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8456B1 - 디스플레이판넬용유리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판넬용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8456B1
KR100408456B1 KR1019960005512A KR19960005512A KR100408456B1 KR 100408456 B1 KR100408456 B1 KR 100408456B1 KR 1019960005512 A KR1019960005512 A KR 1019960005512A KR 19960005512 A KR19960005512 A KR 19960005512A KR 100408456 B1 KR100408456 B1 KR 100408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weight
panel display
flat panel
strain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5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4109A (ko
Inventor
토드 코올리 제프레이
미첼 모파트 돈네
Original Assignee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60034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4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8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84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89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 C03C3/091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83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 C03C3/085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containing an oxide of a divalent metal
    • C03C3/087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containing an oxide of a divalent metal containing calcium oxide, e.g. common sheet or container gla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화물 기준으로 SiO240∼57중량%, Al2O32.0∼11중량%, CaO 1∼16중량%, SrO 8∼21.5중량%, BaO 14∼31.5중량%, MgO 0∼3중량%, 및 B2O30∼4중량%으로 이루어지는 조성을 갖는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유리에 관한 것으로, 상기 유리는 20MPa (200poises)의 점도에서 1450℃이하의 온도, 60∼90×10-7/℃의 열팽창계수 및 변형점이 630℃이상을 갖는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판넬용 유리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요구되는 물리, 화학적 성질을 나타내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glass) 판넬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lasma display)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평판넬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관심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지금까지, 상업적인 활용은 랩탑(laptop) 컴퓨터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작은 단위에 집중되어 있었다. 이러한 용도로 인하여,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라 함) 장치는 가장 관심을 집중시켰다.
이러한 관심의 증가는 정보와 오락 분야에 사용될 수 있는 대규모 단위에 이동되고 있다. LCD는 제조시 정밀한 정확성을 요구하는 경향이 있어 대규모 스크린에까지 빠르게 적용되지는 않았다. 따라서, 타산성이 점차 대규모 단위 쪽으로 전환됨에 따라, 관심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체 타입(Type)에 맞춰지고 있다.
이러한 대체물중 하나는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이것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에서,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로 대치하여 이격된 관계에 있는 두개의 절연 유리 기판으로 구체화 된다. 어떤 기판은 기판 내측에 형성된 양전극을 갖는다. 다른 기판은 기판 내측에 형성된 음전극을 갖는다. 장벽(barriers)은 크로스 토크(cross talk)를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장치의 전극 사이에 형성된다.
기판은 서로 병립하여 고정된 관계로 유지된다. 전극은 잘 배치되고, 기판은 잘 배열되며, 전극 절편은 서로 직면하며, 화상 요소에 상당하다. 전극의 주변 및 사이는 네온, 아르곤 또는 헬륨과 같은 불활성 기체로 덮혀 있다. 약 100V까지의 전압이 전극 세트(set) 사이에 작용될때, 기체는 글로우(glow) 방전을 겪는다. 이와 같은 과정은 네온 글로우 방전 원리로 널리 공지된 원리에 기초한다.
방전에 의하여 발생된 빛은 디스플레이를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전극은 방전의 영향하에서 원적색, 초록 및 파란색을 발생하는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다른 형태에 있어서, 형광인은 전극에 피복되어 있고, 방전의 영향을 받아 요구한 색을 형성한다.
전극은 서로 직각을 이루는 스트립(strip)에 적용될 수 있다. 이들은 사진석판 공정에 의해 인쇄되거나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트(dot)는 필름을 인쇄 또는 적용하여 될 수 있으며, 사진 석판 기술에 의해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은 관련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다.
이제까지, 방사성 표시 장치에 사용된 절연 기판은 소오다 석회 유리판이었다. 소오다 석회 유리판은 높은 열팽창 계수(a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이하 "CTE"라 함)를 제공하기 때문에, 지금까지 이용되어 오고 있다. 60∼90×10-7/℃(0∼300℃) 정도의 높은 CTE는 디스플레이 장치내의 전극 및 장벽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유리 프리트(frit)의 팽창을 조절하는데 필요하다.
예를 들어, 전극과 장벽은 페이스트(paste)로서 적용되고 건조될 수 있다. 상기 페이스트는 금속 분말, 저융점 유리 프리트 원료, 및 용매와 바인더로서 유기물과 같은 전도성 화합물을 포함할 것이다. 건조된 페이스트는 연소되어 잔류 유기물을 제거하고, 유리 프리트를 기판에 부착시키기 위해 유리를 연화시킨다.
