전송이 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개발가능 부동산 항목 및 일반 부동산 항목의 구분은 본 발명의운영자에 소속되어 있는 부동산컨설팅관련자가 토지면적, 토지가격, 건축가능면적, 총개발비용, 상업성등을 고려하여 개발가능여부를 판단하며, 개발가능 부동산 항목으로 분류가 되면, 상기 개발가능여부를 판단하는데 고려한 토지면적, 토지가격, 건축가능면적, 총개발비용, 상업성등을 데이터베이스화 한 개발가능 부동산 항목이 부동산정보 DB(2)에 저장이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의 컴퓨터단말기의 웹브라우저 상에 전송된 웹사이트에서 부동산토지정보 열람메뉴를 클릭하면 웹서버(8)와 부동산개발서버(5)가 연동하여 부동산토지열람창(도면없음)이 사용자의 컴퓨터단말기의 웹브라우저상에 전송된다.
상기 부동산개발 군집 DB(3)는 사용자의 컴퓨터단말기의 웹브라우저 상에 전송된 웹사이트에 구비된 개인 부동산개발정보열람메뉴를 클릭하면, 웹서버(8)와, 부동산개발서버(5)가 연동하여 웹정보 DB(7)에 포함된 개인 부동산개발양식정보창에 부동산개발정보 DB(1)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부동산개발양식정보가 출력이 되도록 구성되어진다.
여기서 부동산개발자인 사용자가 개인부동산개발정보를 열람한 후, 상기 사용자의 부동산개발 목적과 부합되면, 상기 개인 부동산개발창에 구비된 부동산개발참여 텍스트입력부에 군집을 형성하자는 메시지를 입력한다.
상기 입력된 메시지는 개인부동산개발정보 DB(1)에 저장이 되고, 상기 입력되는 군집형성 메시지가 반복이 되어 부동산개발시, 필요한 부동산개발인원이 형성되면, 상기 부동산개발 정보 DB(1)에 데이터를 게재한 사용자는 자신의 컴퓨터단말기의 웹브라우저상에 디스플레이된 본 발명의 웹사이트에서 부동산개발 군집신청메뉴를 클릭하면, 웹서버가 운영하는 웹정보(7)에서 부동산개발 군집신청창(도면없음)이 사용자의 컴퓨터단말기의 웹브라우저상으로 전송이 되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 전송된 부동산개발 군집신청창에 구비된 텍스트입력부에 부동산 개발을 신청한다는 메시지를 입력한 후, 전송을 하면 부동산개발서버(5)와 연동하여 부동산개발 군집 DB(3)에 부동산개발 군집신청정보가 저장이 되도록 구성되어진다.
본 발명의 운영자는 상기 부동산개발 군집 DB(3)에 저장된 부동산개발 군집신청정보를 열람한 후, 부동산개발 군집창(도면없음)을 부동산개발 군집 DB(3)에 등록시켰다는 것을 상기 부동산 개발을 신청한 사용자의 정보가 저장된 부동산개발 정보 DB(1)에 통보한다.
상기 통보된 정보에는 부동산개발군집 DB(3)에 등록된 부동산개발 군집창을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비밀번호, 자동적으로 부여되는 부동산개발 군집창의 등록번호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통보된 정보를 열람한 부동산개발 군집 신청자인 사용자는 부동산개발을 위해 군집을 형성한 각 사용자에게 부동산개발 군집창을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비밀번호, 부동산개발 군집창 등록번호를 통보한다.
또한 상기 부동산개발 군집창은 부동산에 관련된 자료들의 등록이 가능한 게시판 기능과, 사용자 상호간에 부동산에 관해 토론도 가능한 채팅기능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진다.
또한 개인자격으로도 부동산개발을 할 수 있도록,부동산개발개인창(도면없음)이 웹서버(8)가 운영하는 웹정보 DB(7)에 저장이 되도록 구성되어지며, 상기 부동산개발 군집창에서 수행되는 작용과 동일하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 부동산 관련업종 DB(4)는 부동산 개발시 필요로 되는 부동산 중계업자, 건축설계업자, 건축시공업자, 법률/세무업자, 금융업자 등으로 구분을 하고, 상기 구분된 부동산관련업종들에 종사하는 개개의 사무소의 업종명, 등급명 등이 텍스트부로 저장되어진다.
