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5795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5795B1
KR100405795B1 KR10-2001-0011893A KR20010011893A KR100405795B1 KR 100405795 B1 KR100405795 B1 KR 100405795B1 KR 20010011893 A KR20010011893 A KR 20010011893A KR 100405795 B1 KR100405795 B1 KR 100405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frame
refrigerator
timing belt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1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0724A (ko
Inventor
나카지마나루미
도노오카히데카즈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90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0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5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57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 F25D2317/0664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from the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4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convey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2Geometry probl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식품의 부하량의 차이에 관계없이 식품이 선반에 탑재된 상태에서도 작은 힘으로 무리없이 또 한쪽손으로 선반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중공형상을 이루는 선반 탑재용 프레임과 그 중공부를 이용해서 가장자리를 따르게 해서 타이밍벨트를 배치하고, 타이밍벨트를 회전운동시키도록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레버를 타이밍벨트와 연결고정시키고, 또 타이밍벨트의 회전운동선 상에 설치된 톱니바퀴를 구비하는 나사형 축을 프레임에 마련하고, 이것을 타이밍벨트와 연동시키고, 나사형 축과 맞물리는 나사구멍을 갖는 이동판이 냉장고 내벽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선반 탑재용 프레임을 레버의 이동에 따라서 상하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것에 의해, 식품의 부하량의 차이에 관계없이 식품이 선반에 탑재된 상태에서도 작은 힘으로 무리없이 또 한쪽손으로 선반위치의 조절이 가능한 선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를 얻을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내에 마련되고 자유로운 위치로 선반을 높이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선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에 있어서는 이 냉장고내에 넣는 식품이나 용기의 크기에 맞게 선반을 상하로 조절할 수 있는 선반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그래서, 종래부터 이러한 냉장고내의 선반장치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제2752300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은 것이 있다.
도 44는 종래의 선반장치를 갖는 냉장고의 종단면도, 도 45는 종래의 선반장치의 사시도, 도 46은 종래의 선반장치의 상세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냉장고내, (2)는 랙(rack), (3)은 선반 지지프레임, (4)는 피니언 기어(pinion gear), (5)는 선반 본체로서 선반판(5a)(쇄선부)와 선반 프레임(5b)를 갖고 있다. 선반판(5a)는 선반 프레임(5b)에 대해서 도 45의 A방향으로 슬라이드(slide)가능하게 되어 있다. (6)은 기어축, (7)은 스프링, (8)은 조절수단이다.
냉장고내(1)에는 랙(2)를 갖고 종형의 프레임체(frame body)를 구성하는 선반 지지프레임(3), 상기 랙(2)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4)를 지지부재를 거쳐서 갖는 선반 본체(5), 이 선반 본체(5)에 마련되고 Z형 강(鋼)을 거쳐서 피니언 기어(4)를 축지지하도록 이루어진 기어축(6), 이 기어축(6)의 외주면에 단단히 감김과 동시에 그의 한쪽끝이 피니언 기어(4)에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스프링(7) 및 이 스프링(7)을 압축하도록 이루어진 조절수단(8)을 구비하고 있다.
선반 지지프레임(3)의 랙(2)에 선반 본체(5)의 피니언 기어(4)를 맞물리게 한 상태에서는 선반 본체(5)의 자중에 의해서 스프링(7)이 그의 코일직경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인장되어 기어축(6)에 강고하게(단단히) 감기고, 피니언 기어(4)를 록해서(잠금상태로 해서) 선반 본체(5)를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키고 있다. 또, 선반 본체(5)의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조절수단(8)을 압압하는(쇄선부(8)) 것에 의해서 스프링(7)과 기어축(6)의 감기 고정력이 해제되어 선반 본체(5)를 위쪽방향(도 46의 B방향)이나 아래쪽방향(도 46의 C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 선반 본체(5)를 위쪽방향(도 46의 B방향)으로만 조절하는 경우에는 선반 본체(5)를 그대로 위쪽방향으로 들어올리면 좋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선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에서는 선반 본체(5)의 위치의 상하조절을 할 때, 조절수단(8)은 좌우 2개소에 있기 때문에 양손으로 동시에 조작하지 않으면 안되고, 조절수단(8)의 어느 한쪽이 선행해서 움직이기 쉽기 때문에 본체(5)의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조작이 곤란하고 신경을 쓰면서 하는 조작에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 조절수단(8)은 좌우 한쪽 1개소에서만 선반 본체(5)를 지지하기 때문에, 조립의 불균형에 의해 전후의 덜컹거림(rattle)이 발생하기 쉬워 선반 본체(5)의 안정성이 좋지 않다.
그리고, 조절수단(8)을 조작해서 록(lock)이 해제된 순간에 선반 본체(5)의 자중에 의해 단숨에 낙하할 우려가 있어 안전면에 있어서 불안하다.
또, 선반 본체(5)에 식품이 탑재된(얹힌) 상태에서의 부하량을 고려하면, 조절수단(8)의 조작을 하면서 선반 본체(5)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은 곤란한 작업이기도 하다.
또, 종래와 같은 복잡한 구조의 선반장치를 마련하는 경우, 부품이 덜컹거리거나 부상해 버려 조작성이 나뻤다.
또, 치수의 편차(불균일)에 의해 부품이 탈락할 우려가 있었다.
또, 움직이게 하는 동작에 대해서 저항력이 증가하여 조작성을 악화시키고있었다.
또, 의장적으로 좋은 것은 아니었다.
또, 조작성이 나뻤다.
또, 냉기를 차단하게 되어 버려 풍량을 올리지 않으면 앞쪽까지 냉기가 흐르지 않는 경우가 있어 냉각효율이 나뻤다.
또, 종래와 같은 복잡한 구조의 선반장치를 마련하는 경우, 브레이크현상을 발생시켜 순조로운(원활한) 움직임이 얻어지지 않았다.
또, 벨트의 톱니스킵(tooth skip)(톱니바퀴의 톱니와 벨트의 톱니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쉬웠다.
또, 식품 등의 부하의 넣는 방법에 따라서는 냉풍의 흐름을 저해하는 경우도 있어 균일하게 냉각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또, 레버의 손잡이형상은 단순한 각진 블럭형으로서 잡는 감촉이 나쁘고 힘도 가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식품의 부하량의 차이에 관계없이 식품이 선반에 탑재된 상태에서도 작은 힘으로 무리없이 또 한쪽손으로 선반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선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뢰성이 높음과 동시에 의장적으로도 우수한 냉장고를 얻을 수 있고, 또 고내(냉장고내)의 냉기의 흐름을 개선하여 냉각효율을 향상시켜 에너지 절약(성에너지)의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선반에 탑재되는 식품 등의 부하에 의한 브레이크현상이 극소하여 레버의 조작이 개선되고, 레버 조작에 가장 많이 부하가 걸리는 선반 상승과정에 있어서 이상을 방지할 수 있고, 트레이의 강도를 상승시켜 냉장고의 방 전체가 균일하게 냉각되게 되며, 레버가 잡기 쉬운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의한 선반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의한 선반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의한 선반장치의 장착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의한 선반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의한 전용 온도대실부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의한 도어포켓부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의한 선반장치의 조립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의한 이동다리와 유지부재의 상세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의한 이동다리와 유지부재의 상세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의한 이동다리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의한 유지부재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의한 나사형 축부 부근의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의한 나사형 축부 부근의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의한 나사형 축부 부근의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의한 나사형 축부 부근의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의한 나사형 축부 부근의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의한 나사형 축부 부근의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의한 나사형 축부 부근의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의한 나사형 축부 부근의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의한 나사형 축부 부근의 사시도,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의한 레버의 부착 상세 평단면도,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의한 레버와 타이밍벨트의 부착 상세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의한 착탈선반의 부착 단면도,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의한 나사형 축과 이동다리의 조합도,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의한 풍로 구성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예3에 의한 선반장치의 조립사시도,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의한 톱니바퀴 내부의 상세단면도,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의한 톱니바퀴 내부의 상세단면도,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의한 레버와 타이밍벨트의 부착 상세사시도,
도 39는 본 발명의 실시예3에 의한 레버의 부착 상세 평단면도,
도 40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의한 착탈선반의 부착 단면도,
도 41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의한 수지제 선반으로의 냉각방법의 단면도,
도 42는 본 발명의 실시예3에 의한 금속제 선반으로의 냉각방법의 단면도,
도 43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의한 레버의 손잡이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44는 종래의 선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의 측면도,
도 45는 종래의 선반장치의 사시도,
