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0754B1 - 프레임바디 자동차의 프런트엔드부구조 - Google Patents

프레임바디 자동차의 프런트엔드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0754B1
KR100410754B1 KR10-2001-0043700A KR20010043700A KR100410754B1 KR 100410754 B1 KR100410754 B1 KR 100410754B1 KR 20010043700 A KR20010043700 A KR 20010043700A KR 100410754 B1 KR100410754 B1 KR 100410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frame
frame
vehicle
mounting bracket
jo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3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8784A (ko
Inventor
김기창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3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0754B1/ko
Publication of KR20030008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8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0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07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62D25/085Front-end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02Control of vehicle driving stability
    • B60Y2300/022Stability in turns or during corn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바디 자동차의 프런트엔드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샤시프레임(1)과, 이 샤시프레임(1)상에 상부부시(3)와 하부부시(4)를 각각 개재한 상태로 설치되는 차체프레임(2) 및, 이 차체프레임(2)상에 위치되어 샤시프레임(1) 및 차체프레임(2)과 동시에 나사체결되어 결합되면서 일단이 플로어패널(9)과 접합되도록 차체의 아랫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차체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8)를 포함하는 프레임바디 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체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8)의 일면에 프런트엔드보강패널(15)이 면접합되면서 나사체결되어 결합되고, 상기 프런트엔드보강패널(15)이 일단이 차체프레임(2)의 일단과 접합되면서 결합되어져, 전체적인 프런트엔드부(A)의 결합강성 및 프런트엔드부(A)의 모서리부(B) 강성이 증대되게 되고, 이로 인해 벨지언내구 시험시 상기 모서리부(B)로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주행중인 차량이 급정지를 하거나 또는 급선회를 하더라도 차체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쏠리게 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되어 전체적인 차량의 주행안정성이 향상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프레임바디 자동차의 프런트엔드부구조{front end structure ofr frame body automotive vehicle}
본 발명은 프레임바디 자동차의 프런트엔드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런트엔드부의 결합강성을 증대시켜 벨지언내구 시험(험로주행 시험)시 프런트엔드 모서리부에서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주행중 급정지 또는 급선회시 차체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여 주행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된 프레임바디 자동차의 프런트엔드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체는 크게 모노코크바디와 프레임바디로 구분되는 바, 상기 모노코크바디는 차체패널과 프레임이 상호 적절하게 조합되어 박스형태를 띠는 것으로 주로 세단(sedan)형식의 승용자동차에서 채택되고 있는 것이고, 상기 프레임바디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시프레임(1)이 플로어패널의 주골격을 이루면서 그 위에 차체프레임(2)이 구성되는 것으로 주로 SUV(Sports Utility Vehicle)차량이나 상용차 또는 대형차량에서 채택되고 있다.
한편, 냉각장치와 프런트범퍼사이에서 다수개의 멤버로 이루어지면서 라디에이터를 지지하고 냉각장치와 프런트범퍼 및 헤드램프를 한 개의 조립체로 구성하여 장착시키도록 된 프런트엔드부(A)의 종래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시프레임(1)과 이의 상부로 배치되는 차체프레임(2)이 프런트엔드실드패널(3) 및 차체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4)와 함께 나사체결되어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샤시프레임(1)에 중앙부위로 형성된 관통구(1a)의 상하측부위에는 각각 상부부시(3)와 하부부시(4)가 설치되고, 상기 차체프레임(2)의 중앙부위에 형성된 관통구(2a)로 볼트(5)가 삽입되는데, 이 볼트(5)는 상기 상부부시(3)와 샤시프레임(1) 및 하부부시(4)를 각각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하부부시(4)의 저면에서 너트(6)와 나사체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차체프레임(2)의 상부에는 프런트엔드실드패널(7) 및 차체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8)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며, 이 프런트엔드실드패널(7)과 차체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8)의 소정부위는 전술한 볼트(5)에 의해 차체프레임(2) 및 샤시프레임(1)과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프런트엔드실드패널(7)와 차체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8)의 양단은 용접에 의해 서로 면접합되면서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차체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8)의 일단은 상기 샤시프레임(1)을 포함할 수 있도록 차체의 아랫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차체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8)의 바깥면에는 플로어패널(9)이 박스폐단면의 구조를 갖도록 