여기서 등급명은 건축설계사무소와 건축시공사일 경우에 해당이 된다.
상기 건축설계사무소 및 건축시공사의 등급구분은 각 사무소의 규모, 실적, 재정, 수주능력, 매출등을 고려하도록 구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업종명, 등급명으로 구분되어진 개개의 사무소 텍스트부 중, 임의의 하나를 클릭하면, 상기 사무소의 간략한 소개를 제시하는 텍스트부 및 상기 사무소의 홈페이지로 링크를 시켜주는 홈페이지 이동메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부동산 관련업종 회사들은 본 발명에 회원으로 가입이 되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 회원정보 DB(6)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서 부동산개발을 하고자 할 때, 상기 사용자의 신용도를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의 은행계좌번호, 비밀번호, 주민등록번호, 개인전화번호등을 포함하는 개인신상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자가 본 발명의 웹사이트에 접속한 상태에서 회원가입메뉴를 클릭하면, 웹서버가 운영하는 웹정보 DB(7)에 저장된 회원가입양식창(도면없음)이 사용자의 컴퓨터단말기의 웹브라우저상으로 전송이 되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 전송된 회원가입양식창에 구비된 개인신상정보를 입력하는 텍스트입력부에 입력양식에 맞게 기재를 한 후, 회원 가입메뉴를 클릭하면, 부동산개발 서버(5)와 연동하여 부동산 관련업종 목록 DB(4)에 저장되어 있는 금융업자의 홈페이지에 링크되도록 요청한다.
상기 금융업자의 홈페이지에 링크가 되면, 상기 회원가입신청을 요청한 사용자의 개인신상정보가 상기 금융업자의 홈페이지를 운영하는 서버로 전송이 되며, 상기 전송된 사용자의 개인신상정보를 이용하여 개인신용도를 조사하도록 구성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금융업종의 홈페이지에서 실행되는 개인신용정보조회 과정에서 신용불량으로 판정되었을 경우, 상기 사용자는 회원 가입이 되지 않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 웹정보 DB(5)는 부동산토지열람창, 개인부동산개발창, 부동산개발군집창, 회원가입창과 같은 서식정보가 웹페이지 형식으로 저장되어 지도록 구성되어진다.
도 2는 사용자가 인터넷상에서 부동산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인터넷 상에서 부동산을 개발하기 위해 인터넷에 접속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의 웹브라우저 상에 구비된 URL입렵부에 본 발명의 웹사이트주소를 입력하여 웹사이트를 출력하는 단계(S100)와,상기 웹사이트에 구비된 개인 부동산개발정보열람메뉴의 클릭에 의해 출력되는 부동산개발양식창에서 입력양식에 맞게 데이터를 입력한 후, 부동산개발 정보DB에 등록하는 단계(S110)와;상기 웹서버와 연동된 부동산개발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간의 군집 형성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20)와;상기 판단결과, 사용자 단말간에 군집을 형성할 경우 부동산 개발 목적이 일치하는 사용자 단말간에 군집을 형성하도록 하는 단계(S130)와;상기 군집 형성된 사용자 단말에 의해 부동산 개발을 위한 부동산에 관련된 업종을 선정하도록 하는 단계(S140)와;상기 웹서버와 연동된 부동산개발 서버에서 부동산정보 DB에 사용자가 필요로하는 부동산 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사용자 단말로 확인 요청하는 단계(S150)와;상기 판단결과, 군집 형성된 사용자 단말이 필요로하는 유용한 부동산 정보가 있을 경우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의해 부동산 정보를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S160)와;상기 선택된 부동산 정보를 인터넷을 통하여 복수의 설계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S170)와;상기 전송된 부동산 정보를 바탕으로 복수개의 건축설계회사가 작성한 가설계도면을 건축설계회사 단말을 이용하여 웹서버와 연동된 부동산개발 서버의 부동산개발 군집 DB에 등록하는 단계(S180)와;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의해 부동산개발 군집 DB에 등록된 가설계도면 을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S190)와;상기 선택된 가설계도면을 바탕으로 작성된 상세개발계획서를 운영자 웹서버에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S200)와;상기 상세개발계획 정보를 바탕으로 군집 형성된 사용자 단말의 다수결 선택에 의해 설계도면을 선정하도록 하는 단계(S210)와;상기 군집 형성된 사용자 단말의 다수결 선택에 의해 건축시공사를 선정하도록 하는 단계(S220)와;상기 건축시공사 단말에서 제공된 건축진행상황 정보를 웹사이트에 공개하는 단계(S230)와;상기 군집 형성된 사용자 단말에 의해 건축시공사 단말에서 제공된 건축진행 상황에 대해 이의제기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240)와;
상기 판단결과, 건축진행 상황에 대해 이의제기가 없는 경우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된 법률/세무업종 단말에 의뢰하여 부동산 등기를 이전하도록 요청하는 단계(S250)로 구성된다.