소오다 석회 유리가 필요한 높은 CTE를 갖는 반면에, 낮은 변형점 및 저항성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소오다 석회 기판은 열 공정중에 수축되고 및/또는 뒤틀림이 발생한다. 이러한 공정은 전극의 소성 및/또는 두개 기판의 밀봉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높은 소오다 함량은 디스플레이 전자(예, 전극)를 감소시키는 소듐 이온 이동을 유도한다.
따라서, 60∼90×10-7/℃ 범위의 CTE와 630℃이상의 변형점을 갖는 유리 기판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시에, 기판 조성에서 알칼리의 사용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한테, 이는 이들 이온이 디스플레이의 수명을 제한할뿐만 아니라 유리 변형점을 낮추기 때문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리가 플로트(float)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여러 조건에 적당한 유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한된 알칼리 금속이온을 갖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에 관한 것으로, 상기 유리의 조성은 산화물 기준으로 SiO240∼57중량%, Al2O32.0∼12중량%, CaO 1∼16중량%, SrO 8∼21.5중량%, BaO 14∼31중량%, MgO 0∼3중량%, 및 B2O30∼4중량%으로 이루어지고, 20MPa(200 poises)의 점도에서 1500℃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45℃이하의 온도, 60∼90×10-7/℃의 CTE 및 630℃이상의 변형점을 갖는다. 상기 유리는 약 5중량% 이하의 총 R2O 함량(여기서 R은 Li, Na 또는 K)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명은 알칼리 금속 이온이 없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 기판을 갖는 디스플레이 판넬에 관한 것으로, 상기 유리의 조성은 산화물 기준으로 SiO240∼57중량%, Al2O32.0∼11중량%, CaO 1∼16중량%, SrO 8∼21.5중량%, BaO 14∼31.5중량%, MgO 0∼3중량%, 및 B2O30-4중량%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고, 20MPa(200 poises)의 점도에서 1450℃이하의 온도, 60∼90×10-7/℃의 CTE 및 630℃이상의 변형점을 갖는다.
첨부된 제 1도는 부호 10으로 표시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판넬의 기본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판넬(10)은 전면 기판(11)과 후면 기판(12)로 이루어진다. 양전극(13)은 전면 기판(11)의 내측 표면에 형성되고, 음전극(14)은 후면 기판(12) 내측면에 형성된다.
립(Rib, 15)은 기판(11 및 12)들을 이격시키고, 또한, 분리 장벽으로서 역할한다. 분리 장벽은 마찬가지로 다른 공지의 형태와 같은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기판(11과 12)은 립(15)보다 주변 밀봉 스트립에 의해 멀리 이격될 수 있다.
제 2도는 횡단면의 부분 측입면도이다. 크게 확대된 형태에서 있어서, 디스플레이 판넬(10)내에 원소 또는 셀(20)이 도시되어 있다. 기판(11과 12)은 서로 결합하여 밀봉된 판넬을 형성한다. 그 다음, 기판의 사이 공간은 공지의 방법으로 배기되고 불활성 기체로 채워진다.
본 발명은 11 및 12와 같은 절연 기판 제조에 적용되는 개량된 유리에 적용된다. 특히, 상기 유리는 상기 기판이 요구하는 여러 성질을 갖는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유리는 플로트 제조 공정에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용융 과정에서 연성을 부여하고, 특히 플로트 공정으로 유리를 제조하기 위해, 유리는 용융 특성에 관련된 몇가지 특특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약 1500℃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450℃이하의 용융 온도(즉, 상기 온도에서 점도가 약 20 MPa-s(200 poises))가 여러 플로트 공정에 바람직하다. 좀더 중요하게는, 플로트 유리 제조 공정을 통해 유리를 제조하기 위하여, 유리가 액체화 온도에서 점도가 50MPa-s(500 poises) 이상, 좀더 바람직하게는 100 MPa-s(1000 poises) 이상,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250 MPa-s(2500 poises) 이상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유리는 60∼90×10-7/℃, 좀더 바람직하게는65∼85×10-7/℃,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79∼85×10-7/℃ 범위의 CTE를 갖는다.
이러한 CTE에 대한 요구는 전극과 밀봉 공정에 사용된 유리프리트와의 CTE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리는 630℃이상, 좀더 바람직하게는 645℃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655℃이상의 변형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높은 변형점은 후속 열공정중에서 압축/수축에 의한 판넬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런 공정은 전극의 소성, 판넬의 밀봉 및 코팅 적용 공정이 포함된다. 가장 바람직한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유리는 바람직한 CTE 및 변형점의 조합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가장 바람직한 유리는 645℃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655℃이상의 변형점과 함께 79∼85×10-7/℃사이의 CTE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알칼리 금속 산화물은 필수적으로 1.0중량%이하의 수준이다. 이렇게 낮은 알칼리 금속 수준을 갖는 유리는 직류(D/C)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판넬의 기판으로써 특히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알칼리 금속은 다른 예, 예를 들어 교류원 플라스마 디스플레이에 활용될 수 있다. 한편으로는, 총 알칼리 수준은 약 5중량%이하인 것도 바람직하다.