도 46은 종래의 선반장치의 측면도.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고내에 배치된 선반 등을 탑재하는(얹어 놓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내에 마련된 타이밍벨트, 상기 타이밍벨트에 마련된 레버, 상기 레버의 이동에 의해 회전운동하는 상기 타이밍벨트와 연동해서 상기 프레임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을 가진 선반장치를 구비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식품 등의 수용물을 탑재한 상태에서 작은 조작력으로도 선반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제1 특징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코너부를 연장시켜 연장부를 마련하고, 상기 연장부내에 상기 프레임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을 탑재하고, 냉장고내에 상기 연장부가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홈부를 마련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고내 식품수납 공간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제1 특징에 있어서, 상기 선반장치를 냉장고내에 마련된 격실(compartment)의 천정부를 막는 부재로 사용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격실의 용량이 가변가능하게 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넓이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제1 특징에 있어서, 상기 선반장치를 냉장고의 문에 마련된 도어포켓의 바닥면로 사용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도어포켓에 수납하는 수납물에 대응한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특징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제1 특징에 있어서, 냉장고의 앞면을 막는 개폐문, 상기 냉장고내를 복수개로 간막이하는 간막이 벽을 갖고, 상기 간막이 벽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다양한 수납물의 크기에 맞게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특징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제1 특징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냉장고의 내부상자와 외부상자 사이에 마련된 냉기공급 덕트(duct)로부터 냉기를 받아들이는 냉기 취입구(取入口) 및 상기 냉기를 냉장고내로 내뿜는 냉기 취출구(吹出口)를 마련한 것이다. 이와 같이, 프레임에 구멍을 마련한다는 간단한 작업으로 고내의 온도분포의 균일화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특징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제1 특징에 있어서, 상기 선반장치는 유지수단과 고정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하방향으로 축지지된 나사(스크루)형 축을 마련하고, 상기 이동수단에는 나사형 축과 맞물리는 맞물림부 및 한쪽끝에 걸림부를 가진 플랜지부를 마련하고, 상기 유지수단에는 상기 이동수단을 위에 탑재한 경우에 상기 걸림부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 및 상기 탑재면에서 연장된 삽입부재를 갖고, 상기 고정수단에는 상기 삽입부재를 끼워부착하는 협지부(挾持部)와 함께 상기 협지부의 입구에 마련되고 상기 이동수단의플랜지부가 당접해서 멈추는 당접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수단을 냉장고 내벽에 고정시키고 상기 유지수단을 거쳐서 상기 이동수단을 고정적으로 내벽에 유지시켜 상기 프레임을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수동의 레버 조작시에 이동수단에 연결되는 프레임이 좌우로 덜컹거리지 않아 조작성을 개선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유지수단은 이동수단과 걸어맞춰서 일체화하고 또한 고정수단으로의 삽입 여유(마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특징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제7 특징에 있어서, 이동수단의 걸림부는 플랜지부에서 나사형 축의 축방향으로 연장함과 동시에, 유지수단의 걸어맞춤부는 탑재면에 대해서 대략 직각으로 배치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선반에 식품이 치우쳐 탑재되어 있어도 레버 조작시에 이동수단이 유지수단으로부터 부상하는 일은 없어 조작성이 개선된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제9 특징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제7 특징에 있어서, 유지수단의 삽입부재는 탑재면에 대해서 대략 수평 또는 경사 방향으로 배치함과 동시에, 고정수단의 협지부를 냉장고 내벽의 내부에 매설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냉장고내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제10 특징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제7 특징에 있어서, 이동수단의 플랜지부에 볼록부 또는 구멍부를, 유지수단에는 상기 이동수단의 볼록부 또는 구멍부와 걸어맞추는 구멍부 또는 볼록부를 갖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레버를 슬라이드시켰을 때 슬라이드방향으로 이동수단이 유지수단을 넘어 어긋나서 프레임이 냉장고 내측 벽면과 접촉하는 일은 없고, 이것에 의해 레버 조작 및 선반 이동의사용상의 편리함이 양호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1 특징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제7 특징에 있어서, 상기 나사형 축의 한쪽끝에 동축으로 또한 고정적으로 마련하고 또한 타이밍벨트와 걸어맞추는 톱니바퀴가 상기 타이밍벨트에 마련된 레버의 슬라이드이동에 의한 힘을 타이밍벨트를 거쳐서 전달받아, 나사형 축이 회전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간소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2 특징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제11 특징에 있어서, 타이밍벨트는 프레임 안쪽가장자리부에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타이밍벨트에 걸어맞춰져 회전하는 나사형 축을 프레임의 적어도 2개소의 코너에 마련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타이밍벨트를 더욱 안정하게 회전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3 특징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제7 특징에 있어서, 나사형 축의 나사피치를 9㎜이하로 함과 동시에, 나사 리드각을 15°이하로 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가정용 일반 냉장고에서 사용되는 선반의 크기에 따른 식품 중량 부하의 점에서 고려하면, 사용자가 수동으로 레버조작하는 경우에 조작력이 작아져 적합하다.
본 발명의 제14 특징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제7 특징에 있어서, 이동수단에는 맞물림부의 외벽에 볼록부를 마련함과 동시에, 프레임에는 상기 볼록부와 대향하는 나사형 축을 수납하는 부분의 내벽면에 홈부를 배치해서 상기 홈부가 상기 볼록부를 궤도안내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프레임의 형상에 좌우되는 일없이 이동수단의 회전방지가 가능하기 때문에, 의장성이 좋은 것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5 특징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제1 특징에 있어서, 냉장고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 마련된 냉기공급덕트의 출구 부근에 배치되고 냉기를 냉기공급 덕트 출구에서 프레임내 전방으로 유도하는 중계덕트를 상기 프레임에 구비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소량의 풍량으로 앞쪽까지 냉기를 흐르게 할 수 있어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에너지 절약이 도모된다.
본 발명의 제16 특징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제1 특징에 있어서, 상기 선반장치는 소켓과 소켓에 대해서 슬라이드가능하고 또한 스프링에 의해서 소켓방향으로 장하(裝荷)된 슬라이더부를 갖는 타이밍벨트 연결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레버와 벨트의 한쪽끝을 소켓에 연결하고 또 벨트의 다른쪽끝을 슬라이더부에 연결하고, 레버의 슬라이드와 연동해서 회전운동하는 타이밍벨트를 거쳐서 프레임을 상하이동시키는 것이다. 벨트의 느슨해짐(이완)을 방지하므로, 신뢰성이 높은 냉장고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7 특징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제16 특징에 있어서, 레버는 레버의 근원을 연장시킨 삽입부재를 갖고, 프레임의 앞부 하면에 마련된 슬릿부에 이것을 삽입함과 동시에 타이밍벨트를 연결하는 타이밍벨트 연결수단의 소켓에 끼워맞춰서 상기 레버와 상기 타이밍벨트를 체결시킨 것이다. 이것에 의해, 냉장고 정면에서 보았을 때 프레임의 슬릿으로부터는 타이밍벨트가 보이지 않아 의장적으로 우수한 냉장고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8 특징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제16 특징에 있어서,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레버의 궤도를 따르게 해서 프레임 보강판을 배치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식품 중량 부하가 과대하게 걸리더라도 프레임의 휨을 최소로 할 수 있어 레버의 조작에 있어서 직선운동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이 양호하다.
본 발명의 제19 특징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제16 특징에 있어서, 프레임의 앞측 부분을 금속프레임으로 하고, 상기 금속프레임의 내측에 타이밍벨트를 배치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식품 중량 부하에 의한 프레임의 변형이 작아 레버의 조작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0 특징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제1 특징에 있어서, 선반장치는 프레임상에 마련된 착탈가능한(removable) 선반을 갖고, 상기 선반의 앞측 하부에 전방을 향해 개방된 'コ'형상의 리브를 마련해서 상기 프레임의 앞측 안쪽가장자리에 형성된 플랜지부에 걸어맞춤과 동시에, 상기 선반의 뒷부를 상기 프레임의 뒷부를 덮는 L자 형상으로 구성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선반과 프레임을 걸어맞춰 일체화할 수가 있고 선반전체의 강도 개선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제21 특징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제11 특징에 있어서, 나사형 축에 고정적으로 구비된 톱니바퀴는 내부에 매설된 복수개의 회전가능한 볼과 이 볼을 거쳐서 회전가능하게 톱니바퀴에 걸어맞춰서 동축에 마련된 상부지지축을 구비하고, 프레임에는 구멍을 갖는 축받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지지축은 상단을 프레임에 마련된 축받이 구멍부에 삽입시켜 프레임에 장착하고, 상기 톱니바퀴가 회전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레버의 조작이 순조롭게 된다.
본 발명의 제22 특징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제21 특징에 있어서, 볼의 상면을 상기 톱니바퀴 상면에서 돌출시키고, 상기 프레임의 축받이부 하면과 볼이 접촉하면서 톱니바퀴가 회전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선반에 탑재되는 식품 등의 부하에 의해 톱니바퀴 상면부가 압압(press)되더라도 톱니바퀴의 회전에 대해 브레이크 현상은 극소하여 레버의 조작력이 개선된다.
본 발명의 제23 특징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제16 특징에 있어서, 타이밍벨트의 타이밍벨트 연결수단으로의 장착에 있어서 레버 조작에 의해 오른쪽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켰을 때가 선반상승인 경우에 상기 타이밍벨트 연결수단의 소켓으로의 벨트 한쪽끝의 고정을 좌측으로 하고 상기 타이밍벨트 연결수단의 슬라이더부로의 벨트 다른쪽끝의 연결을 우측으로 하며, 또 레버 조작에 의해 왼쪽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켰을 때가 선반상승인 경우에는 상기 타이밍벨트 연결수단의 소켓으로의 벨트 한쪽끝의 고정을 우측으로 하고 상기 타이밍벨트 연결수단의 슬라이더부로의 벨트 다른쪽끝의 연결을 좌측으로 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레버 조작시에 가장 많이 부하가 걸리는 상승과정에 있어서 타이밍벨트의 느슨해짐을 스프링의 반발에 의해 흡수할 수 있으므로, 벨트의 톱니스킵(톱니바퀴의 톱니와 벨트의 톱니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4 특징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제1 특징에 있어서, 선반 탑재용 프레임상에 마련된 선반을 수지제로 하고, 상기 선반의 상면에 금속제의 부재를 탑재시킨 것이다. 이것에 의해, 선반의 강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5 특징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제1 특징에 있어서, 선반 탑재용 프레임상에 마련된 선반을 금속제로 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선반의 강도가 상승된다.
