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9130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9130B1
KR100409130B1 KR10-2001-0021065A KR20010021065A KR100409130B1 KR 100409130 B1 KR100409130 B1 KR 100409130B1 KR 20010021065 A KR20010021065 A KR 20010021065A KR 100409130 B1 KR100409130 B1 KR 100409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olid
water supply
reservoir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1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5645A (ko
Inventor
구보타도루
가와바타신이치로
이와이다카요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20025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5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9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91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2Condition of the washing liquid, e.g. turb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2Condition of the washing liquid, e.g. turbidity
    • D06F34/24Liquid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4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chlorine genera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06F35/008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for disinfecting the tub or the dr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4Supply, recirculation or draining of washing liqui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6Washing liquid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0Washing liquid condition, e.g. turb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2Detergent or additive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50Hydropower in dwel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한 위생적인 세정이 가능한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수원으로부터의 물을 세탁조(6)에 공급하는 급수기구(17)에는 물과 접촉하여 차아할로겐산을 방출하는 할로겐화 히단토인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고체(28)를 구비하고, 상기 차아할로겐산을 포함한 물을 생성하여 상기 세탁조(6)에 투입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고체(28)는 수원으로부터의 물이 급수되어 저장 가능한 저수조(23) 내에 수용되는 동시에 상기 저수조(23) 내에는 저장한 물을 배출하는 배수수단(사이펀관(26))과, 넘쳐흘러 배수 가능한 소정 높이의 일수구(27a)를 설치하고, 상기 배수수단에 의한 배수량은 급수량보다 소량으로서 상기 일수구(27a)로부터 넘쳐흘러 배수되기까지의 동안에 저수하여, 이 저장한 물과 상기 고체(28)가 접촉하는 구성으로서, 세탁물이나 세탁조에서 미생물인 균의 번식을 억제하여 곰팡이나 냄새, 누래짐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위생적인 세정성능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장기간에 걸쳐 취급이나 사용의 편리성이 좋은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탁기{A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주로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한 위생적인 세정이 가능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정용 세탁기는 세탁물을 세탁조에 투입함과 동시에 소요량의 세제와 세탁수(통상은 수돗물)를 공급하고, 이것을 교반하여 세탁함으로써 세탁물의 일반적인 더러움에 대하여 충분한 세정성능을 확보하고 있다.
그런데, 이 세탁 중에 수돗물 속의 칼슘분과 세제 속의 계면활성제가 반응하여 불용성의 금속비누가 생성되어 그 일부가 세탁조의 둘레벽(특히 안쪽)에 부착하기 쉽고, 이러한 경향은 세제가 특히 고급지방산 나트륨으로 이루어지는 분말세제등을 사용하는 경우에 보다 현저하게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이렇게 발생한 금속비누의 부착물에는 세탁물에서 분리한 섬유 찌거기나 더러움 등이 부착하기 쉽고, 이 더러움이나 부착물은 수분을 흡수하여 미생물(균)을 번식시키는 원인이 되며, 그리고 부패를 일으키는 면상 침전물(flock)을 발생시키고, 나아가서는 곰팡이의 발생을 초래하게 된다. 이 곰팡이는 그 대사물에 의해 냄새 발생의 원인이 되거나, 더욱 발달하면 이후의 세탁운전에서 이것이 수중에 박리 부유하여 세탁물에 부착하는 문제를 일으키고, 일반적인 세탁물의 더러움과는 별도로 위생적인 세정성능을 얻는 데에는 불충분하였다.
또, 일반적인 탈수겸용 세탁기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이중조 구조를 이루고 있고, 외측에 물받이조를 배치하고, 그 내부에 탈수조를 겸용한 세탁조를 설치하는 동시에 이 세탁조내 바닥부에 교반체를 설치한 구성이다. 그리고 주지된 바와 같이 세탁조 내에 투입된 세탁물은 교반체를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세탁 및 헹굼이 실시되고, 또 세탁조를 고속 회전 구동함으로써 원심 탈수가 실시된다. 따라서, 이 종류의 세탁기에 있어서는 세탁조와 물받이조의 사이에는 세탁물에 의한 마찰 접촉이 없기 때문에 이 세탁조의 안쪽을 이루는 부분(세탁조의 외부둘레벽 및 물받이조의 내부둘레벽)에는 금속비누나 섬유 찌거기 등이 부착하기 쉽다. 또한 이러한 세탁조의 안쪽은 일반 사용자로서는 분해 청소하는 것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세탁조나 물받이조는 강도 향상을 위해서 보강 리브 등을 주로 한 요철형상을 이룬 구성이기 때문에 금속비누나 더러움이 부착 축적하기 쉬운 구성으로 한층 곰팡이가 발생하기 쉬운 조건 하에 있다.
또한, 세탁물(의류)은 착용하여 인체나 외기 등으로부터 많은 균이 부착하기 쉽고,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는 황색 포도상구균, 세레우스균이나 비정형 항산성균 등의 많은 균이 부착하고 있다고 전해지고, 또한 부착한 균은 세탁하여도 세탁물에 잔류하고, 특히 세탁물의 건조가 나쁜 상태에서는 그 잔류한 균이 다시 번식하여 냄새나 누래짐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 병자나 병원균에 약한 영아 또는 유아가 있는 가정에서는 의류에 부착한 균으로 피부에 감염되기 쉽다는 등 세탁물에 대하여 한층 청결하고 위생적인 세정효과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따라서 그 목적은 미생물(균)의 번식을 억제하여 곰팡이나 냄새, 누래짐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청결하고 위생적인 세정성능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사용의 편리함이 좋은 실용에 적합한 세탁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살균수 생성기구를 확대한 종단면도,
도 2는 세탁기 전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
도 3은 일부를 파단하여 나타내는 전체 평면도,
도 4는 급수기구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필터의 확대 평면도,
도 6은 고체의 가수분해에 의한 변화를 나타낸 화학반응 기구도,
도 7은 헹굼시간에 대한 세탁수 중의 살균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 8a 및 도 8b는 급수시의 저수조 내의 수위변화와 차아염소산 농도의 변화를 측정한 도면,
도 9는 차아염소산의 농도와 살균효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급수시간과 차아염소산 농도의 관계를 측정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플로우챠트,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톱커버 4: 물받이조
6: 세탁조 11: 제어장치
16a, 16b: 조작부 17: 급수기구
18: 급수전환밸브 19: 제 1 급수로
20: 제 2 급수로 21: 물주입구
22: 살균수 생성기구 23: 저수조
23b: 연통구(출입구) 26: 사이펀관(배수수단)
27: 일수관 27a: 일수구
28: 고체 29: 수납용기
30: 필터(출입구) 32: 덮개 개폐장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세탁기는 수원으로부터의 물을 세탁조에 공급하는 급수기구에는 물과 접촉하여 차아할로겐산을 방출하는 할로겐화 히단토인(hydantoin)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고체를 구비하고, 상기 차아할로겐산을 포함한 물을 생성하여 상기 세탁조에 투입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고체는 수원으로부터의 물이 급수되어 저장 가능한 저수조 내에 수용되는 동시에, 상기 저수조 내에는 저장한 물을 배출하는 배수 수단과, 넘쳐흘러 배수 가능한 소정 높이의 일수구(溢水口, overflow hole)를 설치하고, 상기 배수 수단에 의한 배수량은 급수량보다 소량으로서 상기 일수구로부터 넘쳐흘러 배수되기까지의 동안에 저수하고, 상기 저장한 물과 상기 고체가 접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청구항 1의 발명).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고체에서 방출된 차아할로겐산을 포함하는 살균수에 의해 세탁물이나 세탁조에서의 균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고 곰팡이나 냄새, 누래짐 등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병자나 병원균에 약한 유아가 있는 가정에도 적합한 위생적인 세정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고체는 저수조 내에 저장된 물에 소위 침지된 상태에서 물과의 접촉이 이루어지고, 고체에는 급격한 물의 충격을 받지 않고 접촉할 수 있으며, 고체가 붕괴하거나 마모에 의해 분말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고체의 조기 소모를 방지하여 장기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특히 고체와 물과의 접촉시간에 따라 차아할로겐산의 농도가 제어되지만, 저수조 내에는 급수가 계속되는 동안 저수 가능하므로 이 급수시간의 설정에 기초하여 물과의 접촉시간을 제어할 수 있고, 따라서 원하는 항균농도를 용이하고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청구항 1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저수조 내에는 고체를 수납하는 수납용기를 설치하고, 상기 수납용기에는 적어도 일수구보다 아래쪽에 위치하여 물의 출입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청구항 2의 발명).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물의 출입구가 하위에 있을수록 적은 저장수위로도 고체와 물과의 접촉이 확실하게 실시되고, 또한 고체의 아래부분으로부터 용해 소모됨으로써 순차적으로 상부로부터 자중에 의해 보급되고, 장기 사용 시에 있어서 안정된 차아할로겐산 농도를 얻을 수 있어 취급성도 좋다.
