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9060B1 - 정착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정착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09060B1 KR100409060B1 KR10-2001-0014861A KR20010014861A KR100409060B1 KR 100409060 B1 KR100409060 B1 KR 100409060B1 KR 20010014861 A KR20010014861 A KR 20010014861A KR 100409060 B1 KR100409060 B1 KR 1004090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per
- sheet
- fixing
- discharged
- sheet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03G15/2028—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with means for handling the copy material in the fixing nip, e.g. introduction guides, stripping mea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6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combined with press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Pile Receiver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말린 용지에 의해 용지 배출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용지 받이(7)위에 이미 배출되어 있는 용지(P)가 말리어도 시이트 부재(10)의 하부(10b)에 있어서의 단부(10c)가 용지(P)의 위쪽이 다음으로 배출되는 용지(P1)의 선단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용지(P)를 누른다. 또한, 시이트 부재(10)의 하부(10b)가 용지 배출 롤러(4)와 용지 배출 대향 롤러(5)의 이송력을 받아서 배출되는 다음의 용지(P1)의 선단에 의해 이동하도록 휘어 배출되는 용지(P1)의 용지 받이(7)로의 배출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 있어서, 토너 화상의 정착을 위하여 사용되는 정착 장치, 이러한 정착 장치를 이용하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장치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종래의 정착 장치 부분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1은 내부에 히터(2)가 설치되는 가열 롤러, 3은 가열 롤러(1)에 접촉하는 가압 롤러, 4는 용지 배출 롤러, 5는 가압판(6)의 부여 힘을 받아 용지 배출 롤러(4)에 접촉하는 용지 배출 대향 롤러, 7은 배출된 용지(P)를 받는 용지 받이이다.
도 4에 있어서,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도시하지 않는 감광체로부터 토너 화상이 전사된 용지(P)는 가열 롤러(1)와 가압 롤러(3)의 닙부에 있어서 가열 가압을 받아 화상이 정착되고, 용지 배출 롤러(4)와 용지 배출 대향 롤러(5)에 의해 용지 받이(7)로 배출된다.
상기 종래의 정착 장치에 있어서, 가열 롤러(1)와 가압 롤러(3)에 의한 정착 처리를 받은 용지(P)는 열을 받아 말리는 경우가 있는데, 용지 종류 또는 주위 온도에 의해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 방향(화살표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양측이 상승 하여 말리는 경우가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말린 용지(P)가 용지 받이(7)에 배출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도 6 및 도 7의 설명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의 용지(P1)가 용지 받이(7)로 배출되면, 말린 상태에서 용지 받이(7)위에 있는 용지(P)의 후단이 다음으로 배출되는 용지(P1)의 선단에 의해 밀려 용지 받이(7)로부터 밀려나오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적재 상태가 나빠지거나, 용지 받이(7)로 배출된 용지가 손상을 받거나 분실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종래에는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4-298450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용지에 불안정함을 초래시키지 않고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용지 배출 장치의 구성이 공지되어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말린 상태로 용지 받이(7)위에 있는 용지(P)의 후단이 다음으로 배출되는 용지(P1)의 선단에 의해 밀려 용지 받이(7)로부터 밀려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말린 용지에 의해 상기 종래와 같은 용지 배출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착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착 장치 부분을 나타낸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이트 부재의 고정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3은 도 1의 정착 장치 부분의 평면도.
도 4는 종래의 정착 장치 부분을 나타낸 개략 구성도.
도 5는 용지 말림의 설명도.
도 6은 종래의 정착후 용지 배출 상태의 설명도.