본 발명의 제26 특징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제24 또는 제25 특징에 있어서, 선반 탑재용 프레임내로 유도하는 냉기의 일부를 선반 탑재용 프레임상에 마련된 금속제의 부재 또는 금속제의 선반에 닿게 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선반 전면이 균일하게 냉각되어 온도분포가 양호하게 된다. 또, 선반 사이의 공간부도 균일하게 냉각되기 때문에 방 전체의 분포 개선으로 된다.
본 발명의 제27 특징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제1 특징에 있어서, 레버의 손잡이 형상을 손가락의 바닥부에 맞게 내측으로 오목하게 되도록 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레버가 잡기 쉽게 되고 힘도 가하기 쉽게 되었다.
실시예1
이하,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선반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선반장치의 주요부 단면도, 도 3은 선반장치의 냉장고 장착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선반 탑재용 프레임, (1c), (1d)는 다리부(1i)에 마련된 축받이부, (1i)는 선반 탑재용 프레임(1)의 다리부,(1j)는 선반 탑재용 프레임(1)에 마련된 냉기 취입구, (2)는 타이밍벨트, (2a)는 타이밍벨트(2)의 랙 형상부, (3)은 레버, (4)는 나사형 축, (4a)는 나사형 축(4)의 소축부(小軸部), (6)은 톱니바퀴, (6a)는 톱니바퀴(6)의 소축부, (7)은 냉장고내(50)의 측벽(내판(25)의 측면부), (10)은 선반 탑재용 프레임(1)의 중공부, (16)은 이동판, (20)은 프레임(1)상에 착탈가능하게(착탈자유롭게) 탑재된 선반, (25)는 냉장고 내판, (26)은 냉장고 외판, (35)는 평면시트(flat seat), (36)은 선반받이부, (37)은 나사, (38), (39)는 선반 탑재용 프레임(1)에 마련된취출구멍(air autlets), (45)는 냉장고 배면에 마련된 통풍구멍, (46)은 냉기공급덕트이다.
(1)은 중공형상으로 프레임체를 이루는 선반 탑재용 프레임으로서, 프레임(1)에는 중공부(10)을 갖고, 그 중공부(10)을 이용해서 바깥쪽가장자리 형상을 따르게 해서 배치된 타이밍벨트(2)가 장착되어 있다. 레버(3)은 타이밍벨트(2)에 나사(43)에 의해 연결 고정되어 있고 선반 탑재용 프레임(1)의 1변을 따라 이동하도록 배치하고, 레버(3)을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해 타이밍벨트(2)가 회전운동한다. 타이밍벨트(2)의 회전운동선 상이고 또한 선반 탑재용 프레임(1)의 각 코너에는 타이밍벨트(2)의 랙 형상부(2a)와 맞물려 회전하는 톱니바퀴(6)을 배치하고, 톱니바퀴(6)과 동일축에는 톱니바퀴(6)보다 큰 직경을 갖는 평면시트(35)를 거쳐서 나사형 축(4)가 일체로 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평면시트(35)는 타이밍벨트(2)의 어긋남(shift)을 방지하고 있지만 없어도 좋다.
나사형 축(4)는 타이밍벨트(2)에 의해 톱니바퀴(6)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회전한다. (16)은 나사탭(screw tapped) 구멍(16a)를 갖고 나사형 축(4)에 나사고정된 이동판으로서, 나사형 축(4)의 회전시에 나사(스크루)에 의해 보내져 상하이동하는 이동판이다. 선반 탑재용 프레임(1)의 각 코너(4개소)에는 다리부(1i)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톱니바퀴(6) 및 나사형 축(4)에서 동축으로 돌출된 소축부(6a), (4a)가 다리부(1i)의 축받이부(1c),(1d)에 축지지되어 나사형 축부를 격납(housing)하고 있다. 여기서, 톱니바퀴(6)과 축(4)는 일체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 여기서는 4개소의 코너에 다리부를 마련한 것에 대해 설명했지만, 좌우에 대향하도록 2개소 마련하면 안정적이기 때문에 좋다. 또, 선반 탑재용 프레임(1)에 코너가 없는 예를 들면 원형(circle shape)과 같은 경우에는 좌우 또는 전후 등과 같이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하면 좋다.
다음에, 선반장치를 냉장고내(50)에 설치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36)은 냉장고내(50)의 측벽(7)의 소정 위치에 나사(37)에 의해 고정된 선반받이부로서, 프레임내의 나사형 축(4)가 나사고정된 이동판(16)이 상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동판(16)을 선반 받이부(36)에 탑재하는 것에 의해, 선반 탑재용 프레임(1)측에 세트된 이동판(16)은 자중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실제로는 이동판(16)이 아니라 프레임(1) 자체가 상하 이동하게 된다.
즉, 레버(3)을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해 타이밍벨트(2), 톱니바퀴(6), 나사형 축(4), 이동판(16)이 연동하고, 이동판(16)을 냉장고 내측벽(7)에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선반 탑재용 프레임(1)이 상하 이동하게 된다.
이상, 선반(20)은 선반 탑재용 프레임(1)상에 착탈가능하게 탑재시킨 것이지만, 선반 탑재용 프레임(1)과 선반(20)을 고착시켜 일체로 한 것이라도 선반(20)의 하부에 선반 탑재용 프레임(1)의 구조를 구비한 선반장치로서 처음부터 일체 성형된 것이라도 좋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선반장치를 냉장고에 사용한 것을 설명했지만, 냉장고 이외에도 소형 쇼케이스, 업무용 쇼케이스, 가구 등 기타 각 종 수납용 선반장치로서 모두에 적용가능한 것이다.
도 3에 있어서 냉기는 냉장고 내판(25)와 냉장고 외판(26) 사이에 마련된 냉장고 배면의 냉기공급덕트(46)을 통해서 유도된다. 선반 탑재용 프레임(1)의 중공부(10)을 이용해서 냉기의 일부를 덕트의 통풍구멍(45)에서 선반 탑재용 프레임(1)의 냉기취입구(1j)보다 내측으로 받아들이고, 선반 탑재용 프레임(1)의 측면에 마련된 취출구멍(38)및 선반 탑재용 프레임(1)의 다리부(1i)의 앞면 및 측면에 마련된 취출구멍(39)로 냉기를 유도하는 풍로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이동판(16)이 선반받이부(36)에 탑재되었을 때에 통풍구멍(45)와 냉기취입구(1j)는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는 냉기공급덕트(46)은 배면에 마련한 것을 설명했지만, 측면에 마련한 경우에는 선반 탑재용 프레임(1)의 측면에 냉기취입구(1j)를 마련하면 좋다.
이상에 의해, 냉기는 냉장고내의 앞면으로도 내뿜도록 되어 있어 고내의 온도분포의 균일화를 실행할 수 있다.
또, 선반 탑재용 프레임(1)의 필요한 장소에 취출구멍(38), (39)와 같은 구멍부를 마련한다는 간단한 작업에 의해 원하는 부분으로 냉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 선반 탑재용 프레임의 앞면을 사용해서 레버를 횡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만으로 식품 등 수용물을 탑재한 상태에서 선반을 상하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한쪽손만으로 조작할 수 있고, 레버조작범위는 선반의 폭치수분을 충분히 사용할 수 있으므로 나사형 축을 많이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작은 조작력으로도 선반을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선반 탑재용 프레임은 나사형 축에 장착된 이동판이 움직이는 것에 의해상하 이동하므로, 선반에 하중이 걸리는 것만으로는 선반이 이동하는 일도 없다. 따라서, 록해제기구도 필요없어 조작성이 좋고 안전하며 또한 부품점수가 적은 선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단, 레버부에 록기구를 마련하여 선반의 고하중시에 대한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해도 좋다.
또, 간막이벽을 가변가능하게 해서 구획하는 것에 의해 실내 용적을 변경할 수 있다.
또, 도 4와 같이 톱니바퀴(6)과 나사형 축(4)의 위치를 선반 탑재용 프레임(1)의 각 코너부에서 연장시켜 냉장고의 측벽(7)에 마련된 홈부(7a)를 따르도록 배치하고, 회전가능한 롤러(44)를 거쳐서 타이밍벨트(2)를 톱니바퀴(6)에 걸어맞추도록 배치하는 것에 의해서, 고내 식품 수납공간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 개시한 선반장치의 구조를 구획된 전용 공간의 천정벽에 사용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와 같이 예를 들면 냉장실내 중에서 전용의 온도대를 갖는 칠드실(냉동실)이나 신냉동 온도대실과 같이 구획된 전용 공간(41)의 개폐문을 유지한 천정벽(42)를 타이밍벨트(도시 생략)와 나사형 축(도시 생략)과 이동판(도시 생략)을 구비시켜 레버(도시 생략) 등에 의해 이동시키고, 상기 전용 공간(41)(칠드실이나 신냉동 온도대실)의 용량을 가변가능하게 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넓이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한 것에서는 개폐문과 케이스의 랩핑거리를 천정벽(42)의 이동범위 이상 확보해 두는 것에 의해 전용 공간을 전용 온도대로 유지할수 있다.
또, 천정 간막이벽(42)와 같은 실을 상하로 간막이하는 횡(수평)간막이벽 뿐만 아니라, 종(수직)간막이벽을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하여 용량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예를 들면 냉장실내의 칠드실이나 신냉동 온도대실에는 무엇보다도 유효한 수단이다. 또, 소비자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용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지만, 공장측 제조면에서도 1개의 기종으로 전용 공간의 용량이 다른 제품을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생산성의 향상으로 이어진다.
또, 이상의 실시예에 개시된 선반 장치의 구조를 냉장고 문에 마련된 도어(문)포켓에 사용한 예를 설명한다.