또, 청구항 1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배수 수단은 사이펀관 구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소정 수위 이상이 아니라면, 배수기능을 하지 않기 때문에, 저수조 내로 빠르게 저수할 수 있고, 그만큼 고체와 물과의 접촉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저수조 내에 저장된 물 및 고체로부터 생성된 차아할로겐산을 포함한 물을 모두 배출할 수 있어 소위 살균수로서 모두 유효하게 세탁조 내로 공급할 수 있다.
또, 청구항 1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저수조 내에는 고체를 수납하는 수납용기를 설치하고, 상기 용기의 내부 벽면에는 시트형상의 완충재를 부착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청구항 4의 발명).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세탁기의 진동 등에 대하여 고체와 수납용기의 충격을 완화시키거나 또는 복수의 예를 들면 타블릿(tablet)형상의 고체끼리의 마찰을 억제하여 분말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고체의 조기 소모를 방지하여 안정된 살균농도를 용출할 수 있다. 또, 아울러 분말이 누출하여 의류에 직접 부착한 경우와 같이 탈색 등의 변색할 우려도 회피할 수 있다.
또, 청구항 1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저수조 내에는 고체를 수납하는 수납용기를 설치하고, 상기 용기는 상기 저수조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수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청구항 5의 발명).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고체가 마모 등에 의해 교환될 때에 수납용기마다 꺼내어 교환하면 좋고, 소위 카세트용기로서 이용할 수 있어 취급성이 우수하고, 또한 직접 고체를 손으로 만지는 일이 없어 할로겐 냄새도 부착하지 않는다.
또, 청구항 1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저수조 내에는 고체를 수납하는 수납용기를 설치하고, 상기 용기의 바닥부에는 메시형상의 필터를 설치하여 물의 출입구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청구항 6의 발명).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고체가 마모 등에 의해 분말이 생겨도 필터에 의해 누출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분말에 의해 의류가 탈색 등에 의해 변색하는 사태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메시부분에는 막힘(clogging)을 일으키기 쉽지만, 이 필터는 물의 출입구로서 교대로 물이 통수되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 막히는 일이 없다.
또, 청구항 6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수납용기는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는 동시에 필터를 열융착에 의해 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청구항 7의 발명).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필터를 고착하는 수단으로서 용이하고 확실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가소성 수지로서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틸렌 등을 이용하면 이들은 내염소성에도 우수하며 차아할로겐산을 방출하는 고체의 수납용기로서 적합하다.
또, 청구항 1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급수온도 검지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검지결과에 기초하여 저수조로의 급수시간을 설정하고, 이에 의해 고체와 물과의 접촉시간을 제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청구항 8의 발명).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수온에 따른 살균농도의 살균수가 생성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동계와 같이 저수온 시에 고체의 용해속도가 늦어 차아할로겐산이 용출되기 어려운 경우에도 안정된 일정 농도의 살균수를 얻을 수 있고, 따라서 동계, 하계 등의 수온 변화에 따라 살균농도에 과부족이 생기는 일없이 항상 유효한 살균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 청구항 1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물의 탁한정도를 검지하는 액체 투과도 검지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검지결과에 기초하여 저수조로의 급수시간을 설정하고, 이에 의해 고체와 물의 접촉시간을 제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청구항 9의 발명).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물의 탁한 정도를 검지하여 저수조로의 급수시간을 설정하고, 이에 의해 고체와 물과의 접촉시간을 제어할 수 있어, 물의 오염상태에 관계없이 상기 청구항 1의 발명과 동일한 항균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예를 들면 남은 목욕물의 유효 이용이 가능하여 절수를 도모하는 등의 실용적 효과를 갖는다.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을 탈수겸용 세탁기에 적용한 제 1 실시예에 대해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2 및 도 3은 각각 세탁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 및 외관 평면도이고, 이들 도면에 기초하여 전체 구성에 관해 설명하면, 장방형 상자형상의 상자체(1)는 외부상자(2)와 그 상면에 씌워진 톱커버(3)로 구성되고, 이 상자체(1) 내부에는 물받이조(4)가 탄성 현수 기구(5)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동시에 그 내부에 탈수조를 겸하여 상부에 탈수구멍(6a)을 갖는 세탁조(6)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소위 이중 수조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 중, 세탁조(6)의 상단부에는 예를 들면 액체를 봉입한 밸런스링(7)을 설치하고 있고, 또 내부 바닥부에는 교반체(8)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물받이조(4)의 외부 바닥면에는 구동원인 다이렉트 드라이브방식의 모터(9)를 주체로 하여 도시하지 않은 클러치기구나 브레이크기구 등으로 이루어지는 구동기구부(10)를 설치하고 있고, 상기 교반체(8)와 세탁조(6)를 톱커버(3) 내에 설치한 제어장치(11) 등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 제어하고, 즉 세탁행정 및 탈수행정 등을 미리 기억된 운전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실행되도록 하고 있다. 또, 물받이조(4)의 바닥부에 형성한 배수구(12)에는 이것에 연통하여 배수밸브(13)가 설치되고, 또한 배수호스(14)가 접속되어 세탁기 밖으로 도출되어 있다. 또한 이 배수구(12) 근방에 연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에어트랩이나 수위센서 등으로 이루어지는 주지의 수위검지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상기 톱커버(3)의 상면부에는 특히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덮개(15)를 설치하고 있다. 이 개폐덮개(15)는 상기 세탁조(6)에 대하여 도시하지 않은 세탁물을 꺼내고 넣기 위해서 톱커버(3)에 형성한 투입구(3a)를 개폐하는 것으로 개방 시에는 앞 덮개부(15a)와 뒤 덮개부(15b)로 둘로 접기가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톱커버(3)의 가장 앞부분에는 조작패널(16)이 설치되고, 이 조작패널(16)에는 세탁기의 운전코스에 관한 각종 설정조작을 하기 위한 다수의 조작부나 표시부를 갖고 있다. 그 중 도시한 조작부(16a, 16b)는 상세한 것은 후술할 살균기능 「있음」, 「없음」코스를 선택해서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지금 조작부(16a)가 「있음」으로 하는 살균기능 부가 코스이고, 조작부(16b)가 「없음」으로 하는 통상의 코스로 선택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 이러한 조작패널(16)의 내부에는 상기한 제어장치(11)(도 2 참조)가 설치되어 있지만, 이 제어장치(11)는 마이크로컴퓨터 등을 갖는 회로를 주체로 해서 구성되고, 상기 조작패널(16)로부터의 입력 등에 기초하여 미리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선택 설정된 세탁운전코스를 자동적으로 실행한다.
그리고 또, 톱커버(3)의 후방 내부에는 상기한 세탁조(6)로 급수하기 위한 급수기구(17)를 설치하고 있다. 이 급수기구(17)에 관해서 우선 도 3에 기초하여 전체의 개략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수원을 예를 들면 수돗물로 한 경우, 톱커버(3)의 내부에 도시하지 않은 수도의 수도꼭지와 접속되는 호스 접속구(18a)를 돌출시켜 이루어지는 전자식 급수전환밸브(18)를 설치하고, 이 급수전환밸브(18)로부터는 제 1 급수로(19) 및 제 2 급수로(20)로 분기되어 있다.
이 중 한쪽의 제 1 급수로(19)는 톱커버(3)의 상기 투입구(3a)를 향하는 물주입구(21)에 직접 연통 접속하고 있고, 따라서 제 1 급수로(19)측으로 유입한 수돗물은 그대로 세탁조(6) 내로 공급된다. 다른쪽의 상기 제 2 급수로(2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중에 살균수 생성기구(22)(상세한 것은 후술함)를 경유하여 상기 물주입구(21)에 이르는 관로(20a) 및 관로(20b)를 사이에 끼우고 연통 접속된 구성이며, 따라서 제 2 급수로(20)측으로 유입된 수돗물은 살균수 생성기구(22)에서 살균수로서 생성되어 세탁조(6) 내로 공급된다.
그러나, 이러한 급수기구(17)의 제 1 및 제 2 급수로(19, 20)의 전환 선택은상기한 조작부(16a, 16b) 각각의 살균기능 부가 코스 「있음」, 「없음」의 선택설정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동시에 상기 제어장치(11)에 의한 급수전환밸브(18)의 유로 전환에 따라 제어된다.