S120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간에 군집을 형성하지 않을 경우, 개인이 부동산개발을 하기 위해, S140단계로 진입한다.
S150단계에서, 군집을 형성한 사용자 단말에 유용한 부동산 정보가 없을 경우, 부동산중계업종 사이트와 링크하는 단계(S153)와,
상기 링크된 부동산중게업종 사이트에 구비된 부동산 정보중 임의의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S156)에서 S170단계로 진입한다.
상기 S240단계에서, 건축진행상황에 대해 이의제기가 있는 경우, 이의제기를 신청하는 단계(S243)와,
상기 이의제기에 대한 답변을 부동산개발 군집 DB(3)에 등록하는 단계(S246)에서 S250단계로 진입한다.
상기 S110단계에 있어서, 상기 부동산개발 정보 DB(1)에 등록된 사용자 개개의 부동산개발 정보에 링크가 가능하도록 본 발명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아이디, 개략적인 부동산개발 분류등을 텍스트로 표시하고, 상기 텍스트로 표시된 사용자의 아이디, 개략적인 부동산 개발분류 등에 하이퍼링크 수단을 부여하여 타사용자가 상기 텍스트로 표시된 사용자의 아이디, 개략적인 부동산 개발분류 등을 클릭하면 개개의 부동산개발 양식정보를 열람할 수 는 개인부동산개발 양식정보창(도면없음)이 출력되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 S130단계에 있어서, 본 발명의 웹사이트에 구비된 개인 부동산개발정보열람메뉴를 클릭하면 활성화되는 개인부동산개발창에서 개인부동산개발양식정보를 열람한 후, 상기 사용자간에 개발 목적이 일치하면 상기 상기 개인부동산개발 양식정보창에 텍스트 입력부를 구비하여 공동으로 부동산을 개발하자는 등의 내용을 사용자의 키보드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필요한 부동산개발인원이 형성되면, 본 발명의 운영자에게 군집을 형성한다는 메시지를 군집신청창을 통하여 통보를 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운영자는 부동산개발 군집 DB(3)에 부동산개발 군집창을 등록하고, 상기 군집을 형성한 개개의 사용자에게 상기 부동산개발 군집창을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비밀번호, 자동적으로 부여되는 부동산개발 군집창의 등록번호 등을 전송하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 S160단계에 있어서, 본 발명의 부동산정보 DB(2)에 저장되어 있는 부동산 정보를 열람하여 선택을 하며, 상기 부동산정보 DB(2)에 군집을 형성한 다수의 사용자가 원하는 부동산 정보가 없을 경우, 본 발명의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는 부동산중계업종 사이트와 연계하여 부동산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 S170단계에 있어서, 다수의 설계업자에게 부동산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본 발명의 웹사이트에 구비된 부동산관련업종 보기메뉴를 클릭하면, 웹서버(8)와, 부동산개발서버(5)가 연동하여 웹정보 DB(7)에 저장되어 있는 부동산관련업종목록창(도면없음)에 부동산관련업종 DB(4)에 저장되어 있는 부동산관련업종들에 종사하는 개개의 사무소의 업종명, 등급명 등이 텍스트부로 제시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 디스플레이된 부동산관련업 중, 설계업종에 속하는 다수개의 설계회사 상세정보를 열람한 후, 상기 군집을 이루는 사용자간의 토론에 의해 다수개의 설계회사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설계회사의 홈페이지이동메뉴를 클릭하여 활성화되는 건축설계회사의 홈페이지 상에 구비되어 있는 게시판창에 상기 부동산개발 정보을 등록하도록 구성되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에 속하는 당업자라면 상기 부동산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잇어서 상기 설계회사의 홈페이지상에 구비되어 있는 게시판에 등록하는 방법외에 