도 6과 같이 도어포켓(40)에 있어서도 타이밍벨트(2)와 나사형 축(4)과 이동판(5)를 이용해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도어포켓의 위치를 상하로 변경가능하게 하여 수납하는 병이나 페트(PET)병 등의 종류에 대응한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본 발명의 선반장치는 선반의 높이 조절 뿐만 아니라, 임의의 구획된 수납공간의 벽면이나 도어포켓 등의 이동에도 응용할 수 있고, 가족 구성 및 식생활의 차이에 따라 접시, 남비, 병, 페트병 등 각종 용기의 크기에 맞게 유연하게 대응가능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선반장치는 냉장고의 선반장치 이외에도 소형 쇼케이스, 업무용 쇼케이스, 가구 등 기타 각종 수납용 선반장치로서 모두에 적용가능하다.
실시예2
이하,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선반장치의 조립사시도, 도 8은 이동다리와 유지부재의 상세평면도, 도 9는 이동다리와 유지부재의 상세 종단면도, 도 10은 이동다리의 사시도, 도 11은 유지부재의 사시도, 도 12는 냉장고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2)는 타이밍벨트, (3)은 레버, (4)는 톱니바퀴(6)이 동일축에 일체로 되어 형성된 나사형 축, (7)은 냉장고 내벽면, (15)는 타이밍벨트 장착소켓, (16)은 이동수단인 이동다리, (17)은 고정수단인 어태치먼트(attachment), (18)은 유지수단인 유지부재, (19)는 프레임 보강판, (20)은 착탈가능한 선반, (22)는 스프링(21)을 갖는 슬라이더부이다.
중공형상으로 프레임체를 이루는 선반 탑재용 프레임(1)은 상측 프레임(1a)와 하측 프레임(1b)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중공부(10)을 형성하고 그 중공부(10)을 이용해서 바깥쪽가장자리 형상을 따르게 해서 배치한 타이밍벨트(2)가 장착되어 있다. 레버(3)은 프레임(1)의 1변을 따라 이동하도록 배치하고, 선반 탑재용 프레임(1)의 앞부 하면에 마련된 슬릿부에서 선반 탑재용 프레임(1) 내부로 레버(3)의 근원에서 연장시킨 삽입부재(3a)를 삽입하여 타이밍벨트 장착소켓(15)에 끼워넣고 타이밍벨트(2)에 연결 고정되어 있으며, 레버(3)을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해 타이밍벨트(2)가 회전운동한다. 타이밍벨트(2)의 회전운동선 상이고 또한 프레임(1)의 각 코너에는 타이밍벨트(2)의 랙형상(도시 생략)과 맞물려 회전하는 톱니바퀴(6)을 배치하고, 톱니바퀴(6)과 동일축에는 나사형 축(4)가 일체로 되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1)의 각 코너(4개소)에는 상기 톱니바퀴(6) 및 나사형축(4)에서 동축으로 돌출된 소축(6a)와 소축(4a)가 각각 프레임(1)에 마련된 축받이(1c)와 (1d)에 축지지되어 나사형 축(4)를 격납하고 있다. 나사형 축(4)는 타이밍벨트(2)가 맞물려 톱니바퀴(6)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연동해서 회전한다. 또, 여기서는 4개소의 코너에 나사형 축(4)를 마련한 경우를 설명했지만, 좌우로 대향하도록 2개소 마련하면 안정적이다. 이동다리(16)은 나사형 축(4)에 대응한 암나사측으로 되는 맞물림부의 나사탭 구멍(16a)를 갖고 있고, 이 나사탭 구멍(16a)에 나사형 축(4)가 나사고정되어 나사형 축이 회전함에 따라 이동다리(16)은 나사에 의해 보내져 상하 이동을 실행한다.
(17)은 냉장고 내벽(7)의 소정 위치에 배치하는 협지부(17a)를 갖는 어태치먼트로서, 협지부(17a)의 입구부에는 접시부(17b)를 마련하고, 협지부를 냉장고 내벽내에 매립하며 접시부측이 벽면과 동일면으로 되도록 고정된다. 도면에서는 협지부로서 U홈을 사용하고 있지만, 동일기능이면 클램프 등이라도 좋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다리(16)이 윗쪽에서 탑재되는 탑재면(18d)를 갖는 유지부재(18)은 이 탑재면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평판형상의 삽입부재(18a)를 갖고, 상기 삽입부재가 상기 어태치먼트의 U홈(17a)에 삽입부착되어, 상기 유지부재(18)은 어태치먼트(17)을 거쳐 냉장고 내벽면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지부재(18)은 탑재면에서 대략 수직으로 개방된 걸어맞춤부(18b)를 갖고, 유지부재(18)이 어태치먼트(17)에 삽입부착되면 이 걸어맞춤부(18b)는 냉장고 내벽면과 평행한 설치로 된다.
또, 상술한 이동다리(16)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사형 축(4)가 나사조립되는 나사탭 구멍(16a)의 하단에 플랜지부(16e)를 갖고, 상기 플랜지부의 한쪽끝에는 구멍의 축방향으로 구부러진 돌출부재부(16f)를 형성하고, 그의 선단에는 걸림부(16b)를 마련하고 있다. 이 이동다리(16)이 유지부재(18)에 탑재될 때, 이동다리의 돌출부재부(16f)가 유지부재의 걸어맞춤부(18b)를 따라 삽입되고, 돌출부재부 선단의 걸림부(16b)가 유지부재의 걸어맞춤부(18b)에 걸어고정되어 돌출부재부가 걸어맞춤부와 중첩해서 유지됨과 동시에, 어태치먼트의 접시부(17b)와 걸어맞춤부 사이에도 끼워유지되어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이동다리(16)은 유지부재(18)에 걸어부착되어 프레임(1)의 덜컹거림이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걸림부(16b)는 발톱형태나 훅(hook)형태 등으로 형성된다. 또, 이동다리에 프레임으로부터의 하중이 걸려 하향의 모멘트가 작용하더라도, 이동다리의 돌출부재부는 어태치먼트의 접시부에 의해 압압되어 휨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어태치먼트(17)은 냉장고 내벽의 내부에 매립되어 고내 표면 및 공간에 대해 장해로 되는 부분을 최소로 하고 있으므로, 고내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다리(16)은 나사형 축(4)를 거쳐서 프레임(1)측에 세트되어 있고 한편 유지부재(18)에 탑재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이동다리(16)이 아니라 프레임(1) 자체가 상하 이동하게 된다. 즉, 레버(3)을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해 타이밍벨트(2), 톱니바퀴(6), 나사형 축(4) 및 이동다리(16)이 연동하고, 이동다리(16)을 냉장고 내벽면(7)에 장착된 어태치먼트(17)에 고착(고정부착)시키는 것에 의해 선반 탑재용 프레임(1)이 상하 이동하게 된다. 또, 서로 당접하는 상기 유지부재(18)의 탑재면(18d)와이동다리(16)의 플랜지부(16e)에는 예를 들면 구멍부(18c) 및 그의 상대하는 볼록부(16c)를 마련해서, 이동다리(16)이 유지부재(18)에 탑재될 때 구멍부(18c)와 볼록부(16c)가 걸어맞춰져 유지부재(18)과 이동다리(16)의 수평방향의 어긋남을 방지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레버(3)을 슬라이드시켰을 때, 이동다리(16)에 나사고정된 나사형 축(4)가 장착된 프레임(1)이 슬라이드방향으로 움직여 냉장고 내벽과 접촉하는 일은 없고, 레버 조작 및 선반이동의 사용상의 편리함이 향상된다.
다음에, 선반장치를 냉장고내에 설치하는 상태에 대해서 도 12에 따라 설명한다. 냉장고 내벽면(7)의 소정 위치에 유지부재가 설치되고, 선반 탑재용 프레임(1)의 각 코너에 장착된 이동다리가 그 유지부재에 탑재되는 것에 의해 선반장치가 냉장고내에 부착된다. 선반을 상하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프레임(1)의 앞면에 마련된 레버(3)을 슬라이드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이용자가 이 레버(3)을 수동으로 조작하므로, 사용상의 편리함 면에서 프레임(1)의 앞면에 마련할 필요가 있고, 레버가 슬라이드이동하는 궤도를 마련하지 않으면 안된다. 의장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방법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프레임(1)의 앞부 하면에 슬릿부를 마련함과 동시에 레버의 근원에서 연장된 삽입부재를 이 슬릿부에 삽입하여 타이밍벨트와 접합하도록 하였다. 이것에 의해, 냉장고의 정면으로부터는 선반 탑재용 프레임(1)과 레버(3) 밖에 보이지 않아 의장성도 좋고 또한 사용상의 편리함도 양호한 냉장고를 얻을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선반장치를 냉장고내에 설치하는 경우의 냉장고의 형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위부터 F실(냉동실), R실(냉장실), V실(야채실)의순으로 방이 배열되어 있고, R실내에 선반과 레버(3)을 구비한 프레임(1)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F실과 R실의 2도어 형태(문이 2개인 형태)의 냉장고라도 좋다. 또, 도 14는 위부터 R실, V실, F실의 순 또는 R실, F실, V실의 순으로 방이 배열되어 있고, R실내에 선반과 레버(3)을 구비한 프레임(1)이 마련되어 있다. (1)은 상하로 이동가능한 선반인 프레임, (51)은 고정선반, (3)은 선반(1)에 마련된 레버, (7)은 냉장고 내벽면이다.