사용된 유리 조성에는 알카리 토금속 산화물인 BaO, SrO 및 CaO의 실질적인 양이 활용된다. 이중 가장 많은 양이온인 BaO, SrO, CaO, MgO의 순에 따라 CTE값을 증가시키는데 가장 큰 효과를 갖는다. MgO는 3%까지 허용되지만, 일반적으로 유리내에서 상분리의 원인이 되고, CTE가 급격히 낮아지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유리에는 BaO 14∼31.5중량%, SrO 8∼21.5중량%, CaO1∼16중량% 및 MgO 0∼3중량%가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또한 상기 유리는 BaO, SrO, MgO 및 CaO 성분의 총량이 약 33∼55중량%, 좀더 바람직하게는 35∼47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하 유리의 화학적 내구성은 95℃에서 20분동안 5% 염산용액에 유리 시료를 침지시켰을때, 발생되는 중량 손실(mg/㎠)로서 결정되어 진다. 일반적으로 화학적 내구성은 유리 모디파이어에 대한 유리 형성체와 중간체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개선된다. 그러나, 화학적 내구성과 용융능에 사이의 중간물을 유도하는 것이 종종 필요하다. 본 발명의 유리는 상술한 바와 같이, 5% 염산용액에 침지한 후 5.0mg/㎠이하, 좀더 바람직하게는 2.0 mg/㎠,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1.0mg/㎠의 중량 손실이 바람직하다. 하기의 산화물 범위(중량%)내에 조성을 갖는 유리는 5.0 mg/㎠ 이하의 중량 손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유리는 초기 유리 형성체로서 SiO240∼57중량%를 사용용한다. 일반적으로 SiO2함량의 증가는 내구성을 향상시키나, 용융점을 증가시킨다. 또한, 상기 유리는 2.0∼11중량%의 Al2O3를 함유한다. Al2O3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리 내구성은 증가하나, CTE는 감소하고 용융점은 증가한다. 산화 붕소(B2O3)는 용융 온도를 감소시키지만, 일반적으로 내구성, 변형점 및 CTE에 유해하다. 따라서, B2O3는 4 중량%까지, 좀더 바람직하게는 2 중량%까지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제한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하기 예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표 1은 유리 배치(Batch)로 부터 산화물 기준으로 계산된(중량%) 유리 조성을 기재한 것이다. 상기 예의 유리는 상대적으로 동질의 유리 조성을 유도하기 위해 일정 온도와 시간, 예로 약 6∼12 시간 동안 약 1450∼1550℃의 온도조건에서 각 유리의 조성물의 1000 그램 배치를 용융시켜 제조되었다. 또한, 각 유리 조성을 대한 적절한 유리 특성을 기재하였다. 하기 표 1에는 0∼300℃의 온도 범위에서의 선형 열팽창 계수(CTE×10-7/℃); ℃로 표시되는 변형점; 액체화에서의 점도(Liq. Visc. MPa-s/poises); 2300MPa-s의 점도에서 ℃로 표시되는 온도(Visc. Temp); 용융온도(20MPa-s에서의 용융온도); 95℃에서 20분동안 5% 염산용액에 노출된후 중량 손실(mg/㎠)을 기재하였다.
표 1
실시예 17에 나타난 조성과 특성을 갖는 유리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즉 현재 발명 목적에 대한 가장 잘 조합된 특성을 제공한다.
제 1도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판넬의 기본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제 2도는 제 1도에서의 한 요소에 대한 횡단면의 부분 측입면도.