접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차체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8)와 플로어패널(9)사이에는 서포트로어멤버(11)가 용접에 의해 접합되면서 설치되는데, 상기 차체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8)와 플로어패널(9)사이의 공간은 서포트로어멤버(11)에 의해 이중으로 된 박스폐단면의 구조로 형성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프런트엔드부구조에 의하면, 상기 차체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8)가 차체프레임(2) 및 샤시프레임(1)을 결합시키는 한 개의 볼트(5)에 의해서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즉 1점 지지방식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프런트엔드부(A)의 결합강성이 약해지면서 아울러 벨지언내구 시험(험로주행 시험)시 프런트엔드부(A)의 모서리부(B)로 응력이 집중되게 되고 이로 인해 모서리부(B)에 위치되면서 차체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8)와 결합되는 프런트엔드실드패널(7)에 크랙(crack)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프런트엔드실드패널(7)의 하부에 위치되는 차체프레임(2)이 전술한 바와 같이 한 개의 볼트(5)에 의해 결합되게 되면, 주행중인 차량이 급정지를 하거나 또는 급선회를 할 때 차체프레임(2)이 유동되면서 차체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쏠리게 되고 이로 인해 차량의 주행안정성이 그만큼 나빠지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모든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체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를 복수개의 지지방식으로 결합시켜 전체적인 프런트엔드부의 모서리부 결합강성을 증대시킴으로써 벨지언내구 시험시 프런트엔드부의 모서리부로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모서리부에 위치되는 프런트엔드실드패널에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며, 아울러 주행중인 차량이 급정지를 하거나 또는 급선회를 하더라도 차체프레임의 유동을 방지하여 차체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쏠리는 것을 예방하면서 주행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프레임바디 자동차의 프런트엔드부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샤시프레임과, 이 샤시프레임상에 상부부시와 하부부시를 각각 개재한 상태로 설치되는 차체프레임 및, 이 차체프레임상에 위치되어 샤시프레임 및 차체프레임과 동시에 나사체결되어 결합되면서 일단이 플로어패널과 접합되도록 차체의 아랫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차체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를 포함하는 프레임바디 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체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의 일면에 프런트엔드보강패널이 면접합되면서나사체결되어 결합되고, 상기 프런트엔드보강패널이 일단이 차체프레임의 일단과 접합되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프레임바디 자동차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구조에 따른 프런트엔드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런트엔드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샤시프레임 2 - 차체프레임
3 - 상부부시 4 - 하부부시
7 - 프런트엔드실드패널 8 - 차체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
9 - 플로어패널 11 - 서포트로어멤버
15 - 프런트엔드보강패널 16 - 용접너트
17 - 조립볼트 A - 프런트엔드부
B - 모서리부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런트엔드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로서, 종래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바디 자동차의 프런트엔드부(A) 구조는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시프레임(1)과 이의 상부로 배치되는 차체프레임(2)이 프런트엔드실드패널(3) 및 차체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4)와 함께 나사체결되어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샤시프레임(1)에 중앙부위로 형성된 관통구(1a)의 상하측부위에는 각각 상부부시(3)와 하부부시(4)가 설치되고, 상기 차체프레임(2)의 중앙부위에 형성된 관통구(2a)로 볼트(5)가 삽입되는데, 이 볼트(5)는 상기 상부부시(3)와 샤시프레임(1) 및 하부부시(4)를 각각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하부부시(4)의 저면에서 너트(6)와 나사체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차체프레임(2)의 상부에는 프런트엔드실드패널(7) 및 차체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8)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며, 이 프런트엔드실드패널(7)과 차체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8)의 소정부위는 전술한 볼트(5)에 의해 차체프레임(2) 및 샤시프레임(1)과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프런트엔드실드패널(7)와 차체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8)의 양단은 용접에 의해 서로 면접합되면서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차체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8)의 일단은 상기 샤시프레임(1)을 포함할 수 있도록 차체의 아랫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차체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8)의 바깥면에는 플로어패널(9)이 박스폐단면의 구조를 갖도록 접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차체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8)와 플로어패널(9)사이에는 서포트로어멤버(11)가 용접에 의해 접합되면서 설치되는데, 상기 차체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8)와 플로어패널(9)사이의 공간은 서포트로어멤버(11)에 의해 이중으로 된 박스폐단면의 구조로 형성되게 된다.