도 15는 레버(3)의 스트로크를 도시한 것으로서, 레버 스트로크A는 고내 폭치수B의 절반 이상 취한다. 그러면, 큰 힘을 들이지 않고 레버(3)이 움직인다. 또, 좌우 끝부까지는 움직이지 않도록 한 쪽이 레버(3)을 손으로 확실히(단단히) 잡을 수 있어 조작하기 쉽다. 또, 선반의 상하 이동거리C는 레버 스트로크A의 1/5이하로 하면 조작이 편리하다. 모터구동의 경우에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6은 선반을 냉장고내에 부착한 도면, 도 17, 도 18, 도 19는 프레임(1)의 나사형 축(4)(기구 부분)이 마련된 부분을 냉장고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 매립한 도면, 도 20은 기구 부분의 선반받이부의 내벽으로의 부착도이다.
(1)은 상하이동 선반인 프레임, (51)은 고정선반, (3)은 프레임(1)에 마련된 레버, (7)은 냉장고 내벽, (7a)는 고내벽(7)에 마련된 오목홈, (36)은 프레임(1)의 선반받이부, (51a)는 고정선반(51)의 선반받이부이다.
도 16은 고내벽면(7)에 오목홈이 없는 것이다. 또한, 1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는 프레임(1)은 상하로 이동가능한 것이다. 도 17은 고내벽면(7)에오목홈(7a)가 있는 것이다. 오목홈(7a)가 있으면, 프레임(1)의 나사형 축(4)(기구 부분)이 마련된 부분이 오목홈(7a)에 매립되는 것에 의해, 고내의 배치상태(look)가 좋아진다. 도 18은 고내벽면(7)에 각 선반 1개마다 오목홈(7a)가 있는 것이다. 도 19에서는 각 선반 1개마다가 아니라, 오목홈(7a)를 상하로 관통시켜 각 선반에 공통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선반의 상하 이동폭을 크게 취할 수 있다. 도 20은 내벽에 오목볼록(凹凸)을 마련하지 않고, 상하 프레임(1)용의 선반받이부(36)을 마련한 것이다.
도 21 및 도 22는 나사형 축(4) 부근(기구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내벽측에 오목볼록이 없는 경우이고, 도 22는 내벽 오목홈에 나사 축부를 배치하는 경우이다. 또, 도 23은 나사 축부의 사시도이다.
(1)은 상하이동 선반을 포함하는 프레임, (2)는 타이밍벨트, (3)은 타이밍벨트(2)에 마련된 레버, (4)는 나사형 축, (6)은 톱니바퀴, (16)은 이동다리, (16c)는 볼록부, (18)은 유지부재, (18c)는 구멍부이다. 유지부재(18)은 냉장고 내벽에 배치되어 있고, 예를 들면 측면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동다리(16)에 마련되어 있는 볼록부(16c)는 유지부재(18)에 마련되어 있는 구멍부(18c)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여기서는 볼록부(16c)가 삼각뿔 형상을 하고 있지만, 구멍부(18c)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면 좋다.
도 24∼도 29는 나사형 축(4) 부근(기구 부분)의 사시도이다.
(2)는 타이밍벨트, (3)은 타이밍벨트(2)에 마련된 레버, (4)는 나사형 축, (6)은 톱니바퀴, (6b)는 보조 톱니바퀴, (7)은 고내벽면, (16)은 이동판, (52)는리브, (53)은 스위치, (54)는 모터, (55)는 플렉시블(유연성이 있는) 코드, (56)은 개구부, (57)은 랙 기어, (58)은 웜(worm) 축이다.
도 24의 (a)는 나사형 축(4) 부근(기구 부분)의 사시도, 도 24의 (b)는 도 24의 (a)의 화살표부의 확대도이다. 이 구성으로 한 것에 의해, 편가중(unblanced load)에 의한 벨트 톱니스킵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리브(52)에 의해 벨트(2)의 톱니바퀴(6)에서 떨어지는(멀어지는) 방향의 변이를 규제하여 톱니바퀴(6)과 벨트(2)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5의 (a)는 나사형 축(4)부(기구 부분) 부근의 사시도, 도 25의 (b)는 도 25의 (a)의 화살표부의 확대도이다. 이 구성으로 한 것에 의해, 편가중에 의한 벨트 톱니스킵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벨트(2)의 톱니형태를 표리 양면에 마련하고 톱니바퀴(6)과 보조 톱니바퀴(6b) 사이에 벨트(2)를 끼워넣는 것에 의해, 벨트(2)의 톱니바퀴(6)으로부터의 떨어짐(멀어짐) 방향의 변이를 규제하여 톱니바퀴(6)과 벨트(2)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6은 나사형 축(4)(기구 부분)이 고내벽(7)에 마련된 부분의 사시도이다. 여기서는 조작 레버(도 25 등에 있어서의 레버(3))를 모터(54)로 치환하고 있다. 모터(54)에 의해 나사형 축(6)과 톱니바퀴(4)로 이루어지는 가동축(이동가능축)의 어느 1개를 직접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4개의 가동축을 연동시켜 선반(1)의 프레임을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이것은 상하 스위치(53)의 △를 누르면 선반이 위로 올라가고 스위치를 떼면 선반이 멈추고, 스위치(53)의 ▽를 누르면 선반이 아래로 내려가고 스위치를 떼면 선반이 멈추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스위치(53)을누르는 것에 의해 모터(54)가 움직인다. 모터(54)에는 플렉시블 코드(55)가 접속되어 있다.
또, 도 27은 조작 레버를 모터(54)로 치환한 예로서, 웜기어에 의한 배력기구(assistor)를 마련한 것이다.
도 28은 나사형 축(4) 등을 포함하는 가동축을 외판과 내판으로 이루어지는 냉장고 상자체에 고정적으로 매설한 본 실시예의 변형예이다. 가동유닛을 상자체에 매설시켜 고내벽(7)에 개구부(56)을 마련하고, 그 개구부(56)에서 이동판(16)을 고내측으로 연장시키고 있다. 그 이동판(16)에 탑재한 선반(도시하지 않음)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또, 가동축을 매설하고 있기 때문에, 의장상 말끔하게 되어 있어(정돈되어 있어) 배치상태가 좋다.
또, 도 29는 가동축을 냉장고 상자체에 매설하고, 레버(3)을 냉장고 상자체 전방, 측면으로 한 변형예이다. 웜축(58)을 랙기어(57)을 갖는 레버(3)에 의해 조작한다. 웜축(58)의 회전을 가동축(나사형 축(4))으로 전달하는 것에 의해 레버(3)의 상하이동과 연동해서 선반(도시하지 않음)을 상하 이동시킨다.
도 30은 레버의 부착 상세 평단면도, 도 31은 레버와 타이밍벨트의 부착 상세사시도, 도 32는 착탈트레이의 부착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상술한 도 7 및 도 8과 동일한 부호는 상당부분을 나타낸다. 레버(3)의 조작에 의해 오른쪽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켰을 때가 상승하도록 하기 위해서, 나사형 축(4)의 나사형상은 오른나사(right-hand thread)로 하고 타이밍벨트 장착소켓 본체(15)로의 타이밍벨트의 한쪽끝의 직접 장착을 우측으로 하고, 타이밍벨트 장착소켓(15)내의스프링(21)을 갖고 소켓의 좌측 임의의 슬라이더부(22)에 벨트의 다른쪽끝을 장착해서 타이밍벨트(2)에는 일정한 장력을 인가하고 있다(레버조작에 의해 왼쪽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켰을 때가 상승인 경우에는 그것과는 반대사양). 이것에 의해, 타이밍벨트의 느슨해짐을 방지하여 덜컹거림을 없앰과 동시에, 선반을 상승시키기 위한 레버 조작력에 스프링의 반발력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조작력을 경감시킬 수 있다.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다리(16)을 갖는 맞물림부(16a)의 외벽에는 돌출부재부(16f)와는 반대측으로서 프레임을 향한 상단부에 있어서 볼록부(16d)를 마련하고, 선반 탑재용 프레임(1)의 나사형 축을 수납하는 부분의 내벽면에 2개의 리브(1g)를 마련하고, 그 사이에 홈(1h)를 형성한다. 홈(1h)의 내측에 상기 볼록부(16d)가 위치하도록 배치해서 이동다리(16)의 회전방지로 하고 있으므로, 타이밍벨트나 이동다리가 조립된 프레임을 냉장고 본체에 세트할 때까지의 동안에 이동다리(16)이 회전하지 않도록 유지할 수가 있다.
또, 선반 탑재용 프레임(1)의 앞부를 따라 이동하는 레버(3)의 궤도를 따르게 해서 프레임(1)의 앞측 내부에 프레임 보강판(19)를 배치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 선반에 탑재한 식품 중량이 커지더라도 프레임의 휨을 최소로 할 수 있고, 레버의 조작도 직선운동을 확보할 수 있어 조작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32에 도시한 (20)은 프레임(1) 상에 착탈가능하게 탑재시킨 선반이고, 이 선반(20)의 앞측 하부에 전방을 향해 개방된 ‘コ’형상 리브(20a)를 마련해서 선반 탑재용 프레임(1)의 플랜지부(1e)를 끼워넣음과 동시에, 선반(20)의 뒷부를선반 탑재용 프레임(1)의 뒷부를 덮도록 L자 형상으로 구성해서 랩(wrap)시키고, 선반 탑재용 프레임(1)의 뒷부 하면(1f)에 선반(20)의 L자 형상 후단부에 마련된 발톱(20b)를 걸어맞추고 있다. 선반의 앞부 및 뒷부에서 프레임과의 걸어맞춤을 갖게 하고 있으므로, 선반이 프레임에서 어긋나 떨어지거나 덜컹거리는 일이 없고, 또 선반과 프레임의 걸어맞춤 일체화에 의해 선반 전체의 강도의 향상이 도모된다.