다른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예를 들어, 전자우편수단과 같은 정보전송수단을 이용하여 부동산 정보를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S180단계에 있어서, 부동산개발 군집 DB(3)에 부동산에 관련된 정보를 등록할 수 있는 게시판 기능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등록된 부동산에 관련된 정보는 군집을 형성한 사용자 이외에는 열람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 S190단계에 있어서, 부동산개발 군집 DB(3)에 구비된 텍스트입력부에서 상기 군집을 형성한 사용자간에 다수결에 의해 다수개의 가설계도면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 S200단계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운영자는 군집을 형성한 사용자들이 선택한 다수개의 가설계도면을 참조하여 건축, 설계, 법규, 금융 등의 부동산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사항들 상세사업계획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여 부동산개발 군집 DB(3)에 등록하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 S220단계에 있어서, 건축시공사를 선택하기 위해, 본 발명의 웹사이트에 구비된 부동산관련업종 보기메뉴를 클릭하면, 웹서버(8)와, 부동산개발서버(5)가 연동하여 웹정보 DB(7)에 저장되어 있는 부동산관련업종목록창(도면없음)에 부동산관련업종 DB(4)에 저장되어 있는 부동산관련업종들에 종사하는 개개의 사무소의 업종명, 등급명 등이 텍스트부로 제시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 디스플레이된 부동산관련업 중, 건축시공업종에 속하는 다수개의 설계회사 상세정보를 열람한 후, 상기 군집을 이루는 사용자간의 토론에 의해 다수개의 설계회사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설계회사의 홈페이지이동메뉴를 클릭하여 활성화되는 건축설계사무소의 홈페이지 상에 구비되어 있는 게시판창에 상세개발계획정보, 입찰기간정보 등을 등록하도록 구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상세개발계획정보, 입찰기간정보를 통보 받은 다수개의 건축시공사는 상기 군집을 형성한 사용자들이 통보한 입찰기간까지 상기 상세개발계획정보를 토대로 하여 작성된 입찰내역정보를 상기 부동산개발 군집 DB(3)에 등록하도록 구성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군집을 형성한 사용자가 이용하는 부동산개발 군집창에 구비된 텍스트입력부에서 상기 군집을 형성한 사용자간에 입찰내역정보를 검토한 후, 다수결에 의해 하나의 건축시공사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 S230단계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건축시공사가 건축하는 건물을 캠코더와 같은 동영상찰영수단을 이용하여 찰영한 후, 상기 찰영된 건물의 동영상을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부동산개발 군집 DB(3)에 등록하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 S243단계에 있어서, 군집을 형성한 사용자들이 상기 S230단계에서 제시된 건축시공되는 건물의 동영상이미지 정보를 열람한 후, 토론에 의해 이의제기가 제기되면, 상기 건축물의 시공을 맡은 건축시공사의 홈페이지의 게시판창에 이의제기정보를 통보하도록 한다.
도 3은 상기 도 2의 부동산 개발양식에 기재되는 세부항목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메인화면창에서 출력된 부동산개발 양식 웹페이지에서 사용자가 세부 부동산 개발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지역분류를 선택하는 단계(S400)와,
용도분류를 선택하는 단계(S410)와,
형태분류를 선택하는 단계(S420)와,
조건분류를 선택하는 단계(S430)로 구성된다.