그리고, 도 1 및 도 4에는 상기한 급수기구(17) 중 특히 살균수 생성기구(22)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즉, 우선 도 4는 세탁기의 코너부를 확대하여 톱커버(3)의 상부 벽면을 제거하여 나타낸 확대평면도이고, 상기한 급수전환밸브(18)와 상기 제 2 급수로(20) 속에 개재된 살균수 생성기구(22)가 병렬 설치된 배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살균수 생성기구(22)에 대해서는 유입측이 되는 관로(20a)가 측부에 접속되고, 또 유출측이 되는 관로(20b)가 바닥부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도 1은 상기 살균수 생성기구(22)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개시한 종단측면도이다. 도면 중 “23”은 예를 들면 장방형의 바닥이 있는 용기형상을 이루는 저수조이며, 내부를 칸막이벽(23a)을 통하여 작은 공간의 급수실(24)과 큰 공간을 이루는 수용실(25)로 구분되어 있지만, 그 칸막이벽(23a)의 하부에는 물의 출입구로 되는 세로 홈형상의 연통구(23b)가 형성되어 있고 양쪽 급수실 및 수용실(24, 25)과는 연통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관로(20a)는 저수조(23)의 상기 급수실(24)에 대응하는 하부 근처의 측벽(23c)에 연통 접속되어 있고, 상기 관로(20a)를 통하여 유입된 물은 급수실(24) 및 연통구(23b)를 거쳐 수용실(25)로도 유출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상기 급수실(24) 내에는 배수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사이펀현상을 이용하여 배수 가능하게 한 소정 높이에서 개구하는 사이펀관(26)과, 이것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동시에 이보다 약간 높은 일수구(27a)를 갖는 반원통형의 일수관(27)을 바닥부(23d)를 관통하여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들 사이펀관(26) 및 일수관(27)은 도 4의 평면도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상기 일수관(27)의 직경 상당분의 범위 내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구체적으로는 사이펀관(26) 및 일수관(27)의 바닥부(23d)를 관통한 이하의 부위는 양자를 안쪽에 포함한 원통형의 유출관(20c)에 의해 일체화되고, 본 구성에서는 상기한 일수관(27)의 직경 상당분으로 한 유출관(20c)이 바닥부(23d)보다 아래쪽으로 돌출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이 유출관(20c)에는 이음매(20d)를 통하여 상기한 관로(20b)가 접속되고, 그 선단부는 상기 물주입구(21)에 연통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이렇게 구성된 제 2 급수로(20)도 그 유출측 선단부는 상기 제 1 급수로(19)와 동일하게 공통의 물주입구(21)를 거쳐 세탁조(6) 내를 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살균수 생성기구(22)는 저수조(23) 내의 수용실(25)에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물과 접촉하고 살균기능을 발휘하는 고체(28)가 수용 배치되고 또한 이 수용된 고체(28)는 그 하부에서 물과 접촉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본 구성에서는 상기 고체(28)는 대략 직경이 수십㎜의 타블랫형상으로서 이것이 다수개 랜덤하게 수납된 수납용기(29)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수납용기(29)의 적어도 하부인 바닥부(29a)는 물이 출입 가능한 통수성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수납용기(29)에 대해서는 도 1에도 나타난 바와 같이 둘레벽부(29b)의 상부에는 직경 3㎜정도의 적당수의 공기누설구멍(29c)을 형성하고있지만, 상기 공기누설구멍(29c)을 갖는 것 이외에는 상부는 닫혀진 구성인 동시에 그 천정판부(29c)에는 파지용 손잡이부(29d)를 설치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통수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바닥부(29a)는 상기 바닥부(29a)의 대략 전체면에 걸쳐 설치된 통수성이 있는 필터(30)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수납용기(29) 및 필터(30)도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는 동시에 도 5에 도시한 상기 필터(30)의 외부둘레 틀부(30a)를 열융착수단을 이용하여 수납용기(29)의 바닥부(29a)의 외부둘레 부위에 고착하고 있고, 이에 의해 바닥부(29a)의 대략 전체면에 걸쳐 예를 들면 1㎜사이즈의 메시부(30b)가 통수 가능하게 팽팽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수납용기(29)에 수납된 고체(28)는 하부의 통수성이 있는 상기 필터(30)를 물의 출입구로 해서 상기 필터(30)를 거쳐 물과의 접촉이 가능한 구성이다.
여기에서, 상기한 살균기능을 갖는 고체(28)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이 고체(28)는 물과 접촉함으로써 차아할로겐산을 방출하는 할로겐화 히단토인화합물로 이루어지고, 본 실시예에서는 그 고형유기화합물의 분말을 틀 내에 충전하여 프레스성형에 의한 압축 성형으로 타블릿형상으로 고화한 것이다.
이 할로겐화 히단토인화합물로서는 1,3-디클로로5,5-디메틸히단토인, 1-브로모-3-디클로로5,5-디메틸히단토인, 1,3-디클로로5,5-에틸메틸히단토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분자 내에 질소-염소, 질소-브롬 또는 질소-옥소(요오드) 등의 결합을 갖고, 이들 소위 질소-할로겐 원자결합은 물과 접촉하여 가수분해되어, 각각 차아염소산, 차아브롬산, 차아옥소산을 생성하는 동시에 이들 소위 차아할로겐산은 산화 작용을 갖고 있으며 살균작용을 갖는 것이다.
이에 관련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중 1,3-디클로로5,5-디메틸히단토인을 채용한 것으로 도 6에 그 화학반응기구를 나타낸 바와 같이 물과 접촉하여 질소-할로겐원자 결합이 가수분해되고, 차아할로겐산인 차아염소산이 생성되고, 이 차아염소산을 포함한 물은 살균수로서 유효하게 기능하는 동시에 이러한 고체(28)는 이용하지 않을 때는 붕괴하지 않고 고형상태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고체(28)는 물에 닿아 차아염소산을 방출하고 강한 산화작용을 갖기 때문에, 살균수와 닿을 가능성이 있는 상기 수납용기(29)나 필터(30)는 물론이고 상기 저수조(23) 등의 주변 부품은 내할로겐성이 우수한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틸렌, 염화비닐리덴, 염화비닐 등 중 어느 하나의 재료로 성형하고, 이러한 성형부품의 열화나 변색 등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고체(28)는 상기 수납용기(29) 내에 수납되어 하부를 필터(30)로 덮은 상태로 꺼내기 불가능한 구성이며, 따라서 수납용기(29)는 손잡이(30)을 갖고 상기 저수조(23)로부터 꺼내고 넣기 가능하고 운반할 수 있는 소위 카세트용기로서 기능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수납용기(29)의 둘레벽부(29b)의 내면을 따라서 시트형상의 완충부재(31)가 접착되어 있어 고체(28)가 진동 등에 의해 상기 둘레벽부(29b)에 맞닿아도 쉽게 붕괴하지 않도록 대처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고체(28)가 수납된 카세트용기로서 기능하는 수납용기(29)는 그대로 상기 저수조(23)의 수용실(25) 내에 수용설치된다. 이 경우, 저수조(23)의 바닥부(23d) 중 수용실(25)의 바닥면 상당부위에 있고, 위쪽으로 돌출한 리브 또는 핀형상의 복수의 돌출부(23e)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납용기(29)는 바닥부(23d)로부터 이격된 상태(도면 중, 공극(H)으로 나타냄)로 설치 지지되고, 또한 이들 각 돌출부(23e) 사이는 바닥부(23d)면을 따라서 통수 가능한 구성이다.
또, 상기 수용실(25)의 상면 개구부에는 이것을 개폐하는 덮개 개폐장치(3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덮개 개폐장치(32)는 상기 수용실(25)을 형성하는 저수조(23)의 둘레벽부(23c) 및 칸막이벽(23a)의 내부둘레 상부에 장방형 통형상의 지지틀(33)이 끼워맞춰 고정되고, 이 지지틀(33)의 상면 일 단부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축 지지된 덮개(34)로 구성되고, 이 덮개(34)의 반대 축 지지측에는 개폐조작용 손잡이(34a)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수납용기(29)의 위쪽은 상기 덮개 개폐장치(32)에 의해 덮여지거나 또는 개방되어 해당 수납용기(29)를 카세트용기로서 수용실(25)로부터 착탈이 가능하게 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탈수겸용 세탁기의 작용에 대해서 도 7 내지 도 10도 적절히 참조하여 설명한다.
세탁 작업하는 경우, 우선 도 2에 도시한 세탁조(6) 내에 세탁물을 투입하고, 이것에 알맞은 양의 세제와 물이 공급되어 세탁운전이 개시된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세탁기에서는 세탁물을 투입한 후에 조작패널(16)의 설정 조작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또는 적절한 수동조작에 의해 인위적으로 세탁운전이 실행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통상적으로 실시하는 표준코스를 선택하고,제어장치(11)에 의해 소정 프로그램에 따라서 자동 운전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조작부(16a, 16b)에 의한 살균기능「있음」, 「없음」 중, 예를 들면 조작부(16a)의 살균기능 「있음」을 선택하여 운전을 시작시킨다. 또한, 이 표준코스에서는 주지된 바와 같이 통상, 세탁-1회째 헹굼-중간 탈수-2회째 헹굼-최종 탈수의 행정 순으로 실행된다.