도 33은 나사형 축과 이동다리의 조합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4)는 톱니바퀴(6)이 동일축에 일체로 되어 형성된 나사형 축, (16)은 나사형 축이 나사조립된 이동다리이다. 일반 가정용 냉장고에 있어서의 하나의 선반에 탑재되는 식품 중량 부하는 평균 약 5㎏, 많더라도 10㎏이고, 한편 레버 조작력은 4㎏정도이면 여성이라도 조작할 수 있는 레벨로 상정하고 있다. 이들을 고려해서, 선반의 상하 이동거리를 약 40㎜로 설정한 경우의 레버 스트로크에서 산출하고, 나사형 축(4)의 나사 피치(나사부가 1회전할 때에 진행하는 거리)를 9㎜이하 또한 나사 피치각(나사산의 나선각도)을 15°이하로 설정하면 좋다. 이것에 의해, 선반의 상하위치설정을 위한 수동에 의한 레버 조작력이 작아짐과 동시에, 타이밍벨트에 가해지는 장력도 완화시킬 수 있어 신뢰성의 향상으로 이어진다.
도 34는 냉장고내의 풍로 구성을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상술한 도 7과 동일한 부호는 상당부분을 나타내고, (12) 및 (13)은 취출구멍, (23)은 냉장고 내판(25)와 냉장고 외판(26) 사이에 마련된 냉기공급 측면덕트, (24)는 중계덕트이다. 냉장고 배면에서 고내로 내뿜는 냉기의 일부를 배면에서 측면덕트(23)으로 돌리고(분배하고), 그 출구에 마련된 중계덕트(24)를 거쳐서 프레임(1)의 중공부(10)으로 냉기를 유도한다. 측면덕트(23)에서 내뿜는 냉기는 고내벽면에 대해 수직으로 내뿜어지지만, 중계덕트(24)에 의해 고내벽을 따른 흐름으로 변경되어 냉장고의 전방 방향의 냉기로서 중공부(10)으로 방출된다. 이것에 의해, 프레임에 마련된 나사형 축 등의 풍로 저항으로 되는 장해물을 회피하는 구성으로 하고, 중공부(10)으로 유도되어 방출된 냉기는 이 중공부(10)을 통해 선반 탑재용 프레임의 측면 및 앞쪽의 취출구멍(12), (13)에서 고내로 냉기를 내뿜도록 하고 있다. 이상에 의해, 선반을 상하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나사형 축에 의해 방해받아 풍로저항이 생기는 일없이 소량의 풍량으로도 냉기를 선반 탑재용 프레임의 앞면까지 흘려 보내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고내의 냉각효율을 향상시켜 에너지 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상 실시예2에서는 선반 탑재용 프레임(1)의 앞부에서 상기 레버(3)이 배치되는 깊이방향에 대해서 프레임 보강판(19)를 레버(3)의 궤도를 따르게 해서 배치시키고 있지만, 선반 탑재용 프레임(1)의 앞측 부분에 금속(예를 들면 알루미늄)재료로 압출 성형한 것을 사용하고 그 압출성형품 내에 레버(3)이나 타이밍벨트(2)를 배치시켜도 좋고, 이것에 의해 식품의 부하 중량에 의한 선반의 변형도 적어 레버의 조작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3
이하,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35는 본 발명의 선반장치의 조립사시도, 도 36 및 도 37은 나사형 축 톱니바퀴 내부의 상세단면도, 도 38은 레버와 타이밍벨트의 부착 상세사시도, 도 39는 레버의 부착 상세 평단면도, 도 40은 착탈 트레이의 부착 단면도, 도 41은 수지제 트레이로의 냉각방법의 단면도, 도 42는 금속제 트레이로의 냉각방법의 단면도, 도 43은 레버의 손잡이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중공형상으로 프레임체를 이루는 선반 탑재용 프레임으로서, 상측 프레임(1a)와 하측 프레임(1b)로 이루어지고 그 조합에 의해 중공부(10)을 형성하며, 상기 중공부(10)을 이용해서 프레임(1)의 바깥쪽가장자리를 따르게 해서 배치한 타이밍벨트(2)가 장착되어 있다.
레버(3)은 프레임(1)의 1변을 따라 이동하도록 배치하고, 선반 탑재용 프레임(1)의 하면에 마련된 슬릿에서 프레임(1) 내부로 레버(3)에 마련된 삽입부재(3a)를 삽입시키고 타이밍벨트와 결합된 장착소켓(15)에 끼워맞추는 것에 의해서 타이밍벨트(2)에 레버(3)이 연결 고정되어 있고, 레버(3)을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해 타이밍벨트(2)가 회전운동한다.
타이밍벨트(2)의 회전운동선 상이고 또한 프레임(1)의 각 코너에는 타이밍벨트(2)의 랙(도시 생략)과 맞물려 회전하는 톱니바퀴(6)을 배치하고, 동일축에는 나사형 축(4)가 톱니바퀴(6)과 일체로 되어 형성되어 있다.
나사형 축(4)는 타이밍벨트(2)에 의해 톱니바퀴(6)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서 회전한다.
(5)는 나사탭 구멍을 갖고 나사형 축(4)에 나사고정된 이동다리로서, 나사형 축(4)의 회전시에 나사로 보내져 상하 이동한다.
프레임(1)의 각 코너에는 상기 톱니바퀴(6) 및 나사형 축(4)에서 돌출된 동축의 소축(27), (4a)가 프레임(1)에 마련된 축받이(1c), (1d)에 지지되고, 나사형 축(4)가 격납되어 있다.
도 36 및 도 37에 있어서의 톱니바퀴(6)내에는 소축(27)이 매설되고, 이 소축(27)은 프레임(1)의 축받이(1c)의 구멍부에 삽입되는 상부 지지축(27a)와 톱니바퀴 내단부(內段部)(29)와 걸어맞추는 발톱(27c)를 갖는 유지부(27b)로 구성되고, (27a)와 (27b)는 회전가능한 복수개의 볼(28)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걸어맞춰져 있다. 도 36에서는 프레임(1)의 축받이(1c) 하면과 상기 상부 지지축(27a)의 시트부(seat portion)(27d)가 접촉하면서 톱니바퀴(6)은 회전한다. 도 37에서는 회전가능한 볼(28)이 축받이(1c)의 하면과 접한다.
이상, 볼(28)을 마련한 것에 의해, 레버의 조작이 순조롭게 된다. 또, 도 37에서는 볼의 상면을 상기 톱니바퀴 상면에서 돌출시키고 상기 프레임측의 축받이하면과 볼이 접촉하면서 톱니바퀴가 회전하도록 한 것에 의해서, 선반에 탑재되는 식품 등의 부하가 축받이 하면으로 톱니바퀴 상면을 압압하더라도 톱니바퀴의 회전에 대해 브레이크현상은 극소하여 레버의 조작력이 개선된다.
도 38 및 도 3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3)의 조작에 의해 오른쪽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켰을 때가 상승하도록 하기 위해서, 나사형 축(4)의 나사형상은 오른나사로 하고, 타이밍벨트(2)의 장착은 타이밍벨트 연결수단의 소켓(15)로의 벨트의 한쪽끝의 장착을 좌측으로 하고, 타이밍벨트 연결수단의 스프링(21)을 갖는 슬라이더부(22)로의 벨트장착을 우측으로 하고, 타이밍벨트(2)에는 일정한 장력을 인가하고 있다(레버조작에 의해 왼쪽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켰을 때가 상승인 경우에는 그것과는 반대사양).
이상에 의해, 레버조작시에 가장 많이 부하가 가해지는 상승과정에 있어서 타이밍벨트의 느슨해짐을 스프링의 반발에 의해 흡수할 수 있으므로, 벨트의 톱니스킵(톱니바퀴의 톱니와 벨트의 톱니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0은 착탈선반의 부착 단면도로서, 도면에 있어서 (1a)는 상측 프레임, (1b)는 하측 프레임, (3)은 레버, (9)는 수지제 선반, (31)은 금속제 트레이이다. 수지제 선반(9)의 상부에 금속제 트레이(31)을 탑재시키고 있다.
상기와 같이, 금속제 트레이(31)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수지제 선반(9)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또, 프레임 상에 탑재되는 선반을 금속제로 하면, 그 선반의 강도가 상승한다.
도 41 및 도 42는 풍로 구성을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41은 수지제 트레이(9)를 마련한 풍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트레이(9)에는 직접 냉기가 닿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도 42는 금속제 트레이(31)을 마련한 풍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트레이(31)에 직접 냉기가 닿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42에 있어서 배면에서 고내로 내뿜는 냉기의 일부를 냉장고 배면에서 측면덕트(23)으로 돌리고, 돌출덕트(24)를 거쳐 선반 탑재용 프레임(1)의 양측 뒷부에 마련된 잘라냄부(노치부)(1g)에서 선반 탑재용 프레임(1)내로 받아들인다(취입한다). 이 받아들인 냉기(취입 냉기)는 선반 탑재용 프레임(1)((1a), (1b),(1g) 등)의 중공부(10)을 이용해서 프레임내에서 분배한다. 즉, 선반 탑재용 프레임(1)내로 유도된 냉기의 일부를 프레임(1)에 마련된 구멍부(30)을 통해 프레임상에 마련된 금속제 트레이(31)에 닿게 함과 동시에, 프레임의 측면 및 앞쪽의 취출구멍(12), (13)(도 34 참조)에서 다른 냉기를 내뿜도록 하고 있다.
이상에 의해, 선반 전면이 균일하게 냉각되어 온도분포가 양호하게 된다. 또, 선반 사이의 보존 공간부도 균일하게 냉각되기 때문에 방 전체의 온도분포 개선으로 된다.