상기 S400단계에 있어서, 부동산개발 양식창(웹페이지)에 구비된 지역분류 입력부는 전국 지역을 시(특별시, 광역시로 구분), 구, 동별 및 도, 군으로 구분하여 사용자가 상기 구분되어진 지역 중 임의의 한 지역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 S410단계에 있어서, 부동산개발 양식창에 구비된 용도분류 입력부는 부동산을 상업용 및 주거용으로 구분이 되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 S420단계에 있어서, 부동산개발 양식창에 구비된 형태분류 입력부는 상기 구분되어진 주거용을 다시 아파트, 연립주택, 전원주택 등의 형태별로 세분화 하고, 상기 상업용은 아파트상가, 주상복합상가, 시장권상가, 역세권 상가 등으로 세분화되어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 S430단계에 있어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가격, 면적, 구조의 요구사항인 조건들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에 속하는 당업자라면 상기 부동산 개발정보의 각 입력단계는 부동산 개발정보의 추가, 삽입, 또는 순서의 뒤바뀜 등을 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도 4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부동산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자인 사용자의 부동산정보를 본 발명의 서버에 등록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의 웹브라우저상으로 전송된 본 발명의 웹사이트에서 부동산등록창을 출력하는 단계(S500)와;상기 출력된 부동산등록창에서 입력양식에 맞게 데이터를 입력한 후 부동산개발 서버의 부동산정보 DB에 등록하는 단계(S510)와;상기 웹서버와 연동된 부동산개발 서버에서 부동산 개발가능 여부를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확인하는 단계(S520)와;상기 판단결과, 부동산 개발 가능성이 있는 경우, 상기 부동산개발 서버의 부동산정보 DB에 등록된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된 표준개발계획서를 운영자 웹서버에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S530)와;상기 표준개발계획서에 대한 데이터를 부동산개발 서버의 부동산정보 DB에 재등록하는 단계(S540)로 구성된다.
상기 S520단계에서 부동산개발 가능성이 없는 경우, 종료가 되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 S510단계에 있어서, 부동산의 입력양식은 상기 부동산공급업자인 사용자가 공급하는 토지를 상기 도 3의 분류와 동일하게 분류하여 입력하도록 구성되어진다. 즉, 지역분류, 용도분류, 형태분류, 조건분류 등으로 분류가 된다.
또한, 상기 공급되는 토지의 형상을 화상이미지로 제공되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 S520단계에 있어서, 부동산개발의 가능 여부는 부동산컨설팅 개발에 관련된 본 발명의 운영자가 건축법규 및 상업성등을 고려하여 부동산개발 가능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 S530단계에 있어서, 표준개발 계획서 양식정보는 상기 S510단계에서 분류된 지역, 용도, 형태, 조건등을 참조하여 토지가격, 주변환경(교통, 상하수도, 교육시설, 문화시설, 자연환경, 주변도시현황), 전체개발비용, 전체개발절차 등이 입력되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 S540단계에 있어서, 표준개발계획서가 작성된 부동산토지정보는 구분이 가능하도록, 부동산토지목록창에 텍스트부로 기재된 부동산지역 명칭, 평수등에 표준개발 계획서양식 있음 이라는 텍스트부가 더 제시되도록 구성되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공급되는 다수개의 부동산정보등을 텍스트 및 화상이미지로 제공하여, 부동산개발자인 사용자가 자신이필요로 하는 부동산 개발목적에 일치한 부동산정보를 직접 검색 및 선택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가설계도면을 공급함으로써, 부동산개발자인 사용자의 다양한 부동산개발 목적(건물의 배치, 구조 등)에 부합하는 도면을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한 부동산개발목적을 가지는 사용자 상호간에 군집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동산개발 영역이 광법위 하거나, 부동산개발 자금이 부족한 경우에도 부동산개발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동산개발자인 사용자가 건축시공사에서 제시한 다수개의 건축공개입찰내역을 참조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스스로가 다수개의 건축공개입찰내역을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건축시공사를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축이 진행되는 사항을 동영상의 이미지로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건축진행상황을 열람 및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부동산개발정보 DB, 부동산정보 DB, 부동산개발군집 DB, 부동산 관련업종 DB를 운영하는 부동산개발 서버와; 회원정보 DB, 웹정보 DB를 운영하는 웹서버; 상기 부동산개발 서버와 웹서버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상기 웹서버가 인터넷망을 통하여 접속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를 구비한 인터넷 기반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인터넷 상에서 본 발명의 웹사이트주소를 입력하여 웹사이트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웹사이트에 구비된 개인 부동산개발정보열람메뉴의 클릭에 의해 출력되는 부동산개발양식창에서 입력양식에 맞게 데이터를 입력한 후, 부동산개발 정보DB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웹서버와 연동된 부동산개발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간의 군집 형성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사용자 단말간에 군집을 형성할 경우 부동산 개발 목적이 일치하는 