그 중, 세탁행정에 대해서는 종래와 동일하게 실시되지만, 그 행정의 초기에서 급수동작은 본 구성에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 세탁조(6) 내로 급수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수원인 수도의 수도꼭지에 연통 접속된 급수전환밸브(18)가 통전 구동되고, 분기된 한쪽의 제 1 급수로(19)측의 수로만이 개방되고, 수돗물은 그대로 선단의 물주입구(21)로부터 세탁조(6)(물받이조(4)) 내로 공급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는 수위센서 등에 의한 수위검지수단에 의해 세탁물량에 따른 규정 수위까지 공급되고, 이 급수동작을 마친다.
그리도 동시에 이 수위검지수단의 검지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장치(11)에 의해 모터(9) 등의 구동기구부(10)가 구동제어되고, 교반체(8)만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킴으로써 세탁조(6) 내의 물이 세제 및 세탁물과 함께 교반되고, 세탁물의 세정이 실시된다. 소정 시간의 세탁운전을 마치면, 배수밸브(13)가 개방 동작함으로써 세탁조(6) 및 물받이조(4) 내의 세탁수가 배수호스(14)를 거쳐 세탁기 밖으로 배출되고, 세탁행정을 종료한다.
이어서, 1회째의 헹굼행정으로 진행한다. 이 헹굼행정에서는 도 7 중 화살표로 나타낸 여러 동작의 타임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역시 급수동작이 개시되고, 상기 세탁행정과 동일하게 급수전환밸브(18)가 제 1 급수로(19)측만 개방하고, 수돗물은 상70ㅣ41기 급수로(19)를 통하여 물주입구(21)로부터 세탁조(6) 내로 직접 급수되어, 급수동작이 개시된다. 여기까지는 종래의 헹굼행정에서의 급수동작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의 헹굼행정에서는 도 3에 도시한 조작부(16a)에 의해 살균기능 「있음」이 선택 설정되고 있고, 제어장치(11)에 의해 소위 살균코스가 실행된다. 이하 상술하면 상기 급수개시 초기에는 제 1 급수로(19)를 통하여 미리 수돗물을 예를 들면 소정 시간 공급한 후, 이 경우 약 1분후에 상기 급수전환밸브(18)가 다른 한쪽의 제 2 급수로(20)측도 개방하도록 전환하거나, 급수동작은 양 급수로(19, 20)로부터 동시에 세탁조(6) 내로 급수되게 된다. 단, 이 제 2 급수로(20)는 도중에 살균수 생성기구(22)를 거쳐 급수되기 때문에 상기 제 2 급수로(20)로부터는 살균수로서 세탁조(6) 내로 투입된다.
즉, 수돗물은 우선 제 2 급수로(20)를 구성하는 관로(20a)를 통하여 저수조(23) 내로 유입한다. 구체적으로는 급수실(24)의 하방 측부에서 유입하게 되는데, 이 급수실(24) 내부의 사이펀관(26) 및 일수관(27)의 각 개구위치까지 수위가 도달하지 않는 동안은 배출되는 일 없이 저장된다. 따라서, 연통구(23b)에서 연통상태에 있는 수용실(25) 내로도 유입하여 저장되고, 이 상태는 수위가 상기 일수관(27)의 일수구(27a)에 도달할 때까지 상승한다.
그리고, 우선 배수 수단으로서의 사이펀관(26)의 개구위치까지 수위가 상승하고, 또한 이 사이펀관(26)으로부터 배수되기에 이르러도 이 배수량보다 유입하는급수량이 크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오히려 수위는 상승하고, 이윽고 상기 일수구(27a)를 넘는 수위에 도달하고, 상기 일수구(27a)로부터 넘쳐흘러 배수되기에 이른다. 이 상태에 이르러 물은 사이펀관(26) 및 일수관(27)에서 함께 배출되고, 그 배수량은 저수조(23)로의 급수량과 동등 또는 많아지도록 설정되어 있고, 특히 일수구(27a)의 배수능력은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저수조(23) 내로 급수 저장되는 물은 일수구(27a)를 넘어 다시 저장되는 일은 없이 대략 일수구(27a) 위치의 수위(정수위)로 유지되게 된다.
이것은 수용실(25) 내에 수용되어 고체(28)를 수납한 수납용기(29)에 대하여 물은 같은 수위까지 저장된다. 구체적으로는 저수조(23)의 바닥부(23d)와 공극(H)을 갖는 수납용기(29)의 바닥부(29a)는 통수성이 있는 필터(3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물은 상기 바닥부(29a)로부터만 내부로 유입되고, 고체(28)의 하방부분을 침지상태로 한다. 따라서, 1,3-디클로로5,5-디메틸히단토인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고체(28)는 물과의 접촉에 의해 도 6의 화학반응기구에서 개시한 바와 같이 가수분해되고, 살균기능을 갖는 차아염소산(차아할로겐산)을 서서히 용해 방출된다. 이렇게 고체(28)에 접촉하여 경유한 물은 상기 차아염소산을 포함한 살균수로서 생성되는데, 이 모두가 즉시 일수관(27)이나 사이펀관(26)으로부터 배출되는 일은 없다.
왜냐하면, 수납용기(29) 바닥부(29a)의 필터(30)를 통하여 침입한 물은 다른 출입구가 없어 유입해온 경로를 역류하지 않는 한 수납용기(29) 밖으로 유출될 수 없다는 것과 관로(20a)로부터의 급수가 계속해서 실행되고 있는 동안 상기한 바와같이 사이펀관(26)과 일수관(27)으로부터 배출되는 한편, 물은 이 저수조(23) 내의 정수위와 같은 수위로 유지해야 하는 수납용기(29) 내에 보급되고 있고, 또한 다량의 배수 가능한 일수구(27a)에 대하여 수납용기(29)의 물의 출입구가 되는 필터(30)는 바닥부(29a)에 위치하여 크게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그 사이의 유로 저항이 크기 때문이다.
특히, 일수구(27a)로부터는 관로(20a)로부터 유입한 직후의 물이거나 수위의 상층부의 물이 배출되기 쉬운 것에 대하여, 이와는 가장 이격되어 있는 동시에 바닥부(29a)에 출입구인 필터(30)를 갖는 수납용기(29) 내의 물은 영향을 받기 어렵다. 따라서, 급수실(24)에 있어서 물의 유출입이 기세 좋게 실시되어도 고체(28)를 내장한 수납용기(29) 내는 물론이고 그 바닥부(29a) 부근의 물의 움직임은 완만하게 되어 사이펀관(26)이나 일수관(27)으로부터 즉시 배수되는 일은 없다. 그리고, 고체(28)로부터 방출되는 차아염소산도 서서히 수중으로 용출되고, 일부는 사이펀관(26) 등으로부터 배수되지만, 대부분은 상기 물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즉시 배출되는 일은 없으며, 이 때문에 수납용기(29) 내 및 필터(30)부근의 수중에서의 차아염소산농도는 점차 높아진 상태가 되고 또한 축적된다.
이러한 급수 시에 있어서 저수조(23)의 수위변화와 차아염소산농도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도 8a, 도 8b에 나타내고 있다. 단, 상기 도 8b에 도시한 차아염소산농도는 저수조(23)내에서의 농도가 아니고, 최종적으로 사이펀관(26)이나 일부 일수관(27)으로부터 배출되고, 관로(20b)를 유출할 때의 소위 세탁조(6)로 투입될 때의 본래 필요로 하는 농도를 측정한 것이다. 또, 수돗물의 급수량으로서는 예를들면 제 1 급수로(19)를 포함하는 전체에서 10(L/min)이고, 그 중 제 2 급수로(20)의 관로(20a)로부터 저수조(23)로의 급수량은 3(L/min)로 설정하고 있으며, 도면 중 가로축의 급수시간은 이 제 2 급수로(20)를 이용한 급수 동작을 실행한 시간이다.
우선, 상기 도 8a에 있어서는 저수조(23)의 내부 바닥면 위치(“0”수위)를 도면 중 A점으로 나타내고, 사이펀관(26)의 개구높이위치(10㎝)에 상당하는 수위를 도면 중 B점으로 나타내면, 관로(20a)로부터 급수된 저수조(23) 내의 수위는 A점에서 B점까지 상기 급수량에 상응해서 수위는 상승하고, 따라서 수용실(25) 내의 수납용기(29) 내의 수위도 추종하여 동수위까지 상승한다. 이 경우, 저수조(23) 내로 유입한 수돗물은 아직 관로(20b)를 거쳐 배출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당연히 차아염소산농도는 상기 도 8b에 동일 부호로 나타낸 A점에서 B점까지의 사이에서 아무것도 검출할 수 없다.