도 43은 선반 탑재용 프레임(1)에 마련되어 있는 레버의 손잡이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레버(3)의 손잡이(3b) 형상을 손가락의 바닥부에 맞게 오목부(3c)로 되도록 한 것에 의해, 레버(3)이 잡기 쉽게 되고 힘도 가하기 쉽게 되었다.
또, 선반이 어떤 방향으로 움직이는지를 나타내는 기호 등(여기서는 하, 상)을 레버에 부착하는 것에 의해, 조작을 잘못하는 일이 없어진다.
상기에서는 벨트(2)가 만일 끊어진 경우라도 나사형 축(4)와 톱니바퀴(6)에서의 마찰저항에 의해 프레임(1)이 선반 상의 식품의 무게에 견뎌 상하위치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 선반 상에 편가중이 있더라도, 프레임(1)의 강성에 의해 선반(20)의 변형은 없다.
또, 나사형 축(4)의 높이 위치는 4개 모두 동일하게 하면 좋다. 또, 조립의 최초(개시)시에 최상 또는 최하 위치로 하면, 접촉(abutting)에 의해 동일한 높이로 세트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프레임(1)의 동작속도는 예를 들면 프레임 상의 선반에 탑재된 식품이 움직이지 않을 정도로 하면 좋다.
또, 레버(3)이 배치되는 것은 식품의 방해로 되지 않는 곳에서 사용자가 레버를 사용하기 편리한 위치라도 좋다.
프레임(1)에 탑재된 트레이 또는 선반이 높은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레버(3)에 의해 아래로 내리면 안쪽의 식품도 보기쉽고 꺼내기 쉽게 되며, 낮은 위치에 그 선반이 있는 경우에는 레버(3)에 의해 위로 올리면 안쪽의 식품도 몸이 편한 상태에서 꺼내기 쉽게 된다.
또, 레버(3)은 작은 쪽이 바람직하지만 잡기 쉬운 정도로 한다.
또, 선반이나 트레이(9), (20), (31)을 착탈가능하게 하는 것에 의해, 그의 청소성이 좋아진다. 또, 선반의 주변부에 오목부나 홈부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가령 식품의 국물 등이 흘러나오더라도 그 오목부나 홈부에서 멈춰 프레임(1)까지 흐르는 일이 없다. 따라서, 고내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선반이 프레임(1)의 전면을 덮도록 하면 더욱더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중에 기재된 구성을 임의로(자유자재로) 조합해도 좋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식품의 부하량의 차이에 관계없이 식품이 선반에 탑재된 상태에서도 작은 힘으로 무리없이 또 한쪽손으로 선반위치의 조절이가능한 선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신뢰성이 높음과 동시에 의장적으로도 우수한 냉장고를 얻을 수 있고, 또 고내(냉장고내)의 냉기의 흐름을 개선하여 냉각효율을 향상시켜 에너지 절약(성에너지)이 도모되는 냉장고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반에 탑재되는 식품 등의 부하에 의한 브레이크현상이 극소하여 레버의 조작이 개선되고, 레버 조작에 가장 많이 부하가 걸리는 선반 상승과정에 있어서 이상을 방지할 수 있고, 트레이의 강도를 상승시켜 냉장고의 방 전체가 균일하게 냉각되게 되며 레버가 잡기 쉬운 냉장고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7)

  1. 선반 등을 탑재하는 냉장고내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축지지된 나사형 축이 마련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내에 마련된 타이밍벨트,
    상기 타이밍벨트에 마련된 레버 및
    상기 레버의 이동에 의해 회전운동하는 상기 타이밍벨트와 연동해서 상기 프레임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나사형 축과 맞물리는 맞물림부 및 한쪽끝에 걸림부를 가진 플랜지부를 구비한 이동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코너부를 연장시켜 연장부를 마련하고, 상기 연장부내에 상기 나사형 축과 상기 이동수단을 배치하고, 냉장고내에 상기 연장부가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홈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장치를 냉장고내에 마련된 격실의 천정부를 막는 부재로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장치를 냉장고의 문에 마련된 도어포켓의 바닥면으로 사용한 것을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냉장고의 앞면을 막는 개폐문과 상기 냉장고내를 복수개로 간막이하는 간막이벽을 갖고, 상기 간막이벽을 이동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냉장고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 마련된 냉기공급덕트에서 냉기를 받아들이는 냉기 취입구와 상기 냉기를 냉장고내로 내뿜는 냉기 취출구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장치는 유지수단과 고정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하방향으로 축지지된 나사형 축을 마련하고,
    상기 이동수단에는 나사형 축과 맞물리는 맞물림부 및 한쪽끝에 걸림부를 가진 플랜지부를 마련하고,
    상기 유지수단에는 상기 이동수단을 위에 탑재한 경우에 상기 걸림부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 및 상기 이동수단의 탑재면에서 연장된 삽입부재를 갖고,
    상기 고정수단에는 상기 삽입부재를 삽입부착하는 협지부와 함께, 상기 협지부의 입구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수단의 걸림부가 당접해서 멈추는 당접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수단을 냉장고 내벽에 고정시키고, 상기 유지수단을 거쳐서 상기 이동수단을 고정적으로 내벽에 유지시켜 상기 프레임을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이동수단의 걸림부는 플랜지부에서 나사형 축의 축방향으로 연장함과 동시에, 유지수단의 걸어맞춤부를 탑재면에 대해서 직각으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7항에 있어서,
    유지수단의 삽입부재는 탑재면에 대해서 수평 또는 경사 방향으로 배치함과 동시에, 고정수단의 협지부를 냉장고 내벽의 내부에 매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7항에 있어서,
    이동수단의 플랜지부에 볼록부 또는 구멍부를, 유지수단에는 상기 이동수단의 볼록부 또는 구멍부와 걸어맞추는 구멍부 또는 볼록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7항에 있어서,
    타이밍벨트에 마련된 레버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한 힘이 상기 타이밍벨트를 거쳐서 나사형 축의 한쪽끝에 동축으로 또한 고정적으로 마련되어 상기 타이밍벨트에 걸어맞춰진 톱니바퀴로 전달되는 것에 의해, 상기 나사형 축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11항에 있어서,
    타이밍벨트는 프레임 안쪽가장자리부에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타이밍벨트에 걸어맞춰져 회전하는 나사형 축을 프레임의 적어도 2개소의 코너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11항에 있어서,
    나사형 축의 나사피치를 9㎜이하로 함과 동시에, 나사 리드각을 15°이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7항에 있어서,
    이동수단에는 맞물림부의 외벽에 볼록부를 마련함과 동시에, 프레임에는 상기 볼록부와 대향하는 나사형 축을 수납하는 부분의 내벽면에 홈을 배치해서, 상기홈이 상기 볼록부를 궤도 안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1항에 있어서,
    냉장고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 마련된 냉기공급덕트의 출구 부근에 배치되어 냉기를 냉기공급덕트 출구에서 프레임내 전방으로 유도하는 중계덕트를 상기 프레임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장치는 소켓과 소켓에 대해서 슬라이드가능하고 또한 스프링에 의해서 소켓방향으로 장하된 슬라이더부를 갖는 타이밍벨트 연결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레버와 벨트의 한쪽끝을 소켓에 연결하고 또 벨트의 다른쪽끝을 슬라이더부에 연결하며, 레버의 슬라이드와 연동해서 회전운동하는 타이밍벨트를 거쳐서 프레임을 상하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16항에 있어서,
    레버에는 레버의 근원을 연장시킨 삽입부재를 갖고, 이것을 프레임의 앞부 하면에 마련된 슬릿부에 삽입함과 동시에 타이밍벨트를 연결하는 타이밍벨트 연결수단의 소켓에 끼워맞춰 상기 레버와 상기 타이밍벨트를 체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레버의 궤도를 따르게 해서 프레임 보강판을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1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앞측 부분을 금속 프레임으로 하고,
    상기 금속 프레임의 내측에 타이밍벨트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장치는 프레임상에 마련된 착탈가능한 선반을 갖고,
    상기 선반의 앞측 하부에 전방을 향해 개방된 ‘コ’형상 리브를 마련해서 상기 프레임의 앞측 안쪽가장자리에 형성된 플랜지부에 걸어맞춤과 동시에, 상기 선반의 뒷부를 상기 프레임의 뒷부를 덮는 L자 형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1. 제11항에 있어서,
    나사형 축에 고정적으로 구비된 상기 톱니바퀴는 내부에 매설된 복수개의 회전가능한 볼과 이 볼을 거쳐서 회전가능하게 톱니바퀴에 걸어맞춰지고 동축에 마련된 상부 지지축을 구비하고,
    프레임에는 구멍을 갖는 축받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지지축은 상단을 구멍에 삽입하여 프레임에 장착해서 상기 톱니바퀴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능한 볼의 상면을 상기 톱니바퀴 상면에서 돌출시키고,
    상기 프레임의 축받이부 하면과 상기 볼이 접촉하면서 톱니바퀴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벨트의 타이밍벨트 연결수단으로의 장착에 있어서, 상기 레버조작에 의해 오른쪽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켰을 때가 선반 상승인 경우에 상기 타이밍벨트 연결수단의 소켓으로의 벨트 한쪽끝의 고정을 좌측으로 하고 상기 타이밍벨트 연결수단의 슬라이더부로의 벨트 다른쪽끝의 연결을 우측으로 하며, 또 상기 레버조작에 의해 왼쪽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켰을 때가 선반 상승인 경우에는 상기 타이밍벨트 연결수단의 소켓으로의 벨트 한쪽끝의 고정을 우측으로 하고 상기 타이밍벨트 연결수단의 슬라이더부로의 벨트 다른쪽끝의 연결을 좌측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탑재용 프레임 상에 마련된 선반을 수지제로 하고,
    상기 선반의 상면에 금속제의 부재를 탑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탑재용 프레임 상에 마련된 선반을 금속제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탑재용 프레임 내로 유도하는 냉기의 일부를 상기 선반 탑재용 프레임 상에 마련된 상기 금속제 부재 또는 금속제 선반에 닿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손잡이 형상을 손가락의 바닥부에 맞게 내측으로 오목하게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1-0011893A 2000-03-27 2001-03-08 냉장고 KR1004057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86488 2000-03-27
JP2000-086488 2000-03-27
JP2000-236993 2000-08-04
JP2000236993A JP3648138B2 (ja) 2000-03-27 2000-08-04 冷蔵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0724A KR20010090724A (ko) 2001-10-19
KR100405795B1 true KR100405795B1 (ko) 2003-11-14

Family

ID=26588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1893A KR100405795B1 (ko) 2000-03-27 2001-03-08 냉장고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363738B2 (ko)
JP (1) JP3648138B2 (ko)
KR (1) KR100405795B1 (ko)
CN (1) CN100476325C (ko)
SG (1) SG134962A1 (ko)
TW (1) TW54289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07096A (zh) * 2020-04-23 2020-07-14 王后磊 一种仓储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60438B2 (en) * 2001-11-20 2007-08-21 Touchsensor Technologies, Llc Intelligent shelving system
KR20050028265A (ko) * 2003-09-18 2005-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선반 높이조절장치
BR8302058U (pt) * 2003-09-25 2005-06-07 Multibras Eletrodomesticos Sa Arranjo de bandeja externa para gabinete de refrigerador ou freezer
KR100652583B1 (ko) * 2004-07-29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0690649B1 (ko) 2004-08-26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0664052B1 (ko) 2004-08-26 2007-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0619757B1 (ko) * 2004-11-09 2006-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및 그 냉장고의 바스켓 승강장치의 제어방법
US20060168724A1 (en) * 2005-02-02 2006-08-03 Weigel Penny J Finger grip assembly for moving large appliances
US20060244350A1 (en) * 2005-04-29 2006-11-02 Maytag Corp. Refrigerator shelving assembly
DE102005057148A1 (de) * 2005-11-30 2007-06-0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üchengerät mit höhenverstellbarer Regalablage
JP2008039292A (ja) * 2006-08-07 2008-02-21 Mitsubishi Electric Corp 冷蔵庫
US7948380B2 (en) * 2006-09-06 2011-05-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patially distributed remote sensor
CH699347B1 (de) * 2007-02-09 2010-02-26 Forster Kuechen Und Kuehltechnik Kühlschrank mit mindestens einem Tablar.