Claims (14)

  1. 산화물 기준으로 SiO240-57중량%, Al2O32.0-12중량%, CaO 1-16중량%, SrO 8-21.5중량%, BaO 14-31.5중량%, MgO 0-3중량% 및 B2O30-4중량%의 조성을 가지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를 함유하며, 0-300℃의 온도범위에서 60-90 × 10-7/℃의 선형 열팽창계수 및 630℃이상의 변형점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는 산화물 기준으로 SiO241-52중량%, Al2O32-12중량%, CaO 4-16중량%, SrO 8-19중량%, BaO 16-29중량%, MgO 0-3중량% 및 B2O30-4중량%의 조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는 플로트 공법으로 제조되며, 약 50MPa ·s(500 poises)이상의 액상점도, 79-85 ×10-7/℃의 선형 열팽창계수 및 645 ℃이상의 변형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가 665℃이상의 변형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의 B2O3함량은 0-1.5 중량%이고, 상기 알칼리 금속 함량은 0-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의 MgO 함량은 0-1.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7.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유리를 포함하는 편평한 투명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는 0-10 중량%의 알칼리 금속 함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가 95℃에서 20분 동안 5% 염산에 담지시켰을 경우, 유리는 5.0 mg/㎠ 미만의 중량 손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유리를 포함하는 편평한 투명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원 방사성 평판넬 디스플레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는 0-1.0 중량%의 알칼리 금속함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원 방사성 평판넬 디스플레이.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가 95℃에서 20분 동안 5% 염산에 담지시켰을 경우, 유리는 5.0 mg/㎠ 미만의 중량 손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원 방사성 평판넬 디스플레이.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는 플로트 공법으로 제조되며, 79-85 ×10-7/℃의 선형 열팽창계수 및 645 ℃이상의 변형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는 665 ℃이상의 변형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KR1019960005512A 1995-03-02 1996-03-02 디스플레이판넬용유리 KR1004084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9760695A 1995-03-02 1995-03-02
US08/397606 1995-03-02
US08/397,606 1995-03-02
US08/593097 1996-02-14
US08/593,097 1996-02-14
US08/593,097 US5741746A (en) 1995-03-02 1996-02-14 Glasses for display pane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109A KR960034109A (ko) 1996-10-22
KR100408456B1 true KR100408456B1 (ko) 2004-03-10

Family

ID=27015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5512A KR100408456B1 (ko) 1995-03-02 1996-03-02 디스플레이판넬용유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741746A (ko)
EP (1) EP0729922B1 (ko)
JP (1) JP4120895B2 (ko)
KR (1) KR1004084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0168A (en) * 1996-12-17 2000-05-09 Corning Incorporated Glasses for display panels and photovoltaic devices
CN1123040C (zh) * 1996-12-17 2003-10-01 东丽株式会社 等离子显示器的制造方法和制造装置
DE19721738C1 (de) * 1997-05-24 1998-11-05 Schott Glas Aluminosilicatglas für flache Anzeigevorrichtungen und Verwendungen
DE19942259C1 (de) 1999-09-04 2001-05-17 Schott Glas Erdalkalialuminoborosilicatglas und dessen Verwendungen
WO2004008424A1 (ja) * 2002-07-16 2004-01-22 Tdk Corporation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用基板および薄膜el素子
JP2006251516A (ja) * 2005-03-11 2006-09-21 Pioneer Electronic Corp 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マル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WO2007095115A1 (en) 2006-02-10 2007-08-23 Corning Incorporated Glass compositions having high thermal and chemical stability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US8007913B2 (en) * 2006-02-10 2011-08-30 Corning Incorporated Laminated glass 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US8713967B2 (en) * 2008-11-21 2014-05-06 Corning Incorporated Stable glass sheet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2011063464A (ja) * 2009-09-16 2011-03-31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用ガラス板
JP2011088794A (ja) * 2009-10-26 2011-05-06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太陽電池用ガラス板
JP5914453B2 (ja) * 2012-12-28 2016-05-11 AvanStrate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用ガラス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40023683A (ko) 2015-10-02 2024-02-22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유리 기판, 적층 기판 및 적층체