또한, 저수조(23)로의 급수가 진행하여 사이펀관(26)의 개구 높이를 넘는 수위에 도달하면, 급수량 중 일부가 사이펀관(26)으로부터 배출되게 되고, 따라서 저수조(23)의 수위의 상승은 약간 둔해지지만, 다시 계속 상승하여 도 8a에 도시한 C점인 저수관(27)의 높이위치(3.1㎝)인 일수구(27a) 위치의 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상승한다.
한편, 차아염소산농도는 우선 사이펀관(26)으로부터 배수되는 수돗물 중의 잔류 염소농도 0.25(ppm)를 검출하고, 그 후 C점의 일수구(27a) 위치까지 도달하는 사이, 고체(28)로부터 방출된 차아염소산 중 약간이 저수조(23) 내로 퍼지기 시작하고, 이것이 사이펀관(26)을 통하여 배출된다. 또한, 이 배출에 따라서 서서히 농도가 높아지지만 0.3∼0.6(ppm)정도로 여전히 미량의 유출로 그치거나, 소위 살균수로서의 농도는 낮다. 더욱이 수납용기(29) 내의 물이 사이펀관(26)측으로 이동하는 유수로는 특별히 생기지 않기 때문에, 상기 차아염소산의 수중으로의 퍼짐도 더욱 확대될리도 없고, 따라서 그 농도도 C점에 도달한 이후, 특별히 상승하는 정도의 경향은 확인되지 않는다.
그리고, 수위가 C점인 일수구(27a)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일수구(27a)로부터의 넘쳐흘러 배출하는 배수성능이 높기 때문에, 그 이상의 수위상승은 보이지 않고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C점에서의 수위(정수위)대로 다음 단계(후술하는 D점)까지 유지된다. 이렇게 관로(20)로부터 저수조(23)에 공급된 물의 대부분은 일수구(27a) 및 사이펀관(26)으로부터 빠르게 배출되고, 한편 고체(28)로부터 방출된 차아염소산은 일수구(27a) 등으로의 유출이 상기한 바와 같이 미량의 범위에 그치며, 그 농도는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돗물의 염소농도에 약간 증가한 정도의 농도 0.6(ppm)대로 소위 C점 이후 대략 일정 상태로 추이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급수동작 중에 생성된 살균수는 제 2 급수로(20)로부터 물주입구(21)를 거쳐 세탁조(6)(물받이조(4)) 내로 투입되지만, 당초 차아염소산농도는 낮고 산화표백작용도 낮은 데다가, 이미 세탁조(6) 내에는 소정량의 물이 공급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살균수가 세탁물에 탈색 등을 일으킬 우려는 없다. 또한, 이 제 2 급수로(20)도 그 유출측 선단부에서는 제 1 급수로(19)와 합류하여 물주입구(21)로부터 공급되기 때문에 여기에서도 살균수는 희석되어 고농도의살균수에 의한 문제는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그 후, 상기한 제 1, 제 2 급수로(19, 20)로부터의 동시 급수가 계속하여 실시되고, 세탁조(6)(물받이조(4)) 내에 소정 수량까지 공급되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개시에서 약 2분 경과하면, 제어장치(11)에 의해 모터(9) 등의 구동기구부(10)가 작동하고, 교반체(8)만이 회전 구동되어 세탁물의 교반동작(헹굼)이 개시된다. 이에 따라 세탁조(6) 내로 투입된 세탁물이나 계속 공급되고 있는 살균수는 교반수류와 함께 교반되고, 살균수는 세탁조(6) 내로 투입되자마자 더욱 확산되어 균일하게 희석 분포된 상태를 얻는다. 아울러 이 상태에서는 농도는 낮지만, 그 살균작용으로 세탁 후의 세탁물에 부착하고 있는 잡균을 살균하는 적지않은 효과를 나타낸다.
이윽고, 세탁조(6)(물받이조(4)) 내의 수위가 규정 수위에 도달하면, 도시하지 않는 수위검지수단 및 제어장치(11)에 의해 급수전환밸브(18)가 폐쇄 작동하고, 제 1, 제 2 급수로(19, 20)의 어느쪽으로의 통수도 닫히고 급수동작이 정지함과 동시에 모터(9) 등에 의한 교반동작만 계속해서 실행되어 세탁물에 잔류하는 세제분을 씻어내는 헹굼이 실시된다. 그런데, 급수전환밸브(18)가 폐쇄하여 수돗물의 공급이 끊기면, 이제까지 정수위의 일수구(27a) 높이까지 저장되어 있던 저수조(23) 내의 물이 정수위 이하가 되고, 이후는 배수 수단으로서의 사이펀관(26)만을 통하여 배수되고, 제 2 급수로(20)인 관로(20b)를 흘러 세탁조(6)로 유출되게 된다.
이에 의해 수납용기(29) 내의 고체(28)로부터 방출되고 축적된 다량의 차아염소산을 포함한 소위 고농도의 살균수도 저수조(23) 내 전체 배수작용의 흐름에따라서 사이펀관(26)에서 배출된다. 이 경우, 수납용기(29)의 물의 출입구는 바닥면의 필터(30)로 구성되고, 물이 고체(28)와 접촉하기 때문에 수납용기(29) 내로 침입하는 경우와 역으로 배출되는 경우는 동일 출입구인 상기 필터(30)를 통하여 실시된다.
그리고, 도 8a에 나타낸 D점은 급수전환밸브(18)에 의한 급수가 멈추어진 때의 수위를 나타내고, 또한 사이펀관(26)에 의해서만 배수가 개시된 시점이기도 하고, 이후 배수가 진행 완료하는 E점까지 수위가 저하하는 변화를 나타내고 있고, 이것에 따라서 상기 도 8b에는 동일 D점까지 고농도의 차아염소산을 포함한 살균수가 관로(20b)측으로 유출한 것을 나타내고, 선단부의 물주입구(21)로부터 세탁조(6)내로 투입된다. 또한, 세탁조(6)에서는 규정 수위인 예를 들면 70(L)가 급수되고 있고 또한 교반동작이 계속 실행되고 있기 때문에, 고농도의 살균수는 즉시 희석 확산되는 동시에 세탁물로 효과적으로 침투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 세탁조(6) 내에 투입된 고농도의 살균수인 차아염소산농도는 최종적으로 이들의 적분한 평균값이 되기 때문에 0.9(ppm)이 되고, 유효한 살균농도로 달성할 수 있어 세정 후의 세탁물에 부착하고 있는 잡균을 효과적으로 살균하여 감소시킨다. 또, 항균효과에 유효한 차아염소산 농도에 대해서는 도 9와 함께 후술한다.
여기에서 먼저 나타낸 도 7에는 상기 헹굼행정의 진행에 맞춰서 균수의 감소상황을 실험에 의해 검증하고, 그 측정결과를 그래프특성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서 헹굼행정의 시간은 살균기능 「있음」의 선택코스에 있어서는 통상의 헹굼행정(살균기능 「없음」)의 시간보다 장시간으로 설정되어 있고, 세탁물 전체에 일정하게 살균작용이 골고루 퍼지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면 중, 상단에 도시한 흰색바탕의 화살표가 살균기능「있음」의 헹굼행정(이 경우, 급수 및 교반동작)의 시간(합계 10분)이고, 실선화살표는 그 내역을 나타내는 각 동작상태의 시간이며, 또한 동일 최하단의 흰색바탕의 화살표는 살균기능「없음」의 소위 통상의 수돗물에 의한 일반적인 헹굼행정 시간(합계 6분)을 나타낸 것이다. 그 중, 살균수의 공급상태를 나타내는 실선화살표에 계속되는 종단부의 파선 화살표는 상기한 도 8a, 도 8b에 도시한 D점 내지 E점에 상당하고, 즉 사이펀관(26)만에 의한 저수조(23) 내의 배수에 따른 고농도 살균수가 투입되는 구분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이 도 7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세탁 후의 세탁물에 포함된 물에는 수 100 내지 수 1000(CFU/ml)의 잡균이 부착하고 있고, 이와 관련하여 균수의 변화는 상기 도면에 의하면 살균기능「있음」의 코스인 경우, 당초 농도가 낮은 살균수의 공급이 개시되고 또한 교반체(8)에 의한 교반동작이 개시되고 이후 감소경향이 확인되며, 그리고 세탁물에 스며든 세제분을 헹굼과 동시에 특히 파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고농도의 살균수가 투입된 이후, 세탁물에 부착하고 있는 균을 효과적으로 살균하고 또한 세탁조(6)에 대한 곰팡이의 발생 등을 방지하는 작용을 이룬다.