KR100916699B1 (ko) * 2007-04-06 2009-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DE202007013358U1 (de) * 2007-05-30 2008-11-20 Liebherr-Hausgeräte Ochsenhausen GmbH Kühl- und/oder Gefriergerät
DE102007029176A1 (de) 2007-06-25 2009-01-0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DE102008019385A1 (de) * 2008-04-17 2009-10-2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höhenverstellbarem Absteller
JP2010071577A (ja) * 2008-09-19 2010-04-02 Mitsubishi Electric Corp 冷凍冷蔵庫
RU2488051C2 (ru) * 2008-11-11 2013-07-20 Бсх Бош Унд Сименис Хаусгерете Гмбх Холодильный аппарат с регулируемой по высоте полкой для охлаждаемых продуктов
WO2010076205A1 (en) * 2008-12-31 2010-07-08 Arcelik Anonim Sirketi A cooling device comprising a height adjustable shelf
KR101584807B1 (ko) * 2009-05-27 2016-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높이조절 수납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DE102009027167A1 (de) * 2009-06-24 2010-12-3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insbesondere Haushaltskältegerät mit Aufnahmen für Halter von Kühlgutablagen
JP2009300072A (ja) * 2009-08-07 2009-12-24 Haimekku:Kk 冷蔵庫内の載置台
JP5637949B2 (ja) * 2011-07-20 2014-12-10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US8960825B2 (en) * 2011-10-04 2015-02-2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N104364593A (zh) * 2012-03-23 2015-02-18 B/E航空公司 用于飞机乘客套间的动态降温迷你吧台
JP5777579B2 (ja) * 2012-08-06 2015-09-09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及びこの冷蔵庫の製造方法
KR102014787B1 (ko) * 2013-01-30 2019-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선반 어셈블리 및 선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냉장고
DE102013214001A1 (de) * 2013-07-17 2015-01-2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kältegerät mit einem Ablageboden und ein verschiebbar daran angeordnetes Griffteil
KR102100192B1 (ko) * 2013-09-13 2020-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JP6330140B2 (ja) * 2013-12-20 2018-05-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
JP6375510B2 (ja) * 2013-12-25 2018-08-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
CN103983078A (zh) * 2014-06-05 2014-08-13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一种可升降搁物架
EP3239634B1 (en) * 2014-08-12 2019-03-06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N104930806B (zh) * 2015-05-29 2018-02-02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用于冰箱的可升降搁物架及冰箱
CN106322907B (zh) * 2015-06-30 2019-03-01 东芝生活电器株式会社 冰箱
US10948230B2 (en) * 2015-11-02 2021-03-16 Bsh Hausgeraete Gmbh Refrigeration appliance having a divided storage space
CN106288631A (zh) * 2016-09-21 2017-01-04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一种可升降搁架以及冰箱
CN106369919A (zh) * 2016-09-21 2017-02-01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一种嵌入式冰箱门体与柜门的安装固定结构以及冰箱
CN107975997A (zh) * 2016-10-21 2018-05-01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存取食材的冰箱
CN106642959A (zh) * 2016-11-18 2017-05-10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储物装置及具有其的冰箱
DE102016223181A1 (de) * 2016-11-23 2018-05-24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etür und Verfahren zum Verstellen eines Türabstellers einer Haushaltsgerätetür
WO2020046235A2 (en) * 2018-07-12 2020-03-05 Arcelik Anonim Sirketi Shelf height adjustment mechanism
EP3820329A4 (en) * 2018-07-13 2022-04-06 Arçelik Anonim Sirketi SHELVING HEIGHT ADJUSTMENT MECHANISM
JP7326124B2 (ja) * 2019-11-15 2023-08-15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CN111174524B (zh) * 2020-01-20 2021-08-31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搁架组件和储物柜
KR20210095493A (ko) 2020-01-23 2021-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113266991B (zh) * 2020-02-14 2023-07-07 青岛海尔特种电冰柜有限公司 一种制冷设备门体及制冷设备
CN111174509A (zh) * 2020-03-20 2020-05-19 无锡海达尔精密滑轨股份有限公司 一种竖直位移止位系统
CN114076437B (zh) * 2020-08-19 2022-10-28 青岛海尔特种制冷电器有限公司 自平衡可调搁物架装置及具有其的冰箱
CN112665296B (zh) * 2020-12-01 2022-08-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基于物联网数据的冰箱、内存储食物智能检测方法及介质
CN112984945B (zh) * 2021-02-03 2022-06-17 北京戴纳实验科技有限公司 一种样本进出冰箱的管理方法
WO2022254593A1 (ja) * 2021-06-02 2022-12-08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12104A (en) * 1954-11-08 1957-11-05 American Mach & Foundry Self leveling storing and dispensing apparatus
US2861695A (en) * 1955-08-25 1958-11-25 Gen Electric Vertically adjustable and laterally slidable shelf structure
US3389804A (en) * 1966-10-28 1968-06-25 William Bronson Lyon Supporting track and advancing pawls for article display and storage apparatus
US4699276A (en) * 1986-07-31 1987-10-13 Kearney & Trecker Corporation Chain-type tool storage magazine
JP2752300B2 (ja) 1992-07-22 1998-05-18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用棚装置
US5944202A (en) * 1997-11-18 1999-08-31 Wylie; John F. Material handling pushback
IT1304005B1 (it) * 1998-06-09 2001-03-02 Resta Srl Apparecchiatura per immagazzinare temporaneamente manufatti, inparticolare materassi.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07096A (zh) * 2020-04-23 2020-07-14 王后磊 一种仓储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0724A (ko) 2001-10-19
JP3648138B2 (ja) 2005-05-18
CN1319754A (zh) 2001-10-31
US6363738B2 (en) 2002-04-02
JP2001343186A (ja) 2001-12-14
US20010025508A1 (en) 2001-10-04
CN100476325C (zh) 2009-04-08
SG134962A1 (en) 2007-09-28
TW542894B (en) 2003-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5795B1 (ko) 냉장고
KR102625266B1 (ko) 냉장고
CN110631321B (zh) 冰箱以及冰箱用升降装置
CN113324370B (zh) 冰箱
EP3764046B1 (en) Refrigerator
EP2256444B1 (en) Refrigerator with height-adjustable receiving apparatus
EP2159523B1 (en) Refrigeration equipment and console system for use therein
KR20060081919A (ko) 냉장고
EP3764044B1 (en) Refrigerator
US20230304729A1 (en) Refrigerator
JP4111038B2 (ja) 冷蔵庫
JP4559963B2 (ja) 貯蔵庫
JP2009019793A (ja) 冷蔵庫
CN112212574B (zh) 冰箱
JP2007046807A (ja) 冷蔵庫
KR101432292B1 (ko) 냉장고
KR102464474B1 (ko) 냉장고
KR101611610B1 (ko) 냉장고
KR100666679B1 (ko) 냉장고용 야채박스 프레임
CN117053477A (zh) 搁架组件及冰箱
CN116499167A (zh) 冷藏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