도 7은 종래의 말림이 생긴 용지를 다음으로 배출되는 용지가 밀어내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가열 롤러
2 히터
3 가압 롤러
4 용지 배출 롤러
5 용지 배출 대향 롤러
7 용지 받이
10 시이트 부재
10b 시이트 부재에 있어서의 하부
10c 시이트 부재에 있어서의 하부의 단부
11 하우징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은 가열 롤러와, 이 가열 롤러에 압접하는 가압 롤러와, 이 가압 롤러와 가열 롤러간의 닙부를 통하여 송출되는 용지를 용지 받이 부재로 배출하는 용지 배출 롤러를 구비한 정착 장치에 있어서, 용지 받이 부재 위에 이미 배출되어 있는 용지의 위쪽을 상기 용지 받이 롤러에 의해 배출되는 용지의 선단보다 아래쪽으로 내리 누르는 동시에 상기 용지 배출 롤러의 이송력을 받아 배출되는 용지의 선단에 의해 이동되어, 그 배출되는 용지가 상기 용지 받이 부재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요성의 시이트 부재를 설치한 것이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나중에 배출되는 용지의 선단으로부터 아래 위치에 이미 배출되어 있는 용지의 위쪽이 눌려 있으므로, 나중에 배출되는 용지에 의해 이미 배출되어 있는 용지가 밀려나오는 일이 없게 되어 적재 불량이 초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 부재를 이 시이트 부재의 선단부가 용지의 배출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의 양단부에 맞닿도록 설치한 것이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용지의 말린 부분을 효과적으로 누르는 동시에 시이트 부재를 배출로에 부분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용지 배출 특성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3, 4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한 정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 부재는 대략 100℃에서 열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시이트이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시이트 부재가 정착 처리에 있어서 용지에 잔류하는 열의 영향을 받아 변형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있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 2, 3 또는 4의 정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 부재는 PET 수지로 이루어지고, 그 두께가 0.02 mm ∼ 0.05 mm이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시이트 부재가 나중에 배출되는 용지에 의해 용이하게 휘어, 나중에 배출되는 용지의 배출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다.
청구항 6, 7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 2, 3, 4 또는 5에 기재한 정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 부재는 PET 수지로 이루어지며,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의 자유단이 상기 용지에 대이는 구성으로, 그 자유단의 길이가 20 mm ∼ 60 mm이고, 이러한 구성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의 용지 배출 특성, 적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8, 9, 10,11에 기재한 발명은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용지에 전사시키고, 토너 화상이 전사된 용지에 대하여 가열, 가압하여 화상을 정착시켜 배출시키는 정착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착 장치로서 제1항 내지 제7항의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정착 장치를 설치한 것이고, 이러한 구성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의 용지 배출 특성, 적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최적한 실시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착 장치 부분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착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 4에 나타내는 정착 장치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1은 내부에 히터(2)가 설치된 가열 롤러, 3은 가열 롤러(1)에 접촉하는 가압 롤러, 4는 용지 배출 롤러, 5는 가압판(6)의 부여 힘을 받아 용지 배출 롤러(4)에 접촉하는 용지 배출 대향 롤러, 7은 배출된 용지(P)를 받는 용지 받이이다.
나아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지 배출 롤러(4)에 있어서의 용지 배출 방향의 하류측 근처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요성의 시이트 부재(10)를 드리운 구성이 도 4에 나타낸 정착 장치의 구성과는 상이하다.
시이트 부재(1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착 장치의 하우징(11)에 상단부(10a)가 접착 등의 적당한 방법에 의해 고정되고, 하부(10b)가 자유단으로서 용지 배출 롤러(4)에 있어서의 용지 배출 방향의 하류측 근처까지 드리우고, 시이트 부재(10)의 하부(10b)에 있어서의 단부(10c)가 용지 배출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있는 용지 배출 롤러(4)와 용지 배출 대향 롤러(5)와의 닙부보다도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나아가 시이트 부재(10)는 도 3에 나타낸 평면도와 같이, 정형 용지(P)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시이트 부재(10)를 배치하였으므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지 받이(7)위에 이미 배출되어 있는 용지(P)가 말려 있어도,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이트 부재(10)의 하부(10b)에 있어서의 단부(10c)가 다음으로 배출되는 용지(P1)의 선단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용지(P)의 위쪽을 누르는 동시에 시이트 부재(10)의 하부(10b)가 용지 배출 롤러(4)와 용지 배출 대향 롤러(5)의 이송력을 받아 배출되는 다음의 용지(P1) 선단에 의해 이동하도록 휘어(도 1의 이점 쇄선 참조) 배출되는 용지(P1)의 용지 받이(7)로의 배출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도 6, 도 7에 나타낸 종래예와 같이, 말린 상태로 용지 받이(7)위에 있는 용지(P)의 후단이 다음으로 배출되는 용지(P1)의 선단에 의해 밀려 용지 받이(7)로부터 밀려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시이트 부재(10)로서는 정착 처리에 있어서 용지에 잔류하는 열의 영향을 받아 변형하지 않도록 가요성을 구비함과 동시에 100℃정도에서는 열 변형이 초래되지 않는 특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시이트를 채용할 수 있고, 내열성 및 비용의 점을 고려하면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수지가 바람직하다.