또, 이 소요시간으로서 통상의 헹굼시간인 6분정도에서는 상당한 항균효과를 얻지만 아직 수 100(CFU/ml)레벨의 균이 잔존하고 있고, 이들 균을 그대로 습윤한 조건 하에 방치하여 두면 번식하여 냄새 발생의 요인이 될지도 모르기 때문에, 6분이상 바람직하게는 8분∼10분의 헹굼시간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1회째의 헹굼의 교반동작이 종료하면, 배수밸브(13)가 개방동작하고 세탁조(6)나 물받이조(4) 내의 물을 배수호스(14)를 통하여 세탁기 밖으로 배출한다. 이런 후, 구동기구부(10)의 도시하지 않은 클러치기구 등의 동력전환이 실시되고, 회전전달은 탈수조 겸용 세탁조(6)와 함께 교반체(8)를 동시에 회전시키고, 세탁물로부터 원심 탈수하는 중간 탈수행정이 실행된다. 이에 의해 세탁물에 잔류한 세제분이 추출 제거되는 동시에 세탁물에 침투한 차아할로겐산인 차아염소산도 제거된다. 그리고, 이후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2회째의 헹굼은 제 1 급수로(19)만을 이용한 주지의 통상의 수돗물을 직접 세탁조(6)로 공급하여 실시되고, 최종 탈수행정으로 진행되어 일련의 세탁작업을 종료한다.
또한, 장기사용에 의해 하부에 위치하는 고체(28)가 용해하여 체적이 감소하면, 자중에 의해 수시로 상부의 고체(28)가 하강하고, 항상 대략 일정량 또는 일정 체적의 고체(28)에 의한 물과의 접촉이 가능하다. 이 경우, 수납용기(29)의 상부에서 외부로 연통하는 공기누설구멍(29c)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물의 출입을 비롯해 고체(28)의 움직임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고체(28)가 소모하여 교환하지 않으면 안될 때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수조(23)의 덮개(34)를 개방하고, 내부의 수납용기(29)를 손잡이(29a)를 잡고 꺼내면 좋다. 그리고, 신규로 고체(28)가 수납된 수납용기(29)와 교환하여 사용하면 좋기 때문에 상기 수납용기(29)는 카세트용기로서 이용 가능하고, 또한 고체(28)에 직접 손이 닿는 일 없이 교환할 수 있어, 손에 할로겐 냄새 등이 부착할 우려도 없으며 취급성 및 사용의 편리성도 양호하다.
한편, 세탁물이 극히 섬세한 의료로 변색하기 쉬운 우려가 있거나, 특히 항균효과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 등에는 조작부(16b)의 살균기능「없음」을 선택하고 운전 시작하면 일반 주지의 헹굼행정을 갖는 세탁운전을 아무 지장없이 실행할 수 있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1회째의 헹굼에 있어서 급수기구(17)를 통하여 세탁조(6) 내에 차아할로겐산인 차아염소산을 포함하는 물(살균수)을 투입함으로써 그 살균작용에 의해 세탁조(6)나 세탁물에서 균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에 기초하여 곰팡이나 냄새, 누래짐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특히 탈수겸용 세탁기와 같은 청소가 곤란한 탈수조를 겸한 세탁조(6)의 안쪽에서 균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는 크고, 따라서 병자나 병원균에 약한 유아가 있는 가정에서는 의류에 부착한 균으로부터 병에 감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종래에는 볼 수 없던 청결하고 위생적인 세정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9는 세탁수(헹굼) 속에서 차아할로겐산인 차아염소산(살균수)의 각종 농도에 대한 살균작용의 효과(균수 변화)를 실험에 의해 확인한 것으로 실험은 세탁조(6) 내에 공급한 잡균수에 대한 살균상태를 조사하였다. 이에 의하면, 생성한 살균수를 각종 농도로 희석한 세탁수 속의 잔류 염소농도가 0.5(ppm)정도 이상이라면 유효한 살균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검증할 수 있었다.
그리고, 살균기능「있음」에 의한 살균코스를 1회째 헹굼행정에서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은 세정행정에서는 더러움이라든가 세제 등에 포함되는 유기물 때문에 차아염소산이 이들을 산화시키는 데에 다써버려 충분한 살균효과를 발휘할 수 없는 것에 의한 것으로, 상기 세탁행정에서는 수원인 수돗물을 직접 세탁조(6)에 공급하게 하여, 보다 유효한 살균기능을 기대할 수 있는 헹굼행정에 있어서 살균수를 공급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할로겐화 히단토인화합물의 고체(28)로부터 생성된 살균수는 유효한 항균효과를 발휘하는 동시에 고체(28)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살균수 생성기구(22)를 경유한 제 2 공급로(20)로부터의 살균수와 통상의 수돗물을 공통의 물주입구(21)로부터 세탁조(6)에 공급하는 소위 혼합시킨 후, 세탁조(6) 내에 동시 급수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살균수는 세탁조(6)에 투입되기 이전부터 희석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급수동작의 종료 시에 도 7 및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농도의 살균수가 투입되지만, 이미 세탁조(6) 내에는 규정 수위까지 급수되고, 또한 교반체(8)에 의한 교반동작이 계속하여 실시되고 있기 때문에 고농도의 살균수는 즉시 희석 혼합되어 일정하며 똑같은 적정한 농도로 조정된다. 따라서, 세탁물에 고농도의 살균수가 직접 붙여 탈색 등의 변색을 일으키는 일을 회피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와 같은 살균수를 배출하는 사이펀관(26)에 의하면, 저수조(23) 내의 고체(28)나 필터(30)로부터 적하한 고농도의 살균수가 잔류한다고 하여도 소정 높이의 사이펀관(26)으로부터 준비 없이 배출되는 일은 없으며, 소위 물기를 빼는 효과가 좋다. 이것은 잔류수가 예를 들면 탈수 시에 세탁물 상에 적하하여 생각지 못한 스폿형상으로 탈색하여 의류에 변색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알맞다. 이렇게 잔류하는 특히 고농도의 살균수가 누출되는 일은 없지만, 예를 들면 전회 사용한 살균수 중, 관로(20b) 내나 물주입구(21) 부분에 물방울형상으로 잔류하고 있는 경우가 상정되고, 이것이 급수 시에 유출하게 되지만, 살균수는 미리 수돗물이 소정량 급수된 후에만 투입되기 때문에 이러한 잔류수로 상기와 같은 의류가 탈색 등의 변색을 일으키는 사태는 생기지 않는다.
또, 규정 수위에 도달하지 않는 급수 과정의 중도 단계에서 교반체(8)에 의한 교반동작을 개시하고 있기 때문에, 세탁물로의 살균수의 침투효과를 높일 수 있고, 세탁물의 세제분을 헹구어 제거함과 아울러 세탁 후의 세탁물에 부착하고 있는 잡균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또한, 단순히 교반동작이 조기에 개시될 뿐만 아니라, 헹굼행정의 시간으로서 살균기능「있음」의 선택코스는 통상의 헹굼행정(살균기능「없음」)의 시간보다 장시간으로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세탁물 전체에 일정하게 침투하여 충분한 살균효과가 발휘된다.
그리고, 특히 본 실시예에 의하면, 고체(28)와 물과의 접촉이 유수압 등의 충격을 조금도 받지 않고, 저수조(23) 내로 급수되어 저장되는 수위의 상승에 맞춰서 접촉하는 구성이며, 또한 정수위에 도달한 이후는 정적으로 침지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 고체(28)를 수납한 수납용기(29)에는 그 둘레벽부(29b) 내면에 시트형상의 완충재(31)를 접착하고 있기 때문에 탈수 운전시의 진동 등에 따라 타블릿형상의 고체(28)가 수납용기(29)의 내부 벽면에 충돌하는 충격을 완화시킨다.