한편, 상기 상하부부시(3,4)와 대향되는 위치이며 차체의 아랫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된 차체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8)의 일면에는 소정의 두게를 가진 프런트엔드보강패널(15)이 면접합되어 결합되게 되며, 이 프런트엔드보강패널(15)의 일단은 상기 차체프레임(2)의 일단과 맞대기용접에 의해 서로 접합되면서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엔드보강패널(15)과 차체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8)는 두 개의 조립볼트(17)에 의해 서로 나사체결되면서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서포트로어멤버(11)와 대향되는 차체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8)의 일면에는 두 개의 용접너트(16)가 종축방향을 향하면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부위에 각각 접합되어 있는데, 이상태에서 상기 용접너트(16)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차체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8)의 타면으로 프런트엔드보강패널(15)를 면접합시킨 다음 두 개의 조립볼트(17)를 상기 프런트엔드보강패널(15)과차체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8)로 순차적으로 관통시켜 상기 용접너트(16)에 각각 나사체결시키게 되면, 상기 조립볼트(17)와 용접너트(16)가 서로 나사결합되면서 그 체결력에 의해 상기 차체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8)와 프런트엔드보강패널(15)이 결합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차체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8)와 프런트엔드보강패널(15)이 면접합되면서 나사결합되고, 상기 프런트엔드보강패널(15)의 일단이 차체프레임(2)의 일단과 서로 접합되어 결합되도록 된 프런트엔드부구조는, 상기 프런트엔드보강패널(15)에 의해 전체적인 프런트엔드부(A)의 결합강성이 증대되게 되고, 이로 인해 차량의 주행안정성도 향상되게 된다.
즉, 상기 차체프레임(2)이 본 발명에 따른 프런트엔드보강패널(15)과 연결되도록 접합되면서 상기 프런트엔드보강패널(15)이 차체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8)와 복수개의 조립볼트(17)에 의해 나사체결되어 결합되게 되면, 상기 차체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8)가 차체프레임(2)과 샤시프레임(1)을 결합시키는 한 개의 볼트(5) 및 프런트엔드보강패널(15)을 결합시키는 두 개의 조립볼트(17)에 의해 결합되게 되므로, 도 2를 참조로 전술한 종래의 프런트엔드부(A)보다 전체적인 프런트엔드부(A)의 결합강성이 증대되면서 아울러 프런트엔드부(A)의 모서리부(B)의 강성도 증대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프런트엔드부(A)의 전체적인 결합강성이 증대되면서 모서리부(B)의 강성도 증대되게 되면, 벨지언내구 시험(험로주행 시험)시 상기 모서리부(B)로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모서리부(B)에 위치되면서 차체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8)와 결합되는 프런트엔드실드패널(7)에 크랙(crack)이 발생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차체프레임(2)이 본 발명에 따라 한 개의 볼트(5) 및 프런트엔드보강패널(15)과 접합되면서 설치되게 되면, 주행중인 차량이 급정지를 하거나 또는 급선회를 하더라도 상기 차체프레임(2)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차체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쏠리게 되는 것도 예방할 수 있게 되어 전체적인 차량의 주행안정성도 그만큼 향상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체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와 프런트엔드보강패널이 면접합되면서 나사결합되고, 상기 프런트엔드보강패널의 일단이 차체프레임의 일단과 서로 접합되어 결합되어져, 전체적인 프런트엔드부의 결합강성 및 프런트엔드부의 모서리부 강성이 증대되게 되고, 이로 인해 벨지언내구 시험시 상기 모서리부로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주행중인 차량이 급정지를 하거나 또는 급선회를 하더라도 차체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쏠리게 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되어 전체적인 차량의 주행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2)

  1.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샤시프레임(1)과, 이 샤시프레임(1)상에 상부부시(3)와 하부부시(4)를 각각 개재한 상태로 설치되는 차체프레임(2) 및, 이 차체프레임(2)상에 위치되어 샤시프레임(1) 및 차체프레임(2)과 동시에 나사체결되어 결합되면서 일단이 플로어패널(9)과 접합되도록 차체의 아랫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차체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8)를 포함하는 프레임바디 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체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8)의 일면에 프런트엔드보강패널(15)이 면접합되면서 나사체결되어 결합되고, 상기 프런트엔드보강패널(15)이 일단이 차체프레임(2)의 일단과 접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바디 자동차의 프런트엔드부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8)의 일면에는 복수개의 용접너트(16)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접합되고, 상기 프런트엔드보강패널(15)과 차체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8)를 순차적으로 관통한 복수개의 조립볼트(17)가 상기 용접너트(16)에 각각 나사체결되면서 상기 차체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8)와 프런트엔드보강패널(15)을 결합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바디 자동차의 프런트엔드부구조.