사용자 단말간에 군집을 형성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군집 형성된 사용자 단말에 의해 부동산 개발을 위한 부동산에 관련된 업종을 선정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웹서버와 연동된 부동산개발 서버에서 부동산정보 DB에 사용자가 필요로하는 부동산 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사용자 단말로 확인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군집 형성된 사용자 단말이 필요로하는 유용한 부동산 정보가 있을 경우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의해 부동산 정보를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부동산 정보를 인터넷을 통하여 복수의 설계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된 부동산 정보를 바탕으로 복수개의 건축설계회사가 작성한 가설계도면을 건축설계회사 단말을 이용하여 웹서버와 연동된 부동산개발 서버의 부동산개발 군집 DB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의해 부동산개발 군집 DB에 등록된 가설계도면 을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가설계도면을 바탕으로 작성된 상세개발계획서를 운영자 웹서버에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상세개발계획 정보를 바탕으로 군집 형성된 사용자 단말의 다수결 선택에 의해 설계도면을 선정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군집 형성된 사용자 단말의 다수결 선택에 의해 건축시공사를 선정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건축시공사 단말에서 제공된 건축진행상황 정보를 웹사이트에 공개하는 단계와;
    상기 군집 형성된 사용자 단말에 의해 건축시공사 단말에서 제공된 건축진행 상황에 대해 이의제기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건축진행 상황에 대해 이의제기가 없는 경우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된 법률/세무업종 단말에 의뢰하여 부동산 등기를 이전하도록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상에서 부동산 개발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웹서버와 연동된 부동산개발 서버에서 부동산정보 DB에 사용자 단말이 필요로 하는 유용한 부동산정보가 없을 경우, 부동산중계업종의 사이트와 링크하는 단계와;
    상기 링크된 부동산중계업종 사이트에 구비된 부동산 정보중 임의의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상에서 부동산 개발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군집 형성된 사용자 단말에 의해 건축시공사 단말에서 제공된 건축진행 상황에 대해 이의제기가 있는 경우, 상기 건축시공사 단말에 이의제기를 신청하는 단계와;
    상기 이의제기에 대한 답변을 부동산개발 서버의 부동산개발 군집 DB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상에서 부동산 개발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웹사이트에 구비된 개인 부동산개발정보열람메뉴의 클릭에 의해 출력되는 부동산개발양식창에 구비된 입력양식 정보에는 지역분류, 용도분류, 형태분류, 조건분류 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상에서 부동산 개발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역분류 정보에는 전국 지역을 시(특별시, 광역시로 구분), 구, 동별 및 도, 군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상에서 부동산 개발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조건 분류 정보에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가격, 면적, 구조등의 요구사항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상에서 부동산 개발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용도분류 정보에는 부동산을 상업용 및 주거용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상에서 부동산 개발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구분되어진 주거용 정보에는 다시 아파트, 연립주택, 전원주택 등의 형태별로 세분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상에서 부동산 개발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구분되어진 상업용 정보에는 다시 아파트상가, 주상복합상가, 시장권상가, 역세권 상가 등으로 세분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상에서 부동산 개발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부동산개발자인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에 부동산정보를 등록하는 방법을 더 포함하고,
    공급자인 사용자의 부동산정보를 본 발명의 서버에 등록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의 웹브라우저상으로 전송된 본 발명의 웹사이트에서 부동산등록창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된 부동산등록창에서 입력양식에 맞게 데이터를 입력한 후 부동산개발 서버의 부동산정보 DB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웹서버와 연동된 부동산개발 서버에서 부동산 개발가능 여부를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부동산 개발 가능성이 있는 경우, 상기 부동산개발 서버의 부동산정보 DB에 등록된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된 표준개발계획서를 운영자 웹서버에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표준개발계획서에 대한 데이터를 부동산개발 서버의 부동산정보 DB에 재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상에서 부동산 개발방법.