시이트 부재(10)의 재료로서 PET 수지를 이용한 경우, 배출되는 용지 선단에 의해 용이하게 휘어 용지의 배출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시이트 부재(10)의 두께를 0.02 mm ∼ 0.05 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두께가 0.05 mm보다 두꺼우면 시이트 부재(10)가 너무 단단해져 도 1을 참조하면, 배출되어 선단이 맞대이는 용지(P1)에 의해 시이트 부재(10)가 휘어들지 않아 시이트 부재(10)가 장벽으로 되어 용지(P1)의 배출 방향이 아래로 되고, 이미 배출되어 있는 용지(P)의 후단을 용지(P1)의 선단이 밀게 된다. 또한 두께가 0.02 mm보다도 얇으면 시이트 부재(10)가 너무 연하여 용지 받이(7)위에 이미 배출되어 있는 용지(P)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설정 위치까지 밀어내릴 수 없어 구부러들게 된다.
나아가, 시이트 부재(10)의 재료로서 PET 수지를 이용한 경우, 배출되는 용지 선단에 의해 용이하게 휘어 용지 배출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시이트 부재(10)에 있어서의 자유단인 하부(10b)의 길이(도 2에 있어서 L)를 20 mm ∼60 m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길이가 20 mm이하이면, 시이트 부재(10)가 너무 단단하여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배출되어 선단이 맞대이는 용지(P1)에 의해 시이트 부재(10)가 휘어들지 않아 시이트 부재(10)가 장벽으로 되어 용지(P1)의 배출 방향이 아래로 되고, 용지(P1)의 선단이 이미 배출되어 있는 용지(P)의 후단을 밀게 된다. 또한 길이가 60 mm보다 이상이면, 시이트 부재(10)가 너무 연하여 용지 받이(7)위에 이미 배출되어 있는 용지(P)를 도 1에 나타낸 바와같은 설정 위치까지 밀어내릴 수 없어 구부러들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정착 장치는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부에 사용되고,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 화상이 전사된 용지에 대하여 가열, 가압하여 화상 정착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정착 장치를 정착 후의 용지를 정착 장치 근처에 배치된 용지 배출 롤러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성의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장치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설치함으로써 그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의 용지 배출 특성, 적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착 장치의 구성에 의하면, 시이트 부재의 설치에 의해 나중에 배출되는 용지의 선단보다 아래 위치로 이미 배출되어 있는 용지의 위쪽이 눌리워 있기 때문에 상기 이미 배출되어 있는 용지에 말림이 생겨도 나중에 배출되는 용지에 의해 밀려나가지 않으므로 종래와 같이 적재 불량, 용지의 손상, 용지의 분실 등 문제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으로 정착 후의 용지 배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1)
- 가열 롤러와, 이 가열 롤러에 압접하는 가압 롤러와, 이 가압 롤러와 가열 롤러간의 닙부를 통하여 송출되는 용지를 용지 받이 부재로 배출하는 용지 배출 롤러를 구비한 정착 장치에 있어서,상기 용지 받이 부재 위에 이미 배출되어 있는 용지의 위쪽을 상기 용지 받이 롤러에 의해 배출되는 용지의 선단보다 아래쪽으로 내리 누르는 동시에 상기 용지 배출 롤러의 이송력을 받아 배출되는 용지의 선단에 의해 이동되어, 그 배출되는 용지가 상기 용지 받이 부재에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요성의 시이트 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 부재를 이 시이트 부재의 선단부가 용지의 배출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의 양단부에 닿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 부재는 대략 100℃에서 열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시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 부재는 대략 100℃에서 열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시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 장치.
- 제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 부재는 PET 수지로 이루어지고, 그 두께가 0.02 mm ∼ 0.0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 장치.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 부재는 PET 수지로 이루어지고,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의 자유단이 상기 용지에 닿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그 자유단의 길이가 20 mm ∼ 6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 부재는 PET 수지로 이루어지고,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의 자유단이 상기 용지에 닿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그 자유단의 길이가 20 mm ∼ 6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 장치.