KR10-2001-0043700A 2001-07-20 2001-07-20 프레임바디 자동차의 프런트엔드부구조 KR100410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700A KR100410754B1 (ko) 2001-07-20 2001-07-20 프레임바디 자동차의 프런트엔드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700A KR100410754B1 (ko) 2001-07-20 2001-07-20 프레임바디 자동차의 프런트엔드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784A KR20030008784A (ko) 2003-01-29
KR100410754B1 true KR100410754B1 (ko) 2003-12-18

Family

ID=27715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3700A KR100410754B1 (ko) 2001-07-20 2001-07-20 프레임바디 자동차의 프런트엔드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07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880A (ko) * 2018-07-20 2020-01-30 심기택 자동차용 차체 마운팅 부시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76905B (zh) * 2021-03-12 2022-06-07 北京汽车集团越野车有限公司 悬置安装点加强结构、悬置安装总成和具有其的车辆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8628A (ja) * 1994-08-23 1996-03-05 Hino Motors Ltd シャシフレーム付き自動車
JPH11227637A (ja) * 1998-02-17 1999-08-24 Hino Motors Ltd 車体支持構造
JP2000211548A (ja) * 1999-01-20 2000-08-02 Fuji Heavy Ind Ltd 車両用車体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8628A (ja) * 1994-08-23 1996-03-05 Hino Motors Ltd シャシフレーム付き自動車
JPH11227637A (ja) * 1998-02-17 1999-08-24 Hino Motors Ltd 車体支持構造
JP2000211548A (ja) * 1999-01-20 2000-08-02 Fuji Heavy Ind Ltd 車両用車体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880A (ko) * 2018-07-20 2020-01-30 심기택 자동차용 차체 마운팅 부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10750B1 (ko) * 2018-07-20 2021-02-01 심기택 자동차용 차체 마운팅 부시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784A (ko) 2003-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0674B2 (en) Vehicle body frame structure
JPH02109714A (ja) スタビライザ取付構造
US20020167199A1 (en) Structure of a cowl cross member mounting unit
JP2002337526A (ja) 自動車のリアサスペンションの構造
KR100410754B1 (ko) 프레임바디 자동차의 프런트엔드부구조
CN112829832A (zh) 一种电动乘用车前副车架总成
KR100412874B1 (ko) 자동차의 전방차체구조
JP2000153777A (ja) サスペンション取付部構造
KR20070105142A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알루미늄 재질 컨트롤암
KR100217668B1 (ko) 서브프레임과 로어암의 장착구조
JPH0330226Y2 (ko)
CN217435837U (zh) 一种副车架与车身连接支架及汽车车体
CN217170815U (zh) 一种汽车前舱流水槽区域结构及汽车
CN218594077U (zh) 一种减震器座加强结构及汽车
CN212148291U (zh) 衬套支架结构、副车架和汽车
CN111688861B (zh) 用于车辆的框架组件
KR200260747Y1 (ko) 버스의 엔진 지지구조
KR101163802B1 (ko) 차량용 리어 크로스멤버의 보강구조체
KR100462678B1 (ko) 서브 프레임 결합구조
KR0134097Y1 (ko) 자동차 토션빔 엑슬에의 스핀들 취부구조
KR100369126B1 (ko) 차량의 프론트 로워암 장착 어셈블리
KR100527713B1 (ko) 자동차의 리어현가장치
KR100305813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트레일링 암 장착 구조
KR100395123B1 (ko) 차량의 프론트 앤드 보디 구조
KR100489087B1 (ko) 스티어링 칼럼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