KR10-2000-0044920A 2000-08-02 2000-08-02 인터넷 상에서 부동산 개발방법 KR100415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4920A KR100415304B1 (ko) 2000-08-02 2000-08-02 인터넷 상에서 부동산 개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4920A KR100415304B1 (ko) 2000-08-02 2000-08-02 인터넷 상에서 부동산 개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3766A KR20000063766A (ko) 2000-11-06
KR100415304B1 true KR100415304B1 (ko) 2004-01-16

Family

ID=19681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4920A KR100415304B1 (ko) 2000-08-02 2000-08-02 인터넷 상에서 부동산 개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53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9651B1 (ko) * 2000-06-26 2007-01-15 주식회사지앤지커머스 네트워크망을 이용한 건축운영시스템
KR20020017670A (ko) * 2000-08-31 2002-03-07 김계현 인터넷을 통한 부동산 상품 판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42074A (ko) * 2000-11-30 2002-06-05 국 김 네트워크 기반의 부동산 투자 및 거래 서비스 시스템
KR20030032436A (ko) * 2001-10-18 2003-04-26 박홍순 인터넷을 통한 투자 운영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89145B1 (ko) * 2012-02-08 2014-04-2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부동산 개발 정보 중계 방법 및 시스템
KR102073609B1 (ko) * 2019-06-10 2020-02-06 임준승 공인중개사로부터 시작되는 건축공사 중개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9389A (ja) * 1997-07-24 1999-02-12 Ohbayashi Corp 電子購買システム
JPH11213034A (ja) * 1998-01-26 1999-08-06 Misawa Homes Co Ltd 不動産情報管理システム
KR20000006670A (ko) * 1999-10-09 2000-02-07 김동훈 인터넷 전자상거래에서 공동구매 방법
KR20000037297A (ko) * 2000-04-17 2000-07-05 박춘성 인터넷을 이용한 구매자 중심의 견적시스템
KR20000036491A (ko) * 2000-03-17 2000-07-05 이배식 사이버 부동산 개발사업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37049A (ko) * 2000-03-09 2000-07-05 조길연 통신망을 이용한 부동산 매매 방법
KR20010039268A (ko) * 1999-10-29 2001-05-15 김차수 인터넷 부동산 공동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9389A (ja) * 1997-07-24 1999-02-12 Ohbayashi Corp 電子購買システム
JPH11213034A (ja) * 1998-01-26 1999-08-06 Misawa Homes Co Ltd 不動産情報管理システム
KR20000006670A (ko) * 1999-10-09 2000-02-07 김동훈 인터넷 전자상거래에서 공동구매 방법
KR20010039268A (ko) * 1999-10-29 2001-05-15 김차수 인터넷 부동산 공동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37049A (ko) * 2000-03-09 2000-07-05 조길연 통신망을 이용한 부동산 매매 방법
KR20000036491A (ko) * 2000-03-17 2000-07-05 이배식 사이버 부동산 개발사업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37297A (ko) * 2000-04-17 2000-07-05 박춘성 인터넷을 이용한 구매자 중심의 견적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3766A (ko) 2000-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eng Internet GIS for public participation
CA2482331C (en) System and method of compiling real property information from a central database
Moon et al. Does managerial orientation matter? The adoption of reinventing government and e‐government at the municipal level
Beynon-Davies et al. Evaluating electronic local government in the UK
US20080059220A1 (en) Building plan compliance system and method
WO2017150772A1 (ko) 부동산 정보 제공 및 공유 장치
US2010006392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legal services over the internet
US20060161482A1 (en) Method and system for aggregating real estate information content in an on-line computing environment
Scavo World Wide Web site design and use in public management
US20050071376A1 (en)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real property through a central database
US200501495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nd maintaining a GIS
US20110010304A1 (en) Data association engine for creating searchable databases
JP2004527846A (ja) インターネットを利用した資料共有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US20210182795A1 (en) Economic development and collaboration system
JP2005250841A (ja) 専門家と見込み客とのマッチング方法
US8335747B1 (en) Client-server real estate valuation system
Yang et al. E-government application at local level: issues and challenges: an empirical study
KR100415304B1 (ko) 인터넷 상에서 부동산 개발방법
KR20000037508A (ko) 인터넷을 이용한 부동산 매매 및 임대 계약 중개방법 및그 시스템
Dafeamekpor et al. Determinants for assessing self-help housing affordability in Ghana’s housing sector: a Delphi approach
Fioretti Open Data, Open Society
Wayland ADDRESSING THE HOUSING NEEDS OF IMMIGRANTS AND REFUGEES IN CANADA.
JP2020071591A (ja) Aiを利用した不動産売却計画書オークションシステム
Maoneke et al. An e-Commerce model for hospitality SMMEs, A case of the Eastern Cape
Newton Urban Indicator for Managing C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