-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용지에 전사시키고, 토너 화상이 전사된 용지에 대하여 가열, 가압하여 화상을 정착시켜 배출하는 정착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착 장치로서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정착 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용지에 전사시키고, 토너 화상이 전사된 용지에 대하여 가열, 가압하여 화상을 정착시켜 배출하는 정착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착 장치로서 제5항에 기재한 정착 장치를 설치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용지에 전사시키고, 토너 화상이 전사된 용지에 대하여 가열, 가압하여 화상을 정착시켜 배출하는 정착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착 장치로서 제6항에 기재한 정착 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용지에 전사시키고, 토너 화상이 전사된 용지에 대하여 가열, 가압하여 화상을 정착시켜 배출하는 정착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착 장치로서 제7항에 기재한 정착 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0088048A JP2001270642A (ja) | 2000-03-28 | 2000-03-28 |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JP2000-088048 | 2000-03-2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100833A KR20010100833A (ko) | 2001-11-14 |
KR100409060B1 true KR100409060B1 (ko) | 2003-12-11 |
Family
ID=18603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14861A KR100409060B1 (ko) | 2000-03-28 | 2001-03-22 | 정착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2001270642A (ko) |
KR (1) | KR100409060B1 (ko) |
CN (1) | CN1144102C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30407A (ja) * | 2004-07-13 | 2006-02-02 | Kyocera Mita Corp | 画像形成装置 |
JP2007246256A (ja) * | 2006-03-17 | 2007-09-27 | Kyocera Mita Corp | 画像形成装置 |
JP5169642B2 (ja) * | 2008-05-28 | 2013-03-27 | 株式会社リコー | 排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2010143647A (ja) | 2008-12-16 | 2010-07-01 | Kyocera Mita Corp | 画像形成装置 |
JP5298049B2 (ja) | 2009-03-26 | 2013-09-25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5229350B2 (ja) | 2011-04-27 | 2013-07-03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6969305B2 (ja) * | 2017-11-14 | 2021-11-24 | 沖電気工業株式会社 | 発券処理装置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147343U (ko) * | 1979-04-07 | 1980-10-23 | ||
JPS6123051A (ja) * | 1984-07-09 | 1986-01-31 | Fuji Xerox Co Ltd | 原稿送り出し装置 |
JPH09240900A (ja) * | 1996-03-12 | 1997-09-16 | Mita Ind Co Ltd | シート排出装置 |
JPH09255201A (ja) * | 1996-03-26 | 1997-09-30 | Canon Inc | 画像形成装置 |
JPH09300753A (ja) * | 1996-05-15 | 1997-11-25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プリンタ装置 |
JPH10291723A (ja) * | 1997-04-22 | 1998-11-04 | Ricoh Co Ltd | 用紙後処理装置 |
-
2000
- 2000-03-28 JP JP2000088048A patent/JP2001270642A/ja active Pending
-
2001
- 2001-03-22 KR KR10-2001-0014861A patent/KR10040906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1-03-27 CN CNB011120398A patent/CN1144102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147343U (ko) * | 1979-04-07 | 1980-10-23 | ||
JPS6123051A (ja) * | 1984-07-09 | 1986-01-31 | Fuji Xerox Co Ltd | 原稿送り出し装置 |
JPH09240900A (ja) * | 1996-03-12 | 1997-09-16 | Mita Ind Co Ltd | シート排出装置 |
JPH09255201A (ja) * | 1996-03-26 | 1997-09-30 | Canon Inc | 画像形成装置 |
JPH09300753A (ja) * | 1996-05-15 | 1997-11-25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プリンタ装置 |
JPH10291723A (ja) * | 1997-04-22 | 1998-11-04 | Ricoh Co Ltd | 用紙後処理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319786A (zh) | 2001-10-31 |
KR20010100833A (ko) | 2001-11-14 |
CN1144102C (zh) | 2004-03-31 |
JP2001270642A (ja) | 2001-10-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298214B1 (en) | Fixing apparatus having sheet guide | |
US5517292A (en) | Fusing apparatus having a paper separating unit | |
US7671300B2 (en) | Fuser assembly having heater element with spaced-apart features | |
CN102452571A (zh) | 排出装置和图像形成装置 | |
US6318716B1 (en) | Sheet separating apparatus | |
KR100409060B1 (ko) | 정착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
US6731902B2 (en) |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 |
US6788916B2 (en) |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 |
JP2008287020A (ja) | 定着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
JPH063900A (ja) | 画像形成装置 | |
US20230173826A1 (en) | Ink jet recording apparatus | |
JP2001270642A5 (ko) | ||
CN111552162A (zh) | 加热装置 | |
US7035579B2 (en) | Sheet separating apparatus for a fusing unit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 |
JPH07248698A (ja) | 定着装置 | |
US20070025744A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sensor actuator to which toner does not stick | |
JP2958039B2 (ja) | ヒートロール定着装置のジャム防止機構 | |
JP3770160B2 (ja) | 紙搬送ガイド | |
JP4352845B2 (ja) | 定着装置 | |
JP2937868B2 (ja) | 電子写真装置 | |
JP3543841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2521725Y2 (ja) | 定着装置 | |
JPH09171317A (ja) | 定着装置 | |
JPH0456980A (ja) | 印刷装置 | |
JP3668232B2 (ja) | トナー画像定着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122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