또한,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 할로겐화 히단토인화합물로 이루어지는고체(28)는 모퉁이부를 깎아내거나 또는 원호형상을 이룬 타블릿형상으로 압축 성형하여 바인딩이 약한 모퉁이부가 붕괴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부가적으로, 성형성을 높여야 하는 붕산이나 유기산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수용성 성형조제를 혼합하여도 좋다. 또, 고체(28)를 수납한 수납용기(29)의 바닥면에는 예를 들면 1mm각 또는 그 이하의 벌집모양의 메시부(30b)를 갖는 필터(30)로 열융착하여 덮은 구성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으로 인해 고체(28)는 충격이나 마찰 등으로부터 보호되는 동시에 만일 마찰한 분말이 생겼다고 해도 필터(30)로부터 누출할 우려는 없고, 이것이 세탁조(6)로 직접 유출하여 세탁물인 의류에 탈색 등의 변색을 일으킬 우려는 없다. 또는 분말 등이 필터(30)에 막혀 통수 저항을 크게 할 우려에 대해서도 수납용기(29) 내의 고체(28)와 접촉하는 물은 상기 필터(30)의 메시부(30b)를 항상 상하 교대로 유통하기 때문에 이 통수성이 있는 메시부(30b)의 막힘현상은 자동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고체(28)의 분말이 필터(30)로부터 누출할 우려가 없다면, 고체(28)는 부정형의 파쇄형상의 것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해지고, 그만큼 고체(28) 형태에 구애되지 않는 등, 취급성의 자유도가 크고 여러가지로 편의가 도모된다. 또한 고체(28)의 소모 등에 의해 교환할 시에 수납용기(29)를 카세트용기로서 기능하는 것은 상술하였지만, 그 때 필터(30)의 외부둘레 틀부(30a)가 수납용기(29)의 바닥부(29a)에 열융착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수납용기(29)가 세탁기 밖으로 반출되어도 내부의 고체(28)가 누출하는 일 없이 확실하게 수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취급성의 향상과 아울러 유아가 잘못해서 마시는 등의 우려도 없다. 이와 같이 특수한 살균 부가 코스를 구비하면서 특징있는 고체(28)의 취급은 간편하고, 장기 사용 시에도 번잡한 작업이나 각별한 주의를 요하는 작업을 불필요하게 하며, 사용의 편리성이 좋고 청결하고 위생적인 세정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고체(28)와 물과의 접촉은 저수조(23)의 정수위 속에 침지됨으로써 실시되고, 이 결과, 차아염소산의 농도는 상기 침지에 의한 접촉시간에 의해 결정된다. 그것은 급수전환밸브(18) 및 관로(20a, 20b)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 2 급수로(20)를 통하여 급수가 이루어지고 있는 시간에 비례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이러한 급수시간을 제어하는 것으로 원하는 농도가 설정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이 종류의 세탁기에서는 세탁물의 양에 따른 수위 설정이 이루어지고, 일반적으로 세탁 및 헹굼의 각 급수량은 10∼70(L)정도까지 조절 가능하다. 그 때문에 헹굼수량이 많아지는 경우는 급수시간이 길어지고 고농도의 차아염소산을 포함하는 살균수를 얻을 수 있고, 수량이 적은 경우에는 단시간 급수가 되어 농도는 낮아진다.
이러한 현상을 나타낸 것이 도 10이고, 상기한 바와 같은 다른 급수량에서 예를 들면 도면 중 실선은 본 실시예와 동일하게 수량 70(L)에 따른 급수시간과 그 급수시간 중에 용출한 차아염소산 농도와의 관계를 측정한 것이고, 이것은 본 실시예의 상기 도 8b에 상당하는 것이며, 마찬가지로 파선은 소수량인 15(L)에서 같은 관계를 측정하여 나타낸 것이고, 이 가로축의 급수시간의 장단에 의해 소위 살균농도가 변화하는 것이 분명하며, 이 급수시간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제 2 급수로(20)를 이용한 저수조(23)로의 급수시간이며, 또한 고체(28)가 저수조(23) 내에서 침지에 의해 물과 접촉하고 있는 시간에 대응한다. 또한, 최종적으로 세탁조(6)에 투입된 차아염소산 농도는 급수시간 중에 생성된 차아염소산 농도의 적분 평균이 되기 때문에, 상기 헹굼의 수량의 다소에 관계없이 대략 일정한 살균 가능한 농도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복잡하고 특수한 농도제어기구를 이용하지 않고도 최종적인 세탁조(6)내에서 살균농도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살균수를 생성 공급하는 제 2 급수로(20)에 있어서 그 급수량 및 급수시간 등의 급수패턴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 가능하지만, 단 도 7에 도시한 본 실시예와 같이 미리 수돗물(제 1 급수로(19))을 소정 수량 공급한 후에 살균수를 투입하는 것이 세탁물의 탈색 등에 의한 변색을 방지하는 데에 바람직하다. 그 밖에 도 7에 도시한 헹굼의 종료 시에 일시적으로 수돗물(제 1 급수로(19))을 급수하도록 하여도 좋고, 이에 의하면 살균수의 일부가 공통의 물주입구(21) 부근에 잔류 부착하고 있었다고 해도 이것을 씻어낼 수 있기 때문에 역시 이것이 준비없이 세탁물에 적하하여 변색하는 사태로부터 회피할 수 있다.
또, 세탁조(6)나 물받이조(4) 등의 부품에는 스테인레스나 철계의 강재를 채용하고 있는 경우가 많고, 이 경우에는 고체(28)에 녹방지효과를 갖는 재료를 함유시킴으로써 염소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2 실시형태)
상기에 대하여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고,이하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구성 및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기 실시예에서 논한 바와 같이 급수전환밸브(18)를 통하여 제 2 급수로(20)에 의한 급수시간을 제어하여 고체(28)와 물과의 접촉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고체(28)로부터 생성되는 차아할로겐산인 차아염소산의 농도를 원하는 농도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런데, 이 고체(28)인 할로겐화 히단토인화합물의 용해속도는 접촉하는 물의 온도에 따라 변화한다. 즉, 동계 등의 수온이 낮은 경우에는 차아염소산이 용출하기 어렵기 때문에 동계와 하계에서는 같은 접촉시간이라도 항균능력에 차이가 발생하여 장기 사용하는 데에 안정성이 부족하여 문제가 된다.
그래서, 제 2 실시예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급수온도 검지수단을 설치하여 급수온도의 검지결과에 따라서 상기 급수시간을 조정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 제 2 급수로(20)에 관한 제어내용을 나타내는 도 11의 플로우챠트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스텝(S1)에서는 급수전환밸브(18)가 관로(20a)측의 수로를 개방하여 급수가 개시되고 저수조(23) 내로 유입한 물이 저장되어 간다.
그리고, 스텝(S2)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급수온도 검지수단인 수온검지센서로 급수온도로서의 예를 들면 수돗물의 온도를 검지하고, 그 검지결과를 입력으로 해서 제어장치(11)에 의해 급수시간이 설정된다(스텝(S3)). 이 경우, 구체적으로는 급수전환밸브(18)의 관로(20a)측의 수로의 개방시간이 설정되게 된다. 그리고, 패턴(P1)은 당해 스텝(S3)에서 수온이 낮을 수록 급수시간이 길어지는 설정내용을 도해한 것이다.
따라서, 스텝(S4)에서는 저수조(23) 내에서 침지된 고체(28)와 물과의 접촉시간이 결정되고, 이에 의해 동계 등의 저수온 시에는 긴 접촉시간을 거치고, 또 하계의 고수온 시에는 짧은 접촉시간을 거쳐, 패턴(P2)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고체(28)로부터는 항상 대략 일정 농도의 차아염소산이 용출되어, 소위 살균수가 생성되고, 스텝(S5)에서는 이것이 세탁조(6)에 투입되어 유효한 살균농도를 기초로 해서 항균기능을 발휘한다.