CN109715572B (zh) 2016-09-16 2022-06-14 Agc株式会社 玻璃基板及层叠基板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596932B2 (de) * 1966-12-29 1976-06-16 N.V. Philips' Gloeilampenfabrieken, Eindhoven (Niederlande) Alkalimetalldampfbestaendiges glas auf der basis sio tief 2 -al tief 2 - o tief 3 -cao, insbesondere verwendbar als huelle fuer eine natriumdampfentladungslampe
US3927238A (en) * 1973-05-07 1975-12-16 Bell Telephone Labor Inc Lead-free glaze for high density alumina
US3942992A (en) * 1974-11-18 1976-03-09 Corning Glass Works Chemically resistant silicate glass
US4012263A (en) * 1975-02-10 1977-03-15 Owens-Illinois, Inc. Alkali-free glasses
US3978362A (en) * 1975-08-07 1976-08-31 Corning Glass Works Glass envelope for tungsten-bromine lamp
JPS5263663A (en) * 1975-11-19 1977-05-26 Fujitsu Ltd Gas electric discharge panel
US4060423A (en) * 1976-07-27 1977-11-29 General Electric Company High-temperature glass composition
US4255198A (en) * 1979-11-09 1981-03-10 Corning Glass Works Glass for sealing to molybdenum metal
US4634634A (en) * 1981-10-19 1987-01-06 Ngk Spark Plug Co., Ltd. Glaze ceramic base
US4746578A (en) * 1984-01-09 1988-05-24 Ngk Spark Plug Co., Ltd. Glaze compositions for ceramic substrates
US4607016A (en) * 1985-06-07 1986-08-19 Corning Glass Works Glass for use as tungsten-halogen lamp envelopes
US4693987A (en) * 1986-09-08 1987-09-15 Corning Glass Works Molybdenum sealing glasses
JPS6374935A (ja) * 1986-09-17 1988-04-05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耐薬品性に優れたガラス基板
US4737685A (en) * 1986-11-17 1988-04-12 General Electric Company Seal glass composition
US4824808A (en) * 1987-11-09 1989-04-25 Corning Glass Works Substrate glass for liquid crystal displays
US5209688A (en) * 1988-12-19 1993-05-11 Narumi China Corporation Plasma display panel
JP2633389B2 (ja) * 1990-04-02 1997-07-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ガス放電型表示パネル
JPH04175242A (ja) * 1990-11-06 1992-06-23 Asahi Glass Co Ltd 無アルカリガラス
JP3144823B2 (ja) * 1991-04-26 2001-03-12 旭硝子株式会社 無アルカリガラス
US5116789A (en) * 1991-08-12 1992-05-26 Corning Incorporated Strontium aluminosilicate glasses for flat panel displays
US5116788A (en) * 1991-08-12 1992-05-26 Corning Incorporated Alkaline earth aluminoborosilicate glasses for flat panel displays
KR940006301B1 (ko) * 1991-10-29 1994-07-14 삼성전관 주식회사 프라즈마 어드레스 방식의 액정표시소자와 그 제조방법
US5559060A (en) * 1992-05-22 1996-09-24 Corning Incorporated Glass for laminated glass articles
US5326730A (en) * 1993-01-22 1994-07-05 Corning Incorporated Barium aluminosilicate glasses
US5508237A (en) * 1994-03-14 1996-04-16 Corning Incorporated Flat panel display
US5489558A (en) * 1994-03-14 1996-02-06 Corning Incorporated Glasses for flat panel display
US5459109A (en) * 1994-09-19 1995-10-17 Corning Incorporated Substrate glasses for plasma display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109A (ko) 1996-10-22
JP4120895B2 (ja) 2008-07-16
US5741746A (en) 1998-04-21
EP0729922A1 (en) 1996-09-04
EP0729922B1 (en) 1998-09-16
JPH08333133A (ja) 1996-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4153A (en) Glasses for display panels
US5631195A (en) Glass composition and substrate for plasma display
KR100408456B1 (ko) 디스플레이판넬용유리
US6162750A (en) Substrate glass and plasma display made by using the same
KR100538086B1 (ko) 형광램프용 텅스텐 밀봉 유리
US5459109A (en) Substrate glasses for plasma displays
US5854152A (en) Glasses for display panels
JPWO2006106660A1 (ja) ランプ用ガラス組成物、ランプ、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ランプ用ガラス組成物の製造方法
JP4045662B2 (ja) 耐熱性ガラス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H11310430A (ja) 基板として用いるためのガラス組成物
EP0853070A1 (en) Substrate glass and plasma display made by using the same
JP2005213132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ガラス基板
KR100238117B1 (ko) 프라즈마 영상표시판넬용 기판유리조성물
JPH11310432A (ja) 基板用ガラス組成物
JPH11310431A (ja) 基板用のガラス組成物
EP0850891B1 (en) Substrate glass and plasma display made by using the same
JPH11310429A (ja) 基板に用いるためのガラス組成物
JP4686849B2 (ja) 蛍光ランプ用タングステンシールガラス
KR100437139B1 (ko) 프라즈마영상표시판넬용기판유리조성물
KR100274375B1 (ko) 영상표시판넬용기판유리조성물
KR100394094B1 (ko) 프라즈마 영상 표시판넬용 기판유리조성물
KR100431727B1 (ko) 프라즈마영상표시판넬용기판유리조성물
JP2001213634A (ja) ディスプレイ基板用フロートガラス
KR20030010416A (ko) Ac-pdp용 투명 유전체 및 이의 제조 방법
JPH1040820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