이렇게 수온에 따른 살균농도의 살균수가 생성되고, 동계, 하계 등의 수온변화에 따라 살균농도에 과부족이 생기는 일 없이 일정의 원하는 농도가 얻어지고,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작용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저수온인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급수시간이 길게 설정되지만, 이 제 2 급수로(20)로부터의 급수량은 제 1 급수로(19)의 급수량을 포함한 전체 급수량의 예를 들면 10(L/min)에 대하여 그 중 3(L/min)정도로 하는 소위 1/3 이하의 소량이기 때문에 세탁조(6) 내의 수위가 약간 상승하는 정도로 억제되어 헹굼을 실행하는 데에 조금도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또, 도 11에 도시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급수로(20)의 급수온도를 검지하는 플로우챠트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같은 수원으로 하는 제 1 급수로(19)의 급수온도를 미리 검지하여 이것에 따른 급수시간을 설정한 후에 제 2 급수로(20)에 의한 급수를 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 3 실시형태)
이어서,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고, 이것은헹굼 수질의 오염상태에 따라서 고체(28)로부터 용출되는 차아할로겐산인 차아염소산의 농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차아염소산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세제용액이나 목욕물 등의 오염이 많을 수록 이것에 포함되는 유기물의 산화분해에 소비되어 버려, 원하는 유효한 살균작용을 얻을 수 없다. 그래서, 세탁조(6) 바닥부의 예를 들면 배수구(12) 부분에 도시하지 않는 액체 투과도 검지수단으로서, 이 경우 헹굼물의 탁한정도를 광의 투과도로 검지하는 광센서를 설치한다. 그리고, 이 광센서의 검지결과에 기초하여 제어장치(11)에 의해 유효한 살균농도를 얻도록 한 것이고, 이하 도 12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미리 급수되어 있는 수돗물(제 1 급수로(19))에 의한 세탁조(6) 바닥부의 물의 탁한정도를 광센서로 검출한다(스텝(P1)). 그리고 스텝(P2)에서는 이 검지결과에 기초하여 제어장치(11)에 의한 급수시간(제 2 급수로(20))의 설정이 이루어지고, 패턴(T1)은 그 설정내용을 도해한 것이며, 물의 탁한정도가 클수록 급수시간이 길어지도록 설정된다. 이에 따라 고체(28)와 물과의 접촉시간이 결정되고(스텝(P3)), 이 때의 패턴(T2)은 물의 탁한정도가 클수록 살균농도를 높이는 설정내용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어서, 스텝(P4)에서는 제 2 급수로(20)로부터의 급수가 개시되고, 상기 스텝(P2, P3)에서 설정된 급수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고체(28)와 물과의 접촉시간을 거쳐 원하는 농도의 차아염소산이 방출되어 살균수가 생성된다. 그리고, 스텝(P5)에서는 상기 살균수가 세탁조(6)에 투입되고, 헹굼수가 더러워지고 있어도항상 유효한 항균기능을 발휘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물의 탁한정도를 검지하여 저수조(23)로의 급수시간을 설정하고, 이에 의해 고체(28)와 물과의 접촉시간을 제어할 수 있으며, 물의 오염상태에 관계없이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유효하고 안정된 일정 항균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남은 목욕물의 유효이용이 가능해서 절수가 도모되는 등의 실용적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것과 또한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저수조(23) 내의 배수수단으로서 사이펀관(26)을 이용하였지만, 이것에 대신하여 저수조(23) 바닥부(23d)의 최저 부위에 소구멍을 설치하고, 급수량에 비해 항상 소량의 물이 배출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저수조(23) 내에 저수할 수 있어 실질적으로 동일한 작용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수납용기(29)는 카세트용기로서 기능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저수조(23)에 직접 수납용기를 일체적으로 설치하는 동시에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부에 있어서 물의 출입구를 설치하고, 고체(28)의 하방부가 수중에 침지하여 접촉하는 구성으로 하면, 상기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유효한 살균기능을 발휘할 수 있고, 또 각 실시예를 적절히 조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한 등, 실시 시에 본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물과 접촉하여 차아할로겐산을 방출하는 할로겐화 히단토인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고체를 구비하고, 이 차아할로겐산을 포함한 물을 생성하여 상기 세탁조에 투입하는 급수기구를 구비한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고체는 수원으로부터의 물이 급수되어 저장 가능한 저수조 내에 수용되는 동시에, 이 저수조 내에는 저장한 물을 배출하는 배수수단과 넘쳐흘러 배수 가능한 소정 높이의 일수구를 설치하고, 상기 배수수단에 의한 배수량은 급수량보다 소량으로 하여 상기 일수구로부터 넘쳐흘러 배수되기까지의 동안에 저수 가능하며, 이 저장한 물과 상기 고체가 접촉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고체로부터 방출된 차아할로겐산을 포함하는 살균수에 의해 세탁물이나 세탁조에서 균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고, 곰팡이나 냄새, 누래짐 등의 발생을 효가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병자나 병원균에 약한 유아가 있는 가정에도 적합한 청결하고 위생적인 세정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고체는 저수조 내에 저장된 물과 소위 침지된 상태에서 물과의 접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체에는 급격한 물의 충격을 받지 않고 정적인 접촉상태를 얻을 수 있으며, 고체가 붕괴하거나 마모에 의해 분말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체의 조기 마모를 방지하여 장기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특히 고체와 물과의 접촉시간에 따라 차아할로겐산의 농도가 제어되는데, 이것은 저수조 내에 급수가 실시되는 급수시간의 설정에 기초하여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고, 이로써 원하는 살균농도를 용이하고 확실하게 얻을 수 있는 등 실용에 맞는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수원으로부터의 물을 세탁조에 공급하는 급수기구에는 물과 접촉하여 차아할로겐산을 방출하는 할로겐화 히단토인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고체를 구비하고, 상기 차아할로겐산을 포함한 물을 생성하여 상기 세탁조에 투입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고체는 수원으로부터의 물이 급수되어 저장 가능한 저수조 내에 수용되는 동시에 상기 저수조 내에는 저장한 물을 배출하는 배수수단과, 넘쳐흘러 배수 가능한 소정 높이의 일수구를 설치하여 상기 배수수단에 의한 배수량은 급수량보다 소량으로서 상기 일수구에서 넘쳐흘러 배수되기까지의 동안에 저수하고, 상기 저장한 물과 상기 고체가 접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저수조 내에는 고체를 수납하는 수납용기를 설치하고, 상기 수납용기에는 적어도 일수구보다 아래쪽에 위치하여 물의 출입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 1 항에 있어서,
    배수수단은 사이펀관 구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저수조 내에는 고체를 수납하는 수납용기를 설치하고, 상기 용기의 내부 벽면에는 시트형상의 완충재를 부착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저수조 내에는 고체를 수납하는 수납용기를 설치하고, 상기 용기는 상기 저수조에 대하여 착탈이 가능하게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저수조 내에는 고체를 수납하는 수납용기를 설치하고, 상기 용기의 바닥부에는 메시형상의 필터를 설치하여 물의 출입구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수납용기는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하는 동시에 필터를 열융착에 의해 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8. 제 1 항에 있어서,
    급수온도 검지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검지결과에 기초하여 저수조로의 급수시간을 설정하고, 이에 의해 고체와 물의 접촉시간을 제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9. 제 1 항에 있어서,
    물의 탁한정도를 검지하는 액체 투과도 검지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검지결과에 기초하여 저수조로의 급수시간을 설정하고, 이에 의해 고체와 물과의 접촉시간을 제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01-0021065A 2000-09-29 2001-04-19 세탁기 KR1004091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99007A JP3732083B2 (ja) 2000-09-29 2000-09-29 洗濯機
JP2000-299007 2000-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645A KR20020025645A (ko) 2002-04-04
KR100409130B1 true KR100409130B1 (ko) 2003-12-11

Family

ID=18780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1065A KR100409130B1 (ko) 2000-09-29 2001-04-19 세탁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732083B2 (ko)
KR (1) KR100409130B1 (ko)
CN (1) CN1318681C (ko)
TW (1) TW5008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34589C (zh) * 2003-07-28 2008-11-19 海尔集团公司 一种用于洗衣机的软化剂的自动投入方法及其系统
CN108691153B (zh) * 2018-05-30 2022-07-22 佛山市顺德海尔电器有限公司 洗衣粉溶解结构及洗衣机
CN111485367B (zh) * 2020-05-25 2023-08-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洗衣机及洗衣机的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9099A (ja) * 1995-05-17 1996-11-26 Sanai Fujita 医療用寝具等の脱臭殺菌乾燥方法及びその装置
JPH11137888A (ja) * 1997-11-10 1999-05-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洗濯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6440A (en) * 1997-05-27 1998-05-26 The Clorox Company Solid, water-degradable disinfectant and cleanser composition, and associate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CN2318246Y (zh) * 1997-12-11 1999-05-12 海尔集团公司 自动清水式洗涤剂盒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9099A (ja) * 1995-05-17 1996-11-26 Sanai Fujita 医療用寝具等の脱臭殺菌乾燥方法及びその装置
JPH11137888A (ja) * 1997-11-10 1999-05-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洗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102593A (ja) 2002-04-09
JP3732083B2 (ja) 2006-01-05
CN1345995A (zh) 2002-04-24
CN1318681C (zh) 2007-05-30
KR20020025645A (ko) 2002-04-04
TW500853B (en) 2002-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3766B2 (en) Washing machine with means for preventing propagation of microorganism
KR101021508B1 (ko) 세탁기
WO2009081640A1 (ja) 洗濯機
WO2009084281A1 (ja) 洗濯乾燥機および消臭装置
KR20100083852A (ko) 세탁기
JP4869058B2 (ja) 電気洗濯機
JP2007195866A (ja) 洗濯機およびその洗濯方法
JP6271199B2 (ja) 洗濯機
KR100401688B1 (ko) 세탁기
JP2002320792A (ja) 洗濯機
KR100409130B1 (ko) 세탁기
JP5315145B2 (ja) 衣類洗濯機
TW200416319A (en) Washer
JP2002346288A (ja) 洗濯機
JP2001204993A (ja) 洗濯機及び洗濯方法
JP2007202685A (ja) 洗濯機
JP2002095889A (ja) 洗濯機
JP2003103092A (ja) 洗濯機
JP2002239288A (ja) 洗濯機
JP2001187294A (ja) 洗濯機
JP2003019390A (ja) 洗濯機
JP3715262B2 (ja) 熱水洗濯機
JP2002239292A (ja) 洗濯機のための除菌用具
JP2002177690A (ja) 洗濯機
JP4435100B2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